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15A -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15A
KR20220166915A KR1020210075781A KR20210075781A KR20220166915A KR 20220166915 A KR20220166915 A KR 20220166915A KR 1020210075781 A KR1020210075781 A KR 1020210075781A KR 20210075781 A KR20210075781 A KR 20210075781A KR 20220166915 A KR20220166915 A KR 2022016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user
mobile terminal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915A/ko
Publication of KR2022016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3Specially adapted for sailing s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내의 이동 통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마커 및 선박의 운항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운항정보를 전송받아 방위를 검출하고, 마커를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선박 내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A SYSTEM FOR PATH FINDING IN SHIP}
본 발명은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 중인 선박 내에서 목적지까지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길찾기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길찾기 서비스는 사용자가 단말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서버를 통해 공급되는 맵(map) 상에 사용자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길찾기 서비스는 보행자나 차량을 목적지까지 안내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선박과 같은 대형의 이동수단 내에서 실내의 길을 찾는데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최근에는 선박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대형의 여객선이나 화물 운반선 등의 선박의 경우, 실내 구조가 복잡하고 면적이 넓어 실내의 길찾기 서비스가 필요하나, 선박의 이동 방향과 선박 내 승선자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일반적인 GPS를 이용한 길찾기 서비스로는 선박 내 승선자의 위치나 실내 목적지까지의 길안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선박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1513588호(등록일: 2015.04.14)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에서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구체적으로는 이동 중인 대형 선박 내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내의 이동 통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마커 및 선박의 운항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운항정보를 전송받아 방위를 검출하고, 마커를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선박 내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단말은, 운항시스템으로부터 선박의 이동 방향, 선회 및 방위를 포함하는 운항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통신부, 마커를 인식하는 인식부, 마커의 위치가 포함된 선박 내부의 층별 또는 구역별 맵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이동단말의 방위와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이동단말의 방위를 운항정보에 따른 실제 방위에 맞추어 보정하고, 인식된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맵과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을 정보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운항정보를 통해 선박의 선회 각도를 확인하고, 선박의 선회 각도와 선박 내에서 인식된 마커를 기준으로 선회하는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를 비교하여, 선박의 선회 각도에 비해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가 더 크면 사용자의 방향 전환으로 인식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되, 맵 상에 일정 구간마다 가상의 보폭 측정점을 적용하여, 센서부를 통해 마커와 보폭 측정점 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평균 보폭 또는 걸음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커와 마커 사이의 구간을 이동할 때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추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은, 선박의 운항정보와 선박 내 설치된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이동하는 대형 선박 내에서 이동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길찾기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실시간 길안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에서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설치된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 내 길찾기를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을 통해 표시되는 실시간 길안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은, 해상에서 이동하는 대형 선박 내에서 길찾기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선박의 운항정보와 선박 내 설치된 마커(100)를 이용하여 이동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은, 선박 내 복수로 설치되는 마커(100)와, 선박의 운항정보와 마커(100)를 이용하여 선박 내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의 실내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마커(100)가 설치될 수 있고, 마커(100)는 선박 내에서 길 안내를 위한 기준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커(100)는 선박 내 이동 통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일 예로써, 이동 통로의 바닥, 벽면등에 부착되거나, 이동 통로 상에 설치된 안내 명판 등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커(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단말(200)에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마커(100)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단말(200)은 선박의 운항시스템과 통신하여 운항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운항정보에 포함된 선박의 이동 방향, 선회 및 방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200)의 방위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200)은 사용자가 선박 내 길찾기를 수행할 때, 선박 내 설치된 마커(100)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100)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선박 내부의 맵정보를 기반으로 선박 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입력한 선박 내 목적지까지의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200)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 마커(100)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220), 선박 내부의 맵정보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부(230),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40), 방위와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250) 및 선박의 운항정보와 마커(100)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와 이동을 판단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200)은 통신부(210)를 통해 선박 내 구비된 운항시스템과 통신하여, 운항 중인 해당 선박의 운항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30)에는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고, 선박 내부의 각 구역에 대한 층별 맵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맵정보로는, 선체 상부에 배치된 거주구 구역의 층별 맵정보와, 선체의 갑판 구역의 맵정보 및 선체 내부의 층별 맵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더불어, 선박의 각 구역별 맵정보에는 마커(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이동단말(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길찾기 안내를 위한 각종 메뉴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일 예로써 선박 내 길찾기 수행 시, 선박 내부의 맵 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50)는 이동단말(200)의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센서와, 이동단말(2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길찾기를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선박의 운항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200)의 방위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200)은 센서부(250)에 구비된 방위센서를 통해 방위를 검출할 수 있는데, 실제 방위와는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정보에 포함된 선박의 이동 방향, 선회 및 방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200)의 방위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200)은 내부에 저장된 맵 상의 방위를 운항정보를 통해 얻어지는 실제 방위와 일치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260)는 인식부(220)에 의해 선박 내 설치된 마커(100)가 인식되면, 마커(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마커(100)가 포함된 맵을 불러올 수 있고, 해당 마커(100)를 통해 맵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사용자가 위치한 층의 맵이 표시되고, 맵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사용자가 이동단말(200)을 들고 선박 내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이동통로를 따라 배치된 마커(100)가 이동단말(200)에 인식되면서 이동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마커(100)와 인접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마커(100)와 마커(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폭 또는 걸음 속도 등을 추정하여 맵 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가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되는 맵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이동단말(200)은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270)를 포함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240a,240b)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단말(200)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들고 이동하게 되면, 제1 디스플레이부(240a)를 통해서는 카메라부(270)에 의해 촬영되는 이동단말(200)의 전방 시야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240b)를 통해서는 맵 상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200)에 목적지가 입력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240a)에 이동단말(200)의 전방 시야에 목적지가 위치하는 경로 및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240b)에 표시된 맵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200)은 선박 내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되거나, 통상의 스마트폰에 선박의 맵정보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에서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설치된 복수의 마커(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운항 중인 선박에서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선회 각도(a)와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b)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단말(200)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운항정보를 통해 선박의 선회 각도(a)를 알 수 있고, 인식된 마커(100)를 기준으로 하여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b)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의 선회 각도(a)와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b)의 차이를 비교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선박의 선회 각도에 비해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b)가 더 크면 이동단말(200)의 방향 전환 즉,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인식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선박의 선회 각도(a)와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b)에 차이가 없으면 사용자의 방향 전환이 없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단말(200)을 통해 선박 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함에 있어서는, 이동단말(200)에 인식되는 마커(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마커(100)와 마커(100) 사이를 이동할 때에는 사용자의 보폭 또는 걸음 속도 등을 추정하여 맵 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맵 상에서 일정 구간마다 가상의 보폭 측정점(p)을 적용하여, 이동단말(200)의 센서부(250)를 통해 마커(100)와 보폭 측정점(p) 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평균 보폭 또는 걸음 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커(100)와 마커(100) 사이를 이동할 때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선박 내 길찾기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선박 내 길찾기를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박 내 위치한 사용자는 이동단말(200)을 이용하여 선박 내 목적지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근처에 있는 마커(100)를 인식시킬 수 있다(S110).
이때, 이동단말(200)은 통신부(2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선박의 운항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200)의 방위정보를 실제 방위에 맞도록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동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맵 상의 방위가 실제 방위와 일치될 수 있다(S120).
또한, 이동단말(200)에 의해 마커(100)가 인식되면, 메모리부(230)에서 해당 마커(100)가 위치한 맵을 불러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하고, 인식된 마커(100)를 기준으로 하여 맵 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S130).
더불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되는 맵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선박 내 이동 통로를 따라 설치된 마커(100)가 이동단말(200)에 인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맵 상에는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고, 동시에 목적지까지의 길안내 정보가 화살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S140).
이 과정에서는, 이동단말(200)을 통해 선박의 선회와 사용자의 선회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평균 보폭 또는 걸음 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마커(100)와 마커(100) 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240)의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10)은, 선박의 운항정보와 선박 내 설치된 복수의 마커(100)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이동하는 대형 선박 내에서 이동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길찾기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100 : 마커 200 : 이동단말
210 : 통신부 220 : 인식부
230 : 메모리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센서부 260 : 제어부
270 : 카메라부

