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33A -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33A
KR20220169333A KR1020210079642A KR20210079642A KR20220169333A KR 20220169333 A KR20220169333 A KR 20220169333A KR 1020210079642 A KR1020210079642 A KR 1020210079642A KR 20210079642 A KR20210079642 A KR 20210079642A KR 20220169333 A KR20220169333 A KR 2022016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range
measurement
electrical characteristic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경헌
김훈진
이재웅
강성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333A/ko
Publication of KR2022016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은,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을 취득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취득 주기상 연속된 2개의 취득 시점들 사이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REAL-TIME CHANGE TREND TRACKING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전력 선로의 전기적 특성, 특히, 변전소의 154kV 모선 전압의 변동 트랜드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원격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야에서는 송전/변전/배전 과정에서의 전력이 공급되는 선로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여 원할한 운영을 도모한다. 각종 선로의 다수 지점들에서 추적하는 전기적 특성으로는, 전력량과 전압 등이 있다.
전력량은 주로 검침을 위해 측정되고, 부하 변동 판정을 위해 상위 운영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선로의 전압은 전력 분야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주로 이용되는 파라미터이다.
154kV 대용량 고객사의 규정전압 준수요청에 대한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나, 모선전압 실시간 추적 데이터 부재로 인해 체계적 대응이 불가능하다.
아날로그 값은 정해진 5초 취득 주기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하며, 취득 주기 안에 아날로그 값 변동이 있을 경우 상위 시스템에서 파악이 되지 않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이는 현재 SCADA 시스템은 정해진 데이터 취득 주기에 의해 상태 및 계측데이터를 취득함에 기인한다.
하기 표 1은 현재 SCADA 시스템의 통신 주기 및 측정 데이터를 예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집중 감시반부터 EMS까지 모든 설비에 대하여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또한 통신 속도와 무관하게 측정 주기는 항상 5초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고정된 측정 및 취득 주기에 의해 중요한 순간 변화값의 계측이 누락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5초 간격의 주기에 따른 각 취득 시점들 사이의 기간에 발생하는 순간 변화값은 계측이 누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누락된 순간 변화값은 외부의 잡음일 수도 있으나, 특히 설비의 노후화에 따른 절연 파괴에 의한 신호일 수도 있는데, 이를 계통운영센터나 중앙스카다에서 획득할 수 없으면, 이러한 절연 파괴에 기인하는 해당 설비의 열화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10-1735200호
본 발명은 전력 설비에 설치된 각종 측정 센서들로부터의 측정값에 어떤 시점에라도 순간 변화값이 발생하면 이를 취득하여 필요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원격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은,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을 취득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취득 주기상 연속된 2개의 취득 시점들 사이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로서 기록하고,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누적 이벤트 전송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기록된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의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이면 측정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측정값의 민감도로서 Deadband 및 상기 기준 범위를 규정하는 상한치와 하한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 시점의 변화율이 상기 Deadband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율이 상기 Deadband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값이 상한치에서 하한치까지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소장치는,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에 측정값을 취득하는 측정 모듈; 상기 측정값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이벤트 발생 확인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위 서버로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모듈은, 선로에 설치된 CT 및 PT 중 하나 이상로부터의 측정 신호값을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소정의 측정 주기에 따라 측정된 측정값들을 누적하여 기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측정 주기 보다 긴 취득 주기에 따라 측정값을 상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측정값의 민감도로서 Deadband 및 상기 기준 범위를 규정하는 상한치와 하한치 및 전송주기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듈은, 아날로그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또는 클래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실시하면, 전력 설비에 설치된 각종 측정 센서들로부터의 측정값에 어떤 시점에라도 순간 변화값이 발생하면 이를 취득하여 필요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은, 상위 SCADA 시스템과 연계하여 송전선로 실시간 계측 및 Historical Trend 활용 가능 하며, 이를 통하여 대용량 고객사의 민원 대응 자료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은, 기존 SCADA H/W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원격소장치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구현 및 확대적용이 용이하여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고정된 측정 및 취득 주기에 의해 중요한 순간 변화값의 계측이 누락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SCADA 시스템에서 Analog Data 취득 및 전송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SCADA 시스템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적용할 경우의 이점에 대하여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수행하는 원격소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도 7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에서 제공될 수 있는 아날로그 이벤트(AOE) 뷰어를 도시한 화면.
