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439A -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439A
KR20220167439A KR1020210076279A KR20210076279A KR20220167439A KR 20220167439 A KR20220167439 A KR 20220167439A KR 1020210076279 A KR1020210076279 A KR 1020210076279A KR 20210076279 A KR20210076279 A KR 20210076279A KR 20220167439 A KR20220167439 A KR 2022016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fterimage
compensation
memory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박종웅
신원주
고준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439A/ko
Priority to US17/708,546 priority patent/US20220398961A1/en
Priority to EP22178347.5A priority patent/EP4102494A1/en
Priority to CN202210651331.6A priority patent/CN115472123A/zh
Publication of KR2022016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영상 신호 및 잔상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 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자 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은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회로로부터 전달된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소의 열화를 보상 및 보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전자 장치는 영상 신호 및 잔상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 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스트레스 계산기 및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는 보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상기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1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기준값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제1 색상에 대응하는 제1 보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영상 신호 및 잔상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로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 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스트레스 계산기 및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는 보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최종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2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기준값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를 표시 모듈로 제공하는 단계,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잔상 보상 영상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패턴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에 대응하는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고,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상기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3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기준값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상 패턴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 장치의 표시 모듈은 열화 정보에 기반하여 화소의 열화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표시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공된 잔상 보정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 내 표시 모듈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화소의 휘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화소의 휘도 변화를 예측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잔상 보정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잔상 보정 영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잔상 보정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DD-IS)의 법선 방향, 즉 전자 장치(E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품들 또는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정의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을 구비한 전자 장치(E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ED)는 곡면형 표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입체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체형 표시면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을 포함하고, 예컨대, 다각 기둥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폴딩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일부 영역이 벤딩(bending)된 벤딩형 표시 장치,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는 전자 장치(ED)의 일 예로, 휴대폰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 장치를 비롯하여,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면(DD-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이미지 영역(DD-DA) 및 이미지 영역(DD-DA)에 인접한 베젤 영역(DD-NDA)을 포함한다. 베젤 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시계 및 아이콘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영역(DD-DA)은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이란 수학적 의미의 사각 형상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꼭지점 영역(또는 코너 영역)에 꼭지점이 정의되지 않고 곡선의 경계가 정의된 사각형상을 포함한다.
베젤 영역(DD-NDA)은 이미지 영역(DD-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미지 영역(DD-DA)과 베젤 영역(DD-NDA)은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베젤 영역(DD-NDA)은 이미지 영역(DD-DA)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ED)와 전자 장치(미 도시됨)의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 형태에 따라 베젤 영역(DD-NDA)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전원 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전원 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 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패널 구동 회로(PD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사용자의 신체, 전자 펜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한 터치 입력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면, 지문)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 센서(IS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ISL)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장치로 불릴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PM)은 표시 모듈(DM)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표시 모듈(DM)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전자 모듈(EM1)은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메인 프로세서(AP), 무선 통신 모듈(TM), 영상 입력 모듈(IIM), 음향 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표시 모듈(DM)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프로세서(AP)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AP)은 표시 모듈(DM)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메인 프로세서(AP)은 표시 모듈(DM)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 입력 모듈(IIM)이나 음향 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은 지문 리드아웃 회로(ROC)로부터 수신된 지문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TM)은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중계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 및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DM)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 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 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및 카메라 모듈(C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ED)는 메인 프로세서(AP) 및 표시 모듈(DM)를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TRL)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는 표시 패널(DP), 구동 컨트롤러(100), 데이터 구동 회로(200) 및 전압 발생기(30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구동 컨트롤러(1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200)가 분리되어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200)는 단일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TRL)를 수신한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데이터 구동 회로(200)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트롤러(100)는 화소(PX)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영상 신호(RGB)를 보상 및 보정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스캔 제어 신호(SCS),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발광 제어 신호(ECS)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200)는 구동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20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신호들로 변환하고, 데이터 신호들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들은 영상 데이터 신호(DATA)의 계조 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이다.
