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32U - Wall mount storage funiture - Google Patents

Wall mount storage fu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32U
KR20230000932U KR2020220002195U KR20220002195U KR20230000932U KR 20230000932 U KR20230000932 U KR 20230000932U KR 2020220002195 U KR2020220002195 U KR 2020220002195U KR 20220002195 U KR20220002195 U KR 20220002195U KR 20230000932 U KR20230000932 U KR 20230000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ide plate
wal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1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주현
윤홍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220002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932U/en
Publication of KR20230000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3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1Mortise and tenon type joints with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는 내부 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 벽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홀을 갖는 가로 포스트, 및 상기 가로 포스트와 상기 가구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가구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세로 포스트에 걸려져 설치될 수 있다.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rniture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horizontal post fixed to a wall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furniture bodies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post and the furniture body. A vertical post may be included, and the furniture body may be hung and installed on the vertical post.

Description

벽걸이 수납 가구{WALL MOUNT STORAGE FUNITURE}Wall mounted storage furniture {WALL MOUNT STORAGE FUNITURE}

본 고안은 수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에 걸려져 바닥에서 플로팅된 벽걸이 수납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orage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that is hung on a wall and floats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상부 싱크대 수납장 등은 가로형 목재를 나사와 칼블럭으로 벽면에 고정하고, 가로형 목재에 수납장을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된다. In general, an upper sink cabinet fixed to a wall is installed by fixing a horizontal timber to the wall with screws and a knife block, and fixing the cabinet to the horizontal timber with screw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나무의 부식과 나사의 이탈로 인하여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며, 최초 잘못 설치하지 못하면 설치 이후에 수납장의 평행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risk of falling due to corrosion of wood and separation of screws, and if it is not installed incorrectly at first, it is difficult to balance the cabinet after installation.

또한, 하부 싱크대 수납장은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데, 하부 싱크대 수납장이 바닥에 고정되면 싱크대의 하부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답답한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방에 설치되는 하부 가구는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데,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ink storage cabinet is fixed to the floor. When the lower sink storage cabinet is fixed to the floor, the space under the sink is not properly utilized, causing a stuffy feeling. In addition, the lower furniture installed in the kitchen should be stably fixed to the wall,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on the wall is complicated.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고안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벽걸이 수납 가구를 제공한다.Based on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는 내부 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 벽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홀을 갖는 가로 포스트, 및 상기 가로 포스트와 상기 가구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가구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세로 포스트에 걸려져 설치될 수 있다.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rniture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horizontal post fixed to a wall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furniture bodies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post and the furniture body. A vertical post may be included, and the furniture body may be hung and installed on the vertical pos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가구 본체는 복수의 측판, 상기 측판의 하부에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과 상기 세로 포스트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rniture bod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s, and the side plates and the vertical post may be made of metal.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 hol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pos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ok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lat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후크는 상기 측판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ide plat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판의 상단을 따라 이어진 상부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l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rib exten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세로 포스트와 맞닿는 후방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l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laterally at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and may further include a rear support rib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측판의 후방에 결합된 후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후방 지지리브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방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지지돌기들은 상기 세로 포스트와 상기 후면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iture body further includes a back plate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side plate, and the side plate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pport rib protrudes.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ar support protrusions,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post and the rear plat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판의 하단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하부 지지리브와 상기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하부 지지리브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돌기는 서로 다른 바닥판에 고정될 수 있다.The side pl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laterally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e lower support rib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pport rib protrudes.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wer support rib and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fixed to different bottom plates.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측판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문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문짝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지지대는 상기 측판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2 지지판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rniture bod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or leaf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the side plate further includes a front suppor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ide plate to support the door leaf, and The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bent laterally from the side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third support plate bent laterally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late. can includ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가로 포스트는 고정 홀들이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상기 세로 포스트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서 상부로 돌출된 결합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pos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bar having fixing holes, a connecting bar protruding from the fixing bar toward the vertical post, and a coupling bar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necting bar.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상기 가로 포스트가 삽입되는 결합 홈과 상기 결합 홈의 상부에서 돌출된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에는 상기 가로 포스트와 맞닿아 세로 포스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pos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horizontal post is inserted and a protruding plat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plat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s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post. A control member may be installed.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상기 결합 홈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 포스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돌출 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os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jaw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groove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s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로 포스트는 중심판과 중심판의 측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2개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홀은 상기 중심판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지지 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os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plate and two support ribs protruding rearward from side ends of the center plate, the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lat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rib. can be 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는 가로 포스트, 세로 포스트를 포함하고, 가구 본체가 세로 포스트에 걸려져 설치되므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구 본체가 벽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ost and a vertical post, and since the furniture body is hung on the vertical post, it is easy to install and the furniture body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wall. ca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후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 포스트, 세로 포스트, 측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 포스트와 세로 포스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로 포스트가 측판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로 포스트와 가로 포스트 및 조절부재를 배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종방향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A2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서 A3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post, a vertical post, and a side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post and a vertical post are coup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po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6 is a view of a vertical post, a horizontal post, and an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7 is a view of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1 in FIG. 7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2 in FIG. 7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3 in FIG. 7 .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exemplifi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후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 포스트, 세로 포스트, 측판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 post, the vertical post, and the sid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100)는 가구 본체(130), 가로 포스트(110), 세로 포스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furniture body 130 , a horizontal post 110 and a vertical post 120 .

