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337A -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337A
KR20220170337A KR1020220028269A KR20220028269A KR20220170337A KR 20220170337 A KR20220170337 A KR 20220170337A KR 1020220028269 A KR1020220028269 A KR 1020220028269A KR 20220028269 A KR20220028269 A KR 20220028269A KR 20220170337 A KR20220170337 A KR 20220170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haft
way clutch
clutch unit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헤이 나카무라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17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42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on the re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양 베어링 릴(1)의 스풀축(11)의 회전 예를 들어 연결축(13)의 회전을 제동한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전동체(15)와 아우터 부재(17)를 구비한다.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연결축(13)에 접촉한다. 아우터 부재(17)는, 상기의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15)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부재(17)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아우터 부재(17)에는,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력을 받는 제1 볼록부(41)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ONE-WAY CLUTCH UNIT FOR FISHING REEL, AND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축과 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구비한다. 스풀축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은, 전동체와 아우터 부재를 가진다. 전동체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스풀축에 접촉한다. 아우터 부재는, 전동체의 외륜으로서 기능한다. 아우터 부재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부재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560903호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 마찰 플레이트가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의 아우터 부재의 단면(端面)에 마찰 플레이트가 접촉한다. 이 경우, 특히 마찰을 상정하고 있지 않는 아우터 부재의 단면에 플레이트를 접촉시키기 때문에,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은, 낚시용 릴의 축 부재의 회전을 제동한다.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은, 전동체와 아우터 부재를 구비한다. 전동체는, 축 부재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축 부재에 접촉한다. 아우터 부재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부재는, 축 부재의 축심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아우터 부재에는, 축심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력을 받는 제1 외력 받이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아우터 부재는, 제1 외력 받이부에 있어서 제1 외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제1 외력 받이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아우터 부재는, 제1 볼록부에 있어서 제1 외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아우터 부재는, 보지부(保持部)와 홀더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지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전동체를 보지한다. 홀더는, 보지부에 설치되고, 보지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1 볼록부는, 홀더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아우터 부재는, 홀더의 제1 볼록부에 있어서 제1 외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홀더는,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홀더는, 축 부재의 단부(端部)를 덮도록 보지부에 설치된다. 제2 홀더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와는 반대 측에 있어서 보지부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가 보지부에 설치된다. 아우터 부재는, 제1 홀더에 있어서 제1 외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가, 보지부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壓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보지부에 호적(好適)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가, 서로 나합(螺合)되는 것에 의하여 보지부를 협지(挾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보지부에 호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제1 외력 받이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제2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아우터 부재는, 환상의 제2 볼록부에 있어서 제1 외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서는, 아우터 부재에는, 제1 외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외력을 받는 제2 외력 받이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외력 받이부에 작용하는 제1 외력, 및 제2 외력 받이부에 작용하는 제2 외력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를 제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축 부재와, 상술한 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구비한다. 이 경우, 원웨이 클러치 유닛은, 릴 본체에 설치되고, 축 부재의 회전을 제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서는, 축 부재는 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부재는, 보지부와 홀더를 가진다. 보지부는, 축 부재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전동체를 보지한다. 홀더는, 보지부에 설치되고, 보지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홀더는,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가진다. 제1 홀더는, 축 부재의 단부를 덮도록 보지부에 설치된다. 제2 홀더는, 축심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와는 반대 측에서 보지부에 설치된다. 제2 홀더는, 돌기에 계합(係合)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서는, 축부의 돌기를 오목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축부를 제2 홀더에 호적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 있어서, 아우터 부재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스풀축 및 연결축과, 스풀축 및 연결축에 관한 주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양 베어링 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 근방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a는 변형예 1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b는 변형예 2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 (A)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a는 다른 실시 형태 (B)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근방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b는 다른 실시 형태 (C)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근방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a는 다른 실시 형태 (D)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근방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b는 다른 실시 형태 (E)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근방의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1)(낚시용 릴의 일례)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은, 릴 본체(3)와 스풀(5)과 핸들(7)과 조작 레버(9)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은, 스풀축(11)(축 부재의 일례)과 연결축(13)(축 부재의 일례)과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을 더 구비한다. 양 베어링 릴(1)은, 제1 실(seal) 부재(19)와 제2 실 부재(20)를 더 구비한다.
