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930A -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 Google Patents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930A
KR20220160930A KR1020210069195A KR20210069195A KR20220160930A KR 20220160930 A KR20220160930 A KR 20220160930A KR 1020210069195 A KR1020210069195 A KR 1020210069195A KR 20210069195 A KR20210069195 A KR 20210069195A KR 20220160930 A KR20220160930 A KR 2022016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connection
module
member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Priority to KR102021006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930A/ko
Publication of KR2022016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8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조립된 전망 모듈(400)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조립된 연통 모듈(5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SKYWALK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본 발명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카이워크는 계곡 등이나 높은 구조물 사이에 이용자가 통행하면서 발 아래 및 주변 경치를 구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건축물이다.
이 스카이워크는 교각과 같은 하부구조물에 설치된 통행용 보도와 같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구비하고, 이 지지장치는 구조물의 규격이나 지지 하중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693660호의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강관거더를 역삼각형으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각 기둥에 연결한 상태에서 역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지지격판을 강관거더 각각과 결합시킨 역삼각형 복합거더로 기둥 사이의 통행로를 지지토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은 기둥에 강재코핑을 결합함에 있어 △l의 폭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불필요하고 복잡한 수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며 조립과 설치 및 시공에 많은 인원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6936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인 봉재(棒材)와,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하 양단인 쉘터(shelter)와, 상기 쉘터의 개방된 상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쉘터를 덮어주는 커버체와,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쉘터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되고 지면에서부터 상기 쉘터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승강 출입을 허용하는 접근체를 포함하는 전망 모듈; 복수의 상기 전망 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기 상부 연결체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측면 연결체를 포함하는 연통 모듈; 상기 메인 봉재와 상기 쉘터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접근체의 사이와, 상기 메인 봉재와 상기 접근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하부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상부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측면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상부 연결체와 상기 측면 연결체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망 모듈은, 복수의 상기 쉘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쉘터 외측을 탐사(探査) 가능한 탐사창과, 복수의 상기 쉘터 각각의 개방된 하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근체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출입홀을 가지며,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된 바닥판과, 상기 하부 연결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출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모듈은 상기 출입 프레임과 상기 연통 모듈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쉘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터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하부 지지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터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 및 상기 상부 지지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양단부측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쉘터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각재(角材)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 모듈은, 상기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상기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와, 상기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상기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 봉재 및 상기 쉘터(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커버체(이하 제2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접근체(이하 제3 양부재)와, 상기 메인 봉재 및 상기 접근체(이하 제4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하부 연결체(이하 제5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상부 연결체(이하 제6 양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기 측면 연결체(이하 제7 양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체 및 상기 측면 연결체(이하 제8 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8 양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인 봉재(棒材)와,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하 양단인 쉘터(shelter)와, 쉘터의 개방된 상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쉘터를 덮어주는 커버체와, 복수의 메인 봉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쉘터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되고 지면에서부터 쉘터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승강 출입을 허용하는 접근체를 포함하는 전망 모듈; 복수의 전망 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연결체와,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연결체와, 하부 연결체 및 상부 연결체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측면 연결체를 포함하는 연통 모듈; 메인 봉재와 쉘터의 사이와, 쉘터와 커버체의 사이와, 쉘터와 접근체의 사이와, 메인 봉재와 접근체의 사이와, 쉘터와 하부 연결체의 사이와, 쉘터와 상부 연결체의 사이와, 하부 연결체와 측면 연결체의 사이와, 상부 연결체와 측면 연결체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망 모듈은, 복수의 쉘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터 측면에 형성되어 쉘터 외측을 탐사(探査) 가능한 탐사창과, 복수의 쉘터 각각의 개방된 하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접근체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출입홀을 가지며,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된 바닥판과, 하부 연결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쉘터와 이웃한 쉘터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어 쉘터와 이웃한 쉘터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출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커플링 모듈은 출입 프레임과 연통 모듈을 상호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스카이워크의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안락한 심리 상태에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쉘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하부 지지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양단부측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쉘터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각재(角材)를 포함하며, 커버체는 상부 지지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카이워크의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안락한 심리 상태에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통 모듈은,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 부재와,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와,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봉과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지지봉과,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봉과 상부 지지봉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높은 곳에 설치된 스카이워크의 특성상 탐방로를 형성하는 데크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각각, 메인 봉재 및 쉘터(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와, 쉘터 및 커버체(이하 제2 양부재)와, 쉘터 및 접근체(이하 제3 양부재)와, 메인 봉재 및 접근체(이하 제4 양부재)와, 쉘터 및 하부 연결체(이하 제5 양부재)와, 쉘터 및 상부 연결체(이하 제6 양부재)와, 하부 연결체 및 측면 연결체(이하 제7 양부재)와, 상부 연결체 및 측면 연결체(이하 제8 양부재)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8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또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를 할 수 있는 바,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직관적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모듈은,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에 의하여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과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1 연결모듈은, 제1 힌지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과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공간이나 시공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활한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a 및 iii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6은 도 4(a)의 via 및 v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a 및 iii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a)의 via 및 v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300)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3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에서 괄호안의 도면 부호는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참조하여 파악하기 위해 붙인 것이다.
