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203A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203A
KR20220162203A KR1020210069818A KR20210069818A KR20220162203A KR 20220162203 A KR20220162203 A KR 20220162203A KR 1020210069818 A KR1020210069818 A KR 1020210069818A KR 20210069818 A KR20210069818 A KR 20210069818A KR 20220162203 A KR20220162203 A KR 2022016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cost
interio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7002B1 (en
Inventor
이정완
김현우
김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키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키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키움
Priority to KR102021006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02B1/en
Publication of KR2022016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ior dec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which is performed by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ollecting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of construction cases, of which the interior decoration has been completed, from a plurality of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s and constructing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b) displaying,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a distric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map in a first region of a user terminal screen and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an interior dec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ser interface (UI) for displaying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in a second region of the user terminal screen; and (c) in response to the selective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construction case in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displayed in the second region, providing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information of the selectively input construction case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includ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ite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rational decision-making of a rational user in selecting a construction company.

Description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본 발명은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세한 시공사례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construction case statistical analysis, and discloses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detailed construction case information to a user who wants interior construction.

종래에는 거주지 또는 사무실 등의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경우, 광고나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알게 된 시공업체에 연락하여 상담을 요청한 후, 시공을 진행하는 형식이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wanting to construct an interior such as a residence or an office, it was a form of contacting a construction company found through advertisements or Internet searches, requesting consultation, and then proceeding with the construction.

따라서, 소비자들은 몇 개의 시공업체들이 제시한 인테리어 모델이나 견적을 비교하여 더 나은 시공업체를 결정하는 과정이 일반적이었다. 즉, 해당 지역에서 시공 가능한 업체들을 전부 파악하기 어려워 선택지가 한정적이었다.Therefore, it was common for consumers to compare the interior models or estimates offered by several construction companies to determine a better construction company. In other words,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all construction companies available in the region, and the options were limited.

또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인테리어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시된 모델과 견적이 적정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공사 진행에 따른 예산을 책정하는 부분이나 의도치 않은 시공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most consumers lack expertise in interior desig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roposed model and quotation are appropriate,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setting a budget or unintentional construction.

이를 해결하고자, 인테리어 시공사례를 소개하고 소비자와 인테리어 시공업체 간 중개를 도와주는 온라인 서비스가 등장하였다.To solve this problem, an online service that introduces interior construction cases and helps mediation between consumers and interior construction companies appeared.

그러나,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시공대상의 소공간 단위로 입찰을 요청하는데, 종래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비용의 정보는 총 시공비나 평당 시공비와 같이 포괄적인 내용에 불과하였다.However, consumers generally request bidding in units of small spaces of construction objects, and cost information provided in conventional services is only comprehensive, such as total construction cost or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또한, 자재비, 인건비와 같은 비목 별 시공비에 대한 확인이 불가하여 투명성이 결여되며, 이에 따라 인테리어 계획시 소비자가 상세 예산을 책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transparency is lacking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cost item, such as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Accordingly, it is still difficult for consumers to set a detailed budget when planning interiors.

또한, 시공사례에 대한 내용을 단순 나열함에 따라, 가독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s the contents of construction cases are simply listed, there is a limit to poor readability.

이와 같이, 종래의 인테리어 중개 온라인 서비스는, 소비자가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거나 업체를 선택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며,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interior mediation online service does not provide practical help for consumers to plan an interior or select a company, and has a problem in that its usefulness is low.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수집된 견적 정보를 통계 분석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시공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시공사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o provide users with construction case information including more detail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constructing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statistically analyzing the estimate information collected based thereon. It has a purpose.

또한, 시각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시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user interface)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convenien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performed by a server, (a) collects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from a plurality of contractor terminals, and performs construction. building a case database; (b) Interior information displaying a map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list of construction cases within the map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terminal; and (c)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construction case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re sent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but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includ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cost i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견적정보는 상기 견적정보에 대응하는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되어 업로드되되, 각각의 소공간마다, 수행된 인테리어 공정 별로 시공비용이 더 분류되어 업로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stimation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cost is classified and uploaded for each small space inside the construction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ion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further classified for each small space and for each interior process performed. and it will be uploa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b)단계는, 상기 지도 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기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되,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를 상기 플래그에 표시하고,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행정구역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되,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를 표시하며, 상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표시된 플래그에는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a preset flag is displayed at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case list in the map, but when the scale of the map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construction target Equilibrium and total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lag, and if the accumulation of the map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s displayed on the map, but a flag is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construction case exists, and the construction case The average value of the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for all construction cases is displayed on the flag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b)단계는, 상기 제 2영역을 통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the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equilibrium,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target for each construction case included in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through the second area It displays the name, housing type, image and address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래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영역을 선택 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상기 제 2영역을 상기 변경된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include selecting the first area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one of the flags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scale of the ma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t changes to a map correspon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the input flag and changes the second area to a list of construction examples in the changed m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제 2영역에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시공대상정보는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하거나,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fter removing the construction case list from the second area. However, the abov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is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target, housing type, floor plan, photo and address information,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construction period information, and a list of representative construction cases of companies that have performed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s It includes at least one, and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classifie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construction costs by cost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 construction management cost, and engineering and miscellaneous expenses, or construction cost by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It is derived by class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 표시되되,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의 액수에 따라 상기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s additionally displayed as visualiz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preset infographics, and each construction cost by cost item or small space is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And, the area occupied in the infographi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ch construction cost for each cost item or small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세보기 메뉴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를 더 제공하되, 상기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테이블 형태의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c) further provides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for each space in response to an input to the detailed view menu of the user terminal, but the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for each space is based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fter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cost by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a table calculated by further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cost by item of cost including at least one of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s, utility and miscellaneous expense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cost for each small space construction cost It means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b)단계 후,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체찾기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표시하되, 상기 업체 리스트의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fter the step (b), whe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provides a business search function, and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business search function, After extracting construction companies with a history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a list of companies composed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bu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bidding construction cases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cases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in the company list is displayed. more will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영역에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construction company from the company list, after removing the company list from the second area, the selection inpu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ompany is displayed, bu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ompany includes the bibliography of the company, construction cases performed by the company, and consumer review information, and the consumer review information is calculated as a rating for each preset item. It includes polygonal infographic information with each item as a verte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d)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한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d)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provides an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and the type and size of a house to be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recommending an interior configura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construction budg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d)단계는, 상기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 소공간 별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 추천테이블값,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상기 각 소공간 별 면적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는 것이고, 상기 추천테이블값은 상기 (a)단계를 통하여 수집된 후 가공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하며, 상기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d)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pre-stored flat development views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housing type, equilibrium and construction budget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each angle shown in the extracted flat development plan Calculating the area of each small space; and generating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a recommendation table value, an interior priority value, and an area for each small space within a construction budget range input by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flat development pla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ousing type or floor plan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the recommended table values are processed after being collected through the step (a),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type of process, type of material, and number of workers is defined. It means one table, and the interior priority value means the process priority matched for each preset construction budget range or the priority of a small space to be a construction targ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테리어 추천정보는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옵션을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recommendation option among recommendation options for each small space, each material type, and each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includes (a) collecting construction subjec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from a plurality of contractor terminals, and construction cases building a database; (b) Interior information displaying a map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list of construction cases within the map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terminal; and (c) providing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for one construction case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However,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includ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cost item.

