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16U -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 Google Patents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16U
KR20230000716U KR2020210002995U KR20210002995U KR20230000716U KR 20230000716 U KR20230000716 U KR 20230000716U KR 2020210002995 U KR2020210002995 U KR 2020210002995U KR 20210002995 U KR20210002995 U KR 20210002995U KR 20230000716 U KR20230000716 U KR 202300007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hemical
chemical liquid
chemical solution
liq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필
박진향
Original Assignee
마린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린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린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2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716U/ko
Publication of KR20230000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10)와, 상기 기체(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60)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50)과, 상기 원격조정기(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50)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77)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70);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분사펌프(70)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75)에 제1포트(82)가 결합되고 약액분사대(76)측에 제2포트(83)가 결합되며, 상기 제1포트(82)와 제2포트(83) 사이에 제3포트(84)가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구비된 개폐제어변(85)의 동작에 의해 제2포트(83)가 닫히거나 개방되는 경우 제3포트(84)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는 전동식 3-way밸브(80)가 설치되고, 상기 원격조정기(60)에는 약액분사시 상기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포트와 제2포트가 소통되도록 하여 약액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제2포트를 닫고 제3포트를 개방시켜 약액분사펌프에 충진된 에어가 제3포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개폐스위치(65)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A drone for spraying pesticides equipped with air extract device of compression pump}
본 고안은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액방제를 수행하는 방제용 드론에서 약액저장통의 약액을 소진한 후 다시 약액을 보충하여 방제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어 약액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약액분사펌프를 원격조정기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에어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드론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그 이용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특히, 농촌 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고령화에 따라 일손이 더욱 부족하게 되면서 농업분야, 임업분야 및 어업분야 등에서 기계화 및 무인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농업분야의 경우, 대규모의 논 및 밭 작물을 경작하는 과정에서 경작물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수시로 다양한 목적의 방제작업이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농업분야에서 농약방제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농약을 분무하기 보다는 농약방제용 드론을 이용하여 작업자 혼자서 많은 경작지를 신속하게 방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임업분야나 어업분야 등에서도 산림을 가꾸거나 가두리 양식장 등에 병해충을 방제하는 용도로 방제용드론이 이용되고 있으며, 본 고안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약액을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방제용 드론에 관련된 것이다.
약액 방제용 드론은 살포하는 약액의 종류나 제형, 방제대상 등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부가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약제가 물과 희석되어 저장된 약액저장통이 기체 중앙부에 마련되고, 기체의 비행을 조정하는 원격조정기의 제어를 통해 경작지 상공을 비행하면서 방제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약액 방제용 드론(100)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약액 방제용 드론(100)의 약액 공급 및 분사경로가 간략하게 발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약액 방제용 드론(100)은 기체(10)의 사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 날개부(20)와, 기체(10)의 하방 좌우측으로 구비되어 기체의 착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랜딩기어부(40)와, 기체(10)의 일측으로 물에 희석된 약제가 저장되는 약액저장통(50)과, 날개부(20)에 연결되거나 기체(10)에 고정되어 기체(10)의 좌우측으로 설치되어 약액저장통(50)에 저장된 약액을 하방으로 분사하도록 약액분사노즐(77)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약액분사대(7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약액저장통(50)에 채워진 약액을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공급하도록 약액저장통(50) 또는 기체(10)의 일측에 약액분사펌프(70)가 구비되며, 이러한 방제용 드론(100)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62)가 구비된 무선 원격조정기(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액 방제용 드론(100)은 약액저장통(50)에 약액을 채운 후 원격조정기(60)의 조작에 따라 약제살포가 필요한 경작지 상공을 비행하면서 도 2에 도시된 약액 공급도에 따라 약액이 공급되면서 방제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약액저장통(50)에 저장된 약액이 완전히 소진될때까지 방제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약액저장통(50)의 약액이 다 소진된 경우에는 다시 작업자가 위치한 장소로 드론을 착륙시킨 후에 약액저장통(50)에 약액을 보충한 후 다시 비행을 하면서 약액 방제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방제용 드론(100)은 기체의 크기나 양력 등에 따라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저장통(50)의 크기 및 용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넓은 경작지에서 방제작업을 하는 경우 수시로 약액을 보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약액저장통(50)에 채워진 약액을 다 소진한 상태에서 약액저장통(50)에 약액을 보충하여 다시 방제작업을 할 경우, 약액을 고압으로 펌핑하여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70)에 에어가 충진되어 약액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방제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자는 방제용 드론(100)의 약제 공급경로를 점검 및 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었다.