예를들어, 도 10(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탈착 홈(322)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탈착 돌편(31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제1 탈착 돌편(311)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2 탈착 홈(322)은 제1 탈착 홈(312)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도 10(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탈착 돌편(321)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탈착 홈(31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제1 탈착 홈(312)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2 탈착 돌편(321)은 제1 탈착 돌편(311)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도 10(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하부 단턱(324)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하부 단턱(314)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조립된 전망 모듈(400)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조립된 연통 모듈(5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스카이워크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전망 모듈(400)은, 복수의 메인 봉재(411, 棒材)와,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하 양단인 쉘터(410, shelter)와, 쉘터(410)의 개방된 상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쉘터(410)를 덮어주는 커버체(420)와,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 사이에 배치되어 쉘터(410)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되고 지면에서부터 쉘터(4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승강 출입을 허용하는 접근체(430)를 포함한다.
또한, 연통 모듈(500)은 복수의 전망 모듈(400)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연결체(510)와,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연결체(520)와, 하부 연결체(510) 및 상부 연결체(52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측면 연결체(5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커플링 모듈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커플링 모듈이 장착되는 곳은, 메인 봉재(411)와 쉘터(410)의 사이와, 쉘터(410)와 커버체(420)의 사이와, 쉘터(410)와 접근체(430)의 사이와, 메인 봉재(411)와 접근체(430)의 사이와, 쉘터(410)와 하부 연결체(510)의 사이와, 쉘터(410)와 상부 연결체(520)의 사이와, 하부 연결체(510)와 측면 연결체(530)의 사이와, 상부 연결체(520)와 측면 연결체(530)의 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커버체(420)는,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면 관통의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체(420)의 형상은 강설과 강우가 쌓이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체(42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면적은 복수의 각재(413)에 의하여 형성되는 쉘터(410)의 상, 하면 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접근체(430)는, 복수의 금속재 빔(431)을 따라 복수의 발판 림(432)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금속재 빔(431)은 복수의 메인 봉재(411) 각각의 하단부 중심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원을 상하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상원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로 배치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발판 림(432)은 복수의 금속재 빔(43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금속재 빔(431)들의 외측 또는 내측을 상호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와 같이 금속재 빔(43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발판 림(432)을 손으로 잡고 발로 밟아 쉘터(410)와 지면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망 모듈(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부재(512)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가 잠시 머물며 주변 경관을 안락하게 보호받는 느낌으로 감상하고 탐조할 수 있도록, 탐사창(414)과 바닥판(415) 및 출입 프레임(41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우선, 탐사창(414)은 복수의 쉘터(4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터(410) 측면에 형성되어 쉘터(410) 외측을 탐사(探査)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바닥판(415)은 복수의 쉘터(410) 각각의 개방된 하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접근체(430)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출입홀(이하 미도시)을 가지며,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또한, 출입 프레임(416)은 하부 연결체(5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어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커플링 모듈은 출입 프레임(416)과 연통 모듈(500)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쉘터(410)는, 사용자가 들어가 쉬거나 주변 경관을 조용하고 안락하게 탐조할 수 있도록 하부 지지체(이하 미도시)와 상부 지지체(412) 및 각재(413, 角材)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하부 지지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410)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411)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지지체(4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410)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411)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각재(413)는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412)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양단부측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쉘터(410)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부재이다.