도 8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에서 제공될 수 있는 실시간 전압 트랜드를 도시한 화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SCADA 시스템에서 Analog Data 취득 및 전송 과정을 도시한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전력 설비와 원격소 장치는 1초 간격으로 선로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지만, 상위 시스템으로는 5초 주기로 측정된 값을 전송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원격소 장치와 상위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은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SCADA 시스템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적용할 경우의 변경되는 부분과 이점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초 간격으로 측정된 값들 중 SCADA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 순간변화값이 계측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5초 주기에 속하지 않는 측정값의 순간 변화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AOE(아날로그 이벤트) 형식으로, 상위 시스템에서 취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은, 소정의 취득 주기(도면에서는 1초)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을 취득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소정 기간(도 3의 경우 5초)의 취득 주기상 연속된 2개의 취득 시점들 사이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 이후에도, 상기 S260 단계에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전기적 특성의 크기/발생시각 등을 기록하고,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누적 이벤트 전송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기록된 아날로그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취득 주기(5초 간격)에 따른 계측 정보 전송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적 특성값의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인지 확인하는 단계(S140); 및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이면 측정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압, 전류, 전력 등 다양한 것들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선로(모선)의 전압이 된다.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S220)는, 가장 단순하게는 측정값의 절대값이 소정 기준값을 넘는지 확인하는 것만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구현의 경우, 상기 기준 범위를 전기적 특성의 측정값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상기 S110 단계의 측정 간격상 직전 취득 시점에서 측정된 값과의 차이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사고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구현의 경우, Deadband와 상/하한치로 이중으로 기준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Deadband는 '민감도' 라고 하여 순간 변화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무효카운트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상/하한치가 설정되어 있고, 측정값(또는 그 절대값)이 그 상/하한치를 벗어날 경우 무조건 이벤트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상기 Deadband 기준을 벗어나서 튀고(급변하고), 그 튄 값이 상/하한치를 벗어날때 이벤트를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예를 들어 상한치가 100이라고 한다면 99.1 99.2 99.3... 99.9 100.. 100.1... 이런식으로, Deadband에 걸리지 않을정도로 천천히 상승하여 상한치를 넘게 된다면, 이때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Deadband를 적용하는 대상은, 가장 단순하게는 측정 간격상 직전 취득 시점에서 측정된 값과의 차이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Deadband를 적용하는 대상은, 교류의 전기적 특성의 순시값(또는 최대값)을 측정하기 위해 교류의 1주기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전 교류 1주기에서 측정된 값과의 차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Deadband를 적용한,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S220)는,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 시점의 변화율이 소정의 Deadband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율이 상기 Deadband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값이 상한치에서 하한치로 규정되는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실시하면, 기존 순간변화값 계측누락이 되는 값들을 아날로그 이벤트(AOE)로 전송한다.
계측된 아날로그 포인트 값이 상한치, 하한치 값을 벗어났을 경우 현장값(Analog Raw Count × Scale)을 기준으로 해서 이벤트 발생 시점 값을 정하고 이 시점을 기준으로 민감도(Deadband)를 적용하여 AOE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을 수행하는 원격소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원격소장치(RTU)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모선전압 취득 중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Analog Of Event (AOE, Analog값 + 시간정보)생성 및 자동전송(→계통운영센터, 급전분소 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변동 트랜드 추적 기능을 구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선을 달성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도시한 원격소장치는,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에 측정값을 취득하는 측정 모듈(110); 상기 측정값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이벤트 발생 확인부(120);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160); 및 상위 시스템으로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측정 모듈(110)은 모선에 설치된 CT 및/또는 PT로부터의 측정 신호값을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모듈(110)은 도 4의 S1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 확인부(120)는 도 4의 S140 단계, S220 단계 및 S420 단계를 수행하는, 일종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40)은 도 4의 S160 단계, S260 단계 및 S4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취득 주기에 따라 측정값을 상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에는 소정의 측정 주기에 따라 측정된 측정값들을 누적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에는 상기 기준 범위에 대한 정보, 예컨대, Deadband와 상/하한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사이 원격소장치는, 이상전압 발생 감지를 위해 아날로그 모듈의 각 포인트에 추가된 무효카운트, 상한치, 하한치 그리고 전송주기 설정 정보를 파일에 저장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60)에 대한 파일 저장 기능을 부여한다.
