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771A -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771A
KR20220162771A KR1020227038186A KR20227038186A KR20220162771A KR 20220162771 A KR20220162771 A KR 20220162771A KR 1020227038186 A KR1020227038186 A KR 1020227038186A KR 20227038186 A KR20227038186 A KR 20227038186A KR 20220162771 A KR20220162771 A KR 2022016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dication information
network device
request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치앙 씽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개시하며,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위해 적합한 셀을 구성하여, 단말기에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지 않을 때,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 채널 상에서 전력 요구를 만족하여야 하는 것 외에, 상응한 대역 외 방사 요구도 만족하여 기타 사용자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대역 외 방사 요구”라 함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이에 할당된 채널 대역폭 외의 주파수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의 누출 신호를 의미하며, 이 부분의 신호가 자나치게 크면 기타 통신 기기에 대해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각 국가 또는 지역의 규제 기관의 요구가 매우 엄격하다. 단말기는 만약 해당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으면,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여, 단말기가 어떤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하여 상술한 측면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하여 상술한 측면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되어 상술한 측면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한다.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적합한 셀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하지 않을 때,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초로 기타 첨부 도면을 얻어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대역 외 누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셀 액세스 실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의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역 외 방사 요구(Out-of-Band Radiation, OOB Radiation): (대역 외 누출 요구, 대역 외 누출 인덱스라고도 지칭)단말기가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 채널(10) 상에서 전력 요구를 만족하여야 하는 것 외에, 상응한 대역 외 방사 요구도 만족하여, 기타 통신 기기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여야 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대역 외 방사 요구는 범용 대역 외 방사 요구와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포함한다.
범용 대역 외 방사 요구: 단말기가 설계될 때 만족하여야 하는 기본 대역 외 방사 요구로서, 대부분 주파수 대역에 적용된다.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additional Out-of-Band Radiation, 또는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국가 또는 지역이 범용 대역 외 방사 요구의 기초 상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별도로 제정한 대역 외 방사 요구로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는 일반적으로 범용 대역 외 방사 요구보다 더욱 엄격하다.
즉, 대역 외 방사 신호는 현재 통신 시스템에 있는 기타 통신 기기에 간섭을 초래하는 것 외에, 기타 인접 주파수 스펙트럼의 통신 시스템(예컨대, 내비게이션, 위성, 전용망 등)에 대한 간섭도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잠재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 또는 지역마다 간섭이 존재할 수 있는 멀티 네트워크 공존 시나리오에 대한 정의가 존재하며, 범용 대역 외 방사 요구의 기초 상에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제정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네트워크 공존 시나리오에서, 해당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는 현재 네트워크(12)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의 방식으로 단말기(14)에게 알려준다. 단말기(14)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때, 신호 방사를 수행하여 대응되는 셀로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기(14)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멀티 네트워크 공존 시나리오에서 해당 셀이 액세스 금지(bar)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셀로 액세스하지 않는다.
상기 멀티 네트워크 공존 시나리오, 및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는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각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정의되어 있으며, 아래 표 1에서는 8개 비트의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비트는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서로 다른 대역 외 누출 인덱스 요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예컨대, 주파수 대역 n1에 대하여 NS_05, NS_05U, NS_100과 같은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가 정의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네트워크 시그널링(Network Signal, NS) 값은 상응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나타낸다. 단말에 대하여 말하면 모두 반드시 만족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의 서로 다른 시스템의 배치에 따라, 새로운 멀티 네트워크 간섭 공존 시나리오가 간혹 발견되고 있으며,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정의하고, 나아가 3GPP에 가입하여 강제적 요구로서 단말이 지원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n1 주파수 대역에 새로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가 도입되였다고 가정하면, 기존에 이미 출시된 단말기의 경우, 이러한 새로 정의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인식하지 않는다. 만약 기지국이 n1 주파수 대역의 셀을 단말기에 구성하고, 기지국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브로드캐스트하면, 단말기는 자신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셀이 액세스 금지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셀 구성 실패가 발생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 즉 단말기에서 어떤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 기술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제공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해당 통신 시스템은 접속망(12)과 단말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망(12)은 여러 네트워크 기기(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120)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접속망에 배치되어 단말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접속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기기의 명칭은 서로 다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eNodeB 또는 eNB로 지칭되고; 5G NR-U 시스템에서, gNodeB 또는 gNB로 지칭된다. 통신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기지국”이라는 표현도 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단말기(14)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기기로 통칭하기로 한다.
