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48A -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48A
KR20230000848A KR1020210083479A KR20210083479A KR20230000848A KR 20230000848 A KR20230000848 A KR 20230000848A KR 1020210083479 A KR1020210083479 A KR 1020210083479A KR 20210083479 A KR20210083479 A KR 20210083479A KR 20230000848 A KR20230000848 A KR 2023000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ens unit
light source
inn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848A/ko
Publication of KR2023000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the light between several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15Side marke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50Registration plat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광원부와, 반사각을 이용하여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후방 및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부렌즈부와, 내부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는 후방렌즈부와, 후방렌즈부에 연결되고 내부렌즈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내부렌즈부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하는 번호판렌즈부를 포함하여, 광원부를 통해 후방조명과 번호판조명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에 의해 후방조명 및 번호판조명이 가능한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가 차량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타 차량 들에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각종 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램프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램프는 방향지시등과 브레이크등과 후미등 및 후진등이 일체로 된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후미등이 차량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까지 라인광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후미등은 번호판용 조명수단과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9295호(2011.05.12.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후방램프 및 차량용 후방램프의 점등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광원에 의해 후방조명 및 번호판조명이 가능한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 반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후방 및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부렌즈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는 후방렌즈부; 및 상기 후방렌즈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렌즈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하는 번호판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측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부; 및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4광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광기판부; 및 상기 제1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광기판부; 상기 제2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램프부; 및 상기 제2광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내부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제2광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제3광기판부; 상기 제3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3광램프부; 및 상기 제3광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안내하고, 광 일부를 상기 내부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제3광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4광기판부; 및 상기 제4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4광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렌즈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렌즈부 또는 상기 번호판렌즈부로 유도하는 내부반사부; 상기 내부반사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내부반사부로 광을 정렬시키는 내부정렬부; 상기 내부반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내부투과부; 및 상기 내부반사부와 상기 내부투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돌출되고, 구속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내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반사부와 상기 내부투과부는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투과부는 상기 번호판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투과부는 상기 후방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동작방법은: 하나 이상의 광원부에서 광을 생성하는 광생성 단계; 내부렌즈부가 반사각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켜 광을 후방과 하방으로 안내하는 광안내 단계; 및 후방렌즈부가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고, 번호판렌즈부가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광원부에서 생성된 광이 후방렌즈부를 투과하여 후방조명을 제공하며 번호판렌즈부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렌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렌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동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1)는 광원부(10)와, 내부렌즈부(20)와, 후방렌즈부(30)와, 번호판렌즈부(4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광원부(10)는 전원이 인가되면 광을 생성한다. 일예로, 광원부(10)는 엘이디램프를 포함하고, 레드광원 또는 화이트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10)가 레드광원을 제공하는 경우, 번호판렌즈부(40)에는 별도의 보색렌즈가 구비되어 광원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광원부(10)가 화이트광원인 경우, 후방렌즈부(30)는 보색렌즈가 구비되어 광원 색상을 변경하고, 번호판렌즈부(40)는 클리어렌즈가 될 수 있다.
내부렌즈부(20)는 반사각을 이용하여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을 후방 및 하방으로 안내한다. 일예로, 내부렌즈부(20)는 광의 직진선을 유도하되,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에서 입사각이 39도 이상이 되면 반사되고, 입사각이 39도 미만인 경우 투과될 수 있다.
후방렌즈부(30)는 내부렌즈부(20)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한다. 일예로, 후방렌즈부(30)는 차체에 장착되고 레드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10)의 색상이 적색광인 경우, 후방렌즈부(30)는 투명렌즈가 될 수 있다. 광원부(10)의 색상이 백색광인 경우, 후방렌즈부(30)는 적색렌즈가 될 수 있다.
