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685A -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685A
KR20220161685A KR1020210069709A KR20210069709A KR20220161685A KR 20220161685 A KR20220161685 A KR 20220161685A KR 1020210069709 A KR1020210069709 A KR 1020210069709A KR 20210069709 A KR20210069709 A KR 20210069709A KR 20220161685 A KR20220161685 A KR 2022016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olution
mucosal
whitening
pres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102021006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685A/ko
Publication of KR2022016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색된 점막조직에 투여되여 회복시키는 주사액으로서, 상기 주사액은, 각각 설정된 용량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만니톨(mannitol), 트레할로오스, 리토케인(lidocaine),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 및 이들이 용해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Mucous Membrane Whitening Inj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착색된 점막에 투여하여 회복시키는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소망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부,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지금까지의 미백제 개발은 주로 멜라닌 생합성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통해 멜라닌양을 줄이는 물질을 찾는 것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미백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과다 사용시 부작용 발생으로 그 사용량에 제한이 있다. 또한, 식물추출물의 경우 고농도에서만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단점이 있어 제품화 시 적용 범위가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미백 효능이 뛰어나며 사용에 있어 안전한 미백제를 개발하는 것은 사용자의 측면에서 여전히 요구되어 왔다.
또한, 외부노출 점막조직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시기부터 피부노화와 유전성, 환경노출에 의해 착색이 되고 점막조직이 건조하게 되면 얇아지게 된다.
기존의 착색된 점막조직을 미백하는 방법으로는 염료를 이용하여 문신을 하거나 토닝레이저를 이용하여 착색된 조직의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였다. 그러나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색깔조정이 어렵고 주변과 매칭이 안되는 단점이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는 오히려 더 진하게 되거나 주변조직이 건조하게 되어 오히려 더 노화시키는 부작용들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00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화되고 착색된 점막조직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멜라닌색소를 줄여주고 점막조직의 단백질 성분을 보충하여 젊은 시절의 색깔이 옅고 광택이 나며 생기있는 점막으로 회복시키는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착색된 점막조직에 투여되여 회복시키는 주사액으로서, 상기 주사액은, 각각 설정된 용량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만니톨(mannitol), 트레할로오스, 리토케인(lidocaine),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 및 이들이 용해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는 5.625 mg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hyaluronic)은 3ml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및 만니톨(mannitol)는 설정된 용량의 파우더형태로 액체와 혼합하여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는 전체 합산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은 5mg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점막미백주사액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막미백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에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을 5.625 mg 첨가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후 히알루론산(hyaluronic)을 3ml 첨가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를 거친 후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의 전체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를 거친 후 설정된 용량의 리토케인(lidocaine)을 첨가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를 거친 후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을 5mg 첨가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화되고 착색된 점막조직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멜라닌색소를 줄여주고 점막조직의 단백질 성분을 보충하여 젊은 시절의 색깔이 옅고 광택이 나며 생기있는 점막으로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된 점막을 생기있고 밝게 하여 젊고 매력적으로 만들고, 여성들의 말못할 고민들을 미용적으로 개선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막미백주사액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착색된 점막조직에 투여되여 회복시키는 주사액으로서, 주사액(10)은 각각 설정된 용량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만니톨(mannitol), 트레할로오스, 리토케인(lidocaine),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 및 이들이 용해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막미백주사(일명-처녀주사, 복숭아주사, 비너스주사, 오로라주사, 연분홍주사)는 착색된 점막조직(입술, 유두, 여성생식기 등)을 색을 회복시켜 젊고 건강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왁싱하는 사람들이 특히, 신경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는데, 왁싱을 하면서 접촉성 피부염 등이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는 5.625 mg이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는 전체의 주사액 중에 5.625 mg이 포함되어 피부이식으로 인한 상처를 치료하고, 조직을 수복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은 3ml가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hyaluronic)은 전체의 주사액 중에 3ml가 포함되어 물광필러역할을 수행하는데, 즉, 가교 히알루론산을 피하에 주입하여 물리적인 수복을 통해 성인의 안면부 주름을 일시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은 각종 안과 수술의 보조제, 관절 내 주사제, 인공눈물, 상처치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자신의 무게에 300~1000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보습작용이 뛰어나다.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및 만니톨(mannitol)는 설정된 용량의 파우더형태로 액체와 혼합하여 첨가될 수 있다.
만니톨(mannitol)은 셀터미 스탬의 뚜껑과 고무마개를 제거한 후 액상의 화장품 등과 혼합하여 적당량을 취해 얼굴 전체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는 전체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를 설정된 비율로 배합하여 전체 합산 중량을 180mg로 유지하면서 첨가할 수 있다.
올리고펩타이드는 특정 표적화(specific targeting), 세포 침투(cell penetrating), 자기 조립 능력(self-assembled capacity) 및 환경에 대한 반응 등 약물 전달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응용될 수 있다.
만니톨은 체내에서 장시간의 대사를 요하며 혈액 뇌관문을 통과하지 않은 다당류로 혈중에 길게 존재하기 때문에 삼투압 활성물질로서의 작용이 있다. 이때문에 삼투압이뇨제 또는 혈장대용액으로서 사용되며, 급성심부전, 뇌부종의 치료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심부전에서는 오히려 혈장량을 증가시켜서 심부하를 증대하고 증상을 악화시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뇨제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트레할로오스(trehalose)는 2개의 알파-포도당(-glucose; D-glucose)이 1,1-글리코시드 결합(1,1-glycosidic bond)을 통해 결합된 2당류(disaccharide) 형태의 탄수화물이다. 세균, 곰팡이, 식물, 무척추동물 등에서 발견되며,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거나 냉해(freezing)와 가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생존을 위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레할로오스는 수분 보유력이 높으며, 산업적으로는 녹말에서 추출되어 음식, 화장품, 의약품 용도로서 이용되고 있다.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은 5mg이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은 5mg이 포함되어 마취제 또는 기미제거(도미나 크림 재료)용으로 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라넥삼산은 출혈 조절에 사용되는 지혈제로서, 혈액 중 지혈을 위해 생성되는 혈전을 분해시키는 플라스민을 억제하여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플라스민에 의해 멜라닌의 생성이 촉진되는 과정도 저해하므로 항산화제 등과 복합되어 기미 치료제로도 사용된다. 혈전이 있거나 혈전 생성 위험이 있는 환자들에게 트라넥삼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전술한 본 발명 점막미백주사액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의 용량 및 구성비율은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막미백주사액의 투여방법은 점막내 혹은 진피층에 30G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0.1cc씩 5mm간격으로 주사하는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막미백주사액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점막미백주사액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 1 ~ 제 5단계(S100~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단계(S100)는 점막미백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에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을 5.625 mg 첨가하는 단계이다.
제 2단계(S200)는 제 1단계(S100)를 거친 후 히알루론산(hyaluronic)을 3ml 첨가하는 단계이다.
제 3단계(S300)는 제 2단계(S200)를 거친 후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의 전체 합산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하는 단계이다.
제 4단계(S400)는 제 3단계(S300)를 거친 후 설정된 용량의 리토케인(lidocaine)을 첨가하는 단계이다.
제 5단계(S500)는 제 4단계(S400)를 거친 후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을 5mg 첨가하는 단계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점막미백주사액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화되고 착색된 점막조직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멜라닌색소를 줄여주고 점막조직의 단백질 성분을 보충하여 젊은 시절의 색깔이 옅고 광택이 나며 생기있는 점막으로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된 점막을 생기있고 밝게 하여 젊고 매력적으로 만들고, 여성들의 말못할 고민들을 미용적으로 개선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주사액