덧붙여, 축 방향이란, 스풀축(11)의 제1 축심(X1)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경방향이란, 스풀축(11)의 제1 축심(X1)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다. 둘레 방향이란, 스풀축(11)의 제1 축심(X1) 둘레의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는, 프레임(31)과 제1 측 커버(33)와 제2 측 커버(35)를 가진다. 프레임(31)은, 제1 측판(側板)(31a)과 제2 측판(31b)과 복수의 연결부(31c)를 가진다. 제1 측판(31a) 및 제2 측판(31b)은,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측판(31a) 및 제2 측판(31b)은, 복수의 연결부(31c)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1 측판(31a), 제2 측판(31b), 및 복수의 연결부(31c)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측 커버(33)는, 제1 측판(31a)을 덮는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33)는, 커버 본체(33a)와 돌출부(33b)를 가진다. 커버 본체(33a)는, 핸들(7) 및 제1 측판(31a)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판(31a)을 덮는다. 돌출부(33b)는, 커버 본체(33a)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돌출부(33b)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된다. 돌출부(33b)는, 제1 측 커버(33) 및 제1 측판(31a)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에 연통(連通)한다. 제2 측 커버(35)는, 제2 측판(31b)을 덮는다. 상세하게는, 제2 측 커버(35)는, 핸들(7)과는 반대 측에서 제2 측판(31b)을 덮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스풀(5)은, 스풀축(1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스풀축(11)에 장착된다. 즉, 스풀(5)은, 스풀축(11)을 통하여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에 도시하는 핸들(7)은, 스풀축(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핸들(7)은, 릴 본체(3)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핸들(7)은, 도 2에 도시하는 구동축(10a)을 통하여,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핸들(7) 및 구동축(10a)이 회전하면, 스풀축(11) 및 스풀(5)이 회전 전달 기구(10)를 통하여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10)는, 제1 측 커버(33) 및 제1 측판(31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10)는, 핸들(7)의 회전을 스풀축(11)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전달 기구(10)는, 구동축(10a)과 구동 기어(10b)와 피니언 기어(10c)를 가진다.
구동축(10a)은, 제1 측판(31a) 및 제1 측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10a)은, 핸들(7)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0b)는, 구동축(10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0c)는, 복수의 베어링(61a, 61b)을 통하여, 제1 측판(31a) 및 제1 측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10c)는, 구동 기어(10b)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0c)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10c)의 내주부(內周部)에는, 스풀축(11)이 삽통(揷通)된다.
피니언 기어(10c)는, 클러치 요크(12)에 의하여, 스풀축(1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피니언 기어(10c)로부터 스풀축(11)으로의 회전은, 스풀축(11)의 계합 핀(10d1) 및 피니언 기어(10c)의 계합 오목부(10d2)의 계합에 의하여 전달된다. 계합 핀(10d1) 및 계합 오목부(10d2)의 계합이 해제되었을 경우, 피니언 기어(10c)의 회전이 스풀축(11)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9)는, 릴 본체(3)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9)는, 제1 측 커버(33)의 돌출부(33b)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조작 레버(9)는, 돌출부(33b)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 레버(9)의 요동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이 축 방향으로 압압(押壓)된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9)의 요동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사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압압된다.
스풀축(11)은, 스풀(5)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풀축(11)은,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1)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스풀축(11)은, 복수의 베어링(71a, 71b)을 통하여,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1)은, 제1 축 본체(11a)와 오목부(11b)를 가진다. 제1 축 본체(11a)는, 제1 축심(X1)을 가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본체(11a)에는, 스풀(5)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제1 축 본체(11a)의 중앙부는, 베어링(71a)을 통하여, 제1 측판(3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축 본체(11a)에 있어서 핸들(7)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는 단부가, 베어링(71b)을 통하여, 베어링 부재(31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31d)는, 제2 측판(31b)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본체(11a)는, 피니언 기어(10c)의 내주부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제1 축 본체(11a)의 핸들(7) 측의 부분이, 피니언 기어(10c)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본체(11a)의 핸들(7) 측의 단부에는, 환상(環狀)의 단차부(11c)(段差部)가 설치된다. 단차부(11c)는, 제1 축 본체(11a)의 단부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다. 단차부(11c)는, 경방향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0c)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단차부(11c)에는, 통상 부재(21)가 배치된다.
