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89U - Deodorization unit - Google Patents

Deodoriza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89U
KR20230000789U KR2020210003092U KR20210003092U KR20230000789U KR 20230000789 U KR20230000789 U KR 20230000789U KR 2020210003092 U KR2020210003092 U KR 2020210003092U KR 20210003092 U KR20210003092 U KR 20210003092U KR 20230000789 U KR20230000789 U KR 20230000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activated carbon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987Y1 (en
Inventor
이휘동
Original Assignee
(주)더블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스퀘어 filed Critical (주)더블스퀘어
Priority to KR2020210003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87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발생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또는 대규모 쓰레기처리환경사업소, 제지, 펄프, 발효공장, 비료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각종 오염(위해)물질 및 나쁜 냄새(악취)가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통과시키되, 습식 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각종 오염물질, 악취 및 악취물질 등을 포집, 걸러내거나 산화처리, 흡착처리하여 제거함에 따라 깨끗한 상태의 공기로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탈취 유니트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that deodorizes odors generated in odor generating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dust generat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manure treatment plants, or large-scale waste treatment and environmental businesses, paper, pulp, fermentation factories, fertilizer factories, etc. B. Pass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hazardous) substances and bad odors (odor), but dry after wet treatment to collect and filter dust, various pollutants, odors and odor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Disclosed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eodorization unit that purifies air in a clean state as it is removed through oxidation treatment or adsorption treatment.

Description

탈취 유니트{Deodorization unit}Deodorization unit {Deodorization unit}

본 고안은 악취발생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또는 대규모 쓰레기처리환경사업소, 제지, 펄프, 발효공장, 비료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각종 오염(위해)물질 및 나쁜 냄새(악취)가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통과시키되, 습식 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각종 오염물질, 악취 및 악취물질 등을 포집, 걸러내거나 산화처리, 흡착처리하여 제거함에 따라 깨끗한 상태의 공기로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탈취 유니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that deodorizes odors generated in odor generating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dust generat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manure treatment plants, or large-scale waste treatment and environmental businesses, paper, pulp, fermentation factories, fertilizer factories, etc. B. Pass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hazardous) substances and bad odors (odor), but dry after wet treatment to collect and filter dust, various pollutants, odors and odor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eodorization unit that purifies air in a clean state by removing it through oxidation, adsorption, or removal.

산업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도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요구도 점점 더 커지는 실정이며, 실제로 환경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해 온 통상적인 공기정화장치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송풍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통상적인 필터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먼지나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demand that regulations on pollutants be further strengthened is also increasing, and various devices for actually remov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being developed. Conventional air purifiers that have been used so far adopt a method of forcibly circulating indoor air by driving a blower operated by power, filtering or adsorbing pollutants by a conventional filter to remove dust or odor, there is.

그런데, 종래의 공기 정화장치의 경우 필터가 오염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면 효율이 저하되고,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분해한 후,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오염물질이 오염되어 있는 필터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오염물질에 곰팡이나 세균 등이 서식하여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오염원으로 작용되고, 심한 경우에는 질병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특히, 환경사업소에서 나오는 재활용 분리수거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인분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 등을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탈취장치는 효율이 매우 낮아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어 오곤 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if the filter is clogged with contaminants, the efficiency is lowered and it causes a malfunction. Therefore, after disassembling the air purifier, the filter must be cleaned frequently, especially when contaminated. If a filter contaminated with substances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ld or bacteria inhabit the pollutants, causing odors, acting as air pollutants, and in severe cases, causing disease.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 Conventional deodorization devices for treating recycling separation waste, food waste, human excrement, and sewage sludge from business establishments have very low efficiency, so fundamental measures have been required.

산업용 쓰레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러한 악취 및 VOCs(휘발성유기화합물)성분은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을 줄뿐 아니라 건강 상에 아주 크게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고,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들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시키는 물질로 대기 중의 오존층을 파괴하고,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많은 사람들이 상시 노출되는 실내 환경에서 특정된 연소 관련 오염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일부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높은 농도로 나타날 수 있어 환경 보건학적 측면에서 그 제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These odors and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mponents generated from industrial waste, etc. are known to stimulate the human sense of smell and cause discomfort, as well as have a very harmful effect on health. In particular,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high vapor pressure It is a substance that easily evaporates into the air and causes a photochemical reaction with nitrogen oxides in the air to cause photochemical smog. It destroys the ozone layer in the air and is known as a very harmful substance to the human body. Even in the absence of combustion-related pollutants, som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an appear in high concentra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ir removal from an environmental health point of view.

산업용 쓰레기 중에서도 특히, 분뇨나 음식물쓰레기는 수분과 악취가 매우 강한 특성이 있는데,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탈취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Among industrial wastes, manure and food waste, in particular, have very strong moisture and odor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when using a generally known deodorizing means, the effect is very low, so a new technology to replace them has been required.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기술로서는 열소각, 흡착법, 촉매 소각법 등이 있으며, 상기 열소각 방식은 부하변동이 크고 저농도이며 낮은 유량인 경우 비경제적이고, 산화질소와 다이옥신을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 흡착법은 케톤, 알데히드, 에스테르가 포함되면 흡착제의 흡착능력이 감소하며, 분진의 오염에 의해 흡착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촉매 소각법은 비교적 낮은 유량의 중/저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에 적용하기에는 과다한 초기 투자비, 높은 운전비 등으로 인해 비경제적이며, 또한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fact, there are thermal incineration, adsorption method, catalytic incineration, etc. as treatment technologie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pplied in the field. The thermal incineration method is uneconomical in case of large load fluctuation, low concentration and low flow rate, and generates nitrogen oxides and dioxins. The adsorption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adsorbent decreases when ketones, aldehydes, and esters are included, and the adsorption efficiency decreases due to dust contamination. It is uneconomical due to excessive initial investment cost, high operating cost, etc. to be applied to the removal of the compound,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process with a risk of explosion.

