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75A -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 Google Patents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75A
KR20230000275A KR1020210082511A KR20210082511A KR20230000275A KR 20230000275 A KR20230000275 A KR 20230000275A KR 1020210082511 A KR1020210082511 A KR 1020210082511A KR 20210082511 A KR20210082511 A KR 20210082511A KR 20230000275 A KR20230000275 A KR 2023000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ture
adhesive
medical cli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976B1 (ko
Inventor
홍성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8Material properties high friction, non-sl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51Material properties adhesive

Abstract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체내에서 용이하게 분해됨과 동시에 생체조직에 대한 파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와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밀착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선을 따라 길게 연장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양측으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겹치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SURGICAL CLIP HAVING LIGATURE FORCE}
본 발명은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조직에 대한 파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수술 시 환자의 과다한 출혈 및 감염과 같은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의사는 혈관 혹은 림프관과 같은 관형 조직을 결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사는 암과 같은 종양의 제거 혹은 신체 기관의 제거 시 연결되어 있는 혈관을 조직 분리 전에 결찰해야 한다. 이러한 결찰을 위해서 의사는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혈관 부위 주변을 봉합하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결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의 경우 충분한 수술 공간이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으며, 또한 봉합에 필요한 수술 시간이 길며, 봉합한 실이 풀릴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혈관 결찰 클립을 이용한 결찰이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혈관 결찰 클립은 금속 클립,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이 있다.
금속 클립의 경우 U자형의 소형 디자인을 가지며, 티타늄(Titanium), 탄탈륨(Tantalum) 및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steel) 재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금속 클립은 CT 및 MRI와 같은 영상기기에 간섭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결찰 후 결찰이 풀릴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성 클립은 혈관에 수평 방향으로는 잘 결착이 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잘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금속 클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아세탈(Polyacetal)과 같은 소재를 사용한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이 제안되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제4,834,096호 및 미국 특허 제5,062,846호의 결찰 클립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은 수술 후에도 체내에 잔존하여 염증 등을 통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락티드(Lactide), 글리콜리드(Glycolide), 파라디옥산온(p-dioxanone) 등의 소재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은 영상 간섭이 없어 금속 클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일정 기간 후 가수분해 되어 합병증 등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비분해성 고분자 클립은 혈관에 수직방향으로는 잘 안빠지나 수평 방향으로는 잘 빠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소재로 제조된 종래의 의료용 클립은 강성(Rigidity)이 크고 복원성(회유성)이 작아 결찰 시 쉽게 파손되거나 결찰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클립은 단순히 맞물린 경우 돌기들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그치기 때문에 제대로 결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클립은 봉합사에 결찰시킬 경우 봉합사가 매우 가늘기 때문에 종래의 의료용 클립에 의하여 결찰이 잘 되지 않거나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742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51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관 부위 및 봉합사 결찰시 결찰력을 높일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아세탈 클립이 수평방향으로 잘 빠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수평 방향 결착력을 높일 수 있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와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밀착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선을 따라 길게 연장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양측으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겹치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 면 중 다른 한 면에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형성된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상대 면과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의 면적이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착층이 삽입홈부들과 돌기부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에는 제1 접착 원료가 도포되고,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에는 제2 접착 원료가 도포되며, 상기 제1 접착 원료와 제2 접착 원료가 서로 혼합되는 경우에만 접착되어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봉합사에 접착제가 도포된 위치가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밀착 면에 배치되어 결찰 시 봉합사가 클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와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봉합사에는 봉합사가 관통한 다음 봉합사에 고정된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는 상기 걸림 부재를 수용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봉합사가 억지끼움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 