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003A -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003A
KR20220162003A KR1020210070475A KR20210070475A KR20220162003A KR 20220162003 A KR20220162003 A KR 20220162003A KR 1020210070475 A KR1020210070475 A KR 1020210070475A KR 20210070475 A KR20210070475 A KR 20210070475A KR 20220162003 A KR20220162003 A KR 2022016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ll
facility
modular
modula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개러지키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개러지키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개러지키친
Priority to KR102021007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003A/en
Publication of KR2022016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0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facilities, such as a kitche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modular faciliti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unit blocks,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in which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unit blocks are open and protrusion parts for fixing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unit blocks are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unit blocks. The unit blocks form a base part of the modular facilities and a wall extending from the base part and sta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Description

모듈화 시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Modular faciliti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m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개시서는 모듈화 시설, 예컨대, 주방과 같은 시설을 모듈식으로 구성한 것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은 단위 블록들로서,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은 개방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들은 상기 모듈화 시설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로 쌓아 올려진 벽체를 형성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dular construction of a modular facility, such as a kitche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modularization fac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eing open and a protrusion for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as unit blocks. The unit blocks form a base of the modular facility, and a wall extending from the base and sta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외식업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매년 9% 이상 성장하며 창업자들에게 진입장벽이 가장 낮은 산업군으로서 그 인기를 누리고 있다. The restaurant industry is currently growing by more than 9% every year in Korea and is enjoying its popularity as an industry with the lowest entry barrier for entrepreneurs.

그런데 외식업의 인테리어 공사의 비용은 일반 인테리어 공사에 비해 2배 더 비싼 것이 현실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5평 기준 방수 주방의 공사비는 대략 1,700만원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방수 주방의 공사 기간은 적어도 30일가량이 소요되며, 원상복구의 철거에는 최소 1,000만원의 비용이 들고, 그 재활용도 불가능하다. 방수 주방을 이동시키는 것도 물론 불가능하다. 외식업의 폐업 시에 주방 시설은 일반 인테리어에 비해 3배가량의 철거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그 주방 시설이 위치했던 건물에 균열 등의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cost of interior work in the restaurant industry is twice as expensive as that of general interior work. Currently, the construction cost of a waterproof kitchen based on 5 pyeong in Korea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7 million w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such a waterproof kitchen takes at least 30 days, and it costs at least 10 million won to demolish the original condition, and it is impossible to recycle it. Moving a waterproof kitchen is, of course, impossible. In case of closure of the restaurant business, kitchen facilities not only cost about three times as much to dismantle as compared to general interiors, but also cause damage such as cracks to the building where the kitchen facilities were located.

요컨대, 종래의 주방 시설은 비싸고, 그 제작은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비효율적이며 주방 시설을 구성했던 재료들은 건축 폐기물이 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환경 훼손으로 귀결되고 있다. In short, the conventional kitchen facilities are expensive, their production takes a long time and is inefficient, and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kitchen facilities become construction waste and cannot be recycled, resulting in environmental damage.

30년 전과 현재의 주방 시설의 제작 방법에 큰 변화가 없었던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As there has been no major change in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kitchen facilities between 30 years ago and today, improvement is needed.

KRKR 10-161512910-1615129 BB

본 발명은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 및 재활용에 적합화된 모듈화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주방 시설과 같은 시설을 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듈화된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되, 양생 공사 및 방수 공사를 생략하거나 단축시킴으로써 모듈화 시설의 신속한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odular facilities that are standardized and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recycling, so that facilities such as conventional kitchen facilities can be manufactured more cheaply and quickl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hod of assembling modularized components, b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rapid production of modular facilities by omitting or shortening curing work and waterproofing 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realizing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모듈화 시설이 제공되는바, 그 모듈화 시설은, 단위 블록들로서,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은 개방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들은 상기 모듈화 시설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로 쌓아 올려진 벽체를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ization facility is provided, wherein the modularization facility includes unit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eing open and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formed with protrusions, and the unit blocks form a base of the modular facility and a wall extending from the base and sta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저판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들의 최하단면이 상기 단위 기저판의 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된다.Preferably,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 protrusion for fixing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ase plate, thereby forming the unit of the base part. The lowermost surfaces of the blocks are fixed by the protrusions of the unit base plate.