최근에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경우 오염원이 다양해지고 계속적으로 새로운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어 종래의 단순 처리방법으로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공기 중의 오염원을 분해처리하는 방식이 아니고 단순 여과 또는 흡착하여 제2의 오염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ir pollution that has recently occurred, the pollution sources are diversified and new pollutants are continuously generated, so the conventional simple treatment method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not only generates a second pollutant by simple filtration or adsorption, but also requires a lot of time and money for maintenance.

광촉매(Photocatalyst)란 빛(Photo)과 촉매(catalyst)의 합성어이며 빛을 이용한 촉매 혹은 광반응을 가속시키는 촉매를 의미하는데,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촉매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광촉매는 반응에 직접 참여하여 소모되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반응과는 다른 매커니즘을 제공하여 반응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촉매로의 기본조건을 만족함은 물론 발현하고자 하는 물질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자외선을 흡수하여 강한 환원력과 산화력을 가질 수 있는 반도체성 금속 산화물이나 황화합물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광화학 반응을 유발시키는 광촉매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산화물은 이산화티타늄(TiO2)이다. 광촉매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산화/분해시킴으로써 2차 오염을 배제시킬 수 있고, 액상 및 기상에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온/상압 및 저온에서도 처리가 가능하고,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및 색도, SS(Settleable Solids), 냄새 제거능력도 탁월하며, 중금속 제거, 난분해성 유기물질 제거, 각종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장치는 처리수량에 비하여 설치면적이 좁다는 장점까지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산업분야 및 실생활 분야에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직접 분해하여 2차적 오염원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하는 탈취효율이 우수한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Photocatalyst is a compound word of light and catalyst, and means a catalyst using light or a catalyst that accelerates a photoreaction. However, a photocatalyst satisfies the basic conditions as a general catalyst capable of accelerating the reaction rate by providing a mechanis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actions without being consumed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as well as when the material to be expressed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Semiconducting metal oxides or sulfur compounds that can absorb and have strong reducing and oxidizing power are mainly used, and the most used metal oxide as a photocatalyst for inducing such a photochemical reaction is titanium dioxide (TiO2). Photocatalysts can eliminate secondary pollution by completely oxidizing/decomposing contaminants, treat contaminants in liquid and gaseous phases, treat contaminants at room temperature/pressure and low temperatures, and have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chromaticity, SS (Settleable Solids), and odor removal ability are excellent, heavy metal removal, non-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removal, and sterilization effect of various microorganisms are excellent.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area is small, so the range of its use is expanding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real life field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ir purifier with excellent deodorization efficiency that effectively purifies polluted indoor air while preventing secondary pollutants by directly decomposing pollutants in the air using ultraviolet rays and photocatalys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306호에서는 공기유입구와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부 및 중간 필터부, 오염된 공기 중의 악취성분을 자외선 램프와 광촉매의 광산화 및 촉매산화반응에 의해 제거하는 다수 개의 공기정화부재를 내장한 카트리지 필터부, 상기 카트리지 필터부를 통해 분해된 가시의 재결합을 방지하는 흡착필터부로 이루어지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필터부는 필터를 구성하기 위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당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고정프레임 덮개, 상기 고정프레임 덮개와 고정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분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착부재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어 악취로 오염된 공기를 광촉매 반응에 의해 악취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정화부재,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형성되어 UV램프가 용이하게 공기정화부재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UV램프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탈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0306 discloses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exhaust port, a pre-filter unit and an intermediate filter unit for removing fine solid substances from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nd a contaminated air outlet. Deodorization device consisting of a cartridge filter unit containing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members that removes odorous substances in the air by photo-oxidation and catalytic oxidation of a UV lamp and a photocatalyst, and an adsorption filter unit that prevents recombination of thorns decomposed through the cartridge filter unit. In the cartridge filter unit, a fixed frame for constituting a filter, a fixed frame cover located on and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nd a binding member formed to combine and fix the fixed frame cover and the fixed frame, and to be disassembled. An air purify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fixed frame to remove odor components from air polluted with odor by a photocatalytic reaction, and a UV lamp ball formed on the fixed frame to allow the UV lamp to be easily drawn into the air purifying member. Disclosed is a deodorizing device using ultraviolet light and a photocataly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수분과 악취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나 하수 슬러지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의 유입 속도가 빨라지거나 공기 유입량이 많을 경우 광촉매 작용에 의해 악취를 제대로 분해, 제거하지 못하고 미처리된 악취 성분이 누적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효율, 고용량의 산업용 탈취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gistered patent, a large amount of moisture and odor components are contained, such as food waste, so when the inflow rate of air generated from food waste or sewage sludge is high or the amount of air inflow is large, the odor is properly decomposed by photocatalytic action, Since a problem of cumulative increase in odor components that cannot be removed and untreated may occur, the development of a high-efficiency, high-capacity industrial deodorizer is urgently needed.

한편, 종래의 대표적인 산업적 탈취 방식으로는 바이오필터 방식, 활성탄흡착 방식 및 약액세정 방식을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presentative conventional industrial deodorization methods include a biofilter method,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method, and a chemical cleaning method.

바이오필터 방식은 합성고분자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한 악취 처리 방식으로, 특히 광범위한 취기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하고 적용가능한 악취물질이 제한적이고 담체 오염시 탈취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가 어렵고, 그에 따른 비용 또한 매우 높은 기술로 알려져 있어 사업소 현장에 도입하는데 많은 애로가 발생하게 된다.The biofilter method is a method of treating odors by microorganisms attached to synthetic polymer carrier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ffective against a wide range of odors. There is a downside to a sharp declin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the cost thereof is also known as a very high technology, so many difficulties occur in introducing it to the business site.

한편, 활성탄흡착 방식은 활성탄 표면을 화학 처리하여 악취를 흡착하는 방식인데, 장치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반면, 타르, 분진 제거에 필요한 전처리 시설이 별도로 필요하고, 고농도, 고습도의 악취 처리시에 파괴점 도달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빠르며, 효과 또한 낮고, 비용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탈취탑 내에 수분제거 시설을 별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부품의 잦은 교체에 따라 유지비가 과다한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method is a method of adsorbing odors by chemically treating the surface of activated carbon. The devic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ut a separate pretreatment facility is required to remove tar and dust. Since the breaking point is reached quickly, the replacement cycle is fast, the effect is low, and the cost is high. In addition, it is cumbersome to separately install a water removal facility in the deodorization tower, and excessive maintenance costs occur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parts.

