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68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682A
KR20220165682A KR1020220160742A KR20220160742A KR20220165682A KR 20220165682 A KR20220165682 A KR 20220165682A KR 1020220160742 A KR1020220160742 A KR 1020220160742A KR 20220160742 A KR20220160742 A KR 20220160742A KR 20220165682 A KR20220165682 A KR 2022016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unit
gea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808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682A/ko
Priority to KR1020240024425A priority patent/KR2024002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부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를 승강시키는 서랍측 장치;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측 장치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측 장치; 상기 도어측 장치의 동력이 상기 서랍측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서랍측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서랍측 장치와 상기 도어측 장치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1335호에는 인출입되는 도어의 배면에 승강 가능한 저장용기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와 저장용기 사이의 연결 부위가 노출되고, 전기 장치와 승강을 위한 구조물들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상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3420호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바스켓이 승강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지부재가 도어의 배면과 하면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도어측에 승강을 위한 구성들이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식품이 수용되는 바스켓의 승강을 위한 구조의 분리 장착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서비스 및 청소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승강을 위한 구조의 동작시 실질적으로 식품이 수용되는 바스켓 전체가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바스켓 내부 식품이 편심되어 있을 경우 편심된 하중에 의해 바스켓의 안정적인 승강 작용이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도어 및 바스켓의 심각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승강을 위한 바스켓 전체가 냉장고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출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되고, 바스켓 승강을 위한 구조가 도어 상에 추가 배치되어 도어의 인출시 불안정하며, 상기 도어 및 도어의 인출입을 위한 구성의 변형 및 파손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의 일부가 승강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의 일부가 승강 가능하면서 승강을 위한 구성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며 일부가 승강 가능한 서랍식 도어의 도어부와 서랍부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도어부와 서랍부의 분리시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분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기구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도어부와 서랍부의 분리 및 결합시 승강을 위한 구성이 함께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에 서로 떨어지게 배치된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연결장치와 동력 전달부재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 내부의 구성 일부가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승강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 서랍 도어에서 상기 서랍 도어가 캐비닛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동작시 안정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인출입에 의해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도어부와 서랍부로 구성되는 도어; 서랍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승강장치;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부 내부의 전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인출입되는 도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도어부 배면에 결합되는 서랍부에 구비되며, 서랍부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장치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장치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가 구비되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연결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서랍 내부에서 식품 및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양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어셈블리와;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부 양측의 승강장치는 양측의 연결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부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를 승강시키는 서랍측 장치;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측 장치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측 장치; 상기 도어측 장치의 동력이 상기 서랍측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서랍측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서랍측 장치와 상기 도어측 장치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측 장치 및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는 상기 서랍부와 마주보는 상기 도어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연결장치 케이스와;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측 구동장치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결기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푸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서랍부에 의해 가려지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구와; 상기 서랍부보다 더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서랍측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은 상기 서랍측 장치와의 결합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 내부에 구비되며,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서랍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서랍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마주보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측 장치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도어부의 배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부재로 전달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시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 내측면에 장착되는 레일 하우징; 상기 레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측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블럭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 홀더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에 구비된 샤프트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전달 기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샤프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의 내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전방 공간과 상기 전방 공간 보다 더 후방에 위치된 후방 공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방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는 상기 후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까지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도어부 배면에 배치되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관통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양단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구동 샤프트이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연결장치 케이스와;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결기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배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승강장치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와 상기 서랍부를 결합하는 도어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서랍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조작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의 내부에는 식품 또는 용기가 안착되는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을 위해 상기 서랍 도어의 양측방에서 승강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단 지지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가 기울어지거나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적인 승강 운동 및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부 내부의 공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서랍부의 전방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 전체가 인출되지 않고, 상기 전방 공간만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의 과도한 인출로 인한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추가의 구성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서랍부 전체가 인출되어 냉기가 외부로 쏟아져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부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도어측 장치와,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는 서랍측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시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서랍측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조립성 및 서비스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배면의 연결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의 구동장치와 상기 서랍부의 승강장치가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도구 또는 