KR20230000949U - 수전금구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수전금구 체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49U
KR20230000949U KR2020210003328U KR20210003328U KR20230000949U KR 20230000949 U KR20230000949 U KR 20230000949U KR 2020210003328 U KR2020210003328 U KR 2020210003328U KR 20210003328 U KR20210003328 U KR 20210003328U KR 20230000949 U KR20230000949 U KR 202300009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fastening unit
faucet
flange
fauc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245Y1 (ko
Inventor
진승호
이응선
Original Assignee
진승호
이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호, 이응선 filed Critical 진승호
Priority to KR2020210003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4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수전금구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중공 관체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렌지부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렌지 내측에는 상기 캡 부재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전금구 체결유닛{FAUCET CONNECTING UNIT}
본 고안은 수전금구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수전금구 체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각 가정이나, 관공서 및 호텔 등의 욕실 또는 싱크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범위 예를 들어 싱크대, 세면대, 샤워실에 각각 설치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전금구에서 원홀 수전금구는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설치 사용되는 것으로서,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일예로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싱크대(3)에 설치되는 싱크대 수전(2)은, 그 하부에 형성된 나선관체(2a)가 싱크대(3)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싱크대(3)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싱크대(3) 내부에서 고정용 너트(5)를 나선관체(2a)에 결합시킨 후 조여서 싱크대(3)에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싱크대(3)의 경우 싱크대 수전(2)의 하부와 고정용 너트(5)는 싱크대 보울과 싱크대(3) 측벽 사이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고, 싱크대 수전(2)의 하부에는 다수의 수전용 호스(6)가 통과하므로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용 너트(5)를 체결하거거나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정용 너트(5)가 나선관체(2a)의 나사산을 따라 끝까지 조여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경이 다른 나선관체에도 결합가능하도록 된 수전금구 체결유닛을 제안하였으나(특허문헌 KR20-0492610), 상기한 수전금구 체결유닛은 체결나사블록, 커플링 부재, 가압편 등과 같이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들의 개수가 많아 생산성이 낮고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480895 B1 KR 20-0492610 B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수전금구 체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으로서, 중공 관체의 파지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112)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114)가 형성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캡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114) 내측에는 상기 캡 부재(1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다수의 탄성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파지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렌지부(114)의 바닥면(114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부재(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몸체(2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부재(122)와, 상기 걸림부재(122) 단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123)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21)가 끼워져서 수직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1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41)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22)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에는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홈부(11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부재(120)의 상부면에는, 내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25)와, 상기 캡 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단턱부(125)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홈(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전금구의 체결을 위해,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을 체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을 가압하면서 조임방향으로 1~2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수전금구의 체결이 완료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이라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사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는 일반적인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은 크게 본체부(110) 및 캡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중공 관체의 파지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112)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파지부(112)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물망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무늬(112a)가 양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114) 내측에는 상기 캡 부재(1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다수의 탄성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13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전금구(200)의 나선관체(210)를 따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몸체(2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부재(122)와, 상기 걸림부재(122) 단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에는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홈부(114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145)는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 내에 형성되고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 상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8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2)는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캡 부재(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114) 내측에는 상기 캡 부재(1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다수의 탄성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파지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렌지부(114)의 바닥면(114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21)가 끼워져서 수직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1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41)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22)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143)가 상기 가이드부(1142)를 상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에는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홈부(114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부(1145)는 제조 상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될 수 있는바, 이때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 내에 홈부(1145)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를 관통하여 홈부(1145)를 형성하는 것이 사출성형 공정에서 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5)는 하나의 탄성부재(130)와 다른 하나의 탄성부재(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2)가 상기 탄성부재(13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114)의 상기 홈부(114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 부재(120)가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캡 부재(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몸체(2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부재(122)와, 상기 걸림부재(122) 단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특히, 도 8 참조).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와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 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캡 부재(1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길이(수직방향) 중에서 1/4 ~ 1/3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길이가 20 ㎜일 때,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의 길이는 5 ㎜ ~ 6 ㎜가 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120)의 상부면에는, 내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25)와, 상기 캡 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단턱부(125)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의 본체부(110) 내로 수전금구(200)의 다수의 수전용 호스(212)를 모두 삽입한다. 여기서, 수전금구(200)는 원홀 수전금구로서,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설치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서와 같이,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의 파지부(112)를 이용하여, 수전용 호스(212)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의 캡 부재(120)가 수전금구(200)의 나선관체(210)를 따라 체결위치에 도달하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13에서와 같이,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의 파지부(112)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가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캡 부재(120) 및 상기 탄성부재(130)가 수전금구(200)의 나선관체(210)를 따라 체결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사용자는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의 파지부(112)를 이용하여 체결을 수행한다.
다음에, 도 14에서와 같이,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이 수전금구(200)와 체결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전금구의 체결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을 체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수전금구 체결유닛(100)을 가압하면서 조임방향으로 1~4회, 바람직하게는 2~3회 회전시키기만 하면 수전금구의 체결이 완료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전금구 체결유닛
110 : 본체부
112 : 파지부
114 : 플렌지부
120 : 캡 부재
130 : 탄성부재