많은 환경사업소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약액세정 방식은 약액 세정수에 의한 산화, 환원 및 중화 반응에 의한 악취처리 방식인데, 그 설치비용이 다소 낮고, 유입되는 가스가 고온이거나 분진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약액세정 방식은 그 설치비용이 바이오필터 방식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본 고안에 비해 약 15배 이상에 이르는 등 설치비용이 높고, 약액을 사용함에 따라 이에 대한 추가적인 폐수 처리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운용시 부대시설이 과다하게 필요하고 철저한 급/배수 관리가 필요하며, 약액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도 발생할 위험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해 왔다.The chemical cleaning method routinely used in many environmental offices is the odor treatment method by oxidation, reduction, and neutralization reactions by chemical cleaning water. However, the chemical cleaning method has a relatively low installation cost compared to the biofilter method, but the installation cost is about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al wastewater treatment is performed by using the chemical solution. Costs are incurred, excessive auxiliary facilities are required during operation, thorough water supply/drainage management is required, and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use of chemicals has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4722호(2014.05.30.)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04722 (2014.05.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6635호(2015.07.08.)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36635 (2015.07.08.)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되, 물을 통해 습기와 악취를 먼저 제거하고, 제습을 통해 살균필터부 및 활성탄부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여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각종 오염물질, 악취 및 악취물질 등을 포집, 걸러내거나 산화처리, 흡착처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탈취 유니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filters and removes dust and various contaminants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but first removes moisture and odor through water, and then sterilizes through dehumidification. Provided through a deodorizing unit that minimize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filter unit and activated carbon unit to collect and filter out dust, various contaminants, odors and odors contained in polluted air, or to facilitate oxidation treatment and adsorption treatment. It is the main purpose to do.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악취가 포함된 공기 또는 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일측 하부 후방에 형성되고, 타측 상부 전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습식처리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의 타측 상부에 구획되고, 상기 습식처리부의 전방 상부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습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의 타측 하부에 구획되고, 상기 제습부의 후방 하부와 후방 상부가 연통되는 살균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살균필터부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살균필터부의 전방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1활성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습부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의 후방 상부와 후방 하부가 연통되는 제2활성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를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using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air or gas containing odor is sucke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part of one side and an outlet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and the outle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in and discharging air of, a wet process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o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part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and a front upper part of the wet processing unit The dehumidify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and one front sid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s di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part, and the lower rear part and the upper rear part of the dehumidifying part are in communication. The sterilization filter part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is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part, and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in which the other front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part and one front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part. and a second activated carbon part in which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습식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물탱크를 구비하는 분사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과 복수 개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와 상기 낙하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t trea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pray device having a water tank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pray device and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rear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collides with the rotating blades to rotate the falling member and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It is installed, but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so that the sucked air is blown forward, and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air moved by the blowing f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fan that is rotated by and raises the ai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습식처리부와 제습부의 통로에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습식처리부와 제습부의 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미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iminator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treatment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and a demister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treatment unit and the dehumidification unit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iminator .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 및 상기 하우징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로부터 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vaporator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s installed on a condens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vaporator and an upper center of the housing, from the conden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pansion valve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moves to the evaporator and a compressor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and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살균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프리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필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살균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살균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미디움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미디움필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파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and the pre-filter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but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pre-filter.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dium filter installed in front of the sterilization unit and a HEPA filter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살균부는 전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칩과 상기 엘이디칩을 둘러싸도록 상기 엘이디칩의 외측에 설치되는 광각렌즈 및 상기 엘이디칩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a plurality of LED chips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 wide-angle len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D chip to surround the LED chip, and a through-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D chip is not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활성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히팅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 하부에 상기 히팅코일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제1활성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coi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housing and a first activated carbon filled between the heating coils at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housing. .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활성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 상부에 채워지는 제2활성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활성탄에 비해 입자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econd activated carbon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탈취 유니트는 습식처리부를 통해 먼저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악취를 제거하고, 엘리미네이터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1차로 제거하고, 제습부를 통해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2차로 제거함으로써, 이후에 살균필터부를 통한 오염물질과 악취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활성탄부에 수분의 흡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오염물질 및 악취가 보다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하여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above first removes pollutants and odors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the wet treatment unit, firstly remove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hrough the eliminator, and removes th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By remov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secondarily, contaminants and odors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later, as well as adsorption of moisture to the activated carbon unit is minimized so that pollutants and odors are more easily adsorbed. Thus, the effect of efficiently purifying polluted air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의 평면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살균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a)와 다른 실시예(b)에 의한 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의 평면을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의 측면을 나타낸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취 유니트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6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탈취 유니트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6의 "E-E"선 단면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ure 1 showing a plane of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and another embodiment (b)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showing a plan view of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showing a side of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6 showing a side of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6 showing a side of a deodoriz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악취발생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는 유니트(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또는 대규모 쓰레기처리 환경사업소, 제지, 펄프, 발효공장, 비료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 및 악취가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통과시키되, 습식 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각종 오염물질, 악취 및 악취물질 등을 포집, 걸러내거나 산화처리, 흡착처리하여 제거함에 따라 깨끗한 상태의 공기로 정화처리하도로 하는 탈취 유니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unit) that deodorizes odors generated from odor generating facilities. More specifically, in sewage treatment plants, manure treatment plants, or large-scale waste treatment environmental offices, paper, pulp, fermentation factories, fertilizer factories, etc. Pass through the polluted air containing dust, various contaminants and odors, and dry after wet treatment to collect, filter out, or oxidize dust, various contaminants, odors and odor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deodorization unit that purifies the air in a clean state by removing it through adsorption treatment.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악취가 포함된 공기 또는 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110)가 일측 하부 후방에 형성되고, 타측 상부 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배출구(12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는 흡입장치(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습식처리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상부에 구획되고,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전방 상부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습부(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하부에 구획되고, 상기 제습부(400)의 후방 하부와 후방 상부가 연통되는 살균필터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전방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1활성탄부(6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습부(400)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후방 상부와 후방 하부가 연통되는 제2활성탄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를 제시한다.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housing 100 in which an inlet 110 through which air or gas containing odor is sucked is formed at the lower rear of one side and an outlet 120 is formed at the upper front of the other side; and A suc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outlet 120 to suck in and discharge air inside the housing 100; and a wet processing unit 300 formed by being partition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housing A dehumidifying unit 400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100, part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upper front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one front side; and the housing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100, is part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communicates with the rear lower part and the rear upper part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the housing A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that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100),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front side and one front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nd a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 Suggests a deodoriz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습식처리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물탱크(312)를 구비하는 분사장치(3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장치(3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0);과 복수 개의 회전날개(33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33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330);와 상기 낙하부재(33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3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34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340)에 의해 이동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팬(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t processing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praying device 310 having a water tank 312; and the inner one side rear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32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device 310; and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332 ar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one side inside the housing 100. A falling member 330 installed to rotat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10 by colliding with the rotary blade 332;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330, the dropping member 330 A blowing fan 340 installed t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 to blow the sucked air forward; and a lifting fan 350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rotated by the air moved by the blowing fan 340 to raise the air. to b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제습부(400)의 통로에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터(800);와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제습부(400)의 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엘리미네이터(800)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미스터(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iminator 800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treatment unit 300 and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treatment unit 300 and the dehumidification unit 400, the eli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mister 9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nator 800.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증발기(4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420);와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기(420)로부터 증발기(41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4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로부터 응축기(42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압축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41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a doedo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the rear of the evaporator 410. A condenser 420 installed on; and an expansion valve 430 installed on a refrigerant pipe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moving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420 to the evaporator 410; and a compressor 440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moves from the evaporator 410 to the condenser 420.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살균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프리필터(5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필터(5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살균부(52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살균부(520)의 전방에 설치되는 미디움필터(5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미디움필터(530)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파필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filter 510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nd a pre-filter 510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 sterilization unit 520 installed in front of the ); and a medium filter 53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sterilization unit 520; and a HEPA filter 54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530.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살균부(52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칩(522);과 상기 엘이디칩(522)을 둘러싸도록 상기 엘이디칩(522)의 외측에 설치되는 광각렌즈(524); 및 상기 엘이디칩(522)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홀(5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5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chips 522 installed on the fron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nd a wide angle installed outside the LED chip 522 to surround the LED chip 522. lens 524;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26 penetrating at locations where the LED chip 522 is not installed.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활성탄부(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히팅코일(61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상기 히팅코일(610)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제1활성탄(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coil 61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ctivated carbon 620 filled in between.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활성탄부(7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채워지는 제2활성탄(7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활성탄(620)에 비해 입자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activated carbon 710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has fewer particles than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characterized by a larg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to 9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우징(100)은The housing 1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is

