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788A - 온수축열탱크 - Google Patents

온수축열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788A
KR20220163788A KR1020210072386A KR20210072386A KR20220163788A KR 20220163788 A KR20220163788 A KR 20220163788A KR 1020210072386 A KR1020210072386 A KR 1020210072386A KR 20210072386 A KR20210072386 A KR 20210072386A KR 20220163788 A KR20220163788 A KR 2022016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heat exchange
storage tank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570B1 (ko
Inventor
김종현
이효상
Original Assignee
김종현
이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이효상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21007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7Tap water 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구조를 가지며 히터가 구비되는 열교환 하우징과, 열교환 하우징 하측에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부와, 열교환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순환수 출수부와, 열교환 하우징을 통해 물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변환관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축열탱크{Thermal storage tank}
본 발명은 열교환 효율이 높아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급하는 온수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한 온수축열탱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와류생성 분출기가 장착되어 보다 높은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온수축열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수축열탱크는 탱크 내부에 내장된 히터가 순환하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형태로 온수 온도를 조절하였다.
그리고, 탱크 내부에 온수변환관이 위치되어, 유입되는 냉수가 히터 및 온수축열탱크를 통과하는 순환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는 냉수의 양이 온수변환관의 표면적과 비교하여 많은 경우 냉수의 가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며 뜨겁게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으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온수의 온도가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는 온수의 양 및 히터의 온도에 대응하여 급격하게 변화되어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안겨주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새로운 온수축열탱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6-0005811 A (2016.01.18), (축열탱크 및 지열을 이용한 고온수 냉난방 히트펌프)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103-0058092 A (2013.06.04.), (축열탱크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수축열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는 물이 열평형실을 거치는 과정에서 평균 온도로 조절되어,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 가능한 난방축열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난방수와 히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와류생성 분출기가 장착된 온수축열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함체 구조를 가지며 히터(110)가 구비되는 열교환 하우징(100);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 하측에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부(200); 상기 열교환 하우징(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순환수 출수부(300);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을 통해 물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변환관(400)을 포함한다.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상기 히터(110) 가장자리를 감싸는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1 굴곡부(401), 상기 제1 굴곡부(401) 가장자리에 이격 배치되며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2 굴곡부(402)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내부에 열교환 유로(411)가 형성되는 외부 열교환관(410), 상기 외부 열교환관(41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열교환 유로(411)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유로면적 조절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면적 조절부(420)는 상기 열교환 유로(411)로 삽입되는 와이어 또는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공간(120)을 상측에 위치되는 열평형실(121) 및 하측에 위치되는 열교환실(122)로 분리하는 분리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상기 분리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상기 열평형실(121)로 열교환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열평형실(121)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에 형성된 온수 배출부(5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은 상기 열평형실(121)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온수를 혼합하는 유입수 혼합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수 유입부(200)에 결합되어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 분출기(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순환수 유입부(711)가 형성되는 분출기 몸체(710)와, 상기 분출기 몸체(710)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분출기 몸체(710)에서 전달되는 순환수를 방출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분출부(72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상기 분출부(720)는 상기 분출기 몸체(710)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상기 분출부(720)는 분출공(721)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상기 분출부(720) 단부에 결합되어 방출되는 순환수의 방출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립(7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는 물이 순환수에 의해 1차 가열되고, 히터에 의해 2차 가열되므로, 온수 사용양이 많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온수를 공급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유로면적 조절부에 의해 온수변환관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외부 표면적에 적합한 비율로 조절되므로, 항상 효과적으로 가열 가능한 양의 물이 온수변환관을 통과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온수변환관을 통과하며 가열된 온수가 열평형실에서 혼합 공급되므로, 가열된 온수를 직적공급 시 지나치게 뜨거운 물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유입수 혼합수단에 의해 열평형실로 공급된 온수가 효과적으로 혼합되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보다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와류생성 분출기에서 유입되는 순환수를 다양한 방위로 방출하므로, 방출되는 순환수가 와류를 형성하여 순환수와 히터의 접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분출부에서 방출되는 순환수 배출각도 및 배출압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분출부를 통해 방출되는 순환수가 부딪혀 보다 복잡한 물의 유동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물의 유동이 비정형화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물이 정형화된 유동을 가질 경우 일부 공간의 물이 정체되어 히터와 열교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를 나타낸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면적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 내부에 삽입되는 유로면적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유입수 