통상 부재(21)는, 후술하는 연결축(13)의 계합부(13b)가 스풀축(11)의 오목부(11b) 내에 있어서 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21)는,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축(11)의 핸들(7) 측의 단부와 피니언 기어(10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통상 부재(21)는, 경방향에 있어서, 제1 축 본체(11a)의 단차부(11c)와 피니언 기어(10c)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풀축(11)의 오목부(11b)와 연결축(13)의 계합부(13b)가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통상 부재(21)의 단부는, 연결축(13)의 환상부(13d)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1b)는, 스풀축(11)의 단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11b)는, 제1 축 본체(11a)의 핸들(7) 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오목부(11b)는,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다.
연결축(13)은,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3)은, 스풀축(11)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3)은, 스풀축(1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연결축(13)은, 스풀축(1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연결축(13)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축 본체(11a)의 핸들(7) 측의 단부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3)은, 제2 축 본체(13a)와 계합부(13b)와 제1 소경부(小徑部)(13c)와 돌기(13e)를 가진다. 연결축(13)은, 환상부(13d)를 더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본체(13a)는, 후술하는 제2 축심(X2)에 관한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15)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축 본체(13a)는, 전동체(15)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제2 축 본체(13a)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3을 참조). 제2 축 본체(13a)는, 제2 축심(X2)을 가진다. 연결축(13)이 스풀축(11)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축심(X2)은, 스풀축(11)의 제1 축심(X1)과 동심(同心)으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13b)는, 제2 축 본체(13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계합부(13b)는, 제1 소경부(13c)를 통하여 제2 축 본체(13a)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13b)는, 스풀축(11)의 오목부(11b)에 계합한다. 예를 들어, 계합부(13b)는, 제1 축 본체(11a)의 핸들(7)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오목부(11b)에 계합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13b)의 단면은, 비원형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직사각형상의 계합부(13b) 및 홈 형상의 오목부(11b)를 서로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축(13)의 제2 축 본체(13a)는, 스풀축(11)의 제1 축 본체(11a)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소경부(13c)는, 제2 축 본체(13a)와 계합부(13b)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 소경부(13c)는, 제2 축 본체(13a)와 환상부(13d)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소경부(13c)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소경부(13c)의 외경(外徑)은, 제2 축 본체(13a)의 외경보다 소경이다. 환상부(13d)는, 계합부(13b) 및 제1 소경부(13c)의 사이에 설치된다. 환상부(13d)의 외경은, 제1 소경부(13c)의 외경보다 대경(大徑)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13e)는, 제2 축 본체(13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돌기(13e)는,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제2 축 본체(13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돌기(13e)는, 제2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2 축 본체(13a)의 외주면 상에 환상으로 형성된다. 돌기(13e)는, 후술하는 제2 홀더(49)의 오목부(49b)에 계합한다(도 5를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13e)가 환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지지만, 적어도 하나의 돌기(13e)가 제2 축 본체(13a)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스풀축(11)의 회전을 제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연결축(13)의 회전을 제동하고, 연결축(13)을 통하여 스풀축(11)의 회전을 제동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연결축(13)에 취부(取付)된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연결축(13) 및 제1 측 커버(33)의 돌출부(33b)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전동체(15)와 아우터 부재(17)를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체(15)는, 연결축(13) 및 아우터 부재(17)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제2 축 본체(13a)와 아우터 부재(17)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연결축(13)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연결축(13)이 스풀축(1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동체(15)는, 스풀축(11)의 제1 축심(X1)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연결축(13)의 제2 축 본체(13a)에 접촉한다. 연결축(13)이 스풀축(1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연결축(13)의 제2 축 본체(13a)에 접촉한다.
