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872A -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872A
KR20220164872A KR1020210073172A KR20210073172A KR20220164872A KR 20220164872 A KR20220164872 A KR 20220164872A KR 1020210073172 A KR1020210073172 A KR 1020210073172A KR 20210073172 A KR20210073172 A KR 20210073172A KR 20220164872 A KR20220164872 A KR 20220164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est
earth leakage
leakage breaker
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913B1 (ko
Inventor
오승희
Original Assignee
대구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교통공사 filed Critical 대구교통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H02H3/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un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 H02H3/33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un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the main function being self testing of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관한 발명으로, 테스터 본체(100)의 일측 외부에 장착하여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접촉하도록 구비하는 탐침봉(110)과,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하고 누전차단기의 동작시험 및 부동작시험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는 시험회로부(120)와, 테스터 본체(100)의 타측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여 시험전류치를 제어하도록 구비하는 시험버튼(130)과,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고 테스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하여 누설전류를 접지부스로 흘려보내도록 구비하는 접지부(140)를 포함하고, 시험회로부(120)는,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입력전압 220V를 110V로 반파 정류하도록 구비하는 정류다이오드(121)와, 정류다이오드(121)와 시험버튼(130) 사이에서 5KΩ저항과 10KΩ저항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시험버튼(130)과 연동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1mA 또는 정격동작전류 33mA로 생성하는 저항모듈(122)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정격감도전류는 물론,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한 정밀한 시험이 가능한 테스터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ELB PRECISION TESTER}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철도 시설 현장 분전반에서 누전차단기의 누설전류를 시험하는 정밀 테스터를 구성함으로써 정격감도전류는 물론,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한 정밀한 시험이 가능하여 이상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전로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누전이 발생시 감전, 고장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으로 스위치를 열어 전류를 차단하도록 사용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인 누전차단기는 주회로전로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영상변류기의 출력신호에 의해 누전을 판별하는 누전검출전용회로와, 누전검출전용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전류를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트립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누전차단기는 전력선으로 나가는 전류와 중립선으로 들어오는 전류의 차이를 영상변류기를 통해 측정하고, 키르히호프 전류법칙에 의해서 나가는 전류와 들어오는 전류의 합이 0이 아니면 누전이 되고 있으므로 차단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누전차단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188852 호에는 변류기의 각 상(R상, S상, T상)에서 검출된 전류를 전파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와, 정류 회로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부와, 증폭회로부의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회로부와, 디지털 변환회로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되어 있던 전류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에 따른 결과에 의해 누전 전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트립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트립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누전차단기에는 회로의 정격감도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계기로서 누전차단기 테스트 버튼이 구비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01419 호에는 정류된 전력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을 검출하고, 트립코일을 여자하는 것에 의해 전원라인의 차단스위치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불평형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전원라인을 순간적으로 개방시킴으로서 누설전류에 대한 동작을 시험하는 누전 동작확인수단과, 과전압이 인가될 때와 동일한 상황을 발생시켜 누전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시험하기 이한 과전압 동작확인수단을 포함하는 동작테스트 기능을 갖는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28420 호에는 개폐기구, 영상변류기, 트립코일, 테스트장치, 주제어부로 구성되어 영상변류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고 그 크기를 판별하여 누설전류량이 30mA를 초과하면 출력을 발생하여 트립 코일에 전류가 흘러 누전차단기를 트립시키며, 테스트장치는 지락 모의 회로를 만들고 테스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류를 흐르게 하여 지락 사고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지는 순차제어가 가능한 누전차단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801729 호에는 누전을 검출하는 전류센서인 영상변류기(ZCT)와, 영상변류기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검출 IC와, 영상변류기에 스위치버튼을 눌러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누전을 테스트하는 누전테스트회로부와, 3상선로의 각상의 전류에서 한상의 전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상의 전류를 각각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시켜 합성되는 합성전류를 구성하는 전원회로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188852 호 (2000.07.15)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01419 호 (2005.07.1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28420 호 (2006.10.11) 한국등록특허 제 10 - 1801729 호 (2017.11.28)
일반적으로 분전반에 사용되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30mA, 정격부동작전류 15mA, 차단시간 0.03초 이하로 제작된다.