혼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와 온수변환관 배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에 가이드 립 및 분리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축열탱크(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면적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온수변환관 내부에 삽입되는 유로면적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의 유입수 혼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1000)는 함체 구조를 가지며 히터(110)가 구비되는 열교환 하우징(100)과,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 하측에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부(200)와, 상기 열교환 하우징(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가열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순환수 출수부(300)와,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을 통해 물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변환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축열탱크(1000) 내부 열교환공간(120)에 히터(110)가 구비되어, 순환수 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가 순환수 출수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온수변환관(400) 또한 열교환공간(120) 상에 구비되어 히터(110)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 및 난방수에서 전달되는 열 에너지에 의해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는 냉수가 가열되어 온수로 변환 배출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상기 히터(110) 가장자리를 감싸며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1 굴곡부(401)와, 상기 제1 굴곡부(401) 가장자리에 이격 배치되며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2 굴곡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 유입부(60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차가운 청수로, 사용자가 다량의 온수를 필요로 할 경우 차가운 청수를 고온의 온수로 빠르게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차가운 청수가 상기 제2 굴곡부(4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순환수에 의해 예열된 후, 제1 굴곡부(401)를 통과하며 히터(110)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내부에 열교환 유로(411)가 형성되는 외부 열교환관(410)과, 상기 외부 열교환관(410) 내부에 수용되어 열교환 유로(411)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유로면적 조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 온수 변환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상기 유로면적 조절부(420)로 열교환 유로(411)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여,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 항상 효과적으로 온도조절 가능한 양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유로면적 조절부(420)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 구조를 가지는 제1 타입,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구조를 가지는 제2 타입,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 구조를 가지는 유로조절 몸체(421) 및 상기 유로조절 몸체(42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유로조절 몸체(421)를 외부 열교환관(410) 중앙에 위치시키는 위치조절립(422)을 포함하는 제3 타입, 복수개의 위치조절립(422) 가장자리를 연결부재(423)가 감싸 위치조절립(422)과 외부 열교환관(410)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제4 타입, 위치조절립(4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위치조절립(422)의 두께를 확장하는 간섭방지 립(424)을 포함하는 제5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1 타입 및 제2 타입과 같이 유로면적 조절부(420)를 봉 또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 시, 유로면적 조절부(420)가 열교환 유로(411)의 중앙에 위치되지 못하고 반경방향 중 어느 한측으로 쏠리게 되며, 이러한 쏠림현상은 열교환 유로(411)를 통과하는 물의 효과적인 가열을 방해하므로, 제3 타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조절 몸체(421)의 가장자리에 위치조절립(422)을 형성하여, 유로조절 몸체(421)가 열교환 유로(411)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유로면적 조절부(420)을 외부 열교환관(410)과 별도로 성형 후 조립할 경우, 위치조절립(422)이 외부 열교환관(410)과 마찰하여 외부 열교환관(410)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제4 타입 또는 제5 타입과 같이 위치조절립(422)의 단부에 연결부재(423) 또는 간섭방지 립(424)을 형성하여, 위치조절립(422)과 열교환관(410)의 직접적인 마찰을 제한하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제5 타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위치조절립(422)의 단부에 간섭방지 립(424)이 결합 형성되는 형태로, 복수개의 간섭방지 립(424)이 이격 형성되므로 열교환 유로(411)의 물이 외부 열교환관(410)과 직접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재(423)에 의해 열교환 유로(411)의 물이 외부 열교환관(410)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는 제4 타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열교환관(410)은 연도전율, 향균성, 내식성이 높은 구리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유로면적 조절부(420)는 부식 방지를 위해 방청 처리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하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외부 열교환관(410) 및 유로면적 조절부(4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공간(120)을 상측에 위치되는 열평형실(121) 및 하측에 위치되는 열교환실(122)로 분리하는 분리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며 가열된 물이 온수 배출부(500)를 통해 바로 배출될 경우 사용자에게 지나치게 뜨거운 물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로, 열평형실(121)에서 일정시간동안 공급되는 물을 혼합한 후 온도가 안정화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평형실(121) 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온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유입수 혼합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입수 혼합수단(140)은 유입된 후 온수 배출부(500) 쪽으로 이동하는 물이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봉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봉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이 이동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블레이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류생성 분출기(7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와 온수변환관 배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와류생성 분출기에 가이드 립 및 분리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온수축열탱크는 순환수 유입부(200)에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 분출기(700)가 결합되어, 열교환 하우징(100) 상부 측면에 순환수 출수부(300)가 형성된 경우, 유입된 순환수가 빠르게 배출되어 히터(310)와 효과적으로 열교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순환수가 열교환 하우징(100) 내부 열교환공간(120)에서 사이클론 형태의 유동을 가지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순환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터(110)와 열교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수 유입부(711)가 형성되는 분출기 몸체(710)와, 상기 분출기 몸체(710)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분출기 몸체(710)에서 전달되는 순환수를 방출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분출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출부(720)는 