본 발명은, 시공을 원하는 주변 지역의 인테리어 사례를 제공하여, 시공업체의 시공 스타일과 견적을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업체 선정에 있어 합리적인 사용자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기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heck the construction style and estimate of a construction company by providing examples of interiors in surrounding areas where construction is desired. Therefore, it contributes to reasonable decision-making by reasonable users in selecting construction companies.

또한,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견적서를 소공간 별, 비목 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투명성이 보장된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ystematically classifying the estimate upload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by small space and cost i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tistical information of construction cost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users and guaranteed transparency.

따라서, 사용자는 시공대상의 소공간마다 상세 예산을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맞는 입찰 견적을 제안하는 시공업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시공이 착수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t a detailed budget for each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can select a construction company that proposes a bidding estimate suitable for this, so that more economical and stable construction can be star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는 분류된 항목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로 시각화되어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가독성이 증대되어 사용자는 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construction cost is visualiz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infographics (information graphics) separated by different colors for each classified item, thereby increasing readability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view it. can be figured out a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에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의 특성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예산 내 효과적인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기능을 개시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unction of recommending an effective interior configuration within a budget input by a user in prepa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are less specialized in interior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견적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가 표시되는 제 2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세보기 메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시공사례의 상세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업체찾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estim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econd area in which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selected construction case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detailed information of a construction case provided in response to a detailed view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usiness fin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 “terminal” referred to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server or oth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i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VR HMD (for example,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etc. can include Here, the VR HMD is for PC (for example,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etc.), for mobile (for example, GearVR, DayDream, Stormtrooper, Google Cardboard, etc.), and for console (PSVR) and It includes all independently implemented Stand Alone models (eg, Deepon, PICO, etc.). A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ot only a smart phone, tablet PC, and wearable device, but also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and ultrasonic waves (Ultrasonic). , various devic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infrared, Wi-Fi, and LiFi. In addition,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including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iFi,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서버(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30)을 포함하며, 서버(10)와 각 단말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 a user terminal 20, and a plurality of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s 3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erver 10. Including, the server 10 and each terminal can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서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The server 10 includes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제공하고, UI 내 사용자 단말(20)의 요청 사항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 provides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to the user terminal 20, performs a process for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20 within the UI, and sends the result to the user. It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20.

또한, 서버(10)는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시공업체 단말(30)로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들을 해당 시공업체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erver 10 provides an interface for uploading construction subject information and quotation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to the constructor terminal 30, and construction subject information and quot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stored by matching them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ompany.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수행되는 과정 상 발생하는 각 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시공업체 단말(30)들로부터 수집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통해 구축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The server 10 includes a database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performed 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is a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30 It includes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built through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e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20) 및 시공업체 단말(30)은 사용자 및 시공업체의 관리자가 소유한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 된 컴퓨팅장치로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거나 모바일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30 are devices owned by the user and the manager of the construction company or a computing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have a web browser installed or for mobile use. An operating system may be installed.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버(10)가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 an embodiment of a process performed by the server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3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한다. 즉, 서버(10)에 등록된 시공업체는 인테리어 시공을 완료한 후, 진행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각 종 자료들을 종합하여 서버(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server 10 collects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has been completed from the plurality of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s 30. That is, after complet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mpany registered in the server 10 may collect and upload various materials representing progress and results to the server 10 .

여기서 시공대상정보는, 시공사례 별로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인테리어 전/후) 및 주소 정보와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과 같은 일반 금액정보 및 공사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공업체 정보를 등록하거나 갱신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전에 수행되었던 대표시공사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시공대상정보에 대해 상기 나열된 구성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target, housing type, floor plan, photo (before/after interior) and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case, and general price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eriod information such as total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have. In addi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or updated, which can include information on representative construction cases that have been previously perform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listed above for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업체가 업로드 하는 견적정보는, 시공사례 별 상세견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상세견적양식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세견적양식에 따라 입력된 견적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e information upload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means a detailed estimate for each construction case, and may be specifically input based on a preset detailed estimate form. 3, an example showing a part of the quotation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detailed quotation form is shown.

먼저, 견적정보는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될 수 있다. 도 3 상단을 참조하면, '침실' 내지 '다용도실' 별로 시공 과정에서 소요된 금액이 구분되어 입력된 상태를 볼 수 있다.First, in the estimate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s can be classified for each small space inside the construction target for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Referring to the upper part of FIG. 3 , it is possible to see the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money spen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divided and entered for each 'bedroom' or 'multipurpose room'.

또한, 소공간 별 시공비용은, 공정 별로 비목, 공사내용, 품목정보, 단가, 사용량, 사용금액 및 경비 등의 기 설정된 항목에 따른 시공비(소계)로 더 구체화되어 상세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 내 도배공사의 공정 중, 단가 15,300원의 피그먼트-민트 실크 벽지를 79.2제곱미터만큼 사용하여 73,400원이 소요되었고, 경비가 12,000원이 들어 총 85,440원의 자재비(비목)가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인건비의 비목인 경우, 실크 벽지를 사용하는 도배공사의 공정 중, 급여 50,000원의 인부 2명이 참여하였고, 경비 10,000원이 들어 총 110,000원이 소요되었다는 정보가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can be further specified as a construction cost (subtotal) according to predetermined items such as cost items, construction details, item information, unit price, usage amount, usage amount and expenses for each process and can be entered in detai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during the wallpapering process in the bedroom, 73,400 won was spent using 79.2 square meters of pigment-mint silk wallpaper at a unit price of 15,300 won, and the cost was 12,000 won, resulting in a total of 85,440 won. Information that the original material cost (cost item) has occurre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 .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labor cost, information that two workers with a salary of 50,000 won participated in the papering process using silk wallpaper, and a total cost of 110,000 won with an expense of 10,000 w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 have.