유리하게, 상기 기저부는 2개 이상의 층으로 쌓아 올린 단위 블록들로써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단위 블록의 상기 양 측면에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가 형성된다.Advantageously, the base portion is formed of unit blocks stacked in two or more layers, and passage of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which is a part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portion, Through-holes or notches are formed in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unit block so as to be possible.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제1 단위 블록들을 관통하는 제1 굵기의 배수관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includes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penetrating the first unit blocks.

유리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된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면은 방수재로 코팅된다.Advantageously,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late fix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and the at least one surface is coated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모듈화 시설 내에 안착되는 요수시설에 대한 급수를 위하여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요수시설까지 연장되는 제2 굵기를 가진 급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모듈화 시설 내부에 존재하는 부분은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된다.Preferably,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second thickness extending to the water facility through the wall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facility installed in the modular facility, As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part existing inside the modular facility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일부인 제2 단위 블록의 일 측면에 콘센트 단자의 안착이 가능한 제1 측면 함입부가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a first side recess portion capable of seating an outlet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a second unit block that is a part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wall.

유리하게, 상기 제2 단위 블록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단위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콘센트 단자에 연결되는 전기선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측면 함입부가 형성된다.Advantageously, a second side recess portion for accommodating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outlet terminal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t least one third unit block adjacent to the second unit block.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며 분전반을 포함하는 분전함, 상기 분전함으로부터 상기 콘센트 단자까지 연장되는 제1 전기선, 및 상기 제1 전기선을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3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odular facility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and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to surround a distribution box including a distribution board, a first electric cable extending from the distribution box to the outlet terminal, and the first electric cable A tube made of a non-heating material having a third thickness is further includ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화 시설은, 외부 간선으로부터 상기 분전함까지 연장되는 제2 전기선, 및 상기 제2 전기선을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4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을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includes a second electric cable extending from an external trunk line to the distribution box, and a pipe of non-heating material having a fourth thicknes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ic cable .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모듈화 시설을 제작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을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단위 기저판 위에 단위 블록들을 2개 이상의 층으로 쌓아 올려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은 개방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 기저판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들의 최하단면이 상기 단위 기저판의 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사이에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을 설치하거나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사이에 비어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저부를 포위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소정의 높이로 쌓아 올려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dular facility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a) arranging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on a floor; (b) forming a base by stacking unit blocks in two or more layers on the unit base plate,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eing open, and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forming a protrusion and fixi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unit block to an upper surface of the unit base plate, so that the lowermost surfaces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are fixed by the protrusion of the unit base plate; (c) installing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between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or forming an empty drainage channel between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and (d) forming a wall by stacking the unit blocks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surround the base portion.

유리하게, 상기 (c) 단계의 배수관 설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단위 블록의 상기 양 측면에는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다.Advantageously, in the installation of the drain pipe in step (c), the drain pipe having the first thickness passes throug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which are some of the blocks forming the base, facing each other. A through hole or notch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 보조판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판이 고정된 후, 방수재로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d) comprises: fixing an auxiliary plate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and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fix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보조판이 고정된 후, 상기 보조판에 대한 타공 및 체결구로써 적어도 하나의 주방용 설비를 상기 보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step (d) further includes,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fixed, fixing at least one kitchen utensil to the auxiliary plate using a hole and a fastener for the auxiliary plate.

