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56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56A
KR20230000156A KR1020210082198A KR20210082198A KR20230000156A KR 20230000156 A KR20230000156 A KR 20230000156A KR 1020210082198 A KR1020210082198 A KR 1020210082198A KR 20210082198 A KR20210082198 A KR 20210082198A KR 20230000156 A KR20230000156 A KR 2023000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xternal force
carbon dioxide
trunk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식
정지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156A/ko
Publication of KR2023000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이산화 탄소 센서; 상기 차량의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외력 감지 모듈; 통신 장치; 및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한 납치 및 살해 등의 범죄가 증가하면서, 차량을 이용한 범죄를 예방 및/또는 대처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차량의 트렁크에 사람을 가두는 범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에 비상 탈출용 트렁크 레버를 설치하고 있다. 비상 탈출용 트렁크 레버는, 트렁크 안에 갇힌 사람이 직접 손으로 비상 탈출용 트렁크 레버를 조작하여, 트렁크를 열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손, 발 등이 모두 결박된 사람의 경우, 비상 탈출용 트렁크 레버를 직접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험한 범죄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발생된 경우, 사람의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의 트렁크에 사람이 손과 발이 결박된 채로 갇혀, 비상 탈출용 트렁크 레버를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없는 경우,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발생된 경우, 위험 상황을 경찰서 등의 기관 및/또는 해당 사람의 가족 및/또는 친구들에게 알리고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이산화 탄소 센서; 상기 차량의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외력 감지 모듈; 통신 장치; 및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 탑승객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객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을 식별하며,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며,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객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하며, 미리 정해진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미리 정해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상기 성인의 인원 및 상기 어린이의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한 상기 외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상기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외력을 추가로 식별하며,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은,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내부의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내부의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을 식별하며,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며,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하며, 미리 정해진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미리 정해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상기 성인의 인원 및 상기 어린이의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외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상기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외력을 추가로 식별하며,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은,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발생된 경우, 위험 상황을 경찰서 등의 기관 및/또는 해당 사람의 가족 및/또는 친구들에게 알리고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통한 납치 및/또는 살해 등의 범죄를 예방 및/또는 대처할 수 있으며, 차량을 통한 범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외력을 감지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외력 감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이다.
차량(100)은 이산화탄소 센서(110), 외력 감지 모듈(120), 통신 장치(130), 탑승객 감지 모듈(140), 카메라(150), 내비게이션 장치(160) 및/또는 제어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C02 센서라고도 함)(11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센서(110)는 차량(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내부는 차량(100)의 트렁크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차량(100)의 시동 온에 응답하여, 이산화탄소 센서(110)를 통해 차량(100)의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70)는 차량(100)의 주행 중 이산화탄소 센서(110)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외력 감지 모듈(120)은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력 감지 모듈(12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 감지 모듈(12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의 와어어에 대한 외력을 감지하도록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 감지 모듈(120)은 가해지는 외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외력을 감지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외력 감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력 감지 모듈(120)의 로드 셀(202)은, 차량(100)의 트렁크 내부의 와이어(204)가 걸쳐진(또는 결합된) 풀리(207)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04)는 헐겁게 풀리(207)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4)는 도 2와 같이, 두 개의 고정 풀리(205, 206)에 의해 형태가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20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도 2의 (a)와 같이 풀리(207)는 로드 셀(202)과 적어도 일부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반면 와이어(20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2의 (b)와 같이, 풀리(207)와 로드 셀(202)은 결합되어, 로드 셀(202)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04)에 외력이 가해지면, 풀리(207)에 외력이 전달되어 풀리(207)가 일부 위치 이동되면서 로드 셀(202)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셀(202)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의 와이어(204)에 대한 외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또는 통신 회로라고도 함)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서버(10) 및/또는 장치(15)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으며,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는 유선 통신 모듈(예: 전력선 통신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장치들이라고도 함) 간의 통신,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및/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회로(또는 트랜시버라고도 함) 및 통신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객 감지 모듈(140)은 차량(100)의 내부, 예를 차량(100)의 뒷좌석의 일부에 배치되어,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객들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객 감지 모듈(140)은 차량(100)의 탑승 인원,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탑승객 감지 모듈(140)은, 레이더 센서 및/또는 후석 승객 알림(ROA; rear occupant alert)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는 전자파를 방사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자파의 에코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차량(100)의 탑승객의 유무, 탑승객의 움직임, 탑승객의 호흡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차량(100)의 탑승 인원,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ROA 시스템은, 차량(100)의 탑승객을 식별할 수 있다. ROA 시스템은, 차량(100)의 탑승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ROA 시스템은,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차량(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영상(또는 동영상이라고도 함)을 