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334A -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334A
KR20230000334A KR1020210082638A KR20210082638A KR20230000334A KR 20230000334 A KR20230000334 A KR 20230000334A KR 1020210082638 A KR1020210082638 A KR 1020210082638A KR 20210082638 A KR20210082638 A KR 20210082638A KR 20230000334 A KR20230000334 A KR 2023000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verter
battery
voltag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호
김명호
신상철
임영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334A/ko
Priority to US17/828,448 priority patent/US20220416560A1/en
Priority to EP22176664.5A priority patent/EP4108511A1/en
Priority to CN202210730503.9A priority patent/CN115528766A/zh
Publication of KR202300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1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 H02P25/1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with arrangements for switching the windings, e.g. with mechanical switches or re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을 갖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충전 시스템은,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1 인버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단락/개방되는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2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일단을 갖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는 타단은 서로 연결됨-;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 및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개방/단락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SYSTEM OF CHARGING BATTERY FOR VEHICLE USING MOTOR DRIVING SYSTEM}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내 권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오픈 엔드 와인딩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연비(또는 전비)는 인버터-모터의 전력 변환 효율에 의해 결정되므로, 연비 향상을 위해서는 인버터의 전력 변환 효율과 모터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 출원의 출원인은, 차량의 구동 모터 내 권선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여 Y-결선을 형성한 후 모터를 구동하는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Closed End Winding) 모드와 모터 권의 양단에 각각 인버터를 연결하여 모터 권선의 양단이 개방된 상태로 모터를 구동하는 오픈 엔드 와인딩(Open End Winding) 모드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외부의 충전 설비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차량 내 배터리 충전에 적합한 상태로 변환하여 배터리로 제공하여 배터리 충전을 실시하고 있다.
종래에 급속 충전을 위한 충전 설비는 400V의 단일한 전압 규격을 출력하도록 제작되었으나, 차량 내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효율, 주행 가능 거리 향상을 위해 800V 혹은 그 이상의 전압을 가지도록 배터리가 설계되는 추세이다. 이에, 다양한 전압 크기를 갖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압 사양에 맞는 다양한 전압 대의 충전 설비가 구비되거나 하나의 충전 설비가 여러 전압 대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전 설비가 갖는 충전 전류 제한으로 인해 전압을 낮추어 출력하는 경우 충전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충전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당 기술 분야에서는, 복수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로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에서, 기존 인프라로 구축되어 있는 충전 설비에서 제공하는 충전 전압의 크기를 추가적 장치 및 추가적 비용 상승 없이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9-0085087호 특허출원 제10-2019-0107520호 특허출원 제10-2020-0038230호
이에 본 발명은, 외부의 충전 설비에서 제공하는 충전 전압의 크기를 별도의 전용 변환 장치 없이 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을 갖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1 인버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단락/개방되는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2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일단을 갖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는 타단은 서로 연결됨-;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 및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개방/단락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고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저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단락 상태가 된 스위치가 연결된 권선에 연결된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을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을 갖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1 인버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단락/개방되는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2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일단을 갖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는 타단은 서로 연결됨-;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 충전 전압의 고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저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상기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가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개방/단락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단락 상태가 된 스위치가 연결된 권선에 연결된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모터의 오픈 엔드 와인딩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활용하여 외부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충전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차량 배터리의 고전압화에 따라 추가적으로 고전압의 충전 설비를 위한 추가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게 하여 인프라 구축에 따른 사회적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충전 설비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이 배터리 전압 보다 더 높은 경우 전류 제한을 갖는 충전 설비 자체의 전압을 강압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에 구비된 모터 구동 시스템을 활용하여 전압의 크기를 강압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 설비에서 충전 전압 강압 시 발생하는 충전 전력 감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전압 강압에 의해 배터리 충전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고효율의 오픈 엔드 와인딩 방식의 모터 구동과 함께 다양한 외부 충전 전압에 대응한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복수의 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L1-L3)을 갖는 모터(100)로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이다.
