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73A -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73A
KR20230000573A KR1020210082830A KR20210082830A KR20230000573A KR 20230000573 A KR20230000573 A KR 20230000573A KR 1020210082830 A KR1020210082830 A KR 1020210082830A KR 20210082830 A KR20210082830 A KR 20210082830A KR 20230000573 A KR20230000573 A KR 2023000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use
resistance element
sens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엽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8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573A/ko
Priority to JP2023503482A priority patent/JP2023534981A/ja
Priority to CN202290000182.0U priority patent/CN219871725U/zh
Priority to US18/016,233 priority patent/US20230296679A1/en
Priority to EP22828585.4A priority patent/EP4174507A4/en
Priority to PCT/KR2022/005726 priority patent/WO2022270736A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6Signalling the blowing of a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저비용으로 시스템 전압 및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BATTERY STATES AND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저항 병렬 구조를 적용한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신재생 에너지, 전력을 저장한 배터리, 그리고 기존의 계통 전력을 연계시키는 시스템이다. 최근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과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이 확대되고 전력 계통의 효율화와 안정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력 공급 및 수요조절, 및 전력 품질 향상을 위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출력과 용량이 달라진다.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터리시스템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ESS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ESS 시스템은 배터리 시스템 전압, 배터리 퓨즈의 단선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로서 17단 배터리 랙이 사용되는 경우, 직렬로 연결된 238 개의 배터리 셀 전압들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을 모두 합산하여 시스템 전압으로 계산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 셀의 개수가 많아 개별 전압 산출 과정에서 소수점 절삭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가 각 배터리셀에 대한 전압 합산시 더축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퓨즈의 문제인지 다른 소자의 문제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에 따르면 시스템 전압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퓨즈의 단선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21-000724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거나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전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또한, 상기 고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이 0인 경우,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과 상기 고저항 소자의 저항 값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압 값이 0인 경우,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다고 판단하며, 상기 전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압 값을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전압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는, 배터리 및 PCS(전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상기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와 상기 PCS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택터; 상기 제2 퓨즈와 상기 PCS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택터;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저항 병렬 구조 적용을 통해 저비용으로 배터리 시스템의 전압 정보와 퓨즈의 단선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에서 시스템 전압 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에서 퓨즈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서 전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의 최소 단위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cell)이다. 배터리 셀의 직/병렬 조합이 배터리 모듈을 이루고, 다수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이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랙은 배터리 모듈의 직/병렬 조합으로 배터리 시스템의 최소 단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가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따라 배터리 랙은 배터리 팩(pack)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배터리 랙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과 1개의 BPU(500) 또는 보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랙은 RBMS(Rack BMS)(100)를 통해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하다. RBMS(100)는 자신이 관장하는 각 배터리 랙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배터리의 SOC(Status Of Charge)를 산출하고 충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BPU(Battery Protection Unit)(500)는 배터리 랙 단위에서 이상 전류와 사고 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BPU는 메인 컨택터(Main Contactor; MC), 퓨즈, 써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CB) 또는 (Disconnect Switch; D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PU는 RBMS의 제어에 따라 메인 컨택터를 on/off 제어하여 랙 단위로 배터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BPU는 또한, 단락 발생 시 퓨즈를 이용해 단락 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처럼, 배터리 시스템은 BPU, 스위치 기어와 같은 보호 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배터리 및 주변 회로,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터리 섹션 각각에는 배터리 섹션 컨트롤러(Battery Section Controller; BSC)(200)가 설치되어 전압, 전류, 온도, 차단기 등과 같은 제어 대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BSC는 복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뱅크 단위 배터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상단 제어장치로, 여러 개의 뱅크 레벨 구조의 배터리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섹션마다 설치된 전력 변환 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 PCS)(400)은 외부로터 공급되는 전력과 배터리 섹션에서 외부로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며, DC/AC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ESS 시스템이 PV(Photovoltaic, 태양광 발전 시스템)와 연동하는 경우 PV 인터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BPU의 출력은 DC 버스를 통해 PCS(400)로 연결될 수 있고, PCS (400)는 그리드(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EMS(Energy Management System)/PMS(Power Management System)(300)은 ESS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도 2는 기존의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ESS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기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장치가 사용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련의 배터리 양극에는 제1 퓨즈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 음극에는 제2 퓨즈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퓨즈의 다른 단은 제1 메인 컨택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퓨즈의 다른 단은 제2 메인 컨택터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메인 컨택터는 DC 링크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제2 메인 컨택터는 DC 링크부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기존의 구조에서는 메인 컨택터와 DC 링크부 사이에 전류 센서(current sensor)를 배치하고, 전류 센서(510)를 통해 측정한 전류 값을 통해 RBMS가 배터리 셀 전압의 합산 값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퓨즈가 단선되는 경우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다가 배터리 충방전 명령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인지한 후 퓨즈 혹은 다른 부품에 문제가 있음을 간적적으로만 알 수 있다. 