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435A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2435A KR20220162435A KR1020210070894A KR20210070894A KR20220162435A KR 20220162435 A KR20220162435 A KR 20220162435A KR 1020210070894 A KR1020210070894 A KR 1020210070894A KR 20210070894 A KR20210070894 A KR 20210070894A KR 20220162435 A KR20220162435 A KR 202201624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erminal
- unit
- unmanned
- polic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48669 Terminal stat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단말기의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 예방 작업과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method of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ensure normal operation of an unmanned terminal, based on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enable failure prevention work and immediate response in the event of failure It relates to an operation method of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device.
오늘날의 사회는 키오스크, 자판기, ATM 등 무인단말기와 같은 무인화 정보제공 단말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보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비대면 방식의 생활 환경으로의 전환의 주요 방식으로 무인단말기의 활용이 가속화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생활 전반에 걸쳐 무인단말기를 통한 물품 또는 금전의 유통과 주문 결제 등을 보다 손쉽고 편하게 여기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근래에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지닌 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무인화 단말을 이용한 적용 범위는 더욱 광범위해지고 이에 따라 사용 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무인화 단말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기 상태의 관리적 차원의 중요성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In today's society, unmann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s such as kiosks, vending machines, ATMs, and other unmanned terminals are being actively spread. In particular, as the health environment changes, the use of unmanned terminals as a major method of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living environment is accelerating.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culture that regards the distribution of goods or money and the payment of orders through unmanned terminals throughout life as easier and more comfortable is established. In recent years, as 5G mobile communication with ultra-high speed, ultra-low latency, and hyper-connectivity has been commercialized and new services based on it have been commercialized, the range of application using unmanned terminals has become wider and the frequency of use is expected to increase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level of device status to provide services stably is also emerging.
이같이 무인단말기의 서비스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3388호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수개의 단말기를 그 제조회사가 간편하게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은행의 호스트 컴퓨터에 샘플링 주기동안 발생된 자료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DB서버로 상기 샘플링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S402); 전송된 상기 자료를 무인 단말기의 제조회사별, 제품별, 모델별로 분류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404); 및 전송된 상기 자료중 상기 무인 단말기의 에러에 관한 에러코드가 포함된 경우(S40), 상기 에러에 관련된 자료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6); 상기 에러코드를 해당 제조회사에 전송하는 단계(S408); 해당 제조회사는 서비스맨에게 에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10); 상기 서비스맨은 수리 후(S412), 수리 결과를 해당 제조회사에 전송하는 단계(S414); 상기 서비스맨은 수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DB서버에 기록하는 단계(S416); 상기 제조회사는 소정시간마다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DB서버에 접속하여 (S300), 해당 제조회사의 DB자료를 다운로드 받고(S302), 다운로드된 상기 DB자료를 분석 및 통계처리 하여(S304) 출력하는 단계(S306)로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In order to continuously and stably provide the service of such an unmanned terminal, a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n unmanned terminal using the Internet' is disclos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83388. The registered patent describes a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an unmanned terminal using the Internet, in which a manufacturer can conveniently remotely manage several terminals remotely using the Internet. In detail, transmitting the data generat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o the bank's host computer from the host computer to the DB server at each sampling period (S402); Classifying the transmitted data by manufacturer, product, and model of the unmanned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in the DB server (S404); And if an error code related to an error of the unattended terminal is included among the transmitted data (S40), classifying and storing the data related to the error (S406); Transmitting the error code to a corresponding manufacturer (S408); The manufacturing company transmits error information to a service man (S410); After the service man repairs (S412), the repair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anufacturer (S414); the service man recording repair-related information in the DB server (S416); The manufacturer accesses the DB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t predetermined times (S300), downloads the DB data of the manufacturer (S302), analyzes and statistically processes the downloaded DB data (S304), and outputs the data. A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an unmanned terminal using the Internet consisting of step S306 is described.