악취가 포함된 공기 또는 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110)가 일측 하부 후방에 형성되고, 타측 상부 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입장치(200)가 상기 배출구(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작동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악취발생시설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된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습식처리부(300), 제습부,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를 거쳐 정화된 다음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An inlet 110 through which air or gas containing odor is sucke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part of one side and an outlet 12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 As it is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other side, the contaminated air from the odor generating facility is sucked in through the inlet 110, and then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he dehumidifying unit,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the first After being purified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clean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즉, 본 고안은 내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습식처리부(300), 제습부,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가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상기 습식처리부(300), 제습부,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를 거쳐 정화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t processing unit 300, a dehumidifying unit, a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a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re installed inside, sequentially contaminated The air is purified through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he dehumidifying unit,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아울러, 본 고안의 하우징(10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습식처리부(300), 제습부(400),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가 내부에 각각 구획되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내부 일측에 습식처리부(300)가 구획되고, 내부 중앙 상부에 제습부(400)가 구획되며, 내부 중앙 하부에 살균필터부(500)가 구획되고, 내부 타측 하부에 제1활성탄부(600)가 구획되며, 내부 타측 상부에 제2활성탄부(700)가 구획되는 한편, 상기 습식처리부(300)는 흡입구(110) 및 제습부(400)와 연통되고, 상기 제습부(400)는 습식처리부(300) 및 살균필터부(500)와 연통되며, 상기 살균필터부(500)는 상기 제습부(400) 및 제1활성탄부(600)와 연통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600)는 상기 살균필터부(500) 및 제2활성탄부(700)와 연통되며, 상기 제2활성탄부(700)는 상기 제1활성탄부(600)와 배출구(120)에 연통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t processing unit 300, a dehumidifying unit 400, a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a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t is formed by partitioning each inside. Specifically, the wet processing unit 300 is partitioned on one side of the inside, the dehumidifying unit 400 is part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and the sterilizing filter part 500 is partition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enter,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600 is partitioned o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inner side,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part 700 is part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inner side, while the wet treatment part 30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dehumidifying part 400 The dehumidifying unit 400 communicates with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and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communicates with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communicates with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outlet 120 ) is connected to

또한, 본 고안의 하우징(100)은 습식처리부(300), 제습부(400),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를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도어(미도시)가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t processing unit 300, a dehumidifying unit 400, a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a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to be maintained It will be obvious that a maintenance door (not shown) is formed.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흡입장치(200)는The suction device 2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출구(120)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악취발생시설과 연결된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구(11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오염된 공기가 습식처리부(300), 제습부, 살균필터부(500),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를 통과하여 정화되도록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120 and sucks and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housing 100. As the air inside the housing 100 is sucked in, the intake port of the housing 100 connected to the odor generating facility The contaminated air is sucked through the 110, and the contaminated air passes through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he dehumidifying unit,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pass through to be purified.