따라서, 숙련된 유지보수 엔지니어가 아닐 경우 충방전이 되지 않는 이유를 쉽고 신속하게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며, 아래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제시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시스템의 전압 정보 및 퓨즈 단선 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550);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520);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RBMS이거나 또는 RBMS의 일부로서 RBMS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520)는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서는 또한,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퓨즈와 제1 메인 컨택터의 접점, 그리고 제2 퓨즈와 제2 메인 컨택터의 접점 사이에 고저항 소자(550)가 배터리(110)와 병렬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퓨즈(Fuse)는 BPU의 주요 부품 중 하나로서 단락 전류 발생시 배터리 보호를 위해 수동적으로 단선되는 보호 소자이며 사용시 주기적인 교체가 필수적인 일회성 부품이다. 또한, 메인 컨택터(main contactor)는 전기개폐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컨택터라고도 불린다. DC 링크부(DC Link)는 ESS 주회로로 Close되어야 배터리의 충방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저항 소자의 저항 값은 수 메가 옴(M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고저항 소자를 배터리와 병렬로 결선하여 수 mA의 미소 전류가 고저항 소자에 흐르도록 하고,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된 전류 센서(520)를 통해 미소 전류를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된 미소 전류 값은 제어부(100)에 의해 분석되고, 이로부터 시스템의 전압 정보 및 퓨즈 1 또는 퓨즈 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장치에서 사용되던 전류 센서(510)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RBMS이거나 또는 RBMS의 일부로서 RBMS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는 고저항 값을 갖는 소자(550)를 사용하여 해당 소자로 미소 전류만 흐르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충방전이라는 시스템 고유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배터리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500)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와 PCS(전력 변환 시스템)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택터; 상기 제2 퓨즈와 상기 PCS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택터;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550);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520);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에서 시스템 전압 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전압을 모르는 상태에서 고저항 소자로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 시스템 전압값을 산출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사용된 고저항 소자의 저항 값은 20 메가옴(MΩ)이고, 고저항 소자를 흐르는 전류가 0.05mA로 측정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시스템 전압은 V=IR식을 이용해, 0.05m * 20M = 1000 (V)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고저항 소자를 배터리와 병렬로 결선하여 수 mA의 미소 전류가 고저항 소자에 흐르도록 하고,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된 전류 센서(520)를 통해 미소 전류를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된 미소 전류 값은 제어부(100)에 의해 분석되고, 이로부터 시스템의 전압 정보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에서 퓨즈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류 센서에 전류값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즉 0에 가까운 전류값이 측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전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값으로부터 퓨즈(퓨즈 1또는 퓨즈 2)가 단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제1 퓨즈와 제1 메인 컨택터의 접점, 그리고 제2 퓨즈와 제2 메인 컨택터의 접점 사이에 고저항 소자(550)가 배터리(110)와 병렬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고저항 소자의 저항 값은 수 메가옴(MΩ)일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550);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520);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실시예에서 센서는 상기 고저항 소자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고저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전압 센서(530)를 통해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있다.
퓨즈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전압 센서(530)를 통해 측정되는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값은 시스템 전압값, 즉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들의 전압값의 합산값과 동일 내지 유사한 값이 될 수 있다. 퓨즈가 단선되는 경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0에 가까운 값이 될 것이다.
즉, 제어부(100)는 전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이 배터리 시스템에서 기대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전압값(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전압 4.2V, 모듈 17단 랙의 경우 SOC100%를 기준으로, 모듈 1개당 58.8V의 전압 값을 가지므로, 배터리 랙이 출력하는 전압은 999.6V)인 경우 해당 전압값을 시스템 전압 정보로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또한 전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이 0에 가까운 값인 경우 퓨즈가 단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고저항 병렬 구조 적용을 통해 배터리 전압 확인 및 퓨즈의 단선 상태 확인 기능을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RBMS 110: 배터리
200: BSC 300: EMS/PMS
400: PCS 500: BPU(배터리 보호 장치)
520: 전류 센서 530: 전압 센서
550: 고저항 소자
600: 전력망(Grid)

Claims (11)

  1.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거나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전류 센서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인,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포함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이 0인 경우,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다고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과 상기 고저항 소자의 저항 값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전압을 산출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압 값이 0인 경우,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다고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압 값을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전압 값으로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9. 배터리 및 PCS(전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상기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퓨즈;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퓨즈;
    상기 제1 퓨즈와 상기 PCS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택터;
    상기 제2 퓨즈와 상기 PCS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택터;
    상기 제1 퓨즈 및 상기 제2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배치되는 고저항 소자;
    상기 고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시스템 전압 및 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거나 상기 고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퓨즈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저항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전류 센서인, 배터리 보호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고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인, 배터리 보호 장치.
