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711A - Shade clasp denture - Google Patents

Shade clasp den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711A
KR20220169711A KR1020210080138A KR20210080138A KR20220169711A KR 20220169711 A KR20220169711 A KR 20220169711A KR 1020210080138 A KR1020210080138 A KR 1020210080138A KR 20210080138 A KR20210080138 A KR 20210080138A KR 20220169711 A KR20220169711 A KR 2022016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eth
denture
ring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9628B1 (en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102021008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628B1/en
Publication of KR2022016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4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de clasp denture, in which a ring caught and fixated to the user's teeth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teeth so as to look like teeth when the user speaks or smiles with the mouth open,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and also increasing the user's confidence.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a fixating unit fixated to the body unit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teeth of the user to fixate the body unit; a plurality of dentur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dy unit; and a ring unit fixated to the body unit and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teeth, wherein the ring unit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user's teeth.

Description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SHADE CLASP DENTURE}Shade clasp denture {SHADE CLASP DENTURE}

본 발명은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치아에 걸려 고정되는 고리를 해당 치아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자신감있게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도록 할 수 있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de clasp den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de clasp that allows a user to speak confidently or smile with an open mouth by forming a ring fixed to a user's tooth in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tooth. It's about Denture.

일반적으로, 치아의 일부가 상실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틀니는 사용자의 이빨과 잇몸의 형틀을 뜬 후, 형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적절한 형태의 의치를 고정하여 제작된다.In general, dentures used by users who have lost some of their teeth are manufactured by opening a mold of the user's teeth and gums, forming a main body by applying a synthetic resin to the mold, and fixing a denture of an appropriate shape to the main body.

이때, 상기 본체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high strength.

따라서,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잇몸에 고정하면 상기 의치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실된 이빨의 기능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user's gums, the dentur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functions as a missing tooth.

한편, 이러한 틀니는 상기 본체가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 사용시 본체가 사용자의 잇몸을 강하게 가압하여 잇몸에 통증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체가 잇몸에 잘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body of such a dentur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high strength, the main body strongly presses the user's gums during use, causing pain in the gum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main body to be well fixed to the gum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가 적절한 탄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플렉시블 덴처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은 바 있다.(등록특허 제10-1636952호)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d registered a patent for a flexible denture in which the main body is made of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gistration Patent No. 10-1636952)

한편, 이러한 플렉시블 덴처는 앞니는 남아있고 어금니 부분이 상실된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flexible denture is mainly used by patients who have lost molars while remaining front teeth,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and significantly reducing pain felt by the user.

그러나, 이러한 플렉시블 덴처는 상기 본체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본체가 잇몸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음식물을 씹는 저작활동중에 본체가 유동되어, 사용자의 잇몸을 자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main body of such a flexible denture is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pain felt by the user in a general situation is remarkably reduc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 body moves and stimulates the user's gums, thereby causing pain.

특히, 이러한 플렉시블 덴처는 몸체가 일정한 핑크색으로 구성됨으로, 쉽게 눈에 띄고 심미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body of such a flexible denture is configured in a constant pink color, it is easily noticeable and has problems that are not aesthetically pleasing.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한편, 이러한 플렉시블 덴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앞니는 남아있고 양측의 어금니만 상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user using such a flexible denture, there are many cases where only the molars on both sides are lost while the front teeth remain.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투명 플렉시블 덴처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은 바 있다.(등록특허 제10-1987251호)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d registered a patent for a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to solve these problems. (Registration Patent No. 10-1987251)

이러한 투명 플렉시블 덴처는 사용자가 착용을 하면, 고정부재가 사용자의 앞니 후측면에 고정되어, 본체 특히, 좌 우측 고정부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 저작활동중에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is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is worn by the user,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front teeth, supporting the main body, especially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so that they do not move,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pain during chewing activities. There are advantages.

그러나, 이러한 투명 플렉시블 덴처는 고리부가 투명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을 때에 상대방에게 그대로 노출되어 덴처를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각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hook part of such a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is transparent, when the user speaks or smiles with his mouth open, it is exposed to the other par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scovered that he is wearing the denture.

