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112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112A
KR20220170112A KR1020210080737A KR20210080737A KR20220170112A KR 20220170112 A KR20220170112 A KR 20220170112A KR 1020210080737 A KR1020210080737 A KR 1020210080737A KR 20210080737 A KR20210080737 A KR 20210080737A KR 20220170112 A KR20220170112 A KR 2022017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alog
user
party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혁
Original Assignee
문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혁 filed Critical 문상혁
Priority to KR102021008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112A/ko
Publication of KR2022017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픽토그램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Method and application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travelers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여행객이 다른 국가를 여행할 때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어가 다른 사람과 의사 소통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화 추세에 따른 해외 여행의 증대에 따라, 세계 각국의 여행객들이 우리나라를 방문하고 있고, 그 반대로 우리나라의 여행객들도 세계 각국을 방문하고 있다.
외국을 여행하는 여행객은 여행지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익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의 경우 한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식당이나 숙소를 찾아갔을 때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화자 사이에 언어가 다른 경우, 손발짓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상대방의 손발짓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중요한 대화나 자주 쓰는 대화를 적어놓은 노트나 스마트폰의 텍스트앱을 통해서 대화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미리 적어놓은 대화만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해당 상황에 맞는 대화를 직접 찾거나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성 또는 텍스트 기반의 번역앱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하나, 번역의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44905호 (2006.0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등을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픽토그램이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관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행지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여행객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픽토그램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다이얼로그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의 언어로 된 텍스트가 정방향으로 병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입력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출력되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화 상대방에 의해 상기 상대방 입력키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입력키에 해당하는 후행 다이얼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후행 다이얼로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입력키 및 사용자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는, 물건의 가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입력키 및 사용자 입력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이얼로그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토그램은 호텔 체크인, 호텔 체크 아웃, 호텔 내 시설, 물건 구매, 가격 흥정, 환전, 카드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토그램은 음식에서 제외하고 싶은 복수의 식자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상기 식자재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을 음식에서 제외해 달라는 주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애플케이션으로서,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픽토그램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출력된 픽토그램을 통해 여행객과 현지인이 직관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행지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여행객의 여행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디스플레이에 텍스트로 출력하여 대화 상대방이 여행객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이얼로그를 디스플레이에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대화 상대방이 다이얼로그를 쉽고 편리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상대방 입력키를 역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여행객과 그 대화 상대방이 보다 편리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과 관련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픽토그램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1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2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3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4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5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은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이용하 것으로서, 이하 설명되는 단계들은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은 모바일 기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에 저장되고,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여행지에 관한 복수의 픽토그램(pictogram)을 모바일 기기(10, 도 2 참조)의 디스플레이(11, 도 2 참조)에 표시한다(S11). 픽토그램은 어떤 사람이 보더라도 같은 의미로 통할 수 있는 그림으로 된 언어체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형태를 갖는다.
도 2는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 가능한 픽토그램의 일 예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공항(21), 호텔(22), 음식(23), 거래(24), 바다(25), 산(26), 와이파이(27, Wi-Fi), 구급 요청(28) 등을 표시하는 픽토그램들이 예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2는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 표시 가능한 픽토그램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예시된 픽토그램들 중 일부는 하위 수준의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상위 메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21)이나 호텔(22)에 해당하는 픽토그램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항목의 하위 수준의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1 작동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메인 화면(도 2 참조)의 호텔(22)을 선택하였을 때 그 하위 수준의 메뉴로 진입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a)와 같이 호텔(22) 항목의 하위 수준 메뉴로 진입하면, 하위 수준의 항목으로서 호텔 체크인(29), 호텔 체크 아웃(30), 호텔 내 시설인 주점(31)이나 식당(32) 등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호텔 체크인(29)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b)와 같이 하위 항목인 예약 확인(33), 예약 문의(34), 기타 문의(35) 등의 다이얼로그를 나타내는 픽토그램들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 픽토그램들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기설정된 다이얼로그(36)를 디스플레이(11)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한다(S12, 도 1 참조).
예를 들어, 미국인 여행객 사용자가 한국을 방문한 경우, 여행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한국어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다이얼로그(36)는 한국어로 역방향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의 맞은 편에 위치한 대화 상대방은 자국어로 된 다이얼로그(36)를 정방향으로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얼로그(36)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의 언어로 된 텍스트가 정방향으로 병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인 여행객 사용자는 한국어 다이얼로그(36)와 함께 병기되는 언어로 영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출력되는 한국어 다이얼로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얼로그(36)의 출력시 여행지의 지역어로 된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와 같이 사용자가 예약 문의(34)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한 경우, "빈 방 있나요?"라는 한국어 다이얼로그(36)가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그에 해당하는 영어 다이얼로그(36a)가 정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다이얼로그(36)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37)를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한다(S13, 도 1 참조). 상대방 입력키(37)는 상대방의 답변의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텍스트의 경우 여행지의 언어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대화 상대방은 상대방 입력키(37)의 형태를 정방향으로 보면서 입력할 수 있다.