번호판렌즈부(40)는 후방렌즈부(30)에 연결되고, 내부렌즈부(20)의 하방에 배치된다. 번호판렌즈부(40)는 내부렌즈부(20)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일예로, 광원부(10)의 색상이 적색광인 경우, 번호판렌즈부(40)는 블루그린 계열의 보색렌즈가 적용될 수 있다. 광원부(10)의 색상이 백색광인 경우, 번호판렌즈부(40)는 투명렌즈가 될 수 있다. 번호판렌즈부(40)는 차체에 직접 조립 가능하고, 후방렌즈부(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후방렌즈부(30)와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차체를 기준으로 헤드라이트가 있는 부분을 전방이라 하고, 후미등이 있는 부분을 후방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제1광원부(11)와, 제2광원부(12)와, 제3광원부(13)와, 제4광원부(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광원부(11)는 내부렌즈부(20)의 전방에서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제1광원부(11)는 제1광원부(11)에서 내부렌즈부(20)로 직접 광이 조사되는 직접광이 될 수 있다.
제2광원부(12)는 내부렌즈부(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서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제2광원부(12)는 내부렌즈부(20)에 직접 광을 조사하지 않고 광반사를 통해 내부렌즈부(20)에 광을 조사하는 간접광이 될 수 있다.
제3광원부(13)는 내부렌즈부(20)의 측방에서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제3광원부(13)는 내부렌즈부(20)의 전방을 가로지르도록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 이 반사되어 내부렌즈부(20)로 이동될 수 있다.
제4광원부(14)는 내부렌즈부(20)의 상방에서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제4광원부(14)는 내부렌즈부(20)에 도달하는 직접광이 될 수 있으며, 내부렌즈부(20)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광원부(11)는 제1광기판부(111)와 제1광램프부(11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1광기판부(111)는 내부렌즈부(20)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일예로, 차체 후미의 좌우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제1광기판부(111)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광램프부(112)는 제1광기판부(111)에 각각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렌즈부(20)로 광을 조사한다. 제1광램프부(112)로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수 있고, 레드광 또는 화이트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광원부(12)는 제2광기판부(121)와, 제2광램프부(122)와, 제2광반사부(12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2광기판부(121)는 내부렌즈부(20)의 전방에 배치되되, 내부렌즈부(20)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차체 후미의 좌우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제2광기판부(121)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광램프부(122)는 제2광기판부(121)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렌즈부(2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한다. 제2광램프부(122)로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수 있고, 레드광 또는 화이트광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광반사부(123)는 제2광램프부(122)에서 조사되는 광을 내부렌즈부(20)로 반사시킨다. 일예로, 제2광반사부(123)는 내부렌즈부(20)의 전방에서 제2광램프부(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광반사부(123)는 곡면을 형성하고 광반사재질 또는 광반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제2광반사부(123)에서 반사되는 광은 내부렌즈부(20)의 전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광원부(13)는 제3광기판부(131)와, 제3광램프부(132)와, 제3광가이드부(133)를 포함한다.
제3광기판부(131)는 내부렌즈부(20)의 측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제3광기판부(131)는 차체 후미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제3광기판부(131)는 차체 후미의 좌우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기판부(131)는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광램프부(132)는 제3광기판부(131)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렌즈부(2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한다. 제3광램프부(132)로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수 있고, 레드광 또는 화이트광을 제공할 수 있다.
제3광가이드부(133)는 제3광램프부(132)에서 조사되는 광을 내부렌즈부(20)의 전방으로 안내하고, 광 일부를 내부렌즈부(20)로 반사시킨다. 일예로, 제3광가이드부(133)는 차체 후미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입되는 광을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일부를 내부렌즈부(20)로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4광원부(14)는 제4광기판부(141)와 제4광램프부(14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4광기판부(141)는 내부렌즈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차체 후미의 좌우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제4광기판부(141)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광램프부(142)는 제4광기판부(141)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렌즈부(20)로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제4광램프부(142)로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수 있고, 레드광 또는 화이트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4광원부(14)가 적용되는 경우, 제1광원부(11) 내지 제3광원부(14) 중 어느 하나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렌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렌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렌즈부(20)는 내부반사부(21)와, 내부정렬부(22)와, 내부투과부(23)와, 내부돌기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렌즈부(20)의 배치상태에 따라 후방렌즈부(40)가 돌기형 또는 비돌기형이 될 수 있다.
