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582A - 비침 방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비침 방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582A
KR20220160582A KR1020227033132A KR20227033132A KR20220160582A KR 20220160582 A KR20220160582 A KR 20220160582A KR 1020227033132 A KR1020227033132 A KR 1020227033132A KR 20227033132 A KR20227033132 A KR 20227033132A KR 20220160582 A KR20220160582 A KR 2022016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interior member
see
polarized light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노리 타카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4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thereof to the user, e.g. fogging prevention or anti-reflection arrangements
    • B60K35/425Anti-refl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66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volving the reflection of light at a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e.g. Brewster's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6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using polaris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부재의 상기 투명판으로의 비침이 방지된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침 방지 구조체는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판이 상기 내장 부재에서의 반사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장 부재가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상기 투명판을 향해서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침 방지 구조체가 차량의 내장 구조이다.

Description

비침 방지 구조체
본 발명은 비침 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부재의 상기 투명판으로의 비침이 방지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내장 부재에는 의장성 향상 때문에 여러 가지의 가식(加飾)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차창에 내장 부재의 반사상이 비칠 경우에는 차량 전방의 시인성의 관점으로부터 가식이 한정되고,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면은 명색(明色)을 갖는 가식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차창으로의 비침은 드라이브 리코더 등의 차량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탑재할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 성능의 발휘라는 관점으로부터도 문제가 된다. 또한, 내장 부재상의 윈도우로의 비침은 가옥, 빌딩 등의 건축물에서도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08407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부재의 상기 투명판으로의 비침이 방지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비침 방지 구조체는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판이 상기 내장 부재에서의 반사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장 부재가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상기 투명판을 향해서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장 부재가 상기 투명판에 대한 각도가 20°~120°가 되는 면을 갖고 있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장 부재가 편광 기능을 구비한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장 부재가 편광판을 구비한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침 방지 구조체가 차량의 내장 구조이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판이 차량의 앞유리이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장 부재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부재의 상기 투명판으로의 비침이 방지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비침 방지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 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참고예의 내용을 설명하는 사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비침 방지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비침 방지 구조체(100)는 투명판(10)과, 내장 부재(20)를 구비한다. 투명판(10)은 내장 부재(20)에서의 반사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내장 부재(20)는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투명판(10)을 향해서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S편광은 투명판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높고, P편광은 투명판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P편광 풍부한 광이 투명판에 도달함으로써 내장 부재(20)에서 반사된 광에 기인하는 비침이 저감된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침 방지 구조체는 차량의 내장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투명판(10)은 차창(예를 들면, 앞유리)이다. 또한, 내장 부재(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림 등을 들 수 있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판(10)이 차량의 앞유리이다. 또한,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장 부재(2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다. 투명판(10)이 앞유리이며, 내장 부재(2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일 경우 내장 부재(인스트루먼트 패널)(20)는 투명판(앞유리)(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투명판(10)이 차량의 앞유리이며, 내장 부재(2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일 경우 내장 부재(인스트루먼트 패널)(20)의 적어도 일부와, 투명판(앞유리)(10)의 연직 방향의 투영이 겹치도록 구성된다.
(내장 부재)
상기와 같이 내장 부재는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렇게 구성된 내장 부재는 편광 기능을 구비한다. 편광을 발현시키는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편광판; 요오드, 염료, 액정 등을 함유시킨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내장 부재는 투명판에 대한 각도가 20°~120°가 되는 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90°가 되는 면을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70°가 되는 면을 갖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에서 내장 부재 및 투명판을 배치함으로써 내장 부재에 반사된 P편광을 브루스터 각에 가까운 각도로 투명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비침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 부재가 곡면을 가질 경우 상기 곡면과 내장 부재의 각도는 상기 곡면의 접 평면을 갖고 규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 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내장 부재(20)는 편광판(21)을 구비한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21)은 기체(22)의 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체(22)는,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본체 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등의 저밀도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일 수 있다. 기체(21)의 편광판(22)측의 면은 의장면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명색을 갖는 면, 광택감을 갖는 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반사하는 내장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내장 부재의 투명판으로의 비침이 방지되기 때문에 내장 부재의 의장성을 한정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편광판(21)은 편광자(1)를 갖는다. 편광판(22)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1)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2)을 더 갖는다.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는 흡수형 편광자이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의 투과축 및 편광판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투명판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치하면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반사하는 내장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교」란 엄밀하게 직교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양면이 이루는 각이 90°±10°(바람직하게는 90°±5°)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5㎛~2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100㎛이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80㎛ 정도이다.
상기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780㎚ 중 어느 하나의 파장에서 흡수 2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2% 이상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계 편광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 칭한다)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VA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은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몰%~10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5.0몰%~99.95몰%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9.0몰%~99.93몰%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비누화도의 PVA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가 얻어질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겔화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500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00~4500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PVA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자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처리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때 각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의 각 처리의 순서, 횟수, 및 실시의 유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 가지의 처리를 1처리 공정중에서 동시에 행해도 좋고, 몇 가지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행해도 좋고, 팽윤 처리 및 염색 처리 등과 동시에 행해도 좋다. 또한, 연신 처리를 행한 후 염색 처리해도 좋다. 또한, 연신 처리 전후에 가교 처리를 행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또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편광자를 제조해도 좋다. 예를 들면, 건식 연신법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머 필름에 2색성 물질을 혼련하여 넣고, 제막, 연신한 것 같은 것이어도 좋고, 1축 방향으로 배향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거기에 2색성 염료를 게스트로 한 것 같은 O타입의 것(미국 특허 제5,523,863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표 평 3-503322호 공보), 2색성의 리오트로픽 액정 등을 사용한 E타입의 것(미국 특허 제6,049,428호 명세서)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다.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내장 부재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외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판이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내장 부재로서 수지 성분과 편광성 성분(예를 들면, 편광자(요오드), 염료, 액정)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내장 부재(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를 사용해도 좋다. 수지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등이어도 좋다. 또한, 코팅에 의해 편광층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2색성 색소(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를 포함하는 액정 재료를 코팅하고, 기체 상에 편광층을 형성해도 좋다.
(투명판)
상기 투명판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투명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유리,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참고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의 책상 위(A)에 명색물(B)을 두고, 이들을 내장 부재를 보고 선정했다. 또한, 명색물(B)이 놓인 책상(A)의 상방에 유리판(투명판)(C)을 책상(A)과 유리판(C)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배치했다. 또한, 유리판(C)의 책상(A)은 반대측 전방에 적색물(D)을 배치했다. 이러한 데모기에 의해 유리판(C)으로의 명색물(B)의 비침 및 유리판(C)을 통해 적색물의 시인성(즉, 전방 시인성)을 확인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명색물(B)의 비침이 보이고, 상기 비침에 의해 시인성이 저해되어 있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의 흡수축을 도시예와 같이 해서(즉, 편광자의 투과축 및 편광판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보호판이 대략 직교하도록 해서) 편광판(D)을 명색물(B) 상에 배치했다. 편광판(E)과 명색물(B)이 적층된 구성이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반사하도록 구성된」 내장 부재에 상당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명색물(B)의 비침이 방지되어 전방 시인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었다.
10: 투명판
20: 내장 부재
100: 비침 방지 구조체