단말기(14)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기기,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단말기(terminal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기기를 단말기로 통칭한다. 네트워크 기기(120)와 단말기(14) 간에는 Uu 인터페이스와 같은 어느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템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선진적인 롱템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형 시스템, 비승인 주파수 대역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연결 수량이 제한되어 있고, 구현하기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 통신,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차량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및 차량 네트워크(Vehicle to everything, V2X) 시스템과 같은 것들도 지원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2,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404,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지시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기초로,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적합한 셀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하지 않을 때,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적어도 세 가지 다른 구현 방안이 존재한다.
방식 1, 단말기가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보고한다.
방식 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하고,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문의 피드백을 발송하며, 문의 피드백은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방식 3, 단말기는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하였을 때, 실패 원인값에서 지시 정보를 보고한다.
상기 방식 1에 대하여: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2,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제1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해당 비트맵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은 n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트는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에 대응된다. 즉, n개의 비트는 n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비트의 값이 제1 값일 때, 단말기에서 해당 비트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하고; 비트값이 제2 값일 때, 단말기에서 해당 비트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제1 값은 1이고, 제2 값은 0이다. 또는, 제1 값은 0이고, 제2 값은 1이다.
예시적으로, 보고 양식은 아래 표 2와 같을 수 있으며(8비트를 예로 든다), 비트맵을 통해 단말기가 주파수 대역 A 상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Network Signaling, NS) 값을 지시한다. 만약 단말기에서 현재 유형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면, 대응되는 비트를 1로 설정하고, 아니면 0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비트가 나타내는 네트워크 시그널링값 및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는, 사전에 정의하는 방식이거나 직접 3GPP 표준 중의 특정 테이블에 대응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명확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1이 네트워크 시그널링값 NS_X에 3GPP 표준을 도입하기 전의 단말기로서 NS_X를 지원하지 않으면, 이가 주파수 대역 A에서 보고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능력이 11110000이다. 단말기 2가 네트워크 시그널링값 NS_X에 3GPP 표준 을 도입한 후의 단말이면, 단말기 2가 주파수 대역 A에서 보고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능력은 11111000이다.
Figure pct00002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컨트롤(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에 휴대된다.
단계 504,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RRC 시그널링은 제1 지시 정보를 휴대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해당 비트맵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지시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비트맵을 통해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나타내고, 비트맵에 필요한 비트 수가 보다 적으므로, 무선 인터페이스 리소스의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2,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제2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보고하여, 기지국에 자신이 만족할 수 있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알려준다.
단말기가 설계 생산 완료된 후, 단말기에서 지원할 수 있는 3GPP 프로토콜 버전은 명확한 바, 예컨대 38.101-1 v15.7.0 프로토콜 버전이면, 단말기는 해당 프로토콜 버전에서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만족한다. 여기서, 38.101은 문서 번호이고, v15.7.0은 풀 버전 번호이다. 여기서, 문서 번호는 5자리를 포함하고, 선위 2자리(38)는 문서 일련번호이고, 후위 3자리(101)는 마지막 번호이다. 풀 버전 번호는 릴리스(Release)된 3급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V15는 제1 급 버전 번호이고, 7은 제2 급 버전 번호이고, 0은 제3 급 버전 번호이다.
관련기술에서,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에만 자신이 지원하는 문서 번호와 제1 급 버전 번호, 예컨대 3GPP v15 버전을 보고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것이 v15.7.0 또는 v15.8.0 등인지를 파악할 수 없고, 즉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서브 레벨 버전 번호를 파악할 수 없다. 반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는 어느 서브 레벨 버전 번호의 3GPP 표준 버전에 도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는 v15.8.0 버전에 도입되고, v15.7.0 버전의 경우, 이러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지원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v15.7.0 버전의 설계에 따르면,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만족할 수 없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주파수 대역 A를 구성하였고, 해당 셀에서 NS_X에 대한 네트워크 기기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트하였다고 가정하면, 단말기는 해당 셀에 액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기는 자신이 지원하는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 예컨대 38.101-1, 38.101-2, 38.101-3과 같은 버전 번호를 보고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은닉적으로 단말기에서 지원할 수 있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만족하여야 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가 명확히 나열되어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만족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수신한 후, 단말기를 위해 셀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셀은 주파수 대역 A에 위치하며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 NS_X를 브로드캐스트하였다.
선택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휴대된다. 해당 RRC 시그널링은 단말의 무선 액세스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RRC일 수 있다. 단말기는 제2 지시 정보를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한다.