이와 같이, 소공간 별 시공비용은, 각 소공간에 대하여 수행된 인테리어의 공정 별로 그 금액이 더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각 공정은 그 비목 또는 공사내용 별로 복수의 금액으로 더 분류되어 업로드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may b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ior process performed for each small space. In addition, each process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amounts for each cost item or construction content and uploaded.

이어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별로 수집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토대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시공사례 별로 공간을 할당하여 시공대상정보와 견적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업로드한 시공업체의 식별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시공업체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에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내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정확한 시공사례들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rver 10 builds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based on the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constru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10 allocates space for each construction case, stores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and manages the space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by matching it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ploaded construc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tract accurate construction case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 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later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견적정보는 기 설정된 상세견적양식에 따라 시공업체 단말(30)로부터 업로드 되므로, 서버(10)는 이를 토대로 시공사례마다 소공간 별, 비목 별로 분류된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공사례에서 인테리어가 진행된 소공간이 주방, 거실 및 침실이고, 서버(10)가 각 소공간 별 시공비용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 각각 3개, 5개 및 2개의 자재비 금액이 발견되었다면, 이들을 모두 추출한 후, 10개의 금액을 합산한 결과를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자재비 비목의 통계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stimate information is uploaded from the constructor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t detailed estimate form, the server 10 provides statistical information on construction costs classified by small space and cost item for each construction case based on this.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in a specific case of construction, the small spaces where the interior was performed are a kitchen, a living room, and a bedroom, and as a result of the server 10 searching for a construction cost table for each small space, 3, 5, and 2 material cost amounts, respectively. If found, after extracting all of them, the result of summing up the 10 amounts can be determined as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material cost item for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한편, 소공간 별, 비목 별 분류 이외에도, 서버(10)는 업로드된 견적정보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공간 별로 도배공사에 대한 금액만을 추출하여, 도배공사에 대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공정 별로 시공비용을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자재비 비목에 대한 모든 금액을 추출한 후, 이를 기 설정된 단가 범위(예를 들어, 10,000원 이하/10,000-20,000원/20,000원 이상)로 분류하는 등의 비목 별 단가에 대한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classification by small space and cost item, the server 10 may classify the uploaded estimate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for the wallpapering work by extracting only the price for the papering work for each small space. That is, construction costs can be classified by process. Alternatively, after extracting all amounts for material cost item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statistical information on unit prices for each expense item, such as classifying them into a preset unit price range (for example, 10,000 won or less / 10,000-20,000 won / 20,000 won or more). may be

추가 실시예로, 서버(10)는 시공업체마다 매칭된 시공사례를 통합하여, 시공업체 별 기 설정된 기준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이란 시공사례 별 통계정보와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으며, 소공간 별, 비목 별, 공정 별 등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가 3개의 시공사례에 대한 견적정보를 업로드 하였다면, 각 시공사례 내 침실에 대한 시공비용을 추출하고, 이들을 각각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예로, 1제곱미터 당 시공비)로 변경한 후, 변경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에 대한 평균치를 구함으로써, A업체가 침실에 대해 수행한 인테리어 시공의 평균 시공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소공간에 대해 수행하여 A업체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integrate construction cases matched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to calculat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Here, the preset criteria may be as diverse as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case, and may include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classified by small space, cost item, and process. For example, if company A uploads estimate information for three construction cases, the construction cost for the bedroom in each construction case is extracted and converted to the construction cost per preset area unit (eg, construction cost per square meter). After that, by find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nstruction cost per changed area unit, the average construction cost of the interior construction performed by Company A for the bedroom can be calculated. By performing this process for all small spac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small space of Company A can be generated.

이어지는 추가 실시예로, 서버(10)는 등록된 모든 시공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란, 후술할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내 표시되는 지도에 기초한 것으로서, 지도 내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비용 통계정보마다 업체 별로 분류된 것이다. 만약, 지역 내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수집한 시공사례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평균 시공비용 산출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역 별 통계가 화면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소공간 별, 비목 별로 시공업체마다 얼마의 비용이 소요되었는지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으며, 업체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at follows, the server 10 may calculat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argeting all registered construction companies. Here,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by region is based on a map displayed 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classified by company for each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If there are two or more construction cases collected from one company in the region, the averag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may be first performed for the corresponding company. When these regional statistics are expos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compare at a glance how much cost each construction company has spent by small space and cost item, and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 compan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시공비용의 분류범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통계자료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 determines the classification range of construction costs using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rough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and immediately provides statistical data accordingly to the user. can provid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20에서,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 인테리어 정보제공UI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Referring back to FIG. 2 , in step S220 , the server 10 provides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to the user terminal 20 .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100)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200)에 해당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210)를 표시한다. 즉,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집된 시공사례 중 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대응하는 시공사례를 추출하여 리스트 형식으로 제 2영역(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displays a map on the first area 100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a construction example list 210 within the corresponding map on the second area 200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server 10 may extract construction cases corresponding to regions displayed on the map from among the collected construction cases based on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display them through the second area 200 in the form of a list.

여기서 지도는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의 GPS정보 등을 확인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실제 인테리어 시공을 진행할 공간이 기준이 되어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진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가 제 1영역(100)에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map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server 10 confirming the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or the region input by the user. That is, a map corresponding to a region having a preset radius may be implemented in the first region 100 based on a space where an actual interior construction is to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영역(100) 내 사용자 단말(20)의 입력에 따라 지도의 축적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영역(100) 내 임의의 영역에서 스크롤 또는 터치 입력이 수행되면, 해당 입력에 따라 지도에 표시되는 지역의 범위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는, 제 1영역(100) 내 일 영역에 표시된 지역 입력창에 사용자는 행정구역을 선택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행정구역의 최종 단위(시·도/시·군·구/읍·면·동)에 따라 지도의 축적은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ale of the map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within the first area 100 . For example, if a scroll or touch input is performed in an arbitrary area within the first area 100, the area displayed on the map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input. Alternatively,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region input window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first area 100, and the final unit of the input administrative district (city/do/si/gun/gu/eup/myeon/ ), the scale of the map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영역(100)의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는 기 설정된 플래그(101)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공 이력이 있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set flag 101 is display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example list 210 in the map of the first area 100 .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location where the construction history is located.