우선, 모터 구동 시스템은,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S11-S16)를 포함하며 모터(100)의 권선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인버터(10)와,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S21-S26)를 포함하며 모터(100)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인버터(20)와, 모터(100)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서로 단락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S31-S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버터(10) 배터리(20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직류단과 모터(100)의 각 권선(L1-L3)와 연결되는 교류단을 가질 수 있다. 제1 인버터(10)가 배터리(200)의 양단자와 음단자가 연결되는 두 노드가 직류단이 될 수 있고 제1 인버터(10)가 모터(100)의 각 권선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 개의 노트가 교류단이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인버터(20)는 제1 인버터(10)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직류단과 모터(100)의 각 권선(L1-L3)와 연결되는 교류단을 가질 수 있다. 제2 인버터(20)가 제1 인버터(10)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두 노드가 직류단이 될 수 있고 제2 인버터(20)가 모터(100)의 각 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세 개의 노트가 교류단이 될 수 있다
제1 인버터(10)의 직류단과 제2 인버터(20)의 직류단은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호 단락/개방될 수 있다.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은 컨트롤러(40)에 의해 그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모터에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구동 모드에서,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는 배터리(200)에 공통의로 직류단이 연결되어, 배터리(200)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삼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00)로 제공하거나, 회생 제동 시 모터(100)의 회생 제동 토크 발생으로 인해 생성되는 회생 제동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직류 전력과 교류 전력 사이의 변환은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S11-S16) 및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S21-S26)의 펄스폭 변조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인버터(10)는 직류단에 형성된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레그(1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레그(11-13)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레그(11)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1, S12)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11, S12)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레그(12)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3, S14)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13, S14)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레그(13)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5, S16)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15, S16)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버터(20) 역시 제1 인버터(1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잇다. 제2 인버터(20)는 배터리(200)의 두 단자 사이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직류단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레그(2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레그(21-23)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에 대응되어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레그(21)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21, S22)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21, S22)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레그(22)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23, S24)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23, S24)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레그(23)는 직류단을 형성하는 두 노드 사이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25, S26)를 포함하며, 두 스위칭 소자(S25, S26)의 연결 노드는 모터(100)의 복수의 상 중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력이 입출력 되도록 모터(100) 내 한 상의 권선(L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버터(10)는 모터(100)의 권선(L1-L3)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인버터(20)는 모터(100)의 권선(L1-L3)의 타단에 연결된다. 즉, 모터(100)의 권선(L1-L3)의 양단은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에 각각 연결되는 오픈 엔드 와인딩 구조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1-S16, S21-S26)는 모터 구동을 위한 통상적인 인버터 내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실제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IGBT 또는 FET와 IGBT 또는 FET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모터(100)의 권선(L1-L3)의 타단(제2 인버터의 교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의 일단은 모터(100)의 권선(L1-L3)의 일단에 연결되고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의 타단은 서로 연결되어 전기적 단락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모터(100)의 권선(L1-L3)의 양단은 각각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에 연결되어 오픈 엔드 와인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단락되는 경우에는 모터(100)의 권선(L1-L3)의 타단이 상호 전기적 단락이 되어 모터(100)의 권선(L1-L3)는 Y-결선을 형성하는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 구조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 구조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제1 인버터(10)의 스위칭 소자(S11-S16)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모터(100)가 구동될 수 있으며, 제2 인버터(20)의 스위칭 소자(S21-S26)은 모두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는 모터 구동을 위한 회로 연결 구조를 오픈 엔드 와인딩 구조와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 구조 사이에서 절환하는 역할을 하므로 절환 스위치부(30)로 통칭될 수 있다.