즉, 약액저장통(50)에 채워진 약액의 소모량을 원격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액저장통(50)에 충진된 약액이 완전 소모되어 방제가 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야 작업자는 약액저장통의 약액이 소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액저장통(50)에 약액이 다 소진된 후에도 약액분사펌프(70)가 일정시간 동작되면서 약액저장통(50)의 내부 공기가 약액분사펌프(70)로 유입되면서 약액분사펌프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기 때문에, 약액저장통(50)에 약액을 보충한 후 방제작업을 수행할 경우 약액분사펌프(7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가 빠져나갈 때까지는 약액방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들이 애로를 겪게 되었다.
- 한국 특허등록 제10-1844414호(등록일: 2018.03.27) - 한국 특허공개 제20-2017-4322호(공개일: 2017.12.21) - 한국 특허등록 제10-1662255호(등록일: 2016.09.27)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방제용 드론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약액 방제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약액 방제시간을 단축하여 일일(一日) 방제 작업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제용 드론을 이용한 방제작업이 숙련자 뿐만 아니라 비숙련자도 쉽게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제용 드론의 이용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와, 상기 기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과, 상기 원격조정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분사펌프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에 약액분사펌프의 에어 충진시 약액공급라인을 밀폐하고 외부로 에어배출라인을 유지시키는 전동식 3-way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조정기에는 상기 전동식 3-way밸브를 개폐 제어하기 위한 개폐조작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와, 상기 기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과, 상기 원격조정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분사펌프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에 제1 포트가 결합되고 제2포트가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라인에 연결되는 T형 밸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T형 밸브의 제3포트에는 일정 길이의 에어배출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에어배출호스에는 상기 원격조정기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되면서 에어배출호스의 통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조정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조작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충진시 원격조정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에어배출호스의 에어배출라인을 개방하여 약액분사펌프에 충진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경작지에서 약액 방제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약액저장통의 약액이 소진되어 다시 약액을 보충한 후 방제작업을 다시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액분사펌프에 에어가 차 약액방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원격조정기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약액분사펌프에 차 있는 에어를 배출시킨 후에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방제작업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신속한 약액분사펌프의 에어 배출을 통해 방제작업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방제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속하는 종래의 방제용 드록의 일 실시예,
도 2는 종래의 방제용 드론의 약액분사경로의 모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약액방제용 드론의 약액분사경로의 모식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약액방제용 드론의 약액분사경로의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약액저장통에 약액을 채운 후 방제작업을 하는 과정 중에 약액이 한 번 소진된 후 다시 약액저장통에 약액 보충을 하여 방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액저장통에 채워진 약액이 소진된 상태에 약액분사펌프가 가동됨으로 인해 약액분사펌프의 내부로 에어가 차게 되어 약액 분사작업에 지장을 발생되는 이를 간단하게 헤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와, 상기 기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과, 상기 원격조정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약액분사펌프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라인에는 약액분사펌프측에 제1포트가 결합되고 약액분사대측에 제2포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 사이에 제3포트가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구비된 개폐제어변의 동작에 의해 두 개의 포트가 상호 소통되는 경우 어느 하나가 포트가 닫혀지는 전동식 3-way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원격조정기에는 약액분사시 상기 3-way밸브를 제어하여 제1포트와 제2포트가 소통되도록 하여 약액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약액분사펌프의 에어 제거시에는 제2포트를 닫고 제3포트를 개방시켜 약액분사펌프에 충진된 에어가 제3포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개폐스위치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은 상기 약액분사펌프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에 제1포트가 결합되고 제2포트가 복수의 약액분사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제1포트와 제2포트 