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195A -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 Google Patents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195A
KR20220170195A KR1020210080936A KR20210080936A KR20220170195A KR 20220170195 A KR20220170195 A KR 20220170195A KR 1020210080936 A KR1020210080936 A KR 1020210080936A KR 20210080936 A KR20210080936 A KR 20210080936A KR 20220170195 A KR20220170195 A KR 2022017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inding
touch
gap
v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724B1 (ko
Inventor
안관호
Original Assignee
안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관호 filed Critical 안관호
Priority to KR102021008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7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16B23/0023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substantially cross-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부의 머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 상부가 협소하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확장되는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헤드 공극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경사 공극; 상기 상부 경사 공극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 공극; 및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협소해지도록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공극의 하부측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One-touch binding screws bolts}
본 발명은 나사못 결속 작업 과정에서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원터치로 나사못 결속을 구현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기존 나사못의 결속은 수동 드라이버나 전동 드라이버 등의 공도구를 사용하여 수회 이상의 회전에 의해 결속을 시도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의 나사못은 공도구를 이용하여 수십회의 회전을 거친 후 조임력으로 결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과 조임에 따른 조작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며 값비싼 공구를 써야만 작업이 가능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품조립에 사용되는 나사를 드라이버로 돌려서 조이는 방식의 문제는 공통적으로 조립과정에 나사를 조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조이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나사를 회전하여 조이는 방식을 대체하여 나사를 가격하여 박는 방식으로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345호의 '원터치 나사(One toutch screw bolt)'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원터치 나사의 경우 피조립체의 나사 구멍에 때려 박는 방식으로서 제품 조립에 들어가는 다수의 나사를 동시에 짧은 시간내에 체결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가격에 의해 피조립체의 구조물 또는 나사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못 결속 작업 과정에서의 작업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구조물 또는 나사못의 파손 없이 원터치로 나사못의 결속을 구현할 수 있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345호(공개일2020년10월15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0998호(공개일2006년10월26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나사못 결속 작업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원터치로 나사못 결속을 구현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결속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하여 결속 작업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부의 머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 상부가 협소하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확장되는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헤드 공극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경사 공극; 상기 상부 경사 공극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 공극; 및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협소해지도록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공극의 하부측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포함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못의 머리부로부터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을 없애고 헤드 공극은 나사못 원통을 이루며 그 아래로는 순차적으로 경사 공극, 메인 공극, 꼬리 경사 공극, 꼬리 공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결속을 하기 위해 나사못 본체에 연삭면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양면에 나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한쪽면에 나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양면에 나사를 나누어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양면에 나사를 교차적으로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여러면에 나사를 가지는 홈을 파서 나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나사못 머리부로부터 반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을 없애고 헤드 공극은 나사못 원통을 이루며 그 아래로는 헤드 경사 공극, 메인 공극, 꼬리 경사 공극, 꼬리 공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삼각면에 나사를 내고 나사못 머리부 부분의 마무리는 각도를 두어 결속 불량시 풀 수 있도록 경사를 두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삼각홈을 양면에 내어 그 분리된 양삼각면에 나사를 내고, 상기 나사못 머리부 부분 마무리는 각도를 두어 결속 불량시 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공극에 판 스프링이 안착되는 공극을 두고 그 공극에 판 스프링을 실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공극을 두고 그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을 횡방향으로 실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형성되는 헤드 공극, 상부 경사 공극, 메인 공극; 및 상기 메인 공극의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볼트의 본체에 형성하여 원터치 결속용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나 간단한 기구나 도구 하나로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결속이 가능하여 수십회 회전을 시키는 