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35A -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35A
KR20230000035A KR1020210081698A KR20210081698A KR20230000035A KR 20230000035 A KR20230000035 A KR 20230000035A KR 1020210081698 A KR1020210081698 A KR 1020210081698A KR 20210081698 A KR20210081698 A KR 20210081698A KR 20230000035 A KR20230000035 A KR 2023000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nitor
flow rate
conical member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800B1 (ko
Inventor
김순호
이창규
김윤철
김재두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브텍
Priority to KR102021008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05B1/32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avoid or to reduce turbulencies, e.g. comprising fluid flow straighte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 입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방수형태 및 방수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소화용 모니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상기 공급부(120)와 결합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관로(112)가 형성된 몸체부(110); 일측은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고, 타측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132)가 형성된 노즐부(130); 및 상기 노즐부(130)의 내부에 외면이 테이퍼(taper)지게 만곡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32)와 거리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추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사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the monitor for the fire-extinguishing capable of flow control}
본 발명은 소화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 입구로 방사되는 유체의 방수형태 및 방수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터널, 선박 등 지상이나 해상에서 화재 발생 시에는 소방호스, 소화용, 관창, 소방용로봇 등 화재진압장비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특히, 해당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화재지점에 고압의 소화액 또는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화재 진압장비는 일반관창, 특수관창, 폼관창, 방수총, 소화용 모니터 등이 있다.
소화에 사용되는 화재진압용 장치는 소방차, 소화전, 바다 등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되며, 화재의 종류와 진압하는 환경에 따라 방수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유체가 방수되는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화재현장에 적합하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유량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펌프의 조작 또는 공급처와의 교신을 통해 방수압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는데, 이런 경우 화재진압용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수형태 및 방수량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유량을 조절하는 화재 진압장치의 경우 유량을 조절하는 부재를 이용하여 방수되는 노즐의 직경을 조절하면서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유량을 조절하는 부재와 화재 진압장치의 내측면은 경사지게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화재진압장치 내부에서 케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됨과 함께 유체가 와류 상태로 되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유속이 감속된다.
또한, 캐비테이션 발생에 의해 내부의 마모가 발생하고, 유체 유동에 대한 저항이 발생하여 유체가 방수되는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23782는 압력 및 유량 조절 가능한 원추형 밸브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며, ‘압력 및 유량 조절 가능한 원추형 밸브’는 관형의 바디부와, 가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원추형부재와, 바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링기어의 동작으로인해 가동체가 이동하면서 유량을 조절한다.
하지만, ‘압력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원추형 밸브’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바벨기어를 회전시켜 유량을 조절해야 하는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바벨기어와 링기어를 구비해야 하는 제조공정상 문제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223782호 (2021.02.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받는 곡면을 형성하는 유체조절 부재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소화용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방수형태 및 방수되는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소화용 모니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20);상기 공급부(120)와 결합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관로(112)가 형성된 몸체부(110);일측은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고, 타측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132)가 형성된 노즐부(130); 및 상기 노즐부(130)의 내부에 외면이 테이퍼(taper)지게 만곡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32)와 거리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추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는, 상기 몸체부(110) 일측에 형성되는 피스톤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150)는,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형상의 피스톤챔버(chamber)(152)와,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상의 이동플레이트(154)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에 수직되게 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원추부재(140)와 체결되는 피스톤로드(156)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의 전후방 동작을 따라 상기 원추부재(14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방사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몸체부(110)로 유체를 공급하는 주공급부(122)와,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체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부(124)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공급부(124)는,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125)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156)는, 상기 피스톤로드(156)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5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125)의 조작으로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이동플레이트(154)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보조공급부(124)로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경우 탄성부재(15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홈(11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30)는, 상기 나선홈(113)에 나합(螺合)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130)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수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130)는, 내측면(131)이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는 일단에서 상기 토출부(132)로 갈수록 좁아지는 만곡한 곡면을 가지는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유량 조절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직선의 유량 조절 부재와 비교하여 방수효율이 향상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입구와 유량 조절 부재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유량과 유체의 방수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유량 조절 부재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의 동작의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의 동작의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단’ 및 ‘전방’은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되는 노즐부(130)가 형성되는 방향의 의미하며, ‘후단’ 및 ‘후방’은 상기 노즐부(130)에 대향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부(120)가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하나, 이는 설명을 위해 언급되는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위치 또는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100)는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110),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몸체부(110)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부(130), 상기 노즐부(13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원추부재(140), 상기 원추부재(140)의 동작을 조절하는 피스톤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관로(112), 가이드(113), 가이드링(11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받은 물이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되는 관로(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로(112)는 상기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가 상기 노즐부(130)로 연통되게 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에서 전단으로 이르는 내측면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120)는, 해수, 소방수, 소화용 약품을 첨가한 물 등 다양한 유체가 공급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압, 