전동체(15)가 연결축(13)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축(13)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동체(15)는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회전한다. 즉, 이 경우,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아우터 부재(17)에 전달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연결축(13)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동체(15)는, 연결축(1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아우터 부재(17)에 전달한다.
아우터 부재(17)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연결축(13)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17)에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력을 받는 제1 볼록부(41)(제1 외력 받이부의 일례)가 설치된다. 아우터 부재(17)에는, 제1 외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외력을 받는 제2 볼록부(42)(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가 더 설치된다.
제1 외력은, 제1 마찰 플레이트(18a)로부터 제1 볼록부(41)에 작용하는 압압력이다. 제2 외력은, 제2 마찰 플레이트(18b)로부터 제2 볼록부(42)에 작용하는 압압력이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9)의 요동에 의하여,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간격이 변화한다.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제1 볼록부(41) 및 제2 볼록부(42)에 작용하는 압압력은 변화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17) 예를 들어 후술하는 외륜(43)(보지부의 일례)은,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15)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부재(17) 예를 들어 외륜(43)은,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우터 부재(17) 예를 들어 외륜(43)은, 제1 측 커버(33)의 돌출부(33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연결축(13)이 스풀축(11)과 함께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동체(15)는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아우터 부재(17) 예를 들어 외륜(43)에 전달한다. 바꾸어 말하면, 아우터 부재(17) 예를 들어 외륜(43)은, 줄 방출 방향으로만 연결축(1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일 방향"은, "줄 방출 방향"에 대응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17)는, 외륜(43)과 홀더(45)를 가진다. 외륜(43)은, 전동체(15)를 보지한다. 외륜(43)은,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15)의 외측에 배치된다. 외륜(43)은, 연결축(13)의 제2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연결축(13)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45)는 외륜(4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홀더(45)는, 연결축(13)의 단부를 덮도록 외륜(43)에 설치된다. 홀더(45)는, 외륜(4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홀더(45)에는, 제1 볼록부(41) 및 제2 볼록부(42)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홀더(45)는, 제1 홀더(47)와 제2 홀더(49)를 가진다. 제1 홀더(47)는, 연결축(13)의 선단부(先端部)를 덮도록 외륜(43)에 설치된다. 제1 홀더(47)는, 외륜(43)의 일단부(一端部)를 덮도록 외륜(43)에 설치된다. 제1 홀더(47)는, 외륜(43)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홀더(47)는 외륜(4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홀더(47)에는, 제1 볼록부(41)가 설치된다. 제1 볼록부(41)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47)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제2 축심(X2)이 제1 볼록부(41)를 통과하도록, 제1 볼록부(41)는 제1 홀더(47)로부터 돌출한다. 제1 볼록부(41)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에 접촉한다.
제1 마찰 플레이트(18a)는, 조작 레버(9)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마찰 플레이트(18a)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47)와 조작 레버(9)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마찰 플레이트(18a)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볼록부(41) 및 조작 레버(9)에 접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홀더(49)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47)와는 반대 측에서 외륜(43)에 설치된다. 제2 홀더(49)는, 외륜(43)의 타단부(他端部)를 덮도록 외륜(43)에 설치된다. 제2 홀더(49)는, 외륜(43)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홀더(49)는 외륜(4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즉,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는, 외륜(4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2 홀더(49)에는, 제2 볼록부(42)가 설치된다. 제2 볼록부(42)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홀더(49)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제2 볼록부(42)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2 볼록부(42)는,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접촉한다. 제2 홀더(49)에는, 오목부(49b)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홀더(49)는, 구멍부(49a)를 가진다. 오목부(49b)는, 구멍부(49a)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형성된다. 오목부(49b)에는, 연결축(13)의 돌기(13e)가 계합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제1 측 커버(33)의 돌출부(33b)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복수(예를 들어 2매(枚))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를 포함한다.
