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84A - 막대형 봉돌 - Google Patents

막대형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84A
KR20230000184A KR1020210082267A KR20210082267A KR20230000184A KR 20230000184 A KR20230000184 A KR 20230000184A KR 1020210082267 A KR1020210082267 A KR 1020210082267A KR 20210082267 A KR20210082267 A KR 20210082267A KR 20230000184 A KR20230000184 A KR 20230000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inlet
rod
hollow tub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박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식 filed Critical 박성식
Priority to KR102021008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184A/ko
Publication of KR2023000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막대형 봉돌은, 미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에어도피구, 미끼 투입구 및 입수구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형성되고, 원줄이 통과하도록 상기 미끼 투입구의 하측에 한 쌍의 원줄 통과공이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를 닫는 무게추와, 상기 중공관의 상단부를 닫는 캡을 구비하는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서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원줄이 통과하는 경로를 한정하는 원줄유도관과, 상기 중공관 내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미끼 투입구를 닫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미끼 투입구를 개방하는 투입구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막대형 봉돌{ROD TYPE FISHING SINKER}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미끼를 담아 투척이 가능한 막대형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척 낚시는 원줄에 연결된 미끼가 끼워진 낚시 바늘과 봉돌을 물로 투척하여 물고기를 낚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투척 과정에서 바늘에 끼워진 미끼나 채비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강한 힘으로 투척이 이루어지는 원투의 경우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릴을 감아 원줄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바닥이나 해초에 봉돌이나 낚시 바늘이 걸리는 밑걸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밑걸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 10-0760785호는 막대형 낚시 봉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봉돌은 원줄을 회수화는 과정에서 막대형 봉돌이 기립될 수 있도록 봉돌의 선단부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는 구조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날개의 파손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시의 공기 저항을 늘려 원투에 장애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따른 봉돌은 투척 과정에서의 미끼 손실이라는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6078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봉돌 투척 과정에서의 미끼의 이탈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막대형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원줄 회수 과정에서 밑걸림으로 인한 채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막대형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막대형 봉돌은, 미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에어도피구, 미끼 투입구 및 입수구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형성되고, 원줄이 통과하도록 상기 미끼 투입구의 하측에 한 쌍의 원줄 통과공이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를 닫는 무게추와, 상기 중공관의 상단부를 닫는 캡을 구비하는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서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원줄이 통과하는 경로를 한정하는 원줄유도관과, 상기 중공관 내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미끼 투입구를 닫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미끼 투입구를 개방하는 투입구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는, 공기가 담기는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미끼 투입구를 개폐하는 에어포켓과, 상기 에어포켓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미끼가 수용된 공간을 통과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에어포켓의 반대측에서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포켓이 상승할 시 상기 미끼를 밀어 올리는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막대형 봉돌의 상단을 규정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의 법선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공관은, 측방향에서 바라볼 시, 상기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변이 상기 경사면과 둔각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상단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는 둘 이상의 무게추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상기 둘 이상의 무게추는, 수중에서 상기 막대형 봉돌이 가라앉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부력보다 큰 중량을 갖는 중량의 제 1 무게추; 및 수중에서 상기 막대형 봉돌이 부양되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부력보다 작은 중량을 갖는 제 2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대형 봉돌은, 첫째, 본체의 중공(미끼창) 내에 미끼를 담아서 투척하므로 투척과정에서의 미끼의 이탈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원줄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수면에 도달한 상태에서 끌려오기 때문에 채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투척과정에서 미끼가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미끼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야간 투척에 적합하다.
넷째, 낚시 바늘을 미끼창에 보관하거나 캡에 꽂아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원줄과 목줄의 엄킴과 꼬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원줄과 목줄의 꼬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기둥줄을 부드러운 합사줄로 대체할 수 있어 유연한 입질과 채비의 보관 및 운용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투입구 개폐부재가 하강위치에서 미끼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투입구 개폐부재가 상승위치에서 미끼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투입구 개폐부재가 하강위치에서 미끼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투입구 개폐부재가 상승위치에서 미끼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1)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공(S) 내에 미끼(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공(S)의 외측에 원줄(2)이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원줄유도관(20)과, 본체(10)의 중공(S) 내에서, 중공(S)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10)에 형성된 미끼 투입구(h2)를 개폐하는 투입구 개폐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체(10)는 미끼(4)가 수용되는 공간(이하, '미끼창'이라고 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공(S)을 갖는 중공관(11)과, 중공관(11)의 하단부를 닫는 무게추(13a)와, 중공관(11)의 상단부를 닫는 캡(12)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13a)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무게로 무게추들(13a, 13b)을 구성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무게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돌(1)이 수중에서 바닥까지 가라 앉아야 하는 투척낚시 또는 처넣기 낚시의 경우에는 투입구 개폐부재(30)의 부력보다 중량이 큰 제 1 무게추(13a)를 사용하고, 찌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봉돌(1)이 물에 뜰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제 2 무게추(13b)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경량의 무게추(13b)를 설치하는 경우, 투입구 개폐부재(30)에 의해 작용하는 부력이 무게추(13b)의 중량을 극복하고 봉돌(1)을 부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1)은 무게추(13a, 13b)의 무게에 따라 투척용 또는 찌낚시용으로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찌낚시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막대형 봉돌(1)은 찌의 역할을 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공관(11)에는 에어도피구(h1), 미끼 투입구(h2) 및 입수구(h3)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형성되고, 원줄(2)이 중공(S)을 가로질러 통과하도록 미끼 투입구(h2)의 하측에 한 쌍의 원줄 통과공(h4, h5)이 형성될 수 있다.
