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670A -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670A
KR20220167670A KR1020210076947A KR20210076947A KR20220167670A KR 20220167670 A KR20220167670 A KR 20220167670A KR 1020210076947 A KR1020210076947 A KR 1020210076947A KR 20210076947 A KR20210076947 A KR 20210076947A KR 20220167670 A KR20220167670 A KR 2022016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제진
서임기
방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Priority to KR102021007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670A/en
Publication of KR2022016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around a parking surface to acquire image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a memory for storing vehicle entry time information and vehicle exit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data; and a processor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mory, the camera, and a slow charger. The processor analyzes the image data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parked vehicle,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is first recognized as an entry time,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is not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entry time as an exit time, receives full charge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calculates a full charge end point from the input full charge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occupancy continues based on the entry time and the exit time, and controls to notify a user of moving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occupancy continues at the end of the full charge. Accordingly, the circulation rat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performs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순환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increa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ycle rate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친환경차로서 전기자동차는 매해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전기자동차 충전소 역시 충분히 보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기 자동차의 증가 속도에 맞춰 발빠르게 증가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충전소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충전소 점유 차량에 의한 충전 방해 및 갈등이 확대되고 있다. As an eco-friendly vehicle, the number of users of 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re sufficiently supplied, but the situation is not increasing rapidly to keep pace with the increase of electric vehicles. Therefore, due to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enough charging stations, charging interference and conflicts caused by vehicles occupying charging stations are expanding.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려고 하였으나, 전기 자동차가 아닌 일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또는 완충이 된 이후 장기간 주차를 해놓는 경우와 같이 충전이 필요한 타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For example, when an electric vehicle is tried to be charged, but a general vehicle other than an electric vehicle is parked, or when the vehicle is parked for a long time after being fully charged, a problem occurs that prevents charging of other electric vehicles that need to be charged. are do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기차 충전 방해 금지법'이 시행되어 전기 자동차 충전소 불법 주차를 근절시키고자 전기 자동차가 아닌 일반 차량의 불법 주차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 차량이라도 장기간 주차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의 해결책을 실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rohibition Act' was enforced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is being carried out

다만, 이러한 사용자 및 법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순환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별도의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these users and laws,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solution for increasing the circul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순환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차된 차량 정보를 확보하고, 주차된 차량의 점유 시간, 완충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ecuring parked vehicle information and providing users with occupancy time, full charge information, etc. of the parked vehicle in order to increase the circulation r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do.

일 실시예예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차면 주변에 마련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입차 시간 정보, 및 출차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카메라 및 완속 충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최초 인식된 시간을 입차 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차 시간이후 상기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최초 인식되지 않은 시간을 출차 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완충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완충 정보로부터 완충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입차 시간과 상기 출차 시간을 기초로 점유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완충 종료 시점에 점유 지속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이동주차 알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around a parking surface and acquiring image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a memory for storing vehicle entry time information and exit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image data; and a processor that communicates with the memory, the camera, and the slow charger, wherein the processor analyzes the image data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and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for the first time. The entered time is determined as the entry time, the time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is not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entry time is determined as the exit time, the buff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low charger, and the buffer is terminated from the input buffer information. A time point is calculated, whether or not occupancy continu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entry time and the exit ti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cy continues at the end of the buffering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notify the user of moving parking.