분해 작업 없이 상기 연결장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분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를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측 장치에는 승강 모터를 비롯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전기장치를 배치시키고, 상기 서랍측 장치는 동력이 전달되는 기구측만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의 분리 및 전기장치 배치를 도어부로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의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승강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 중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구동 장치 중 모터 어셈블리와 구동 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장치가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연결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 중 동력 전달부재와 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연결장치와 동력 전달부재 및 승강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지지부재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 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은 냉장실(11)로, 하부의 공간은 냉동실(12)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저장공간(11) 및 하부 저장공간(12)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와 하부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서랍 도어(30)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36)가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서랍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36)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승강장치(51)의 장착을 위한 좌우 양측면부와 상기 좌우 양측면부를 연결하며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와 후면부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도 7에서 391,392,39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구비되며 언더레일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은 상기 서랍부의 하부 또는 하면에 구비됨으로서 상기 승강장치(51)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및 승강장치(51)의 독립적인 동작을 보장차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서랍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지지부재(35)와,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재(35)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 즉, 상기 하부 저장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는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가 완전히 인출되는 일반적인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에 비래 본 실시 예의 인출 거리는 더 짧게 되어 상기 서랍부(32)가 완전히 상기 하부 저장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경우에 비해 작용되는 모멘트가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지지부재(35)가 수용된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구성(50)들은 상기 서랍부(32)의 좌우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양측면의 중간지점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승강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가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공간(S1)에서 승강되는 지지부재(35)에 수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후방 공간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승강 동작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상기 전방 공간(S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수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도 9에서 40)는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 및 분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도 8에서 41)와,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서랍측 장치(도 8에서 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1)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장치(41)의 일구성인 연결장치(60)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장치(6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연결부재(522)가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60)와 제 2 연결부재(5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가 상기 서랍부(32)에 고정될 때 서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31)가 상기 서랍부(32)와 분리될 때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장치(60)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22)에는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와 홈은 다각 형상 또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장치(60)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22)는 동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탈착이 가능한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도어 커버(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구동장치(41)가 상기 도어부(31)의 후방에서 장착된 후 상기 구동장치(41)를 차폐하도록 조립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1)와 대응하는 영역만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배면에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의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그리고,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311)는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의 하단에는 경사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1a)의 일측에는 조작장치 홀(3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장치 홀(311b)에는 가상 스위치의 출력 및 사용자의 조작 감지를 위한 조작장치(30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는 가상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영상의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터 라이트 그리고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13)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장치(302)의 장착 및 상기 도어부(31) 내부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를 위한 조작부 브라켓(31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314)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는 상기구동장치(4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함몰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상기 도어 커버(315)가 장착되어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구동장치(41) 및 함몰부(314a)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부에는 냉기 유입구(315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유입구(315b)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서랍부(32) 상단보다 더 상방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냉기 유입구(315b)를 통해 상기 도어 커버(315)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부에는 냉기 유출구(31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출구(315c)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개구되며, 따라서 상기 도어 커버(315)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서랍부(32)의 하방까지 유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 커버(315)는 내부에 상기 서랍부(32)의 전방에서 냉기의 유동 및 순환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서랍부(32)가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주위로 냉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서랍부(32)의 냉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연결장치 홀(3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 홀(315a)은 상기 도어 커버(31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장치(60)는 상기 연결장치 홀(315a)을 통해서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장치(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를 분리하게 될 때, 상기 연결장치(60)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에는 상기 구동장치(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1)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는 구성들로, 도어측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1)는 동력의 제공을 위한 구성된 모터 어셈블리(41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1)에는 상기 연결장치(6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장치(41)의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412)는 도어부(31)의 전면과 수평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31) 내측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를 연결하며, 상기 서랍부(32)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부(316a)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고정되는 서랍 프레임부(316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부(316a)와 상기 서랍 프레임부(316b)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부(316a)와 서랍 프레임부(316b)를 연결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316)의 변형을 방지하는 프레임 보강부(316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부(316a)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 프레임부(316b)가 상기 도어부(31) 배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프레임부(316b)는 상기 도어 프레임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과 접하여 상기 저장공간을 기밀시키는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서랍측 