원줄유도관(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중공관(11)의 외측에서 중공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따라서, 원줄유도관(20) 내에서 원줄(2)은 중공(S)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원줄유도관(20)은 원줄(2)을 일정한 영역 내에 가두는 역할을 하여, 원줄(2)이 목줄과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원줄(2)의 눌림이나 진흙 등에 박히는 문제도 예방할 수 있다.
원줄유도관(20)은 중공관(11)과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로 중공관(11)의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관(21)과, 외측관(21)으로부터 절곡되어 중공관(11)에 형성된 한 쌍의 원줄 통과공(h4, h5) 중에서 도 1에서 외측관(21) 측에 위치하는 제 1 원줄 통과공(h4)을 통해 중공(S)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의 종단은, 제 1 원줄 통과공(h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2 원줄 통과공(h5)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삽입부(22)의 종단은 중공관(11)의 내주면과 맞닿거나,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원줄(2)은 원줄유도관(20)을 통과한 후 제 2 원줄 통과공(h5)을 통해 다시 중공관(11)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원줄(2)의 종단에 낚시 바늘(4)을 묶고 미끼(4)를 꿴다.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원줄(2)이 중공관(11)의 외측으로 빠져나온 부분에 목줄을 더 연결하여 낚시 바늘들을 더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끼(4)가 꿰어진 낚시 바늘(4)은 미끼 투입구(h2)가 개방된 상태(도 2 참조.)에서 미끼 투입구(h2)를 통해 미끼창(C)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목줄이 더 추가되는 경우에는 목줄에 연결된 낚시 바늘과 이에 꿰진 미끼도 미끼 투입구(h2)를 통해 미끼창(C)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미끼창(C)에 미끼(4)를 투입하고 나서 사용자가 미끼창(C)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투입구 개폐부재(3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미끼 투입구(h2)를 폐쇄한 후 봉돌(1)을 투척할 수 있다.
투입구 개폐부재(30)는 중공관 내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하강위치(도 1 참조)에서는 미끼 투입구(h2)를 닫고, 입수구(h3)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부터 상승하며 미끼 투입구(h2)를 개방한다(도 2 참조.).
투입구 개폐부재(30)는 공기가 담기는 공간을 규정하고 미끼 투입구(h2)를 개폐하는 에어포켓(31)과, 에어포켓(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미끼창(C)을 통과하는 연결로드(32)와, 에어포켓(31)의 반대측에서 연결로드(32)와 연결되어 에어포켓(31)이 상승할 시 미끼(4)를 밀어 올리는 리프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 개폐부재(30)가 하강위치에 있을 시, 바람직하게는, 미끼 투입구(h2)의 전부가 에어포켓(31)에 의해 닫혀지며, 이 경우, 에어포켓(31)은 미끼 투입구(h2)를 전부 가릴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투입구 개폐부재(30)가 하강위치(도 1 참조)에 있는 상태에서, 입수구(h3)를 통해 중공(S) 내로 물이 유입되면, 에어포켓(31)의 부력에 의한 상승작용에 의해 투입구 개폐부재(30) 전체가 상승하며 미끼 투입구(h2)가 개방된다(도 2 참조.). 이때, 리프터(33)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미끼(4)를 밀어 올리게 되어 미끼(4)가 미끼 투입구(h2)을 통해 수중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봉돌(1)은 미끼창(C)에 미끼(4)가 꿰인 낚시 바늘(4)을 투입하고 투입구 개폐부재(30)로 닫은 상태에서 봉돌(1)을 투척함으로써 미끼(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야간 투척시에는 미끼(4)의 이탈을 시야로 확인할 수가 없어 미끼(4)가 이탈된 상태로 입질을 기다리는 등의 낭패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투척과정에서 미끼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 낚시에 매우 적합하다.
그리고, 봉돌(1)이 입수된 이후에는 입수구(h3)를 통해 중공(S)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부력에 의해 에어포켓(31)이 상승하게 되어 미끼 투입구(h2)가 개방되고, 이와 동시에 리프터(33)가 미끼(4)를 밀어 올려 미끼(4)가 미끼 투입구(h2)를 통해 중공(S) 밖으로 나오게 되어 낚시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중공(S) 내에서 캡(12)과 에어포켓(31) 사이에 갇힌 공기는 에어포켓(31)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에어도피구(h1)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포켓(31)의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캡(12)은 낚시 바늘(4)을 걸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12)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원줄과 목줄에 연결된 낚시 바늘(4)들을 캡(12)에 꽂아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줄과 목줄의 엉킴, 줄꼬임이나 퍼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봉돌(1)은 캐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미(55)는 통상 찌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찌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캡(12)에 꼽을 수 있다. 캐미(55)는 주간 캐미 또는 야간 캐미일 수 있고, 전자식 또는 화학식(또는, 야광식) 중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미끼창(C)은 낚시 바늘(4)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끼창(C)에 낚시 바늘(4)을 넣은 후 투입구 개폐부재(30)로 투입구(h2)를 닫아 낚시 바늘(4)의 분실이나 낚시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캡(12)은 중공관(11)의 상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써, 막대형 봉돌(1)의 상단을 규정하는 경사면(12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2a)의 법선(V)은 중공관(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각(a)을 이룰 수 있다.
릴을 감아 원줄(2)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경사면(12a)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막대형 봉돌(1)이 기립하려는 성향이 강화되어 회수 과정의 초반에 봉돌(1)이 수직 상승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봉돌(1)이 수중의 바닥에 끌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중공관(11)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측방향에서 바라볼 시, 경사면(12a)과 예각(90-a)을 이루는 변(11a)이 경사면(12a)과 둔각(90+a)을 이루는 변(11b)에 비해 상단으로 더 돌출되어 립(11c)을 구성할 수 있다. 원줄(2)의 회수 과정에서 립(11c)에 가해지는 수류 작용에 의해 막대형 봉돌(1)의 기립 동작 또는 수직 상승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51, 53은 각각 찌멈춤 구슬이고, 도면부호 52는 매듭, 그리고 도면부호 54는 팔자도래이며, 이것들은 통상의 낚시 채비에 널리 이용되는 잘 알려진 것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 막대형 봉돌 10: 본체
11: 중공관 12: 캡
13a, 13b: 무게추 20: 원줄유도관
30: 투입구 개폐부재 31: 에어포켓
32: 연결로드 33: 리프터