그러나 이 같은 무인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은 은행에 설치된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술로 한정되어 있고, 또한 원격 관리방법에 있어서도 단지 은행에 설치된 단말기의 관리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제조사 또는 기술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방문 처리를 요청하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써 기술이 국한되어 있다.However,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of such an unmanned terminal is limited to the technology applied to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bank, and even in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only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bank is recognized an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anufacturer or technician for a visit. Technology is limited as a means of conveying information requesting process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단말기에서 발생시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구동과 정보 처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태정보 점검을 통해 필요 시, 장애 예방 작업을 실시하고 또는 예측되는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대응 조치 및 무인 단말기의 전원 제어 등을 선제적으로 실행하는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Based on data generated by unmanned terminals, normal driv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maintained through status information checks, if necessary, to prevent failures or predicted failur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method of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device that preemptively executes countermeasures for managing the unmanned terminal and power control of the unmanned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인단말기기로부터 수집되는 단말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한 재기동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상기 무인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재부팅 신호에 따른 상기 무인단말기의 재부팅 이벤트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파워부에 기 설정된 스마트 파워 정책과 연계하여 시스템 재부팅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ransmitting a system reboot signal to the unmanned terminal when a preset restart condition is met based on terminal data collected from the unmanned terminal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rebooting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smart power policy in the smart power unit when a reboot event of the unmanned terminal according to the system reboot signal is not coll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단말기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대응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단말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장애를 예방하거나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조치를 즉각적으로 실행하는 솔루션을 시스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현장으로의 인력 투입과 장애 관련 정보 분석 등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발생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애 처리 결과 정보를 축적하고 새로운 장애 예측 패턴을 생성하고 기존 장애 관리 정책과 연동함으로써 대응 정책의 최신화가 가능하고 또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continuous and stable operation by comprehensivel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generated from unmanned terminals, checking and 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is end, by systematically providing a solution that immediately executes measures to prevent or overcome failures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unmanned terminals,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anpower input to the site and analysis of failure-related information are reduced. costs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by accumulating failur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creating new failure prediction patterns, and linking with existing failure management policies, it is possible to update response policies and provide failure management services that can improve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무인단말기 전원을 관리하는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n unmanned terminal through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tate management service of an unmann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nvent various devices and methods that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all with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not to be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reci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ncompass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present conceptual views of illustrative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etc., are meant to be tangibly represented on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depicted. It should be.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licit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ly citing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for the governor's us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로 대체하여 표기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해,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단말들은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각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Here, each network i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It can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가 발생 시키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장애 발생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지능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 활용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무인단말기의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인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방식 등을 통한 입력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기관이나 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식당 등 특정 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요구되는 금전이나 물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키오스크(Kiosk), 자판기, ATM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중망 또는 사설망 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에 더하여 각각의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웹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단말(300)은 개별적인 보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device may be a variety of devices capable of inputting/outputting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driving or web browsing. In particular, the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정상적인 운용을 위한 시스템 환경 설정 등 시스템 관리 영역의 정보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수집부(120), 점검부(130), 판별부(140), 처리부(150), 관리부(160),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 스마트 파워 제어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the
제어부(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수집부(120)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20)는 하나 이상의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무인단말기(200)별 구분 및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 The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물리적 구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정보를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대기 상태로 맞춰지는 세팅에 이르기까지 발생될 수 있는 정보를 단말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ata may include data related to physical driving of the
