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713A -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713A
KR20220160713A KR1020227041484A KR20227041484A KR20220160713A KR 20220160713 A KR20220160713 A KR 20220160713A KR 1020227041484 A KR1020227041484 A KR 1020227041484A KR 20227041484 A KR20227041484 A KR 20227041484A KR 20220160713 A KR20220160713 A KR 2022016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assembly
drive engine
midsole
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피. 아바르
나리싸 창
파니 융 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6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끈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과 관련되는 시스템들 및 장치가, 논의된다. 일 예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복수의 통합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액추에이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프레임은,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요소들을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 프레임은, 폭, 길이, 및 두께를 구비하며, 여기서, 폭 및 길이는, 두께에 의해 분리되는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프레임 내로 통합되고,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헤드, 및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측으로부터 내측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버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LACING ENGINE SUPPORT STRUCTURE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뒤따르는 명세서는,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 모터식 및 비-모터식 끈 구동 엔진, 끈 구동 엔진들에 관련되는 신발류 구성요소들, 자동화된 끈 구동 신발류 플랫폼들, 뿐만 아니라 관련된 구동 구조물 및 지지 구조물의 다양한 양태들을 설명한다.
관련 기술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7년 10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574,953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신발류 물품을 자동으로 조이기 위한 장치들이, 이전에 제안된 바 있다. "자동 조임 신발"로 명칭이 부여된 미국 특허 제6,691,433호에서, 리우는, 신발의 갑피 부분 상에 장착되는 제1 체결구 및, 폐쇄 부재에 연결되며 그리고 조여진 상태에서 폐쇄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체결구와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제2 체결구를 제공한다. 리우는, 밑창의 뒤꿈치 부분 내에 장착되는, 구동 유닛을 교시한다. 구동 유닛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한 쌍의 당김 끈, 및 모터 유닛을 포함한다. 각 끈은, 스풀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제2 체결구의 끈 구멍에 대응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다. 모터 유닛은, 스풀에 커플링된다. 리우는, 모터 유닛이, 제2 체결구를 제1 체결구를 향해 당기도록 스풀 상의 당김 끈들을 감기 위해, 하우징 내의 스풀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다는 것을, 교시한다. 리우는 또한, 당김 끈들이 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 튜브 유닛을 교시한다.
본 발명은,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부의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반드시 축적대로 작도되지 않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상이한 도면들 내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들을 갖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경우들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도면들은, 일반적으로, 예로서, 그러나 제한으로서는 아니게, 본 문헌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분해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과 접속(access)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을 유지하기 위한 중창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 및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중창 및 바닥창을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 중창 플레이트,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g,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에서의 사용을 위한 중창 플레이트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에 제공된 임의의 제목들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그리고 사용되는 용어의 범위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지는 것은 아니다.
셀프-조임 신발 끈들에 대한 개념은, 1989년에 개봉된, 영화 백 투 더 퓨처 II에서, 마티 맥플라이에 의해 착용된 가상의 동력-끈 구동 Nike® 스니커즈에 의해 처음으로 널리 대중화되었다. Nike®가, 그 후로, 백 투 더 퓨처 II로부터의 영화 소품 버전의 외양과 유사한 동력-끈 구동 스니커즈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버전을 출시했지만, 이러한 이전 버전들에 사용되는 내부 기계 시스템들 및 주변 신발류 플랫폼은, 반드시 대량 생산 또는 일상적 사용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들을 위한 앞선 설계들은, 많은 문제들 중 소수만 강조하자면, 높은 제조 비용, 복잡성, 조립 문제, 및 서비스 가능성의 부족, 및 약하거나 깨지기 쉬운 기계적 메커니즘과 같은, 문제점들로부터 비교적 어려움을 겪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무엇보다도, 이상에 논의된 문제점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소하는, 모터식 및 비-모터식 끈 구동 엔진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형 신발류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하에 논의되는 구성요소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비스 가능한 구성요소들, 상호 교환 가능한 자동화된 끈 구동 엔진들, 견고한 기계적 설계, 신뢰할 수 있는 작동, 능률적인 조립 프로세스들, 및 소매-수준의 양산(retail-level customizat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익을 제공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다른 이익들이,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 논의되는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은, 처음부터 끝까지, 자동화된 끈 구동 신발류 플랫폼의 견고하고, 서비스 가능하며, 그리고 상호 교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끈 구동 엔진은, 모듈형 신발류 플랫폼으로의 소매 수준(retail-level)의 최종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한 설계 요소들을 포함한다. 끈 구동 엔진 설계는, 표준 조립 프로세스 대한 고유의 맞춤이 여전히 현재 조립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가 공지의 조립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예에서, 모듈형 자동화된 끈 구동 신발류 플랫폼은, 끈 구동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중창에 고정되는 중창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중창 플레이트의 설계는, 끈 구동 엔진이 구입 시점에서 늦게 신발류 플랫폼 내로 낙하되는 것을 허용한다. 중창 플레이트, 그리고 모듈형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른 양태들은, 상이한 유형의 끈 구동 엔진들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 논의되는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은, 인력식 끈 구동 엔진과 교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 존재 감지 또는 다른 선택적 특징을 갖는, 완전 자동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이, 표준 중창 플레이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중창 플레이트는 또한, 외부 충격 및 유사한 응력으로부터 끈 구동 엔진을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은, 최종 사용자에서 조임 제어 뿐만 아니라, 신발류 플랫폼의 외표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투명한 액추에이터들을 통해 투사되는 LED 광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창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액추에이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끈 구동 엔진 또는 다른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촉감적 및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액추에이터들은, 끈 구동 엔진 또는 다른 자동화된 신발류 시스템들에, 내후성 또는 기후 저항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초기 개요는, 본 특허 출원의 대상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뒤따르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발명들에 대한 배제적인 또는 총망라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이하에서, 모터식 끈 구동 엔진, 중창 플레이트, 및 플랫폼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논의한다. 