전압 발생기(300)는 표시 패널(DP)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들을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압 발생기(300)는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제1 초기화 전압(VINT1) 및 제2 초기화 전압(VINT2)을 발생한다.
표시 패널(DP)은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화소들(PX)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 발광 구동 회로(EDC), 구동 컨트롤러(100), 데이터 구동 회로(200) 및 전압 발생기(300)는 도 2에 도시된 패널 구동 회로(PDC)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ED)의 이미지 영역(DD-DA)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소들(PX)이 배치된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과 인접하며,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ED)의 베젤 영역(DD-NDA)에 대응할 수 있다. 주변 영역(NDA)에는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는 표시 패널(DP)의 제1 측에 배열된다.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은 스캔 구동 회로(SD)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발광 구동 회로(EDC)는 표시 패널(DP)의 제2 측에 배열된다.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은 발광 구동 회로(EDC)로부터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 및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데이터 구동 회로(200)로부터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화소들(PX)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배열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표시 패널(DP)의 제1 측 및 제2 측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그리고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4개의 스캔 라인들 및 1개의 발광 제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번째 행의 화소들은 스캔 라인들(GIL1, GCL1, GWL1, GWL2) 및 발광 제어 라인(EML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j 번째 행의 화소들은 스캔 라인들(GILj, GCLj, GWLj, GWLj+1)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소(PX)와 스캔 라인들 및 발광 제어 라인의 연결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소(PX)와 연결되는 스캔 라인들 및 발광 제어 라인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LD, 도 5 참조)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발광을 제어하는 화소 회로(PXC,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PXC)는 1개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1개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화소 회로(PXC)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된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전압 발생기(300)로부터의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제1 초기화 전압(VINT1) 및 제2 초기화 전압(VINT2)을 수신한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구동 컨트롤러(100)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수신한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응답해서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로 스캔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i번째 데이터 라인(DLi), 스캔 라인들(GIL1-GILn, GCL1-GCLn, GWL1-GWLn+1) 중 j번째 스캔 라인들(GILj, GCLj, GWLj), j+1번째 스캔 라인(GWLj+1) 그리고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중 j번째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접속된 화소(PXij)의 등가 회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화소(PXij)의 등가 회로도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PXij)는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T2, T3, T4, T5, T6, T7), 커패시터(Cst),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ED)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PXij)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D)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중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T3, T4)은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층으로 하는 N-타입 트랜지스터이고, 제1, 제2, 제5, 제6, 제7 트랜지스터들(T1, T2, T5, T6, T7) 각각은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반도체층을 갖는 P-타입 트랜지스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전체가 P-타입 트랜지스터 또는 N-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중 적어도 하나는 N-타입 트랜지스터이고, 나머지는 P-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의 회로 구성은 도 4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화소 회로(PXC)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화소 회로(PXC)의 구성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스캔 라인들(GILj, GCLj, GWLj, GWLj+1)은 스캔 신호들(GIj, GCj, GWj, GWj+1)을 각각 전달하고, 발광 제어 라인(EMLj)은 발광 신호(EMj)를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i)은 데이터 신호(Di)를 전달한다. 데이터 신호(Di)는 표시 모듈(DM, 도 3 참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동 전압 라인들(VL1, VL2, VL3, VL4)은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제1 초기화 전압(VINT1) 및 제2 초기화 전압(VINT2)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된 제1 전극,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커패시터(Cst)의 일단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라인(DLi)이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Di)를 전달받아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i)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스캔 라인(GWLj)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스캔 라인(GWLj)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Wj)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 라인(DLi)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Di)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스캔 라인(GCLj)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스캔 라인(GCLj)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Cj)에 따라 턴 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을 서로 연결하여 제1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킬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초기화 전압(VINT1)이 전달되는 제3 구동 전압 라인(VL3)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스캔 라인(GILj)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스캔 라인(GILj)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Ij)에 따라 턴 온되어 제1 초기화 전압(VINT1)을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라인(EMLj)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신호(EMj)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고 이를 통해 제1 구동 전압(ELVDD)이 다이오드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보상되어 발광 다이오드(LD)에 전달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제4 구동 전압 라인(VL4)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스캔 라인(GWLj+1)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스캔 라인(GWLj+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Wj+1)에 따라 턴 온되어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의 전류(Ibp)를 제4 구동 전압 라인(VL4)으로 바이패스한다.