가구 본체(1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부엌 가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구 본체(130)는 벽면에 고정되어 하단이 바닥에 이격되어 플로팅 상태로 설치된다. 가구 본체(130)는 싱크대의 하부장 또는 상부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urniture body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n inner space, and may be made of kitchen furniture. The furniture body 130 is fixed to the wall and is installed in a floating state with its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he furniture body 130 may be formed as a lower cabinet or upper cabinet of a sin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가구 본체(130)는 복수의 측판(131)과 측판(131)의 하부에 결합된 바닥판(133)과 측판(131) 사이에 설치된 분할판(134), 측판(131)의 후단에 결합된 후면판(132), 측판(131)의 전방에 고정된 문짝(1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rniture bod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131 and a partition plate 134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133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plate 131 and the side plate 131,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131. A door leaf 135 fixed to the front of the rear plate 132 and the side plate 131 may be included.

바닥판(133)과 분할판(134)은 직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목재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판(134)은 브라켓(160)을 매개로 측판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판(133)과 분할판(13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할판(134)은 측판(13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33 and the partition plate 134 are made of rectangular plates and may be made of wood or metal. The partition plate 134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plate via the bracket 160 . The bottom plate 133 and the partition plate 13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partition plate 134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131 to divide the space.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는 별도의 상부판을 갖지 않고, 싱크대의 상판 또는 종래의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측판(131)의 상단에는 별도의 상부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 storage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have a separate top plate and can be coupled to the top plate of a sink or a conventional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top plate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side plate 131.

측판(131)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세로 포스트(120)에 고정된다. 후면판(132)은 금속 또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판(131) 및 세로 포스트(120)에 고정될 수 있다. 측판(131)은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판(131)은 후크(1312), 상부 지지리브(1315), 후방 지지리브(1314), 후방 지지돌기(1313), 하부 지지리브(1311), 하부 지지돌기(1316), 전방 지지대(13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late 131 is made of metal and is fixed to the vertical post 120 . The back plate 132 may be made of metal or wood and may be fixed to the side plate 131 and the vertical post 120 . The side plate 13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side plate 131 includes a hook 1312, an upper support rib 1315, a rear support rib 1314, a rear support protrusion 1313, a lower support rib 1311, a lower support protrusion 1316, and a front support 1317. can include

후크(1312)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 홀(127)에 삽입되며, 측판(13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1312a)와 제1 돌기부(1312a)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2 돌기부(1312b)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312)는 지지 홀(127)에 삽입되어 걸려지며, 가구 본체(130)의 하중을 세로 포스트(120)에 전달한다. 하나의 측판(131)에는 복수의 후크(1312)가 형성되며, 후크(1312)들은 측판(131)의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hook 1312 protrudes back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27, and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312a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ide plate 131 and a second protrusion 131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2a. ) may be included. The hook 131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27 and hung, and transmits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30 to the vertical post 120 . A plurality of hooks 1312 are formed on one side plate 131 , and the hooks 1312 may be spaced apart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31 .