여기서 플래그(101)는 지도의 축적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가 읍·면·동 단위의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더 하위의 행정구역으로 확대될 수 없는 등 그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플래그(101)는 하나의 시공사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래그(101)에는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flag 101 may have different information display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map. For example, if the accumulation is less than a preset value, such as that the map cannot be expanded to a lower administrative district by displaying an area in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e flag 101 indicates one construction case. can The flag 101 may display equilibrium and total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of a construction target for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반면, 지도가 시·군·구 단위 이상의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더 하위의 행정구역으로 확대될 수 있는 등 그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지도에는 표시된 지역 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이 표시되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래그(101)는 해당하는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사례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플래그(101)는 이들을 총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행정구역명 및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cumul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such as by displaying an area larger than the city/gun/gu unit, such that it can be expanded to lower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map display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cluded in the displayed area, and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A flag 101 may be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case exists. In this case, the flag 101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construction cases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fore, the flag 101 may display th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o collectively represent them and the average value of construction costs per pyeong for all construction cases.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플래그(101)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0)는, 제 1영역(100)을 선택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제 2영역(200)은 변경된 지도 내의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화면의 처음 상태가, 제 1영역(100)은 강남구를 나타낸 지도이고, 제 2영역(200)은 강남구에서 발생한 시공사례가 리스트로 표시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 1영역(100)에는 강남구에 포함된 동단위의 행정구역이 표시되며, 이 중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에는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중 서초동에 대응하는 플래그(101)를 클릭하거나 터치한 경우, 제 1영역(100)은 축적이 감소하여 서초동을 나타내는 지도로 확대되며,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 표시된 시공사례 중 서초동에 대응하는 시공사례만을 추출하여 축소된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초동으로 변경된 제 1영역(100)의 지도에는 시공사례 각각에 대응하는 플래그(101)가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cale of the ma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when the user terminal 20 selects and inputs one of the flags 101, the server 10 in response to this selects the first area 100 ) is changed to a map correspon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the selected input flag, and the second area 200 is changed to a list of construction examples in the changed map.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state of the user's screen is that the first area 100 is a map showing Gangnam-gu, and the second area 200 is a list of construction cases that occurred in Gangnam-gu.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dministrative districts of dong units included in Gangnam-gu are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100, and flags 101 may be displayed i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which construction cases exist. When the user clicks or touches the flag 101 corresponding to Seocho-dong, the scale of the first area 100 is reduced and enlarged to a map showing Seocho-dong, and the server 10 displays the second area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duced list of construction cases by extracting only construction cases corresponding to Seocho-dong among the displayed construction cases. Of course, a flag 101 corresponding to each construction case may be configured on the map of the first area 100 changed to Seocho-do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제 2영역(200)을 통해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요약 정보를 확인하고,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시공사례를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10 provide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and equilibrium for each construction case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case list 210 through the second area 200. ,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target name, housing type, image and addres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check the summary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construction case to check the details.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30에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리스트(210)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in step S230, the server 10 responds to the user terminal 20's selection input for one construction case from the construction case list 210, and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상 화면 배치의 전환 없이,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서 시공사례 리스트(210)를 제거한 후,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제 1영역(100)에 표시된 플래그(101) 중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에 대응하는 플래그에는, 사용자에게 그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식별요소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만약, 시공사례의 선택 전, 제 1영역(100)에 표시된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라면, 해당 시공사례를 나타내는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적이 감소하는 프로세스가 선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10 removes the construction case list 210 from the second area 200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layout on the user terminal, and then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Provide information. Meanwhile, among the flags 101 displayed on the first region 100, a preset identification element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to the user may be further added to the fla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If the accumulation of the map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0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before selecting the construction case,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ccumulation of the map is preceded so that the flag 101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can be displayed. It can b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플래그(101)를 선택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시공사례의 위치를 중요시하는 사용자는, 지도를 통해 원하는 시공사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 2영역(200)만이 전환되어 선택된 플래그(101)에 대한 시공사례의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may select and input the flag 101 to check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That is, a user who values the location of a construction case can select a desired construction case through a map, and even in this case, only the second area 200 is converted to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ase for the selected flag 101. It can be.

이와 같이, 사용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고자 특정 시공사례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 2영역(200)에 표시되는 사항만이 해당 시공사례의 정보로 전환될 뿐, 사용자 단말(20) 화면 배치의 변경 없이, 제 1영역(100)은 지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공사례 리스트(210)나 플래그(101) 중 어느 하나를 보고 선택하더라도 시공대상의 위치와 상세내역을 한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테리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struction case to check specific information, only the item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00 are converted to the construction case information, and the screen layout of the user terminal 20 is changed. Without it, the first area 100 is maintained as a map.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and details of the construction target through one screen even when selecting one of the construction case list 210 or the flag 101, and thus can check the interior information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가 표시되는 제 2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second area in which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selected construction case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시공사례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시공대상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시공 전/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해당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들은 제 2영역(200) 내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ceiving a construction case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the server 10 searches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extracts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target, housing type, floor plan, photo (before/after construction) and address information,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construc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company that performed the construction cas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ist of representative construction cases, and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in the second area 200.

또한,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공사례의 견적정보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이 후 추출한 견적정보를 가공, 분석하여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212)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211)를 포함하는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하고, 제 2영역(200)을 통해 표시한다.In addition, the server 10 searches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extracts estim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0 then processes and analyzes the extracted estimate information to calculat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ncluding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212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211 for each cost item, and It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area 200.