또한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입력받는 요청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물리적 구동이 완료되고 데이터 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 후에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시스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수집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terminal data may include data generated for information processing 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처리될 시, 트랜잭션 처리 정보 등을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랜잭션 처리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는 변화될 수 있다.The system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process information, network information, log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the like. Additionally, when user input information is processed, the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데이터를 구분하고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무분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와 실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된 화이트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상기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특 정보 등을 통해 분석될 수 있고 보안 등급이 평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일정 기준 이상 등급으로 평가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야기할 수 있는 구성요소 별 체크리스트를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으로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는 상기 무인단말기(200) 내 구비되는 메인보드, CPU, 메모리, 슬롯, 주변 장치 접속 포트 및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는 각 구성요소 별 장치 운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 장애 관리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와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의 분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로 운영체제 정보로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운영체제 파일 정보 점검에 대한 운영체제 부문의 체크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점검부(130)는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이라는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는 운영체제 오류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 실패,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윈도우 서비스 동작 오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응용 프로그램 오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오류 정보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미응답, 응용 프로그램 설치 실패, 응응 프로그램 파일 손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부(130)는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발생되는 BSOD(Blue Screen Of Death; 블루스크린)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연계 설치된 디바이스의 정상적 설치 및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드라이버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CPU, RAM, 스레드, 핸들, 프로세스 등과 같은 성능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판별부(14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장애 관리 지표를 분석하여 장애 관리 조치 실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와의 매칭 분석을 통해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로 각 항목별 임계값 또는 점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임계값 또는 점검정보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등에 대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또한 상기 판별부(140)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 정보로 인증된 화이트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설치, 실행 등을 허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임계값은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하드 디스크 사용량 등으로 측정될 수 있는 시스템 성능수치 정보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값은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등과 같이 외부와 연동되는 기기와의 상태 변화에 따라 측정될 수 있는 수치 정보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정보의 내용은 이벤트의 오류 정보, 이벤트 발생 횟수, 이상 로그 정보 등을 대상으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별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for system performance numerical information that can be measured by CPU usage, memory usage, hard disk us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for numerical information tha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change in status with externally interlocking devices, such as data response waiting time and data traffic volume. Additionally, as for the content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may be set for error information of an event,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an event, and abnormal log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은 정보 처리를 위하여 트랜잭션 발생 시, 상대 기기에 요청한 정보에 대한 응답정보를 기다리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은 일정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애 관리 지표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타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의 정상 여부 또는 기기의 온라인 상태를 판단하는 Ping 테스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The data response waiting time may include waiting time for response information for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counterpart device when a transaction is generated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e data response waiting time may be se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as a failure management indicator, when connected to other devic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 ping test resul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network connection is normal or the online status of the device can be used.
이와 같이 상기 판별부(140)는 장애 관리 지표로 설정된 장애 파라미터 기준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의 필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는 운영체제 오류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 실패,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윈도우 서비스 동작 오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이 때,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이라는 단말 점검정보와 대응되는 장애 관리 지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로 설정되어 있는 주요 시스템 파일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이와 일치하는 경우, 장애 관리 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는 원격 리부팅, 시스템 파일 백업, 포트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제어, dump 파일 삭제, 프로세스 보호, 실행 프로세스 순위 조정, 악성 소프트웨어 차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는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 장애 관리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부(150)는 특정 무인단말기(200)를 대상으로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CPU 사용량이 95%로 확인되는 경우, 장애 관리 지표에 설정된 CPU 사용량 80%를 초과한 상황으로 장애 관리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이 95%가 되도록 유발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실행을 중지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교착상태에 빠진 응용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 처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이 95%이 되도록 유발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트래픽을 확인하여 필요 시 트래픽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명령을 무인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긴급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추가적으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조치 후,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시 원격 처리를 요청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원격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처리는 윈도우의 경우, 명령 프롬프트인 CMD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관리부(16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6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결과정보와 상기 단말 데이터와의 연계 정보를 학습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60)는 상기 처리결과정보를 통해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가 정상으로의 