상부 지지리브(1315)는 측판(13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측판(131)의 상단을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리브(1315)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구조물은 천정, 싱크대 상판, 테이블의 상판 등이 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rib 1315 is bent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31 and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31 . The upper support rib 1315 may be fixed to an upper structure disposed thereon, where the upper structure may be a ceiling, a top plate of a sink, or a top plate of a table.

후방 지지리브(1314)는 측판(131)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세로 포스트(120)와 맞닿을 수 있다. 후방 지지리브(1314)는 측판(131)의 높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세로 포스트(120)와 후면판(13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rear support rib 1314 is bent laterally at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131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120 . The rear support rib 1314 is formed to continu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31, and may be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post 120 and the rear plate 132.

후방 지지돌기(1313)는 측판(131)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후방 지지리브(1314)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측판(131)에는 복수의 후방 지지돌기(1313)가 형성되며, 후방 지지돌기(1313)는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지지돌기(1313)는 세로 포스트(120)와 후면판(13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rear support protrusion 1313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13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pport rib 1314 protrudes. A plurality of rear support protrusions 1313 are formed on the side plate 131,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13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The rear support protrusion 1313 may be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post 120 and the back plate 132.

후방 지지리브(1314) 또는 후방 지지돌기(1313)는 세로 포스트(120)에 나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판(132)이 세로 포스트(120)에 나사를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측판(131)에 형성된 후방 지지리브(1314)와 후방 지지돌기(1313)는 서로 다른 후면판(132)에 고정되어 후면판들을 지지하며, 후면판(132)들 사이에서 측판(131)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rear support rib 1314 or the rear support protrusion 1313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post 120 with screw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ck plate 132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post 120 via screws. The rear support ribs 1314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1313 formed on one side plate 131 are fixed to different back plates 132 to support the back plates, and the side plates 131 are formed between the back plates 132. It is supported stably so that it does not shake.

본 실시예와 같이 측판(131)에 후방 지지리브(1314)와 후방 지지돌기(1313)가 형성되면, 측판(131)이 세로 포스트(120) 및 후면판(132)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하나의 측면판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후면판(1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목재판이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rear support ribs 1314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1313 are formed on the side plate 13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plate 131 is firmly fixed to the vertical post 120 and the back plate 132, and one The side plate of can stably support the two rear plates 132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ticular, structural strength can be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wooden boards are fixed by screws.

하부 지지리브(1311)는 측판(13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측판(131)의 하단을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리브(1311)는 바닥판(133)을 지지하며, 바닥판(133)에 나사 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rib 1311 is bent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31 and may be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31 . The lower support rib 1311 supports the bottom plate 133 and may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133 with screws or bolts.

하부 지지돌기(1316)는 측판(13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부 지지리브(1311)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측판(131)에는 복수의 하부 지지돌기(1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돌기(1316)는 바닥판을 지지하며, 바닥판(133)에 나사 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지지리브(1311)와 하부 지지돌기(1316)는 서로 다른 바닥판(133)에 고정되어 바닥판(133)들을 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316 protrudes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31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pport rib 1311 protrudes.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protrusions 1316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131 .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316 supports the bottom plate and may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133 with screws or bolts. The lower support rib 1311 and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316 may be fixed to different bottom plates 133 to support the bottom plates 133 .

전방 지지대(1317)는 측판(131)의 선단에 형성되어 문짝(135)을 지지한다. 전방 지지대(1317)는 측판(131)의 높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전방 지지대(1317)의 전면은 측판(131)의 두께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다.The front support 1317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plate 131 to support the door 135. The front support 1317 is formed by continu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3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1317 has a wider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131.