Claims (4)

  1. 선박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내의 이동 통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마커; 및
    상기 선박의 운항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운항정보를 전송받아 방위를 검출하고, 상기 마커를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선박 내 사용자에게 길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운항시스템으로부터 선박의 이동 방향, 선회 및 방위를 포함하는 운항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마커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마커의 위치가 포함된 선박 내부의 층별 또는 구역별 맵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단말의 방위와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이동단말의 방위를 상기 운항정보에 따른 실제 방위에 맞추어 보정하고, 상기 인식된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맵과 상기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을 정보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기 운항정보를 통해 선박의 선회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선박의 선회 각도와 선박 내에서 상기 인식된 마커를 기준으로 선회하는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선박의 선회 각도에 비해 상기 이동단말의 선회 각도가 더 크면 사용자의 방향 전환으로 인식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 상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맵 상에 일정 구간마다 가상의 보폭 측정점을 적용하여,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마커와 상기 보폭 측정점 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평균 보폭 또는 걸음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커와 마커 사이의 구간을 이동할 때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추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210075781A 2021-06-11 2021-06-11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KR20220166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81A KR20220166915A (ko) 2021-06-11 2021-06-11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81A KR20220166915A (ko) 2021-06-11 2021-06-11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15A true KR20220166915A (ko) 2022-12-20

Family

ID=8453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81A KR20220166915A (ko) 2021-06-11 2021-06-11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6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2355A (zh) * 2022-12-23 2023-06-09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综合技术经济研究院 一种船上路径规划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88B1 (ko) 2013-08-09 2015-04-21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88B1 (ko) 2013-08-09 2015-04-21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2355A (zh) * 2022-12-23 2023-06-09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综合技术经济研究院 一种船上路径规划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16242355B (zh) * 2022-12-23 2024-01-23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综合技术经济研究院 一种船上路径规划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545B2 (en) Mobile terminal with navigation function
US9546879B2 (en) User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EP23723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using a battery in a smartphone having a navigation system
JP4449162B2 (ja) 地図表示装置
US20040122590A1 (en) Map evaluation system, collation device, and map evaluation device
US6545638B2 (en) Correcting a prior dead reckoning determined position measurement using GPS when GPS is later acquired
KR20040033181A (ko) Gps 위치 데이터 수신 불량 지역에서의 이동체 위치예측 방법
JP5148950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2013006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601293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ap in a navigation system
KR20060118234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JP4375800B2 (ja)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学習方法
JP4903649B2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2007071665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220166915A (ko) 선박 내 길찾기 정보제공 시스템
US8756008B2 (en) Navigation apparatus
WO2013057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cking a location
EP3285044A1 (en) Azimuth identification system
JP2009198508A (ja) 経路案内装置
JP497105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8150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city name associated with street located on border of two cities
JP2019053630A (ja) 電子装置および計測センサの計測方向の調整方法
US10830906B2 (en) Method of adaptive weighting adjustment positioning
JP2007225504A (ja) 経路設定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56739A (ko) Rfid와 전자 나침반을 이용한 맹인용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