유리하게, 상기 방법은, 제2 굵기를 가진 급수관을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nstalling and fixing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second thickness to the wall.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제2 전기선을 통하여 외부 간선에 연결되는 분전함, 상기 분전함으로부터 상기 벽체에 형성된 콘센트 단자에 이르는 제1 전기선, 및 상기 콘센트 단자를 상기 벽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installing a distribution box connected to an external main line through a second electric cable, a first electric cable extending from the distribution box to an outlet terminal formed on the wall, and installing the outlet terminal on the wall.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을 통하여 모듈화 시설을 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인건비를 낮추어 전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ufactured cheaper and faster than modular facilities through assembly.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lowering the labor cost, and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erio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과 이동이 가능한 모듈화 시설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모듈화 시설은 철거 이후라도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modular facility that can be recycled and moved. For example, a modular facility can be moved to a new location and re-installed even after demoli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을 제작하는 작업의 난이도가 낮아지면서도 시간과 공간에 관한 까다로운 조건 없이 기능적으로 완벽한 모듈화 시설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functionally perfect modular facility can be made without demanding conditions regarding time and space while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the facility is lower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에 이르는 추가적인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일 예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단위 블록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에 이용될 수 있는 단위 블록의 일 실시 예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일 실시 예에서 기저부 및 벽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기저부를 덮을 수 있는 방수 타일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기저부 및 벽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벽체에 고정되는 보조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급수관 및 전기선의 예시적인 배치를 그 모듈화 시설의 벽체 내측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서에 따라 모듈화 시설을 제작하는 방법(이하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이라 함)의 각 단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us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a par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dinary technicians”) Other drawings may b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se drawings without additional effort leading to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various unit blocks that can be used in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and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respectively, of an embodiment of a unit block that can be used in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ase and a wall in an embodiment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showing waterproof tiles that can cover the base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by way of example.
6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ase and a wall in another embodiment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plate fixed to a wall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by way of exampl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pipe and an electric wire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modular facility.
9 is a flowchart conceptually showing each step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dular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make the objects, technical solution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d 'comprise' and variations thereof are not intended to exclude other technical features, additions, components or steps. 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e.g.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pp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part from this description and in part from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examples and drawings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terms referred to in the singular encompas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일 예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단위 블록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various unit blocks that may be used in the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모듈화 시설(1000)은, 다수의 단위 블록(200)들을 포함하는데, 단위 블록(200)은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기둥 형상, 하나의 모서리가 둥글게 된 직사각기둥 형상 또는 사분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the modularization facility 100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200, which, as exemplarily shown in FIG. 2, have a rectangular prism shape and one corner rounded. I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rism shape or a quadrant prism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에 이용될 수 있는 단위 블록의 일 실시 예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and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respectively, of an embodiment of a unit block that can be used in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단위 블록(200)의 하단면(210)은 개방되고, 단위 블록(200)의 상단면(220)에는 다른 단위 블록(200)의 하단면(210)을 고정시키는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개방된 하단면(210)은 돌출부(222)를 고정시키기에 유리하도록 돌출부(222)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3A and 3B,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unit block 200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210 of another unit block 20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220 of the unit block 200. A protrusion 222 is formed. The open bottom surface 210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engaging the protrusion 222 to advantageously secure the protrusion 222 .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일 실시 예에서 기저부 및 벽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적 사시도이다.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ase and a wall in an embodiment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이 단위 블록(200)들은 모듈화 시설(1000)의 기저부(1100), 및 기저부(1100)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h)로 쌓아 올려진 벽체(1200)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4 , these unit blocks 200 form a base 1100 of a modular facility 1000 and a wall 1200 extending from the base 1100 and sta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h.

모듈화 시설(1000)은, 기저부(1100)의 하면(1110)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1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단위 기저판(1120)의 상단면(1122)에 단위 블록(200)의 하단면(210)을 고정시키는 돌출부(1124)가 형성됨으로써, 기저부(1100)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들의 최하단면(1110)이 단위 기저판(1120)의 돌출부(112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modular facility 10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1120 on the lower surface 1110 of the base part 1100, and the unit block 200 on the upper surface 1122 of the unit base plate 1120. Since the protrusion 1124 fixing the lower surface 210 is formed, the lowermost surface 1110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portion 1100 can be fixed by the protrusion 1124 of the unit base plate 1120.