전방 지지대(1317)는 측판(131)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지지판(1317a)과 제1 지지판(1317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 지지판(1317b)과 제2 지지판(1317b)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된 제3 지지판(1317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1317a)과 제3 지지판(1317c)은 측판(131)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지지판(1317b)은 측판(13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판(1317a)과 제3 지지판(1317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pport 1317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317a bent laterally from the side plate 131, a second support plate 1317b protruded for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317a, and a lateral support plate 1317b. It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late 1317c bent to . The first support plate 1317a and the third support plate 1317c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131 ,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17b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plate 131 . The first support plate 1317a and the third support plate 1317c may b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본 실시예와 같이 측판(131)에 전방 지지대(1317)가 형성되면 도어가 닫힐 때,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문짝(135)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front support 1317 is formed on the side plate 13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135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reduc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문짝(135)은 가구 본체(130)의 전방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부재(170)를 매개로 측판(131)에 결합된다. 측판(131)에는 복수의 문짝(135)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의 측판(131)에는 서랍이 결합될 수도 있다.The door leaf 135 is installed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in front of the furniture body 130, and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131 via a hinge member 170. A plurality of doors 135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131, and drawers may be coupled to some of the side plates 131.

측판(131)에는 스페이서(140)가 결합되며 문짝(135)은 스페이서(140)를 매개로 측판(131)에 고정된다. 스페이서(14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측판(131)에 나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금속으로 이루어진 측판(131)은 두께가 얇어서 문짝(135)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140)가 설치되면 문짝(135)을 측판(131)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A spacer 140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131 , and the door leaf 135 is fixed to the side plate 131 via the spacer 140 . The spacer 1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ixed to the side plate 131 made of metal with screws. Since the side plate 131 made of metal is thin, it is difficult to fix the door 135 thereto. However, when the spacer 140 is installed, the door leaf 135 can be easily fixed to the side plate 131.

또한, 측판(131)의 전방에는 측판(131)들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상부 프레임(151)이 설치되며, 제1 상부 프레임(151)은 측판(131)의 상부에서 측판(131)들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판(131)의 후방에는 측판(131)들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상부 프레임(152)이 설치되며, 제2 상부 프레임(152)은 측판(131)의 상부에서 측판(131)들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상부 프레임(151)과 제2 상부 프레임(152)이 설치되면 측판(131)들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upper frame 151 supporting between the side plates 13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131, and the first upper frame 151 is attached to the side plates 131 from the top of the side plate 131. can be fixed In addition, a second upper frame 152 supporting between the side plates 131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ide plate 131, and the second upper frame 152 is attached to the side plates 131 from the top of the side plate 131. It is fixed. When the first upper frame 151 and the second upper frame 152 are install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plates 131 can be stably maintained.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 포스트와 세로 포스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로 포스트가 측판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로 포스트와 가로 포스트 및 조절부재를 배면에서 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ost and the vertical post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post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vertical post, the horizontal post and the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 포스트(110)는 벽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홀(116)을 갖는다. 복수의 고정 홀(116)은 가로 포스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일부의 고정 홀(116)은 다른 고정 홀(116)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to 6, the horizontal post 110 is fixed to the wall, has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6).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st 110, and some fixing holes 116 may be located higher than other fixing holes 116.

가로 포스트(110)는 고정 홀(116)들이 형성된 고정바(112)와 고정바(112)에서 세로 포스트(120)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바(113)와 연결바(113)에서 상부로 돌출된 결합바(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112)는 벽면에 고정되며, 고정바(112)에는 복수의 고정 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고정 홀(116)은 다른 고정 홀(116)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ost 110 includes a fixing bar 112 in which fixing holes 116 are formed, a connecting bar 113 protruding from the fixing bar 112 toward the vertical post 120, and an upper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bar 113. A coupling bar 115 may be included. The fixing bar 112 is fixed to a wall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6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ar 112 . Some fixing holes 116 may be disposed higher than other fixing holes 116 .