커패시터(Cst)의 일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LD)의 캐소드(cathode)는 제2 구동 전압(ELVSS)을 전달하는 제2 구동 전압 라인(VL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5, 제6 트랜지스터들(T1, T5, T6)이 턴 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Id)가 발광 다이오드(LD)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전류(Id)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D)는 장시간 발광하면 열화되며,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도 장시간 동작하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LD) 및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은 동작 시간뿐만 아니라 주변 온도, 주변 밝기 등 주변 환경에 의해서 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소(PXij)의 특성이 열화된 경우 이전 영상이 다음 영상에 영향을 주는 잔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화소의 휘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소(PXij, 도 4 참조)의 열화는 발광 다이오드(LD)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휘도를 변화시킨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PXij)의 동작 시간이 길어질수록 화소 휘도(P_L)는 기준 휘도(REF_L)에 비해 점진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화소(PXij)의 동작 시간은 구동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 구동 회로(200)로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DATA)를 누적하여 계산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구동 컨트롤러(100)는 화소(PXij)로 제공될 데이터 신호(DATA)에 근거해서 휘도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휘도 변화에 대응하는 보상값으로 영상 신호(RGB)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화소의 휘도 변화를 예측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 도 3 참조)은 화소(PXij, 도 4 참조)의 동작 시간에 따른 휘도 변화를 곡선(PL)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화소(PXij)의 실제 휘도 변화가 곡선(RL1)이면, 예측된 휘도와 실제 휘도는 차이값(L1)만큼 오차가 생긴다. 이 경우, 화소(PX)의 예측 휘도가 실제 휘도보다 낮으므로 영상 신호(RGB)에 대한 과보상이 행해질 수 있다.
만일 화소(PXij)의 실제 휘도 변화가 곡선(RL2)이면, 예측된 휘도와 실제 휘도는 차이값(L2)만큼 오차가 생긴다. 이 경우, 화소(PX)의 예측 휘도가 실제 휘도보다 높으므로 영상 신호(RGB)에 대한 불충분한 보상이 행해질 수 있다.
즉, 화소(PXij)의 열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열화 정도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를 보상하는 것만으로는 잔상 보상에 어려움이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컨트롤러(100)는 보상 조정기(110), 보상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보상부(12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잔상 보상 신호(COMP)를 출력한다. 보상부(120)는 보상기(121) 및 스트레스 계산기(122)를 포함한다.
스트레스 계산기(122)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스트레스 데이터(ST_D)를 보상기(121)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스 계산기(122)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의 계조 레벨에 따라 스트레스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스 계산기(122)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 예를 들면, 주변 온도, 주변 휘도 등의 정보에 근거해서 스트레스 데이터(ST_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전자 모듈(EM2)는 주변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계, 주변 휘도 측정을 위한 휘도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스 계산기(122)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 대신 도 3에 도시된 화소들(PX)로부터 화소 열화 정보를 수신하고, 화소 열화 정보에 근거해서 스트레스 데이터(ST_D)를 출력할 수 있다.
스트레스 계산기(122)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 휘도 정보(BR_I) 및 온도 정보(TEMP_I)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스트레스 데이터(ST_D)를 출력할 수 있다.
보상기(121)는 스트레스 계산기(122)로부터의 스트레스 데이터(ST_D)와 메모리(130)로부터의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잔상 보상 신호(COMP)를 출력한다.