정격감도전류는 누전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하는 최소 전류로서 누설전류가 30mA 이상으로 발생 시 차단시간 0.03초 이내에서 트립 동작하여 전류를 차단하도록 동작하며, 정격부동작전류는 누설전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 최대 허용값으로서 15mA 이하의 누설전류는 누전차단기를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누전차단기 테스트 버튼은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인 30mA 이상의 110mA의 전류를 인위적으로 흐르게 하여 누설전류를 시험하도록 구비되며, 정격부동작 전류 15mA 이하에서는 누전차단기를 시험할 방법이 없으므로 정밀한 시험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테스터 본체(100)의 일측 외부에 장착하여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접촉하도록 구비하는 탐침봉(110)과,
상기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하고 누전차단기의 동작시험 및 부동작시험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는 시험회로부(120)와,
테스터 본체(100)의 타측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여 시험전류치를 제어하도록 구비하는 시험버튼(130)과,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고 테스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하여 누설전류를 접지부스로 흘려보내도록 구비하는 접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는,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입력전압 220V를 110V로 반파 정류하도록 구비하는 정류다이오드(121)와,
정류다이오드(121)와 시험버튼(130) 사이에서 5KΩ저항과 10KΩ저항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시험버튼(130)과 연동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1mA 또는 정격동작전류 33mA로 생성하는 저항모듈(122)을 포함하는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구성한다.
또한,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이용한 시험 방법에 있어서,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110)와,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S120)와,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을 통과하여 11mA로 정격부동작전류 이하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S130)와,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11mA 전류가 정격부동작전류 15mA 이하에서 부동작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의 정격부동작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 부동작 시험 공정(S100)과,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210)와,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S220)와,
시험버튼(130)을 작동하여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 및 5KΩ저항의 병렬합성저항인 3.3KΩ을 통과하여 33mA로 정격감도전류 이상으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S230)와,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33mA 전류가 정격동작전류 30mA 이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공정(S20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대한 정격감도전류 및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한 정밀한 시험을 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시철도의 각 시설 현장에 설치되는 분전반에서 누전차단기의 누설전류를 시험하는 정밀 테스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에 탑재되는 시험 버튼의 불평형 전류 110mA 보다 정격감도전류 근사치인 33mA로 시험이 가능한 것은 물론, 종래 기술이 정격부동작전류 시험이 불가능한 점을 개선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5mA 이하인 11mA로 시험이 가능한 테스터를 구성함으로써 누전차단기 점검시 정격감도전류와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한 정밀한 시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전으로 인한 차단기의 동작시 선로의 이상유무 또는 누전차단기 자체 고정유무인지를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게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일반적인 220V 전기설비에 대한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는 공장, 빌딩, 사무실 등에서 범용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한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의한 부동작 시험상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의한 동작 시험상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이용한 시험 방법에 의한 부동작 시험 및 동작 시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의한 부동작 시험상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의한 동작 시험상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이용한 시험 방법에 의한 부동작 시험 및 동작 시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는 도시철도 시설 현장 분전반에서 누전차단기의 누설전류를 시험하는 정밀 테스터를 구성함으로써 정격감도전류와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한 정밀한 시험이 가능한 테스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는 테스터 본체(100)에 탑침봉과, 시험회로부(120)와, 시험버튼(130), 및 접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탐침봉(110)은 테스터 본체(100)의 일측 외부에 장착하여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접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탐침봉(110)은 테스터 본체(100) 내부에 탑재하는 시험회로부(120)의 입력측과 연결되어 전압을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험회로부(120)는 상기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하고 누전차단기의 동작시험 및 부동작시험을 구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험회로부(120)는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측과 접지부(140)에 접지하는 출력측 사이에 정류다이오드(121) 및 저항모듈(122)을 탑재하는 회로로 구성한다.
상기 정류다이오드(121)는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입력전압 220V를 110V로 반파 정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정류다이오드(121)는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입력전압이 220V 일 경우 옴의 법칙에 따라 5kΩ의 전류가 0.044A 이므로 전력량이 9.68W가 되어 시멘트저항 10W, 5KΩ을 사용해야 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험회로부(120)에 정류다이오드(121)를 사용하여 입력전압을 110V로 반파할 경우 5kΩ의 전류가 0.022A 이므로 전력량이 2.42W가 되어 시멘트저항 5W, 5KΩ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하기 표 1은 정류다이오드(121)를 사용시 전력량을 표기한 것이다.