예를 들어, 단위 기저판(1120)은 3000 mm × 6000 mm의 치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저부(1100)의 상면에는 돌출부(222)를 덮는 방수 타일(1130a, 1130b)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nit base plate 1120 may have a dimension of 3000 mm × 600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exemplarily shown in FIG. 5 , waterproof tiles 1130a and 1130b covering the protruding portion 2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0 .

기저부(1100)는 2개 이상의 층으로 쌓아 올린 단위 블록(200)들로써 형성될 수 있고, 기저부(1100)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200)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200a)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230)에 제1 굵기(d1)를 가진 배수관(1140)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제1 단위 블록(200a)의 양 측면(230)에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24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육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저부(1100)의 상면 중 일부(1150)는 단위 블록(200)이 채워지지 않은 채로 노출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100 may be formed of unit blocks 200 stacked in two or more layers, and the amount of first unit blocks 200a, which are some of the unit blocks 200 forming the base portion 1100,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rough holes or notches 24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230 of the first unit block 200a so that the drain pipe 1140 having the first thickness d1 can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230. can A portion 115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0 may be exposed while the unit block 200 is not filled so that a drainage gut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모듈화 시설(1000)은, 제1 단위 블록(200a)들을 관통하는 제1 굵기(d1)의 배수관(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굵기(d1)는 예를 들어 60mm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odular facility 100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ipe 1140 having a first thickness d1 penetrating the first unit blocks 200a. The first thickness d1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diameter of 6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기저부 및 벽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적 사시도이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배수관(1140)의 대안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1100)에 배수로(114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6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ase and a wall in another embodiment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s an alternative to the drain pipe 1140 shown in FIG. 4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벽체에 고정되는 보조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plate fixed to a wall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by way of example.

도 7을 참조하면, 모듈화 시설(1000)은, 벽체(12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벽체(1200)의 내측면(1210)에 고정된 보조판(1220)을 더 포함하고, 그 적어도 일면은 방수 페인트와 같은 방수재로 코팅될 수 있다. 보조판(1220)에는 벽체(1200)의 단위 블록(2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1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벽체의 단위 블록(200)은 홈(1222)에 끼워맞춰지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modular facility 100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late 1220 fix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1200, for example, an inner surface 1210 of the wall 1200, and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is painted with waterproof paint. It can be coated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such as A groove 1222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plate 1220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unit block 200 of the wall 1200, and the unit block 200 of the wall is fitted into the groove 1222. A second protrusion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에서 내측면(1210)은 모듈화 시설(100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지칭한다.Here, the inner surface 1210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modular facility 1000 .

또한, 보조판(1220)은 금속판, 예컨대, 알루미늄 강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1220 may be a metal plate, for example, an aluminum steel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의 급수관 및 전기선의 예시적인 배치를 그 모듈화 시설의 벽체 내측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pipe and an electric wire of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modular facility.

도 8을 참조하면, 모듈화 시설(1000)은, 그 모듈화 시설(1000) 내에 안착되는 요수시설(미도시)에 대한 급수를 위하여 벽체(1200)를 관통하여 상기 요수시설까지 연장되는 제2 굵기(d2)를 가진 급수관(13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급수관(1300)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모듈화 시설 내부에 존재하는 부분(1310)은 벽체(1200)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굵기(d2)는 예를 들어 50mm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8, the modular facility 1000 has a second thickness extending to the water facility through the wall 120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facility (not shown) seated in the modular facility 1000 (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300 having d2), and as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1300, the part 1310 present inside the modular facility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1200. The second thickness d2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diameter of 5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에서 요수시설은 모듈화 시설(1000) 내에 급수가 필요한 장치, 기기, 장비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예컨대, 싱크대, 수도꼭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ater supply facility is a term referring to devices, devices, equipment, etc. that require water supply in the modular facility 100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ink, a faucet,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는, 벽체(1200)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200)들 중 일부인 제2 단위 블록(200b)의 일 측면(232)에 콘센트 단자(252)의 안착이 가능한 제1 측면 함입부(250)가 형성되는바, 도 4 및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recess 250 where the outlet terminal 252 can be seated on one side surface 232 of the second unit block 200b, which is a part of the unit blocks 200 forming the wall 1200. ) is formed, as exemplarily shown in FIGS. 4 and 8 .