복수(예를 들어 2매)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홀더(49)와 제1 실 부재(19)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홀더(49)와, 돌출부(33b)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테두리부(33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환상의 플레이트 부재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一方)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볼록부(42)에 접촉한다. 타방(他方)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33b)의 테두리부(33c)(도 4를 참조)에 접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볼록부(41) 및 제2 볼록부(42)가,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각각 별도로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가 회전하였을 경우, 아우터 부재(17)의 회전이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제동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 부재(19)는,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11)과 전동체(1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실 부재(19)는, 연결축(13)에 접촉한다. 제1 실 부재(19)는, 환상으로 형성된다(도 3을 참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 부재(19)는,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11)과 원웨이 클러치 유닛(1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실 부재(19)는, 돌출부(33b)의 테두리부(33c)에 축 방향으로 접촉한다. 제1 실 부재(19)의 선단은,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11)과 전동체(1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실 부재(19)의 선단, 예를 들어 제1 실 부재(19)의 내주면은, 연결축(13)의 제1 소경부(13c)에 접촉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 부재(19) 및 베어링(61a)의 사이에는, 위치 결정 부재(25)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부재(25)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 부재(25)는, 제1 실 부재(19)의 외주부 및 베어링(61a)의 외륜에 축 방향으로 접촉한다. 이 위치 결정 부재(25)에 의하여, 제1 실 부재(19)는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 부재(20)는, 조작 레버(9) 및 돌출부(33b)의 간극(間隙)으로부터 침입하는 물을 지수(止水)한다. 제2 실 부재(20)는, 경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9) 및 돌출부(33b)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실 부재(20)는 O링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1)은, 릴 본체(3)와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을 구비한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아우터 부재(17)는, 홀더(45)의 제1 볼록부(41)(제1 외력 받이부의 일례)에 있어서 압압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홀더(45)는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를 가진다. 아우터 부재(17)는, 제1 홀더(47)의 제1 볼록부(41)에 있어서 압압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아우터 부재(17)는, 제2 홀더(49)의 제2 볼록부(42)(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에 있어서 압압력을 축 방향으로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로부터 제1 볼록부(41)에 작용하는 압압력과, 제2 마찰 플레이트(18b)로부터 제2 볼록부(42)에 작용하는 압압력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가 제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가 외륜(43)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되기 때문에,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를 외륜(43)에 호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서는, 연결축(13)의 돌기(13e)가 제2 홀더(49)의 오목부(49b)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축(13)을 제2 홀더(49)에 호적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가 외륜(43)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는, 서로 나합되는 것에 의하여 외륜(43)을 협지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홀더(47)에는 암(雌)나사부(47a)가 형성된다. 제2 홀더(49)에는 수(雄)나사부(49c)가 형성된다. 암나사부(47a)를 수나사부(49c)에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륜(43)이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에 의하여 협지된다. 덧붙여, 외륜(43)의 외주면과, 제1 홀더(47)의 내주면 및 제2 홀더(49)의 내주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를 외륜(43)에 호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축심(X2)이 제1 볼록부(41)를 통과하도록, 제1 볼록부(41)가 제1 홀더(47)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제3 볼록부(51)(제1 외력 받이부의 일례)가 제1 홀더(47)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2 축심(X2)은, 환상의 제3 볼록부(51)의 내주부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환상의 제3 볼록부(51)가 제1 홀더(47)에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변형예 1)과 같이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를 나합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아우터 부재(17)가 외륜(43)과 홀더(45)를 가지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17)는 외륜(43)만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환상의 제4 볼록부(52)(제1 외력 받이부의 일례) 및 환상의 제5 볼록부(53)(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가, 외륜(43)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환상의 제4 볼록부(52) 및 환상의 제5 볼록부(53)는, 외륜(43)과 일체로 형성된다. 환상의 제4 볼록부(52)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에 접촉한다. 환상의 제5 볼록부(53)는,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홀더(45)를 이용하는 일 없이 아우터 부재(17)를 구성하였다고 하여도,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 부재(19)가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의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 부재(19)가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 포함되도록,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전동체(15)와 아우터 부재(17)와 제3 실 부재(22)를 가진다. 아우터 부재(17)는, 외륜(43)과, 제1 홀더(47) 및 제2 홀더(49)를 포함하는 홀더(45)를 가진다.