110V
(정류다이오드 1N4007 사용)
220V
전력량(W) 전류(A) 전력량(W) 전류(A)
5KΩ 2.42 0.022 9.68 0.044
10KΩ 1.21 0.011 4.84 0.022
상기 저항모듈(122)은 상기 정류다이오드(121)와 후술하게 될 시험버튼(130) 사이에서 5KΩ저항과 10KΩ저항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시험버튼(130)과 연동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1mA 또는 정격동작전류 33mA로 생성하도록 구비한다.
누전차단기는 전류가 0mA ~ 15mA 범위에서는 부동작하며, 15mA ~ 30mA에서는 동작이 되거나 안될 수도 있으며, 30mA 이상에서는 차단 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모듈(122)은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서 병렬 저항을 구성하되 5KΩ저항에 시험버튼(130)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병렬합성저항을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항모듈(122)은 시험버튼(130)의 미작동시에는 10KΩ저항을 연결하여 전류가 10KΩ을 통과하도록 구비하고, 시험버튼(130)의 작동시에는 5KΩ저항 및 10KΩ저항을 연결하여 전류가 병렬합성저항 3.3KΩ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1mA 또는 정격동작전류 33mA로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병렬합성저항은 합성저항 공식에 따라 계산된 결과치이다.
상기 저항모듈(122)은 시멘트저항으로 구성하는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탄소피막저항은 전력량이 1/4W ~ 3W까지 생산되나 시멘트저항은 5W 수준이 가능하다. 예컨대, 짧은 시간에 연속으로 누전차단기를 시험하는 과정에서 시험중 동작이 안 되는 누전차단기가 있을 경우 누전차단기의 차단시간 0.03초 보다 긴 시간 동안 시험이 이루어지게 되면 저항에 열이 발생하여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따라서 정확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바, 상기 저항모듈(122)은 전력량이 높은 시멘트저항으로 구성한다.
상기 시험버튼(130)은 테스터 본체(100)의 타측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여 시험전류치를 제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험버튼(130)은 온앤오프 방식으로 상기 저항모듈(122)의 5KΩ저항의 연결상태를 제어하여 정격부동작 시험 시에는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10KΩ저항을 연결하도록 구비하고, 정격감도전류 시험 시에는 온 상태로 작동하여 병렬합성저항 3.3KΩ이 작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접지부(140)는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고 테스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하여 누설전류를 접지부스로 흘려보내도록 구비한다.
상기 접지부(140)는 입력측의 상기 탐침봉(110)을 누전차단기 2차측 핫상에 접촉시 상기 시험회로부(120)를 거친 전류가 접지측으로 인위적으로 출력되도록 접지선 및 악어클립을 이용해 접지부스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하여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에 의한 시험 방법은 크게 누전차단기 부동작 시험 공정(S100)과, 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공정(S20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테스터의 출력측 접지부(140)에 마련되는 접지선에 연결된 악어클립을 접지부스에 물려 누설전류가 흘러나갈 수 있도록 준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전차단기 부동작 시험 공정(S100)은 크게 입력측에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110)와,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단계(S120)와, 정격부동작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130)와, 정격부동작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110)는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110)을 접촉하는 단계이다. 누전차단기의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입력된다.
상기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단계(S120)는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류다이오드(121)를 사용하여 입력전압을 110V로 반파할 경우 5kΩ의 전류가 0.022A 이므로 전력량이 2.42W가 되어 시멘트저항 5W, 5KΩ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격부동작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을 통과하여 11mA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이다.