따라서, 사용자는 말을 하거나 웃을 때에 덴처를 착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각되지 않기 위해 항상 신경을 써야 했으며, 일상생활을 하는데 자신감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user ha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 or she is wearing the denture when talking or laughing, and loses confidence in daily life.

등록특허 10-1636952호Registered Patent No. 10-1636952 등록특허 10-1636952호Registered Patent No. 10-163695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치아에 걸려 고정되는 고리를 해당 치아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을 때에 치아 처럼 보여지도록 할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forming a ring fixed to the user's teeth in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teeth, so that the user can look like teeth when talking or smiling with his mouth ope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ade clasp denture that can improve aesthetics and instill confidence in users.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앞니 후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본체부에 일정패턴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의치;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치아 외측 둘레부에 걸리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a fixing unit fixed to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teeth of the user to fix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entur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dy portion; and a hook part fixed to the body part and caught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teeth, wherein the hook part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user's teeth.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색상의 레진의 표면에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대응되는 레진분말을 표면에 도포하여 250℃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사출에 의해 고리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ing portion is formed by applying resin powd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to the surface of a flexible and transparent resin, melting it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and then molding into a ring shape by injection do.

또한, 상기 고리부는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색상의 레진의 표면에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대응되는 포세라인 분말을 표면에 도포하여 250℃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사출에 의해 고리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ing part is coated with porcelain powd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on the surface of a flexible and transparent resin, heated to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melted, and then molded into a ring shape by injection is formed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매립되는 심재를 더 포함한다.And, the ring part further includes a core material embedded in the main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는, 사용자의 치아에 걸려 고정되는 고리를 해당 치아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을 때에 치아 처럼 보여지도록 할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자신감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ing that is fixed to the user's teeth in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teeth, so that when the user speaks or smiles with his mouth open, it can be seen like teeth, improving aesthetics, and user It has the effect of giving you confidence in your daily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에 적용된 고리부 및 심재를 형성하기 위한 레진공급모듈 및 성형틀을 도시한 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에 적용된 정착부를 도시한 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of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ade clasp denture is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15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resin supply module and a molding frame for forming a ring portion and a core material applied to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show a fixing unit applied to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에 적용된 고리부 및 심재를 형성하기 위한 레진공급모듈 및 성형틀을 도시한 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에 적용된 정착부를 도시한 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3 shows a fixing member of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ade clasp denture is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15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resin supply module and a molding frame for forming a ring portion and core material applied to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 and 18 show a fixing unit applied to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ed dia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는 본체부(10)와, 고정부(20)와, 의치(30) 및 고리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ody part 10, the fixing part 20, the denture 30, and the ring part 15.

이때, 도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쉐이드 클래프스 덴처가 앞니(1)와 송곳니는 남은 상태로 양측의 어금니가 상실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At this time, the figure illustrates that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who has lost both molars while leaving the incisors (1) and canines.

본체부(10)는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레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좌우측 어금니 부분의 잇몸(2)에 결합고정되는 좌우측 고정부(11,12)와, 양단이 후측으로 연장된 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잇몸(2)의 전방 후측면에 밀착되며 양단이 좌우측 고정부(11,12)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generally used in dentistry, and includes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11 and 12 coupled and fixed to the gums 2 of the left and right molars of the user, and an arc having both ends extending to the rear. It is composed of a shap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ser's gum 2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3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11 and 12.

좌우측 고정부(11,12)는 하측면에 사용자의 양측 잇몸(2)에 대응되는 오목부(14)(미도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금니 부분의 잇몸(2)의 상측 둘레부를 덮을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have concave portions 14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gums 2 on both sides of the user on the lower side, and can cover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gums 2 of the user's molars. there is.

또한, 좌우측 고정부(11,1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잇몸(2)의 색으로 착색된 착색부(16)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olored portion 16 colored in the color of the user's gum 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11 and 12 .

착색부(16)는 좌우측 고정부(11,12)의 외측면을 갈아내 오목홈(16a)을 형성한 후, 오목홈(16a)에 유색의 합성수지를 매립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ed part 16 may be formed by grind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to form the concave groove 16a, then burying colored synthetic resin in the concave groove 16a and then curing it.