절환 스위치부(30) 내의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는 충전 시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을 강압하기 위해 고속의 스위칭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1 스위칭 소자나 제2 스위칭 소자와 유사하게 MOSFET 또는 IGB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모터 구동 모드에서 모터(100)에 요구되는 요구 출력을 기반으로 모터(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1-S16, S21-S21)를 펄스폭 변조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는 모터(100)의 요구 출력을 기반으로 모터 구동에 사용되는 인버터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절환 스위치부(30)의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며 구동이 결정된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00)에 요구되는 출력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컨트롤러(40)는 절환 스위치부(30)의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를 모두 단락 상태로 설정하고 제2 인버터(20)를 작동시키지 않고 제1 인버터(10)의 스위칭 소자(S11-S16)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모터(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클로즈드 엔드 와인딩 모드).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 모드에서의 모터 구동은, 컨트롤러(40)가 제1 인버터(10)의 직류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과 인버터(10)의 교류단에서 모터(100)로 제공되는 상전류 및 모터(100)에 설치된 모터 회전자 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된 모터 회전각 등을 기반으로 제1 인버터(10)의 스위칭 소자(S11-S16)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인버터 내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모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은 당 기술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인버터의 펄스폭 변조 제어 기법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모터(100)에 요구되는 출력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컨트롤러(100)는 절환 스위치부(30)의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를 모두 개방 상태로 설정하고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를 모두 작동시켜 모터(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 즉, 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에서 모터(100)는 복수의 권선(L1-L3)의 일단이 서로 개방 상태가 되고 그 타단도 서로 개방 상태가 되며, 권선(L1-L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인버터(10, 20)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에서 모터의 구동은, 컨트롤러(100)가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의 직류 전압과 모터(100)의 각 상에 해당하는 복수의 권선으로 각각 제공되는 상전류 및 모터(100)에 설치된 모터 회전자 센서(미도시)에 검출된 모터각 등을 입력 받아 제1 인버터(10)의 제1 스위칭 소자(S11-S16) 및 제2 인버터(20)의 제2 스위칭 소자(S21-S26)를 함께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오픈 엔드 와인딩 모드에서의 권선의 양단에 연결된 두 개의 인버터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은 당 기술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컨트롤러(40)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의 타단 및 배터리(200)의 음단자 사이에 직류 충전 전압이 인가되게 하고,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여 배터리로 제공되도록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1-S16, S21-S26), 스위치(S31-S33) 및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충전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력은 절환 스위치부(30)의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상호 연결된 노드 및 배터리(200)의 음단자와 연결된 노드 사이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외부 충전기(300)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이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상호 연결된 노드 및 배터리(200)의 음단자와 연결된 노드 사이에 인가될 수 있다.
외부 충전기(300)와 모터 구동 시스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차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외부 충전기(300)가 연결되는 충전 인렛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충전 시 충전 인렛은 외부 충전기(300)의 충전 아울렛과 체결될 수 있다. 외부 충전기(300)의 충전 아울렛은 충전 전압을 형성하는 고전위 단자(양단자)와 저전위 단자(음단자)를 가지며, 이 단자들은 충전 인렛의 고전위 단자 및 저전위 단자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은 충전 인렛의 고전위 단자와 복수의 절환 스위치(S31-S33)가 상호 연결된 노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는 충전 인렛의 저전위 단자와 배터리(200)의 음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모터 구동 모드에서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을 항시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제1 인버터(10)의 직류단과 제2 인버터(20)의 직류단 사이의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을 항시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배터리 충전 모드에서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을 항시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내지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은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여러 스위칭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내지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은 모드 절환 또는 승압/강압 결정 시 개방/단락 상태가 결정되고 결정된 상태를 모드가 지속되는 동안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고속 스위칭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내지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은 릴레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은, 회로 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션 박스(40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션 박스(400)는 배터리(200)의 고전압 단자 및 저전압 단자와 인버터의 직류단의 두 단자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결선, 충전 모드에서 외부 충전기(300)가 연결된 경우 외부 충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커패시터(C)를 연결하기 위한 결선,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과 외부 충전기 사이의 결선 및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2)과 스위치(S31-S33) 및 인버터(10, 20)의 직류단 사이의 결선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는 충전 모드에서 외부 충전기(300)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이 차량 내 배터리(200)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트롤러(40)는 충전 모드에서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R2)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절환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 S32, S33)가 단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0)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이 차량 내 배터리(200)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 컨트롤러(40)는 제2 인버터(20)의 스위칭 소자(S21-S26)를 모두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인버터(10)의 로워 스위칭 소자(S12, S14, S16) 적절한 듀티로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충전기(300)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승압하여 배터리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모터(100)의 권선(L1-L3)와, 권선(L1-L3)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인버터(10)의 어퍼 스위칭 소자(S11, S13, S15)의 다이오드 및 제1 인버터(10)의 로워 스위칭 소자(S12, S14, S16)는 외부 충전기(300)에서 배터리(200)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는 부스트 컨버터의 토폴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스트 컨버터의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외부 충전기(300)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을 승압시켜 배터리(200)로 제공하여 배터리(20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버터(20)의 직류단의 전압은 외부 충전기(300)에서 제공되는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제2 인버터(20)의 어퍼 스위칭 소자(S21, S23, S25)의 역방향 다이오드에 의해 제2 인버터(20)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전 전압의 승압이 요구되는 경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의 상태는 단락/개방 상태 모두 가능하다.