메모리(130)는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1 메모리(131) 및 제2 메모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모리(131)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제2 메모리(132)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보상기(121)는 제2 메모리(132)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ST_I)와 스트레스 데이터(ST_D)를 합하여 누적 스트레스(ST_F)를 계산하고, 누적 스트레스(ST_F)에 근거해서 잔상 보상 신호(COMP)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21)는 누적 스트레스(ST_F)에 따른 보상값을 미리 정해진 수학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21)는 누적 스트레스(ST_F)에 따른 보상값을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제1 메모리(131) 및 제2 메모리(132)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보상기(121)는 계산된 보상값에 대응하는 잔상 보상 신호(COMP)를 출력할 수 있다.
보상기(121)에 의해 계산된 누적 스트레스(ST_F)는 제2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보상기(121)는 누적 스트레스(ST_F)가 변경될 때마다 제2 메모리(132)에 누적 스트레스(ST_F)를 저장할 수 있다.
보상기(121)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수~수십 분)마다 주기적으로 누적 스트레스(ST_F)를 스트레스 기입 신호(ST_W)로서 제1 메모리(13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상기(121)는 표시 모듈(DM)의 전원이 오프될 때 최종 누적 스트레스(ST_F)를 제1 스트레스 신호(ST_W)로서 제1 메모리(131)에 저장할 수 있다. 보상기(121)는 표시 모듈(DM)의 전원이 온될 때 제1 메모리(131)로부터 제2 스트레스 신호(ST_R)를 읽어올 수 있다.
보상 조정기(110)는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잔상 보정 신호(CC)를 수신한다. 보상 조정기(110)는 잔상 보정 신호(CC) 및 보상기(121)로부터의 잔상 보상 신호(COMP)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를 보정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 조정기(110)는 잔상 보정 신호(CC) 및 보상기(121)로부터의 잔상 보상 신호(COMP)에 근거해서 보상값(CV)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상값(CV)으로 영상 신호(RGB)를 보정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한다.
보상 조정기(110)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서 보상값(CV)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수학식 1에서 AR는 보정 기준값이다. 예를 들어, 보정 기준값(AR)이 128이고, 잔상 보정 신호(CC)는 0부터 256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상값(CV)은 잔상 보상 신호(COMP)의 0%~20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상 조정기(110)는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제공된 잔상 보정 신호(CC)를 제1 메모리(1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상 보정 신호(CC)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 일시, 잔상 보정 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잔상 보정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잔상 보정 영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먼저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잔상 보정 모드에서 메인 프로세서(AP)는 잔상 보정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RGB)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이미지 영역(DD-DA)에는 잔상 보정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잔상 보정 영상은 컨트롤 윈도우(CW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윈도우(CW1)에는 패턴 선택 버튼들(C1, C2, C3), 저장 버튼(C4),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이 표시될 수 있다.
패턴 선택 버튼들(C1, C2, C3)은 제1 내지 제3 색상 패턴(PTN1, PTN2, PTN3)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색상 패턴들은 레드 색상 패턴, 그린 색상 패턴 및 블루 색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소들(PX)은 제1 내지 제3 색상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상 패턴(PTN1)은 화소들(PX) 중 제1 색상 화소들이 발광하는 패턴일 수 있다. 제2 색상 패턴(PTN2)은 화소들(PX) 중 제2 색상 화소들이 발광하는 패턴일 수 있다. 제3 색상 패턴(PTN3)은 화소들(PX) 중 제3 색상 화소들이 발광하는 패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를 좌우로 이동하여 제1 내지 제3 색상의 잔상 보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색상의 잔상 보상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잔상 보정 영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색상의 잔상 보상을 조정하기 위한 값들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윈도우(CW1) 내 제1 색상에 대응하는 패턴 선택 버튼(C1)을 선택(터치)하면 메인 프로세서(AP)는 화소들(PX) 중 제1 색상 화소들이 발광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RGB)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영역(DD-DA)에 레드 색상에 대응하는 제1 색상 패턴(PTN1)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화소들(PX) 중 제1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되어 있다면, 제1 색상 패턴(PTN1)의 일부에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색상 패턴(PTN1)을 보면서 슬라이드 바(SB1)를 제1 방향(DR1) 또는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바(SB1)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1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커질 수 있다. 