전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160)는 상가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필수 실행 프로세스의 종료되었을 경우, 장애 관리 조치를 실행하여 종료된 프로세스를 재실행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관리부(160)는 필수 실행 프로세스를 재실행시키는 처리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필수 실행 프로세스가 종료된 원인을 분석하고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부(160)는 A 프로세스라는 필수 실행 프로세스가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A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거나 삭제시킨 외부 명령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에 대한 원인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리스크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과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연동하여 검증된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mart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메인보드, 하드웨어, CPU, 메모리, 전원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이상 징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의 이상 징후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알 수 없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이용하여 화이트리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부가할 수 있다.The smart
스마트 파워 제어부(180)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스마트 파워부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파워 제어부(180)는 상기 갱신된 장애 관리 정책으로부터 식별되는 전원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단말기에 구비되는 스마트 파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상기 스마트 파워부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파워부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통제 정책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파워 제어부(180)는 상기 스마트 파워부에서 관리되는 전원 통제 정책과 연동되어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관리 정책을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스마트 파워부의 전원 통제 정책은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스마트 파워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상 발생 시에도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수집부(120) 및 상기 스마트 파워 제어부(18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The smart
알림부(미도시)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장애 관리 조치 결과인 처리결과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등을 기반으로 하여 직관적으로 장애 관련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장애 관련 정보를 전자메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인터페이스 형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not shown) may transmit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failure management index to the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점검부(130)는 물리 계층 점검부(131), OS 계층 점검부(132), 응용 계층 점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한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입출력장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저장장치 등의 기계적인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의 데이터 트래픽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기계적인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위한 점검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하드웨어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The physical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응용 소프트웨어 구동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상용화되고 있는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위한 점검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운영체제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운영체제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영체제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The OS
상기 응응 계층 점검부(133)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특화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 부문의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점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The response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 스마트 파워 정책 연동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미도시), 포커스 차단 정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 the smart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와 연동을 통해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부가할 수 있다.The smart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한 재기동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상기 무인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통해 BSOD(Blue Screen Of Death; 블루스크린) 또는 행업 상태로 진행될 수 있는 이슈 이벤트를 사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상기 이슈 이벤트의 로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이상 징후를 사전에 검출하고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The smart
또한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시스템 성능에 과부하를 줄 수 있는 이벤트를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에 포함하여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상기 재기동 조건에 대하여 시스템 성능에 과부하를 줄 수 있는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이벤트는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트래픽 처리량 등의 장애 관리 지표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시스템의 오작동과 오류를 야기하는 이벤트, 로그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또한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동일한 무인단말기(200)에서 동일한 상기 이슈 이벤트 발생 횟수에 따라 기준 횟수를 초과 시,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사전 설정된 시스템 재부팅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상기 시스템 재부팅 스케줄링 정보를 특정 무인단말기(200) 화면 표시 장치에 알림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시스템 재부팅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08시에서 22시 사이에 시스템 재부팅 신호 처리가 요청될 시, 상기 스케줄링은 23시로 생성되고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23시에 특정 무인단말기(200)로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0)는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IP Address와 연계하여 지정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네트워킹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CMP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IP Address에 대하여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CMP는 지정되는 IP Address가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신 작동 여부 및 응답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네트워크 노드 간에서의 데이터 처리량, 사용량, 에러율, 속도, 응답시간등의 네트워크 통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Address와 매칭되는 MAC Address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ARP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고유 정보인 MAC Address와 IP Address를 매칭하고 정확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 모듈(1711)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무인단말기(2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Address와 매칭되는 MAC Address를 APR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IP Address는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고유 할당된 MAC Address와 매칭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sma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통해 MAC Address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상기 MAC Address는 MAC 관리 테이블에 IP Address와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무인단말기(200)를 상기 MAC 관리 테이블에 기반하여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일정 시간 확인을 통해 상기 MAC 관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네트워킹 상태 관리모듈(1711)은 상기 MAC 관리 테이블의 갱신 전과 후의 리스트를 대조하여 누락된 리스트에 대응되는 무인단말기(200)에 대한 에러를 출력하여 정책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ing