Claims (7)

  1. 수전금구 체결유닛(100)로서,
    중공 관체의 파지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112)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114)가 형성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캡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114) 내측에는 상기 캡 부재(1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다수의 탄성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파지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렌지부(114)의 바닥면(114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몸체(2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부재(122)와, 상기 걸림부재(122) 단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123)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플렌지부(114)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21)가 끼워져서 수직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1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41)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22)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114)의 벽부(1144)에는 상기 캡 부재(120)의 걸림부재(1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홈부(11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미리 결정된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120)의 내주면(124)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상단부(131)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120)의 상부면에는,
    내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25)와,
    상기 캡 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단턱부(125)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홈(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체결유닛.
KR2020210003328U 2021-11-01 2021-11-01 수전금구 체결유닛 KR200497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28U KR200497245Y1 (ko) 2021-11-01 2021-11-01 수전금구 체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28U KR200497245Y1 (ko) 2021-11-01 2021-11-01 수전금구 체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49U true KR20230000949U (ko) 2023-05-10
KR200497245Y1 KR200497245Y1 (ko) 2023-09-12

Family

ID=8631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28U KR200497245Y1 (ko) 2021-11-01 2021-11-01 수전금구 체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45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10Y1 (ko) * 2002-02-26 2002-05-25 최동황 씽크대용 수도전의 체결장치
JP2003232057A (ja) * 2001-12-07 2003-08-19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およびその壁面または床面埋込み方法
KR200344224Y1 (ko) * 2003-12-03 2004-03-11 주식회사 한도 일체형으로의 조립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도전의체결장치
US20140124049A1 (en) * 2012-11-05 2014-05-08 Xiamen Lota International Co., Ltd.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mechanism
KR200480895Y1 (ko) 2016-01-13 2016-07-19 주재한 수전금구 체결장치
KR200481313Y1 (ko) * 2015-10-01 2016-09-09 박귀출 수전 고정구조
KR101677667B1 (ko) * 2016-03-03 2016-11-21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관체 고정장치
US20190376264A1 (en) * 2018-06-11 2019-12-12 Xiamen EASO Co., Ltd. Faucet mounting structure
KR200492610Y1 (ko) 2019-07-22 2020-11-11 이응선 수전금구 체결유닛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057A (ja) * 2001-12-07 2003-08-19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およびその壁面または床面埋込み方法
KR200276610Y1 (ko) * 2002-02-26 2002-05-25 최동황 씽크대용 수도전의 체결장치
KR200344224Y1 (ko) * 2003-12-03 2004-03-11 주식회사 한도 일체형으로의 조립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도전의체결장치
US20140124049A1 (en) * 2012-11-05 2014-05-08 Xiamen Lota International Co., Ltd.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mechanism
KR200481313Y1 (ko) * 2015-10-01 2016-09-09 박귀출 수전 고정구조
KR200480895Y1 (ko) 2016-01-13 2016-07-19 주재한 수전금구 체결장치
KR101677667B1 (ko) * 2016-03-03 2016-11-21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관체 고정장치
US20190376264A1 (en) * 2018-06-11 2019-12-12 Xiamen EASO Co., Ltd. Faucet mounting structure
KR200492610Y1 (ko) 2019-07-22 2020-11-11 이응선 수전금구 체결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45Y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71B2 (en) Fixing structure of a pull-out faucet
US6874527B2 (en)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a liquid delivery device utilizing expanding bushing
US6360636B1 (en) Tool for removing a drain basket or similar fitting
KR200492610Y1 (ko) 수전금구 체결유닛
KR20230000949U (ko) 수전금구 체결유닛
KR101768716B1 (ko)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200474801Y1 (ko) 샹크와 락너트를 구비하는 수전 체결유닛
US10711936B2 (en) Weight assembly for a faucet
US10030370B1 (en) Top mounting faucet assembly
KR200459477Y1 (ko) 3홀 세면대 전용 수도전
KR200331596Y1 (ko) 수로관 성형틀
US2797726A (en) Flanging tool for forming radial flanges
KR200339746Y1 (ko) 스토퍼가 형성된 파이프 고정구
CN217713928U (zh) 带扣管卡和管材安装组件
US7108007B1 (en) Faucet securing and water supply device
CN211820927U (zh) 改善龙头安装牢固性的锁紧件
KR100941651B1 (ko) 수도금구 고정장치
KR20230000837U (ko) 급수호스 클램핑장치
CA2979272A1 (en) Top mounting faucet assembly
KR200261480Y1 (ko) 밸브 어샘블리
KR200257139Y1 (ko) 냉온수관의 수전구 고정대
KR200160959Y1 (ko) 토수위치 조절이 가능한 토수구조
JPH08226561A (ja) 水栓の取付構造
KR200213731Y1 (ko) 양변기 고정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