본 개시의 대부분은 모터식 끈 구동 엔진에 관해 집중하지만, 논의되는 설계의 기계적 양태들 중의 많은 수는, 인력식 끈 구동 엔진 또는, 부가적인 능력 또는 더 적은 능력을 갖는, 다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들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자동화된"은, 단지 사용자 입력 없이 작동하는 시스템만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대신에, 용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은, 신발류의 끈 구동 시스템 또는 구속 시스템을 조이기 위한, 다양한 전동식 및 인력식의,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는 메커니즘 및 인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위한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분해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은, 끈 구동 엔진(10), 뚜껑(20), 액추에이터(30), 중창 플레이트(40), 중창(50), 및 바닥창(60)을 포함한다. 도 1은 자동화된 끈 구동 신발류 플랫폼의 구성요소들의 기본적 조립 순서를 예시한다.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은, 중창 플레이트(40)가 중창 내부에 고정되는 것과 더불어 시작한다. 이어서, 액추에이터(30)가, 바닥창(60) 내에 내장될 수 있는 버튼들과 접속(access)하도록 대향하여, 중창 플레이트의 바깥쪽 측면 내의 개구 내로 삽입된다. 이어서, 끈 구동 엔진(10)이, 중창 플레이트(40) 내로 낙하된다. 일 예에서, 끈 구동 시스템(1)은, 끈 구동 케이블의 연속적인 루프 아래에 삽입되며, 그리고 끈 구동 케이블은, 끈 구동 엔진(10)(이하에서 논의됨) 내의 스풀(spool)과 정렬된다. 마지막으로, 뚜껑(20)이, 중창 플레이트(40) 내의 홈들 내로 삽입되고, 폐쇄 위치로 고정되며, 그리고 중창 플레이트(40) 내의 리세스 내에 걸림 고정된다. 뚜껑(20)은, 끈 구동 엔진(10)을 포획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작동 도중에 끈 구동 케이블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발류 물품 또는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은, 발 존재 특성을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을 포함하는 신발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존재 센서는, 발이 신발류 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에 대한 2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2진 신호가 발이 존재한다고 지시하는 경우, 이어서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이, 신발류 끈 구동 케이블을 자동으로 조이도록 또는 이완시키도록 (즉, 느슨하게 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또는 해석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회로는 선택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내와 같은, 끈 구동 엔진(10) 내에 또는 끈 구동 엔진(10)과 함께 내장될 수 있다.
끈 구동 엔진(10)의 예들이, 도 2를 참조하여 약간 상세하게 그리고 그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액추에이터"로 명칭이 부여된. 함께 출원계속 중인 출원번호 제15/456,317호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액추에이터(30)의 예들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들이, 도 3a 내지 도 3d 뿐만 아니라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중창 플레이트(40)의 예들이, 도 4a 내지 도 4d 뿐만 아니라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1)에 대한 다양한 부가적 세부사항이, 본 설명의 나머지 부분 전체에 걸쳐 논의된다.
도 2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하우징 구조물(100), 케이스 스크류(108), 끈 채널(110)(또한 끈 가이드 이완부(110)로 지칭됨), 끈 채널 벽(112), 끈 채널 전이부(114), 스풀 리세스(15), 버튼 개구들(120), 버튼들(121),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 프로그래밍 헤더(128), 스풀(130), 및 끈 그로브(lace grove)(13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끈 구동 엔진(10)의 다양한 외부적 특징들을 소개한다.
일 예에서, 끈 구동 엔진(10)은, 케이스 스크류(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케이스 스크류(108)는, 끈 구동 엔진(10)의 구조적 무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차적 구동 메커니즘들 근처에 배치된다. 케이스 스크류(108)는 또한, 외부 이음부의 초음파 용접을 위해 함께 케이스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조립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능한다.
이러한 예에서, 끈 구동 엔진(10)은,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로 조립된 끈 또는 끈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끈 채널(110)을 구비한다. 끈 채널(110)은, 끈 채널 벽(112)을 구비한다. 끈 채널 벽(112)은, 작동 도중에 진입하는 끈 케이블을 위한 부드러운 가이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모깎기된 에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끈 채널(110)의 부드러운 가이드 표면의 일부가, 스풀 리세스(15) 내로 이어지는 끈 채널(110)의 확장된 부분인, 채널 전이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스풀 리세스(15)는, 채널 전이부(114)로부터, 스풀(130)의 윤곽에 근접하게 합치하는 대략 원형의 섹션들로, 전이된다. 스풀 리세스(15)는, 스풀(130)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감긴 끈 케이블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러나, 설계의 다른 양태들이, 스풀(130)의 1차적 유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스풀(130)은, 평평한 상측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끈 그로브(132) 및 반대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스풀 샤프트(133)(도 2a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요-요(yo-yo)의 절반과 유사하게 성형된다. 스풀(130)은, 부가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끈 구동 엔진(10)의 바깥쪽 측면은,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위한 버튼들(121)이 하우징 구조물(100)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개구들(120)을 구비한다. 버튼들(121)은, 이하에 논의되는 부가적인 도면들에 예시되는, 스위치들(122)의 활성화를 위한 외부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하우징 구조물(100)은, 먼지 및 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을 구비한다. 이러한 예에서,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은, 하우징 구조물(10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모서리 위로 그리고 바깥쪽 측면 아래로 부착되는, 최대 수 밀(mil)(천분의 1 인치) 두께의 투명한 플라스틱(또는 유사한 재료)이다. 다른 예에서,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은, 버튼들(121) 및 버튼 개구들(120)을 커버하는, 2 밀 두께의 비닐 접착제 보강 멤브레인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버튼들(121)에 대한 접속을 신발류 조립체의 외측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특정 촉감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기후 및 파편으로부터 끈 구동 엔진을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과 접속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를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다른 예시적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이하에 논의된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30)는, 브릿지(310), 광 파이프(320), 후방 아암(330), 중앙 아암(332), 및 전방 아암(334)과 같은, 특징부들을 구비한다. 도 3a는 또한, LED들(340)(또한 LED(340)로 지칭됨), 버튼들(121) 및 스위치들(122)과 같은, 끈 구동 엔진(10)의 관련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은 각각, 버튼들(121)을 통해 스위치들(122) 중의 하나를 별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30)는 또한, 리셋 또는 다른 기능들과 같은 것을 위한, 양자 모두의 스위치(122)의 활성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액추에이터(30)의 1차적 기능은, 끈 구동 엔진(10)에 조임 명령 및 풀림 명령을 제공하는 것이다. 액추에이터(30)는 또한, LED들(340)로부터 신발류 플랫폼의 외측 부분(예를 들어, 바닥창(60)) 밖으로 광을 유도하는, 광 파이프(320)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320)는, 복수의 개별적인 LED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액추에이터(30)의 면을 가로질러 균등하게 분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30)의 아암들,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은, 신발류 플랫폼의 측면에 대한 충격에 대한 안전 방책을 제공하여 스위치들(122)의 과잉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들을 구비한다. 큰 중앙 아암(332)은 또한, 끈 구동 엔진(10)의 측면에 대한 충격 하중을, 버튼들(121)에 대한 이러한 하중의 전달을 허용하는 대신에, 지탱하도록 설계된다.