이때, 오목홈(16a)에 매립되는 유색의 합성수지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에 도료를 혼합하여 사용자의 잇몸(2)의 색과 동일한 분홍색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합성수지의 색은 사용자의 잇몸(2)의 색상에 따라 농도와 밝기가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colored synthetic resin embedded in the concave groove 16a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pink color as the color of the user's gums 2 by mixing a paint with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and the color of the synthetic resin is the user's gums 2 ), the density and brightnes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lor.

고정부(20)는 사용자의 앞니(1)의 후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앞니(1)의 후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21)와, 고정부재(2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측 고정부(11,12)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2)와, 삽입부(22)에서 측방향 상측으로 연장되어 의치(30)의 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바(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0 is configur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front teeth 1, and the fixing member 21 coupl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front teeth 1, and the fixing member 21 An insertion portion 22 extending rearwardly from both ends of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11 and 12,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22 extending up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insertion portion 22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denture 30 It may be composed of a fixing bar (23).

의치(30)는 일반적인 어금니의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면에는 고정바(23)가 삽입되는 결합홈(31a)이 형성된 의치본체(31)부(10)와, 결합홈(31a)에 충진되어 고정바(2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레진(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nture 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molar, and the denture body 31 portion 10 having a coupling groove 31a into which the fixing bar 23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oupling groove 31a is filled and fixed A fixing resin 32 for fixing the bar 23 so as not to move may be included.

고정용 레진(32)은 복합재료로 구성되어, 재료를 혼합하면 처음에는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어 결합홈(31a)에 삽입된 고정바(2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The fixing resin 32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and when the materials are mixed, it can be molded freely at first, but is hardened over time and fixed so that the fixing bar 23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1a does not move.

이러한 고정용 레진(32)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various types of fixing resin 32 are developed and used for medical purpose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고리부(15)는 좌우측 고정부(11,12)의 전단부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사용자의 치아 중에서 가장 후측에 위치된 치아(1a)의 외측 둘레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된다.The ring part 15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respectively, and is fixed in such a way that it is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oth 1a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among the user's teeth.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를 착용하면 고리부(15)가 사용자의 치아(1a)에 걸려 좌우측 고정부(11,12)의 전단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 저작 활동시 좌우측 고정부(11,12)가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리부(15)가 눈에 잘 띄지 않아서, 심미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shade clasp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hook part 15 is caught on the user's tooth 1a and fixed so th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do not move, so that the chewing activ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from flowing, and the ring part 15 is not conspicuous, so aesthetics are further improved.

나아가, 고리부(15)는 본체부(10)의 내부에 매립되는 심재(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ring part 15 may further include a core material 151 embedded in the body part 10 .

심재(15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리부(15)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core material 151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thickness, an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ring part 15.

심재(151)는 본체부(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됨으로, 고리부(15)가 본체부(10) 상에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사용자의 치아(1a)에 걸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core material 151 is embedded and fix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the ring portion 15 is stably fixed on the body portion 10 so as to continuously maintain a state caught on the user's tooth 1a. do.

이러한 고리부(15)는 사용자의 치아(1a)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ng portion 15 may be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1a.

일 예로, 고리부(15)는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색상의 레진(4)의 표면에 사용자의 치아(1a) 색상과 대응되는 레진분말(5)을 표면에 도포하여 250℃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사출에 의해 고리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ing part 15 applies resin powder 5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ooth 1a to the surface of the flexible and transparent resin 4, and heats it to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After melting, it can be molded into a ring shape by injection.

구체적으로, 레진(4)은 소정 투명도를 가진 색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레진이며, 알갱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sin 4 is a dental resin formed in a color having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and may be formed in a granular form.

레진(4)은 고리부(15) 및 심재(15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여러 알로 적용될 수 있다.The resin 4 may be applied in several pieces to form the ring portion 15 and the core material 151 .

즉, 사용자에 따라 고리부(15) 및 심재(151)의 길이나 크기가 상이하므로, 레진(4)은 사용자에 따라 그 적용개수가 상이해질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engths and sizes of the ring part 15 and the core material 151 are different for each user,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resin 4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레진분말(5)은 치아(1a)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The resin powder 5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at of the tooth 1a.