제2 홀더(49)의 내주면에는 환상 오목부(49d)가 형성된다. 환상 오목부(49d)에는, 제3 실 부재(22)의 외주부가 배치된다. 제3 실 부재(22)의 선단, 예를 들어 제3 실 부재(22)의 내주면은, 연결축(13) 예를 들어 제1 소경부(13c)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이 제3 실 부재(22)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고 하여도,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스풀축(11)으로부터 전동체(15)를 향하는 물을, 제3 실 부재(22)에 의하여 지수할 수 있다.
(C) 상기 다른 실시 형태 (B)에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 부재(22)는 전동체(15)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스풀축(11)으로부터 전동체(15)를 향하는 물이,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부착하고,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내구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홀더(47)는, 릴 본체(3)의 환상의 단차부(33d)에 배치된다. 환상의 단차부(33d)는 돌출부(33b)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開口端)(47b)(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은, 환상의 단차부(33d)의 저면(底面)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 및 환상의 단차부(33d)의 저면의 사이에는, 환상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가 배치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은, 환상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접촉한다. 제1 홀더(47)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협지된다. 제3 실 부재(22)는, 돌출부(33b)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149d)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아우터 부재(17)를 구성하는 외륜(43) 및 제1 홀더(47)가 회전하였을 경우, 아우터 부재(17)의 회전이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제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제2 마찰 플레이트(18b)는, 스풀축(11)으로부터 전동체(15)를 향하는 물의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대한 물의 부착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마찰 플레이트(18b)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71a)이 스풀축(11)을 지지한다. 베어링(61a)이 피니언 기어(10c)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0c)의 내주부에 삽입되는 스풀축(11)의 제1 축심(X1)의 위치가 정의된다. 연결축(13)은, 스풀축(11)에 계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이 스풀축(11)의 제1 축심(X1)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축(13) 및 스풀축(11)의 연결 정도(精度)에 따라서는, 연결축(13)의 제2 축심(X2) 및 스풀축(11)의 제1 축심(X1)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베어링(62)을 통하여, 릴 본체(3)에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은, 베어링(62)을 통하여, 릴 본체(3)의 돌출부(33b)에 지지된다.
베어링(62)은, 릴 본체(3)의 환상의 단차부(33d)에 배치된다. 베어링(62)은, 원웨이 클러치 유닛(14) 예를 들어 아우터 부재(17)의 외륜(43)을 지지한다. 베어링(62)의 외륜(62a)은,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마찰 플레이트(18b) 및 돌출부(33b)의 단차부(33d)의 저면에, 축 방향으로 접촉한다.
제1 홀더(47)는, 릴 본체(3)의 환상의 단차부(33d)에 배치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은, 환상의 단차부(33d)의 저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 및 환상의 단차부(33d)의 저면의 사이에는, 베어링(62) 및 환상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가 배치된다.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은, 환상의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접촉한다. 제1 홀더(47)는,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 구성에서는, 아우터 부재(17)를 구성하는 외륜(43) 및 제1 홀더(47)가 회전하였을 경우, 아우터 부재(17)의 회전이 제1 마찰 플레이트(18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의하여 제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아우터 부재(17)에 대하여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베어링(62)이 아우터 부재(17)의 외륜(43)을 지지하기 때문에, 연결축(13)을 스풀축(11)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축(13)의 제2 축심(X2)을 스풀축(11)의 제1 축심(X1) 상에 호적하게 배치할 수 있다.
(E) 상기 다른 실시 형태 (D)의 아우터 부재(17)의 제1 홀더(47)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홀더(47)의 개구단(47b) 및 베어링(62)의 축 방향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된다.
제1 홀더(47)는, 제1 볼록부(41)(제1 외력 받이부의 일례)와 테두리부(47c)(제2 외력 받이부의 일례)를 가진다. 테두리부(47c)는, 제2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제2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테두리부(47c)는, 제2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3)의 돌출부(33b)의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두리부(47c) 및 돌출부(33b)의 단부의 축 방향 사이에는, 제2 마찰 플레이트(18b)가 배치된다. 테두리부(47c) 및 돌출부(33b)의 단부는, 제2 마찰 플레이트(18b)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다른 실시 형태 (D)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 상기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축(11)이 연결축(13)을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 취부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연결축(13)을 스풀축(11)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11)을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 직접적으로 취부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풀축(11)이, 원웨이 클러치 유닛(14)에 의하여 제동되는 축 부재로서 해석된다.