내부반사부(21)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각을 이용하여 후방렌즈부(30) 또는 번호판렌즈부(40)로 유도한다. 일예로, 내부반사부(21)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과 경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반사각에 해당되는 경우 대략 90도로 반사되어 이동되고, 광의 입사각이 반사각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내부반사부(21)를 투과할 수 있다.
내부정렬부(22)는 내부반사부(21)에서 돌출되고, 내부반사부(21)로 광을 정렬시킨다. 일예로, 내부정렬부(22)는 내부반사부(21)와 일체로 형성되되, 계단 형상을 하여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이 내부반사부(21)에 직선광으로 입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반사부(21)에서 반사된 광은 내부정렬부(22)에 의해 정렬되어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광원부(10)가 적용되는 경우, 내부정렬부(22)는 내부반사부(2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투과부(23)는 내부반사부(21)에서 연장되고, 내부반사부(21)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킨다. 일예로, 내부투과부(23)는 내부정렬부(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돌기부(24)는 내부반사부(21)와 내부투과부(23)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돌출되고, 구속부(90)에 삽입되어 구속된다. 일예로, 구속부(90)는 모듈화를 위한 하우징이 될 수 있고, 구속부(90)는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속부(90)에는 번호판렌즈부(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내부반사부(21)와 내부투과부(23)는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즉, 내부반사부(21)와 내부투과부(23)는 1회 또는 필요에 따라 교대로 수회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내부투과부(23)는 번호판렌즈부(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내부렌즈부(20)의 후단부에 경사를 갖는 내부반사부(21)가 형성되므로, 후방렌즈부(30)가 돌출형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도 8 참조).
그 외, 내부투과부(23)는 후방렌즈부(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내부렌즈부(20)의 후단부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내부투과부(23)가 형성되므로, 후방렌즈부(30)가 비돌출형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도 9 참조). 바람직하게는 내부반사부(21)와 내부투과부(23)가 수회 번갈아 배치되는 경우, 최후단의 내부투과부(23)가 후방렌즈부(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렌즈부(20)의 전방 및 상방에서 광원부(10)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동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동작방법은 광생성 단계(S10)와, 광안내 단계(S20)와, 조명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생성 단계(S10)에서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10)가 광을 생성한다. 광안내 단계(S20)에서는 내부렌즈부(20)가 반사각에 의해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켜 광을 후방과 하방으로 안내한다. 즉,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 일부는 내부렌즈부(20)를 투과하여 후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 일부는 내부렌즈부(20)에서 반사되어 하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조명 단계(S30)에서는 후방렌즈부(30)가 내부렌즈부(2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고, 번호판렌즈부(40)가 내부렌즈부(20)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상기한 후방조명 및 번호판조명은 차량용 후방램프장치(1)를 이용하여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광원부(11)에서 광이 생성되면(도 3 참조), 일부 광은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 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내부반사부(21)를 통과하여 직선 이동되고, 후방렌즈부(30)를 투과하여 후방조명을 제공한다. 광원부(10)에서 생성된 광 중에서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에 해당되는 입사각으로 유입된 광은 내부반사부(21)에서 반사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고, 번호판렌즈부(4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제2광원부(12)에서 광이 생성되면(도 4 참조), 간접광 중 일부는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 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내부반사부(21)를 통과하여 직선 이동되고, 후방렌즈부(30)를 투과하여 후방조명을 제공한다. 광원부(10)에서 제공하는 간접광 중에서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에 해당되는 입사각으로 유입된 광은 내부반사부(21)에서 반사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고, 번호판렌즈부(4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제3광원부(13)에서 광이 생성되면(도 6 참조), 일부 광은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 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내부반사부(21)를 통과하여 직선 이동되고, 후방렌즈부(30)를 투과하여 후방조명을 제공한다. 광원부(10)에서 생성된 광 중에서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에 해당되는 입사각으로 유입된 광은 내부반사부(21)에서 반사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고, 번호판렌즈부(4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제4광원부(14)에서 광이 생성되면(도 7 참조), 일부 광은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 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내부반사부(21)를 통과하여 직선 이동되고, 번호판렌즈부(4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광원부(10)에서 생성된 광 중에서 내부반사부(21)의 반사각에 해당되는 입사각으로 유입된 광은 내부반사부(21)에서 반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렌즈부(3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램프장치(1)는 광원부(10)에서 생성된 광이 후방렌즈부(30)를 투과하여 후방조명을 제공하며 번호판렌즈부(40)를 투과하여 번호판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광원부 11 : 제1광원부
12 ; 제2광원부 13 : 제3광원부