도 3b는, 전방 아암(334)의 예시적인 구조 및 버튼(121)과의 맞물림을 추가로 도시하는, 액추에이터(30)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3c는,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을 통한 활성화 경로를 도시하는, 액추에이터(30)의 부가적인 평면도이다. 도 3c는 또한, 도 3d에 도시되는 단면도에 대응하는, A-A 단면선을 묘사한다. 도 3d에서, 액추에이터(30)는, 점선으로 도시되는 전달되는 광(345)과 함께, 단면도로 도시된다. 광 파이프(320)는, LED들(340)로부터의 전달되는 광(345)을 위한 전달 매체를 제공한다. 도 3d는 또한, 액추에이터 커버(610) 및 융기된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615)와 같은, 바닥창(60)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10)을 유지하기 위한 중창 플레이트(40)를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부가적인 예시적 중창 플레이트가,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하여 이하에 논의된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40)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 안쪽 끈 가이드(420), 바깥쪽 끈 가이드(421), 뚜껑 슬롯(430), 전방 플랜지(440), 후방 플랜지(450), 상부 표면(460), 하부 표면(470), 및 액추에이터 절개부(480)와 같은, 특징부들을 구비한다.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는, 끈 구동 엔진(10)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예에서,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는, 끈 구동 엔진(10)을 횡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구속하지만, 끈 구동 엔진(10)을 캐비티 내에 잠금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내장형 특징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 내부에서 끈 구동 엔진(10)을 형상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따르는, 멈춤쇠들, 탭들, 또는 유사한 기계적 특징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안쪽 끈 가이드(420) 및 바깥쪽 끈 가이드(421)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410) 내로 그리고 (존재할 때) 끈 구동 엔진(10) 위로, 끈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것을 지원한다. 안쪽 끈 가이드(420) 및 바깥쪽 끈 가이드(421)는, 끈 구동 엔진(10) 위의 요구되는 위치로 끈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모깎기된 에지들 및 하방 경사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안쪽 끈 가이드(420) 및 바깥쪽 끈 가이드(421)는, 일반적인 끈 케이블 직경보다 많은 배수로 더 넓은, 중창 플레이트(40)의 측면들 내의 개구들을 구비하고, 다른 예에서, 안쪽 끈 가이드(420) 및 바깥쪽 끈 가이드(421)를 위한 개구들은, 끈 케이블 직경보다 단지 2배 더 넓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40)는, 중창 플레이트(40)의 안쪽 측부에서 훨씬 더 연장되는, 성형된 또는 윤곽형성된 전방 플랜지(440)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전방 플랜지(440)는, 신발류 플랫폼의 아치부 아래에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전방 플랜지(440)는, 안쪽 측부에서 덜 두드러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후방 플랜지(450) 또한,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 양자 모두에 연장된 부분들을 갖는, 특별한 윤곽을 구비한다. 도시된 후방 플랜지(450) 형상은, 끈 구동 엔진(10)을 위한 향상된 횡방향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4b 내지 도 4d는, 끈 구동 엔진(10)을 구속하기 위한 그리고 끈 케이블(131)을 포획하기 위한, 중창 플레이트(40) 내로의 뚜껑(20)의 삽입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뚜껑(20)은, 래치(210), 뚜껑 끈 가이드들(220), 뚜껑 스풀 리세스(230), 및 뚜껑 클립들(240)과 같은, 특징부들을 구비한다. 뚜껑 끈 가이드들(220)은, 안쪽 뚜껑 끈 가이드 및 바깥쪽 뚜껑 끈 가이드(220)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끈 가이드들(220)은, 끈 구동 엔진(10)의 적절한 부분을 통한 끈 케이블(131)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한다. 뚜껑 클립들(240) 또한, 안쪽 뚜껑 클립 및 바깥쪽 뚜껑 클립(240)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클립들(240)은, 중창 플레이트(40)에 대한 뚜껑(20)의 부착을 위한 선회 지점을 제공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은, 뚜껑 클립들(240)이 뚜껑 슬롯들(430)을 통해 중창 플레이트(40)에 진입함과 더불어, 중창 플레이트(40) 내로 직하방으로 삽입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클립들(240)이 뚜껑 슬롯들(430)을 통해 삽입된 다음, 뚜껑(20)은, 뚜껑 클립들(240)이 중창 플레이트(4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4d는, 중창 플레이트(40) 내의 뚜껑 래치 리세스(490)와 래치(210)의 맞물림에 의해 끈 구동 엔진(10) 및 끈 케이블(131)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클립들(240)을 중심으로 하는 뚜껑(20)의 회전 또는 선회를 예시한다. 제위치에 스냅 결합되면, 뚜껑(20)은, 중창 플레이트(40) 내부에 끈 구동 엔진(10)을 고정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10) 및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창(50) 및 바닥창(60)을 도시하는, 도해들 및 도면들이다. 중창(50)은, 임의의 적당한 신발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창 플레이트(40) 및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50)은, 플레이트 리세스(510), 전방 플랜지 리세스(520), 후방 플랜지 리세스(530), 액추에이터 개구(540) 및 액추에이터 커버 리세스(550)와 같은, 특징부들을 구비한다. 플레이트 리세스(510)는, 중창 플레이트(40)의 대응하는 특징부들을 정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절개부들 및 유사한 특징부들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 개구(540)는, 신발류 플랫폼(1)의 바깥쪽 측면으로부터의 액추에이터(30)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결정되고 배치된다. 