여기에서, 어퍼 스위칭 소자(S11, S13, S15)는 인버터 내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 중 직류단의 고전위 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의미하며, 로워 스위칭 소자는 직류단의 저전위 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의미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절환용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S33)가 모두 단락 상태를 유지시킨 후 승압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컨트롤러(40)는, 절환용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S33)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단락 상태가 되게 한 후 단락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에 연결된 로워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승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승압 시, 모터의 각 상에 대응되는 절환용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S33)가 모두 단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1 인버터(10)의 로워 스위치(S12, S14, S16)를 모두 스위칭하여 승압하는 경우, 컨트롤러(40) 각 상에 대응되는 승압 컨버터를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코일(인덕터)과 다이오드 및 스위치로 구성되어 스위치의 펄스폭 변조 제어를 통해 전압의 크기를 상승시키는 승압 컨버터 및 복수의 승압 컨버터를 이용한 인터리브드 제어 기법은 당 기술분야에 기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충전 모드에서 외부 충전기(300)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이 차량 내 배터리(200)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즉 충전 전압을 강압하여야 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트롤러(40)는 충전 모드에서 제1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1, R2)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을 개방상태로 제어하며, 제1 스위칭 소자(S11-S16) 및 제2 스위칭 소자(S21-S26)을 모두 개방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절환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 S32, S33) 중 적어도 일부를 적절한 듀티로 펄스폭 변조 제어할 수 있다.
절환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 S32, S33)와, 모터(100)의 권선(L1-L3)와, 제2 인버터(20)의 로워 스위칭 소자(S22, S24, S26)의 다이오드 및 제1 인버터(10)의 어퍼 스위칭 소자(S11, S13, S15)는 외부 충전기(300)에서 배터리(200)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압을 강압시킬 수 있는 벅 컨버터의 토폴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절환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S33)의 적어도 일부의 듀티를 적절하게 결정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함으로써 배터리(200)로 제공되는 전압의 크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환 스위치부(30)의 스위치(S31, S32, S33)를 모두 제어하여 세 개의 벅 컨버터를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운용하여 전압을 변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압 제어의 경우 모터(100)의 권선(L1-L3)의 타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배터리의 전압 보다 더 크므로 제2 인버터(20)의 어퍼 스위칭 소자의 다이오드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R3)는 반드시 개방 상태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모터의 오픈 엔드 와인딩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활용하여 외부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충전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차량 배터리의 고전압화에 따라 추가적으로 고전압의 충전 설비를 위한 추가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게 하여 인프라 구축에 따른 사회적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충전 설비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압이 배터리 전압 보다 더 높은 경우 전류 제한을 갖는 충전 설비 자체의 전압을 강압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에 구비된 모터 구동 시스템을 활용하여 전압의 크기를 강압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 설비에서 충전 전압 강압 시 발생하는 충전 전력 감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전압 강압에 의해 배터리 충전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고효율의 오픈 엔드 와인딩 방식의 모터 구동과 함께 다양한 외부 충전 전압에 대응한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의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제1 인버터 11-13: 레그
20: 제2 인버터 21-23: 레그
30: 절환 스위치부 40: 컨트롤러
100: 모터 200: 배터리
300: 외부 충전기 400: 정션 박스
S11-S16: 제1 스위칭 소자 S21-S26: 제2 스위칭 소자
S31-S33: 스위치 L1-L3: 모터 권선
R1, R2, R3: 스위칭 수단(릴레이)

Claims (15)

  1.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을 갖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1 인버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단락/개방되는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2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일단을 갖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는 타단은 서로 연결됨-;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 및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개방/단락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고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저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단락 상태가 된 스위치가 연결된 권선에 연결된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을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을 갖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1 인버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과 선택적으로 단락/개방되는 직류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교류단을 갖는 제2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일단을 갖는 복수의 절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는 