레진분말(5)은 레진(4)의 표면 전체에 고루게 도포된다.The resin powder 5 is evenly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resin 4 .

알갱이 형상을 이루는 레진(4)들의 표면에 레진분말(5)을 각각 고루게 묻힌 다음, 도 에 도시된 레진공급모듈(50)을 통해 고리부(15) 및 심재(15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성형공간(60a)을 갖는 성형기의 성형공간(60a)에 레진(4)들을 투입하면 된다.After the resin powder 5 is evenly buri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s 4 constituting the granular shape,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ng part 15 and the core material 151 is formed through the resin supply module 50 shown in FIG. The resins 4 may be injected into the molding space 60a of the molding machine having the molding space 60a.

이때, 레진공급모듈(50)은 레진(4)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위치한 레진(4)을 성형틀(60)의 성형공간(60a)으로 공급하는 피스톤(51)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in supply module 5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resins 4 are accommodated and a piston 51 supplying the resin 4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molding space 60a of the molding mold 60. there is.

아울러, 수용공간에 위치한 레진(4) 및 레진(4)에 도포된 레진분말(5)은 레진공급모듈(50) 외부로부터 별도의 히팅장치를 통하여 250℃ 내지 350℃의 온도로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피스톤(51)이 용융된 상태의 레진(4)을 성형공간(60a)에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sin 4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resin powder 5 applied to the resin 4 are heated to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through a separate heating devi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n supply module 50 and melted. state, and the piston 51 supplies the molten resin 4 to the molding space 60a.

성형공간(60a)은 도 의 고리부(15) 및 심재(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 치아(1a)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고리부(15) 및 심재(151)를 제조할 수 있다.The forming space 60a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15 and the core material 151 of FIG. can do.

이때, 레진분말(5)의 색상은 사용자의 치아(1a)의 색상에 따라 농도와 밝기가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resin powder 5 is adjusted in density and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1a.

여기서, 레진분말(5)은 비교적 밝은 색과 농도를 띄는 A2 모델이나 A2에 비해 어두운 색과 농도를 띄는 A3, A3.5, A4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s the resin powder 5, any one of A2 model, which has a relatively bright color and density, or A3, A3.5, and A4, which has a darker color and density than A2, can be used.

고리부(15)를 사용자의 치아(1a)에 고정 시 치아(1a)와 동일한 색상을 띄어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을 때에 상대방에게 고리부(15)가 치아(1a) 처럼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ring part 15 is fixed to the user's tooth 1a, the same color as the tooth 1a is used so that the ring part 15 can be seen as the tooth 1a to the other party when talking or smiling with the mouth open.

따라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말을 하거나 입을 벌려 웃도록 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자신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사회생활을 보다 활동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have confidence in daily life, such as allowing the user to comfortably talk or open one's mouth to smile, and to be more active in social life.

다른 일 예로, 전술한 레진분말(5) 대신 포세라인 분말로 대체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porcelain powder may be substituted for the resin powder 5 described above.

포세라인은 일반적으로 치공업에서 인조 앞니(1)나 도자기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porcelain is generally used as a material for making artificial front teeth (1) or ceramics in the dental industry,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레진분말(5) 대신 포세라인 분말로 고리부(15) 및 심재(151)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고리부(15)가 치아(1a)와 동일한 색상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Even when the ring part 15 and the core material 151 are formed with porcelain powder instead of the resin powder 5, the ring part 15 can be shown in the same color as the tooth 1a.

부가적으로, 심재(15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정착부(40a,40b)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xing parts 40a and 40b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151 at regular intervals.

정착부(40a,40b)는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s 40a and 40b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예를 들어 정착부(40a,40b)는 합성수지 또는 고리부(1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parts 40a and 40b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the same material as the ring part 15 .

정착부(40a,40b)는 심재(151)와 함께 형틀(3)에 접촉되어 본체부(1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The fixing parts 40a and 40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ld 3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151 and be embedded in the body part 10 .

일 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40a)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 the fixing unit 40a may be formed in a coil shape.