액추에이터 커버 리세스(550)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구동 엔진(10)에 대한 1차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특별한 촉감 및 시각적 모습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액추에이터(30)를 보호하기 위한, 몰딩 성형된 커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창(50)의 만입된 부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창(50) 및 바닥창(60)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5b는, 예시적인 액추에이터 커버(610) 및, 액추에이터 커버(610) 내에 몰딩 성형되거나 달리 형성되는, 융기된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615)에 대한 예시를 포함한다. 도 5c는, 액추에이터 커버(610) 및, 액추에이터(30)의 광 파이프(320)를 통해 바닥창(60)으로 전달되는 광의 부분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수평 줄무늬를 구비하는, 융기된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615)의 부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5d는, 액추에이터 커버(610)의 적용 이전에 액추에이터 개구(540) 내부에의 액추에이터(30)의 배치 뿐만 아니라, 중창(50) 상의 액추에이터 커버 리세스(550)를 추가로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커버 리세스(550)는, 액추에이터 커버(610)를 중창(50) 및 바닥창(60)에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터식 끈 구동 엔진(10)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1)의 예시도들이다. 이러한 예에서, 도 6a 내지 도 6c는, 끈 구동 엔진(10), 중창 플레이트(40), 중창(50), 및 바닥창(60)을 포함하는, 조립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투명한 예들을 묘사한다. 도 6a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6b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6c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갑피 부분이 제거된, 평면도이다. 평면도는, 끈 구동 엔진(10), 뚜껑(20), 액추에이터(30), 중창 플레이트(40), 중창(50), 및 바닥창(60)의 상대적인 위치설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예에서, 평면도는 또한, 스풀(130), 안쪽 끈 가이드(420), 바깥쪽 끈 가이드(421), 전방 플랜지(440), 후방 플랜지(450), 액추에이터 커버(610), 및 융기된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615)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 구동 엔진, 중창 플레이트,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도 7a는 신발류 조립체(700)의 분해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끈 구동 엔진(710), 뚜껑(720), 액추에이터 조립체(730), 중창 플레이트(740), 중창(750), 힐 카운터(heel counter)(755), 및 바닥창(7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끈 구동 엔진(710)은, 한 쌍의 제어 버튼(712), 방호체(714), 및 보호 끼움체(7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그리고 뒤따르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조립체(700)는, 바닥창(760) 및 힐 카운터(755)를 중창(750)에 접합함에 의해 조립된다.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를 중창 플레이트(740) 내에 삽입하며 그리고 중창 플레이트(740)를 중창(750) 내의 캐비티 내에 접합한다. 일단 조립되면, 중창 플레이트(740)는, 이러한 예에서, 끈 구동 엔진 절개부(752)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다른 예에서, 중창(750)은, 단지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액추에이터 헤드들만을 노출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중창 플레이트(74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가 중창(750) 내에 놓인 이후에, 끈 구동 엔진(710)이, 제자리 내로 낙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뚜껑(720)이, 끈 구동 엔진(710)을 고정하기 위해 스냅 결합될 수 있다.
도 7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700)의 바깥쪽 측면의 일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중창(750) 내부에 묘사된다. 중창 플레이트(740)는, 중창(750) 내의 끈 구동 엔진 절개부(752)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끈 구동 엔진 절개부(752)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액추에이터 리세스들(741) 및 액추에이터 개구들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허용한다. 도 7b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어떻게 끈 구동 엔진(710)의 버튼들(721)이 중창 플레이트(740) 내의 액추에이터 개구들(742)과 정렬되는지를 예시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조립체(730) 없이 도시된다.
도 7c는 신발류 조립체(700)의 일부분의 전체 바깥쪽 측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부착되는 바닥창(760) 및 힐 카운터(755)와 함께, 중창(750)을 포함한다. 중창 플레이트(74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는 또한, 끈 구동 엔진 절개부(752)를 통해 설치되며 그리고 부분적으로 시인 가능하다.
도 7d는, 일 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700)의 아래쪽 부분에 대한 평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750)은, 뚜껑(720)과 함께 중창 플레이트(740) 내에 고정되는 끈 구동 엔진(710)과 함께, 중창 플레이트(740)를 유지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힐 카운터(755)는 또한, 중창(750)의 근위측 단부에 부착되는 위치에 묘사된다.
도 7e는 신발류 조립체(700)의 중창 플레이트(740)의 평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설치된 끈 구동 엔진(71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와 함께 도시된다. 도 7e에 도시된 중창 플레이트(740)의 세부사항은, 안쪽 뚜껑 힌지 리세스(743), 바깥쪽 뚜껑 힌지 리세스(744), 및 2개의 뚜껑 래치 리세스(745)를 구비한다. 일부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뚜껑 래치 리세스(745)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창 플레이트(740)는, 단일의 중앙에 위치되는 뚜껑 래치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뚜껑 힌지 리세스(743)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안쪽 측부를 따르는, 측면 및 상면 내의 절개부이다. 대조적으로, 바깥쪽 뚜껑 힌지 리세스(744)는, 끈 구동 엔진(710)을 위한 캐비티 내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구비하며 그리고 뚜껑 힌지 핀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구비한다.