슬라이드 바(SB1)를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1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SB1)의 이동에 의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1 색상에 대응하는 값은 0부터 256까지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표시 모듈(DM)은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수신된 잔상 보정 신호(CC)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의 잔상을 보상 및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잔상이 조정된 제1 색상 패턴(PTN1)이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제1 색상 패턴(PTN1)에 대한 잔상 보정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제1 색상 패턴(PTN1)에 대한 잔상 보정 변경값 즉, 잔상 보정 신호(CC)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MM)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윈도우(CW1) 내 제2 색상에 대응하는 패턴 선택 버튼(C2)을 선택(터치)하면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린 색상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DD-DA)에 제2 색상 패턴(PTN2)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화소들(PX) 중 제2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되어 있다면, 제2 색상 패턴(PTN2)의 일부에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색상 패턴(PTN2)을 보면서 슬라이드 바(SB2)를 제1 방향(DR1) 또는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바(SB2)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2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커질 수 있다. 슬라이드 바(SB1)를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2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SB2)의 이동에 의해 잔상 보정 신호(CC)의 제2 색상에 대응하는 값은 0부터 256까지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표시 모듈(DM)은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수신된 잔상 보정 신호(CC)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의 잔상을 보상 및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잔상이 조정된 제2 색상 패턴(PTN2)이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제2 색상 패턴(PTN2)에 대한 잔상 보정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제2 색상 패턴(PTN2)에 대한 잔상 보정 변경값 즉, 잔상 보정 신호(CC)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MM)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윈도우(CW1) 내 제3 색상에 대응하는 패턴 선택 버튼(C3)을 선택(터치)하면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영역(DD-DA)에 블루 색상에 대응하는 제3 색상 패턴(PTN3)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화소들(PX) 중 제3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되어 있다면, 제3 색상 패턴(PTN3)의 일부에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색상 패턴(PTN3)을 보면서 슬라이드 바(SB3)를 제1 방향(DR1) 또는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바(SB3)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3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커질 수 있다. 슬라이드 바(SB1)를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3 색상에 대응하는 값이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SB3)의 이동에 의해 잔상 보정 신호(CC)의 제3 색상에 대응하는 값은 0부터 256까지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표시 모듈(DM)은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수신된 잔상 보정 신호(CC)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의 잔상을 보상 및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잔상이 조정된 제3 색상 패턴(PTN3)이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제3 색상 패턴(PTN3)에 대한 잔상 보정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제3 색상 패턴(PTN3)에 대한 잔상 보정 변경값 즉, 잔상 보정 신호(CC)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MM)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컨트롤 윈도우(CW2)에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컨트롤 윈도우(CW1)와 동일하게 패턴 선택 버튼들(C1, C2, C3), 저장 버튼(C4),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가 표시된다. 또한 컨트롤 윈도우(CW2)에는 패턴 선택 버튼(C5)이 더 표시된다.
사용자가 컨트롤 윈도우(CW2) 내 패턴 선택 버튼(C5)을 선택(터치)하면 메인 프로세서(AP)는 화소들(PX) 중 제1 색상 화소들, 제2 색상 화소들 및 제3 색상 화소들이 모두 발광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RGB)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영역(DD-DA)에 화이트 영상에 대응하는 제4 색상 패턴(PTN4)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화소들(PX) 중 제1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된 상태이면 제4 색상 패턴(PTN4)에 제1 색상의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되고, 제2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된 상태이면 제4 색상 패턴(PTN4)에 제2 색상의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되고, 제3 색상 화소들의 일부가 열화된 상태이면 제4 색상 패턴(PTN4)에 제3 색상의 얼룩 또는 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 색상 패턴(PTN4)을 보면서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을 각각 제1 방향(DR1) 또는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1 내지 제3 색상들에 대응하는 값들이 각각 커질 수 있다.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을 제4 방향(DR4)으로 이동하면 잔상 보정 신호(CC) 중 제1 내지 제3 색상들에 대응하는 값들이 각각 작아질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
표시 모듈(DM)은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수신된 잔상 보정 신호(CC)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의 잔상을 보상 및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잔상이 조정된 제4 색상 패턴(PTN4)이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제4 색상 패턴(PTN4)에 대한 잔상 보정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제4 색상 패턴(PTN4)에 대한 잔상 보정 변경값 즉, 잔상 보정 신호(CC)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MM)에 저장될 수 있다.