일 예시에서, AccessStratumRFFR1Release는 38.101-1 표준 버전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AccessStratumRFFR2Release는 38.101-2 표준 버전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AccessStratumRFENDCRelease는 38.101-3 표준 버전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물론 하나의 시그널링에서 복수의 “문서 번호 + 풀 버전 번호”를 보고할 수도 있다. 기타 수요가 존재할 경우, 기타 “문서 번호 + 풀 버전 번호”를 함께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도 있다. 대응되는 RRC 시그널링 내용은 아래와 같다.
UE-NR-Capability ::= SEQUENCE {
……
accessStratumRFRelease AccessStratumRFRelease, OPTIONAL
……
}
=>
AccessStratumRFRelease ::= SEQUENCE {
……
AccessStratumRFFR1Release AccessStratumRFFR1Release, OPTIONAL
AccessStratumRFFR2Release AccessStratumRFFR2Release, OPTIONAL
AccessStratumRFENDCRelease AccessStratumRFENDCRelease, OPTIONAL
……
}
단계 604,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RRC 시그널링에는 단말의 무선 액세스 능력이 휴대되어 있고, 해당 무선 액세스 능력에는 제2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2 지시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기초로,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통해 은닉적으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고, 하나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동시에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할 수 있고, 필요한 비트 수가 보다 적으므로, 무선 인터페이스 리소스의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다음,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가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되므로,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역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702,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제3 지시 정보를 발송하고, 제3 지시 정보에는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k개의 비트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다.
이미 릴리스된 통신 프로토콜에서, 일부 시그널링의 정보 비트를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보 비트는 이미 알려진 지시 의미 또는 예비 비트 의미를 갖고 있지만, 이러한 정보 비트의 사용율이 보다 낮다. 여기서, “예비 비트 의미”는 이미 릴리스된 통신 프로토콜 중 아직 해당 비트에 대해 구체적인 지시 의미가 정의되지 않은, 미래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해당 비트에 대해 구체적인 지시 의미가 정의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3 지시 정보 중의 k개의 비트를 멀티플렉싱하고, k개의 비트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며, k는 양의 정수이다.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이미 알려진 의미를 가진 시그널링이고, k개의 비트는 이미 알려진 의미를 가진(어떤 정보 또는 예비 비트를 지시) 비트이다. 하지만 해당 k개의 비트는 사용되는 경우가 매우 적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싱되어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3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시그널링으로서, 예컨대 제3 지시 정보는 수정된 최대 감소 전력(Maximum Power Reduction, MPR) 행위(modifiedMPR-Behaviour)를 포함하고, 수정된 MPR 행위 중의 8개의 비트는 능력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가 매우 적다. 따라서, 수정된 MPR 행위 중의 8개의 비트를 멀티플렉싱하며, 그 의미를 확장하여 단말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값 또는 지원하는 “문서 번호 + 풀 버전 번호”를 지시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에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대역 외 누출 요구를 알려준다.
선택적으로, 제3 지시 정보에서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제1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 수정된 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예비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은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보고한 것이다. 즉:
n4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은 최저 2개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거나 1로 설정되는 의미를 정의하였다. 즉 최저 2개의 비트는 제1 비트이고, 나머지 6개의 비트는 예비 비트이다.
n7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은 최저 1개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거나 1로 설정되는 의미를 정의하였다. 즉 최저 1개의 비트는 제1 비트이고, 나머지 7개의 비트는 예비 비트이다. 기타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8개의 비트는 모두 예비 비트이다.
일 예시에서, 아래 표 3의 보고 방식을 사용하여 보고한다.
Figure pct00003
선택적으로, 주파수 대역이 n71 주파수 대역인 예를 들면, 표 3에서 첫 번째 비트(제1 비트)를 제외한 기타 비트는 예비 비트로서, 7개의 예비 비트를 사용하여 단말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한다. 예비 비트의 비트값이 제1 값일 때, 단말기에서 해당 비트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하고; 예비 비트의 비트값이 제2 값일 때, 단말기에서 해당 비트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제1 값은 1이고, 제2 값은 0이다. 또는, 제1 값은 0이고, 제2 값은 1이다.
다른 예시에서,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8 번째 비트는 현재의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의 지시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8 번째 비트의 값이 1(멀티플렉싱 지시 유형에 속함)일 때,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7 번째 비트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8 번째 비트의 값이 0(멀티플렉싱 지시 유형에 속하지 않음)일 때,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첫 번째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제2-6개의 비트는 예비 비트이다.