이때, 본 고안의 흡입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용량의 블로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종래의 어떠한 블로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c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blower having a capacity to sufficiently suck air inside the housing 100, an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outlet 120 and It is installed to be in communication, and it is okay to use any conventional blow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습식처리부(300)는The wet processing unit 3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하부 후방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친수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It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when contaminated air flows into the lower rear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water is sprayed to spray water. The hydrophil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polluted by the are removed so that it can be purified.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일측 하부면에 상기 습식처리부(300)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정화처리시설 또는 정화장치와 연결되어 오염된 공기와 접촉됨에 따라 오염된 물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ousing 100 has a drain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ide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et processing unit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rain hole is connected to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or a purification device It is desirable to allow contaminated water to be purified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contaminated air.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습식처리부(300)는Specifically, the wet processing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물탱크(312)를 구비하는 분사장치(3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장치(3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0)과, 복수 개의 회전날개(33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33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330)와, 상기 낙하부재(33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3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34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340)에 의해 이동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팬(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aying device 31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water tank 312, and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housing 100, connected to the spraying device 310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320 and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332 ar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ar low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housing 100 in a lateral direction, and are suctioned through the inlet 110. Ai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member 330, which is rotated by colliding with the rotary blade 332, and the falling member 330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alling member 330, and is sucked in. A blowing fan 340 for blowing air forward a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re rotated by the air moved by the blowing fan 340 to raise the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n (350).

상기 분사장치(310)는 내부가 아닌 상기 하우징(100) 외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정화수가 저장된 물탱크(31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0)과 연결되어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 정화수를 분사하여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The injection device 310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one side outside the housing 100, not inside, has a water tank 312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has a plurality of jet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It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320 and when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purified water is sprayed to purify the contaminated air.

상기 낙하부재(33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332)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 즉,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충돌하여 오염물질이 하부로 낙하되도록 하고, 앞서 설명된 분사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정화수에 의해 오염물질의 낙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dropping member 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332 so that the polluted air tha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polluted air to fall downward, and the spray nozzle described above ( 32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in which contaminants fall more smoothly by the purified water sprayed.

이때, 상기 회전날개(332)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팬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흡입구(110)와 수직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충돌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otary blades 332 are not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fan of a general electric fan, but are formed to have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ction port 11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is more smooth. allow them to collide.

상기 송풍팬(340)은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의해 상기 낙하부재(330)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부재(330)의 회전축(미표시)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330)의 후방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정화수에 의해 1차로 제거된 오염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blower fan 34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falling member 330 so that i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falling member 330 by the introduced contaminated air. As it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rotates, the polluted air from which contaminants are primarily removed by the purified water moves from the rear lower portion of one side inside the housing 100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ne side of the housing 100.

상기 상승팬(350)은 상기 송풍팬(3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로 이동된 오염된 공기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습부(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서 상승되어 상기 제습부(400)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ward fan 350 is a dehumidifying unit in which contaminated air moved from the rear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by the blowing fan 340 is remov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400, it rises from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it can move smoothly to the dehumidifying unit 400.

이때, 상기 상승팬(350)은 별도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송풍팬(340) 및 흡입장치(200)에 의해 이동되는 오염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오염된 공기의 수분의 일부가 상기 상승팬(350)에 부딪혀 낙하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다향의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누전 및 기타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fan 350 be rotated by the contaminated air moved by the blowing fan 340 and the suction device 200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device,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This is to ensure that some of the moisture in the polluted air collides with the rising fan 350 to fall and be removed, and to prevent electrical short circuits and other accidents caused by multi-directional moisture.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습부(400)는The dehumidification unit 4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상부에 구획되고,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전방 상부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상승팬(35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 전방 하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승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상부로 이동되면상기 습식처리부(300)의 전방 상부 타측과 연통되는 전방 일측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된 후 제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artitioned and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treatment uni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upper other side and the front one side of the wet treatment unit 300, the above-described rising fan When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s raised by the 350 and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t moves to the front 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front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and then dehumidified.

즉, 본 고안의 제습부(400)는 습식처리부(300)에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오염된 공기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오염된 공기가 통과될 살균필터부(500)와 제1활성탄부(600) 및 제2활성탄부(700)가 수분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오염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정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dehumidify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in the wet processing unit 300, so that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air will pass later and the first The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realize the effect of minimiz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moisture and more smoothly purifying polluted air.

이때, 본 고안의 탈취 유니트는 상기 습식처리부(300)에서 상기 제습부(400)로 오염된 공기가 이동될 때, 제습부(400)에서 수분이 제거되기 전에 1차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엘리미네이터(800)가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상기 제습부(400)의 사이에 설치된다.At this time, in the deodoriz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air is moved from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o the dehumidifying unit 400, the eli A minator 800 is installed between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dehumidifying unit 400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탈취 유니트는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상기 제습부(400)가 연결되는 통로에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터(eliminator)(800)와,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제습부(400)가 연결되는 통로에 설치되도,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미스터(demister)(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odoriz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iminator 800 installed in a passage connecting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dehumidifying unit 400,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Even if it is installed in the passage to which the dehumidifying unit 400 is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mister 9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iminator.

상기 엘리미네이터(8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반 영구적인 제습, 제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데미스터(900)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량의 잔류 유분 분진을 걸러내어 제거되도록 한다.The eliminator 800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and performs semi-permanent dehumidification and dust removal functions, and the demister 900 filters out a small amount of residual oil dust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so that it is removed.