여기에서, 제2 단위 블록(200b)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단위 블록(200c)의 측면(234)에는 콘센트 단자(252)에 연결되는 전기선(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측면 함입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surface 234 of at least one third unit block 200c adjacent to the second unit block 200b has a second side depression for accommodating an electric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let terminal 252. (260) may be formed.

도 8에 예시된 이 실시 예에서, 모듈화 시설(1000)은, 벽체(1200)에 설치 및 고정되며 분전반(미도시)을 포함하는 분전함(1400), 분전함(1400)으로부터 콘센트 단자(252)까지 연장되는 제1 전기선(1520; 미도시), 및 제1 전기선(1520)을 둘러싸기 위하여 벽체(1200)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3 굵기(d3)의 비전열 소재의 관(1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1500)은 관리 및 수선이 용이하도록 외부 노출형일 수 있다. 제3 굵기(d3)는 예를 들어 30mm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the modular facility 1000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wall 1200 and includes a distribution box 1400 including a distribution board (not shown), from the distribution box 1400 to the outlet terminal 252. An extended first electric wire 1520 (not shown), and a pipe 1500 made of non-heating material having a third thickness d3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1200 to surround the first electric wire 1520. can do. Here, the tube 15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repair. The third thickness d3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diameter of 3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더 구체적으로, 모듈화 시설(1000)은, 외부 간선(미도시)으로부터 분전함(1400)까지 연장되는 제2 전기선(1620; 미도시), 및 제2 전기선(1620)을 둘러싸기 위하여 벽체(1000)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4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1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굵기(d4)는 예를 들어 100mm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modular facility 1000 includes a second electric wire 1620 (not shown) extending from an external trunk line (not shown) to the distribution box 1400, and a wall 1000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ic wire 1620. It may further include a tube 1600 of a non-heating material having a fourth thickness installed and fixed thereto. The fourth thickness d4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diameter of 10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의 각 단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conceptually showing each step of a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1120)을 모듈화 시설(1000)이 놓일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100)로 시작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starts with arranging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1120 on the floor where the modular facility 1000 is to be placed (S100).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에 따르면, 단계(S100) 다음, 단위 기저판(1120) 위에 단위 블록(200)들을 2개 이상 층으로 쌓아 올려 기저부(1100)를 형성한다(S200). 이때, 기저부(1100)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200)들의 최하단면(200')이 단위 기저판(1120)의 돌출부(1124)에 의하여 고정되게 한다. 배수육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저부(1100)의 상면 중 일부(1150)는 단위 블록(200)이 채워지지 않은 채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step (S100), unit blocks 200 are stacked in two or more layers on a unit base plate 1120 to form a base portion 1100 (S200). At this time, the lowermost end surfaces 200' of the unit blocks 200 forming the base portion 1100 are fixed by the protrusions 1124 of the unit base plate 1120. A portion 115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0 may be exposed while the unit block 200 is not filled so that a drainage gut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다음으로,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은, 기저부(1100)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200)들 사이에 제1 굵기(d1)를 가진 배수관(1140)을 설치하거나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사이에 비어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Next, in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rain pipe 1140 having a first thickness d1 is installed between the unit blocks 200 forming the base portion 1100, or the unit forming the base portion Forming an empty drainage channel between blocks (S300) is further included.

단계(S300)의 배수관(1140) 설치에 있어서, 기저부(1100)를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200a)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230)을 제1 굵기(d1)를 가진 배수관(1140)이 통과하도록 제1 단위 블록(200a)의 양 측면(230)에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2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installation of the drain pipe 1140 in step S300, both side surfaces 230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unit block 200a, which is a part of the blocks forming the base portion 1100, have a first thickness d1 Through-holes or notches 240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230 of the first unit block 200a so that the drain pipe 1140 passes therethrough.