도 7f는 신발류 조립체(700)의 중창 플레이트(740)의 상측 사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다시 한번, 설치된 끈 구동 엔진(71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와 함께 묘사된다. 사시도는, 어떻게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구조물들이 중창 플레이트(740) 및 끈 구동 엔진(710)과 접속하는지에 대한, 더 양호한 도면을 제공한다. 상세한 구조는, 이하에서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된다.
도 8a 내지 도 8g,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700)에서의 사용을 위한 중창 플레이트(74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예시도들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의 바닥면을 따르는 선택적 와플 보강체(74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8a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의 바닥면의 대부분을 따라 분포되는 와플 보강체(746)에 대한 모습을 포함하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평면 예시도이다. 일부 예에서, 와플 보강체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의 전체 바닥면 또는 바닥면의 상이한 부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와플 보강체(746)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휨에 의해 유발되는 응력 뿐만 아니라, 충격 보호를 개선하기 위해, 중창 플레이트(740)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예에서, 와플 보강체는, 일련의 상호연결된 육각형들이지만, 다른 기하학적 형상들이, 활용될 수 있다. 육각형들의 측벽들은, 구조물의 금형 이탈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직에서 벗어나 약간 경사진다. 측벽들의 더 두꺼운 베이스가 또한, 구조물의 전체 강도 및 강성에 부가된다.
도 8b는 중창 플레이트(740) 및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액추에이터 헤드들은, 중창 플레이트(740)의 바깥쪽 측면 상에서 시인 가능하다.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액추에이터 헤드들은, 중창 플레이트(740) 내의 액추에이터 개구들(742)을 통해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 내부로부터 압박된다.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는, 이러한 예에서, 충분한 유연성이 중창 플레이트(740) 내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탄성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탄성중합체 재료는 또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기후 밀봉 능력을 향상시킨다.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는 또한, 캐비티의 바닥면을 따르는 와플 보강체(746)와 함께 도시된다.
도 8c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저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의 외측 측벽들 주변에 분포되는 일련의 지지부들(747)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지지부들(747)은, 원치 않는 응력이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 내부에 배치되는 끈 구동 엔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추가로 지원하기 위한, 구조적 강성의 부가적 방책을 제공한다. 2차적으로, 지지부들(747)은 또한, 중창(750) 내부에서 중창 플레이트(740)를 위치설정하고 고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도 8d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안쪽 측면도이며, 그리고 사용자의 발 형상에 더 양호하게 합치하도록 중창 플레이트(740) 내에 내장되는 윤곽들 중의 일부를 가시화하는 것을 지원한다. 도 8e는, 또한 중창 플레이트(740) 내에 내장되는 윤곽들을 도시하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후방측 또는 근위측 도면이다. 도 8f는,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 내부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위치설정을 도시하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근위측 사시도이다.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의 바깥쪽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바깥쪽 뚜껑 힌지 리세스(744) 구조물이, 또한 예시된다.
도 8g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액추에이터 헤드들 중의 하나 및 중창 플레이트(740)를 통한 단면도이다. 단면도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구조물 중의 일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액추에이터 조립체(730)가 중창 플레이트(740) 내의 액추에이터 개구들(742)과 접속하는지를 예시한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와플 보강체(746)의 측벽들은, 완전히 수직이 아닌 대신, 각 육각형의 베이스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다. 액추에이터 조립체(730) 구조물의 예시적인 세부사항들이,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논의된다.
도 9a 내지 도 9f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예시도들이다. 일부 예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는, 유연성 및 투명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계 탄성중합체 재료로 몰딩 성형된다. 실리콘계 재료는 또한, 중창 플레이트(740) 내로의 물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기후 밀봉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성은, 액추에이터 헤드들이 끈 구동 엔진(710)으로부터 신발류 조립체(700) 외부로 LED 광을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유연성 재료들이 또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제조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 9a는, 후방 액추에이터(910), 전방 액추에이터(920), 및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들(940)을 예시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사시도이다. 후방 및 전방 전문용어는, 단지 이러한 예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액추에이터들에 대한 약간의 특별한 배향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있다. 도 9b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평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는, 한 세트의 후방 액추에이터 딤플(911)을 수용하는 후방 액추에이터 헤드(915)를 갖는, 후방 액추에이터(91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조립체(730)는 또한, 한 세트의 전방 액추에이터 딤플(921)을 수용하는 전방 액추에이터 헤드(925)를 갖는, 전방 액추에이터(92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딤플들(911, 921)은, 상이한 액추에이터들(910, 920)에 대한 촉감적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 액추에이터 헤드(915, 925) 상에 고유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딤플들(911, 921)은, 화살촉 패턴으로 배열되지만, 다른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도 9c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이상에 논의된 구조물들에 대한 상이한 도면을 예시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9d는, 버튼 인터페이스들(950), 구동 캐비티들(960) 및 플레이트 리세스(970)와 같은, 구조물들에 대한 예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저면도이다.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은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헤드들(915, 925)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부재들이다.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은, 버튼들(712)과 같은, 끈 구동 엔진 상의 버튼들과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은 또한, 액추에이터 헤드들(915, 925)을 조명하기 위해, 끈 구동 엔진 내부의 LED들로부터 광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프레임(930)의 배면으로 이어지는 모깎기된 에지들을 갖는 도우넛 형상 원통들인, 구동 캐비티들(960)이,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을 둘러싸고 있다. 구동 캐비티들(960)은, 액추에이터 헤드들(915, 925)이 끈 구동 엔진(710) 상의 버튼들(712)의 용이한 활성화를 허용하기 위한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캐비티들 및 액추에이터 헤드들의 조합은,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의 병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다이어프램을 생성한다. 구동 캐비티들(960)의 용적은,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의 병진 이동(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헤드들(915, 925)의 함몰)의 양 및 용이함 양자 모두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버튼 인터페이스들(950) 및 대응하는 구동 캐비티들(960)은, 끈 구동 엔진 상의 상이한 버튼 배치 및 구성을 수용하도록,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모듈형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은, 중창 플레이트에 대한 주요 설계 변경에 대한 필요 없이, 상이한 끈 구동 엔진들이 상이한 액추에이터 조립체들과 정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9e는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이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내측 표면과 수직이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다른 예에서,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은, 내측 표면에 대해 수직이거나 또는 어떤 다른 각도로 놓일 수 있고, 버튼 인터페이스들(950)의 배향은, 끈 구동 엔진 상의 버튼들의 위치 및 배향에 의존한다. 플레이트 리세스(970)는, 중창 플레이트(740)의 끈 구동 엔진 캐비티(748) 내부의 돌출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 리세스(970)와 중창 플레이트(740) 사이의 접속은,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한다.