Claims (7)

  1. 착색된 점막조직에 투여되어 상기 점막 조직을 회복시키는 주사액으로서,
    상기 주사액은,
    각각 설정된 용량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만니톨(mannitol), 트레할로오스, 리토케인(lidocaine),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 및 이들이 용해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는 5.625 mg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은 3ml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및 만니톨(mannitol)는 설정된 용량의 파우더형태로 액체와 혼합하여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는 전체 합산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은 5mg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막미백주사액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막미백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에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DRN)을 5.625 mg 첨가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후 히알루론산(hyaluronic)을 3ml 첨가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를 거친 후 표피줄기세포배양액,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만니톨(mannitol) 및 트레할로오스의 전체 합산 중량을 180mg으로 하여 첨가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를 거친 후 설정된 용량의 리토케인(lidocaine)을 첨가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를 거친 후 트리넥삼산(trenexamic acid)을 5mg 첨가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미백주사액의 제조방법.
KR1020210069709A 2021-05-31 2021-05-31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09A KR20220161685A (ko) 2021-05-31 2021-05-31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09A KR20220161685A (ko) 2021-05-31 2021-05-31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85A true KR20220161685A (ko) 2022-12-07

Family

ID=8444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709A KR20220161685A (ko) 2021-05-31 2021-05-31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6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025A (ko) 2008-06-24 2010-01-0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025A (ko) 2008-06-24 2010-01-0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0360B2 (en) Applications of mussel adhesive protein product i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related to melanin
TW200817039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lightening
WO2016002767A1 (ja) 外用組成物
US11806384B2 (en) Stem cell stimulating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melasma
KR20140008234A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JP2008156349A (ja) 加齢の徴候を処置するための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する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と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さない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の組合せ物の使用
JP2006514957A (ja) 顔面のしわを治療するスベリヒユの使用
KR100673044B1 (ko) 경피 투여용 국소 조성물
KR20220161685A (ko) 점막미백주사액 및 그 제조방법
JP2003137714A (ja) 化粧用組成物又は医薬用組成物
CN104324367A (zh) 鱼鳞提取物在制备治疗和/或预防白癜风药物方面的新用途
JP2007153863A (ja) 毛髪改善外用剤
JPS61246130A (ja) 水性皮膚及び毛髪化粧料
Dupont et al. From hydration to cell turnover: an integral approach to antiaging
US20040043463A1 (en) Peptide-tagged proteins and compositions for regulating features of the skin or hair;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CN109758379A (zh) 一种复方凝血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产品
RU2793250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кож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вета и гидрохлорида глюкозамина
US11780883B2 (en) Derived peptide of lactoferrin and method thereof for promoting and/or increasing lipid synthesis
KR102267190B1 (ko) 나노 리포좀 처리 공법에 의해 우수한 보습력 및 피부 침투 효과를 갖는 인공크림막 조성물
CA2992315C (en) Use of map product to treat and prevent melanin-related diseases
EP3995131A1 (fr)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 la rosacee et/ou de la telangiectasie
KR20230131139A (ko) 다라플라딥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BR102016022420A2 (pt) Composição tópica, uso cosmético da composição e composição tópica e dermatológica
KR20200110078A (ko) 포졸란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억제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R102016022422A2 (pt) Composição despigmentante para aplicação tóp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