대안으로서, 단계(S200) 또는 단계(S300)에서 제1 단위 블록(200a)의 양 측면에 대하여 관통 성형함으로써 상기 구멍 또는 노치(240)가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le or notch 240 may be formed by through-molding both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200a in step S200 or step S300.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은, 기저부(1100)를 포위하도록 단위 블록(200)들을 소정의 높이(h)로 쌓아 올려 벽체(1200)를 형성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Continuing to refer to FIG. 9,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wall 1200 by stacking unit blocks 200 to a predetermined height h so as to surround a base portion 1100 ( S400) is further included.

단계(S400)는, 벽체(12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벽체의 내측면(1210)에 보조판(1220)을 고정하는 단계(S420), 및 보조판(1220)이 고정된 후, 벽체(12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벽체의 내측면(1210)을 방수재로 코팅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tep (S400) is the step of fixing the auxiliary plate 1220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1200,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1210 of the wall (S420), and after the auxiliary plate 1220 is fixed, the wall 1200 A step (S440) of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1210 of the wall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추가적으로, 단계(S400)는, 보조판(1220)이 고정된 후, 보조판(1220)에 대한 타공 및 체결구(미도시)로써 적어도 하나의 주방용 설비(미도시)를 보조판(1220)에 고정하는 단계(S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step (S400), after the auxiliary plate 1220 is fixed, fixing at least one kitchen equipment (not shown) to the auxiliary plate 1220 with a perforated hole and a fastener (not shown) for the auxiliary plate 1220. (S460) may be further included.

단계(S400)에 단계(S420) 및 단계(S440)뿐만 아니라 단계(S460)가 더 포함되는 경우, 단계(S440)와 단계(S460)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계(S440)가 단계(S46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그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If step S400 further includes step S420 and step S440 as well as step S460, step S440 and step S460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or at different times, but when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Step S440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step S460.

단계(S400) 다음으로,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은, 제2 굵기(d2)를 가진 급수관(1300)을 벽체(1200)에 설치 및 고정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관(1300)은 모듈화 시설(1000) 내에 안착되는 요수시설에 대한 급수를 위하여 벽체(1200)를 관통하여 상기 요수시설까지 연장될 수 있다.Next to step (S400),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installing and fixing the water supply pipe 1300 having the second thickness d2 to the wall 1200 (S500). .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pipe 1300 may penetrate the wall 1200 and extend to the irrigation facility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rrigation facility installed in the modular facility 1000.

또한,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은, 제2 전기선(1620)을 통하여 외부 간선(미도시)에 연결되는 분전함(1400), 그 분전함(1400)으로부터 벽체(1200)에 형성된 콘센트 단자(252)에 이르는 제1 전기선(1520), 및 콘센트 단자(252)를 벽체(1200)에 설치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tribution box 1400 connected to an external main line (not shown) through a second electric cable 1620, and an outlet terminal formed on the wall 1200 from the distribution box 1400 ( A step of installing the first electric wire 1520 reaching 252 and the outlet terminal 252 to the wall 1200 (S600) may be further included.