상기 스마트 파워 정책 연동부(172)는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에서 전송된 상시 시스템 재부팅 신호에 대하여 이를 수신한 무인단말기(200)의 재부팅 이벤트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인단말기(200) 스마트 파워부에 기 설정된 스마트 파워 정책과 연계하여 시스템 재부팅을 처리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부(171)는 특정 무인단말기(200)에서 특정 시간 이상 동안 프로세스 행업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 재부팅 신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파워 정책 연동부(17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스마트 파워부에 설정된 전원 통제 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재부팅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통해, 상기 스마트 파워 정책 연동부(17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스마트 파워부가 로컬에서 직접 전원을 통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smart power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미도시)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로 종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경로,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상기 식별값으로 구분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할 수 있는 프로세스 보호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not shown) may apply a process policy blocking execution state change to a preset protection process list. The protected process list may be aggregated into one or more processes.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may classify the process information by using a path and a process name of an executed process as identification values.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may include a process protection module (not shown) capable of removing an execution code generating an interrup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process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value.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가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에 인터럽트를 시도하는 이벤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상기 인터럽트를 시도한 행위 주체 및 실행 코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상태 변경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접근 이벤트 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여 관리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공유할 수 있다.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may block an event attempting to interrupt the process when the process being executed is included in the protected process list. At this time,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may extract external input information such as an action subject and execution code that attempted the interruption, and may add it to the failure prediction pattern information.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unit may share access event information with the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미도시)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되는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The focus block policy unit (not shown) may determine a layout order of an output interface linked to each execution process included in the terminal data, and may block access attempting to change the layout order.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프로세스의 실행 경로,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화면 표시 장치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레이아웃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레이아웃 순서를 통해 최상단 인터페이스로 출력되는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하여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레이아웃이 결정된 순서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상태에 대하여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레이아웃이 결정된 출력 인터페이스 순서를 위배하고, 우선 권한을 득하고자 실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최하위 순서로 배정할 수 있다.The focus blocking policy unit may classify an execution path and process name of a process as an identification value. The focus blocking policy unit may determine a layout priority for a process of outputting an interface to a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접근 이벤트 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여 관리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공유할 수 있다.The focus blocking policy unit may share access event information wit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화면 표시 장치에 음식 주문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최상단 레이아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음식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 프로세스를 최상단 레이아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운영체제 자동 업데이트가 발생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메시지 알림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운영체제 업데이트 오류에 따른 상기 메시지 알림 이벤트의 알림창이 발생된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상기 알림창으로 인해 화면 표시 장치에서 화면 전환 또는 일부 화면 가림 상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인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의 인터페이스 전환 또는 화면 가림 상태는 정상적인 음식 주문 및 구매를 불가하게 할 수 있는 장애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사전 설정한 레이아웃의 순서와 최상단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의 지정을 통해 상기 알림창으로 인해 화면의 변경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는 사용자 입력을 방해 하지 않는 화면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blocking policy unit may set a process of outputting an interface enabling food ordering and purchase to the topmost layout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 2a 내지 도2C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부의 역할과 기능은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pecified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FIGS. 2A to 2C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stored in a mediu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unmanned terminal stat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집단계(S101)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구동과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트랜잭션 처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the unmanned terminal failure management service, in the collecting step ( S101 ), terminal data generated by the
점검단계(S103)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포함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In the checking step (S103), state analysi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terminal data and the failure management policy, and terminal inspection informa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may be stored. The failure management policy may include a hardware section, a software section, an operating system section, an input/output interface section, a transaction processing section, and the like. The software section may check for abnormalities through a whitelist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reputation information, hash information, execution data, social engineering data, and heuristic information.
처리단계(S105)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될 수 있다.In the processing step (S105), failure management action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failure management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spection information. The failure management index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ystem performance value, data response waiting time, data traffic amount, event error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events. As the failure management index, a specific failure parameter may be designated.
관리단계(S107)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In the management step (S107), failure prediction pattern information may be learned us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failure management ac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data.