후술되는 형틀(3)의 잇몸(2) 부분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도포하면, 정착부(40a)의 코일 자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41a)과 틈새(42a)들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면서 경화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된 고리를 당기더라도 코일 형상의 정착부(40a)가 저항하게 되어 심재(151)가 본체부(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결국 고리부(15)가 본체부(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is applied to the gum 2 of the mold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ner space 41a and gaps 42a formed in the coil of the fixing unit 40a are filled with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Since the amide resin naturally permeates and hardens, the coil-shaped fixing part 40a resists even if the r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pulled, so that the core material 151 remains stably embedded in the body part 10, , After all,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ring part 15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10 and maintains a stable fixed state.

다른 일예로 정착부(40b)는 단순 막대나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unit 40b may be formed in a simple bar or pin shape.

따라서, 정착부는 심재(151)의 둘레면에 마치 나뭇가지 처럼 배치된다.Accordingly, the fixing unit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151 like a branch of a tree.

그리고, 정착부(40b)에는 복수개의 통공(41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b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part 40b.

형틀(3)의 잇몸(2) 부분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도포하면, 통공(41b)들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면서 경화되기 때문에 본체부(10)와 정착부(40b)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When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is applied to the gum 2 part of the mold 3, the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naturally permeates into the through holes 41b and hardens, so that the body part 10 and the fixing part 40b ) can b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된 고리부(15)를 당기더라도 정착부(40b)가 저항하게 되어 심재(151)가 본체부(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결국 고리부(15)가 본체부(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even if the ring part 15 exposed to the outside is pulled, the fixing part 40b resists, so that the core material 151 remains stably embedded in the body part 10, and eventually the ring part (15)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 and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fixed state.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ade clasp den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의 이빨, 즉, 앞니(1)와, 잇몸(2) 전체의 형을 떠서 형틀(3)을 제작한다.First, the mold 3 is manufactured by taking a mold of the user's teeth, that is, the front teeth 1 and the gum 2 as a whole.

이때, 형틀(3)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잇몸(2)의 형태와, 상실되지 않고 남아있는 이빨, 즉, 앞니(1)의 형태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mold 3 has the shape of the user's gums 2 and the teeth remaining without being lost, that is, the shape of the front teeth 1,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의 원료가 되는 금속재료를 가열한 후 형틀(3)의 이빨, 즉, 앞니(1)의 후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고정부재(21)와 삽입부(22)를 형성하고, 제작된 삽입부(22)의 둘레면에 고정바(23)를 용접결합함으로써, 고정부(20)를 제작한다.And,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heating the metal material that is the raw material of the fixing part 20, by adhering to the teeth of the mold 3,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teeth 1, the fixing member 21 and The fixing part 20 is manufactured by forming the insertion part 22 and welding the fixing bar 23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ufactured insertion part 22.

이때, 삽입부(22)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틀(3)에 의 잇몸부분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도록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22 is manufactured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gum portion of the mold 3,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및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틀(3)에 고정된 고정부(20)에 심재(151)만 접촉시키고 본체부(10)의 원료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좌우측 고정부(11,12)와 연결부(13)를 제조한다.And, as shown in the drawings, only the core material 151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20 fixed to the mold 3, and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body part 10, is applied to a certain thickness. By doing so,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and the connecting part 13 are manufactured.

이때, 고리부(15)는 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치아(1a)에 걸릴 수 있고, 심재(151)는 본체부(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리부(15)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아울러, 연결부(13)는 형틀(3)의 잇몸(2)부분의 전방 후측면을 덮으면서, 상면이 고정부재(21)의 하측면에 접착고정된다.At this time, the ring portion 15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d can be caught on the user's teeth 1a, and the core material 151 is embedded in the body portion 10 to form a ring portion 15. It ensures structural stability.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13 cover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m 2 of the mold 3, and the upper surface is adhesive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1.

그리고, 좌우측 고정부(11,12)는 형틀(3)의 잇몸(2)부분에서 어금니가 상실된 부분의 내외측을 덮으면서, 고정부재(21)의 삽입부(22)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are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art 22 of the fixing member 21 is buried inside while cover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art where the molar is lost in the gum 2 part of the mold 3 do.