상기와 연관하여, 본 고안의 제습부(4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증발기(4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420)와,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기(420)로부터 증발기(41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미도시)에 설치되는 팽창밸브(4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로부터 응축기(42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압축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relation to the above, looking at the dehumidify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humidifying unit 400 includes an evaporator 410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e condenser 420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evaporator 410 and the refrigerant moving from the condenser 420 to the evaporator 410 are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 expansion valve 430 installed in a pipe (not shown) and a compressor 440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moves from the evaporator 410 to the condenser 4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즉, 본 고안의 제습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전방 타측이 앞서 설명된 습식처리부(300)의 전방 일측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습식처리부(300)로부터 이동된 즉,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증발기(410)와 응축기(420)를 통과하며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다.That is, the dehumidify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artitioned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the other front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one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described above, so that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he contaminated air moved from the evaporator 410 and the condenser 420 passes through and removes moisture.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습부(400)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홈(미도시)과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드레임홈과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분사장치(310)의 물탱크(312)와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홈에 포집된 물을 상기 물탱크(312)로 이동시키는 드레인펌프(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housing 100 is installed in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is installed in a central upper part of a drain groove (not shown)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41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rain groove, The water tank 312 of the injection device 31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includes a drain pump 450 for mov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groove to the water tank 312.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살균필터부(500)는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하부에 구획되고, 상기 제습부(400)의 후방 하부와 상부가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하부에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제습부(400)의 하부에 구획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습부(400)를 통과한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며 살균 및 정화된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활성탄부(6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It is partitioned and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rear lower part and upper part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re in communication,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t is partitioned and formed in the center, and is part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partitioned an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400 passes through, sterilizing and After being purified, it can be moved to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살균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프리필터(5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필터(5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살균부(52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살균부(520)의 전방에 설치되는 미디움필터(5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미디움필터(530)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파필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filter 510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nd a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e pre-filter 510 ), a sterilization unit 520 installed in front of the housing 100, a medium filter 53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sterilization unit 52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and includes a HEPA filter 540 install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530.

즉, 본 고안의 살균필터부(500)는 상기 제습부(4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습된 오염된 공기가 하부로 이동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활성탄부(600)로 이동되기 위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순차적으로 프리필터(510), 살균부(520), 미디움필터(530) 및 헤파필터(540)를 거치며 정화되도록 한다.That is, the sterilizing filter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the dehumidified contaminated air is moved to the lower part and introduced, and the introduced contaminated ai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1 It mov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o move to the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is sequentially purified through the pre-filter 510, the sterilization unit 520,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이때, 상기 살균부(520)는 베이스프레임(미표시)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칩(5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엘이디칩(52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미디움필터(530) 및 헤파필터(540)에 포집된 잔류 메시 분진 및 미스트 등이 산화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미디움필터(530) 및 헤파필터(540)의 성능이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을 통해 악취가 제거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unit 520 includes a base fram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LED chips 522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hrough this, residual mesh dust and mist collected in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are oxidized and remov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is maintained and the ultraviolet rays Through this, it realizes the effect of removing the odor.

부가하여, 상기 살균부(520)는 상기 엘이디칩(522)을 둘러싸도록 상기 엘이디칩(522)의 외측에 설치되는 광각렌즈(524)와, 상기 엘이디칩(522)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홀(5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통기홀(526)을 통해 통과된 오염된 공기가 미디움필터(530)와 헤파필터(540)를 통해 여과되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상기 미디움필터(530)와 헤파필터(540)에 포집되면 상기 엘이디칩(52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악취 제거 및 오염물질이 제거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part 520 penetrates the wide-angle lens 524 installed outside the LED chip 522 so as to surround the LED chip 522 and the position where the LED chip 522 is not installed.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26 formed therein.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526 is filtered through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to remove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When collected in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odors and contaminants are removed through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522.

덧붙여, 상기 광각렌즈(52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각렌즈로 구성될 수 있고, 볼록렌즈, 오목렌즈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광각렌즈 또는 오목렌즈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렌즈에 비해 자외선을 넓은 각도로 조사되어 상기 미디움필터(530)와 헤파필터(540)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축적된 표면을 살균할 수 있으며,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광각렌즈에 보다 작은 각도로 자외선이 조사되지만 자외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 바이러스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e-angle lens 524 may be composed of a generally used wide-angle lens, and may also be composed of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Compared to general lenses,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at a wider angle to sterilize the surface of the medium filter 530 and the HEPA filter 540 on which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are accumulated. Although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at a smaller angle, the ultraviolet rays can be concentrated, so that the virus can be easily removed.

이때, 상기 광각렌즈(524)가 오목렌즈로 구성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엘이디칩(522) 모두의 외측면을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보다 넓은 범위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ide-angle lens 524 is composed of a concave lens,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s of all of the LED chips 522 arranged in a row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 a wider range. can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활성탄부(600)는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살균필터부(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전방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살균필터부(500)에서 정화 및 탈취된 오염된 공기가 활성탄에 흡착되어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and the other front side and one front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re in communication, and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minated air purified and deodorized in is adsorbed on activated carbon to be purified.

즉, 본 고안의 제1활성탄부(600)는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오염된 공기가 전방으로 유입된 후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활성탄에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polluted air mov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is introduced to the front and then moved to the rear,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are adsorbed to the activated carbon, By allowing it to be removed, it allows the polluted air to be purified.

아울러, 본 고안의 제1활성탄부(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히팅코일(61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상기 히팅코일(610)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제1활성탄(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히팅코일(610)은 기설정된 시간 또는 일정마다 기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작동되어 상기 제1활성탄(620)을 가열하여 상기 제1활성탄(620)에 포집된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heating coil 61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housing 100 and the heating coil 61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housing 100. The heating coil 610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at each schedule to heat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to heat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Pollutants and odorous substances collected in 620 are oxidized and removed.

물론, 상기 히팅코일(610)은 상기 제1활성탄(620)을 불꽃을 이용하여 직접태우는 것이 아닌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므로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완전하게 산화할 수는 없지만 상기 제1활성탄(620)의 온도상승을 통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어느정도 산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활성탄(620)의 사용기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활성탄부(700)의 사용기간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Of course, since the heating coil 610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rather than directly burning it using a flame, it cannot completely oxidize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but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By allowing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to be oxidized to some extent through a temperature rise, the service lif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and the service life of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can be increased. effect can be realized.