획득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160)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100)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160)는 위성 신호를 통해 식별된 차량(100)의 위치 좌표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지도상에 매칭함으로써,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환경 정보 등을 식별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10)는 위성 항법 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여, GPS를 통해 GPS 위성에서 전파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 신호는 차량의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110)는 차량(100)의 주행 중인 도로의 미리 정해진 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구간은 도로의 표면에 요철 등이 형성되지 않은 규칙적인 노면 구간 및/또는 도로의 표면에 요철 등이 형성된 불규칙한 노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라고도 함)는, 연결된 차량(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차량(100)의 동력 계통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70)는 탑승객 감지 모듈(140), 카메라(150)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의 출력에 더 기초하여,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3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서버(10) 및/또는 장치(10)로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외력 감지 모듈(120)의 로드 셀(202)의 배치는 하나의 실시예로, 와이어(204)에 대한 외력이 가해질 때, 로드 셀(202)이 와이어(204)에 가해지는 외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배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력 감지 모듈(120)이 로드 셀(20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력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및/또는 제어 장치(17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차량(100)은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또는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외력을 기초로,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301).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온에 응답하여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이산화 탄소의 농도의 측정 및/또는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외력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탑승객 감지 모듈(140)을 통해, 차량(100)의 탑승 인원을 식별하고, 식별된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탑승객 감지 모듈(140)을 통해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미리 정해진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미리 정해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탑승 인원 중 어린이의 인원에 기초하여,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와 성인의 인원을 곱한 값과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와 어린이의 인원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는 0.4로 미리 정해질 있을 수 있으며,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는 0.73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차량(100)은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예상 이산화 탄소 농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면,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인원 1명 차이에 대한 최소 이산화 탄소의 농도 차이를 1.8로 미리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은,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및/또는 차량(100)은 인원 1명 차이에 대한 최소 이산화 탄소의 농도 차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값은 (0.4 내지 0.73 중 적어도 하나) * (1.8)의 결과 값으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차량(100)은, 획득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예: 0)보다 큰 것에 더 기초하여,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의 사람이 트렁크 내부의 와이어(204)를 신체의 일부로 일정 이상의 힘(외력)을 가하는 경우, 외력 감지 모듈(120)은 와이어(204)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3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장치(15) 및/또는 서버(10)로 차량(100)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303).
차량(100)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였을 때,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대상의 전화 번호와 같은 정보를 미리 지정해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였을 때, 미리 지정해둔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치(13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장치(15) 및/또는 서버(10)로 차량(100)의 트렁크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차량(100)은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한 외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카메라(150)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기초로 차량(100)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카메라(15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통해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차량(100)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카메라(15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불규칙적인 노면 이미지에 대응되는 경우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통해 획득된 신호가 도로의 미리 정해진 불규칙한 노면 구간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차량(100)이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이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더 기초하여,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이 불규칙한 노면, 예를 들어 방지턱 등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외력이 불규칙한 노면에 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차량(100)은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경우에도,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외력을 추가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추가로 식별한 외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추가로 식별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경우, 카메라(150)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기초로 차량(100)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및/또는 제어 장치(17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을 온시킬 수 있다(401).
차량(100)은 시동 온에 응답하여,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한 외력을 측정할 수 있다(403).
차량(100)은 측정된 외력이 기준 외력보다 큰지를 식별할 수 있다(405).
차량(100)은 측정된 외력이 기준 외력보다 큰 경우 407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3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407).
예를 들어, 차량(100)은 카메라(150)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기초로 차량(100)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식별한 경우 403 동작을 다시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9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탑승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409).
예를 들어, 차량(100)은 탑승객 감지 모듈(140)을 통해 차량(100)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또는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411).
예를 들어, 차량(100)은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와 성인의 인원을 곱한 값과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와 어린이의 인원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이산화탄소 센서(110)를 통해 차량(100)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413).
차량(100)은 측정된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산출된 예상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차이(X)를 산출할 수 있다(415).