단계(S500)와 단계(S600) 중에서 단계(S500)가 더 먼저 수행되거나 단계(S600)가 더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들이 반드시 기재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순서라면 어느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mong steps S500 and S600, step S500 may be performed earlier or step S600 may be performed earlier.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dula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having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may be performed in any order as long as it is realistically possible. You will be able to.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서의 모듈화 시설의 제작 방법으로써 얻어지는 이점은, 재활용과 이동이 가능한 모듈화 시설을 보다 저렴하고 빠르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시간과 공간에 관한 까다로운 조건 없이 기능적으로 완벽한 모듈화 시설을 만들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advantage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fac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at a modular facility that can be recycled and moved can be manufactured more cheaply, quickly, quickly and easily, and functional without demanding conditions regarding time and space. Thi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perfect modular fac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1000: 모듈화 시설
1100: 기저부
1110: 기저부의 하면
1120: 단위 기저판
1122: 단위 기저판의 상단면
1124: 단위 기저판의 돌출부
1130a, 1130b: 방수 타일
1140: 배수관
1150: 배수육가 설치부
1200: 벽체
1210: 벽체의 내측면
1220: 보조판
1300: 급수관
1400: 분전함
1500: 제3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
1600: 제4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
1620: 제2 전기선
200: 단위 블록
210: 단위 블록의 하단면
220: 단위 블록의 상단면
222: 단위 블록의 돌출부
230: 단위 블록의 양 측면
200a: 제1 단위 블록
240: 구멍 또는 노치(notch)
200b: 제2 단위 블록
232: 제2 단위 블록의 일 측면
250: 제1 측면 함입부
252: 콘센트 단자
200c: 제3 단위 블록
260: 제2 측면 함입부
1000: modularization facility
1100: base
1110: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20: unit base plate
1122: top surface of unit base plate
1124: Projection of unit base plate
1130a, 1130b: waterproof tile
1140: drain pipe
1150: drainage meat installation unit
1200: wall
1210: inner side of the wall
1220: auxiliary plate
1300: water supply pipe
1400: distribution box
1500: Tube of non-heating material of third thickness
1600: tube of non-heating material of the fourth thickness
1620: second electric wire
200: unit block
210: lower side of unit block
220: top side of unit block
222: Projection of unit block
230: both sides of the unit block
200a: first unit block
240: hole or notch
200b: second unit block
232: one side of the second unit block
250: first side recess
252: outlet terminal
200c: third unit block
260: second side recess

Claims (16)

모듈화 시설에 있어서,
단위 블록들로서,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은 개방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들은 상기 모듈화 시설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로 쌓아 올려진 벽체를 형성하는, 모듈화 시설.
In the modular facility,
The unit blocks include a plurality of unit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eing open and a protrusion for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The unit blocks form a base of the modular facility, and a wall extending from the base and sta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저판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들의 최하단면이 상기 단위 기저판의 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modular facility, wherein a protrusion for fixing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ase plate, so that the lowermost end surfaces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are fixed by the protrusion part of the unit bas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2개 이상의 층으로 쌓아 올린 단위 블록들로써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단위 블록의 상기 양 측면에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가 형성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is formed of unit blocks stacked in two or more layers, and drain pipes having a first thickness can pass through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which is a part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portion. Modularization facility, wherein through-holes or notc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제1 단위 블록들을 관통하는 제1 굵기의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penetrating the first unit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된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면은 방수재로 코팅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late fix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At least one surface is coated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modular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모듈화 시설 내에 안착되는 요수시설에 대한 급수를 위하여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요수시설까지 연장되는 제2 굵기를 가진 급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모듈화 시설 내부에 존재하는 부분은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second thickness extending to the water supply facility through the wall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facility seated in the modular facility, and as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a portion present inside the modular facility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modular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일부인 제2 단위 블록의 일 측면에 콘센트 단자의 안착이 가능한 제1 측면 함입부가 형성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1,
Modularization facility, wherein a first side recessed portion capable of seating an outlet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a second unit block, which is a part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wa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블록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단위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콘센트 단자에 연결되는 전기선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측면 함입부가 형성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7,
A modular facility, wherein a second side recess for accommodating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outlet terminal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t least one third unit block adjacent to the second unit blo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시설은,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며 분전반을 포함하는 분전함,
상기 분전함으로부터 상기 콘센트 단자까지 연장되는 제1 전기선, 및
상기 제1 전기선을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3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
을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7,
The modular facility,
A distribution box installed and fixed on the wall and including a distribution panel;
A first electric wire extending from the distribution box to the outlet terminal, and
A tube of non-heating material of a third thicknes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to surround the first electric wire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시설은,
외부 간선으로부터 상기 분전함까지 연장되는 제2 전기선, 및
상기 제2 전기선을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되는 제4 굵기의 비전열 소재의 관
을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According to claim 9,
The modular facility,
A second electric wire extending from the external main line to the distribution box, and
A tube of non-heating material of a fourth thickness installed and fixed to the wall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ic wire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모듈화 시설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저판을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단위 기저판 위에 단위 블록들을 2개 이상의 층으로 쌓아 올려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은 개방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 기저판의 상단면에 상기 단위 블록의 하단면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들의 최하단면이 상기 단위 기저판의 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단계;
(c)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사이에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을 설치하거나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블록들 사이에 비어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저부를 포위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소정의 높이로 쌓아 올려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dular facility,
(a) placing at least one unit base plate on the floor;
(b) forming a base by stacking unit blocks in two or more layers on the unit base plate,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eing open, and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forming a protrusion and fixi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unit block to an upper surface of the unit base plate, so that the lowermost surfaces of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are fixed by the protrusion of the unit base plate;
(c) installing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between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or forming an empty drainage channel between the unit blocks forming the base; and
(d) forming a wall by stacking the unit blocks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surround the base portion.
Including,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수관 설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를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 중 일부인 제1 단위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제1 굵기를 가진 배수관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단위 블록의 상기 양 측면에 관통된 구멍 또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drain pipe installation in step (c),
Through-holes or notch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unit block so that a drain pipe having a first thickness passes through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unit block, which is a part of the blocks forming the base, facing each other How to make a modular facilit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 보조판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판이 고정된 후, 방수재로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을 코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step (d),
fixing an auxiliary plate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and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fixed,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보조판이 고정된 후, 상기 보조판에 대한 타공 및 체결구로써 적어도 하나의 주방용 설비를 상기 보조판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In step (d),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fixed, fixing at least one kitchen equipment to the auxiliary plate using a hole and a fastener for the auxiliary plate.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e) 제2 굵기를 가진 급수관을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e) installing and fixing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second thickness to the wall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f) 제2 전기선을 통하여 외부 간선에 연결되는 분전함, 상기 분전함으로부터 상기 벽체에 형성된 콘센트 단자에 이르는 제1 전기선, 및 상기 콘센트 단자를 상기 벽체에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듈화 시설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f) installing a distribution box connected to an external main line through a second electric cable, a first electric cable extending from the distribution box to an outlet terminal formed on the wall, and the outlet terminal to the wall
Further comprising a modular facility manufacturing method.