예컨대, 아날로그 모듈의 각 포인트에 추가된 무효카운트, 상한치, 하한치 그리고 전송주기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체가 설계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구조체의 정보를 파일로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구조체로 불러올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Deadband와 상/하한치를 이용한 원격소장치 및 상위 서버의 경우, AOE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위 서버에서 원격소장치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MMI) 등을 이용하여 Deadband, 상/하한치, 전송 주기 및 Class를 설정해야 한다. 설정된 값들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Deadband를 설정하지 않으면 상/하한치를 설정하더라도 상기 원격소장치의 IAPD(도 2 참조)에서 AOE를 생성하지 않는다. 전송주기를 설정하면 IAPD에서 발생된 AOE 이벤트와는 별도로 설정된 시간이 되면 MPD가 AOE를 생성해서 상위 SCADA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도 4의 S160). 이때 Class는 Kepco DNP 1.0 기준으로 “3” 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Class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IAPD에서 AOE가 발생되더라도 상위 SCADA로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이벤트 발생 확인부(120)는, 상기 계측된 아날로그 포인트 값이 상한치, 하한치 값을 벗어났을 경우 현장값(Analog Raw Count × Scale)을 기준으로 해서 이벤트 발생 시점 값을 정하고 이 시점을 기준으로 민감도(Deadband)를 적용하여 AOE를 발생시킨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원격소장치 및/또는 상위 서버는, 사용자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MM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40)은 계통운영센터, 급전분소 등에 설치된 SCADA 주장치 등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40)은 프로토콜에 따른 아날로그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기능 구현을 위해, 상위 서버의 원격소장치용 Configure Tool은 설정된 설정 데이터를, 상기 원격소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원격소장치(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40))에서는 발생된 AOE 이벤트 정보를, 상기 원격소장치용 Configure Tool에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통신 모듈(140)은, 설정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소장치용 Configure Tool에서 설정된 데이터를 원격소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프로토콜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소장치는 현재 운영 중인 설정 정보를 원격소장치용 Configure Tool의 요청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통신 모듈(140)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어있는 아날로그 이벤트 정보를 원격소장치용 Configure Tool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AOE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도 6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사용자 입력 화면에서 AOE 발생 주기 설정이 가능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모선전압 변동 Trend를 추적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원격소장치는, 특히 SCADA 시스템에서 변전소 154kV 모선전압 변동 Trend 실시간 추적 기능 구현을 위해 RTU에서 취득하는 아날로그 이벤트(AOE)를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 개발하여 RTU와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에서 제공될 수 있는 아날로그 이벤트(AOE) 뷰어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은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에서 제공될 수 있는 실시간 전압 트랜드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시한 원격소장치 및/또는 이를 지원 및 상호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서버 등에 아날로그 이벤트(AOE) 수신 모듈을 개발하고 AOE 저장용 DB를 설계 및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AOE 전용 뷰어를 제공하여, 근무자가 AOE 값들의 확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근무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간 전압 트랜드를 도시한 화면으로, 아날로그 값 주기 전송 설정을 통한 실시간 전압 트랜드 형상/추세의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측정 모듈
120 : 이벤트 발생 확인부
140 : 통신 모듈
160 : 저장부

Claims (10)

  1.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을 취득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취득 주기상 연속된 2개의 취득 시점들 사이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로서 기록하고,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누적 이벤트 전송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기록된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의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측정 시점이 상기 취득 시점이면 측정된 상기 전기적 특성값을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측정값의 민감도로서 Deadband 및 상기 기준 범위를 규정하는 상한치와 하한치를 이용하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 시점의 변화율이 상기 Deadband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율이 상기 Deadband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적 특성의 측정값이 상한치에서 하한치까지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6. 소정의 취득 주기로 대상 전력 설비의 전기적 특성에 측정값을 취득하는 측정 모듈;
    상기 측정값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이벤트 발생 확인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위 서버로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아날로그 이벤트의 형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원격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선로에 설치된 CT 및 PT 중 하나 이상로부터의 측정 신호값을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원격소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소정의 측정 주기에 따라 측정된 측정값들을 누적하여 기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측정 주기 보다 긴 취득 주기에 따라 측정값을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원격소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측정값의 민감도로서 Deadband 및 상기 기준 범위를 규정하는 상한치와 하한치 및 전송주기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체 파일을 저장하는 원격소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아날로그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또는 클래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원격소장치.
KR1020210079642A 2021-06-18 2021-06-18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KR20220169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42A KR20220169333A (ko) 2021-06-18 2021-06-18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42A KR20220169333A (ko) 2021-06-18 2021-06-18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33A true KR20220169333A (ko) 2022-12-27

Family

ID=8456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42A KR20220169333A (ko) 2021-06-18 2021-06-18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3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00B1 (ko) 2015-09-11 2017-05-12 한국전력공사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용 전자식 전력량계 및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00B1 (ko) 2015-09-11 2017-05-12 한국전력공사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용 전자식 전력량계 및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795B1 (ko) 전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지능적 모니터링
US8160824B2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power quality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4585472B2 (ja) 電力品質監視装置
KR100622985B1 (ko) 수용가의 도전 및 누전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US201502121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power quality monitoring and data collection in a power system having heterogeneous devices for monitoring power quality
CN102308225A (zh) 具有电能计量和合并单元功能的单个ied
KR101081368B1 (ko) 전력 손실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24752B2 (ja) 送電に関する改良
JP5057458B2 (ja) デマンド監視システム
JP2013044752A (ja) 位相識別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093047A (zh) 电力线路载流量监测预警系统
JP2009033811A (ja) 計測・監視システム、その電力品質計測装置、プログラム
JP5618758B2 (ja) 電力系統の短絡容量監視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08318732B (zh) 一种变压器铁芯接地电流在线监测装置及方法
EP3200306B1 (en) Control device for hvdc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9276354A (ja) 電流測定装置および電流測定方法
CN106597150A (zh) 变压器在线状态监测和故障诊断方法
CN111999608B (zh) 配电变压器的监测方法、监测系统与智能终端
KR20220169333A (ko) 실시간 변동 트랜드 추적 방법 및 원격소장치
JP6782442B2 (ja) 計測装置、計測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204906010U (zh) 输电线路动态监测预警系统
KR101006069B1 (ko) 휴대용 전력계통 상태 감시 장치
JP6116493B2 (ja) 電子式指示計器
Marellapudi et al. Low-Cost Industrial Monitoring Platform for Energy Efficiency and Optimized Plant Productivity
CN109324223A (zh) 一种高原型氧化锌避雷器在线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