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봉합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혈관 또는 봉합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후 도 2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일부 구성요소인 결림 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10)은,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클립은 공지된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는 절곡부(13)를 매개로 분지되어 있고, 절곡부(13)에는 절곡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개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의료 종사자는 수술 중,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혈관이나 봉합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 자유단(11b, 12b)이 서로 밀착되도록 절곡부(13)를 매개로 의료용 클립(10)을 절곡시켜 접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레그(11)의 자유단(11b)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레그(12)의 자유단(12b)은 후크가 걸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레그(11)의 자유단(11b)이 상기 제2 레그(12)의 자유단(12b)에 걸리게 됨으로써 의료용 클립(10)이 체결되어 혈관 또는 봉합사를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료용 클립(10)을 접을 때, 상기 제1 레그(11)의 자유단(11b)은 상기 제2 레그(12)의 자유단(12b)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면서 클립(10)을 절곡시켜 결찰하도록 하고, 그 상태 또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2 레그(12)의 자유단(12b) 양측면에는 클립(10) 체결 후, 양측으로 어긋나 클립(10)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톱 가이드(12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톱 가이드(12c)는 클립(10)을 접을 때 정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접히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접힌 후에도 양측으로 벌어져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의 자유단(11b, 12b)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레그(11)와 상기 제2 레그(12)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밀착 면 중 적어도 한 면(11a)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선을 따라 돌출된 제1 돌기부(21)와, 상기 제1 돌기부(21)의 양측으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겹치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 돌기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클립(10) 결찰 시, 상기 제1 레그(11)의 밀착 면(11a)은 상기 제2 레그(12)의 밀착 면(12a)은 서로 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레그(11)의 밀착 면(11a)에는 상기 제1 돌기부(21)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선을 따라 제1 레그(11)의 밀착 면(11a) 전체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레그(11)의 밀착 면(11a)에는 상기 제1 돌기부(21)의 양측으로 겹치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 돌기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클립(10) 결찰 시, 중앙선을 따라 형성된 제1 돌기부(21)는 밀착되는 반대 면(12a)에 대하여 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부(21)에 의해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위치한 혈관 또는 봉합사는 최소한 제1 돌기부(21)에 의해 결찰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료용 클립(1)의 레그(11, 12)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은 물리적으로 형성하거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증착 등의 화학적인 표면 처리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인체에 적용되는 클립이기 때문에 생분해성 고분자 클립과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이 적용되는 바, 물리 화학적으로 돌기와 홈 등을 형성하는 방법 또한 친환경적인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립의 표면 처리로서는, 비금속인 생분해성 고분자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비금속 피막 처리, 합성수지 용사처리 등의 방법으로 표면을 처리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돌기부(22)에 의해서도 결찰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어도 두 개의 결찰을 위한 돌기들에 의해 눌려 결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결찰 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바, 혈관이나 봉합사가 없는 상태에서 결찰될 상태이다. 의료용 클립(10) 결찰 후, 제1 레그(11)의 제1 돌기부(21)와 제2 돌기부(22)가 상기 제2 레그(12)의 밀착 면(12a)에 밀착될 수 있고, 제2 돌기부(22)는 제1 돌기부(21)를 중심으로 한쪽에서만 제2 레그(12)의 밀착 면(12a)에 밀착되어 결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클립은 전번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곡부를 매개로 분지된 제1 레그(111)와 제2 레그(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레그(111)의 밀착 면에 제1 돌기부(121)와 제2 돌기부(122)가 형성된 것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2 레그(112)의 밀착 면에 상기 제1 돌기부(121)와 제2 돌기부(122)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131)와 제2 삽입홈부(1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부(111)와 제2 돌기부(112)는 상기 제1 삽입홈부(131)와 제2 삽입홈부(132)에 각각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돌기들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돌기부들 삽입홈부들에 원활하게 삽입 및 억지끼움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절곡부를 매개로 제1 레그(111)와 제2 레그(112)를 접어 결찰시키면, 상기 제1 레그(111)의 제1 돌기부(121)는 제2 레그(112)의 제1 삽입홈부(131)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레그(111)의 제2 돌기부(122)는 제2 레그(112)의 제2 삽입홈부(13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결찰 시, 돌기부들이 삽입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결찰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결찰 시, 혈관이나 봉합사는 돌기부들에 일부가 눌려 돌기부들과 함께 삽입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결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도 5의 단면도에서는 혈관이나 봉합사가 없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클립은 전번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곡부를 매개로 분지된 제1 레그(211)와 제2 레그(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레그(211)의 밀착 면에 제1 돌기부(221)와 