사이에 제3포트가 구비되는 3-way밸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3-way밸브의 제3포트에는 일정 길이의 에어배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배출호스에는 상기 원격조정기의 원격제어에 따라 개폐동작되면서 에어배출호스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원격조정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조작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방제용 드론에 구비되는 공지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부 위주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 및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경우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 가운데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기구나 장치 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의 약액분사경로의 모식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의 약액분사경로에 대한 모식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은 기체(10)에 상술한 방제용 드론의 기본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즉, 상기 기체(10)에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비행에 필요한 날개부와 이착륙을 위한 랜딩기어 및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각부 동작제어를 위한 전자제어부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체(10)에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저장통(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약액저장통(50)에 저장된 약약을 일정한 압력으로 인출하기 위한 약액분사펌프(70)와, 상기 약액분사펌프(70)에서 인출된 약액을 기체 하방으로 분무하기 위해 약액분사펌프(70)의 약액공급구(75)에 연결되어 복수개로 분기되는 복수의 약액분사대(76)와, 각각의 약액분사대(76)에 구비되어 공급된 약액을 외부로 분무하는 한 개 이상의 약액분사노즐(77)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액분사펌프(70)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이 공급되는 출구측인 약액공급구(75)에 개폐제어변(85)이 구비된 3-way밸브(80)가 설치되고, 상기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은 작업자가 기체(10)의 비행과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원격조정기(60)에 구비된 개폐스위치(66)에 의해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폐제어변(85)의 동작방향에 따라 약액공급과 약액분사펌프(70)에 차 있는 에어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상기 약액분사펌프(70)의 약액공급구(75)에 3-way밸브(80)의 제1포트(8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포트(82)의 대향측에 제2포트(83)가 위치되며, 상기 제2포트(83)에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관(7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포트(82)와 제2포트(83) 사이에 구비되는 제3포트(84)는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약액공급구(75)에 연결된 3-way밸브(80)는 기체의 비행으로 약액저장통의 약액을 분무하는 동안 제1포트(82)와 제2포트(83)가 상호 소통되면서 약액분사펌프(70)에서 공급된 약액이 곧바로 약액공급관(72)을 거쳐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공급되어 약액분사노즐(77)을 통해 약액이 정상적으로 분무되는 구조를 이루고, 이때 제3포트(84)는 개폐제어변(85)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다.
물론, 방제용 드론의 비행에 따른 약액 방제작업시 상기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은 작업자가 조작하고 있는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개폐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약액공급이 가능하도록 제3포트(84)가 밀폐된 상태가 된다.
한편, 약액저장통(50)에 채워진 약액이 방제작업 중에 다 소진되어 약액이 더 이상 분무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기체를 복귀시킨 후에 약액저장통(50)에 다시 약액을 보충한 후 약액 방제작업 전에 원격조정기(60)에 구비된 개폐스위치(65)의 조작을 통해 상기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을 조작하여 약액방제시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3포트(84)를 개방시키고, 제3포트(84)의 개방으로 제2포트는 자동으로 밀폐된 상태가 된다.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을 동작시켜 제3포트(84)를 개방시킨 후에 약액 분무스위치를 짧게 조작시키면, 약액분사펌프(70)의 동작에 따라 약액저장통(50)에 채워진 약액이 약액분사펌프(70)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약액분사펌프(70) 내부에 차 있던 에어가 제3포트(8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고, 약액분사펌프(70)의 내부에 차 있던 에어가 다 배기되면 정상적인 약액이 배출되게 된다.
에어 배출 후 약액이 분무되는 것을 확인 한 작업자는 다시 원격조정기(60)의 개폐스위치(65)를 조작하여 3-way밸브(80)의 제3포트(84)를 닫고 제2포트(83)를 개방시킴으로써 약액공급관(72)을 통해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여 약액분사노즐(77)을 통해 정상적인 약액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통상, 드론이 경작지에서 약액을 살포하는 동안 작업자는 드론이 비행하는 위치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약액저장통에 얼마만큼의 약액이 남아 있는지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들고, 다만 약액분사노즐에서 약액이 분무되는 상태를 보고 방제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방제작업 중 약액분사노즐에서 약액 방제가 안되는 경우, 작업자는 약액저장통에 채워진 약액이 다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약액의 소진상태를 파악한 작업자는 원격조정기의 약액분무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된다.