이때, 커버체(420)는 상부 지지체(41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탐사창(414)은 복수의 각재(4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재(413)들을 일정 면적으로 절개하여 쉘터(41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며 쉘터(410)의 외측을 탐사(探査)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또한, 출입 프레임(416) 또한 복수의 각재(4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재(413)들을 일정 면적으로 절개하여 쉘터(41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며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쉘터(410)는, 복수의 메인 봉재(4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봉재(411)에 장착되어 커버체(420)와 상부 지지체(41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판재 또는 패널을 포함하는 제4 부재(417)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4 부재(40)는 차양 및 장식의 역할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연통 모듈(500)에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과,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 부재(512)에 의하여 하부 연결체(510)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연통 모듈(500)에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522)에 의하여 상부 연결체(520)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연통 모듈(500)에서, 하부 지지봉(511)과 상부 지지봉(521)과 직교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지지봉(531)과, 하부 지지봉(511)과 상부 지지봉(521)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532)에 의하여 측면 연결체(530)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연통 모듈(500)은,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되어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 각각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고정 지지하는 서브 봉재(5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서브 봉재(540)는,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 각각의 양단부 중 일측에 이웃한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때, 서브 봉재(54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만으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를 연결하기 힘들어, 추가적으로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을 연결할 때 중간지지 구조 역할을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지면이나 설치 대상면에 하단부를 고정시켜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 및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들을 상호 연결토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커플링 모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100)과,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90도 내외이며, 제1 각도는 90도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 내외에서 적절히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커플링 모듈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는 각각, 메인 봉재(411) 및 쉘터(410, 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와, 쉘터(410) 및 커버체(420, 이하 제2 양부재)와, 쉘터(410) 및 접근체(430, 이하 제3 양부재)와, 메인 봉재(411) 및 접근체(430, 이하 제4 양부재)와, 쉘터(410) 및 하부 연결체(510, 이하 제5 양부재)와, 쉘터(410) 및 상부 연결체(520, 이하 제6 양부재)와, 하부 연결체(510) 및 측면 연결체(530, 이하 제7 양부재)와, 상부 연결체(520) 및 측면 연결체(530, 이하 제8 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8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로 순차 정의되거나, 또는 제2 부재(20) 및 제1 부재(10)로 순차 정의되는 등,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의 중심과 제2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을 정의 가능한 제1 부재(10)에 장착되고, 제1 가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모듈(200)은, 제3 단부와 제4 단부를 가지며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 배치되고 제3 단부의 중심과 제4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가상선을 정의 가능한 제2 부재(20)에, 제1 힌지(110)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가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편(120)과, 고정편(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13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코어 바디(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2 부재(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코어 바디(22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1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24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210)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됨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연결 브라켓(240)과 함께, 제3 연결 브라켓(250)을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20)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 브라켓(23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코어 바디(220)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231)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부재(20)는 도 3과 같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연결 브라켓(24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코어 바디(220)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241)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110)는, 제1 체결 볼트(112)와 제1 체결 너트(11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체결 볼트(112)는 제3 회동 지지편(241) 또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통하여 관통 삽입되며, 제3 회동 지지편(241) 또는 제4 회동 지지편(242)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헤드(111)를 구비한 것이다.
제1 체결 너트(113)는 제4 회동 지지편(242) 또는 제3 회동 지지편(241)을 통하여 관통 노출된 제1 체결 볼트(112)에 나사 결합되어 제4 회동 지지편(242) 또는 제3 회동 지지편(241)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힌지(210)는, 제2 체결 볼트(212)와 제2 체결 너트(21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체결 볼트(212)는 제1 회동 지지편(231) 또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통하여 관통 삽입되며, 제1 회동 지지편(231) 또는 제2 회동 지지편(232)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헤드(211)를 구비한 것이다.