예를 들어, 서버(10)는 견적정보를 기초로 전체 시공비용을 소공간 별 시공비용(212)으로 분류한다. 즉, 해당 시공대상의 공간별 공사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소공간은 시공대상의 내부를 용도에 따라 나눈 것으로, 주거용뿐만 아니라 사무용, 상업용 등 시공대상의 목적에 따라 소공간의 명칭은 다를 수 있으며, 시공업체 단말(30)에 의해 입력된 견적정보에 의해 그 구성이 결정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erver 10 classifie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the construction cost 212 for each small space based on the estimate information. That is,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pace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target is calculated. Here, the small spac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the name of the small spac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arget, such as not only residential but also office and commercial. Its composition is determined by

또한, 서버(10)는 견적정보를 기초로 전체 시공비용을 비목 별 시공비용(211)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비목은, 인테리어 시공을 하면서 들어가는 돈의 용도를 목적에 따라 나눈 항목으로서,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공업체 단말(30)에 의해 입력된 견적정보에 따라 비목의 구성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classifie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the construction cost 211 for each cost item based on the estimate information. Here, the cost item is an item that divides the use of money during interi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may include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s, construction management cost, and utility and miscellaneous expen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mposition of cost item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stimate information entered by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비용 통계정보(211, 212)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로 시각화되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목 별 시공비용(211)은 원형 그래프로, 소공간 별 시공비용(212)은 막대 그래프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로 분류된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그 액수에 따라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도 5를 통해 원형 또는 막대 그래프의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정보, 데이터를 온라인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면, 그 형태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211 and 212 may be visualized and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form of preset infographics. 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ruction cost 211 by cost item is displayed in a circular graph, and the construction cost 212 by small space is displayed in a bar graph. And, as shown in FIG. 5, each construction cost classified by cost item or small space may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In addition, the area occupied in the infographic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ch construction cost by cost item or small space. Of course, although the form of a circular or bar graph is exemplified through FIG. 5, the form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nformation and data are visually expressed online.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사용자가 합리적인 예산 측정과 효과적인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체가 아닌 일부 공간만의 인테리어를 원할 수 있는데, 제공되는 시공사례마다 소공간 별 소요된 금액을 살필 수 있으므로, 실익이 크다. 또한, 전체의 인테리어를 계획하였거나, 한정된 예산 속에서 어느 공간의 인테리어를 실시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사용자들은, 인포그래픽을 통해 소공간 별 시공금액의 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비목 별 시공금액 및 그 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공되는 시공비용 정보의 투명성이 보장되며, 이를 통해,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는 사용자는, 자재의 단가, 인부의 수 등 세부적인 내용도 고려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a user's reasonable budget measurement and effective interior planning. For example, a user may want interior design for only a part of the space, not the whole, but the cost of each small space can be checked for each construction case provided, which is of great practical benefit. In addition, users who have planned the entire interior or who are worried about which space to perform the interior within a limited budget can easily check the ratio of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through infographics, enabling a smoother decision. . In addition, since the construction cost and its ratio can be easily checked, the transparency of the provi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guaranteed, and through this, the user who sets up the interior plan can consider details such as the unit price of materials and the number of workers. have.

추가 실시예로서, 서버(10)는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시공사례를 수행한 시공업체의 평균 시공비용과 비교 분석한 정보를 제 2영역(200)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server 10 provides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with the average construction cost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at performed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to the second area ( 200) can be additionally displayed.

예를 들어, 서버(10)는 해당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시공대상정보에 포함되는 평당 시공비용들을 모두 추출하고, 추출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해당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견적정보를 모두 추출하고, 각 견적정보마다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한다. 이 후, 평형을 고려하여, 산출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기 설정된 면적단위(평당 또는 제곱미터당) 기준으로 변환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연산한다.For example, the server 10 may extract all construction costs per pyeong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uploaded by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ompany, and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extracted construction costs per pyeong. In addition, the server 10 extracts all quotation information uploaded by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ompany, and calculat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quotation information. Thereafter, considering equilibrium, after converting the calculate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nto a preset area unit (per pyeong or per square meter), an average value thereof is calculated.

이 후, 서버(10)는 연산된 평균값들과 선택된 시공사례의 시공비용간 비교정보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공업체의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과 시공사례의 평당 시공비용을 비교한다. 또한,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용 통계정보의 평균값과 해당 시공사례의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용 통계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정보는 시각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평균값들을 축으로 하고, 축을 기준으로 시공사례 시공비용의 양 또는 음의 편차를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10 displays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s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in the second area 200 .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of the contractor and the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of the construction case are compared. In addition, a comparison is performed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er preset area unit and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er preset area unit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This comparison information can be visualized and provided.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 displaying a positive or negative deviation of the construction costs of construction cases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s as an axis.

상기 추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한 시공사례가 시공비 참고의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업체의 평균 견적과 심한 편차를 보이는 경우, 해당 시공사례의 견적이 특별히 높거나 낮게 책정된 것으로 파악하고, 객관성이 낮은 자료로 배제할 수도 있다.Through the above additional embodimen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can be an objective index for reference of construction cost. For example, if there is a significant deviation from the average estimate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estimate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ase may be determined to be particularly high or low, and may be excluded as data with low objectivity.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서, 서버(10)는 선택된 시공사례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다른 시공사례들과의 시공비용 비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시공사례는 제 1영역(100)의 지도에 기반하는 것으로, 선택된 시공사례를 제외한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전체 시공사례들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추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버(10)는 다른 시공사례들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 또는 기 설정된 면적단위당 시공비용 통계정보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 후, 선택된 시공사례의 시공비용과 비교정보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산출한 평균값들을 축으로 하고, 축을 기준으로 양 또는 음의 편차를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provide construction cost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nd other construction cases within a preset distance. Here, other construction cases are based on the map of the first area 100, and may mean all construction cases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case list 210 excluding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s.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additional embodiment, the server 10 obtains an average value of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for different construction cases or an average value of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er predetermined area unit. After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00, and this is also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 displaying positive or negative deviations based on the axis with the calculated average values as the axis. It can be.

이러한 추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비교정보는, 사용자가 시공업체를 선정하는 자료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의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시공사례들을 열람하면, 해당 지역의 평균 견적보다 저렴한 견적을 제안했던 시공업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The comparison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additional embodiment can be used as one of the data for the user to select a construction company. That is, when viewing the construction cases included in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210 in a specific reg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a construction company that offered a lower estimate than the average estimate in the region.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영역(200) 내 상세보기 메뉴(213)를 통하여 선택한 시공사례에 대해 보다 상세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상세보기 메뉴(213)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user can check more detailed data on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through the detailed view menu 213 in the second area 200 . The server 10 ma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in response to an input to the detailed view menu 213 of the user terminal 2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세보기 메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시공사례의 상세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detailed information of a construction case provided in response to a detailed view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시공사례의 상세정보는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및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시공비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시공비용 중 각각의 시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의 수치가 더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detailed information on construction cases may includ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ncluding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cost item.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cost by item or small space may be displayed,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ratio of each construction cost out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may be further displayed.