KR1020210070475A 2021-05-31 2021-05-31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201620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75A KR20220162003A (en) 2021-05-31 2021-05-31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75A KR20220162003A (en) 2021-05-31 2021-05-31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03A true KR20220162003A (en) 2022-12-07

Family

ID=8444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75A KR20220162003A (en) 2021-05-31 2021-05-31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00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29B1 (en) 2015-08-20 2016-04-25 주식회사 플위디 Open type wall module with load support wall structure and temporary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29B1 (en) 2015-08-20 2016-04-25 주식회사 플위디 Open type wall module with load support wall structure and temporary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4090B2 (en) Metallic floor box with non-metallic riser and flange
US5992108A (en) Modular access floor system
US4984408A (en) Method for arranging lines in a floor level to be divided up into smaller rooms and elements suitable for this method
RU2712845C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rge-sized finished three-dimensional module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from large-size finished 3d modules
CN206722266U (en) Wall panel assembly
CN204782075U (en) Have enough to meet need bathroom that room constitutes by standard
CN110612373A (en) Prefabricated pre-decorated volume construction of buildings
KR20220162003A (en) Modular faciliti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20154448A1 (en) Centralized core and node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US11466455B2 (en) Building block
US20100325992A1 (en) Access Flo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CN211114238U (en) Partition wall exempts from buried tub of wiring system in advance
KR100505433B1 (en) Tray wiring apparatus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US20070251158A1 (en) Building Method and Mould Units
JP4234660B2 (en) Building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US11629491B1 (en) Interchangabl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DK178315B8 (en) Base Rendering
US7013912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utility waste and venting
CN216355839U (en) Increase type line box suitable for superimposed sheet
CN212388488U (en) Fishway pool chamber structure
GB2524328A (en) An insulation wall system
KR200461704Y1 (en) A pull box for slab of structure
KR20210063805A (en) A Method of Partitioning Location and Joint Processing for the Floor Plan of Wall-Type Apartment Housing
CN204663036U (en) A kind of cabinet be made up of standard relocation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