정책단계(S109)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할 수 있다.In the policy step (S109), failure prediction pattern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erminal data and the failure management policy, and the failure management policy may be updated based on a smart filtering policy calculated from the failure prediction pattern information.
제어단계(S111)는 상기 갱신된 장애 관리 정책으로부터 식별되는 전원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단말기에 구비되는 스마트 파워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control step (S111), based on the power management policy identified from the updated failure management policy, a smart power unit provided in the unmanned terminal may be controlled.
상기 점검단계(S103)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물리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단계(S103)는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OS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단계(S103)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응응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ing step (S103) may include a physical layer checking step (not shown) of extracting the terminal data corresponding to hardware state information and matching the hardware failure management policy. In addition, the checking step (S103) may further include an OS layer checking step (not shown) of extracting the terminal data corresponding to stat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OS) and matching it with an OS failure management policy. In addition, the checking step (S103)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layer checking step (not shown) of extracting the termi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matching the application program failure management policy.
상기 정책단계(S109)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한 재기동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상기 무인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전원 정책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원 정책단계는 상기 무인단말기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IP Address와 연계하여 지정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킹 상태 관리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icy step (S109) may include a smart power policy step (not shown) of transmitting a system reboot signal to the unmanned terminal when a preset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terminal data. The smart power policy step is a networking state management step of collecting network informa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tocol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IP addresses assigned to the unmanned terminal, and storing and manag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 not shown) may be included.
상기 정책단계(S109)는 상기 시스템 재부팅 신호에 따른 상기 무인단말기의 재부팅 이벤트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파워부에 기 설정된 스마트 파워 정책과 연계하여 시스템 재부팅을 처리하는 스마트 파워 정책 연동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icy step (S109) is a smart power policy linkage step of processing system reboot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smart power policy in the smart power unit when a reboot event of the unmanned terminal according to the system reboot signal is not collected (not shown). cit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정책단계(S109)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하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는 실행 프로세스의 경로 또는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식별값으로 구분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보호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icy step ( S109 )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management policy step (not shown) of applying a process policy blocking execution state change to a preset protection process list. The process management policy step includes a process protection step (not shown) of dividing the process information by using the path or process name of the executing process as an identification value and removing the execution code that generates an interrupt for the protected process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value. can include more.
또한 상기 정책단계(S109)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하는 포커스 차단 정책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icy step (S109) determines the layout order of the interlocking output interface for each execution process included in the terminal data, and further includes a focus blocking policy step (not shown) of blocking access attempting to change the layout order. can includ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무인단말기 전원을 관리하는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to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n unmanned terminal through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tate management service of an unmann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전송하는 단말데이터를 수집(S201)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시간 이벤트 로그를 로딩(S203)한다. 이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에 기반하여 장애 관리 정책에 따라 단말을 점검(S205)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와 장애 관리 지표를 매칭(S207)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장애 관리 지표에 설정된 메모리 부족을 나타내는 'Resource-exhaustion-detector[2004]' 메시지가 매칭되는 지 확인(S209)한다. 상기 메시지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설정된 장애 관리 조치를 검색(S211)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가 무인단말기 재기동 조치와 부합하는 지 여부를 확인(S213)한다. 상기 장애 관리 조치가 무인단말기 재기동 조치와 매칭 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재부팅 예고 알림정보를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전송(S215)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케줄링에 따른 재부팅 명령어를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전송(S217)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전송하는 단말데이터를 수집(S301)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시간 이벤트 로그를 로딩(S303)한다. 이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에 기반하여 장애 관리 정책에 따라 단말을 점검(S305)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와 장애 관리 지표를 매칭(S307)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장애 관리 지표에 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누적 횟수가 2번을 초과하는 지 확인(S309)한다. 