결속이 필요없고 고가의 전동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물의 단부, 기구, 도구, 가구 등을 결속할 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속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하여 작업시간이 절약되고, 너트가 구비된 박스에 기구나 가구를 결속하는 작업 수행시 작업성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e)는 일측면도, (f)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이 너트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기존 나사못에 별도의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b)는 양쪽면에만 제한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이 너트에 결속되는 결속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기존 나사못에 별도의 공극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도로 나타낸 예시이고, (b)는 양쪽 면에만 제한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극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도로 나타낸 예시로서, 결속을 공고히 하기 위해 헤드 공극을 추가하여 공극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헤드 공극을 없애고 나사못 본체의 꼬리를 가르는 꼬리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a)는 나사못 본체에 연삭면이 형성된 예이고, (b)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가 형성된 예이고, (c)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한쪽면에 나사가 형성된 예이고, (d)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교번적으로 나누어 형성한 예이고, (e)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교차적으로 배치 형성한 예이고, (f)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면에 홈을 파서 나사의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a)는 나사못 본체의 일면에 삼각 형상의 홈을 내어 그 위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예이고, (b)는 (a)의 평면도를 나타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나사못 본체의 양쪽 면에 삼각 형상의 홈을 내어 그 위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공극에 판 스프링이 안착된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이 안착된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나사못의 결속은 수동 드라이버나 전동 드라이버 등의 공도구를 사용하여 수회 이상의 회전에 의해 결속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처럼 기존의 나사못은 공도구를 이용하여 수십회의 회전을 거친 후 조임력으로 결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과 조임에 따른 조작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며 값비싼 고가의 공구를 써야만 작업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즉, 구조물 등의 조립에 사용되는 나사를 드라이버로 돌려서 조이는 방식은 공통적으로 조립과정에 나사를 조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조이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알려진 나사를 가격하여 박는 방식의 원터치 나사의 경우 피조립체의 나사 구멍에 때려 박는 방식으로서 제품 조립에 들어가는 다수의 나사를 동시에 짧은 시간내에 체결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가격에 의해 피조립체의 구조물 또는 나사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나사못 결속 작업 과정에서의 작업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구조물 또는 나사못의 파손 없이 원터치로 나사못의 결속을 구현할 수 있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드라이버나 간단한 기구나 도구 하나로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결속이 가능하여 수십회 회전을 시키는 결속이 필요없고 고가의 전동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한 단부,기구, 도구, 가구 등의 결속이 가능하며 쉽고 간편하여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너트가 구비된 박스에 기구나 가구를 결속하는 작업시 우수한 작업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e)는 일측면도, (f)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이 너트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기존 나사못에 별도의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b)는 양쪽면에만 제한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이 너트에 결속되는 결속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a)는 기존 나사못에 별도의 공극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도로 나타낸 예시이고, (b)는 양쪽 면에만 제한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극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도로 나타낸 예시로서, 결속을 공고히 하기 위해 헤드 공극을 추가하여 공극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서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원터치로 결속할 수 있도록 원터치 공극을 포함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요 부분은, 상부의 머리부(10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협소하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확장되는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헤드 공극(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경사 공극(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경사 공극(11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 공극(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협소해지도록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공극(112)의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머리부(101) 및 나사못 본체(103)에 형성되는 원터치 공극들은 나사못의 머리부(101)를 밀어 넣을수 있게 나사부(102)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작용하여 구조물에 가볍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간단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머리부(101)에 형성된 회전홈에 끼워넣은 뒤 반회전이나 일회전만으로도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을 쉽고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이 너트(200)에 결속되는 결속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머리부(101)를 포함하여 나사못 본체(103)에 형성되는 원터치 공극들은 나사못의 머리부(101)를 밀어 넣을 수 있게 나사부(102)의 수축이 공극이 통해 이루어져 너트(200)나 구조물(A)에 가볍게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을 보인 것으로, 헤드 공극을 없애고 나사못 본체의 꼬리를 가르는 꼬리 공극을 형성한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 