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475A -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475A
KR20220160475A KR1020220048824A KR20220048824A KR20220160475A KR 20220160475 A KR20220160475 A KR 20220160475A KR 1020220048824 A KR1020220048824 A KR 1020220048824A KR 20220048824 A KR20220048824 A KR 20220048824A KR 20220160475 A KR20220160475 A KR 2022016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fer
tape
uni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22016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8Changing orientation of the substrate, e.g. from a horizontal position to a vertical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01L21/68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using optical contro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Abstract

(과제)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 테이프를 첩착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함께, 보강부를 절단하여 웨이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한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공 장치는, 보강부 제거 기구를 포함한다. 보강부 제거 기구는, 웨이퍼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의 경계 부분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 조사 유닛과, 가거치 테이블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을 유지하여 상승시킴과 함께 레이저 빔 조사 유닛에 위치시키는 제 1 승강 테이블과, 절단 홈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분리부는, 절단 홈에 대응하는 테이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테이프의 점착력을 저감시키는 자외선 조사부와, 링상의 보강부를 외주에 노출시켜 웨이퍼의 내측을 흡인 유지하는 제 2 승강 테이블과, 쐐기를 갖는 피스를 링상의 보강부의 외주에 작용시켜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링상의 보강부가 폐기되는 폐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공 장치{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로부터 볼록상의 보강부를 제거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IC, LSI 등의 복수의 디바이스가 분할 예정 라인에 의해 구획된 디바이스 영역과, 디바이스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이 표면에 형성된 웨이퍼는, 이면이 연삭되어 원하는 두께로 형성된 후, 다이싱 장치, 레이저 가공 장치에 의해 개개의 디바이스 칩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디바이스 칩은 휴대 전화, PC 등의 전기 기기에 이용된다.
연삭된 웨이퍼의 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를 잔존시켜 소정의 가공을 실시한 후,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 테이프를 첩착함과 함께 프레임으로 웨이퍼를 지지하고, 웨이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2375호
그러나,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 테이프를 첩착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하는 작업이 곤란함과 함께, 링상의 보강부를 절단하여 웨이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여,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 테이프를 첩착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함께, 링상의 보강부를 절단하여 웨이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로부터 볼록상의 보강부를 제거하는 가공 장치로서, 복수의 웨이퍼가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가 재치되는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과, 그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에 재치된 웨이퍼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반출하는 웨이퍼 반출 기구와, 그 웨이퍼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웨이퍼의 표면측을 지지하는 웨이퍼 테이블과, 웨이퍼를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상의 프레임을 복수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 기구와, 그 프레임 수용 기구로부터 프레임을 반출하는 프레임 반출 기구와, 그 프레임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테이블과, 그 프레임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에 테이프를 첩착하는 테이프 첩착 기구와, 테이프가 첩착된 프레임을 그 웨이퍼 테이블까지 반송하고 그 웨이퍼 테이블에 지지된 웨이퍼의 이면에 프레임의 개구부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을 그 웨이퍼 테이블에 재치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와,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의 테이프를 웨이퍼의 이면에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 기구와, 그 테이프 압착 기구에 의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의 테이프와 웨이퍼의 이면이 압착된 프레임 유닛을 그 웨이퍼 테이블로부터 반출하고 가거치 테이블에 가거치하는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와, 그 가거치 테이블에 재치된 프레임 유닛의 웨이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기구와, 링상의 보강부가 제거된 링이 없는 유닛을 그 보강부 제거 기구로부터 반출하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와, 그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링이 없는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 카세트가 재치되는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그 보강부 제거 기구는, 웨이퍼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의 경계 부분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 조사 유닛과, 그 가거치 테이블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을 유지하여 상승시킴과 함께 그 레이저 빔 조사 유닛에 위치시키는 제 1 승강 테이블과, 그 절단 홈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그 분리부는, 그 절단 홈에 대응하는 테이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테이프의 점착력을 저감시키는 자외선 조사부와, 링상의 보강부를 외주에 노출시켜 웨이퍼의 내측을 흡인 유지하는 제 2 승강 테이블과, 쐐기를 갖는 피스를 링상의 보강부의 외주에 작용시켜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링상의 보강부가 폐기되는 폐기부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제 2 승강 테이블은, 웨이퍼의 보강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2 종류 이상의 테이블 헤드를 포함하고, 그 테이블 헤드는 승강 기구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고, 그 분리부는, 제어 유닛에 입력된 그 테이블 헤드의 종류와 현실에서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 헤드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그 검출기는, 그 분리기의 피스를 그 테이블 헤드의 외주에 접촉시켜 얻어지는 그 테이블 헤드의 외경과, 그 제어 유닛에 입력된 그 테이블 헤드의 외경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분리부의 피스에 인접하여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프레임 지지부는, 회전 가능한 구체를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분리부의 피스에 인접하여 이오나이저가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정전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련된 가공 장치에 의하면,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 테이프를 첩착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함께, 링상의 보강부를 절단하여 웨이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양호해진다.