결합바(115)는 고정바(112)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바(112)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고정바(112)는 벽면에 맞닿고, 결합바(115)는 벽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고정바(112)와 결합바(115)는 가로 포스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bar 115 is located higher than the fixing bar 112 and protrudes more forward than the fixing bar 112 . Accordingly, the fixing bar 1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nd the coupling bar 11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The fixing bar 112 and the coupling bar 115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st 110 .

세로 포스트(120)는 가로 포스트(110)와 결합되어 가로 포스트(110)를 지지한다. 세로 포스트(120)는 가로 포스트(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며, 가구 본체(130)의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로 포스트(110)는 세로 포스트(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post 120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post 110 to support the horizontal post 110 . The vertical post 12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horizontal post 110 and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urniture body 130 . The horizontal post 110 may be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st 120 .

세로 포스트(120)는 중심판(121)과 중심판(121)의 측단에서 돌출된 2개의 지지 리브(122)를 포함하며, 중심판(121)과 지지 리브(122)는 가로 포스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중심판(121)은 측판(131)에 형성된 후방 지지리브(1314) 및 후방 지지돌기(131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과 맞닿을 수 있다The vertical post 120 includes a center plate 121 and two support ribs 122 protruding from side ends of the center plate 121, and the center plate 121 and the support rib 122 are horizontal posts 110 It is formed by conne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12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support rib 1314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1313 formed on the side plate 131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m.

중심판(121)에는 나사 또는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구가 삽입되는 복수의 픽싱 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는 측판(131)에 고정되거나, 후면판(13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픽싱 홀(125)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픽싱 홀(125)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5 into which couplers made of screws or bolts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plate 121 . The coupler may be fixed to the side plate 131 or to the back plate 132 . Also, some of the fixing holes 1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other fixing holes 125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또한 중심판(121)에는 후크(1312)가 삽입되는 지지 홀(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 홀(127)은 중심판(12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홀(127)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support holes 127 into which hooks 1312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plate 121 ,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12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121 . The support hole 127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후크(1312)는 지지 홀(1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2 돌기부(1312b)는 지지 홀(127)을 통과하여 중심판(121)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1 돌기부(1312a)의 하단은 지지 홀(127)의 내면과 맞닿아 지지된다.The hook 1312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hole 127 ,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2b passes through the support hole 127 and is positioned behind the center plate 121 .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312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ole 127 and is supported.

각각의 지지 리브(122)에는 가로 포스트(110)가 삽입되는 결합 홈(124)이 형성되며, 결합 홈(124)은 지지 리브(122)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세로 포스트(120)에는 결합 홈(124)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가로 포스트(110)의 상부를 지지하는 돌출 턱(126)이 형성된다. 돌출 턱(126)은 결합바(115)와 맞닿아 가로 포스트(110)의 이탈을 방지한다.Each support rib 122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24 into which the horizontal post 110 is inserted, and the coupling groove 124 is formed from an outer end of the support rib 122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side. In addition, a protruding jaw 12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groove 124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st 110 is formed on the vertical post 120 . The protruding jaw 1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bar 115 to prevent the horizontal post 110 from leaving.

이에 따라 가로 포스트(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세로 포스트(120)는 가로 포스트(1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세로 포스트(120)가 가로 포스트(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세로 포스트(120)가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ost 110 is fixed, the vertical post 120 can be mov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st 110 . When the vertical post 120 slid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st 110, the vertical post 120 can be easily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세로 포스트(120)에는 돌출판(128)이 형성되는데, 돌출판(128)은 결합 홈(124)의 상부에 형성된다. 돌출판(128)은 중심판(12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판(128)에는 가로 포스트(110)에 대한 세로 포스트(1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80)가 삽입될 수 있다. 돌출판(128)의 후단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가로 포스트(110)를 지지하는 하부 돌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A protruding plate 128 is formed on the vertical post 120, and the protruding plate 128 is formed on top of the coupling groove 124. The protruding plate 128 protrudes rearward from the central plate 121, and an adjusting member 18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post 120 relative to the horizontal pos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late 128. A lower protrusion 129 protruding downward to support the horizontal post 110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rotrusion plate 128 .