또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차량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입차된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wherein the input unit receives a vehicle number and a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from the user, and the processor analyzes the image data for the vehicle number input by the user to enter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vehicle number entered by the user and the image data are compared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nter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coincides, it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entered vehicl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완충 종료 시점이 임계 시작 시점(time1)부터 임계 종료 시점(time2) 사이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임계 종료 시점(time2)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게 이동주차(출차) 알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uffer end time is includ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threshold start time (time1) and the threshold end time (time2), the processor notifies the user of moving parking (exit) after the threshold end time (time2).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량 정보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완충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완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checking charge amoun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processor may receive buffer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and transmit the input buffer information to the user.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각 주차면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차량 번호판의 인식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camera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parking surface on a one-to-one basis, and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license plate recogni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기초로 이용 패턴을 분석하거나,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달받은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기초로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공간적, 시간적, 이용자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for receiving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server, wherein the processor analyzes a usage pattern based on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or , Transmits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to the spatial, temporal, and It is possible to analyz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차된 차량 정보를 확보하고, 주차된 차량의 점유 시간, 및 완충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순환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cures parked vehicle information and provides a user with an occupancy time of the parked vehicle, buffer information, and the like, thereby increasing the circulation r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된 공간적 특성이나, 시간적 특성, 이용자 특성을 분석하여 장기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빅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big data is collected to derive a solution to prevent long-term parking by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ould be possible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진행시킬 수 있는 완속충전기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and 2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slow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이 가능한 차량은 모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할 고전압 배터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내연 기관 자동차에도 엔진 룸의 한쪽에 보조 배터리가 마련된다. 하지만 전기 자동차 차량(100)의 경우 크기가 큰 대용량의 고전압 배터리가 요구된다. First, an electric vehicle charged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 vehicle that can be charged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as a motor. Therefore, a high-voltage battery is required to store power for driving the motor. Even in a gener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n auxiliary batter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gine room.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vehicle vehicle 100, a large-capacity high-voltage battery is required.

전기 자동차 차량(100)에는 충전 소켓이 마련된다. 충전 소켓에는 외부의 완속 충전기(150)의 충전 커넥터(151)가 연결됨으로써 전기 자동차 차량 내부의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완속 충전기(150)의 충전 커넥터(151)를 전기 자동차 차량(100)의 충전 소켓에 연결하면 전기 자동차(100)의 고전압 배터리가 충전된다.A charging socket is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vehicle 100 . The charging connector 151 of the external slow charger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ocket, so that the high voltage battery inside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That is,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51 of the slow charger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e high voltag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charged.

이하, 전기 자동차 차량(100)이 완속 충전기(150)가 설치된 주차장의 제1면에 주차된 경우를 가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ic vehicle vehicle 100 is park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slow charger 150 is installed,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10)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진행시킬 수 있는 완속충전기(150)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and 2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nd a slow charger 150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카메라(11), 프로세서(12), 메모리(13), 통신부(14), 및 입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11, a processor 12, a memory 13, a communication unit 14, and an input unit 15.

카메라(11)는 완속 충전기(150)가 설치된 주차장의 각 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면'이란 주차되는 주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 각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는 각 면 별로 주차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바, 주차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amera 11 may acquire images of each side of the parking lot in which the slow charger 150 is installed. Here, 'surface' means a parking surface to be parked, and images of each of at least one parking surface included in the parking lot may be obtained. That is, the camera 11 acquires an image of a parked vehicle for each side, and thus obtains a license plat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또한, 카메라(11)는 영상에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에, 해당 차량이 주차된 입차 시간과 함께 차량 정보를 영상과 함께 기록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출차 시간과 함께 차량 정보를 영상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image, the camera 11 may record the vehicl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video along with the entry time at which the vehicle was parked. It can be recorded with video.

이 때,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카메라(11)가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속 충전기(150)에 접촉하여 카메라(11)가 설치되어 주차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주차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용이한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location where the camera 11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is installed may vary. For example, a camera 11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low charger 150 to capture an image of the parking surface. That is, it is possible anywhere as long as it is easy to take an image including a parking surface.

다만, 사용자가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하는데 방해하지 않는 위치여야 하며, 차량의 번호를 촬영하기 용이한 장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메라(11)는 주차면의 안쪽에 위치하여 차량이 전방 주차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하단에 위치한 번호를 촬영하거나, 차량이 후방 주차되는 경우 차량 후방의 하단에 위치한 번호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However, it should be a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r parking the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s easy to photograph the number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camera 11 is located inside the parking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numb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front, or to photograph the numb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backward. can be installed

카메라(11)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차면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는, 20분 간격으로 주차면을 촬영한다. The camera 11 may photograph the parking surface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camera 11 photographs the parking surface at intervals of 20 minutes.

예를 들어, 차량의 실제 입차 시간이 1시 50분인 경우일지라도 카메라(11)가 1시 40분과 2시에 영상을 촬영한 경우라면, 2시를 입차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actual entry time of the vehicle is 1:50, if the camera 11 captures images at 1:40 and 2:00, 2:00 may be recorded as the entry time.