도 3의 (c)의 경우 이러한 상대방 입력키(37)로서, 더블, 트윈, 트리플, 온돌 등의 룸 형태에 관한 텍스트들과, 사람추가, 조식, 세탁, 방안내, 퇴실시간 등에 관한 텍스트를 역방향으로 출력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때, 대화 상대방이 용이하게 답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대방 입력키(37)를 대화 상대방과 가까운 위치인 디스플레이(11)의 상단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대방 입력키(37)는 다이얼로그(36)를 출력한 후 출력할 수도 있으나, 다이얼로그(36)의 출력과 동시에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2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제1 작동예에서 이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대화 상대방이 상대방 입력키(37) 중 하나를 입력함에 따라 해당 입력키(37)에 대한 후행 다이얼로그(39)를 디스플레이(11)에 출력한다. 이 때 후행 다이얼로그(39) 또한 다이얼로그(36)와 마찬가지로 역방향으로 여행지의 언어로서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언어로 된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39a) 또한 정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39a)를 통해 상대방 답변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후행 다이얼로그(39)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키(38)를 정방향으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키(38)는 후행 다이얼로그에 대한 사용자의 예상 가능한 재답변들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사용자 입력키(38)는 1D, 2D, 3D 등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1 Day, 2 Day, 3 Day 등 숙박 예정인 숙박일수를 나타내도록 설정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입력키(38)는 "Y", "N", "P", "?"와 같은 문자나 기호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Y"는 "Yes", "N"은 "No", "P"는 "Pay", "?"는 "I am sorry, but I don't know"와 같은 답변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대방 입력키(37)와 사용자 입력키(38)는 디스플레이(11)의 다이얼로그 표시 영역(예를 들어,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입력키(37)는 디스플레이(11)의 상단에, 사용자 입력키(38)는 디스플레이(11)의 하단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입력키(38) 중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후행 다이얼로그(39)에 대한 사용자 답변(40)을 디스플레이(11)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 답변(40)은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 언어(예를 들어, 영어)로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40a)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대화 상대방이 "온돌"에 해당하는 상대방 입력키(37)를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온돌방 있어요"라는 후행 다이얼로그(39)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1D"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키(38)를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하루 묵을께요"라는 사용자 답변(40)을 출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 복수개의 픽토그램이 표시되고,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항목의 하위 수준의 픽토그램들로 구성된 메뉴로 진입하는 경우로서 다이얼로그를 나타내는 픽토그램들을 가장 하위 수준의 메뉴에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메인 화면 상에 다이얼로그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바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메인 화면에서 와이파이(27)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이 선택되는 경우, "와이파이 AP(Access Point)가 어디에 있습니까?"와 같은 다이얼로그를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3 작동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메인 화면(도 2 참조)의 거래(24)를 선택하였을 때 그 하위 수준의 메뉴로 진입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의 (a)와 같이 거래(24) 항목의 하위 수준 메뉴로 진입하면, 하위 수준의 항목으로서 물건 구매(41), 가격 흥정(42), 환전(43), 카드 결제(44) 등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그와 관련된 기설정된 다이얼로그(45)를 디스플레이(11)에 여행지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고, 해당 다이얼로그(44)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위한 상대방 입력키(46)를 역방향으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b)와 같이, 상대방 입력키(46)로서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출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격 흥정(40)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한 경우, "이거 얼마에요?"라는 다이얼로그(45)가 디스플레이(11)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 설정 언어로 된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45a)를 정방향으로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건의 가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숫자 키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키(46)를 역방향(46)으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키(46) 입력에 따른 후행 다이얼로그(48)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키(47) 또한 정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키(46)를 표시할 때 사용자 입력키(47)는 동시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입력키(47)로서, "O", "B", "T"를 디스플레이(11)에 출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여기서 "O"는 "Okey", "B"은 "Buy it", "T"는 "Thank you"라는 답변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키(46)를 통해 물건의 가격을 입력하면, (c)와 같이 "1000원입니다"와 같은 후행 다이얼로그(48)를 디스플레이(11)에 출력할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48a)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O", "B", "T" 중 하나의 답변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답변이 디스플레이(11)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B" 키를 선택한 경우, "그거 살게요(Buy it)"라는 답변을 다이얼로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4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가격 흥정(42)에 해당하는 픽토그램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격 흥정(42)에 해당하는 픽토그램을 선택함에 따라, (a)와 같이, 그에 해당하는 "할인해 주세요"라는 다이얼로그(49)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그리고, (b)와 같이, 대화 상대방, 즉, 판매자가 물건의 가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형태의 상대방 입력키(46)를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한다.