조절부재(180)는 돌출판(128)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재(180)는 무두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절부재(180)의 상단에는 렌치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180 may be screwed to the protruding plate 128 . The adjusting member 180 may be formed of a headless screw, and a groove into which a wrench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180 .

조절부재(180)는 가로 포스트(110)의 상단과 맞닿을 수 있으며, 조절부재(180)가 하부로 이동하면 세로 포스트(120)가 가로 포스트(11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부재(180)가 설치되면 세로 포스트(120)의 수직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벽걸이 수납 가구(100)를 설치한 이후에도 벽걸이 수납 가구(100)의 수평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18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post 110, and when the adjusting member 180 moves downward, the vertical post 120 may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st 110. When the adjusting member 180 is installed in this wa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vertical post 12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ly, even after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100 is installed, the level of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100 can be easily adjust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를 종방향으로 잘라 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서 A2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서 A3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of a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1 in FIG. 7,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2 i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3 in FIG. 7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101)는 제1 상부 프레임(251), 제2 상부 프레임(252), 상부 찬넬(258), 하부 프레임(253)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수납 가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7 to 10,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upper frame 251, a second upper frame 252, an upper channel 258, and a lower frame 253. Except for, since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will be omitted.

제1 상부 프레임(251)은 측판(131)의 상부 전방에서 측판(131)들에 고정되며, 측판들(131)을 지지한다. 제1 상부 프레임(251)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브라켓(160)을 매개로 측판에 고정된다. 제1 상부 프레임(25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 찬넬(258)을 지지하는 플랜지부(2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찬넬(258)은 제1 상부 프레임(2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측판(131)을 지지하며, C형 찬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찬넬(258)은 보조 브라켓(259)을 매개로 측판(131)에 고정되며, 상부 찬넬(258)의 하단은 플랜지부(251a)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frame 251 is fixed to the side plates 131 at the upper front of the side plate 131 and supports the side plates 131 . The first upper frame 251 may be made of metal and is fixed to the side plate via the bracket 160 . A flange portion 251a protruding rearward to support the upper channel 258 may be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51 . The upper channel 258 is installed on top of the first upper frame 251 to support the side plate 131, and may be formed as a C-shaped channel. The upper channel 258 is fixed to the side plate 131 via the auxiliary bracket 259,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annel 258 can be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251a.

제2 상부 프레임(252)은 측판(131)의 상부에서 측판(131)들에 고정되며, 측판(131)에 대하여 세워져 설치된다. 제2 상부 프레임(252)은 측판(131)이 이격된 방향으로 이어지며 측판(131)의 후방 상단에 배치된다. 제2 상부 프레임(252)은 제1 상부 프레임(251)에서 측판(131)의 폭방향으로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The second upper frame 252 is fixed to the side plates 131 at the top of the side plate 131, and is erected and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ide plate 131. The second upper frame 252 continu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lates 131 are spaced apart and is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31 . The second upper frame 25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pper frame 251 to the re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31 .

제2 상부 프레임(252)은 브라켓(16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252)은 하부로 돌출되어 후면판(132)을 지지하는 상부 플랜지부(252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부 프레임(252)은 후면판(132)이 삽입되는 상부 지지 홈(25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 홈(252b)은 상부 플랜지부(252a)의 전방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252a) 후면판(132)의 배면과 맞닿아 후면판(132)을 지지한다.The second upper frame 252 may be fixed by the bracket 160 . The second upper frame 252 protrudes downward to form an upper flange portion 252a supporting the rear plate 132 .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frame 252 may have an upper support groove 252b into which the rear plate 132 is inserted. The upper support groove 252b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52a. The upper flange portion 252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2 to support the rear plate 132 .