또한, 차량의 실제 출차 시간이 10시10분인 경우일지라도, 카메라(11)가 10시 및 10시 20분에 영상을 촬영한 경우라면, 10시20분을 출차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actual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is 10:10, if the camera 11 captures images at 10:00 and 10:20, 10:20 may be recorded as the departure time.

다음으로, 프로세서(12)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즉, 주차면의 입차 및 출차되는 차량을 촬영한 정보를 카메라(11)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Next, the processor 12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 That is,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parking surface is received from the camera 11, and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by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즉, 프로세서(12)는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입력받은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 번호 인식을 수행한다. 이 때, 프로세서(12)는 빛 반사 또는 빛 굴곡으로 인하여 번호 인식이 어려운 경우, 다양한 번호판 형태로부터 번호 인식이 어려운 경우, 차량의 다양한 주차 형태로 인하여 번호 인식이 어려운 경우에도 번호 인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cessor 12 performs vehicle number recognition from the input image information through a number recognition algorithm. At this time, the processor 12 facilitates number recognition even when number recognition is difficult due to light reflection or light bending, when number recognition is difficult from various license plate types, or when number recognition is difficult due to various parking types of a vehicle. A prepared number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카메라(11)가 차량의 번호판을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촬영 시 번호판의 번호 인식이 용이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차량을 카메라와 일정 각도이상 틀어지도록 주차한 경우, 번호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11)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을 프로세서(12)가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mera 11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so that it may be easy to recognize the number of the license plate when taking a picture. there is. In this case, the processor 12 analyz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11 and obtains the license plate number.

또한, 프로세서(12)는 카메라(11)의 영상을 분석하여, 입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입차 시간과 출차 시간으로부터 차량의 점유 시간을 산출한다. 즉, 입차 시간(t1)과 출차 시간(t2)의 시간 간격(t2-t1)을 계산하여, 차량의 점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 analyzes the image of the camera 11 to secure the entry time and exit time, and calculates the occupancy time of the vehicle from the secured entry time and exit time. That is, the vehicle occupancy time can be secured by calculating the time interval (t2-t1) between the entry time t1 and the exit time t2.

또한, 프로세서(12)는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완충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완속 충전기(150)의 충전 커넥터(151)를 전기 자동차 차량(100)의 충전 소켓에 연결하면 전기 자동차(100)의 고전압 배터리가 충전되는데, 프로세서(12)는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완충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할 때,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통신부(14)를 통해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12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time of the parked vehicle from the slow charger 150 . That is,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51 of the slow charger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vehicle 100, the high voltag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charged, and the processor 12 starts charging from the slow charger 150. Information on the required time from the point in time until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may be obtained. In this case, when receiv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이 때, 통신부(14)가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완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한 바, 통신부(14)에 대하여는 아래 자세히 후술한다. At this time, a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unit 14 to receive the buffer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can be bot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프로세서(15)는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완충 시간에 관한 정보와, 주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t1)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완충 시점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The processor 15 may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a fully charged time point by comparing information about a fully charged charging time of the parked vehicle from the slow charger 150 with an entry time t1 of the parked vehicle.

예를 들어, 차량이 2시(2pm)에 입차 되었고,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해당 차량의 완충 소요 시간 (9h)임을 입력 받은 경우, 완충 종료 시점(t3: 11pm)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at 2pm (2pm) and the vehicle charging time required (9h) is received from the slow charger 150, the user is notified of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end point (t3: 11pm). can

즉, 프로세서(15)는 완충 소요 시간과 입차 시간으로부터 완충 종료 시점(t3)을 산출하여 해당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때,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통신부(14)를 통해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발신한다.That is, the processor 15 calculates the buffer end time t3 from the buffer required time and the entrance time, and informs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buffer end time.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통신부(14)를 통해 사용자에게 발신하는 해당 정보에는,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충전 상황 정보 역시 포함된다. 즉, 프로세서(12)는 사용자가 요청 시 충전 상황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end point, but also charging status information. That is, the processor 12 may calculat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upon a user's request and delive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again.

통신부(14)가 사용자에게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은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대하여는 아래 자세히 후술한다. It is common for the communication unit 14 to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the buffer end point by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일 예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 지원이 되는 경우로 가정할 때,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에 충전량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전기자동차 충??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현재 충전 상태, 남은 충전량, 및 완충까지의 소요 예상 시간에 관한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suming that wireless communication is supported so that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when the user checks the charging amount information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The EV charge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may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charge, the amount of remaining charge, and the estimated time required to fully charge again to the user.