이때, 상기 히팅코일(6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벽면을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벽면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내부만을 가열하도록 설치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제1활성탄(620)은 상기 제1활성탄부(600)에 채워질 때 상기 히팅코일(610)이 파손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heating coil 610 is installed along the wall at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or embedded in the wall, and is installed to heat only the insid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is formed to a size that does not damage the heating coil 610 when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600 is filled.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활성탄부(700)는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습부(400)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후방 상부와 후방 하부가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1활성탄(620)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가 후방으로 유입된 후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마지막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artitioned an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6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ctivated carb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600 and the contaminated air purified by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is introduced to the rear and then moved to the front to be finally purified.

이러한, 본 고안의 제2활성탄부(700)는 내부 즉,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채워지는 제2활성탄(710)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2활성탄(710)에 제1활성탄부(600)를 통과하며 미처 정화되지 못한 오염된 공기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정화되도록 한다.As such,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filled in the inside,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has a first It passes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purifies pollutants and odorous substances in polluted air that have not yet been purified.

부가하여, 본 고안의 제2활성탄부(700)는 앞서 설명된 습식처리부(300), 살균필터부(500) 및 제1활성탄부(600)에서 제1활성탄(620)에 의해 오염된 공기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대부분 정화되므로 사용기간이 자연스럽게 증대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히팅코일(610)이 작동됨에 따라 더욱 건조됨과 동시에 오염물질과 악취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정화되어야할 오염물질과 악취물질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아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air contaminated by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in the wet processing unit 300,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nd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described above. Since most of the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are purified, the period of use is naturally increased, and as the heating coil 610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operates, it is further dried and at the same time, contaminants and odorous substances are effectively removed. Since pollutants and odorous substances to be removed are hardly included in the inflowing polluted ai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rvice life can be obtained naturally.

이때, 상기 제2활성탄(710)은 상기 제1활성탄(620)에 비해 입자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1활성탄(6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자가 크므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화성능이 우수하여 최종적으로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and since the particles a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replacement is easy and purification performance is high. This is excellent, so that the quality of the air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can be improved.

반대로, 상기 제1활성탄(620)은 상기 제2활성탄(7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아 정화성능이 상기 제2활성탄(710)에 비해 좋지 않을 수 있으나, 이를 보완하기 위해 히팅코일(610)이 제1활성탄부(600)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코일(610)을 통해 교체 주기를 증대시켜 유지보수 수요를 줄여 불편함이 최소화된다.Conversely,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has relatively smaller particles than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so its purification performance may not be as good as that of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but to compensate for this, the heating coil 610 It is installed in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nd the replacement cycle is increased through the heating coil 610,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demand and minimizing inconvenience.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탈취 유니트는 콤팩트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습식을 이용한 정화 및 엘리미네이터(800), 데미스터(900) 또한 다수의 필터 및 자외선을 이용한 정화 뿐만 아니라 활성탄에 의한 흡착을 통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제습부(400)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공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deodoriz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wet purification inside the compact housing 100, eliminator 800, demister 900, purification using a number of filters and ultraviolet rays, as well as adsorption by activated carbon Pur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dehumidifier 400, and pollutants and odorous substances are more efficiently removed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so that cleaner air can be obtained.

상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do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

100 :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200 : 흡입장치
300 : 습식처리부 310 : 분사장치
312 : 물탱크 320 : 분사노즐
330 : 낙하부재 332 : 회전날개
340 : 송풍팬 350 : 상승팬
400 : 제습부 410 : 증발기
420 : 응축기 430 : 팽창밸브
440 : 압축기 450 : 드레인펌프
500 : 살균필터부 510 : 프리필터
520 : 살균부 522 : 엘이디칩
524 : 광각렌즈 526 : 통기홀
530 : 미디움필터 540 : 헤파필터
600 : 제1활성탄부 610 : 히팅코일
620 : 제1활성탄 700 : 제2활성탄부
710 : 제2활성탄 800 : 엘리미네이터
900 : 데미스터
100: housing 110: inlet
120: outlet 200: suction device
300: wet processing unit 310: injection device
312: water tank 320: spray nozzle
330: drop member 332: rotary blade
340: blowing fan 350: rising fan
400: dehumidifying unit 410: evaporator
420: condenser 430: expansion valve
440: compressor 450: drain pump
500: sterilization filter unit 510: pre-filter
520: sterilization unit 522: LED chip
524: wide-angle lens 526: ventilation hole
530: medium filter 540: HEPA filter
600: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10: heating coil
620: first activated carbon 700: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10: second activated carbon 800: eliminator
900: demister

Claims (10)