측판(131)의 후방 하부에는 하부 프레임(253)이 설치되는데, 하부 프레임(253)은 측판(131)에 대하여 세워져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253)은 측판(131)이 이격된 방향으로 이어지며 측판(131)의 후방 하단에 배치된다. 하부 프레임(253)은 제2 상부 프레임(252)에서 측판(131)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A lower frame 253 is install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side plate 131 , and the lower frame 253 is erected and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ide plate 131 . The lower frame 253 continu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lates 131 are spaced apart and is dispos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31 . The lower frame 253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upper frame 252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131 .

하부 프레임(253)은 브라켓(16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53)은 상부로 돌출되어 후면판(132)을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부(253a)가 형성되며, 하부 플랜지부(253a)의 전방에는 후면판(132)이 삽입되는 하부 지지 홈(253b)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부(253a) 후면판(132)의 배면과 맞닿아 후면판(132)을 지지한다.The lower frame 253 may be fixed by the bracket 160. The lower frame 253 protrudes upward to form a lower flange portion 253a supporting the rear plate 132, and in front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53a, a lower support groove 253b into which the rear plate 132 is inserted. ) can be formed. The lower flange portion 253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2 to support the rear plate 132 .

후면판(132)의 상단은 상부 지지 홈(252b)에 삽입되고, 후면판(132)의 하단은 하부 지지 홈(253b)에 삽입되어 후면판(132)은 제2 상부 프레임(252)과 하부 프레임(25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1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 groove 252b,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132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groove 253b so that the back plate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frame 252 and the lower part. It may be supported by the frame 253.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벽걸이 수납 가구
110: 가로 포스트
112: 고정바
113: 연결바
115: 결합바
116: 고정 홀
120: 세로 포스트
121: 중심판
122: 지지 리브
124: 결합 홈
126: 돌출 턱
125: 픽싱 홀
127: 지지 홀
128: 돌출판
130: 가구 본체
131: 측판
1311: 하부 지지리브
1312: 후크
1313: 후방 지지돌기
1314: 후방 지지리브
1315: 상부 지지리브
1316: 하부 지지돌기
1317: 전방 지지대
133: 바닥판
134: 분할판
135: 문짝
140: 스페이서
151, 251: 제1 상부 프레임
152, 252: 제2 상부 프레임
170: 힌지부재
180: 조절부재
253: 하부 프레임
258: 상부 찬넬
100: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110: horizontal post
112: fixed bar
113: connecting bar
115: coupling bar
116: fixed hole
120: vertical post
121: center plate
122: support rib
124: coupling groove
126: protruding jaw
125: fixing hole
127: support hole
128: protruding plate
130: furniture body
131: side plate
1311: lower support rib
1312: hook
1313: rear support protrusion
1314: rear support rib
1315: upper support rib
1316: lower support protrusion
1317: front support
133: bottom plate
134: divider
135: door
140: spacer
151, 251: first upper frame
152, 252: second upper frame
170: hinge member
180: adjusting member
253: lower frame
258: upper channel

Claims (14)