상기 시험회로부를 통과하는 단계에서는 110V 전류가 저항 10KΩ을 지나면서 110V / 10,000Ω = 0.011A(11mA)으로 생성되어 흐르게 된다. 즉, 누전차단기의 부동작 전류인 15mA보다 낮은 전류인 11mA 전류가 접지측으로 인위적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동작 시험 전류를 11mA로 생성되도록 구성한 것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에는 전원부 1차에 노이즈필터가 설치되어 있어 항상 수mA의 누설전류가 접지선으로 흐르게 설계되어 있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특히 PC, UPS, 인버터, 전자식안정기, LED컨버터를 사용하는 분전반 회로는 항시 2 ~ 4mA 누설전류가 흐르고 있어 11mA로 전류를 시험할 때 실제는 13 ~ 15mA 정도의 누설전류가 발생하게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누전차단기 2차측 선로를 분리하지 않아도 테스터를 이용해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험전류치가 11mA로 생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격부동작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40)는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11mA 전류가 정격부동작전류 15mA 이하에서 부동작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격부동작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정격부동작전류에 대해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공정(S200)은 크게 입력측에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210)와,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단계(S220)와, 시험버튼(130)을 작동하고 정격감도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230)와, 정격감도전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210)는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이다. 누전차단기의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입력된다.
상기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단계(S220)는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험버튼(130)을 작동하고 정격감도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23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시험버튼(130)을 작동하여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 및 5KΩ저항의 병렬합성저항인 3.3KΩ을 통과하여 33mA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이다.
상기 정격감도전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110V 전류가 저항 10KΩ과 저항 5kΩ의 병렬합성저항 3,333Ω을 지나게 되어 전류가 110V / 3,333Ω = 0.033A(33mA)으로 생성되어 흐르게 된다. 즉,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인 30mA보다 높은 전류인 33mA 전류가 접지측으로 인위적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정격감도전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40)는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33mA 전류가 정격동작전류 30mA 이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격감도전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누전차단기가 동작한다면 정격감도전류에 대해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는 종래의 누전차단기에 탑재되는 시험 버튼의 불평형 전류보다 정격감도전류 근사치에서 시험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정격부동작전류에서도 시험이 가능한 테스터를 제공하여 누전차단기 점검시 보다 정밀한 시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전으로 인한 차단기의 동작시 선로의 이상유무 또는 누전차단기 자체 고정유무인지를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게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적인 220V 전기설비에 대한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는 공장, 빌딩, 사무실 등에서 범용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한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100: 테스터 본체
110: 탐침봉
120: 시험회로부
121: 정류다이오드
122: 저항모듈
130: 시험버튼
140: 접지부

Claims (3)

  1. 테스터 본체(100)의 일측 외부에 장착하여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접촉하도록 구비하는 탐침봉(110)과,
    상기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하고 누전차단기의 동작시험 및 부동작시험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는 시험회로부(120)와,
    테스터 본체(100)의 타측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여 시험전류치를 제어하도록 구비하는 시험버튼(130)과,
    상기 시험회로부(120)와 연결하고 테스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하여 누설전류를 접지부스로 흘려보내도록 구비하는 접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회로부(120)는,
    탐침봉(110)과 연결하여 입력전압 220V를 110V로 반파 정류하도록 구비하는 정류다이오드(121)와,
    정류다이오드(121)와 시험버튼(130) 사이에서 5KΩ저항과 10KΩ저항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시험버튼(130)과 연동하여 정격부동작전류 11mA 또는 정격동작전류 33mA로 생성하는 저항모듈(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모듈(122)은,
    시험버튼(130)의 미작동시에는 10KΩ저항을 연결하여 전류가 10KΩ을 통과하도록 구비하고, 시험버튼(130)의 작동시에는 5KΩ저항 및 10KΩ저항을 연결하여 전류가 병렬합성저항 3.3KΩ을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를 이용한 시험 방법에 있어서,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110)와,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S120)와,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을 통과하여 11mA로 정격부동작전류 이하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S130)와,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11mA 전류가 정격부동작전류 15mA 이하에서 부동작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의 정격부동작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 부동작 시험 공정(S100)과,
    누전차단기의 2차측 HOT상에 테스터 본체(100) 일측에 장착된 탐침봉을 접촉하는 단계(S210)와,
    220V 전원이 테스터 본체(100)에 내장되는 시험회로부(120)의 정류다이오드(121)를 통과하고 110V로 정류하는 단계(S220)와,
    시험버튼(130)을 작동하여 시험회로부(120)에서 전류가 저항모듈(122)의 10KΩ저항 및 5KΩ저항의 병렬합성저항인 3.3KΩ을 통과하여 33mA로 정격감도전류 이상으로 생성되고 접지측으로 흐르는 단계(S230)와,
    누전차단기가, 테스터에서 발생한 33mA 전류가 정격동작전류 30mA 이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 동작 시험 공정(S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정밀 시험 방법.