수학식 1의 예에서, 보정 기준값(AR) 및 잔상 보정 신호(CC)의 범위에 따라 보상값(CV)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기준값(AR)이 128이고, 잔상 보정 신호(CC)는 0부터 256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상값(CV)은 잔상 보상 신호(COMP)의 0%~20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보정 범위의 제한이 필요한 경우, 보정 기준값(AR)이 128이더라도 잔상 보정 신호(CC)는 64부터 192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상값(CV)은 잔상 보상 신호(COMP)의 50%~15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색상 패턴(PTN1)에 대한 잔상 보정 변경값 즉, 잔상 보정 신호(CC)는 표시 모듈(DM)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경된 잔상 보정값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이력(history) 정보를 잔상 보정 신호(CC)에 포함하여 표시 모듈(DM)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사용자 조작 이력을 포함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제1 메모리(13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잔상 보정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메인 프로세서(AP) 및 표시 모듈(DM)의 구동 컨트롤러(100)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잔상 보정 동작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잔상 보정 모드에서 메인 프로세서(AP)는 잔상 보정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RGB)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이미지 영역(DD-DA)에는 잔상 보정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단계 S210).
잔상 보정 영상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컨트롤 윈도우들(CW1, CW2) 중 어느 하나 및 제1 내지 제3 색상 패턴들(PTN1, PTN2, PTN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턴 선택 버튼들(C1, C2, C3)을 이용하여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색상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패턴 선택 버튼들(C1, C2, C3)을 이용하여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색상 패턴을 선택하면(단계 S220), 제1 내지 제4 색상 패턴(PTN1, PTN2, PTN3, PTN4) 중 선택된 색상 패턴이 이용하여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된 색상 패턴을 보면서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를 좌우로 이동하여 제1 내지 제3 색상의 잔상 보상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들(SB1, SB2, SB3)를 이용하여 입력한 사용자 보정 정보는 메인 프로세서(AP)로 제공될 수 있다(단계 S240).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한다(단계 S250).
표시 모듈(DM)은 메인 프로세서(AP)로부터 수신된 잔상 보정 신호(CC)에 근거해서 영상 신호(RGB)의 잔상을 보상 및 보정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260). 그러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잔상이 조정된 색상 패턴이 이미지 영역(DD-DA)에 표시될 수 있다(단계 S270).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면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의 잔상 보정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단계 S280). 단계 S280에서 사용자가 저장 버튼(C4)를 누르지 않으면, 메인 프로세서(AP)는 단계 S210으로 리턴하여 잔상 보정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잔상 보정 동작이 완료되면 메인 프로세서(AP)는 사용자 보정 정보 예를 들면, 잔상 보정 신호(CC)를 저장한다(단계 S290). 잔상 보정 신호(CC)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MM)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AP)는 표시 모듈(DM)이 파워 온될 때 또는 주기적으로 메모리(MM)에 저장된 잔상 보정 신호(CC)를 표시 모듈(DM)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프로세서(AP)가 표시 모듈(DM)로 잔상 보정 신호(CC)를 제공하면, 구동 컨트롤러(100) 내 제1 메모리(131)에 잔상 보정 신호(CC)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100: 구동 컨트롤러
110: 보상 조정기
120: 보상부
121: 보상기
122: 스트레스 계산기
130: 메모리
131: 제1 메모리
132: 제2 메모리
200: 데이터 구동 회로
300: 전압 발생기
SD: 스캔 구동 회로
EDC: 발광 구동 회로
PX: 화소
PXC: 화소 회로

Claims (26)

  1. 영상 신호 및 잔상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 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스트레스 계산기; 및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는 보상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상기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인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5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최대 범위인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제1 색상에 대응하는 제1 보정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영상 신호 및 잔상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로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및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 조정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스트레스 계산기; 및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는 보상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최종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기는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표시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조정기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6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최대 범위인 표시 장치.
