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999A - 차량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999A
KR20220160999A KR1020210069341A KR20210069341A KR20220160999A KR 20220160999 A KR20220160999 A KR 20220160999A KR 1020210069341 A KR1020210069341 A KR 1020210069341A KR 20210069341 A KR20210069341 A KR 20210069341A KR 20220160999 A KR20220160999 A KR 2022016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unit
link
vehic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884B1 (ko
Inventor
육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10069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8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링크부와, 링크부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변형부와, 변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링크부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링크부와 결합부 간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선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울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차량의 휠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컨트롤하기 위해 링크와 링크가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부위에는 고무로된 부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시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58461호(2011.06.01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축선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울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부는 복합소재 자체의 탄성을 통해 하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링크부에 결합되는 변형결합부; 상기 변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연장부; 및 상기 변형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형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변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장착되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연결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몸체부의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세로회전축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가로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와 접촉되어 상기 링크부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에 조립되는 접촉조립부; 및 상기 접촉조립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는 링크부에 결합된 변형부가 자체 변형 가능하면서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부에 장착된 결합부가 차체에 결합되므로, 링크부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하 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좌우 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1)는 링크부(10)와, 변형부(20)와, 연결부(30)와,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링크부(10)는 유동이 발생하는 부품과 결합된다. 일예로, 링크부(10)는 휠부(100)와 부시 결합되어 노면 상태에 따라 유동될 수 있다. 그 외, 링크부(10)는 다양한 차량 부속품과 연결될 수 있다.
변형부(20)는 링크부(10)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한다. 일예로, 변형부(20)는 링크부(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연장되어 연결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변형부(20)는 링크부(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변형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연결부(30)는 변형부(20)를 지지하되, 변형부(20)는 연결부(30)의 둘레에 결합되고 링크부(10)에 의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합부(40)는 연결부(30)에 장착되고 차체(200)에 결합된다. 일예로, 결합부(40)는 연결부(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부(3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차체(2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0)는 변형결합부(21)와, 변형연장부(22)와, 변형회전부(23)를 포함한다. 변형부(20)는 복합소재로 제조되어 잦은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결합부(21)는 링크부(10)에 결합된다. 일예로, 변형결합부(21)는 띠 형상을 하여 링크부(10)의 단부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그 외 변형결합부(21)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링크부(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변형연장부(22)는 변형결합부(2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연결부(3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예로, 변형연장부(22)에는 연결부(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연장부(221)와, 연결부(3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연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연장부(22)는 링크부(10)와 연결부(30) 사이에서 구부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변형회전부(23)는 변형연장부(22)에서 연장되고, 연결부(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예로, 변형회전부(23)는 한 쌍의 상하연장부(221) 단부 각각 에 형성되는 상하회전부(231)와, 한 쌍의 좌우연장부(222)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좌우회전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는 연결몸체부(31)와 연결회전부(32)를 포함한다.
연결몸체부(31)는 변형부(20) 사이에 배치되고, 결합부(40)가 장착된다. 일예로, 연결몸체부(31)는 단면이 팔각형 형상을 하고, 변형회전부(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몸체부(31)의 중앙부에는 결합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회전부(32)는 연결몸체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변형부(20)와 결합된다. 일예로, 연결회전부(32)는 연결몸체부(31)를 관통하여 회전되고, 상하회전부(231)를 연결하고, 좌우회전부(232)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회전부(32)는 세로회전축부(321)와 가로회전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회전축부(321)는 연결몸체부(3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부가 연결몸체부(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회전부(231)와 결합될 수 있다.
가로회전축부(322)는 연결몸체부(31)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부가 연결몸체부(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좌우회전부(23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1)는 접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50)는 연결부(30)에 장착되고, 링크부(10)와 접촉되어 링크부(10)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변형부(20)의 변형을 억제한다. 일예로, 접촉부(50)는 링크부(10) 방향으로 돌출되고, 변형연장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부(10)가 외력에 의해 연결부(30)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접촉부(50)와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50)의 돌출 길이에 따라 링크부(10)의 이동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부(50)는 접촉조립부(51)와 접촉탄성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조립부(51)는 연결부(30)에 조립된다. 일예로, 접촉조립부(51)는 연결부(30)에 나사 조립될 수 있다.
접촉탄성부(52)는 접촉조립부(51)에 형성되고, 링크부(10)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한다. 일예로, 접촉탄성부(52)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될 수 있다. 접촉탄성부(52)는 접촉조립부(51)에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교체되어 링크부(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하 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링크부(10)가 상하 유동하는 경우, 가로회전축부(322)는 회전되면서 좌우연장부(222)가 상하 이동된다. 이때, 상하연장부(221)는 세로회전축부(321)에 지지되어 변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좌우 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링크부(10)가 좌우 유동하는 경우, 세로회전축부(321)는 회전되면서 상하연장부(221)가 좌우 이동된다. 이때, 좌우연장부(222)는 가로회전축부(322)에 지지되어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1)는 링크부(10)에 결합된 변형부(20)가 자체 변형 가능하면서 연결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부(30)에 장착된 결합부(40)가 차체(200)에 결합되므로, 링크부(10)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링크부(10)와 결합부(40) 간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링크부 20 : 변형부
21 : 변형결합부 22 : 변형연장부
23 : 변형회전부 30 : 연결부
31 : 연결몸체부 32 : 연결회전부
40 : 결합부 50 : 접촉부
51 : 접촉조립부 52 ; 접촉탄성부