또한, 프로세서(12)는 완충 종료 시점(t3)에도 해당 차량이 출차되지 않는 경우, 완충 종료 시점(t3)에 사용자에게 차량이 완충되었음을 다시 한번 알려줄 수 있다. Also, when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not taken out of the vehicle even at the buffer end time point t3, the processor 12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vehicle is fully charged again at the buffer end time point t3.

즉, 프로세서(12)는 완충 종료 시점(t3)에 해당 차량이 입차 시간(t1) 이후 점유 계속 상태이면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통신부(14)를 통해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발신한다. 이 때, 점유 계속 상태 여부는, 카메라(11)로부터 촬영한 영상 정보에서 차량이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를 점유 계속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가 사용자에게 완충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은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대하여는 아래 자세히 후술한다.That is, the processor 12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similarly, if the corresponding vehicle continues to be occupied after the entry time t1 at the fully charged end time point t3. send out At this time, as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cy continu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maintains its position without moving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11 may be regarded as the continued occupancy state. In addition, it is common for the communication unit 14 to notify the user tha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by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프로세서(12)는 완충 종료 시점(t3)을 알림과 동시에, 이로부터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 이후에 출차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는 완충 종료 시점(t3)으로부터 1시간(임계 시간)이내에 출차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발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 may notify the user of the buffer end time point t3 and at the same time se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must leave the vehicle after a predetermined critical time. For example, the processor 12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vehicle must be parked within 1 hour (threshold time) from the buffer end point t3.

다만, 차량이 점유 계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완충 종료 시점(t3)이 이른 새벽이거나, 늦은 밤인 경우에 해당 임계 시간은 다음날 새벽 이후의 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vehicle maintains the continuous occupancy state and the buffer end point t3 is early in the morning or late at night,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ime may be changed to a time after dawn of the next day.

예를 들어, 완충 종료 시점(t3)이 10pm 부터 8am사이에 종료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라면, 8am으로부터 임계 시간인 1시간 이후 9am에 해당 차량을 출차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발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buffer end point t3 is expected to end between 10 pm and 8 am,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should be removed at 9 am after 1 hour, which is a critical time, from 8 am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프로세서(12)는 사용자에게 완충 시간에 관한 정보,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 출차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발신하기 위하여 통신부(14)의 무선통신을 채용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 may employ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4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buffer time, information on the buffer end point, and departure time information to the user.

즉, 통신부(14)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유선 통신은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차량의 완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4 can perform b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At this time, wired communication may be used to receive vehicle buffer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

또한, 완속 충전기(150)에 다이얼 패드가 있는 경우라면, 통신부(14)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완속 충전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52)를 통하여 사용자 차량 번호 및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In addition, if the slow charger 150 has a dial pad, the vehicle number input by the user and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input by the user may be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 Specificall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user's vehicle number and a user's mobile phone number can be input through the display 152 included in the slow charger.

즉, 앞서 완속 충전기(150)에 다이얼 패드가 있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터치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52)로 사용자의 차량 번호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부(14)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That is,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slow charger 150 has a dial pad, the user's vehicle number and mobile phone number are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152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th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can

만일, 완속 충전기(150)에 다이얼 패드가 없는 경우라면,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에 마련된 입력부(15)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 번호,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If the slow charger 150 does not have a dial pad, the user may receive a vehicle number or a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5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즉, 입력부(15)를 통해 차량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카메라(11)가 촬영한 영상을 프로세서(12)가 인식한 번호와 비교하여 차량 번호를 확정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compar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 with the number recognized by the processor 12 to determine the vehicle number. can

또한, 입력부(15)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 받은 경우이거나,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은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 내 통신부(14)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완충 시간에 관한 정보,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 출차 시간 정보를 발신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 or when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input from the slow charger 150, the communication unit 14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transmits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Information on the buffer time, information on the end of the buffer, and departure time information are sent to the mobile phone number.

이 때, 입력부(15)는 터치패드로 구성되거나 다이얼패드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put unit 15 is composed of a touch pad or a dial pad, and various methods of receiving a number from the user may be possible.