장치(50)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저장공간의 내부에 상기 후방공간(S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도 26에서 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도 26에서 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서랍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이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1)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1)는 상기 서랍 본체의 좌우 측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주요 구성 즉, 승강장치(5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 및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의 승강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1)는 이러한 집중 하중에도 상기 서랍 본체(38) 나아가 상기 서랍부(3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랍 플랜지(38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아웃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내측에는 상기 서랍측 장치(50)의 주요 구성인 승강장치(51)가 장착되는 장착부(38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는 상기 서랍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는 상하 방항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상단에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바닥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383)의 하단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의 하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 및 인출입 레일(33)의 장착을 위한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의 내측면은 상기 승강장치(51)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장치(51)의 안정적인 장착 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383)는 중앙부에 함몰된 제 1 장착부(383c)와 상기 제 1 장착부(383c) 양측방에 제 2 장착부(383d)가 함몰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장착부(383c)가 상기 제 2 장착부(383d)보다 더 함몰되어 상기 제 1 장착부(383c)와 제 2 장착부(383d)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승강장치(51)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의 하면은 상기 승강장치(5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승강장치(51)이 개구된 상방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상방에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승강장치(51)의 양단이 상기 장착부(383) 내에서 구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의 개구된 상면에는 장착부 브라켓(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장치(51)의 상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단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383)의 개구된 상면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에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상기 승강장치(51)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서랍 본체(38)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51)는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상기 서랍 본체(38)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양측단과 연결 브라켓(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상하 이동을 위해 동작되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원활한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383)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에 장착되는 동력 전달부재(52)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승강장치(51)와 결합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383)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성형시 금형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상기 서랍 본체(38)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83)와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서랍 플랜지(380) 영역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플랜지(380)의 외측으로 절곡된 영역의 하방에 상기 장착부(383)와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와 전달부재 장착부(384)는 물론, 상기 장착부(383)와 전달부재 장착부(384)에 장착되는 승강장치(51)와 동력 전달부재(52) 또한 상기 서랍 플랜지(380)보다 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서랍측 장치(50)와 상기 서랍측 장치(50)의 장착을 위한 구조 모두 상기 서랍 플랜지(380)의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본체(38) 내부의 수납 공간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장치(50) 중 지지부재(35)와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와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와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서랍 본체(38)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동력 전달부재(52)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의 상단에는 상단 절곡부(39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절곡부(391a)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 및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절곡부(391a)의 연장된 단부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1)의 상단과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 내외측 및 상면이 모두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에는 상기 장착부(383)와 대응하는 크기의 사이드 개구(39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승강장치(51)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라켓(54)이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에는 이너 플레이트(3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면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 열전달이 보다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주위의 냉기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전면부(395a)와 후면부(395c)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상단 절곡부(395d, 395e)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단과 후단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95c)는 상기 서랍 본체(38) 후면의 경사면(32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경사면(32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95c)의 하단과 인접한 상기 하면부(395b)의 후단에는 하면 개구(395f)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개구(395f)는 상기 서랍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된 커버 지지부(388)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지지부(388)는 상기 하면 개구(395f)를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커버(37)의 하단이 상기 커버 지지부(388)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5)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하단은 상기 커버 지지부(388)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커버(37)의 좌우 양측단을 따라서 다수의 커버 구속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구속부(373)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커버 구속돌기(38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구속돌기(385)는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에 형성되는 돌기 홀(392b)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구속부(373)는 상기 커버 구속돌기(385)에 압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커버 구속돌기(385)와 상기 커버 구속부(373)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서랍 커버(37)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바닥면 중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351)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승강 프레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식품 또는 용기(36)가 실질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안착부재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 또는 상기 승강 프레임(35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는 사각형의 판상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36)의 하면 둘레와 접하여 상기 용기(36)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54)은 일측이 상기 승강 프레임(352)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승강장치(51)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51)의 동작시 상기 연결 브라켓(54)에 의해 연결된 상기 승강 프레임(352) 즉,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기 연결 브라켓(54)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상기 서랍부(32)의 인출입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승강장치(5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50)는 상기 지지부재(35)와, 상기 지지부재(35)의 양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의 전달 및 상기 지지부재(35)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장치(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승강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는 구동장치(41)와 상기 서랍부(32)에 배치되는 서랍측 장치(5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1)와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1)는, 구동 모터(411)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41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413), 그리고, 상기 서랍측 장치(5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412)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에 보다 큰 