다른 예시에서,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8 번째 비트는 현재의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의 지시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8 번째 비트의 값이 1(멀티플렉싱 지시 유형에 속함)일 때,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7 번째 비트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8 번째 비트의 값이 0(멀티플렉싱 지시 유형에 속하지 않음)일 때,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번째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제2-6 번째 비트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3 지시 정보에서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와 예비 비트 중의 전부 또는 부분 비트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수정된 MPR 행위는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고, UE 무선 액세스 능력의 일부분이다. 수정된 MPR 행위는 RRC 시그널링에서 명칭이 RF-Parameter인 정보유닛 IE 내에 포함된다(IE RF 파라미터는 NR 조작의 RF 관련 능력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RF 파라미터 -> 밴드 NR -> 수정된 MPR 행위.
단계 704,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지시 정보에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k개의 비트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RRC 시그널링은 제3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지시 정보에서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제1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 수정된 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모든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예비 비트는 수정된 MPR 행위 시그널링 중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지시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기초로,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이미 의미를 가진 시그널링 중의 k개의 비트를 멀티플렉싱하여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고,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설계를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방식 2에 대하여: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02,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하되, 문의 요청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를 위해 캐리어 또는 셀을 구성하기 전에,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한다.
단계 804,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문의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806,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문의 피드백을 발송하되, 문의 피드백은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설계에서, 문의 요청은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을 휴대하고, 각각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문의 피드백은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 주파수 대역 A 상의 모든 제1 NS 시그널링값(NS_a, NS_b, NS_c, NS_d, NS_X)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고,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각각의 제1 NS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을 피드백한다. 예시적으로, 확인 피드백은 값이 1인 비트이고, 부인 피드백은 값이 0인 비트이다.
다른 설계에서, 문의 요청은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지 않으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가 주파수 대역 A 상에서 지원하는 모든 NS 시그널링값을 문의하고,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주파수 대역 A 상에서 지원하는 m개의 제2 NS 시그널링값, 예컨대(NS_a, NS_b, NS_c, NS_d, NS_X)을 피드백한다.
단계 808,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문의 피드백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문의 피드백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문의 피드백을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기초로,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셀을 구성한다.
즉, 만약 단말기에서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을 지원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계속하여 대응되는 캐리어를 구성할 수 있고; 만약 지원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기기는 대응되는 캐리어의 구성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능동적으로 단말기에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할 수 있으며, 캐리어 또는 셀을 구성할 필요가 없는 단말기는 보고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해야 하는 시그널링 수량을 줄여, 무선 인터페이스 리소스를 절약한다.
상기 방식 3에 대하여: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단계(1120), 단말기는 셀로 액세스가 실패하면, 네트워크 기기로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발송한다.
해당 방식 3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초기 액세스 시 자신이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값 능력을 보고하지 않고, 네트워크 기기는 세컨더리 셀을 구성하기 전에도 단말 능력의 쿼리를 수행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세컨더리 셀 구성 실패 등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주파수 대역 A를 구성하고, 주파수 대역 A에 속하는 셀의 시스템으로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지시 NS_a, NS_b, NS_c, NS_d, NS_X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단말기는 주파수 대역 A 상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NS_X 시그널링값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해당 셀을 액세스 금지 상태로 간주한다.
단말기는 해당 셀에 액세스할 수 없는 실패 원인값을 기지국으로 보고하고, 즉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지시 NS_X를 지원하지 않는다.
여기서,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실패 원인값은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140,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실패 원인 지시 정보 중의 실패 원인값을 기초로,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기초로, 단말기를 위해 액세스 가능한 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셀 액세스 실패 시에만,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실패 원인값을 보고하여, 셀 액세스 실패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는 보고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해야 하는 시그널링 수량을 줄여, 무선 인터페이스 리소스를 절약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해당 장치는 발송모듈(1220) 및 수신모듈(1240)을 포함한다.
발송모듈(1220)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모듈(12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1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컨트롤(RRC) 시그널링에 휴대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모듈(12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2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모듈(12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3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에는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의 비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k는 양의 정수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수신모듈(124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문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송모듈(12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문의 피드백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문의 요청은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n은 양의 정수이고;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m은 양의 정수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모듈(1220)은 셀 액세스 실패 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해당 장치는 수신모듈(1320) 및 발송모듈(1340)을 포함한다.
수신모듈(1320)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모듈(13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휴대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모듈(13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모듈(13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에는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의 비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k는 양의 정수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발송모듈(1340)은 상기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모듈(13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문의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문의 요청에는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에는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에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모듈(13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셀 액세스 실패일 때의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해당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101), 수신기(102), 송신기(103), 메모리(104) 및 버스(1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102)와 송신기(10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통신 컴포넌트는 하나의 통신칩일 수 있다.