또한, 프로세서(12)는,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기초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2)는 단지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 등을 저장할 뿐 해당 데이터의 이용 패턴 분석은 시스템(10)의 서버(미도시)가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 may analyze a usage pattern based on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2 only stores the entry time, exit time, buffer information, etc. of the entered vehicle, and a server (not shown) of the system 10 may also analyze the use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data.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이 설치된 공간적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아파트에 설치된 제 1 모니터링 시스템(10A)와 백화점에 설치된 제 2 모니터링 시스템(10B)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총괄적으로 관할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가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시스템(1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완충 이후 이동 주차(출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임계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pecifically, a usage pattern of the first monitoring system 10A installed in an apartment and the second monitoring system 10B installed in a department store may be analyzed and transmitted to a server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server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and the system 10 to differently set the threshold time to perform mobile parking (exiting) after buffering based on the analyzed usage pattern.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이 설치된 시간적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주간과 야간별로 이용 패턴이 상이한 것을 분석하여 주차의 순환률을 증가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이 점유 계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완충 종료 시점(t3)이 이른 새벽이거나, 늦은 밤인 경우에 해당 임계 시간은 다음날 새벽 이후의 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empor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nduce an increase in the circulation rate of parking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use patterns by day and nigh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maintains the continuous occupancy state, when the buffer end point t3 is early in the morning or late at night,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ime may be changed to a time after dawn of the next day. there is.

또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이 설치된 이용자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차종(대형/중형/소형)에 따라 이용 패턴이 상이한 것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nalyze different usage patterns according to vehicle types (large/medium/small).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설치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된 공간적 특성이나, 시간적 특성, 이용자 특성을 분석하여 장기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빅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at is, by insta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g data is analyzed to derive a solution to prevent long-term parking by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collection may be possible.

다음으로, 통신부(14)에 관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에 포함된 통신부(14)의 무선 통신은 모듈화를 통해 기존 라우터 구조에서 통신 모뎀으로 변경하여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에 포함된 통신부(14)의 통신료 절감을 위해 데이터 전용 USIM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communication unit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4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opted by changing the existing router structure to a communication modem through modularization. In addition,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data-only USIM to reduce communication charges of the communication unit 14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

또한, 통신부(14)는 입력부(15)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오작동)하거나, 입력부(15)가 존재하지 않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경우에 국가기관(예시:한국교통안전공단) 서버로부터 차량 번호와 매칭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휴대폰 번호의 경우 개인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스마트시티 규제샌드박스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휴대폰 번호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규제샌드박스'란 신기술과 신서비스의 원활한 진행을 지원하도록 시간과 장소, 규모에 제한을 두고 실증테스트를 허용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시티에 해당하는 도시에서 본 발명을 토대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곳에 한정하여 주차된 차량의 휴대폰 번호를 확보하는 것이 허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 may be used by a national agency (e.g.: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 case the input unit 15 does not operate properly (malfunction) o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in which the input unit 15 does not exist. Corpo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that matches the vehicle number from the server. However, since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corresponds to personal information,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the mobile phone number only when it falls under the smart city regulatory sandbox. Here, 'regulatory sandbox' refers to a space that allows empirical testing with restrictions on time, place, and scale to support the smooth progress of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is, in a city corresponding to a smart city, it may be allowed to secure a mobile phone number of a parked vehicle limited to a place wher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에 포함된 메모리(13)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memory 13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smooth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Specifically, the memory 13 can store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and includes flash memory, ROM (Read Only Memory) as well as volatile memory such as S-RAM and D-RAM. ),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Memory (EEPROM).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반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불러와 임시로 기억하고, 각종 센서 정보 및 메인 프로세서에서 출력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non-volatile memory can semi-permanently store a control program and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nd the volatile memory reads the control program and control data from the non-volatile memory and temporarily stores them. and temporarily store various sensor information and various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main processor.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의 개략도는 제 1면의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11)(CCTV), 통신부(14)의 라우터, 및 완속 충전기(150)의 충전량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The schematic diagram of (a) schematically shows the charging amount display screen of the camera 11 (CCTV), the rout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slow charger 150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즉,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카메라(11)(CCTV)를 통하여 점유차량의 차량 번호를 촬영하고, 내부적으로 프로세서(12)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확보한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는 '52주 3108'이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카메라(11)를 통하여 차량의 입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충전량 정보 및 완충시간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photographs the vehicle number of the occupied vehicle through the camera 11 (CCTV), and internally the processor 12 analyzes the image to secure the vehicle number. That is,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is '52 week 3108'.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can secure the entry time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11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charge amount information and full charge time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