KR1020210073172A 2021-06-07 2021-06-07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KR10259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172A KR102594913B1 (ko) 2021-06-07 2021-06-07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172A KR102594913B1 (ko) 2021-06-07 2021-06-07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872A true KR20220164872A (ko) 2022-12-14
KR102594913B1 KR102594913B1 (ko) 2023-10-27

Family

ID=8443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172A KR102594913B1 (ko) 2021-06-07 2021-06-07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9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483A (ja) * 1998-03-30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のテストスイッチ装置
KR200188852Y1 (ko) 2000-01-31 2000-07-15 엘지산전주식회사 누전 차단 장치
JP2001084887A (ja) * 1999-09-16 2001-03-30 Toko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用動作試験器
KR100501419B1 (ko) 2002-10-30 2005-07-18 한국전력공사 동작테스트 기능을 갖는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KR200428420Y1 (ko) 2006-07-13 2006-10-11 율삼엔지니어링(주) 순차제어가 가능한 누전차단기
JP2012005193A (ja) * 2010-06-15 2012-01-05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漏電遮断器及び漏電検出装置
JP2012194104A (ja) * 2011-03-17 2012-10-11 Hasegawa Denki Kogyo Kk 漏電検出器
KR101801729B1 (ko) 2017-04-14 2017-11-28 주연숙 3상 선로의 결상에도 구동되는 전원회로 및 누전테스트회로가 내장된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483A (ja) * 1998-03-30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のテストスイッチ装置
JP2001084887A (ja) * 1999-09-16 2001-03-30 Toko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用動作試験器
KR200188852Y1 (ko) 2000-01-31 2000-07-15 엘지산전주식회사 누전 차단 장치
KR100501419B1 (ko) 2002-10-30 2005-07-18 한국전력공사 동작테스트 기능을 갖는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KR200428420Y1 (ko) 2006-07-13 2006-10-11 율삼엔지니어링(주) 순차제어가 가능한 누전차단기
JP2012005193A (ja) * 2010-06-15 2012-01-05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漏電遮断器及び漏電検出装置
JP2012194104A (ja) * 2011-03-17 2012-10-11 Hasegawa Denki Kogyo Kk 漏電検出器
KR101801729B1 (ko) 2017-04-14 2017-11-28 주연숙 3상 선로의 결상에도 구동되는 전원회로 및 누전테스트회로가 내장된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913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US6522510B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miswire protection and indicator
AU717339B2 (en) DI protective switching device
US1194049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ssive fault monitoring of current sensing devices in protective circuit interrupters
KR101289949B1 (ko) 3-상 전력 시스템용 접지 결함 회로 차단기 시스템
US7133266B1 (en) Electrical wiring device
US8810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US9397494B2 (en) Electrica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safeguarding the protective function of a type A residual current device (RCD)
US7099130B2 (en) Voltage monitor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US110095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ulation monitoring including identification of a faulty outer conductor in a three-phase ungrounded power supply system
US6522033B1 (en) High sensitivity electrical switching circuit
US20080013237A1 (en)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gfci devices
US7215519B2 (en) Ground and line fault interrupt controller/adapter
KR20080087654A (ko) 누전 검출 장치
EP0890210B1 (en) Safety adapter for ungrounded electrical socket
KR102594913B1 (ko) 누전차단기 정밀 테스터
US20070109696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KR200303229Y1 (ko) 안전분전반
JPH04174371A (ja) 接地極付電源コンセントの配線状態検査治具
KR200276722Y1 (ko) 변류기를 이용한 배전선용 차단기
KR20030072460A (ko) 변류기를 이용한 배전선용 차단기
King A review of electric shock hazard protection with reference to use of residual current devices
KR20030040862A (ko)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KR20020060314A (ko) 누전차단기 시험장치
JP2005340082A (ja) 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