이 때 사용자 또한 물건의 가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키(50)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판매자와 사용자가 각자 키패드에 물건 가격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물건 가격에 대한 흥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 상대방이 입력한 물건 가격은 디스플레이(11) 중앙의 다이얼로그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상대방 키패드의 숫자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설정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판매자와 사용자는 물건의 가격이나 자신이 원하는 가격을 상대방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물건 가격 뿐만 아니라 가격 흥정에 필요한 대화 내용을 나타내는 상대방 입력키(51)를 디스플레이(11)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11)의 상단에 "더", "안", "거" 등의 상대방 입력키(51)를 역방향으로 출력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더", "안", "거"는 "더사면요", "안돼요", "거래합시다"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사용자의 재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키(47)를 디스플레이(11) 하단에 출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O", "B", "T" 키를 디스플레이(11)의 하단에 정방향으로 출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예시한 제5 작동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메인 화면(도 2 참조)의 음식(23)을 선택하였을 때 그 하위 수준의 메뉴로 진입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음식(23)의 하위 수준 메뉴로 진입하면, 하위 수준의 항목으로서 예약 확인(52), 식자재 제외 요청(53), 주류 주문(54), 화장실 위치 확인(55) 등을 나타낸 픽토그램을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약 확인(48), 주류 주문(50) 등의 픽토그램을 선택하면, 그와 관련된 기설정된 다이얼로그를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상대방 입력키를 정방향으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식자재 제외 요청(54)을 선택하는 경우, (b)와 같이, 그 하위 수준의 메뉴로서 주문한 음식에서 제외하고 싶은 식자재를 나타내는 복수의 픽토그램(56)을 출력한다. 이러한 픽토그램(56)은 돼지고기, 소고기, 생선, 우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면, (c)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식자재(예를 들어, 돼지, 생선, 우유)를 음식에서 제외해 달라는 다이얼로그(57)를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 설정 언어(예를 들어, 영어)로 된 사용자 언어 다이얼로그 57a)를 함께 정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위한 상대방 입력키(58), 예를 들어, "Y", "N", "T" 등을 디스플레이(11)에 역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위한 사용자 입력키(59)를 정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입력키(58)로서 "F", "P", "T"를 출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여기서 "F"는 "Fried rice", "P"은 "Pay", "T"는 "Thank you"라는 답변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바일 기기 11: 디스플레이
21~35: 픽토그램 36: 다이얼로그
37: 상대방 입력키 38: 사용자 입력키
39: 후행 다이얼로그

Claims (9)

  1.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픽토그램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의 언어로 된 텍스트가 정방향으로 병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입력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출력되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대화 상대방에 의해 상기 상대방 입력키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입력키에 해당하는 후행 다이얼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후행 다이얼로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입력키 및 사용자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는,
    물건의 가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입력키 및 사용자 입력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이얼로그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토그램은 호텔 체크인, 호텔 체크 아웃, 호텔 내 시설, 물건 구매, 가격 흥정, 환전, 카드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토그램은 음식에서 제외하고 싶은 복수의 식자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상기 식자재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을 음식에서 제외해 달라는 주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9. 모바일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애플케이션으로서,
    여행지의 시설, 장소, 환경, 상황, 행위,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징하도록 도안화된 복수개의 픽토그램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픽토그램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픽토그램과 관련된 다이얼로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여행지의 언어로서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입력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역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애플리케이션.
KR1020210080737A 2021-06-22 2021-06-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17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37A KR20220170112A (ko) 2021-06-22 2021-06-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37A KR20220170112A (ko) 2021-06-22 2021-06-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12A true KR20220170112A (ko) 2022-12-29

Family

ID=8453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37A KR20220170112A (ko) 2021-06-22 2021-06-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1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905B1 (ko) 2005-06-09 2006-01-24 김성남 여행자를 위한 의사소통 지원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905B1 (ko) 2005-06-09 2006-01-24 김성남 여행자를 위한 의사소통 지원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8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transaction without the use of spoken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action parties
US20240179499A1 (en) Mobile device with applications that use a common place card to display data relating to a location
Medhi et al. A comparison of mobile money-transfer UIs for non-literate and semi-literate users
US9613030B2 (en) Device orientation based translation system
US20130187850A1 (en) Mobile device display content based on shaking the device
US20130241852A1 (en) Use of touch and gestures related to tasks and business workflow
US2015014321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third party platforms via a messaging application
US20080028289A1 (en) Form filling lens
US11138240B2 (en) Personalized automatic tagging
US20170286379A1 (en) Generating and rendering inflected text
JP6141483B1 (ja) 音声翻訳装置、音声翻訳方法、及び音声翻訳プログラム
KR20220170112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JP2020149676A (ja) 電子カードトランザクションのための言語選択
JP7134357B2 (ja) 1つまたは複数のコンピュ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から利用可能なアクションを選択し、ユーザに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1024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여행객의 의사소통 지원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US10460325B2 (en) Customer service dashboard
TW201629796A (zh) 資訊多語言轉換系統
US20220067684A1 (en) Point-of-sale terminal transfer
CN115220828A (zh) 侧边栏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Henderson et al. From parking meters to vending machines: A study of usability issues in self-service technologies
Darzentas et al. Standards, guidelines and legislation related to self-service technologies: developments since 2013
JP2020129254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Rayed et al. MFS Design in Appstore-enabled Smart Featurephones for Low-literate, Marginalized Communities
JP4633937B2 (ja) 複数言語変換装置、複数言語変換方法及び複数言語変換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WO2018138664A1 (en) Embedding interactive elements in the content and user interaction with the interactive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