도 9f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조립체(730)의 측방 사시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후방 액추에이터 딤플들(911)을 구비하는 후방 액추에이터 헤드를 갖는, 후방 액추에이터(9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후방 액추에이터(910)는, 이러한 예에서 감소된 직경의 원통형 연결부인,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940)에 의해 액추에이터 프레임에 연결된다.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940)는, 충분한 유연성이 액추에이터 개구(742) 내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측벽 두께를 갖는 중공 원통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940)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헤드(910)의 립부(lip)가, 조립될 때 중창 플레이트(740)의 외측 표면과 정합하는, 평평한 내측 표면을 구비한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위한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1000)은, 인터페이스 버튼들, 발 존재 센서(들), 프로세서 회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PCA), 배터리, 충전 코일, 인코더, 모터, 변속기, 및 스풀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모터식 끈 구동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인터페이스 버튼들 및 발 존재 센서(들)는, 또한 배터리 및 충전 코일과 소통하는, 회로 기판(PCA)과 통신한다. 인코더 및 모터 또한, 회로 기판에 그리고 서로 연결된다. 변속기가, 구동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 모터를 스풀에 커플링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 회로는, 구동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회로는, 버튼들로부터 및/또는 발 존재 센서로부터 및/또는 배터리로부터 및/또는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및/또는 인코더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로, 다른 기능들 중에서도, 예를 들어, 신발류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또는 센서 정보를 획득하거나 기록하기 위해, 구동 메커니즘에 명령을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무엇보다도, 신발 끈들의 자동 및 반-자동 조임을 위한 개선된 모듈형 끈 구동 엔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했다. 본 문헌은, 무엇보다도, 신발류 플랫폼 내부의 자동화된 모듈형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기계적 설계를 설명한다. 뒤따르는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액추에이터 및 신발류 조립체의 비-제한적인 예들을 제공한다.
예 1은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부의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대상을 설명한다.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프레임 및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액추에이터 프레임은,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요소들을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 프레임은, 폭, 길이, 및 두께를 구비하며, 여기서, 폭 및 길이는, 두께에 의해 분리되는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프레임 내로 통합되고,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헤드, 및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측으로부터 내측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버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 2에서, 예 1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단일 몰딩 성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프레임 및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 2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투명 및 방수 재료로 형성되는, 단일 몰딩 성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에서, 예 2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실리콘계 재료로 형성되는, 단일 몰딩 성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 5에서, 예 1 내지 예 4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 조립체 및 끈 구동 엔진이 신발류 조립체 내에 설치될 때, 끈 구동 엔진 상의 복수의 버튼 중의 개별적인 버튼과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버튼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 5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끈 구동 엔진 상의 복수의 버튼에 인접한 또는 복수의 버튼 내로 통합되는 LED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 7에서, 예 1 내지 예 6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개별적인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버튼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 7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버튼 인터페이스를 둘러싸며 그리고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내측 표면 내에 개구를 형성하는 구동 캐비티를 구비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 8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는, 구동 캐비티를 구비할 수 있다.
예 10에서, 예 7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끈 구동 엔진 상의 개별적인 버튼과 맞물리도록 개별적인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버튼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 11에서, 예 1 내지 예 10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로서,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는 액추에이터 헤드와 외측 표면 사이에 감소된 직경의 영역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2에서, 예 11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신발류 조립체 내에 설치될 때 중창 플레이트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 12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신발류 조립체 내에 설치될 때, 중창 플레이트 내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헤드,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 및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외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 1 내지 예 13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각의 개별적인 액추에이터에 대한 촉감적 식별을 허용하는 고유의 딤플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 15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부의 끈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대상을 설명한다. 이러한 예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갑피 부분, 중창 부분 및 바닥창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 부분은, 신발류 조립체 내부에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창 부분은, 갑피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그리고 끈 구동 엔진을 수용하는 중창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중창 플레이트는, 액추에이터 조립체 내의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며,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끈 구동 엔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접속을 제공한다. 바닥창 부분은, 중창 부분의 적어도 바닥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 16에서, 예 15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원형이며 그리고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중창 플레이트 내의 복수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예 17에서, 예 16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프레임과 액추에이터 헤드 사이의 감소된 단면적의 원통형 목 부분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 18에서, 예 17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물 침입으로부터 중창 플레이트 내의 복수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기능하는, 액추에이터 헤드,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 및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예 19에서, 예 17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개구 내로의 각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의 압입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도록 실리콘계 재료로 형성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0에서, 예 15 내지 예 19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끈 구동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 하측 바닥부를 구비하는, 중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1에서, 예 20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금형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진 측벽들을 갖는 와플 구조물을 갖는, 보강 하측 바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 22에서, 예 15 내지 예 21 중의 어느 한 예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끈 구동 엔진을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 끈 구동 엔진 내로 끈 케이블을 경로설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뚜껑을 수용하기 위한 뚜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중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3에서, 예 22의 대상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래치 리세스, 안쪽 뚜껑 힌지 리세스 및 바깥쪽 뚜껑 힌지 리세스를 구비하는, 뚜껑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부가적 사항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복수의 사례들이, 단일 사례로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 작동들 또는 구조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하나 이상의 방법들의 개별적인 작동들이, 별개의 작동들로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개별적인 작동들 중의 하나 이상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리고 작동들이 도시된 순서로 수행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제시되는 구조들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단일 구성요소로서 제시되는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들, 수정들, 부가들, 및 개선들이, 본 명세서의 대상의 범위 이내에 속한다.