제2 체결 너트(213)는 제2 회동 지지편(232) 또는 제1 회동 지지편(231)을 통하여 관통 노출된 제2 체결 볼트(212)에 나사 결합되어 제2 회동 지지편(232) 또는 제1 회동 지지편(231)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연결모듈(100)의 돌출편(130)의 두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4 회동 지지편(242)과 제3 회동 지지편(241) 사이에, 돌출편(130)이 거의 꽉 끼다시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돌출편(130)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요동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제3 연결 브라켓(25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251)을 형성한 연결 본체(252)와,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2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회동 지지편(253)의 두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5 회동 지지편(253)은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을 관통하여 결합된 제2 힌지(2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5 회동 지지편(253)이 형성된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은, 제2 힌지(21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2 회동 지지편(231, 232)과 제5 회동 지지편(253)이 상대 회전하는 각도가 90도를 넘지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 또한 겸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닛 클램프를 이용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를 복수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가 제2 부재(20) 또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여 처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면서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과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 각각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주면 일부 또는 내측면 일부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 각각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주면 나머지 또는 내측면 나머지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및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각각의 양단부가 도 11과 같이 탈착 가능하게 맞물려 도 7과 같이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따라 링 형상 또는 림 형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2 베이스 분할편(310, 320) 상호간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3 연결모듈(300)은, 제1, 2 탈착 돌편(311, 321) 및 제1, 2 탈착 홈(312, 3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탈착 돌편(311)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탈착 홈(312)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탈착 홈(322)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제1 탈착 돌편(311)과 맞물리는 것이다.
아울러, 제2 탈착 돌편(321)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탈착 홈(312)과 맞물리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8과 도 10(c)와 도 9(c)와 도 11(a)에 도시된 다양한 추가 부재의 탈착 결합 구조 제공을 위하여 제1, 2 상부 단턱(313, 323) 및 제1, 2 하부 단턱(314, 3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상부 단턱(313)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하부 단턱(314)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상부 단턱(323)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하부 단턱(324)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7(b) 및 도 10(b)와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되는 데크 부재(70)들을 받침 지지하는 제1 지지편(3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지지편(330)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에 따라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으로부터 탈착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 연결모듈(300)은, 도 8 및 도 10(c)와 같이 제1, 2 걸림 후크편(341, 342) 및 제1, 2 연결 분할편(343, 34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걸림 후크편(341)은 제1 상부 단턱(313) 또는 제2 상부 단턱(323)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걸림 후크편(342)은 제1 하부 단턱(314) 또는 제2 하부 단턱(324)에 걸림 고정되어 제1 걸림 후크편(341)과 함께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클램핑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연결 분할편(343)은 제1 걸림 후크편(34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며, 내주면 또는 내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연결 분할편(344)은 제2 걸림 후크편(342)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며, 제1 연결 분할편(343)과 함께 맞물려 내주면 또는 내측면 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 분할편(343)과 제2 연결 분할편(344)에 의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별개로 구비되는 봉재 또는 각재인 제3 부재(30)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분할편(343)과 제2 연결 분할편(344)은 도 8과 같이 서로 맞물려 봉재 또는 각재 등을 포함하는 제3 부재(30)의 단부를 수용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3 부재(30)를 연결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9(a) 및 도 11(a)와 같이 제3, 4 걸림 후크편(351, 352) 및 지지편(35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3 걸림 후크편(351)은 제1 상부 단턱(313) 또는 제2 상부 단턱(323)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4 걸림 후크편(352)은 제1 하부 단턱(314) 또는 제2 하부 단턱(324)에 걸림 고정되어 제3 걸림 후크편(351)과 함께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클램핑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편(353)은 제3 걸림 후크편(351)과 제4 걸림 후크편(352)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편(353)에 의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별개로 구비되는 판재 또는 패널을 포함하는 제4 부재(40)의 하면을 받침 지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9(b) 및 도 11(b)와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설치편(360)과, 한 쌍의 설치편(360)에 각각 관통되는 설치홀(36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치홀(361)을 통하여 와이어 또는 봉재(60)가 관통되고, 설치홀(361)을 통하여 관통된 와이어 또는 봉재(60)에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인 봉재(411)와,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하 양단인 쉘터(410)와, 쉘터(410)의 개방된 상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쉘터(410)를 덮어주는 커버체(420)와,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 사이에 배치되어 쉘터(410)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되고 