토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한쌍의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각각의 모터 어셈블리에 상기 구동 샤프트(413)가 배치되어 한쌍의 상기 승강장치로 개별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는 상기 도어부(31)의 전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단열 공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가 하나 또는 두개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샤프트(413)는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양만큼 회전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장치(60) 및 동력 전달부재(52)에 의해 전달되는 동일한 회전력에 의해 한쌍의 승강장치(51)가 동일한 높이로 승강되어 상기 지지부재(35)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 샤프트(41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를 관통하는 하나의 샤프트 또는 복수의 샤프트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35)와 상기 지지부재(35)의 양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35)를 승강시키기 위한 상기 승강장치(51)와 상기 연결 브라켓(54)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41)의 회전력을 상기 승강장치(51)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구동시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회전력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연결장치(60)와 동력 전달부재(52)에 의해 상기 서랍측 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51)에는 상기 승강장치(51)의 동작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연결 브라켓(54)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54)에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일 구성인 승강 프레임(352)의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51)의 동작시 상기 연결 브라켓(54)이 승강하면서 상기 지지부재(35)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각 구성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 중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구동 장치 중 모터 어셈블리와 도어측 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1)상기 도어부(31)의 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어셈블리(41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를 관통하는 구동 샤프트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양단에 기어 결합되는 상기 연결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는 구동 모터(411) 다수의 기어(416)그리고 모터 케이스(412a)와 모터 커버(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케이스(412a)와 모터 커버(412b)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모터 케이스(412a)와 모터 커버(412b)의 사이에 상기 구동 모터(411)와 다수의 기어들(416)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411)의 구동시 상기 다수의 기어들(416)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 케이스(412a) 및/또는 모터 커버(412b)를 관통하는 구동 샤프트(413)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413)는 상기 다수의 기어들(416)과 결합되어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411)는 상기 승강장치(51)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51)의 승강 신호가 입력되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51)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411)의 부하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정지신호의 입력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411)는 상기 모터 케이스(412a)의 하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411)의 회전 축은 다수의 기어들(416)과 기어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기어들(4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어들(416)은 상기 구동 모터(411)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 다수개가 서로 조합되어 기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수의 기어들(416)은 감속비와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적어도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 축과 결합되는 기어와 상기 구동 샤프트(413)와 결합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416)는 동력 전달부(416a)와 동력 전환부(41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416a)는 평기어 형상으로 이웃하는 상기 기어(416)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 전환부(416b)는 상기 구동 샤프트(413)에 장착된 샤프트 구동기어(415)와 기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41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나며, 상기 구동 모터(411)의 회전 축 및 상기 기어(416)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구동기어(415)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 전환부(416b)와 수직하게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 전환부(416b)는 베벨 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13)로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동력 전환부(416b)와 상기 샤프트 구동기어(415)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다른 기어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는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형성된 함몰부(314a)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양측에 돌출된 케이스 고정부(412c)에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모터 케이스(412a)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케이스(412a)를 관통하는 상기 구동 샤프트(413)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314)상의 함몰부(314a)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 모터(411)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양단에 연결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함몰부(314a)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도어 커버(31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1)는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411)의 회전력은 상기 연결장치(60)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양단에는 제 1 연결기어(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기어(414)는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장치(60)의 내부에서 제 2 연결기어(64)와 기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제 2 연결기어(64)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는 상태에서 기어 결합 및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베벨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장치가 도어측 샤프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연결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장치(60)는 연결장치 케이스(61)와, 연결장치 커버(6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와 상기 연결장치 커버(62)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제 2 연결기어(64)와 결합부재(65), 탄성부재(66), 제 1 연결부재(67) 및 푸시부재(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즉, 후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제 2 연결기어(64)와 결합부재(65), 탄성부재(66), 제 1 연결부재(67) 및 푸시부재(68)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61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간(614)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연결기어(6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기어 장착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 장착부(615)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의 둘레부(644)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연결장치(60)가 조립된 후에는 상기 연결기어 장착부(615) 내측에 위치되어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413)가 관통되는 샤프트 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홀(611)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일면에는 케이스 개구(612)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413)에 결합된 상기 제 1 연결기어(414)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개구(612)가 형성되는 상기 연결장치(60)의 일면에는 단차부(6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613)에 상기 기어 지지부재(6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부재(63)는 상기 케이스 개구(612)로 노출되는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의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기어(414)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장착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부재(63)는 상기 단차부(61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기어(64)에는 기어부(64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기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베벨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의 기어부(641)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평면 형상의 기어 지지부(6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6)와 접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6)에 의해서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제 2 연결기어는 항상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어 지지부(642)의 둘레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6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부(644)는 상기 연제 1 연결부재(67)를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기어 장착부(615)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연결부재 장착부(384)의 