KR1020210082830A 2021-06-25 2021-06-25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KR20230000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30A KR20230000573A (ko) 2021-06-25 2021-06-25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JP2023503482A JP2023534981A (ja) 2021-06-25 2022-04-21 電池状態検出装置及び電池保護装置
CN202290000182.0U CN219871725U (zh) 2021-06-25 2022-04-21 用于检测电池状态的装置及电池保护装置
US18/016,233 US20230296679A1 (en) 2021-06-25 2022-04-21 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and battery protection device
EP22828585.4A EP4174507A4 (en) 2021-06-25 2022-04-21 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AND BATTERY PROTECTION DEVICE
PCT/KR2022/005726 WO2022270736A1 (ko) 2021-06-25 2022-04-21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30A KR20230000573A (ko) 2021-06-25 2021-06-25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73A true KR20230000573A (ko) 2023-01-03

Family

ID=8454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830A KR20230000573A (ko) 2021-06-25 2021-06-25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6679A1 (ko)
EP (1) EP4174507A4 (ko)
JP (1) JP2023534981A (ko)
KR (1) KR20230000573A (ko)
CN (1) CN219871725U (ko)
WO (1) WO2022270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2521A (zh) * 2023-06-28 2024-03-15 荣耀终端有限公司 新旧电池识别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245A (ko)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의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192A (en) * 1992-09-10 1994-08-30 At&T Bell Laboratories Fuse or circuit breaker status indicator
CN201274274Y (zh) * 2008-09-25 2009-07-15 刘玉荣 车用保险丝监视器
JP5381890B2 (ja) * 2010-05-10 2014-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システムリレーの診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
FI125404B (fi) * 2011-04-21 2015-09-30 Abb Oy Järjestely sulakkeen valvomiseksi
JP2018021880A (ja) *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圧監視装置および組電池監視システム
JP6718350B2 (ja) * 2016-09-28 2020-07-08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圧検出装置
KR102051176B1 (ko) * 2016-10-05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분배를 이용한 퓨즈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324968B1 (ko) * 2018-10-15 2021-1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퓨즈 연결성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퓨즈 연결성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10082830A (ko)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245A (ko)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의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871725U (zh) 2023-10-20
EP4174507A4 (en) 2024-02-28
US20230296679A1 (en) 2023-09-21
JP2023534981A (ja) 2023-08-15
WO2022270736A1 (ko) 2022-12-29
EP4174507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5735B2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
US9112247B2 (en) Battery system
EP2339716B1 (en) Battery pack and line open detecting method thereof
KR101835584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7887659A (zh) 蓄电装置、蓄电系统、蓄电装置的状态判定方法
KR20150081731A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팩의 작동 방법
JP2014193111A (ja) 直列接続された複数の電池直流マイクログリッド充放電システム
JP2011182623A (ja) 電源装置
KR102553037B1 (ko) 배터리 전압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상태 사전 감지 시스템
JP5422810B2 (ja) 予備電源システム及び予備電源システム保護方法
CN219871725U (zh) 用于检测电池状态的装置及电池保护装置
JP4015126B2 (ja) 直流電力供給システム
CN211830332U (zh) 用于提升蓄电池组可用性的辅助电源装置
CN111999663A (zh) 电池连接线断线检测装置
KR20210098738A (ko) 배터리 랙의 개별 방전 시스템 및 방법
WO2012132769A1 (ja) 蓄電池の保護システム
KR102343790B1 (ko) 셀프 에너지 밸런싱을 고려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방법
CN114977377A (zh) 一种电池组大电流主动均衡电路及测量、均衡方法
KR20230084925A (ko)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 보호 장치
US20050007071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autonomous power supply system,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CN111697659A (zh) 一种电池管理电路
KR102658099B1 (ko) 전압 평탄 구간을 갖는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342548A (zh) 一种用于提升蓄电池组可用性的辅助电源装置
WO2023018133A1 (ko) 전력 분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40043646A (ko) 통신 이상 상황의 대응을 위한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