머리부(101)로부터 반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110)을 두지 않고, 헤드 공극(110)이 위치하는 자리는 나사못 원통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그 아래로는 순차적으로 상부 경사 공극(111), 메인 공극(112), 꼬리 경사 공극(113), 꼬리 공극(114)으로 원터치 공극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 본체(103)에 형성되는 원터치 공극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과 마찬가지로 구조물에 나사못의 머리부(101)를 끝까지 밀어 넣을수 있도록 나사부(102)의 수축이 가능하여 구조물에 가볍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유도하게 되며, 간단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머리부(101)에 형성된 회전홈에 끼워넣은 뒤 반회전이나 일회전만으로도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을 쉽고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a)(b)(c)(d)(e)(f)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 본체(103)에 다양한 유형의 나사부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나사못 본체에 연삭면이 형성된 예이고, (b)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가 형성된 예이고, (c)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한쪽면에 나사가 형성된 예이고, (d)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교번적으로 나누어 형성한 예이고, (e)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교차적으로 배치 형성한 예이고, (f)는 구조물에 대한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의 면에 홈을 파서 나사의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한 예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103)에 연삭면(104)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103)의 양면에 나사(102)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103)의 한쪽면에 나사(102)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103)의 양면에 나사(102)를 교번적으로 나누어 가지도록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103)의 양면에 나사(102)가 교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대한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103)의 여러 면에 홈을 파서 나사(102)의 기능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a)는 나사못 본체의 일면에 삼각 형상의 홈을 내어 그 위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예이고, (b)는 (a)의 평면도를 나타낸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본체(103)의 일면에 삼각 형상의 홈(105)을 내고 이를 통해 나사산을 갖는 나사부(102)를 구성하되, 나사못 머리부(101) 부분의 마무리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임의의 기울기를 두어 결속 불량 발생시 쉽게 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사못 본체(103)의 면에 나사부(102)를 내고 나사못 머리부(101) 부분의 마무리는 소정의 임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를 두어서 구성하는 경우, 결속 불량이 발생되면 나사부(102) 부분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쉽게 풀고 다시 결속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나사못 본체의 양쪽 면에 삼각 형상의 홈을 내어 그 위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본체(103)의 면에 삼각 형상의 홈(105)을 양면에 내어 분리된 각면에 나사부(102)를 내고, 나사못 본체(103)의 머리부(101) 부분의 마무리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임의의 기울기를 두어 결속 불량 발생시 쉽게 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사못 본체(103)의 면에 홈(105)을 내고 그 외부의 면에는 나사ㅂ부02)를 내는 한편 나사못 머리부(101) 부분의 마무리는 소정의 임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를 두어서 구성하는 경우, 결속 불량이 발생되면 나사부(102) 부분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쉽게 풀고 다시 결속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공극에 판 스프링이 안착된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공극에 판 스프링(12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극(121)을 두고 그 공극(121)에 판 스프링(120)을 실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사못 본체(103)의 공극에 판 스프링 공극(121)을 두고 그 공극(121)에 판 스프링(120)을 실장하여 구성하는 경우, 판 스프링(120)의 탄성력을 외부 지향성으로 받아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예시로서,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이 안착된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13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극(131)을 두고 그 공극(131)에 용수철 스프링(130)을 횡방향으로 실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사못 본체(103)의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13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극(131)을 두고 그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130)을 실장하여 구성하는 경우, 용수철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외부 지향성으로 받아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과 같은 원리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용 볼트에 공극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볼트의 상부 머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 상부가 협소하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확장되는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헤드 공극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경사 공극, 그리고, 상부 경사 공극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 공극 및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협소해지도록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공극의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포함하는 원터치 결속용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100)과 같은 원리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용 볼트를 구성하는 경우, 공극에 의해 나사부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작용하여 구조물에 가볍게 밀어 넣을 수 있게되며, 이를 통해 간단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조물에 볼트를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은, 드라이버나 간단한 기구나 도구 하나로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결속이 가능하여 수십회 회전을 시키는 결속이 필요없고 고가의 전동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물의 단부, 기구, 도구, 가구 등을 결속할 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은, 결속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하여 작업시간이 절약되고, 너트가 구비된 박스에 기구나 가구를 결속하는 작업 수행시 우수한 경제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01: 머리부