악취가 포함된 공기 또는 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110)가 일측 하부 후방에 형성되고, 타측 상부 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배출구(12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는 흡입장치(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습식처리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상부에 구획되고,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전방 상부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습부(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습식처리부(300)의 타측 하부에 구획되고, 상기 제습부(400)의 후방 하부와 후방 상부가 연통되는 살균필터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살균필터부(500)의 전방 타측과 전방 일측이 연통되는 제1활성탄부(6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획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습부(400)의 타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1활성탄부(600)의 후방 상부와 후방 하부가 연통되는 제2활성탄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 housing 100 in which an inlet 110 through which air or gas containing odor is sucke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part of one side and an outlet 12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A suc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outlet 120 to suck in and discharge air inside the housing 100; and
A wet processing unit 300 formed to be partition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A dehumidifying unit 400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upper front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one front side;
A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ar lower part and the rear upper part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formed by being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front side and one front side of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s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communicates with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Deodo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처리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물탱크(312)를 구비하는 분사장치(3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장치(3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20);과
복수 개의 회전날개(33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33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330);와
상기 낙하부재(33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3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34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340)에 의해 이동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팬(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1,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 injection device 31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water tank 312;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32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device 310;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332 ar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lateral direction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rotary blades 332 Rotating falling member 330; and
a blower fan 34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330 and installed t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330 so that sucked air is blown forward; and
I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rotated by the air moved by the blowing fan 340 to raise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odoriz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유니트는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제습부(400)의 통로에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터(800);와
상기 습식처리부(300)와 제습부(400)의 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엘리미네이터(800)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미스터(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2,
The deodorizing unit
An eliminator 800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treatment unit 300 and the dehumidification unit 400; and
The deodo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mister (900)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wet processing unit (300) and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iminator (8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증발기(4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420);와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기(420)로부터 증발기(41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4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410)로부터 응축기(420)로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에 설치되는 압축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3,
The dehumidifying unit 400
An evaporator 41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A condenser 42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behind the evaporator 410;
An expansion valve 430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moves from the condenser 420 to the evaporator 410; and
A compressor (440)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moves from the evaporator (410) to the condenser (4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프리필터(5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필터(5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살균부(52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살균부(520)의 전방에 설치되는 미디움필터(5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미디움필터(530)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파필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4,
The sterilization filter unit 500
A pre-filter 51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A sterilization unit 52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pre-filter 510;
a medium filter 53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 front of the sterilization unit 520; and
The deodoriz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PA filter 540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5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52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칩(5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5,
The sterilization unit 520
A deodoriz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ED chips 522 installed on the front side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520)는
상기 엘이디칩(522)을 둘러싸도록 상기 엘이디칩(522)의 외측에 설치되는 광각렌즈(524);와
상기 엘이디칩(522)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홀(5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6,
The sterilization unit 520
A wide-angle lens 524 installed outside the LED chip 522 to surround the LED chip 522;
The deodo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26 through which the LED chip 522 is not instal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성탄부(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히팅코일(61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상기 히팅코일(610)의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제1활성탄(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activated carbon unit 600
A heating coil 61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deodo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ctivated carbon 620 filled between the heating coils 610 i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활성탄부(7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채워지는 제2활성탄(7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activated carbon unit 700
The deodo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활성탄(710)은
상기 제1활성탄(620)에 비해 입자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유니트.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activated carbon 710 is
The deodoriz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s are larger than the first activated carbon (620).
KR2020210003092U 2021-10-14 2021-10-14 Deodorization unit KR2004979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92U KR200497987Y1 (en) 2021-10-14 2021-10-14 Deodoriza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92U KR200497987Y1 (en) 2021-10-14 2021-10-14 Deodorizat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89U true KR20230000789U (en) 2023-04-21
KR200497987Y1 KR200497987Y1 (en) 2024-05-08

Family

ID=8609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92U KR200497987Y1 (en) 2021-10-14 2021-10-14 Deodoriza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87Y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50A (en)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A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KR20040086039A (en) * 2003-03-26 2004-10-08 (주)대성공영환경 1'st MIST ELIMINATOR 2'nd DRY-TYPE PURIFICATION FACILITY OF DISCHARGED GAS
KR101023398B1 (en) * 2010-07-23 2011-03-21 중앙종합기계(주) Apparatus for eleminating of offensive odor
KR20120047174A (en) * 2010-11-03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ir cleaner with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1404722B1 (en) 2012-08-23 2014-06-09 이노엔비텍(주) air pur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36635B1 (en) 2014-12-12 2015-07-14 부산환경공단 Deodorizing apparatus for bad smell discharging facility
KR101569016B1 (en) * 2014-08-19 2015-11-16 김시중 lighting equipment
KR20180129215A (en) * 2017-05-25 2018-12-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treatment module
KR20210038161A (en) * 2019-09-30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deodoriz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2263115B1 (en) * 2020-11-27 2021-06-1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Deodorization apparatus with adsorption and oxid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50A (en)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A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KR20040086039A (en) * 2003-03-26 2004-10-08 (주)대성공영환경 1'st MIST ELIMINATOR 2'nd DRY-TYPE PURIFICATION FACILITY OF DISCHARGED GAS
KR101023398B1 (en) * 2010-07-23 2011-03-21 중앙종합기계(주) Apparatus for eleminating of offensive odor
KR20120047174A (en) * 2010-11-03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ir cleaner with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1880051B1 (en) * 2010-11-03 2018-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ir cleaner with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1404722B1 (en) 2012-08-23 2014-06-09 이노엔비텍(주) air pur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69016B1 (en) * 2014-08-19 2015-11-16 김시중 lighting equipment
KR101536635B1 (en) 2014-12-12 2015-07-14 부산환경공단 Deodorizing apparatus for bad smell discharging facility
KR20180129215A (en) * 2017-05-25 2018-12-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treatment module
KR20210038161A (en) * 2019-09-30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deodoriz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2263115B1 (en) * 2020-11-27 2021-06-1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Deodorization apparatus with adsorption and oxid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87Y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356B1 (en) Air purifier with complex filter
KR101653544B1 (en) Rotating Drum Deodorant System
KR101787402B1 (en) Industrial deodorizer
KR102145364B1 (en) an air purifier
KR101000306B1 (en) Deodorizing device using ultraviolet ray and Photocatalyst
KR20190020442A (en) Air purifier unit with ultraviolet photo catalysis and air purifie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07830Y1 (en) Hybrid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dustry
KR102269669B1 (en)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nd odor, and operating method for that device
KR20120119475A (en) Multiple air cleaning devices
KR100604643B1 (en) Complex air purifier
KR20070046281A (en) Hybrid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dustry
KR100807152B1 (en) Device for purifying polluted air
KR20100118643A (en) Gas furifying system
KR101463216B1 (en) Apparatus for omitting bad smell having improved efficiency
KR20060126021A (en) The offensive odor removal system which uses the maturing dead tree bark
CN1486778A (en) Photocatalytic air purifier
KR100570100B1 (en) Complex air purifier
KR101655767B1 (en) UV Deodorization System with Washung Part and Jacket Part
KR102562516B1 (en) Smart elctric saving type composite deodorization apparatus capable of variable driving according to odo concentration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2005205094A (en) Air purification system
KR20160063138A (en) Photocatalytic Air Purifier
KR200497987Y1 (en) Deodorization unit
KR100799106B1 (en) Air Purification Combind with Sub Sterilization Device
KR100570099B1 (en) Photocatalytic air purifier comprising photocatalytic washer
KR20220096596A (en) 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