이와 같이, 형틀(3)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시켜 본체부(10)를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의 투명 플랙시블 덴처의 본체부(10)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wa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ody part 10 by applying polyester or polyamide resin to the mold 3 to a certain thickness and curing it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ody part 10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Therefor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그리고, 본체부(10)가 경화되면, 도 및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툴을 이용하여 본체부(10)의 좌우측 고정부(11,12)의 외측면을 적절한 면적으로 갈아내어 오목홈(16a)을 형성하고, 도 및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16a)에 유색의 합성수지를 매립한 후 경화시켜 착색부(16)를 형성한다.Then, when the body portion 10 is cure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body portion 10 are ground to an appropriate area using a tool to make a concave groove ( 16a)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 2 , colored synthetic resin is buried in the concave groove 16a and then cured to form the colored portion 16.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작된 의치본체(31)부(10)(31)의 결합홈(31a)에 고정용 레진(32)을 충진하고, 고정바(23)가 결합홈(31a)에 삽입되도록 의치(30)를 결합한다.And,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fixing resin 32 is filled in the coupling groove 31a of the previously manufactured denture body 31 portion 10 and 31, and the fixing bar 23 The denture 30 is coupled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1a.

그리고, 의치(30)가 고정바(23)에 완전히 결합되면, 제작된 투명 플랙시블 덴처를 마무리가공 및 세척함으로써, 투명 플랙시블 덴처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Then, when the denture 3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fixing bar 23, the fabrica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can be completed by finishing and washing the fabricated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이와 같이 구성된 투명 플랙시블 덴처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앞니(1)의 후측면에 결합되어 본체부(10)를 고정하는 금속재질의 고정부(20)와, 본체부(10)의 상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의치(30)로 구성되고, 본체부(10)는 사용자의 좌우측 어금니 부분의 잇몸(2)에 결합고정되는 좌우측 고정부(11,12)와, 양단이 후측으로 연장된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잇몸(2)의 전방 후측면에 밀착되며 양단이 좌우측 고정부(11,12)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3)를 포함하고, 고정부재(21)는 사용자의 앞니(1)의 후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앞니(1)의 후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21)와, 고정부(20)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우측 고정부(11,12)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2) 및 치아(1a)에 걸리는 형태로 고정되는 고리부(15)로 구성된다.The transparent flexible den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body portion 10,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teeth 1 of the user to fix the body portion 10. It consists of a fixing part 20 and a plurality of dentures 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main body part 10 is coupled to the gums 2 of the left and right molars of the user.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12), and both ends are composed of an arc shape extending to the rear side,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ser's gums (2),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12) (13) ), and the fixing member 21 is composed of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front teeth 1, and the fixing member 21 coupl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front teeth 1; It consists of an insertion part 22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0 and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and a hook part 15 fixed in a form caught on the tooth 1a.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을 하면, 고정부(20)가 사용자의 앞니(1) 후측면에 고정되어, 본체부(10) 특히, 좌우측 고정부(11,12)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 저작활동중에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it, the fixing part 20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teeth 1 of the user, and supports the main body part 10, especially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11 and 12, so that they do not move, so that the chewing activity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pain during the operation.

그리고, 고리부(15)는 해당 고정 치아(1a)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말을 하거나 입을 벌리고 웃었을 때 쉽게 눈에 띄지 않고 심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ing portion 15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fixed tooth 1a, so that it is not easily noticeable when the user speaks or smiles with his mouth open, and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aesthetic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본체부 11,12,30 : 고정부
13 : 연결부 14 : 오목부
15 : 고리부 151 : 심재
16 : 착색부 16a : 오목홈
21 : 고정부재 22 : 삽입부
23 : 고정바 30 : 의치
31 : 의치본체 31a : 결합홈
32 : 고정용 레진 40a,40b : 정착부
41a : 내부공간 42a : 틈새
41b : 통공 50 : 레진공급모듈
51 : 피스톤 60 : 성형틀
60a : 성형공간
10: body part 11, 12, 30: fixing part
13: connection part 14: concave part
15: ring part 151: core
16: coloring part 16a: concave groove
21: fixing member 22: insertion part
23: fixed bar 30: denture
31: denture body 31a: coupling groove
32: fixing resin 40a, 40b: fixing unit
41a: inner space 42a: gap
41b: through hole 50: resin supply module
51: piston 60: forming mold
60a: forming space