공압, 모터 등을 사용하는 펌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몸체부(110)로 유체를 공급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주 공급부(122)와, 피스톤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부(124)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공급부(124)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할 피스톤부(150)와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노즐부(130)는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132), 상기 노즐부(130)의 내면을 형성하는 노즐부내측면(131)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130)는 내부가 중공되고, 전후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30)의 후단은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하고, 전단은 상기 토출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32)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데,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유량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내측면(131)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만곡한 곡면을 가지는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내측면(131)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추부재(130)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상기 토출부(132)로 유체가 배출될 때 유로폭을 일정하게 하여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의 내측면(13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토출부(132)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내부압력이 변하는 경우, 각지게 형성된 몸체 및 노즐과 비교하여 압력의 변화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적어 원활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노즐부(130)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11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 외면을 덮는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면에 나선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부(130)에는 상기 나선홈(113)에 대응하는 홈(134)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3)와 나합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노슬부(130)가 나합함으로써 상기 노즐부(130)의 회전을 통해 나선홈(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노즐부(130)이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노즐부(130)가 전후방으로 가동됨으로써,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 일측에 고정되어있는 상기 원추부재(14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홈(113, 134)은 별도의 볼베어링(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상기 토출부(132)와 상기 원추부재(140)와 간격을 조절할 경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홈(113, 134)은 전후방으로 일정길이 이상 조절될 경우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별도의 걸림턱(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130)는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133)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130)를 회전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추부재(140)는 전단에 형성되는 원추부재전단(140a)과, 상기 원추부재전단(140a)과 결합하고, 상기 원추부재(140)의 후단에 형성되는 원추부재후단(140b)과, 상기 원추부재전단(140a) 및 원추부재후단(140b)이 결합되는 접합면(140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추부재(140)는 상기 노즐부(130) 내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록한 곡면을 가지는 ‘물방울’형상의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추부재(140)의 직경은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원추부재(140)가 상기 토출부(132) 외부로 돌출되면서 유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부재(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술한 상기 노즐부(130)의 회전에 의한 나선홈(113, 134)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원추부재(140)와 상기 토출부(132)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방수되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된 원추부재(140)의 간격을, 상기 노즐부(130)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노즐부(130)의 외경과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13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토출부(132)의 폭을 변화시킴으로 인해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원추부재후단(140b)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가 상기 원추부재후단(140b)의 외면을 타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량을 조절하는 부재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유체의 흐름이 방해받게 되고, 소화 모니터 내부에서 와류 및 케비테이션이 형성되어, 소화 모니터의 수명을 저하시키고, 유체의 방수속도 및 방수효율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원추부재후단(140b)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만곡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직각으로 형성된 유량조절부재와 비교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원추부재후단(140b)은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 내부의 케비테이션 및 와류발생을 억제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원추부재전단(140a)은 상기 원추부재후단(140b)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추부재(140)을 형성하고,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추부재전단(140a)은 상기 노즐부(130) 내측면(131)과 이격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부재전단(140a)은 상기 노즐부(130) 내측면(131)과의 간격을 일정하도록 하여 유체가 흐르는 폭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폭의 넓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유체의 압력변화를 최소화하여 케비테이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추부재(140)를 전후방으로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 유량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에도 매끄럽게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사용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합면(140c)의 외경은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면(140c)이 상기 토출부(132)와 동위치로 형성될 경우 유체 방수형태가 가장 넓은 각도의 방사(放射)형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추부재전단(140a) 및 원추부재후단(140b)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마모 또는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피스톤부(150)는 피스톤챔버(152), 이동플레이트(154), 피스톤로드(156), 탄성부재(158)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챔버(15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챔버(152)는 상기 몸체부(110)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챔버(152)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상의 이동플레이트(154)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56)는 일측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에 수직되게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원추부재(140)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챔버(152)는 상기 피스톤로드(156)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홈(157)이 형성되고, 오링(O-ring)(159)을 구비하여 피스톤로드(156)가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56)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13)와, 상기 가이드(113)에 결합되는 오링(O-ring)(115)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157)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피스톤부(150)는 상기 피스톤챔버(152) 내부에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전후방으로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전후방으로 동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과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150)는 상기 보조공급관(124)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공급관(124)에는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25)는 니들 밸브, 핀치 밸브, 볼 밸브 플러그 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등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구비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재(125)는 상기 피스톤챔버(152) 내부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후방으로 복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부재(125)의 유량조절로인해 상기 피스톤챔버(152)에 일정량의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54)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56)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과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이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기 토출부(132)의 폭을 감소시켜 배출되는 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때, 감소된 토출부(132)의 폭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방수되는 유체의 형태를 방사형태로 형성되도록한다.