  17.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정 정보에 대응하는 잔상 보정 신호를 표시 모듈로 제공하는 단계;
    잔상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잔상 보상 영상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패턴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잔상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에 근거해서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에 대응하는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를 계산하고, 상기 잔상 보정 신호 및 상기 잔상 보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상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 스트레스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초기 누적 스트레스의 합을 상기 누적 스트레스로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조정 신호는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조정기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잔상 조정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보상값에 근거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한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보상값(CV)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7
    에 근거해서 계산되고,
    COMP는 상기 잔상 보상 신호, CC는 상기 잔상 보정 신호, AR는 보정 최대 범위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정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상 패턴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76279A 2021-06-11 2021-06-11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67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79A KR20220167439A (ko) 2021-06-11 2021-06-11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7/708,546 US20220398961A1 (en) 2021-06-11 2022-03-30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2178347.5A EP4102494A1 (en) 2021-06-11 2022-06-10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202210651331.6A CN115472123A (zh) 2021-06-11 2022-06-10 显示装置、包括显示模块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79A KR20220167439A (ko) 2021-06-11 2021-06-11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39A true KR20220167439A (ko) 2022-12-21

Family

ID=8202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79A KR20220167439A (ko) 2021-06-11 2021-06-11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8961A1 (ko)
EP (1) EP4102494A1 (ko)
KR (1) KR20220167439A (ko)
CN (1) CN115472123A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562B2 (en) * 2009-03-24 2013-03-05 Apple Inc. Aging based white point control in backlights
US9613591B2 (en) * 2014-08-29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US20160335965A1 (en) * 2015-05-13 2016-1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iode relative age tracking
WO2018067159A1 (en) * 2016-10-06 2018-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ing frequencies of manipulation of display pixels
JP7187158B2 (ja) * 2018-03-12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004391B2 (en) * 2019-06-10 2021-05-11 Apple Inc. Image data compensation based on predicted changes in threshold voltage of pixel transistors
KR20210022824A (ko) * 2019-08-20 2021-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E102020116652A1 (de) * 2019-10-02 2021-04-08 Marco Scheffler Elektrisches Gerät mit berührungsempfindlichem Bildschirm und Benutzeroberfläche zur Einstellung der Bildschirmhelligkeit
US20220223104A1 (en) * 2021-01-13 2022-07-14 Nvidia Corporation Pixel degradation tracking and compensation for display technologies
CN115134573A (zh) * 2021-03-25 2022-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色彩设置方法、显示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8961A1 (en) 2022-12-15
CN115472123A (zh) 2022-12-13
EP4102494A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060B (zh) 像素补偿方法、像素补偿系统及显示装置
CN109859692B (zh) 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0805547B1 (ko)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2740315B (zh) 显示面板的温度补偿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装置
CN110364114B (zh) 显示面板及其亮度补偿方法、显示装置
KR20200038385A (ko) 플리커 정량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4502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210094859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방법
US20220051617A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117688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low frequency driv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037931A (ko) 센서의 발광으로 인한 누설 전류에 따른 화소의 구동 변화를 보상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CN117059013A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工作方法和像素特性检测方法
KR20220167439A (ko) 표시 장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2331138B (zh) 补偿图像的像素值的电子设备
KR2022002666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5605941A (zh) 一种像素补偿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830214A (zh) 显示装置及其亮度补偿电路、亮度补偿方法
US2024013585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40127743A1 (en) Integrated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US2024013586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20208057A1 (en) Infinitely Expandabl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2008937B2 (en) Infinitely expandabl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40105134A1 (en) Display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river
KR20240053510A (ko) 집적 회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40059695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