또한, 시공사례의 상세정보는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는 복합적인 기준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는, 서버(10)가,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ase may include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214 for each space. The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214 for each space means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classified by a complex standard,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n the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214 for each space, after the server 10 classifie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each small space It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lassifying each construction cost into a construction cost by cost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 engineering and miscellaneous cost, and construction management cost.

추가 실시예로서,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제 2영역(200)을 통하여, 선택된 시공사례의 견적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필드값 입력을 통해 원하는 견적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항목이란, 시공업체 단말(30)로 제공되는 상세견적양식에 기초한 것으로, 소공간, 비목, 공정, 단가의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항목은 병렬적 관계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만을 입력할 수 있으며, 많은 항목에 대해 필드값을 입력할수록 보다 좁은 범위의 견적정보가 제공될 것이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may provide a quotation information search function of a selected construction case through the second area 200 . The user can request only desired quotation information by inputting field values for each preset item. For example, the preset item is based on a detailed estimate form provided to the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30, and may include a small space, cost item, process, range of unit pr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se items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and the user can input at least one, and as field values are input for many items, a narrower range of quotation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공간/비목/공정 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침실/자재/바닥공사의 필드값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10)는 업로드된 견적정보 중 이러한 선택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만을 추출하여 제 2영역(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중 2번행이 발췌되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침실의 바닥공사에 사용된 자재의 품목정보 및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공사례들을 선택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침실의 바닥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의 종류 및 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추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인테리어에 관한 세부적인 지식을 축적할 수 있으며, 이 후 입찰 요청이나 시공업체와의 협상을 수행할 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field value of bedroom/material/floor work corresponding to a small space/expense item/process item, the server 10 responds to this selection among the uploaded quot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only quot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area 200 . That is, row No. 2 of the table shown in FIG. 3 may be extracted and output to the screen.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item information and unit price of the materials used for the floor construction of the bedroom. In addition, by selecting other construction cases and performing the same proces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types and unit prices of materials used for floor construction in bedrooms. Therefore, through this additional embodiment, the user can accumulate detailed knowledge about the interior, and can occupy a more advantageous position when requesting a bid or negotiating with a construction company thereaf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may provide a business search fun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업체찾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usiness fin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영역(100) 내에 포함되는 업체찾기 메뉴를 클릭하거나 터치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와 같은 입력을 수신하고, 제 1영역(100)에 표시된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업체 리스트에는,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업체명, 대표이미지, 주소, 업체유형, 전문분야(예로, 주거용, 사무용 등), 시공지역 및 소비자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나열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r may click or touch a business search menu included in the first area 100 . The server 10 receives such an input and extracts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a history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0 . Then, a company list composed of the extracted construction companies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00 . In the company lis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bid construction cases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cases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may be further displayed. In addition,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at least one of the company name, representative image, address, business type, professional field (eg, residential, office, etc.), construction area, and consumer evaluation score may be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configurations. .

또한, 서버(10)는 제 1영역(100)에 표시되었던 기존의 플래그(10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위치에서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의 개수 정보를 표시한 플래그(103)로 변경할 수 있다. 서버(10)는 변경된 플래그(103)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 2영역(200)에 표시된 업체 리스트 중 선택 입력된 플래그(103)에 대응하는 시공업체만을 추출하여 제 2영역(200)에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sets the existing flag 101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0 to a flag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a history of construction cases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s shown in FIG. 103) can be changed. The server 10 extracts only the construction compan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lag 103 from the list of companie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for one of the changed flags 103. It can be displayed as a list in the second area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 구성된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제 2영역(200)에서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는,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에 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10 selects a company list in the second area 200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for one construction company from among the list of companies configured in the second area 200. After removal,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ractor is displayed. 7 shows an example of detailed information of a construction company.

도 7을 참조하면,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명, 대표이미지, 주소, 업체유형, 전문분야, 시공지역 등을 포함하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해당 시공업체의 평판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ompany includes the company's bibli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company name, representative image, address, company type, area of expertise, construction area, construction cases performed by the company, and consumer review information. can do. Here, the consumer review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as a rating for each item set in advance, and may include infographic information in a polygonal form with each item as a vertex.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reput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ompany.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계 S240에서, 인테리어 구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인테리어 시공을 실시하려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을 입력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를 수신하고 인테리어 구성을 사용자 단말(20)로 추천할 수 있는데,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이와 관련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 in th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240, an interior configuration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That is,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provides an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the housing type, size, and construction budget of the construction target for interior construction. The server 10 may receive this and recommend an interior configur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Hereinafter, an embodiment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술한 단계 S210에 대한 실시예로, 단계 S211에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미리 평면전개도를 확보하고,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들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First, as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tep S210, in step S211, the server 10 may secure a plan development view in advance using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may generate and store recommendation table values and interior priority values.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으로서, 서버(10)는, 시공업체 단말(30)들로부터 수신한 시공대상정보들에 기초하여, 특정 주택형태(아파트 등)마다 다양한 평형대의 평면전개도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주택형태 및 평형대에 대해서도 소공간의 구성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전개도가 수집될 수 있다.Plan develo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housing type or size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the server 10, based on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structor terminals 30, the specific housing type ( It is possible to collect plan development drawings of various scales for each apartment, etc.). In addition, a plurality of flat development drawing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of small spaces can be collected for the same house type and balance sheet.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천테이블값은 수집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들을 분석하여 가공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서버(10)는 전체 시공사례에 포함된, 모든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를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 내 견적정보들을 토대로 각각의 경우의 수에 대한 비용을 산출함으로써, 모든 조합 케이스에 대응하는 추천테이블값을 생성한다. 하나의 예로, '15제곱미터/도배공사/실크벽지/인부2명: 85000원' 이라는 추천테이블값이 생성될 수 있다.The recommended tabl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btained by analyzing and processing collected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and may refer to a table defining costs according to construction area, process type, material type, and number of workers. As an example, the server 10 extracts all construction areas, process types, material types, and the number of workers included in all construction case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number of all cases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construction area, type of process, type of material and number of workers, and calculating the cost for each case based on the estimate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ll combinations Create a recommended tabl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se. As an example, a recommendation table value of '15 square meters/wallpapering work/silk wallpaper/2 workers: 85,000 won'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의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정된 시공예산에 따라 먼저 실시해야 할 공정 또는 먼저 시공되어야 할 소공간에 대한 추천값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공예산 범위에 있어, '도배공사-바닥공사-타일-' 등의 공정 순서가 설정되거나, '거실-부엌-욕실-침실1-' 등의 소공간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The interior priority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mean a process priority matched for each preset construction budget range or a priority of a small space to be a construction target. That is, the server 10 may analyze a recommended value for a process to be performed first or a small space to be constructed first according to a limited construction budget based on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For example, in a specific construction budget range, a process sequence such as 'Paperwork-Floorwork-Tile-' may be set, or a small space sequence such as 'Living Room-Kitchen-Bathroom-Bedroom 1-' may be set. .