다음으로, (b)의 개략도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 내 프로세서(12) 및 메모리(13) 내 저장되거나 산출되는 점유차량 번호, 점유시간 및 완충 시간 정보를 나타내었다. Next, the schematic diagram of (b) shows occupancy vehicle number, occupancy time, and buffer time information stored or calculated in the processor 12 and memory 13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또한, (b)의 개략도는, 사용자 정보를 일부 규제 샌드박스에 해당하는 경우, 서버로부터 운전자 정보(휴대폰 번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2) 및 메모리(13) 내에 확보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b) shows that when user information corresponds to some regulatory sandbox, driver information (mobile phone number) can be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secured in the processor 12 and memory 13.

따라서, (b)에 도시된 점유차량 번호 점유 시간 완충시간, 및 운전자 정보를 토대로 도시된 (c)의 개략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충전 정보와 해당 차량을 이동할 것을 알림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데이터통신에 기반한 알림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c) shown based on the occupied vehicle number, occupancy time, buffer time, and driver information shown in (b), text message or data communication notifying the user to move the vehicle with charging information based notifications can be delivered.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카메라(11)는 주차면을 촬영한다(400). 즉, 카메라(11)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주차면을 촬영하여 차량의 입차, 출차와 같은 점유상태 여부를 촬영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 the camera 11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photographs the parking surface (400). That is, the camera 11 may photograph the parking surface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captur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ccupied, such as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차량이 입차된 경우(차량 주차)(410의 예),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점유 시작으로 판단한다(420). 따라서, 시스템(10)은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충전량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획득하는 충전량 정보란, 완충 시간에 관한 정보, 완충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로서 완충 소요 시간을 포함한다. When the vehicle is entered (vehicle parking) (YES in 41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determines that the occupancy starts (420). Accordingly, the system 10 obtains charge amount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rging to be obtaine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time and information on the charging end point, which includes a charging required time.

만일 충전 종료 시점까지 점유 차량이 출차하지 않고 점유를 지속하는 경우(440 및 450의 예),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완충 정보 및 출차 알림을 수행한다(460). 다만, 차량이 점유 계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완충 종료 시점(t3)이 이른 새벽이거나, 늦은 밤인 경우라면 해당 임계 시간은 다음날 새벽 이후의 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If the occupied vehicle continues to occupy the vehicle until the charging end point (YES in 440 and 450), the system 10 performs buffer information and vehicle exit notification to the user (460). However, when the vehicle maintains the continuous occupancy state and the buffer end point t3 is early in the morning or late at night,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ime may be changed to a time after dawn of the next day.

다음으로, 도 5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차량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Next,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obtains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us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이 설치된 주차장의 제 1면에 차량의 점유가 개시된 경우(S510)인 것을 가정한다. S510 단계는 도 4의 차량이 입차된 경우(차량 주차)(410의 예)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점유 시작으로 판단(420)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occupancy of the vehicle starts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arking lot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is installed (S510). Step S510 may be the same as determining (420) that the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arts occupying the vehicle in FIG. 4 (vehicle parking) (Yes of 410).

차량의 점유가 개시되면, 시스템(10)은 점유 개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0)로 전달한다(S520). 즉, 점유 개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0)로 전달함으로서, 사용자와 시스템(10) 간의 무선통신이 언제든지 연결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와 시스템(10) 간의 무선통신은 사용자가 완속충전기(150)의 디스플레이(152)를 통해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시스템(10)의 입력부(15)를 통해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 양자간의 무선통신의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s occupied, the system 10 transmits the occupancy star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0 (S520). That 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10 can be connected at any time by transmitting the occupancy star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0 .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10 is when the user inputs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through the display 152 of the slow charger 150 or the user enters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through the input unit 15 of the system 10. A conn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may be established through a method of inputting .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하여 시스템(10)에 차량 충전량 정보 확인 요청(S530)을 수행하면, 시스템(10)은 완속 충전기(150)로부터 충전 정보를 확인하고(S540), 해당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기(1000)로 전달(S550)할 수 있다. If the user requests the system 10 to check the vehicle charge amoun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0 (S530), the system 10 checks the charging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150 (S540),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00 again (S55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50 : 완속충전기
10 : 전기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11: 카메라
12: 프로세서
13 : 메모리
150: slow charger
10: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11: camera
12: Processor
13: memory