모두 동일한 각도로 상기 분출기 몸체(710)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의 분출부(720)가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각도로 분출기 몸체(710)에 결합되어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서로 부딪혀 보다 복잡한 유동을 가지게 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순환수의 유동이 정형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일부 영영의 순환수가 정체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순환수의 정체는 히터(110)와 열교환 하는 순환수의 양을 줄여 히터(110)의 순환수 가열 효과를 떨어트리므로, 분출부(720)의 결합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부딪히며 무불별한 유동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출부(7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기 몸체(710)의 원주방향으로 순차 배치되는 제1 분출부(721), 제2 분출부(722), 제3 분출부(723), 제4 분출부(724), 제5 분출부(725), 제6 분출부(726)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분출부(721) 및 제4 분출부(724)는 분출기 몸체(710)와 수평 결합되고, 제2 분출부(722) 및 제5 분출부(725)는 분출기 몸체(710)와 시계방향으로 8도 내지 15도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되고, 제3 분출부(723) 및 제6 분출부(726)는 분출기 몸체(710)와 반시계방향으로 8도 내지 15도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와류를 형성 가능하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분출부(720)는 보다 다양한 각도로 분출기 몸체(7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분출부(720)는 분출공(721)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서로 다른 세기 및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다양한 위치에서 서로 다른 힘으로 부딪힐 경우 보다 순환수가 보다 복잡한 유동을 가지며, 이러한 복잡한 유동은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분출공(721)의 직경의 서로 다르게 하여 순환수가 열교환 하우징(100) 내부 열교환공간(120)에서 보다 복잡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아울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출부(720) 결합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방식과, 분출공(721)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어지는 순환수의 유동은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는 물의 가열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을 가지는 온수변환관(400)은 와류생성 분출기(700) 상부측에 위치되므로,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사이클론 형태의 와류 형성 시 온수변환관(400)의 굴곡부를 통과하게되므로 순환수와 온수변환관(400)이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상기 분출부(720) 단부에 결합되어 방출되는 순환수의 방출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립(73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립(730)의 내면에는 가이드되는 순환수를 복수개로 분리 방출하는 분리돌기(740)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와류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분출부(720)에서 방출되는 순환수가 보다 멀리 퍼져나가야 하고, 보다 복잡한 유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순환수가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나가야 하므로, 분출부(720)의 단부에 가이드 립(730)을 형성하여 순환수가 보다 멀리 방출될 수 있게 보조하고, 가이드립의 내측 상부면에 분리돌기(740)를 형성하여 방출되는 순환수가 복수개로 분리되며 퍼져나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분리돌기(740)가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분리돌기(740)는 방출되는 순환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순환수와 최초 접하는 길이방향 일측 두께가 좁고 길이방향 타측 두께가 넓은 쐐기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변환관(400) 내부에는 속도조절판이 설치되어 상기 온수변환관(400)의 내경보다 작은 홀을 속도조절판에 형성하여 온수변환관(400)에 물이 머무르는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속도조절판은 온수변환관(4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위치되는 제1 속도조절판(430)과, 열평형실(121)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속도조절판(4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속도조절판(430)의 내경(H1)이 제2 속도조절판(440)의 내경(H2)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보다 올바른 실시예로 온수변환관(400)의 내경을 100이라고 했을 때 제1 속도조절판의 내경은 36 내지 50으로, 제2 속도조절판의 내경은 25 내지 50으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열교환 하우징 110 : 히터
120 : 열교환공간 121 : 열평형실
122 : 열교환실 130 : 분리 플레이트
140 : 유입수 혼합수단
200 : 순환수 유입부
300 : 순환수 출수부
400 : 온수변환관 401 : 제1 굴곡부
402 : 제2 굴곡부 410 : 열교환관
411 : 열교환 유로 420 : 유로면적 조절부
500 : 온수 배출부 600 : 온수 유입부
700 : 와류생성 분출기 710 : 분출기 몸체
711 : 순환수 유입부 720 : 분출부
721 : 분출공 730 : 가이드 립
740 : 분리돌기

Claims (13)

  1. 함체 구조를 가지며 히터(110)가 구비되는 열교환 하우징(100);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 하측에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부(200);
    상기 열교환 하우징(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가열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난방수 출수부(300);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을 통해 물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온수변환관(400)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상기 히터(110) 가장자리를 감싸는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1 굴곡부(401), 상기 제1 굴곡부(401) 가장자리에 이격 배치되며 나선 구조를 가지는 제2 굴곡부(402)를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내부에 열교환 유로(411)가 형성되는 외부 열교환관(410), 상기 외부 열교환관(41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열교환 유로(411)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유로면적 조절부(420)를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면적 조절부(420)는 상기 열교환 유로(411)로 삽입되는 와이어 또는 봉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공간(120)을 상측에 위치되는 열평형실(121) 및 하측에 위치되는 열교환실(122)로 분리하는 분리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상기 분리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상기 열평형실(121)로 열교환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열평형실(121)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에 형성된 온수 배출부(5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축열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하우징(100)은 상기 열평형실(121)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온수를 혼합하는 유입수 혼합수단(140)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 유입부(200)에 결합되어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 분출기(700);를 더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순환수 유입부(711)가 형성되는 분출기 몸체(710)와, 상기 분출기 몸체(710)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분출기 몸체(710)에서 전달되는 순환수를 방출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분출부(720); 를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10. 제 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분출부(720)는 상기 분출기 몸체(710)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축열탱크.