지면에서부터 쉘터(4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승강 출입을 허용하는 접근체(430)를 포함하는 전망 모듈(400); 복수의 전망 모듈(400)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연결체(510)와,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연결체(520)와, 하부 연결체(510) 및 상부 연결체(52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측면 연결체(530)를 포함하는 연통 모듈(500); 메인 봉재(411)와 쉘터(410)의 사이와, 쉘터(410)와 커버체(420)의 사이와, 쉘터(410)와 접근체(430)의 사이와, 메인 봉재(411)와 접근체(430)의 사이와, 쉘터(410)와 하부 연결체(510)의 사이와, 쉘터(410)와 상부 연결체(520)의 사이와, 하부 연결체(510)와 측면 연결체(530)의 사이와, 상부 연결체(520)와 측면 연결체(530)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망 모듈(400)은, 복수의 쉘터(4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터(410) 측면에 형성되어 쉘터(410) 외측을 탐사 가능한 탐사창(414)과, 복수의 쉘터(410) 각각의 개방된 하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접근체(430)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출입홀을 가지며,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된 바닥판(415)과, 하부 연결체(5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어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출입 프레임(416)을 더 포함하며, 커플링 모듈은 출입 프레임(416)과 연통 모듈(50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스카이워크의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안락한 심리 상태에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쉘터(4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410)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411)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하부 지지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터(410)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복수의 메인 봉재(411)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상부 지지체(412)와,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412)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양단부측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쉘터(410)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각재(413)를 포함하며, 커버체(420)는 상부 지지체(41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메인 봉재(411)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카이워크의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안락한 심리 상태에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통 모듈(500)은, 하부 연결체(5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과, 하부 연결체(5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511)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 부재(512)와, 상부 연결체(520)를 구성하는 것으로, 쉘터(410)와 이웃한 쉘터(410)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상부 연결체(52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521)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522)와, 측면 연결체(53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봉(511)과 상부 지지봉(521)과 직교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지지봉(531)과, 측면 연결체(53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봉(511)과 상부 지지봉(521)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532)를 더 포함함으로써, 높은 곳에 설치된 스카이워크의 특성상 탐방로를 형성하는 데크 부재(512)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100)과,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200)과, 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300)을 포함하며, 제1 내지 제8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 또는 제2 부재(20) 및 제1 부재(10)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를 할 수 있는 바,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직관적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편(120)과, 고정편(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130)을 포함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코어 바디(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2 부재(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코어 바디(22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1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24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20)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250)을 포함하며, 제1 연결 브라켓(23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코어 바디(220)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231)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브라켓(24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코어 바디(220)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241)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포함하며,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251)을 형성한 연결 본체(252)와,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253)을 포함하고,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공간이나 시공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활한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카이워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1 부재
20...제2 부재
30...제3 부재
40, 417...제4 부재
50, 532...제5 부재
60...와이어 또는 봉재
70, 512...데크 부재
100...제1 연결모듈
110...제1 힌지
111...제1 헤드
112...제1 체결 볼트
113...제1 체결 너트
120...고정편
130...돌출편
200...제2 연결모듈
210...제2 힌지
211...제2 헤드
212...제2 체결 볼트
213...제2 체결 너트
220...코어 바디
230...제1 연결 브라켓
231...제1 회동 지지편
232...제2 회동 지지편
240...제2 연결 브라켓
241...제3 회동 지지편
242...제4 회동 지지편
250...제3 연결 브라켓
251...삽입홈
252...연결 본체
252a...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
253...제5 회동 지지편
300...제3 연결모듈
310...제1 베이스 분할편
311...제1 탈착 돌편
312...제1 탈착 홈
313...제1 상부 단턱
314...제1 하부 단턱
320...제2 베이스 분할편
321...제2 탈착 돌편
322...제2 탈착 홈
323...제2 상부 단턱
324...제2 하부 단턱
330...제1 지지편
341...제1 걸림 후크편
342...제2 걸림 후크편
343...제1 연결 분할편
344...제2 연결 분할편
351...제3 걸림 후크편
352...제4 걸림 후크편
353...지지편
360...설치편
361...설치홀
400...전망 모듈
410...쉘터
411...메인 봉재
412...상부 지지체
413...각재
414...탐사창
415...바닥판
416...출입 프레임
417...제4 부재
420...커버체
430...접근체
431...금속재 빔
432...발판 림