상기 횟수의 초과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설정된 장애 관리 조치를 검색(S311)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가 무인단말기 재기동 조치와 부합하는 지 여부를 확인(S313)한다. 상기 장애 관리 조치가 무인단말기 재기동 조치와 매칭 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재부팅 예고 알림정보를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전송(S315)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케줄링에 따른 재부팅 명령어를 상기 무인단말기(200)로 전송(S317)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200)와 PING 테스트를 실행(S401)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PING 테스트를 통해 통신 실패가 발생되는 지 확인(S403)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PING 테스트를 통해 실패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누적 실패 여부를 확인(S405)한다.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누적 실패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200)로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전송(S407)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의 재부팅 처리에 대한 재부팅 이벤트 수신 여부를 확인(S409)한다. 이 때, 재부팅 이벤트가 일정 기준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스마트 파워부로 재부팅 명령을 전송(S411)한다. 상기 재부팅 명령에 따른 이벤트 수신 여부를 확인(S413)에 따라 상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원 관리 서비스를 종료 또는 재부팅 명령을 재전송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and magnetic tape. ,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무인단말기기로부터 수집되는 단말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한 재기동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시스템 재부팅 신호를 상기 무인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재부팅 신호에 따른 상기 무인단말기의 재부팅 이벤트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파워부에 기 설정된 스마트 파워 정책과 연계하여 시스템 재부팅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Transmitting a system reboot signal to the unmanned terminal when a preset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erminal data collected from the unmanned terminal device; and
When a rebooting event of the unmanned terminal according to the system rebooting signal is not collected, processing system rebooting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smart power policy in the smart power unit; compris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의 구동과 상기 무인단말기에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데이터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트랜잭션 처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data includes data generated for driving the unmanned terminal and processing information requested to the unmanned terminal,
The terminal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process information, network information, log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transaction processing inform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상기 무인단말기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IP Address와 연계하여 지정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network informa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tocol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IP addresses assigned to the unmanned terminal, and storing and manag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894A KR20220162435A (en) | 2021-06-01 | 2021-06-01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894A KR20220162435A (en) | 2021-06-01 | 2021-06-01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2435A true KR20220162435A (en) | 2022-12-08 |
Family
ID=8443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894A KR20220162435A (en) | 2021-06-01 | 2021-06-01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6243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388B1 (en) | 2000-06-22 | 2003-05-12 | 주식회사 뱅크테크 | A Remote Monitoring Method For Self-Service Terminal Using Internet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0894A patent/KR2022016243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388B1 (en) | 2000-06-22 | 2003-05-12 | 주식회사 뱅크테크 | A Remote Monitoring Method For Self-Service Terminal Using Intern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16469C (en) | Faults and performance issue prediction | |
US9084937B2 (en) | Faults and performance issue prediction | |
KR10138831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curity events | |
US8161330B1 (en) | Self-service terminal remote diagnostics | |
JP2017510182A (en) | Wireless sensor network | |
CN117280327B (en) | Detecting data center large scale interruptions through near real time/offline data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
KR101259324B1 (en) |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server | |
KR20220121008A (en) | Method for provinding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for device failures | |
CN116886517B (en) | Alarm system and method based on flow data | |
KR20220162432A (en) |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smart filtering | |
KR20210097003A (en) | Method for maintenance of kiosk | |
CN114238036A (en) |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bnormity of SAAS (software as a service) platform in real time | |
KR20220162435A (en)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36A (en) | Program for providing service | |
KR20220162433A (en) | Program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34A (en) | Device for providing kiosk state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41A (en) | Program for Service Provision | |
KR20220162439A (en) | Device for providing kiosk fault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40A (en)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fault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44A (en) | Program for Service Provision | |
KR20220162443A (en) |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fault management service | |
KR20220162438A (en) | Program for Service Provision | |
KR20220162442A (en) | Device for providing fault management service | |
CN115697876A (en) | Method for remotely restor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of a people conveyor system, remote monitoring unit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 |
KR20220162437A (en) |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faul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smart filte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