작업작 약액의 소진상태 파악 후 약액분무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전까지 소요되는 일정시간 동안 약액저장통의 에어가 에어분사펌프로 유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약액 보충 후 다음 방제작업을 위해 약액분무스위치를 켜더라도그 전에 약액분사펌프에 유입된 에어가 약액공급대 및 약액분사노즐의 내부에 잔류하는 약액으로 인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약액분사펌프로 약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약액분사펌프의 내부에 에어 충진되어 약액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원격조정기(60)에 구비된 개폐스위치(65)의 조작을 통해 기체측 3-way밸브의 개폐제어변을 원격 제어하여 약액분사펌프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간단하게 배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약액 보충 후 항상 겪어야 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액분사펌프의 약액공급구(75)에 구비된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에 대한 개폐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조정기(60)에 마련된 개폐스위치(65)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데,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65)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스위치(65)는 제1개폐스위치(65a)와 제2개폐스위치(65b)로 구성되어 제1개폐스위치(65a)의 조작시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이 회동하면서 제2포트(83)가 닫히고 제3포트(84)가 열려 약액분사펌프(70)에 충진된 에어가 제3포트(8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빼기 동작이 수행되고, 제2개폐스위치(65b)의 조작시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이 회동되면서 제3포트(84)가 닫히고 제2포트(83)가 열려 약액분사펌프(70)로 유입된 약액이 약액분사대(76)로 정상적으로 공급되면서 약액분사노즐(77)을 통해 약액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조정기(60)에 구비된 개폐스위치(65)의 구성을 두 개로 하여 약액분사펌프의 에어빼기 작업과 에어 빼기 후 약액공급 작업을 분리하여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하나의 개폐스위치로 한 번 터치(누름)시 에어빼기 작업이 수행되고, 두 번 터치(누름)시 약액공급이 이루어지는 터치방식이나 온/오프 스위치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개폐스위치를 하나로 구성하여 다른 방식 및 형태로 3-way밸브의 개폐제어변을 동작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의 약액분사경로에 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약액분사펌프(70)의 약액공급구(75)에 3-way밸브(9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3-way밸브(90)에는 별도의 개폐제어변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3구의 포트만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3-way밸브(90)의 제1포트(92)가 약액분사펌프(70) 측 약액공급구(75)에 연결되고, 제2포트(93)가 약액공급관(72)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트(92)와 제2포트(93) 사이에 구비된 제3포트(94)에는 일정 길이의 에어배출호스(95)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3포트(94)에 연결된 에어배출호스(95)에 에어배출호스의 내부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96)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원격조정기(60)에는 상기 에어배출호스(95)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96)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개폐스위치(65)가 구비되어 원격으로 기체측 에어배출호스(95)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96)의 개폐를 제어하여 약액분사펌프(50)에 차 있는 에어의 배기 및 에어의 배기 후 약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원격조정기(60)에 구비된 개폐스위치(65)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밸브(96)를 개방시켜 약액분사펌프의 내부에 차 있는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위한 제1개폐스위치(65a)와, 에어 배출이 완료된 후 솔레노이드밸브(96)를 동작시켜 에어배출호스(95)의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제2개폐스위치(65b)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폐스위치(65)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터치동작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슬리딩방식의 접촉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을 이용하여 약액 방제작업 중 약액분사펌프에 에어가 차는 경우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수행하는 바와 동일하게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개폐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시켜 에어배출호스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면서 에어빼기 작업 및 약액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200)은 약액의 방제작업시 작업자가 수시로 약액을 보충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약액분사펌프에 차는 에어빼기 작업을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개폐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헤결할 수 있게 되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고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기체 20 : 날개부
30 : 배터리 및 전자제어부 40 : 랜딩기어
50 : 약액저장통 60 : 원격조정기
62 : 모니터 64 : 조작부
65 : 개폐스위치 65a : 제1 개폐스위치
65b : 제2 개폐스위치 70 : 약액분사펌프
72 : 약액공급관 75 : 약액공급구
76 : 약액분사대 77 : 약액분사노즐
80 : 전동식 3-way밸브 82 : 제1포트
83 : 제2포트 84 : 제3포트
85 : 개폐제어변 90 : 3방 밸브
92 : 제1포트 93 : 제2포트
94 : 제3포트 95 : 에어배출호스
96 : 솔레노이드밸브
100,200 : 방제용 드론

Claims (2)