내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둘레부(644)에 의해 상기 기어 지지부(642)에 접하는 상기 탄성부재(66)는 상기 기어 지지부(64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기어 지지부(6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6)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고, 상기 탄성부재(66)의 압축시에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지지부(642)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64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기어(64)의 중심부에는 결합부재(6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5)는 상기 제 2 연결기어(6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67)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65)의 일단은 상기 제 2 연결기어(64)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65)의 타단은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65)는 다각형 단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기어(64)의 회전시 상기 제 1 연결부재(67)가 함께 회전되하며, 동시에 상기 제 1 연결부재(67)가 상기 결합부재(6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상기 제 2 연결기어(64)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66)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6)는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중앙부에 상기 결합부재(65)가 삽입되는 삽입홀(67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671)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부재(65)의 단부에는 스크류(651)가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65)와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651)는 상기 결합부재(65)가 삽입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제 1 연결부재(67)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재(67)에는 지지부(6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72)는 상기 탄성부재(66)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 2 연결기어(64)의 기어 지지부(642)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66)가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제 2 연결기어(64)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이동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부재(67)에는 제 1 연결부(67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673)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 형성되는 제 2 연결부(522a)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푸시부재(68)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673)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672)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시 푸시부재(68)의 관통구(685)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72)는 상기 푸시부재(68)의 관통구(685) 둘레를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상기 푸시부재(68)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68)의 누름 조작시 또는 상기 탄성부재(66)에 의한 최초 위치 복귀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상기 푸시부재(68)는 접한 상태에서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내부는 상기 결합부재(6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671)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다른 일측에는 결합홀(6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74)은 상기 연결장치(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연결부(673)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671)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651)가 상기 결합홀(674)을 통해서 상기 결합부재(65)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674)의 내측면에는 요철 형상 또는 돌출 함몰되는 라운드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재(522)에 돌기 형성으로 형성된 제 2 연결부(522a)가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결합홀(674)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673)와 제 2 연결부(522a)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회전 동력이 상기 제 2 연결부재(522) 즉,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68)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개구(621)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68)는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개구(621)를 통해 노출되는 푸시부(681)와 상기 푸시부(681)의 둘레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푸시 가이드 면(6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681)에는 상기 제 1 연결부(673)가 관통되는 관통구(6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685)는 상기 제 1 연결부(673)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부(672)의 외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681)를 눌러 상기 푸시부재(68)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푸시부재(68)와 접하는 제 1 연결부재(67) 또한 함께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의 제 2 연결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681)의 둘레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 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푸시 플렌지(68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플렌지(683)가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개구(621) 둘레와 간섭되어 상기 푸시부재(68)가 탈거되지 않고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에 의해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개구 둘레는 단차부(62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푸시 플렌지(683)가 상기 단차부(623)의 배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681)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푸시부(68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이드 면(682)과, 상기 가이드 면(682)의 양측방에 구비되는 가이드 보스(68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보스(684)는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배면에서 연장된 가이드 포스트(624)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포스트(624)는 상기 연결장치 커버(62)가 아니라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 보스(684)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68)의 전후 이동시 상기 가이드면(682)에 의해서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양측의 가이드 포스트(624)를 따라 상기 가이드 보스(684)가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푸시부재(68)는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전후방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 커버(62)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푸시부(681)가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6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 커버(62)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 내부의 구성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621)의 둘래 중 일부에는 푸시부재 안내부(62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 안내부(622)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푸시부재(68)의 이동시 상기 푸시부재(68)의 둘레면과 접하여 상기 푸시부재(68)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 안내부(622)는 상기 가이드 면(68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푸시부재(68)의 나머지 둘레부분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60)는 상기 도어 커버(315)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푸시부재(68)가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68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푸시부재(68)를 누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66)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기어(64)와 제 1 연결부재(67)가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6)의 일단은 상기 제 2 연결기어(64)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제 2 연결기어(64)가 제 1 연결기어(414)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6)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부재(67)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제 2 연결부재(522)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회전력이 상기 제 1 연결기어에 의해 제 2 연결기어로 전달되며, 제 2 연결기어(64)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회전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결합된 제 2 연결부재(522)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1)의 동작시 상기 구동장치(41)의 동력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 전달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승강장치(51)에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분리 또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를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푸시부재(68)를 눌러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68)를 눌러 조작하게 되는 경우 상기 연결장치(60)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도 15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푸시부재(68)를 눌러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68)를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66)가 압축되면서 상기 