단계 S241에서, 사용자는 인테리어를 원하는 시공대상에 대한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을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해 입력한다.In step S241, the user inputs the housing type, floor plan, and construction budget for the construction target for which the interior is desired through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단계 S242에서, 서버(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때, 주택형태 및 평형이 입력되면, 소공간의 구성 및 구성된 소공간마다의 면적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전개도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각의 소공간 별로 면적을 산출한다.In step S242, the server 10 receives the user's input, and in response thereto,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pre-stored flat development views.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f the house type and equilibrium are input, a plurality of flat development views differing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mall spaces and the area of each configured small space can be extracted. Then, the server 10 calculates the area for each small space shown in the extracted planar development.

단계 S243에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의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시공예산 범위 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서버(10)는 입력된 시공예산에 해당하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추출하고, 먼저 시공되어야 할 공정 및 소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 단계에서 소공간 별로 면적이 결정되었으므로, 서버(10)는 결정된 면적과 시공예산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추천테이블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적합한 추천테이블값을 추출할 수 있다.In step S243, the server 10 determines a recommendation table value and an interior priority value within the construction budget range input from the us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ior priority value is set for each construction budget range, the server 10 extracts the interior prior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truction budget, and can identify the process and small space to be constructed first. . In addition, since the area is determined for each small space in the previous step, the server 10 may extract at least one suitable recommendation table value from among previously generated recommendation table values based on the determined area and construction budget.