14 : 제4광원부 20 : 내부렌즈부
21 : 내부반사부 22 : 내부정렬부
23 : 내부투과부 24 : 내부돌기부
30 : 후방렌즈부 40 : 번호판렌즈부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광원부;
    반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후방 및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부렌즈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는 후방렌즈부; 및
    상기 후방렌즈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렌즈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하는 번호판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기 내부렌즈부의 측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부; 및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4광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광기판부; 및
    상기 제1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광기판부;
    상기 제2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램프부; 및
    상기 제2광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내부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제2광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제3광기판부;
    상기 제3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3광램프부; 및
    상기 제3광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내부렌즈부의 전방으로 안내하고, 광 일부를 상기 내부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제3광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광원부는
    상기 내부렌즈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4광기판부; 및
    상기 제4광기판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렌즈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4광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렌즈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렌즈부 또는 상기 번호판렌즈부로 유도하는 내부반사부;
    상기 내부반사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내부반사부로 광을 정렬시키는 내부정렬부;
    상기 내부반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내부투과부; 및
    상기 내부반사부와 상기 내부투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돌출되고, 구속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내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반사부와 상기 내부투과부는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투과부는 상기 번호판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투과부는 상기 후방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11. 하나 이상의 광원부에서 광을 생성하는 광생성 단계;
    내부렌즈부가 반사각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켜 광을 후방과 하방으로 안내하는 광안내 단계; 및
    후방렌즈부가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후방조명을 제공하고, 번호판렌즈부가 상기 내부렌즈부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투과시켜 번호판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램프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10083479A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79A KR20230000848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79A KR20230000848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48A true KR20230000848A (ko) 2023-01-03

Family

ID=8492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479A KR20230000848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885B1 (ko) 2023-08-18 2024-01-04 이선근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621888B1 (ko) 2023-08-18 2024-01-05 이선근 차량용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885B1 (ko) 2023-08-18 2024-01-04 이선근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621888B1 (ko) 2023-08-18 2024-01-05 이선근 차량용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012B1 (ko) 리어램프용 라이트 가이드
KR20230000848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612743B2 (en) Vehicle lamp
JP2010153269A (ja) 車両用灯具
JP2015008111A (ja) 線状導光体を用いた複合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US11506359B2 (en) Homogenous lit line image vehicle lamp assembly
JP7467049B2 (ja) 車両用の前照灯
KR20230000845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1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0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9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88019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20230000843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2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00844A (ko) 차량용 후방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00143832A (ko) 차량용 램프 유닛
JP2010170983A (ja) 車両用灯具
KR20230055087A (ko) 차량용 번호판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65539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20230059346A (ko) 차량용 번호판램프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013109B2 (ja) 車両用灯具
US11629832B2 (en) Homogenous lit line image vehicle lamp assembly
JP7234681B2 (ja) 車両用灯具
KR20220087114A (ko) 차량용 조명장치
JP2024018710A (ja) 車両用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