Claims (7)

  1.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복합소재 자체의 탄성을 통해 하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링크부에 결합되는 변형결합부;
    상기 변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연장부; 및
    상기 변형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형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변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장착되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연결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회전부는
    상기 연결몸체부의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세로회전축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변형부와 결합되는 가로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와 접촉되어 상기 링크부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에 조립되는 접촉조립부; 및
    상기 접촉조립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KR1020210069341A 2021-05-28 2021-05-28 차량용 연결장치 KR10254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41A KR102546884B1 (ko) 2021-05-28 2021-05-28 차량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41A KR102546884B1 (ko) 2021-05-28 2021-05-28 차량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999A true KR20220160999A (ko) 2022-12-06
KR102546884B1 KR102546884B1 (ko) 2023-06-23

Family

ID=8440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341A KR102546884B1 (ko) 2021-05-28 2021-05-28 차량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949A (ja) * 2005-05-06 2006-11-16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CN107023601A (zh) * 2017-05-31 2017-08-08 锐合防务技术(北京)有限公司 减震装置
KR20170142042A (ko) * 2016-06-16 2017-12-27 아이아(주) 차량용 롤로드
WO2019234366A1 (fr) * 2018-06-06 2019-12-12 Pytheas Technology Systeme et procede d'amortissement passif de vibrations mecaniqu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949A (ja) * 2005-05-06 2006-11-16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KR20170142042A (ko) * 2016-06-16 2017-12-27 아이아(주) 차량용 롤로드
CN107023601A (zh) * 2017-05-31 2017-08-08 锐合防务技术(北京)有限公司 减震装置
WO2019234366A1 (fr) * 2018-06-06 2019-12-12 Pytheas Technology Systeme et procede d'amortissement passif de vibrations meca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884B1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295B2 (en) Tire wheel structure
US4046403A (en) Strut type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for automobiles
US2246833A (en) Vehicle steering mechanism
US7823894B2 (en) Independent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20100078911A1 (en) Multi-link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wheels
KR20110035843A (ko) 차량의 트위스트 빔 후방액슬을 위한 댐핑부싱
CN108501652B (zh) 主动侧倾控制设备
EP4067124A1 (en) Automobile suspension device
KR1025863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0976714A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2546884B1 (ko) 차량용 연결장치
KR20230009654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10057514A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US7273218B2 (en) Torsion beam axle-type rear suspension
JP2010513115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US20120193941A1 (en) Utility Vehicle Cab Suspension
KR20090052045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너클
KR2011005766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220083317A (ko) 스테빌라이저 바 부시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240074179A (ko) 서스펜션 결합 구조
KR101284874B1 (ko) 부시 및 이를 이용한 마운팅 유닛
JP2778289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0108275A (ko) 자동차용 후방 액슬
KR100579732B1 (ko) 트레일링 타입 차량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