Claims (5)

  1. 미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에어도피구, 미끼 투입구 및 입수구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형성되고, 원줄이 통과하도록 상기 미끼 투입구의 하측에 한 쌍의 원줄 통과공이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를 닫는 무게추와, 상기 중공관의 상단부를 닫는 캡을 구비하는 본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서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원줄이 통과하는 경로를 한정하는 원줄유도관; 및
    상기 중공관 내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미끼 투입구를 닫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미끼 투입구를 개방하는 투입구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막대형 봉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는,
    공기가 담기는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미끼 투입구를 개폐하는 에어포켓;
    상기 에어포켓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미끼가 수용된 공간을 통과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에어포켓의 반대측에서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포켓이 상승할 시 상기 미끼를 밀어 올리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막대형 봉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막대형 봉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막대형 봉돌의 상단을 규정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법선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중공관은,
    측방향에서 바라볼 시, 상기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변이 상기 경사면과 둔각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상단으로 더 돌출된 막대형 봉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는 둘 이상의 무게추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상기 둘 이상의 무게추는,
    수중에서 상기 막대형 봉돌이 가라앉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부력보다 큰 중량을 갖는 중량의 제 1 무게추; 및
    수중에서 상기 막대형 봉돌이 부양되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부력보다 작은 중량을 갖는 제 2 무게추를 포함하는 막대형 봉돌.
KR1020210082267A 2021-06-24 2021-06-24 막대형 봉돌 KR20230000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67A KR20230000184A (ko) 2021-06-24 2021-06-24 막대형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67A KR20230000184A (ko) 2021-06-24 2021-06-24 막대형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84A true KR20230000184A (ko) 2023-01-02

Family

ID=8492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67A KR20230000184A (ko) 2021-06-24 2021-06-24 막대형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1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85B1 (ko) 2006-02-14 2007-10-04 정지수 막대형 낚시 봉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85B1 (ko) 2006-02-14 2007-10-04 정지수 막대형 낚시 봉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517A (en) Fishing device
JP3813977B1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US5960579A (en) Fishing rig
US6691450B2 (en)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KR20230000184A (ko) 막대형 봉돌
US2734303A (en) Fishing bobber
US6094853A (en) Floating bait caster and bait protector with depth control
CN101836622B (zh) 伸缩式鱿钓钩设计方法
US2828570A (en) Fishing line and lure retrievers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KR100891865B1 (ko) 연안안강망(낭장망)에 사용되는 수산동물 여과·포획용 어망
US2768464A (en) Bait casting device
KR0153752B1 (ko) 낚시용 봉돌
US3382599A (en) Fishing lure retriever
KR200330470Y1 (ko) 저인망의 해파리 제거장치
KR20210000977U (ko) 두족류 낚시도구
JP2001190197A (ja) コマセかご及び仕掛け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KR102410558B1 (ko) 다양한 물고기 유인성을 갖는 낚시 추
JP2018134015A (ja) 釣り具及び餌入れ
US20240008466A1 (en) Variable displacement fishing device that responds to fluctuating drag force in fluids at strike
KR200493863Y1 (ko) 도래 조립체
TWI754589B (zh) 擬餌救援器
EP2098115B1 (en) A baiting device for use in ang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