비록 본 발명의 대상의 개요가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보다 넓은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의 그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총체적으로, 단지 편의상 그리고, 본 출원의 범위를, 실제로 하나 초과가 개시되는 경우, 임의의 단일 개시 또는 발명적 개념으로 자진하여 제한하도록 의도하지 않는 가운데, 용어 "발명"으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개시된 교시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구조적 및 논리적 대체 및 변경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로부터 사용되고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한하는 의미로 취해지지 않아야 하며,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개시된 대상이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또는"은 포괄적 의미 또는 배타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복수의 사례가, 단일 사례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리소스들, 작동들 또는 구조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리소스들, 작동들, 모듈들, 엔진들, 데이터 저장소들 사이의 경계들이, 얼마간 임의적이며 그리고 특정 작동들은, 특정 예시적 구성의 맥락에서 예시된다. 기능에 대한 다른 할당이, 구상되며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리소스들로서 제시되는 구조들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리소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단일 리소스로서 제시되는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리소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들, 수정들, 부가들 및 개선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 이내에 속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들은 각각,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예와의 다양한 치환 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들은, 예시로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또한, "예들"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그러한 예들은, 도시되는 또는 설명되는 것에 부가하여,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단지 도시되는 또는 설명되는 그러한 요소들만 제공되는, 예들을 고려한다. 더불어, 본 발명자들은 또한,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특정 예(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양태)와 관련하여, 또는 다른 예(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양태)와 관련하여,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그러한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들(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양태)을 고려한다.
본 문헌과 참조로 통합되는 문헌들 사이의 일관적이지 않은 용법들의 경우, 본 문헌에서의 용법이, 지배한다.
본 문헌에서, 용어 "부정관사"는, 특허 문헌들에서 통상적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사례들 또는 용법들과 무관하게, 하나 또는 하나 초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용어 "또는"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비-배타적이거나, 또는 "A 또는 B"가 "A이지만 B는 아닌", "B이지만 A는 아닌" 및 "A 및 B"를 포함하는 것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용어 "구비하는" 및 "그 내부에"는, 개별적인 용어 "포함하는" 및 "여기서"의 쉬운 영어 균등형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뒤따르는 청구범위에서, 용어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은, 끝이 개방된 것이며, 즉, 청구항 내의 그러한 용어 이후에 열거된 것들에 부가하여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장치, 물품, 조성물, 제제 또는 프로세스가, 여전히 그러한 청구항의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불어, 뒤따르는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표식들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그들의 대상들에 관해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모터 제어 예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 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구현 또는 컴퓨터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은, 이상의 예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구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명령으로 인코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구현은, 마이크로 코드, 어셈블리 언어 코드, 더 높은 수준의 언어 코드,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예에서, 코드는, 코드는, 예를 들어 실행 도중에 또는 다른 시점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 실체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실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체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 디스크들, 제거 가능한 자기 디스크들, 제거 가능한 광 디스크들(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들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들), 자기 카세트들, 메모리 카드들 또는 스틱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RAM들), 읽기 전용 메모리들(ROM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그리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상에 설명된 예들(또는 그들의 하나 이상의 양태)은, 서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이, 예를 들어 이상의 설명을 검토하는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되는 경우, 요약이, 미국 규정 37 C.F.R. §1.72 (b)을 준수하기 위해, 독자가 기술적 개시의 본성을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포함된다. 요약은, 요약이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와 함께, 제출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이, 본 개시를 합리화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청구항에 필수적이라고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대신에, 본 발명의 대상은,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뒤따르는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각 청구항은 별도의 실시예로서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가운데, 예들 또는 실시예들로서 상세한 설명 내에 통합되며, 그리고 그러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조합 또는 치환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그러한 청구범위가 권리를 부여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신발류 조립체로서,
    신발류 조립체 내에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갑피 부분;
    상기 갑피 부분에 커플링되고, 끈 구동 엔진을 수용하는 중창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중창 부분으로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는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상기 끈 구동 엔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접속을 제공하는 것인, 중창 부분; 및
    상기 중창 부분의 적어도 아래 부분에 커플링되는 바닥창 부분
    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의 복수의 개구는 원형이고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프레임과 액추에이터 헤드 사이의 감소된 단면적의 원통형 목 부분인 것인, 신발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헤드, 상기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조합은 물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중창 플레이트 내의 복수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기능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개구 내로 각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의 압입 조립이 용이하도록 실리콘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는 상기 끈 구동 엔진을 보호하도록 보강 하측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하측 바닥부는 금형 이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측벽들을 구비한 와플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는 상기 끈 구동 엔진을 고정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끈 구동 엔진 내로 끈 케이블을 경로설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뚜껑을 수용하기 위한 뚜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래치 리세스, 안쪽 뚜껑 힌지 리세스 및 바깥쪽 리드 힌지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프레임으로서, 폭, 길이 및 두께를 갖고, 상기 폭과 길이는 상기 두께에 의해 분리되는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액추에이터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 내로 통합되고,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는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액추에이터 헤드 및 상기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내측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버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 및 끈 구동 엔진이 신발류 조립체 내에 설치될 때,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버튼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끈 구동 엔진 상의 복수의 버튼의 개별 버튼과 각각 맞물리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끈 구동 엔진 상의 복수의 버튼에 인접하거나 또는 복수의 버튼 내로 통합되는 LED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버튼 인터페이스는 개별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측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는 상기 버튼 인터페이스를 둘러싸며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내측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는 구동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캐비티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의 각 버튼 인터페이스는 끈 구동 엔진 상의 개별 버튼과 맞물리도록 개별 액추에이터 헤드의 배면측의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인, 액추에이터 조립체.