내부 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
벽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홀을 갖는 가로 포스트; 및
상기 가로 포스트와 상기 가구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가구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 포스트;
를 포함하고,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세로 포스트에 걸려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 furniture body having an interior space;
A horizontal post fixed to a wall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sts connecting the horizontal post and the furniture body to support the furniture body;
including,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niture body is hung on the vertical post and installed.
제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가로 포스트에는 복수의 상기 세로 포스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1,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posts are coupled to one of the horizontal pos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본체는 복수의 측판, 상기 측판의 하부에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과 상기 세로 포스트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urnitur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s, and the side plates and the vertical post are made of met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3,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post, and hooks are formed in the side plates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측판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4,
The hook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ide plat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판의 상단을 따라 이어진 상부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4,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ide plate includes an upper support rib bent later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extending along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세로 포스트와 맞닿는 후방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6,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of claim 1, wherein the side plate further includes a rear support rib bent laterally at a rear end of the side plate and contacting the vertical pos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측판의 후방에 결합된 후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후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후방 지지리브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방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지지돌기들은 상기 세로 포스트와 상기 후면판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7,
The furniture body further includes a back plate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side plate,
The side plat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ar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pport ribs protrude,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ar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post and the rear plat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판의 하단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하부 지지리브와 상기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하부 지지리브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돌기는 서로 다른 바닥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7,
The side plate is bent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with a lower support rib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a lower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pport rib protrude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rotrusion,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pport rib and the support projection are fixed to different bottom plat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측판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문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측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문짝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지지대는 상기 측판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2 지지판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7,
The furniture body further includes a door leaf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The side plate further includes a front suppor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ide plate to support the door,
The front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bent laterally from the side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third bent laterally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lat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omprising a support plat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포스트는 고정 홀들이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상기 세로 포스트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서 상부로 돌출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4,
Th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of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post includes a fixing bar having fixing holes, a connecting bar protruding from the fixing bar toward the vertical post, and a coupling bar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necting ba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상기 가로 포스트가 삽입되는 결합 홈과 상기 결합 홈의 상부에서 돌출된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에는 상기 가로 포스트와 맞닿아 세로 포스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4,
The vertical post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horizontal post is inserted and a protruding plat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post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s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포스트에는 상기 결합 홈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 포스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돌출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12,
Wall-mounted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os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groove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st.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포스트는 중심판과 중심판의 측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2개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홀은 상기 중심판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지지 리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수납 가구.
According to claim 13,
The vertical post includes a center plate and two support ribs protruding rearward from a side end of the center plate, the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lat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rib. furniture.
KR2020220002195U 2021-10-29 2022-09-08 Wall mount storage funiture KR2023000093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195U KR20230000932U (en) 2021-10-29 2022-09-08 Wall mount storage fu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08U KR20230000920U (en) 2021-10-29 2021-10-29 Wall mount storage funiture
KR2020220002195U KR20230000932U (en) 2021-10-29 2022-09-08 Wall mount storage funi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08U Division KR20230000920U (en) 2021-10-29 2021-10-29 Wall mount storage fun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32U true KR20230000932U (en) 2023-05-09

Family

ID=863175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08U KR20230000920U (en) 2021-10-29 2021-10-29 Wall mount storage funiture
KR2020220002195U KR20230000932U (en) 2021-10-29 2022-09-08 Wall mount storage funi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08U KR20230000920U (en) 2021-10-29 2021-10-29 Wall mount storage fu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0092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5B1 (en) * 2023-06-01 2023-07-06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Kitchen upper cabinet capable of anti-vib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5B1 (en) * 2023-06-01 2023-07-06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Kitchen upper cabinet capable of anti-vib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20U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272B (en)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support system
US5538339A (en) Drawer construction set
US20120049713A1 (en) Pantry drawer slide system
KR200437337Y1 (en) Assembly shelf attached to the wall
US20070110511A1 (en) Coupling mechanism for connecting board-type shelf to vertical post of a sectional rack
KR200444838Y1 (en) The connective structure of bookshelf
KR20230000932U (en) Wall mount storage funiture
US20080036342A1 (e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odular Cabinetry
US20070252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liding drawer within a cabinet
JP2007161451A (en) Interval adjusting device
KR20230000921U (en) Wall mount storage funiture
JP2016138426A (en) Door device of highly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 device
US10799020B1 (en) Multi-level cabinet storage system
KR20100010944U (en) Bookshelf with variable rack
KR20240035170A (en) Installing method of wall mount funiture
JP4811002B2 (en) Post mounting device in an assembly desk
JP6542315B2 (en) Rail-like member
JP4285294B2 (en) Storage furniture
KR20200124550A (en) Structure for Equipping Refrigerator
US3129988A (en) Drawer support
JP4393219B2 (en) Cabinet structure
KR101542768B1 (en)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JP5502554B2 (en) Kitch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kitchen structure
JP2008104711A (en) Device for attaching hanging beam between existing posts
JP2534124Y2 (en) Desk and table coupl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