Claims (7)

주차면 주변에 마련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입차 시간 정보, 및 출차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카메라 및 완속 충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최초 인식된 시간을 입차 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차 시간이후 상기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최초 인식되지 않은 시간을 출차 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완충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완충 정보로부터 완충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입차 시간과 상기 출차 시간을 기초로 점유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완충 종료 시점에 점유 지속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이동주차 알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around the parking surface to acquire image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a memory for storing vehicle entry time information and exit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image data; and
A processor communicating with the memory, the camera, and a slow charger;
The processor analyzes the image data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determines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is first recognized as the entry time, and determines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after the entry time. judges the first unrecognized time as the departure time,
Receives buffer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calculates a buffer end point from the input buffer informatio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occupancy is continued based on the entry time and the exit time, and controls to notify the user of moving park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cy continues at the end of the buffering.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차량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입차된 차량으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e input unit receives a vehicle number and a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from the user,
The processor compares the vehicle number input by the user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ntered by analyzing the image data, and analyzes the vehicle number input by the user and the image data to matc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ntered. In the ca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which is determined as the vehicle finally park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완충 종료 시점이 임계 시작 시점(time1)부터 임계 종료 시점(time2) 사이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임계 종료 시점(time2)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게 이동주차 알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when the buffer end time is includ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threshold start time (time1) and the threshold end time (time2), controls to notify the user of moving parking after the threshold end time (time2),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량 정보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완충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완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rocessor, when a request for checking charge amoun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receives buffer information from the slow charger and controls the input buff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각 주차면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차량 번호판의 인식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camera is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parking surface,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license plate can be recognize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및 완충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및 완충 정보를 기초로 이용 패턴을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완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달받은 상기 입차된 차량의 입차 시간, 출차 시간, 및 완충 정보를 기초로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공간적, 시간적, 또는 이용자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rver that receives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The processor analyzes a usage pattern based on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or transmits the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to a server,
The server analyzes the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spatial, temporal, or user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entry time, exit time, and buff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System for monitoring occupanc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점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210076947A 2021-06-14 2021-06-14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202201676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47A KR20220167670A (en) 2021-06-14 2021-06-14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47A KR20220167670A (en) 2021-06-14 2021-06-14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70A true KR20220167670A (en) 2022-12-21

Family

ID=8453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47A KR20220167670A (en) 2021-06-14 2021-06-14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6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59B1 (en) * 2023-08-08 2023-12-13 디비시스(주)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video information from closed circuit televi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59B1 (en) * 2023-08-08 2023-12-13 디비시스(주)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video information from closed circuit tele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2693B (en) Urban road sid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07089157B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US11403907B2 (en)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JP5517393B2 (en) Mobile charging system and mobile charging method using mobile charging system
KR101874479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112053567B (en) Roadside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30016108A (en) Green car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and charging station monitoring apparatus
CN113077557B (en) Vehicle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0610610B (en) Vehicle access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2016767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ccupancy monitoring system and a program that monitoring occupancy of electric vehicle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20190091796A (en) Charg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charging apparatus, charging station control server
CN110084470A (en) The anti-person's of surveying counterfeit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medium based on recognition of face
KR101368757B1 (en) Parked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50061160A (en) Robot for providing vehicle lo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location employing the same
CN110619401A (en) Visitor information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KR102364161B1 (en) Impact detecting system for vehicle on parking and method thereof
CN113990098A (en) Intelligent parking lot
KR20230170889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device us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JP2024019277A (en) Driving status monitoring device, driving status monitoring system, driving status monitoring method, drive recorder
CN111260800A (en) Payment method, payment system, vehicle-mounte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10402890A1 (en) Charging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rea management of electronic vehicles
KR20200005144A (en) Method for using parking service and parking management, and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CN114066469A (en) Order combination method, equipment and medium
CN114868167A (en) Security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210691405U (en) Vehicle ve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