제2 돌기부(222)가 형성된 것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1 돌기부(221)와 제2 돌기부(222)가 형성된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상대 면과 사이에 접착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결찰 시, 상기 제1 레그(211)와 제2 레그(212) 사이에 결찰 대상물이 위치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결찰이 이루어지게 되면 접착층(230)의 접착력이 부가되어 결찰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클립은 절곡부를 매개로 분지된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로 이루지고, 상기 제1 레그(311)의 밀착 면에 제1 돌기부(321)와 제2 돌기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부(321)와 제2 돌기부(322)가 형성된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상대 면과 사이에 접착층(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홈부(331)와 제2 삽입홈부(332)의 면적이 상기 제1 돌기부(321)와 제2 돌기부(32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착층(330)이 삽입홈부들과 돌기부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들의 폭(W1, W2)이 삽입홉부들의 폭보다 작게 형성(W1<W2)되어 결찰 시 그 사이로 접착제와 결찰 대상물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결찰 시, 상기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 사이에 결찰 대상물이 위치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결찰이 이루어지게 되면 접착층(330)은 밀착 면, 돌기부들, 삽입홈부들, 그리고 결찰 대상물 사이에 형성되어 결찰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변형예로서, 돌기부들의 측면은 밀착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클립은 절곡부를 매개로 분지된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로 이루지고, 상기 제1 레그(311)의 밀착 면에 제1 돌기부(321)와 제2 돌기부(32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그(322)의 밀착 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부(331)와 제2 삽입홈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330a, 330b)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부(321)와 제2 돌기부(322)에는 제1 접착 원료(330a)가 도포되고, 상기 제1 삽입홈부(331)와 제2 삽입홈부(332)에는 제2 접착 원료(330b)가 도포되며, 상기 제1 접착 원료(330a)와 제2 접착 원료(330b)가 서로 혼합되는 경우에만 접착제로서 활성화되어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착 원료(330a)와 제2 접착 원료(330b)는 서로 혼합되지 않으면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의료용 클립 결찰 시, 서로 혼합되면 굳어지면서 접착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결찰 시, 상기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 사이에 결찰 대상물이 위치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결찰이 이루어지게 되면 돌기부들이 삽입홈부들에 삽입되면서 제1 접착 원료(330a)와 제2 접착 원료(330b)는 서로 혼합되고 그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1 접착 원료(330a)와 제2 접착 원료(330b)는 서로 접착제로서 역할을 하면서 굳어져 접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비슷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견고한 결찰을 구현하는 것은 봉합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봉합사를 의료용 클립의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찰하고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를 묶어 마무리하는 것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봉합사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봉합사에 접착제가 도포된 위치가 상기 제1 레그(311)와 제2 레그(312)의 밀착 면에 배치되어 결찰 시 봉합사가 의료용 클립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의료용 클립은 절곡부(13)를 매개로 분지된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로 이루지는 것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는 봉합사(1)를 고정하는데 의료용 클립이 적용된 실시예이다.
이때, 상기 봉합사(1)에는 봉합사(1)가 관통한 다음 봉합사(1)에 고정된 걸림 부재(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는 상기 걸림 부재(2)를 수용하는 걸림부(421, 4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2)는 상기 봉합사(1)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봉합사(1)가 억지끼움으로 관통할 수 있다. 또는 억지끼움과 다른 공정을 통하여 봉합사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부재는 의료용 클립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421, 431)는 상기 걸림 부재(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그(11)와 상기 제2 레그(12)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부(421, 431)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 홈부(421, 431)는 제1 레그(11) 또는 제2 레그(12)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레그(11)와 상기 제2 레그(12)에 걸림 홈부(421, 431)가 형성되는 동시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돌기와 홈부를 함께 형성하거나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의 결찰 시, 봉합사(1)를 결찰하는 것으로서, 수술과 봉합 후, 봉합사(1)의 끝단을 묶어 고정할 필요 없이 상기 걸림 부재(2)의 위치를 당기거나 풀어 조절한 다음 걸림 부재(2)가 클립의 걸림 홈부(421, 422)에 위치하도록 하고 의료용 클립을 결찰하면 봉합사(1)의 끝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을 이용하여 봉합사(1)의 끝단을 고정하면 봉합이 매우 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걸림 부재(2)의 다른 실시예인 제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2)는 상기 봉합사(1)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2a)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2a)의 직경은 상기 봉합사(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1)를 복수개의 관통구(2a)를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1)에 대한 걸림 부재(2)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관통구(2a)와 봉합사(1)의 마찰에 의해 봉합사(1)에 걸림 부재(2)가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업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은 결착력이 향상됨에 따라, 장기 내부의 조직을 결착하는 것뿐 아니라 장기를 봉합하는 실의 단부에 의료용 클립을 견고하게 결착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수술시 실의 단부를 매듭짓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수술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때, 제 6 및 제 7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조합에 의하여 의료용 클립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봉합사