단계 S244에서, 서버(10)는 산출된 소공간 별 면적과 추출된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따라 '거실: 30제곱미터, 부엌: 15제곱미터, 욕실: 10제곱미터, 침실: 20제곱미터'로 면적이 산출되었고, 입력된 시공예산에 따라, '거실-부엌-욕실-침실' 및 '도배공사-바닥공사-타일배치' 순으로 시공 순서가 추천되었으면, 추출된 추천테이블값에 따라 각 소공간마다의 시공비용이 책정되어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천테이블값을 통해 어떤 자재를 활용하여 몇 명의 인부로 시공되는 것이 적절한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시공예산이 크거나, 우선순위가 높은 공정 또는 소공간인 경우, 추천되는 자재는 고가의 자재세트로 구성될 수 있고, 반대인 경우, 상대적으로 저가의 자재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재세트는 서버(10)가 미리 파악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다.In step S244 , the server 10 generates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area of each small space, the extracted recommendation table value, and the interior priority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20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xtracted floor plan, the area was calculated as 'living room: 30 square meters, kitchen: 15 square meters, bathroom: 10 square meters, bedroom: 20 square meters', and according to the input construction budget, 'living room-kitchen-bathroom' - If the construction order is recommended in the order of 'bedroom' and 'paperwork-floor work-tile arrangement',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can be set and recommen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extracted recommendation table value. In addition, the user can determine which materials are used and how many workers are appropriate for construction through the recommended table values. For example, if the input construction budget is large, or if a process or small space has a high priority, the recommended materials may consist of an expensive material set, and in the opposite case, a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 set. can Here, the material set may be set by the server 10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인테리어 옵션을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인테리어 옵션은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기초로, '거실-부엌', '거실-침실' 과 같이 소공간을 결합한 시공공간 추천옵션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소공간 또는 전체 시공대상을 기준으로, 다양한 자재세트가 선정된, 자재 추천옵션을 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추천테이블값을 기초로, '거실-바닥시공', '침실-도배시공'과 같은 소공간 별 공정 추천옵션을 생성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시되는 추천옵션을 활용하여 가성비가 보장된 인테리어 시공계획을 세울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 may suggest various interior options while providing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Here, the interior options may include recommended options for each small space, each material type, and each process, but are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based on the interior priority value, it is possible to suggest construction space recommendation options that combine small spaces, such as 'living room-kitchen' and 'living room-bedroom'. Alternatively, based on a specific small space or the entire construction target, a material recommendation option in which various material sets are selected may be presented. Alternatively, process recommendation options for each small space such as 'living room-floor construction' and 'bedroom-papering construction' may be creat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interior priority value and the recommended table value. Users can use the suggested options to set up an interior construction plan that guarantees cost-effectiven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만을 입력하여도, 인테리어 구성에 대한 고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해 다수의 정보를 습득하였다 하더라도, 원래부터 인테리어 시공에 부지한 사용자가 대부분이므로, 본 인테리어 추천 기능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계획한 예산 대비, 보다 효과적인 인테리어 타입을 간편하게 추천 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dvanced information on the interior configuration even if the user inputs only the housing type, size, and construction budget. That is, even if a lot of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st of the users are originally based on interior construction, through the embodiment of this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the user can compare the planned budget, You can easily get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interior types.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시공업체 단말
10: server
20: user terminal
30: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Claims (14)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erformed by a server,
(a) collecting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from a plurality of contractor terminals and constructing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b) Interior information displaying a map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list of construction cases within the map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terminal; and
(c) Provides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construction case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doing;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includ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cost item,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정보는 상기 견적정보에 대응하는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되어 업로드되되,
각각의 소공간마다, 수행된 인테리어 공정 별로 시공비용이 더 분류되어 업로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stimate information is uploaded by classifying construction costs for each small space within the construction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 information,
For each small space, the construction cost is further classified and uploaded for each interior process performed,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지도 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기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되,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를 상기 플래그에 표시하고,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행정구역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되,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를 표시하며, 상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표시된 플래그에는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Display a preset flag at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If the scale of the map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 equilibrium and total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object is displayed on the flag,
If the scale of the map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s displayed on the map, but a flag is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construction case exists, and the entire construction is displayed on the flag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construction case exists. The average value of the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for the case is displayed,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 2영역을 통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Displaying the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size, construction period, and name of the construction target, housing type, image and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case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case list through the second area,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래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영역을 선택 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상기 제 2영역을 상기 변경된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scale of the ma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one of the flags of the user terminal, the first area is changed to a map corresponding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for the selected flag, and the second To change the area to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changed map,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제 2영역에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시공대상정보는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하거나,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After removing the construction case list from the second area,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e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target, housing type, floor plan, photograph and address information, tota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per pyeong, construction period information, and a list of representative construction cases of companies that have performed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classifying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construction costs by cost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material costs, labor costs, expenses, construction management costs, and labor and miscellaneous costs, or by classifying them into construction costs by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 표시되되,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의 액수에 따라 상기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s additionally displayed as visualiz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preset infographics,
Each construction cost by item or small space is classified in different colors,
The area occupied in the infographi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ch construction cost by item or small space,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세보기 메뉴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를 더 제공하되,
상기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테이블 형태의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In response to an input to the detailed view menu of the user terminal,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for each space is further provided,
The detailed estimate information for each space includes at least one of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 engineering and miscellaneous expense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cost for each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after classifying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to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small space of the construction target. It means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able calculated by further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cost by cost item,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후,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체찾기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표시하되, 상기 업체 리스트 내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b),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provides a business search function,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business finder function, after extracting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a history of construction cases in the map, a list of companies consisting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each construction company in the list is displayed. For each company,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bidding construction cases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cases is further displayed,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영역에서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construction company from the list of companies, after removing the company list from the second area,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ompan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company includes bibliographical matters of the company, construction cases performed by the company, and consumer review information,
The consumer review information is calculated as a rating for each item set in advance and includes infographic information in a polygonal form with each item as a vertex.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한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d) providing an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by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UI, and recommending an interior configura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housing type, size, and construction budget of a construction target through the interior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more,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 소공간 별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 추천테이블값,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상기 각 소공간 별 면적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는 것이고,
상기 추천테이블값은 상기 (a)단계를 통하여 수집된 후 가공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하며, 상기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step (d),
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tored flat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housing type, equilibrium and construction budget of the construction target, and calculating the area of each small space shown in the extracted plan development plans; and
Within the construction budget range input by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a recommendation table value, an interior priority value, and an area for each small space, and providing the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flat development plan is classified by housing type or floor plan of the construction target,
The recommended table value is processed after being collected through the step (a), and means a table specifying the cos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process type, material type, and number of workers, and the interior priority value is a preset construction value. This means the priority of the process matched by budget range or the priority of the small space to be the construction target,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추천정보는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옵션을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recommended option among recommended options for each small space, each material type, and each process,
How to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에 있어서,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
In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n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includes,
The interio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 collecting construction target information and estimat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ases in which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from a plurality of contractor terminals and constructing a construction case database;
(b) Interior information displaying a map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list of construction cases within the map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terminal; and
(c) providing construction objec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case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election input for one construction case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ase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from the construction case database and includes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small space or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for each cost item,
Serve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service.
KR1020210069818A 2021-05-31 2021-05-31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KR102607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en) 2021-05-31 2021-05-31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en) 2021-05-31 2021-05-31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03A true KR20220162203A (en) 2022-12-08
KR102607002B1 KR102607002B1 (en) 2023-11-30

Family

ID=8443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en) 2021-05-31 2021-05-31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0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67A (en) * 2007-05-30 2009-01-09 박동원 System for connecting direct transaction of execution building using internet
KR20100104087A (en) * 2009-03-16 2010-09-29 (주)케이엔케이아트프라자 3d preview and automatic estimation system for hoem interior
KR102037829B1 (en)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iton inmformation based on scenario
KR102073983B1 (en) * 2019-07-21 2020-02-05 주식회사 메이크썸노이즈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tion case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electronic map and system thereof
KR20200028734A (en) * 2018-09-07 2020-03-17 정의상 Review management system based on NFC technolog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67A (en) * 2007-05-30 2009-01-09 박동원 System for connecting direct transaction of execution building using internet
KR20100104087A (en) * 2009-03-16 2010-09-29 (주)케이엔케이아트프라자 3d preview and automatic estimation system for hoem interior
KR20200028734A (en) * 2018-09-07 2020-03-17 정의상 Review management system based on NFC technology
KR102037829B1 (en)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iton inmformation based on scenario
KR102073983B1 (en) * 2019-07-21 2020-02-05 주식회사 메이크썸노이즈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tion case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electronic map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002B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3438B2 (en) Energy consumption analysis using node similarity
Pettit et al. A new toolkit for land value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US20240127136A1 (en) Wait Time Prediction
US97858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workforce management system
CN110619553B (en)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30019629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nalysis service about location requirements and trade area according to types of real property
CN112862525A (en) Shop site selection data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233316A (en) Products & services are utilized to comment on
US20160275216A1 (en) 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KR102505215B1 (en) Control method of server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mage of facility during video call, and system
JP2016110278A (en) Property evalu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property evaluation method
US20200134748A1 (en) Residential real estate layout data collection, search, rating and ranking system and method
AU2014372321A1 (en) Fuel price data generation
Feizizadeh et al. Urban restaurants and online food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patial and socio-demographic analysis
US20100191611A1 (en) Portable electronic construction estimator
CN111199409A (en) Cos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specific product and electronic device
JP6648889B2 (en) Real estate property evaluation support device, real estate property evaluation support program, real estate property introduction device, and real estate property introduction program
KR1026070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KR1026326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match real estate agents and users for mediation service of real estate transaction
CN112037359B (en) Shop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medium, server and system
CN112989227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arget address of interested object
CN114547179A (en) Asset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004661A (en) Stor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8091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201812685A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browse real-estate property sales data in a list mode or a map mode after the user inputs required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