Claims (7)

  1. 투명판과, 내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판이 상기 내장 부재에서의 반사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장 부재가 S편광보다 P편광을 대체로 상기 투명판을 향해서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침 방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부재가 상기 투명판에 대한 각도가 20°~120°가 되는 면을 갖고 있는 비침 방지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부재가 편광 기능을 구비하는 비침 방지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부재가 편광판을 구비하는 비침 방지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내장 구조인 비침 방지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이 차량의 앞유리인 비침 방지 구조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부재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인 비침 방지 구조체.
KR1020227033132A 2020-04-02 2021-03-23 비침 방지 구조체 KR20220160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6536A JP2021162792A (ja) 2020-04-02 2020-04-02 映り込み防止構造体
JPJP-P-2020-066536 2020-04-02
PCT/JP2021/011922 WO2021200387A1 (ja) 2020-04-02 2021-03-23 映り込み防止構造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582A true KR20220160582A (ko) 2022-12-06

Family

ID=7792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132A KR20220160582A (ko) 2020-04-02 2021-03-23 비침 방지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35197A1 (ko)
EP (1) EP4130815A1 (ko)
JP (1) JP2021162792A (ko)
KR (1) KR20220160582A (ko)
CN (1) CN115362396A (ko)
TW (1) TW202144204A (ko)
WO (1) WO20212003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071A (ja) 2012-10-26 2014-05-12 Daihatsu Motor Co Ltd 窓映り性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3863A (en) 1988-10-19 1996-06-04 Fergason; James L. Controlled liquid crystal optical polarizer method and apparatus
JPH03503322A (ja) 1988-10-19 1991-07-25 ジェームズ エル ファーガソン 可変密度光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049428A (en) 1994-11-18 2000-04-11 Optiva, Inc. Dichroic light polarizers
JP2004130916A (ja) * 2002-10-10 2004-04-30 Yazaki Corp 車両用窓映り低減機構
JP2006056413A (ja) * 2004-08-20 2006-03-02 Asahi Glass Co Ltd 車両用ダッシュボード
US8467129B2 (en) * 2007-05-31 2013-06-18 Ppg Industries Ohio, Inc. Veiling glar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lection from a vehicle windshield
JP2011248114A (ja) * 2010-05-27 2011-12-08 Hayashi Technical Kenkyusho:Kk 光制御素子
JP2017190017A (ja) * 2016-04-12 2017-10-19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内装品
JP2019014455A (ja) * 2017-07-11 2019-01-3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材、該内装部材に用いられる反射型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812933B2 (ja) * 2017-09-19 2021-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装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071A (ja) 2012-10-26 2014-05-12 Daihatsu Motor Co Ltd 窓映り性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62396A (zh) 2022-11-18
TW202144204A (zh) 2021-12-01
WO2021200387A1 (ja) 2021-10-07
EP4130815A1 (en) 2023-02-08
JP2021162792A (ja) 2021-10-11
US20230135197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464B1 (ko)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4689769B1 (ja) 液晶表示装置
JP2014211548A (ja)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KR101435358B1 (ko) 편광성 적층 필름과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201447401A (zh) 偏光板之套組及前面板一體型液晶顯示板
KR10190147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2016139151A (ja) 偏光板
WO2015050074A1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前面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WO2015079968A1 (ja) 偏光子及びそれを含む偏光板
US20170068106A1 (en) Polarizing plate, anti-reflective laminate,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190086571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201634260A (zh) 偏光板、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US9733405B2 (e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JP5514700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220160582A (ko) 비침 방지 구조체
JP6601523B2 (ja)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US20230120225A1 (en) Vehicle interior structure
JP2013037269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9202987A1 (ja) 窓用ギラツキ防止フィルム
JP2024033572A (ja) 光学結像システム
KR20220044425A (ko)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20220074903A (ko) 자발광형 화상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