2 : 걸림 부재 2a : 관통구
10 : 의료용 클립 11, 111, 211, 311 : 제1 레그
12, 112, 212, 312 : 제2 레그 21, 121, 221, 321 : 제1 돌기부
22, 122, 222, 322 : 제2 돌기부 131, 331 : 제1 삽입홈부
132, 332 : 제2 삽입홈부 230, 330 : 접착층
330a : 제1 접착 원료 330b : 제2 접착 원료
421, 431 : 걸림 홈부

Claims (11)

  1.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와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가 결찰 시 맞물리게 되는 밀착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선을 따라 길게 연장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양측으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겹치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 돌기부가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면 중 다른 한 면에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가 각각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형성된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상대 면과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의 면적이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착층이 삽입홈부들과 돌기부들 사이에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 후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에는 제1 접착 원료가 도포되고,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제2 삽입홈부에는 제2 접착 원료가 도포되며, 상기 제1 접착 원료와 제2 접착 원료가 서로 혼합되는 경우에만 접착되어 접착층을 형성하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봉합사에 접착제가 도포된 위치가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밀착 면에 배치되어 결찰 시 봉합사가 클립에 고정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8. 일측으로부터 분지된 제1 레그와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혈관 또는 봉합사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의 자유단이 서로 결합되면 혈관 부위 또는 봉합사를 압착하여 봉합하되,
    상기 봉합사에는 봉합사가 관통한 다음 봉합사에 고정된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는 상기 걸림 부재를 수용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봉합사가 억지끼움으로 관통하는,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 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부인,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봉합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KR1020210082511A 2021-06-24 2021-06-24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KR10259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11A KR102599976B1 (ko) 2021-06-24 2021-06-24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11A KR102599976B1 (ko) 2021-06-24 2021-06-24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75A true KR20230000275A (ko) 2023-01-02
KR102599976B1 KR102599976B1 (ko) 2023-11-07

Family

ID=8492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11A KR102599976B1 (ko) 2021-06-24 2021-06-24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29B1 (ko) 2013-02-20 2014-03-26 (주)유원메디텍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CN107714129A (zh) * 2017-09-27 2018-02-23 施爱德(厦门)医疗器材有限公司 防脱式结扎夹
KR20190123132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메피온 유착방지필름
CN209789941U (zh) * 2018-12-15 2019-12-17 华融科创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新型微血管结扎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29B1 (ko) 2013-02-20 2014-03-26 (주)유원메디텍 외과 수술용 결찰클립
KR20160115163A (ko)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외과용 클립
CN107714129A (zh) * 2017-09-27 2018-02-23 施爱德(厦门)医疗器材有限公司 防脱式结扎夹
KR20190123132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메피온 유착방지필름
CN209789941U (zh) * 2018-12-15 2019-12-17 华融科创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新型微血管结扎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976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809B1 (en) Suture and method of use
US7144412B2 (en)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in wound closure
JP6113572B2 (ja) 1つ又は2つ以上の突起部を有する縫合糸を用いて組織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US5171253A (en) Velcro-like closure system with absorbable suture materials for absorbable hemostatic clips and surgical strips
US7087060B2 (en) Methods for obtaining hemostasis of percutaneous wounds
US8992571B2 (en) Suture clip
JP5820384B2 (ja) ループ部材を用いて組織に加えた力を維持するための装置
JP4790285B2 (ja) 三角線維軟骨複合体の裂傷を修復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264675B1 (en) Single suture structure
US8100923B2 (en) Suture locking device and methods
JP2017533042A (ja) 組織閉鎖のためのクリップおよびアプリケータ
US20070083235A1 (en) Helical retainer, tool for using the helical retainer, and methods
JP5565881B2 (ja) クリップ装置及び送達と配備の方法
US20120283749A1 (en) Multiple loop device for passing suture tails through a surgical pledget
JP2011520511A (ja) 外科用複合材料逆刺縫合糸
JP2021112602A (ja) 安定化部材を有するクリップアプライヤ
EP1928522A2 (en) Vascular closure methods and apparatuses
US9943303B2 (en) Method of passing suture tails through a surgical pledget
SE537556C2 (sv) Medicinsk anordning för vävnadsligering
US11504110B2 (en) Locking suture construct
WO2010041101A1 (en) Haemostatic device for surgical procedures and emergencies
JP2023112211A (ja) 組織保持力を向上させたアグレッシブな機能クリップ
US20140018829A1 (en) Sliding overhead clip and associated methods
KR20230000275A (ko)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JPS5985654A (ja) 非金属、生体適合性止血クリ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