  1.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10)와, 상기 기체(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60)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50)과, 상기 원격조정기(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50)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77)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70);를 포함하는 방제용 드론에 있어서,
    상기 약액분사펌프(70)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75)에 제1포트(82)가 결합되고 약액분사대(76)측에 제2포트(83)가 결합되며, 상기 제1포트(82)와 제2포트(83) 사이에 제3포트(84)가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구비된 개폐제어변(85)의 동작에 의해 제2포트(83)가 닫히거나 개방되는 경우 제3포트(84)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는 전동식 3-way밸브(80)가 설치되고,
    상기 원격조정기(60)에는 약액분사시 상기 3-way밸브(80)의 개폐제어변(85)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포트와 제2포트가 소통되도록 하여 약액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제2포트를 닫고 제3포트를 개방시켜 약액분사펌프에 충진된 에어가 제3포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개폐스위치(65)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2. 복수개의 날개부와 배터리, 전자제어부 및 랜딩기어가 구비된 기체(10)와, 상기 기체(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기체의 비행 및 약액살포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모니터가 구비된 원격조정기(60)와, 일정량의 약액이 채워지도록 상기 기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약액저장통(50)과, 상기 원격조정기(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액저장통(50)에서 기체의 하부로 설치된 약액분사노즐(77)이 구비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분사펌프(70);를 포함하는 방제용 드론에 있어서,
    상기 약액분사펌프(70)에서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구(75)에 제1포트(92)가 결합되고, 제2포트(93)가 복수의 약액분사대(76)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관(72)에 연결되며, 제1포트(92)와 제2포트(93) 사이에 제3포트(94)가 구비되는 3-way밸브(9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3-way밸브(90)의 제3포트(94)에는 일정 길이의 에어배출호스(95)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배출호스(95)에는 상기 원격조정기(60)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되면서 에어배출호스(95)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96)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조정기(6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6)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배출호스(95)의 내부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스위치(65)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KR2020210002995U 2021-10-01 2021-10-01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KR202300007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95U KR20230000716U (ko) 2021-10-01 2021-10-01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95U KR20230000716U (ko) 2021-10-01 2021-10-01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16U true KR20230000716U (ko) 2023-04-10

Family

ID=8588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995U KR20230000716U (ko) 2021-10-01 2021-10-01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716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55B1 (ko) 2016-02-22 2016-10-06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
KR20170004322U (ko) 2016-06-13 2017-12-21 김성남 무인항공 방제용 약제탱크 및 이를 이용한 무인항공 방제장치
KR101844414B1 (ko) 2017-11-07 2018-04-02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55B1 (ko) 2016-02-22 2016-10-06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
KR20170004322U (ko) 2016-06-13 2017-12-21 김성남 무인항공 방제용 약제탱크 및 이를 이용한 무인항공 방제장치
KR101844414B1 (ko) 2017-11-07 2018-04-02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0124B1 (en) Method of spraying multiple fluids from an agricultural machine
CN106681400B (zh) 一种适用于无人机的变量喷施系统
KR20180081044A (ko) 식물 재배실의 방제 장치
KR101746816B1 (ko) 자동관수장치
CN208164860U (zh) 无人机农药喷洒后勤车
BR102018012588A2 (pt) sistema de pulverizador agrícola, e, método para operar um sistema de pulverizador agrícola
CN104738011A (zh) 静电喷雾装置及其方法
CN207721043U (zh) 一种多功能植保无人机
CN203934555U (zh) 一种超声波雾化施药装置
CN108328578B (zh) 气态有效氯水溶液的灌装装置
KR100928313B1 (ko) 화수분기
CN211322746U (zh) 一种自动控制的多组分农药兼水雾喷洒设备
KR20230000716U (ko) 약액분사펌프의 에어제거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KR20110055150A (ko) 비료살포기를 겸한 에어분사 농약살포기
CN106172346A (zh) 一种双腔农药喷雾器
KR200452821Y1 (ko) 안개분무 방제시스템
CN210258847U (zh) 无人机式弥雾机和无人机弥雾喷洒系统
CN207707134U (zh) 一种喷射悬浮飞行喷雾装置
CN107899773A (zh) 一种无人机预湿润浓度可调节喷头
CN207040638U (zh) 防治玉米病虫害的烟雾器
CN207075435U (zh) 一种灭蚊装置
KR20180064000A (ko) 약액분무 시스템
CN207615050U (zh) 一种无人机预湿润浓度可调节喷头
CN209600815U (zh) 一种飞机喷雾装置
CN104756971A (zh) 农药雾滴沉积结构定量模拟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