푸시부재(68)는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61)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푸시부재(68)와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22)는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1)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의 결합 해제를 통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또한 상기 도어부(31)의 구동장치(41)와, 상기 서랍부(32)의 동력 전달부재(52)와 및 승강장치(51)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와 승강장치(51)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 중 동력 전달부재와 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연결장치와 동력 전달부재 및 승강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상기 서랍 본체(38)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측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승강부재(35)와, 상기 승강부재(35)의 양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383) 내측에 장착되는 상기 승강장치(51)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구동시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회전력은 상기 연결장치로 전달되고, 서로 결합된 제 1 연결부재(67)와 제 2 연결부재(522)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재(52)가 동력 전달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와 결합된 승강장치(51) 내측의 승강 샤프트(5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 샤프트(57)에 결합된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연결 브라켓(54)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54)을 승강시킬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연결 브라켓(54)은 상기 승강 프레임(352)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35)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회전력은 구동 샤프트(413)를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 의해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럭 홀더(56)와 상기 연결 브라켓(54)은 상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라켓(54)과 결합된 상기 승강부재(35)가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51)의 배치 위치는 상기 전방 공간(S1)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양측면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5)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51)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하우징(55)과,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하는 상부 캡(581) 및 하부 캡(585), 상기 레일 하우징(55) 내부의 승강 샤프트(57)를 따라 이동되는 블럭 홀더(56)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하는 레일 커버(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가 장착되면, 상기 레일 하우징(55) 상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과 레일 커버(5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서 상기 승강 블럭 및 블럭 홀더(56)가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중앙부 돌출형성되며, 중앙부의 양측단이 단차진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승강 샤프트(57) 및 블럭 홀더(56)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부 공간은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앙부가 상기 레일 하우징(55)에 개구된 하우징 개구(551)를 통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장치(51)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외주면에 나사산(571)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시 상기 승강 블럭(567)이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571)은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부 즉, 상기 나사산(571)의 상단에는 샤프트 기어(5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상기 나사산(571)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57)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 장착된 전달 기어(523)와 수직하게 교차되는 상태로 기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에 의해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시 상기 레일 하우징(55)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의 외측면 형상은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앙부는 돌출되어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부 양측면에 수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 홀더(56)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승강부재(35) 또는 연결 브라켓(5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럭 홀더(56)의 외측면 형상 및 이와 대응하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면 형상은 다단으로 절곡 또는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시 상기 승강장치(50)에 가해지는 좌우측 방향 또는 전후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구름부재(5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566)는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과 상기 승강장치(5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블럭 홀더(56)의 승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50)는,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되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승강부재(35)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승강장치(50)는 다단을 단차진 형상의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50) 내측에서 상기 승강장치(5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 홀더(56)의 내측 에는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레일 커버(59)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레일 커버(59)와 상기 레일 하우징(55)이 형성하는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차폐하며,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동일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차폐하여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성을 차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 커버의 양단은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의 단면 형상은 상기 블럭 홀더(56) 내부의 중공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레일 커버(59)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 상단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가 장착되는 전달부재 장착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상기 서랍 샤프트(521)와 상기 서랍 샤프트(521) 전단의 제 2 연결부재(522)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 후단의 전달 기어(523),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 상에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재(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샤프트(521)의 전단에는 상기 제 2 연결부재(522)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52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양측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재(5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제 2 연결부재(522)는 서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측 장치(41)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의 후단에는 전달 기어(5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523)는 베벨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 하우징(55)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기어(57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와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전달 기어(523)와 샤프트 기어(57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에는 샤프트 고정부재(5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524)는 상기 서랍부(32)의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384)에 샹기 샤프트 고정부재(524)가 장착되어 상기 상기 동력 전달부재(52)가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도어(30)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이때, 상기 연결장치(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1)와 동력 전달부재(5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상태를 도면에 관하여 보가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30)의 정상 사용 중인 상태에서는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된 상태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인출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 및 인출입 랙(34)에 의해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입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지지부재가 승강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커버(315)의 일측과 상기 연결장치(60)의 일부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또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 공간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적어도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상기 푸시부재(68)의 일부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 또는 상기 서랍부(32)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68)는 상기 연결장치 커버(6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어 커버(315)의 외측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푸시부재(68)의 돌출 상태를 통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제 2 연결부재(522)의 결합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60) 내부의 