Claims (4)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앞니 후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본체부에 일정패턴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의치;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치아 외측 둘레부에 걸리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body part;
a fixing unit fixed to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teeth of the user to fix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enture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dy portion; and
A ring portion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ser's teeth; includes,
The shade clasp denture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색상의 레진의 표면에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대응되는 레진분말을 표면에 도포하여 250℃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사출에 의해 고리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part is formed by applying resin powd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to the surface of a flexible and transparent resin, melting it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and then molding it into a ring shape by injection. clasp den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색상의 레진의 표면에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대응되는 포세라인 분말을 표면에 도포하여 250℃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사출에 의해 고리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portion is formed by applying porcelain powd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user's teeth to the surface of a flexible and transparent resin, melting it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250 ° C to 350 ° C, and then molding into a ring shape by injection. Shade clasp den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매립되는 심재를 더 포함하는 쉐이드 클래스프 덴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ng part further comprises a core material embedded in the main body part.
KR1020210080138A 2021-06-21 2021-06-21 Shade clasp denture KR102639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38A KR102639628B1 (en) 2021-06-21 2021-06-21 Shade clasp den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38A KR102639628B1 (en) 2021-06-21 2021-06-21 Shade clasp den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711A true KR20220169711A (en) 2022-12-28
KR102639628B1 KR102639628B1 (en) 2024-02-23

Family

ID=8453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138A KR102639628B1 (en) 2021-06-21 2021-06-21 Shade clasp den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62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256U (en) * 2004-08-17 2005-01-27 株式会社エース・デンタル Denture with elastic resin floor
JP2010094382A (en) * 2008-10-17 2010-04-30 Hideo Nakagawa Partial denture
KR20110043565A (en) * 2011-03-15 2011-04-27 이한선 Denture, clasp with thermoplastic
KR20110097566A (en) * 2010-05-27 2011-08-31 (주)제너메드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denture
KR101636952B1 (en) 2015-06-05 2016-07-06 이병우 Manufacturing method of suction flexible denture
KR101987251B1 (en) * 2017-12-27 2019-06-10 이병우 flexible denture
KR102254398B1 (en) * 2019-11-28 2021-05-24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256U (en) * 2004-08-17 2005-01-27 株式会社エース・デンタル Denture with elastic resin floor
JP2010094382A (en) * 2008-10-17 2010-04-30 Hideo Nakagawa Partial denture
KR20110097566A (en) * 2010-05-27 2011-08-31 (주)제너메드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denture
KR20110043565A (en) * 2011-03-15 2011-04-27 이한선 Denture, clasp with thermoplastic
KR101636952B1 (en) 2015-06-05 2016-07-06 이병우 Manufacturing method of suction flexible denture
KR101987251B1 (en) * 2017-12-27 2019-06-10 이병우 flexible denture
KR102254398B1 (en) * 2019-11-28 2021-05-24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628B1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823720U (en) Customization tool
US10028805B2 (en) Orthodontic retainer
JP2008054989A (en) Dentition cover
JP4346036B2 (en) Cosmetic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10533A (en) Implant structure
WO2015194725A1 (en)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169711A (en) Shade clasp denture
KR101987251B1 (en) flexible denture
US20040248065A1 (en) Self-fabricated denture
JP4869394B2 (en) Denture
KR101560120B1 (en) A fake teeth
US7021930B2 (en) Ozone applicator cup
JPH11128249A (en) Decoration member for tooth, artificial tooth, and manufacture thereof
US20090142734A1 (en) Cosmetic accessory device for teeth
CN211433403U (en) Tooth-shaping tooth socket structure
JP643408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movable decorative tooth
JP5243649B1 (en) Decorative teeth
KR102178904B1 (en) Structure that increases adhesion of orthodontic maintenance device to artificial tooth surface using zirconia and protects tooth,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19741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lexible magnet denture
KR102491049B1 (en) Pediatric orthodontic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155762B2 (en) Denture with denture
JP7193148B2 (en) Endodontic pin and set having same
JP2016112228A (en) Decorative body for tooth decoration
KR100728885B1 (en) Device for tooth whitening and tooth whitener vessel
JP2010188102A (en) Toothbrush for polishing row of teeth interposing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