타단은 서로 연결됨-;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 충전 전압의 고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저전위가 타단에 인가되는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제1 인버터의 직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및 상기 제2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가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하며,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의 개방/단락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배터리의 음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단락 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단락 상태가 된 스위치가 연결된 권선에 연결된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절환 스위치를 모두 단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인버터의 로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 중 상기 직류단의 저전위 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 상태가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3 충전전력 인가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개방시키며, 복수의 절환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여 상기 직류 충전 전압을 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0210082638A 2021-06-24 2021-06-24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230000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38A KR20230000334A (ko) 2021-06-24 2021-06-24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17/828,448 US20220416560A1 (en) 2021-06-24 2022-05-31 System for charging vehicle battery using motor driving system
EP22176664.5A EP4108511A1 (en) 2021-06-24 2022-06-01 System for charging vehicle battery using motor driving system
CN202210730503.9A CN115528766A (zh) 2021-06-24 2022-06-24 利用马达驱动系统的车辆电池充电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38A KR20230000334A (ko) 2021-06-24 2021-06-24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34A true KR20230000334A (ko) 2023-01-02

Family

ID=8187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38A KR20230000334A (ko) 2021-06-24 2021-06-24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16560A1 (ko)
EP (1) EP4108511A1 (ko)
KR (1) KR20230000334A (ko)
CN (1) CN11552876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087A (ko) 2016-11-30 2019-07-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90107520A (ko) 2018-03-12 2019-09-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표면이 개질된 탄소 분말을 이용한 모터용 탄소 브러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8230A (ko) 2020-04-03 2020-04-10 강경환 서빙트레이가 거치된 식당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5904B2 (en) * 2010-06-29 2013-04-09 Ac Propulsion, Inc. Open delta motor drive with integrated recharge
CN108539833B (zh) * 2018-05-04 2019-11-26 南通大学 一种电动汽车用开绕组永磁电驱重构型车载充电系统
KR20210018599A (ko) * 2019-08-06 2021-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12389232B (zh) * 2019-08-15 2022-05-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能量转换装置及车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087A (ko) 2016-11-30 2019-07-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90107520A (ko) 2018-03-12 2019-09-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표면이 개질된 탄소 분말을 이용한 모터용 탄소 브러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8230A (ko) 2020-04-03 2020-04-10 강경환 서빙트레이가 거치된 식당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28766A (zh) 2022-12-27
US20220416560A1 (en) 2022-12-29
EP4108511A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0711B2 (en) Power converter
US20040062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bi-directional converter for charging and/or supplying power
US11431184B2 (en) Power supply device
KR20230119441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WO2012063385A1 (en) Motor-driving apparatus capable of charging vehicle battery
JP2012005279A (ja) 電力変換装置
JPS5961402A (ja) バツテリ駆動車の充電装置
CN111231702B (zh) 基于双源电机的燃料电池汽车动力系统
JP3211071B2 (ja) 電力変換装置
RU175680U1 (ru) Тягов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апряжения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601772B1 (ko) 차량-측면 충전 디바이스
CN117715788A (zh) 用于车辆的电驱动系统、具有相应电驱动系统的车辆及运行相应电驱动系统的方法
KR20230000334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15447397A (zh) 电源系统及移动体
KR20230013551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376932B1 (ko) 전기자동차 통합형 전력변환 시스템
KR20230000335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12389177B (zh) 集成式电驱动系统与包括该系统的电动车辆
KR20220158505A (ko) 차량용 양방향 충전 시스템
Niakinezhad et al. A new modular asymmetrical half-bridge switched reluctance motor integrated drive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
JP2005094922A (ja) 電源供給システム
CN210617830U (zh) 集成式电驱动装置与包括该装置的电动车辆
CN210760332U (zh) 能量存储单元与包括该能量存储单元的电动车辆
JP7402305B1 (ja) チョッパ型双方向acdcコンバータ
CN117901677A (zh) 兼容加热、充电的动力总成及开关电路、车辆和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