탄성부재(66)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 2 연결기어(6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67)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제 2 연결기어(64)는 상기 제 1 연결기어(414)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상기 제 2 연결부재(522)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4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기어(41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2 연결기어(64)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연결기어(64)와 결합된 제 1 연결부재(67)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결합된 제 2 연결부재(52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장치(41)의 동력은 상기 연결장치(60)를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로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승강장치(51)로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승강장치(5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지지부재(35)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의 사용 중 구동장치(41)의 이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서랍부(32)의 청소 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전체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상기 서랍부(32)와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장치(6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1은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연결장치의 조작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3은 도 22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장치(60)를 조작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장치(60)의 조작 이전에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를 구속하는 다른 구조가 있다면, 상기 연결장치(60)의 조작 전후에 구속 해제하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와 결합되어있는 경우 상기 서랍부(32)와 상기 도어 프레임(316)을 분리한 후 상기 연결장치(60)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완전히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또한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된 도어측 장치(41)와, 상기 서랍부(32)에 배치된 서랍측 장치(5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을 통해 노출되는 양측의 상기 푸시부재(68)를 도 21과 같이 눌러서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68)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66)는 압축되고, 상기 푸시부재(68)와 함께 제 1 연결부재(67)가 상기 연결장치(6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재(67)는 상기 결합부재(65)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67)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673)와 제 2 연결부(522a)는 도 22 및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재(67)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자는 상기 서랍부(32)의 청소 또는 서비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전기장치에 해당하는 구성들이 모두 배치되며, 상기 서랍부(32)에는 동력의 공급시 동작되는 기구적인 구성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기장치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고, 청소시 상기 전기장치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기 장치의 고장시 상기 도어부(31)만을 분리하여 서비스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비스 또는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부(673)와 제 2 연결부(522a)는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연결장치(60)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는 서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조립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60)와 동력 전달부재(52)는 상기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서랍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서랍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방의 서랍 도어(30)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서랍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5는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서랍 도어(30)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서랍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411)가 구동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입 시키고,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출시킨 후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지지부재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도 2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구동 모터(411)의 동작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도어측 장치(40)와 상기 서랍부(32)의 서랍측 장치(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강 가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동 모터(41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411)와 연결된 양측의 상기 구동 샤프트(41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413)에 연결된 제 1 기어(414)와 제 2 기어(41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41)의 회전력은 서로 연결된 상기 연결장치(60)와 제 2 연결부재(522)에 의해 서랍측 장치(5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동력 전달부재(52) 및 상기 동력 전달부재(52) 단부의 전달 기어(52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달 기어(523)와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52)의 회전력은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블럭(567) 및 블럭 홀더(56)는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51) 중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모두 상기 레일 커버(59)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레일 커버(59)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연결 브라겟(54)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 브라켓(54)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며,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는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어 사용자가 식품 또는 용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높이는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기 승강 슬롯의 상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모터(411)는 구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41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최대 상승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35)의 최저 하강 위치와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355)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에 구비되는 자석(355)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 레일(44)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57)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411)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최대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411)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은 상기 구동 모터(411)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가 하강 완료되면 도 25 및 도 26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지지부재(35)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지지부재(35)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411)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411)의 정지 후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16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하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회전식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랍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후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지지부재(35)가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는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에는 지지부재(35)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에 구비되는 승강 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성 및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5)에는 복수의 용기(3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김치통과 같은 밀폐 용기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1)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용기(36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저장공간은 다시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구비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립식 도어(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공간은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획된 각각의 상기 하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나란하게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서랍 도어(30)는 그 구조가 서로 동일할 것이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강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서랍 도어(30)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4)

  1.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부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를 승강시키는 서랍측 장치;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측 장치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측 장치;