  11. 제 1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분출부(720)는 분출공(721)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축열탱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생성 분출기(700)는 상기 분출부(720) 단부에 결합되어 방출되는 순환수의 방출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립(730);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변환관(400)은 내부에 위치되어 온수변환관(400)을 통과하는 물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속도조절판;을 포함하는, 온수축열탱크.
KR1020210072386A 2021-06-03 2021-06-03 온수축열탱크 KR10253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86A KR102537570B1 (ko) 2021-06-03 2021-06-03 온수축열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86A KR102537570B1 (ko) 2021-06-03 2021-06-03 온수축열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88A true KR20220163788A (ko) 2022-12-12
KR102537570B1 KR102537570B1 (ko) 2023-05-26

Family

ID=8439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86A KR102537570B1 (ko) 2021-06-03 2021-06-03 온수축열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5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555A (ko) * 2005-11-11 2007-05-16 김동열 난방온도 조절기 및 난방온도 조절 시스템
KR20100117204A (ko) * 2009-04-24 2010-11-03 김해성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 및 급탕 겸용 축열식 전기보일러
KR101173183B1 (ko) * 2012-01-18 2012-08-10 최재혁 축열 물질 내장형 온수 순환 보일러
KR20130058092A (ko) 2011-11-25 2013-06-04 조근제 축열탱크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400107B1 (ko) * 2013-12-23 2014-05-28 기회산업(주) 고효율 태양열 축열탱크
KR20150145881A (ko) * 2014-06-19 2015-12-31 김종현 순환 회전식 난방기기
KR20160005811A (ko) 2014-07-07 2016-01-18 원철호 축열탱크 및 지열을 이용한 고온수 냉난방 히트펌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555A (ko) * 2005-11-11 2007-05-16 김동열 난방온도 조절기 및 난방온도 조절 시스템
KR20100117204A (ko) * 2009-04-24 2010-11-03 김해성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 및 급탕 겸용 축열식 전기보일러
KR20130058092A (ko) 2011-11-25 2013-06-04 조근제 축열탱크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173183B1 (ko) * 2012-01-18 2012-08-10 최재혁 축열 물질 내장형 온수 순환 보일러
KR101400107B1 (ko) * 2013-12-23 2014-05-28 기회산업(주) 고효율 태양열 축열탱크
KR20150145881A (ko) * 2014-06-19 2015-12-31 김종현 순환 회전식 난방기기
KR20160005811A (ko) 2014-07-07 2016-01-18 원철호 축열탱크 및 지열을 이용한 고온수 냉난방 히트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570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0767B1 (en) Atomiser and showerhead
US7861678B2 (en) High-efficiency water heater dip tube and method for reducing turbulence in water heaters
US20090250198A1 (en) Hot water corrugated heat transfer tube
JP2011525051A (ja) 電子素子用の冷却装置
JP2008096052A (ja) 室内冷暖房パネル及び室内冷暖房システム
EP3273174B1 (en) Liquid heating device
CA2393593A1 (en) Flow diffusers in a uv pressurized reactor
KR102537570B1 (ko) 온수축열탱크
US11747047B2 (en) Hot water tank with thermal mixing valve
JP6116951B2 (ja) ヘッダープレートレス熱交換器
JP6401304B2 (ja) 洗浄組立体
GB1600445A (en) Heat exchange devices for cooling the wall and the refractory of a blast furnace
US11680656B2 (en) Mixing cartridge having a vortex element
CN212299390U (zh) 即热单元及坐便器
KR102132617B1 (ko)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CN109723106B (zh) 龙头
JP5942091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00002497A (ja) 熱交換器用整流器
CN219121139U (zh) 换热管、换热器和热水器
US20240011665A1 (en) Instant Heating Unit, Toilet and Instant Heating Method
CN214949958U (zh) 分配器及空调设备
CN216060209U (zh) 即热式饮水机多温段变流量出水嘴
JP2001272112A (ja) 太陽熱温水器
EP4321256A1 (en) Waterway and flow straightener for a water delivery device
JP2017072293A (ja) 流体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