102: 나사부 103: 나사못 본체
104: 연삭면 105: 홈
110: 헤드 공극 111: 상부 경사 공극
112: 메인 공극 113: 꼬리 경사 공극
114: 꼬리 공극

Claims (14)

  1.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부의 머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 상부가 협소하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확장되는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헤드 공극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경사 공극; 상기 상부 경사 공극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 공극; 및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가면서 폭이 협소해지도록 양방향 대칭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공극의 하부측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포함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의 머리부로부터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을 없애고 헤드 공극은 나사못 원통을 이루며 그 아래로는 순차적으로 경사 공극, 메인 공극, 꼬리 경사 공극, 꼬리 공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결속을 위해 나사못 본체에 연삭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 양면에 나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의 한쪽면에 나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나누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의 양면에 나사를 교차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의 여러면에 나사를 가지는 홈을 파서 나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위해 나사못 머리부로부터 반으로 갈라져 개방된 헤드 공극을 없애고 그 헤드 공극은 나사못 원통을 이루며 그 아래로는 차례대로 헤드 경사 공극, 메인 공극, 꼬리 경사 공극, 꼬리 공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삼각면에 나사를 내고 나사못 머리부 부분의 마무리는 각도를 두어 결속 불량시 풀 수 있도록 경사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하기 위해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본체에 삼각홈을 양면에 내어 그 분리된 양삼각면에 나사를 내고, 상기 나사못 머리부 부분 마무리는 각도를 두어 결속 불량시 풀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나사못 본체의 공극에 판스프링 공극을 두고 그 공극에 판 스프링을 실장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나사못 본체의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 공극을 두고 그 공극에 용수철 스프링을 횡방향으로 실장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에 형성되는 헤드 공극, 상부 경사 공극, 메인 공극; 및 상기 메인 공극의 말단부에 형성된 꼬리 경사 공극을 볼트의 본체에 형성하여 원터치 결속용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KR1020210080936A 2021-06-22 2021-06-22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KR10264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36A KR102649724B1 (ko) 2021-06-22 2021-06-22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36A KR102649724B1 (ko) 2021-06-22 2021-06-22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95A true KR20220170195A (ko) 2022-12-29
KR102649724B1 KR102649724B1 (ko) 2024-03-19

Family

ID=8453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936A KR102649724B1 (ko) 2021-06-22 2021-06-22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7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65U (ko) * 1995-06-29 1997-01-24 김충환 체결이 용이한 나사못
KR20060110998A (ko) 2005-04-2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류
US20190040899A1 (en) * 2017-08-04 2019-02-07 Yi-Chang Wu Pressing-type screw
KR20200118345A (ko) 2019-04-07 2020-10-15 조성현 원터치나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65U (ko) * 1995-06-29 1997-01-24 김충환 체결이 용이한 나사못
KR20060110998A (ko) 2005-04-2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류
US20190040899A1 (en) * 2017-08-04 2019-02-07 Yi-Chang Wu Pressing-type screw
KR20200118345A (ko) 2019-04-07 2020-10-15 조성현 원터치나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724B1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3135B2 (ja) ねじとドライバービットの組合せ
JP3271868B2 (ja) ねじ、及びこれ用の締め付け工具
US7814815B2 (en) Tool head structure
AU752248B2 (en) Screwdriver bit and its combination with screw
US8707830B2 (en) Socket
KR20220170195A (ko)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US11685027B2 (en) Non-magneiic locking sleeve
GB2268241A (en) Fastener having recessed,non-circular head
US20040013494A1 (en) Fastener having solid driving structure
US20080141834A1 (en) Socket
JPH11311226A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
KR20210001171U (ko) 비트의 결착이 용이한 비트 교체형 정밀드라이버
KR20060110998A (ko) 스크류
JP4197546B2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
JP3852089B2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
CN211715506U (zh) 一种塑胶制品用的自攻螺钉
JPS6323012A (ja) ネジ
WO2007131730A1 (en) Screw or bolt with a recess in their head and driver for engaging the rec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head
KR100324307B1 (ko) 육각 렌치 볼트 드라이버
KR200238381Y1 (ko)
KR200191344Y1 (ko) 다목적 드라이버와 보조공구
KR200233603Y1 (ko) 렌치볼트
AU2010101278A4 (en) Socket
KR20230045813A (ko) 다각안착홈이 형성된 체결피스 및 그 체결비트
WO2021056169A1 (en) Anti-theft screw and driving too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