일반적인 화재현장에서는 화재의 형태와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상기 소화용 모니터는 상기 토출부와 상기 원추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토출부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화재현장에 적합한 방수형태 및 방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전단부에는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110)로 흐를 수 있는 배출구멍(153)이 형성되어 보조공급부(124)로 유입되는 유체로 인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54)가 전방으로 가압되되, 상기 피스톤챔버(152)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전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피스톤챔버(152) 내부가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배출구(155)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공급부(124)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가압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배출구(155)에 의해 유체가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54)가 일정량 이상 가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보조공급부(124)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일정량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가압하고, 이외의 유체는 상기 이동플레이트배출부(155)를 지나 상기 배출구멍(153)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로(112)를 지나 토출부(132)로 배출되면서 상기 보조공급부(124)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의한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내부 압력증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부재(125)의 유량조절로 인해 상기 피스톤챔버(152)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54)가 상기 탄성부재(158)와,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 내부의 압력증가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에 결합된 상기 피스톤로드(156)와 상기 원추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토출부(152)의 폭의(H) 부피가 복구되며 직사형태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125)는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를 전단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밸브부재(125)의 동작으로 인해 유체의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원추부재(1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토출부(132)와 상기 원추부재(140)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량을 조절하거나 직사형 또는 방사형으로 방수형태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25)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별도의 가동부재(미도시)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내부압력, 상기 탄성부재(158)의 탄성력, 토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밸브부재(125)를 조적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몸체부
120: 공급부
130: 노즐부
140: 원추부재
150: 피스톤부

Claims (5)

  1. 유체의 방수형태 및 방수되는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소화용 모니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상기 공급부(120)와 결합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관로(112)가 형성된 몸체부(110);
    일측은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고, 타측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132)가 형성된 노즐부(130); 및
    상기 노즐부(130)의 내부에 외면이 테이퍼(taper)지게 만곡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32)와 거리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추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사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 모니터(100)는,
    상기 몸체부(110) 일측에 형성되는 피스톤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150)는,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형상의 피스톤챔버(chamber)(152)와, 상기 피스톤챔버(15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상의 이동플레이트(154)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에 수직되게 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원추부재(140)와 체결되는 피스톤로드(156)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154)의 전후방 동작을 따라 상기 원추부재(14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사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몸체부(110)로 유체를 공급하는 주공급부(122)와,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체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부(124)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공급부(124)는,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1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156)는,
    상기 피스톤로드(156)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5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54)는,
    상기 보조공급부(124)에서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보조공급부(124)에서 상기 피스톤챔버(152)로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5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홈(11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30)는,
    상기 나선홈(113)에 나합(螺合)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130)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부(132)의 내경과 상기 원추부재(140)의 외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방사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130)는,
    내측면(131)이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는 일단에서 상기 토출부(132)로 갈수록 좁아지는 만곡한 곡면을 가지는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모니터.
KR1020210081698A 2021-06-23 2021-06-23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KR10261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98A KR102615800B1 (ko) 2021-06-23 2021-06-23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98A KR102615800B1 (ko) 2021-06-23 2021-06-23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35A true KR20230000035A (ko) 2023-01-02
KR102615800B1 KR102615800B1 (ko) 2023-12-21

Family

ID=8492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98A KR102615800B1 (ko) 2021-06-23 2021-06-23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299U (ko) * 1974-09-10 1976-03-17
JPH0248146U (ko) * 1988-09-30 1990-04-03
JPH0420414U (ko) * 1990-06-13 1992-02-20
CN202983011U (zh) * 2012-12-14 2013-06-12 萃联(中国)消防设备制造有限公司 可调流量消防炮炮头
KR102223782B1 (ko) 2019-10-10 2021-03-05 노성왕 압력 및 유량 조절 가능한 원추형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299U (ko) * 1974-09-10 1976-03-17
JPH0248146U (ko) * 1988-09-30 1990-04-03
JPH0420414U (ko) * 1990-06-13 1992-02-20
CN202983011U (zh) * 2012-12-14 2013-06-12 萃联(中国)消防设备制造有限公司 可调流量消防炮炮头
KR102223782B1 (ko) 2019-10-10 2021-03-05 노성왕 압력 및 유량 조절 가능한 원추형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800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746B2 (en) Adjustable smooth bore nozzle
US9004376B2 (en) Flui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jecting a fluid
US3863844A (en) Automatic fire nozzle with automatic control of pressure and internal turbulence combined with manual control of variable flow and shape of stream produced
NO179735B (no) Utstyr for slukking av brann
KR101856975B1 (ko)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US4392618A (en) Liquid-projecting monitor
US20160263593A1 (en) Adjustable smooth bore nozzle
US6749027B1 (en)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ation features
US20180207459A1 (en) Flui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jecting a fluid
US11904194B2 (en) Stream straightener
US6089474A (en) Hose nozzle apparatus and method
EP3259074B1 (en) Flow control for full jet and fog nozzle
KR20230000035A (ko)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US4248385A (en) Adjustable nozzle
KR102301091B1 (ko) 자성을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RU2484866C1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10583436U (zh) 一种多角度出水消防水枪
RU2753345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россель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в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ли такой дроссель
RU246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H09308703A (ja) 消火栓装置
RU164495U1 (ru) Наконечник пожарного рукава
JP3955863B2 (ja) 吹付塗装用スプレーガン
CA2327476C (en) Improved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tion features
US20220126148A1 (en) Dual Pressure Firefighting Nozzle
CN219023099U (zh) 一种多角度喷射水花水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