메모리(104)는 버스(105)를 통해 프로세서(101)와 연결된다.
메모리(1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여,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단계를 구현한다.
또한, 메모리(1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토막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토막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되어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지시 방법,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한다.
본 분야의 일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할 수 있고, 프로그램 명령 관련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상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술한 저장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한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3)

  1. 정보 지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1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컨트롤(RRC) 시그널링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2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3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k는 양의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문의 피드백을 발송하되,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요청에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에는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n은 양의 정수이며;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셀 액세스 실패 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발송하고,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정보 지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k는 양의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하되,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문의 피드백을 수신하되,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요청은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셀 액세스 실패하였을 때의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정보 지시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로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발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1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컨트롤(RRC) 시그널링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2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3 지시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의 비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k는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문의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인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송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문의 피드백을 발송하되,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요청은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n은 양의 정수이고;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모듈은 셀 액세스 실패 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정보 지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문서 번호와 풀 버전 번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능력에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상기 k개의 비트는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의 비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k는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 중 멀티플렉싱되는 k개의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제1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트는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전부 또는 부분 예비 비트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비트는 상기 제1 비트 이외의 비트이고;
    또는, 상기 수정된 최대 전력 감소(MPR) 행위 시그널링 중의 상기 제1 비트, 및 전부 또는 부분 상기 예비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 문의 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문의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문의하기 위한 것인 발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문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요청에는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일종의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문의 피드백은 상기 n개의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에 대응되는 n개의 피드백 정보가 휴대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확인 피드백 또는 부인 피드백이고;
    또는,
    상기 문의 피드백은 m개의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이 휴대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실패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셀 액세스 실패하였을 떼의 실패 원인값을 포함하고, 상기 실패 원인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대역 외 방사 요구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2.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하여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실행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227038186A 2020-03-31 2020-03-31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KR20220162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82542 WO2021196001A1 (zh) 2020-03-31 2020-03-31 信息指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771A true KR20220162771A (ko) 2022-12-08

Family

ID=7792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186A KR20220162771A (ko) 2020-03-31 2020-03-31 정보 지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26289A1 (ko)
EP (1) EP4120786A4 (ko)
JP (1) JP2023526163A (ko)
KR (1) KR20220162771A (ko)
CN (2) CN113748745A (ko)
WO (1) WO2021196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1089A1 (en) * 2021-05-06 2022-11-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evolving band reg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095B (zh) * 2010-12-02 2013-06-12 上海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频点选择方法及家庭式基站、设备
CN102547954B (zh) * 2010-12-31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附加功率回退值的上报方法、基站及终端
GB2509730B (en) * 2013-01-11 2015-05-20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limiting maximum transmit power of devices.
CN104125603B (zh) * 2013-04-24 2017-09-1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基站向通信终端发送指示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04144447B (zh) * 2013-05-08 2018-06-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9681331B2 (en) * 2014-02-03 2017-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transmissions
CN103813347B (zh) * 2014-02-28 2018-01-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站频率资源配置方法及网络设备
WO2015137858A1 (en) * 2014-03-14 2015-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 wireless device and a radio network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233813B (zh) * 2014-04-22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非授权频谱进行数据通信的方法、设备及通信系统
CN109246655A (zh) * 2017-05-04 2019-01-1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5038B (zh) 2023-11-17
WO2021196001A1 (zh) 2021-10-07
EP4120786A4 (en) 2023-05-10
US20230026289A1 (en) 2023-01-26
CN113748745A (zh) 2021-12-03
JP2023526163A (ja) 2023-06-21
CN113795038A (zh) 2021-12-14
EP4120786A1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8504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07719B1 (ko)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장치
KR20210086696A (ko) 사이드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기
KR20210048490A (ko) 상향 신호의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JP7145321B2 (ja) 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11148233A (zh) 一种资源分配方法及基站
JP2023134649A (ja) サイドリンクにおける伝送モードの決定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10117227B2 (en) Manag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230026289A1 (en) Information indicat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15964A (ko) 사이드링크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N111727617B (zh) 上行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24113A1 (en) Secondary cell activatio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203306B (zh) 终端、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156840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22147716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US20230354344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s, and storage medium
WO2022236558A1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89782A (zh) 基于复制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WO2022141071A1 (zh) 小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40073735A1 (en) Qos control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240172181A1 (en) Assigning uplink and downlink resources within bandwith parts
WO2022236526A1 (zh) 载波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0087533A1 (zh)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5918176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20230156834A (ko) 정보 전송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