도 1 은,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이 실시되는 웨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등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핸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 수용 기구 등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 테이블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첩착 기구 등의 사시도이고, 도 6(b)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 테이블이 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첩착 기구 등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테이프 압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테이프 압착 공정에 있어서 가압 롤러에 의한 테이프의 가압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테이프 압착 공정에 있어서 가압 롤러에 의한 테이프의 가압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보강부 제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보강부 제거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의 경계 부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보강부 제거 기구의 제 1 승강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보강부 제거 기구의 분리부의 사시도이고, 도 13(b) 는, 도 13(a) 에 나타내는 지지 기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보강부 제거 기구의 폐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테이블 헤드에 피스를 접촉시켜 테이블 헤드의 외경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은, 보강부 제거 공정에 있어서, 제 2 승강 테이블로 웨이퍼를 흡인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은, 보강부 제거 공정에 있어서, 보강부 제거 기구의 피스를 링상의 보강부의 외주에 작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 은, 보강부 제거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로부터 보강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 는, 도 1 에 나타내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의 반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의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및 압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링이 없는 유닛 수용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 (2) 는, 복수의 웨이퍼가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 (6) 가 재치되는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과,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에 재치된 웨이퍼 카세트 (6) 로부터 웨이퍼를 반출하는 웨이퍼 반출 기구 (10) 와, 웨이퍼 반출 기구 (10) 에 의해 반출된 웨이퍼의 표면측을 지지하는 웨이퍼 테이블 (12) 을 구비한다.
도 2 에는, 가공 장치 (2) 에 의해 가공이 실시되는 웨이퍼 (4) 가 나타나 있다. 웨이퍼 (4) 의 표면 (4a) 은, IC, LSI 등의 복수의 디바이스 (14) 가 격자상의 분할 예정 라인 (16) 에 의해 구획된 디바이스 영역 (18) 과, 디바이스 영역 (18) 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 (2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편의적으로 디바이스 영역 (18) 과 외주 잉여 영역 (20) 의 경계 (22) 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경계 (22) 를 나타내는 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웨이퍼 (4) 의 이면 (4b) 측에는, 외주 잉여 영역 (20) 에 링상의 보강부 (24) 가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 잉여 영역 (20) 의 두께는 디바이스 영역 (18) 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웨이퍼 (4)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결정 방위를 나타내는 절결 (26)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카세트 (6) 에는, 표면 (4a) 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복수장의 웨이퍼 (4) 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은, 웨이퍼 카세트 (6) 가 재치되는 천판 (28) 과, 천판 (28) 을 지지하는 지지판 (30) 을 갖는다. 