  17. 신발류 조립체로서,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류 조립체의 끈 부분을 조이도록 되어 있는 끈 구동 엔진;
    상기 신발류 조립체 내에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갑피 부분;
    상기 갑피 부분에 커플링되고, 상기 끈 구동 엔진을 수용하는 중창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중창 부분으로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는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상기 끈 구동 엔진의 제어 스위치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것인, 중창 부분; 및
    상기 중창 부분의 적어도 아래 부분에 커플링되는 바닥창 부분
    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플레이트의 복수의 개구는 원형이고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액추에이터 프레임과 액추에이터 헤드 사이의 감소된 단면적의 원통형 목 부분인 것인, 신발류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헤드, 상기 액추에이터 플레이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조합은 물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중창 플레이트의 복수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기능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KR1020227041484A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 KR20220160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4953P 2017-10-20 2017-10-20
US62/574,953 2017-10-20
KR1020217007675A KR102472831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PCT/US2018/056625 WO2019079670A1 (en) 2017-10-20 2018-10-19 CARRIER STRUCTURES FOR AUTOMATED SHOE PLATFOR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675A Division KR102472831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13A true KR20220160713A (ko) 2022-12-06

Family

ID=661689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84A KR20220160713A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
KR1020207014467A KR102229928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KR1020217007675A KR102472831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467A KR102229928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KR1020217007675A KR102472831B1 (ko) 2017-10-20 2018-10-19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457696B2 (ko)
EP (2) EP3697250B1 (ko)
JP (2) JP2021500125A (ko)
KR (3) KR20220160713A (ko)
CN (2) CN114145546A (ko)
WO (1) WO20190796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3276B2 (en) 2017-10-20 2023-10-24 Nike, Inc. Lacing engine support structure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589B2 (en) 2016-03-15 2019-08-27 Nike, Inc.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694857B2 (en) * 2017-04-10 2020-06-30 Nike, Inc. Sport chair with game integration
KR20240046811A (ko) * 2018-11-30 2024-04-0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회전식 드럼 인코더를 구비한 오토레이싱 신발류 모터
US20230122485A1 (en) * 2021-10-15 2023-04-20 Shimano Inc. Cycling sho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104A (en) 1976-12-01 1979-10-09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Switch mechanism for wristwatch
US4764770A (en) * 1986-06-11 1988-08-16 Hewlett-Packard Company Stabilized molded rubber keyboards
US6896128B1 (en) * 1998-03-26 2005-05-24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6217183B1 (en) * 1999-09-15 2001-04-17 Michael Shipman Keyboard having illuminated keys
JP2002271047A (ja) * 2001-03-12 2002-09-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押し釦防沫構造
JP2002343457A (ja) * 2001-05-14 2002-11-29 Kuroi Electric Co Ltd 防水解除ボタン及び該防水解除ボタンを採用した防水速結端子台
TW521593U (en) 2002-02-08 2003-02-21 Kuen-Jung Liou Shoes capable of being tightened electrically
US7355590B2 (en) * 2002-04-30 2008-04-08 Nokia Corporation Keymat
FR2848389B1 (fr) * 2002-12-11 2006-02-10 Salomon Sa Semelage de chaussure
AT504267B1 (de) * 2005-03-18 2013-06-15 Pollmann Austria Ohg Baueinheit mit elektrischer schaltfunktion
US8046937B2 (en) *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US9375053B2 (en) * 2012-03-15 2016-06-28 Boa Technology, Inc.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same
US8434200B2 (en) * 2011-07-13 2013-05-07 Chin-Chu Chen Adjusting device for tightening or loosing laces and straps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JP2013247655A (ja) 2012-05-29 2013-12-09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電子機器
CN102686069A (zh) 2012-05-30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按键的壳体组件
CA2956846C (en) * 2014-07-31 2019-05-28 Powerlace Technologies Inc. Closure system
US10292451B2 (en) * 2015-05-28 2019-05-21 Nike,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894954B2 (en) * 2015-05-28 2018-02-20 Nike,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6896758B2 (ja) * 2016-03-15 2021-06-3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履物のための容量性足存在センシング
CN109152443B (zh) 2016-03-15 2021-06-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致动器
US10188169B2 (en) 2016-03-15 2019-01-29 Nike, Inc. Sensor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20220160713A (ko) 2017-10-20 2022-12-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엔진 지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3276B2 (en) 2017-10-20 2023-10-24 Nike, Inc. Lacing engine support structure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7250B1 (en) 2023-03-22
KR102472831B1 (ko) 2022-11-30
WO2019079670A1 (en) 2019-04-25
US11793276B2 (en) 2023-10-24
US11457696B2 (en) 2022-10-04
US20230045316A1 (en) 2023-02-09
CN111295107A (zh) 2020-06-16
JP2022169631A (ja) 2022-11-09
US20240041163A1 (en) 2024-02-08
US20190116937A1 (en) 2019-04-25
JP2021500125A (ja) 2021-01-07
KR20210032017A (ko) 2021-03-23
EP4218477A1 (en) 2023-08-02
CN111295107B (zh) 2021-11-26
KR102229928B1 (ko) 2021-03-19
KR20200060525A (ko) 2020-05-29
EP3697250A1 (en) 2020-08-26
EP3697250A4 (en) 2021-06-16
CN114145546A (zh)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831B1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US20210153606A1 (en)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432618B2 (en) Actuator for an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20200146400A1 (en)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CN109068804B (zh)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组装过程
CN109068806B (zh)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