차량(100)은 측정된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산출된 예상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차이(X)가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보다 큰지를 식별할 수 있다(417).
차량(100)은 측정된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산출된 예상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차이(X)가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보다 큰 경우 421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3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421).
차량(100)은 차량(100)의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423).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100)의 운전자가 범죄자에 의해 납치되어 차량(100)의 트렁크에 갇히는 경우, 차량(100)은 운전자의 위험 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트렁크에 갇힌 운전자가 트렁크의 와이어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차량(100)은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외력을 획득하여, 트렁크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외력 감지 모듈(120)을 통해 외력을 획득한 경우, 차량(100)은 카메라(150) 및/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60)를 통해 획득한 외력이 사람에 의한 것인지 불균일한 노면에 의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불균일한 노면에 의한 것인 경우, 트렁크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님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가, 실제 차량(100)의 좌석들에 탑승한 사람들을 통해 예측되는 이산화 탄소에 비해 높은 경우, 트렁크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전체 좌석에 1명의 사람이 탑승한 것을 식별하여 1명의 사람에 대한 이산화 탄소를 예측했다고 할 때, 이산화 탄소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가, 1명의 사람들에 대해 예측한 이산화 탄소보다 높은 경우, 트렁크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트렁크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을 식별한 경우, 위험 상황을 주변 지인 및/또는 경찰서 등의 기관에 알리도록, 미리 지정된 서버(10) 및/또는 장치(15)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정보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차량(100)을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이산화탄소 센서
120: 외력 감지 모듈 130: 통신 장치
140: 탑승객 감지 모듈 150: 카메라
160: 내비게이션 장치 10: 서버
15: 장치

Claims (16)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이산화 탄소 센서;
    상기 차량의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외력 감지 모듈;
    통신 장치; 및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 탑승객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객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을 식별하며,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며,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객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하며,
    미리 정해진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미리 정해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상기 성인의 인원 및 상기 어린이의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하는,
    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한 상기 외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상기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외력을 추가로 식별하며,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은,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하는,
    차량.
  9. 차량의 내부의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내부의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의 식별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을 식별하며,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에 대응하는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며,
    상기 이산화 탄소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이산화 탄소 농도 및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탑승 인원 중 성인의 인원 및 어린이의 인원을 식별하며,
    미리 정해진 성인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미리 정해진 어린이의 기준 이산화 탄소 농도, 상기 성인의 인원 및 상기 어린이의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외력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규칙적인 노면 또는 불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규칙적인 노면을 주행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상기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을 통해 외력을 추가로 식별하며,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보다 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추가로 식별된 외력이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 외력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의 내부에 상기 사람이 갇힌 상황이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감지 모듈은,
    상기 트렁크의 내부의 와이어에 대한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10082198A 2021-06-24 2021-06-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0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98A KR20230000156A (ko) 2021-06-24 2021-06-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98A KR20230000156A (ko) 2021-06-24 2021-06-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56A true KR20230000156A (ko) 2023-01-02

Family

ID=8492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198A KR20230000156A (ko) 2021-06-24 2021-06-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1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40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0183299B1 (ko) 자동차의 주변사항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667886B (zh) 用于车辆意外情况检测的驾驶员辅助装置和系统以及用于检测车辆意外情况的方法
JP6579903B2 (ja) 運転支援装置、車両、および車庫協調制御システム
JP3766909B2 (ja) 走行環境認識方法および装置
CN110103852B (zh) 用于自主车辆中的碰撞检测的系统和方法
CN106004754A (zh) 碰撞警告系统
JP2020111223A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WO2018109925A1 (ja) 車両ドア衝突防止装置および車両ドア衝突防止方法
CN107305130B (zh) 车辆安全系统
US20230121464A1 (en) Vehicle and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US1154383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11778445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ing function
JP2009064276A (ja) 駐車案内システム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KR2023000015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15061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2224270A (ja) 荷崩れ予報装置
US20210229677A1 (en) Disturbance degree calculation system and driving guide system
JP2006087035A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KR102114712B1 (ko) 스마트 플랫폼 기반의 지능형 블랙박스 시스템
KR20160133222A (ko) 차주를 인식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
KR20160133623A (ko) 차량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5236B1 (ko) 차량 사고시 응급 대처를 위한 사고 데이터 전송 방법
JP2019219796A (ja) 車両走行制御サーバ、車両走行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