    상기 도어측 장치의 동력이 상기 서랍측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서랍측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서랍측 장치와 상기 도어측 장치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측 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서랍측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장치 및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서랍부와 마주보는 상기 도어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연결장치 케이스와;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측 장치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결기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측 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푸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서랍부에 의해 가려지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구와;
    상기 서랍부보다 더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서랍측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은 상기 서랍측 장치와의 결합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 내부에 구비되며,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서랍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서랍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와 마주보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도어부의 배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부재로 전달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측 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서랍측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 내측면에 장착되는 레일 하우징;
    상기 레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블럭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 홀더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에 구비된 샤프트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전달 기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장치와 상기 샤프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의 내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전방 공간과 상기 전방 공간 보다 더 후방에 위치된 후방 공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방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후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까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도어부 배면에 배치되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관통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양단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구동 샤프트이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연결장치 케이스와;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결기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기어와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 배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와 승강장치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상기 서랍부를 결합하는 도어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서랍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의 내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전방 공간과 상기 전방 공간 보다 더 후방에 위치된 후방 공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방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서랍측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후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까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20160742A 2018-03-30 2022-11-25 냉장고 KR10264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742A KR102640808B1 (ko) 2018-03-30 2022-11-25 냉장고
KR1020240024425A KR20240027657A (ko) 2018-03-30 2024-02-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49A KR102510855B1 (ko) 2018-03-30 2018-03-30 냉장고
KR1020220160742A KR102640808B1 (ko) 2018-03-30 2022-11-25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49A Division KR102510855B1 (ko) 2018-03-30 2018-03-30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425A Division KR20240027657A (ko) 2018-03-30 2024-02-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682A true KR20220165682A (ko) 2022-12-15
KR102640808B1 KR102640808B1 (ko) 2024-02-23

Family

ID=658182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49A KR102510855B1 (ko) 2018-03-30 2018-03-30 냉장고
KR1020220160742A KR102640808B1 (ko) 2018-03-30 2022-11-25 냉장고
KR1020240024425A KR20240027657A (ko) 2018-03-30 2024-02-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49A KR102510855B1 (ko) 2018-03-30 2018-03-3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425A KR20240027657A (ko) 2018-03-30 2024-02-20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648727B2 (ko)
EP (3) EP4269918A3 (ko)
KR (3) KR102510855B1 (ko)
CN (1) CN110319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5854B1 (en) * 2017-12-29 2021-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10856B1 (ko) * 2018-03-26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0855B1 (ko) 2018-03-30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2728B1 (ko) *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220163253A1 (en) * 2020-11-23 2022-05-26 Whirlpool Corporation Adjustment assembly for appliance d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35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265797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798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212A (en) * 1878-11-26 Improvement in horse-detachers
CA2364217C (en) * 2000-11-29 2005-10-25 Faubion Associates, Inc. Display case security apparatus
US6494150B1 (en) * 2001-03-02 2002-12-17 Precision Lifts Of Deerfield Beach, Incorporated Elevating apparatus for visual displays
AU2004242445B2 (en) * 2004-07-16 2006-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690647B1 (ko) *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9B1 (ko) * 2004-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40875B1 (ko) 2004-11-1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77B1 (ko)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EP1775536A3 (en) * 2005-10-17 2013-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8061790B2 (en) 2007-12-20 2011-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ed drawer for an appliance
KR101787095B1 (ko) 2009-07-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9029142A1 (de) * 2009-09-02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erausziehbarer Schale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2155840B (zh) * 2011-04-22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抽屉组件和具有其的冰箱
CN102226626B (zh) * 2011-04-22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
US9377238B2 (en) *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289689B1 (ko) * 2017-03-10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505854B1 (en) * 2017-12-29 2021-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10855B1 (ko) * 2018-03-30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35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265797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798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6866A1 (en) 2019-10-02
US20210348833A1 (en) 2021-11-11
US20240102726A1 (en) 2024-03-28
CN110319646A (zh) 2019-10-11
EP3546866B1 (en) 2020-11-25
KR20240027657A (ko) 2024-03-04
KR102640808B1 (ko) 2024-02-23
US11867453B2 (en) 2024-01-09
CN110319646B (zh) 2021-02-05
EP4269918A2 (en) 2023-11-01
KR102510855B1 (ko) 2023-03-15
US10648727B2 (en) 2020-05-12
EP3798557A1 (en) 2021-03-31
EP3798557B1 (en) 2023-08-02
US20190301789A1 (en) 2019-10-03
KR20190114478A (ko) 2019-10-10
EP4269918A3 (en) 2024-01-03
US11105551B2 (en) 2021-08-31
US20200232702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728B1 (ko) 냉장고
KR102622809B1 (ko) 냉장고
KR102633810B1 (ko) 냉장고
KR102474912B1 (ko) 냉장고
KR102510855B1 (ko) 냉장고
KR1024749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613619B1 (ko) 냉장고
EP3546861B1 (en) Refrigerator
EP3617630B1 (en) Refrigerator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20200044495A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550220B1 (ko) 냉장고
KR20200044489A (ko) 냉장고
KR2022015354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