500...연통 모듈
510...하부 연결체
511...하부 지지봉
512...데크 부재
520...상부 연결체
521...상부 지지봉
522...간격유지 바
530...측면 연결체
531...측면 지지봉
532...제5 부재
540...서브 봉재

Claims (7)

  1. 복수의 메인 봉재(棒材)와,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하 양단인 쉘터(shelter)와, 상기 쉘터의 개방된 상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쉘터를 덮어주는 커버체와,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쉘터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되고 지면에서부터 상기 쉘터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승강 출입을 허용하는 접근체를 포함하는 전망 모듈;
    복수의 상기 전망 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기 상부 연결체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측면 연결체를 포함하는 연통 모듈;
    상기 메인 봉재와 상기 쉘터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접근체의 사이와, 상기 메인 봉재와 상기 접근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하부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쉘터와 상기 상부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측면 연결체의 사이와, 상기 상부 연결체와 상기 측면 연결체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망 모듈은,
    복수의 상기 쉘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쉘터 외측을 탐사(探査) 가능한 탐사창과,
    복수의 상기 쉘터 각각의 개방된 하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근체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출입홀을 가지며,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된 바닥판과,
    상기 하부 연결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 상호간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출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모듈은 상기 출입 프레임과 상기 연통 모듈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터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하부 지지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터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 각각과 연결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 및 상기 상부 지지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양단부측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쉘터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각재(角材)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메인 봉재들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 모듈은,
    상기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하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상기 하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쉘터와 이웃한 쉘터의 상단부 가장자리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와,
    상기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과 직교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측면 연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상기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 봉재 및 상기 쉘터(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커버체(이하 제2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접근체(이하 제3 양부재)와, 상기 메인 봉재 및 상기 접근체(이하 제4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하부 연결체(이하 제5 양부재)와, 상기 쉘터 및 상기 상부 연결체(이하 제6 양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기 측면 연결체(이하 제7 양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체 및 상기 측면 연결체(이하 제8 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8 양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KR1020210069195A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KR20220160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95A KR20220160930A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95A KR20220160930A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930A true KR20220160930A (ko) 2022-12-06

Family

ID=8440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195A KR20220160930A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09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60B1 (ko) 2016-05-30 2017-01-11 (주)신흥이앤지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60B1 (ko) 2016-05-30 2017-01-11 (주)신흥이앤지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61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and building
CA2877179A1 (en) The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EA026350B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способ сборки такой сэндвич-панели, сердцевина такой сэндвич-панели и здание, построенное из множества таких сэндвич-панелей
Berger Form and function of tensile structures for permanent buildings
EP0485317B1 (en) Prefabricated modular construction
KR100954856B1 (ko) 안쏠림 기둥배치 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 목조 건축물 구조
US20180001218A1 (en) System for a tilting amusement ride
KR20220160930A (ko)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스카이워크
WO2012168750A1 (en) Tree house assembly
KR102616733B1 (ko)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조합 놀이대
WO2008039054A1 (en) A modular building arrangement
WO2013058675A1 (ru) 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с большепролетным светопрозрачным покрытием
JP5524498B2 (ja) 建物
JP3333467B2 (ja) 網状構造体
RU2436920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борно-разборных тен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Liu More than Bamboo Scaffolding
JP6650862B2 (ja) 木造建物
Vucur et al. Airport City Belgrade Membrane Structure: design, production and installation process
JP5905439B2 (ja) 住宅
RU2725356C1 (ru) Каркасный модуль здания
KR101475344B1 (ko) 체험형 통나무집 짓기 시스템
KR20100002882A (ko)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물 공포 구조
RU29736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объе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Domingo et al. The aesthetic of visible structures
KR200196730Y1 (ko) 조립식 이동가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