1: 양 베어링 릴
3: 릴 본체
5: 스풀
9: 조작 레버
11: 스풀축
11b: 오목부
13: 연결축
13e: 돌기
14: 원웨이 클러치 유닛
15: 전동체
17: 아우터 부재
18a: 제1 마찰 플레이트
18b: 제2 마찰 플레이트
41: 제1 볼록부
42: 제2 볼록부
43: 외륜
45: 홀더
47: 제1 홀더
49: 제2 홀더
49b: 오목부
X1: 제1 축심
X2: 제2 축심

Claims (10)

  1. 낚시용 릴의 축 부재의 회전을 제동하는 원웨이 클러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의 축심(軸心)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에 접촉하는 전동체와,
    상기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심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아우터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부재에는, 상기 축심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력을 받는 제1 외력 받이부가 설치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력 받이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부재는, 상기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체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와,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지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홀더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축 부재의 단부(端部)를 덮도록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는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는 제2 홀더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보지부에 대하여 접착 또는 압입(壓入)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서로 나합(螺合)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보지부를 협지(挾持)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력 받이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環狀)의 제2 볼록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부재에는, 상기 제1 외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외력을 받는 제2 외력 받이부가, 더 설치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9.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축 부재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웨이 클러치 유닛
    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아우터 부재는, 상기 축 부재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체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지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홀더를 가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축 부재의 단부를 덮도록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축심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는 반대 측에서 상기 보지부에 설치되는 제2 홀더를 가지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돌기에 계합(係合)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
KR1020220028269A 2021-06-22 2022-03-04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 KR20220170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03296 2021-06-22
JP2021103296A JP2023002210A (ja) 2021-06-22 2021-06-22 釣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及び釣用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337A true KR20220170337A (ko) 2022-12-29

Family

ID=8449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269A KR20220170337A (ko) 2021-06-22 2022-03-04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9000B2 (ko)
JP (1) JP2023002210A (ko)
KR (1) KR20220170337A (ko)
CN (1) CN115500328A (ko)
TW (1) TW2023000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806B1 (en) * 2020-11-30 2022-06-21 Allen Fly Fishing, LLC Fishing reel with braking assembly
JP1705338S (ja) * 2021-10-29 2022-01-18 釣用リールのドラグ操作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0903B2 (ja)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1695A (en) * 1927-08-15 1930-11-18 Mitchell-Henry Lorenzo Reel for fishing rods and the like
JP4901500B2 (ja) * 2007-01-23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JP6177550B2 (ja) * 2013-03-15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00287B2 (ja) * 2013-11-14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2022167022A (ja) * 2021-04-22 2022-1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0903B2 (ja)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00328A (zh) 2022-12-23
US11779000B2 (en) 2023-10-10
JP2023002210A (ja) 2023-01-10
TW202300013A (zh) 2023-01-01
US20220400663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70337A (ko)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낚시용 릴
CN106172292B (zh) 双轴承渔线轮
KR10181562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 장치
JP7122081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6220548A (ja) 両軸受リール
TWI791848B (zh) 釣魚用捲線器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89975B1 (ko) 낚시용 릴
US11778999B2 (en) Fishing reel
KR20160140345A (ko) 양 베어링 릴
US10045519B2 (en) Washer for fishing reel
JP2019004865A (ja) 両軸受リール
KR102505157B1 (ko) 듀얼 베어링 릴
JP7244167B2 (ja) 釣り用リール
TWI763961B (zh) 雙軸承捲線器
JP2019115360A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4903181B2 (ja) 魚釣用リール
TW202320632A (zh)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JP2022101752A (ja) 両軸受けリール
TW202406454A (zh) 釣魚用捲線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