또한, 천판 (28) 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고, 천판 (28) 을 승강시켜 임의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승강 기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웨이퍼 반출 기구 (10) 는, 도 3 에 화살표 Y 로 나타내는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Y 축 가동 부재 (32) 와, Y 축 가동 부재 (3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34) 를 구비한다. Y 축 이송 기구 (34) 는, Y 축 가동 부재 (32) 의 하단에 연결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 (36) 와, 볼 나사 (36) 를 회전시키는 모터 (38) 를 갖는다. Y 축 이송 기구 (34) 는, 모터 (38) 의 회전 운동을 볼 나사 (36) 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Y 축 가동 부재 (32) 에 전달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안내 레일 (40) 을 따라 Y 축 가동 부재 (3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3 에 화살표 X 로 나타내는 X 축 방향은 Y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도 3 에 화살표 Z 로 나타내는 Z 축 방향은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이다.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이 규정하는 XY 평면은 실질상 수평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웨이퍼 반출 기구 (1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 (42) 과, 반송 아암 (42) 의 선단에 배치 형성되고 웨이퍼 카세트 (6) 에 수용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을 지지하고 웨이퍼 (4) 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핸드 (44) 를 구비한다. 반송 아암 (42) 은, Y 축 가동 부재 (32)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에어 구동원 또는 전동 구동원 등의 적절한 구동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원은, 반송 아암 (42) 을 구동시켜,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의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핸드 (44) 를 위치시킴과 함께, 핸드 (44) 를 상하 반전시킨다.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핸드 (44) 는, 에어의 분출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여 비접촉으로 웨이퍼 (4) 를 지지하는 베르누이 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핸드 (44) 는 전체적으로 C 형상이고, 핸드 (44) 의 편면에는, 압축 공기 공급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된 복수의 에어 분출구 (46) 가 형성되어 있다. 핸드 (44)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핀 (48) 이 부설되어 있다. 각 가이드 핀 (48) 은, 핸드 (44) 의 직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반출 기구 (10) 는,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에 재치된 웨이퍼 카세트 (6) 내의 웨이퍼 (4) 의 이면 (4b) 측 (하측) 에 핸드 (44) 를 위치시킨 후, 핸드 (44) 의 에어 분출구 (46) 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핸드 (44) 의 편면측에 부압을 생성하여, 핸드 (44) 에 의해 비접촉으로 웨이퍼 (4) 를 이면 (4b) 측으로부터 흡인 지지한다. 핸드 (44) 에 흡인 지지된 웨이퍼 (4) 의 수평 이동은, 각 가이드 핀 (48) 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웨이퍼 반출 기구 (10) 는, Y 축 가동 부재 (32) 및 반송 아암 (42) 을 이동시킴으로써,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를 웨이퍼 카세트 (6) 로부터 반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웨이퍼 반출 기구 (1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4) 의 절결 (26) 의 위치를 검출하는 절결 검출기 (50) 를 구비하고 있다. 절결 검출기 (50) 는, 예를 들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발광 소자 (52) 및 수광 소자 (54), 그리고 핸드 (44) 의 가이드 핀 (48) 의 적어도 1 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된다.
발광 소자 (52) 및 수광 소자 (54)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통하여 Y 축 가동 부재 (32) 또는 반송 경로에 부설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원에 의해 가이드 핀 (48) 이 회전하면, 가이드 핀 (48) 의 회전에서 기인하여,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핀 (48) 으로부터 웨이퍼 (4) 에 확실하게 회전을 전달시키기 위해,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가이드 핀 (48) 의 외주면은 적절한 합성 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 검출기 (50) 는, 웨이퍼 (4) 가 핸드 (44) 에 의해 흡인 지지됨과 함께, 발광 소자 (52) 와 수광 소자 (54) 사이에 웨이퍼 (4) 의 외주가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구동원으로 가이드 핀 (48) 을 통하여 웨이퍼 (4) 를 회전시킴으로써, 절결 (26) 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웨이퍼 (4) 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테이블 (12) 은, 웨이퍼 반출 기구 (10)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웨이퍼 테이블 (12) 은, 웨이퍼 (4)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지지하고 외주 잉여 영역 (20) 보다 내측의 부분을 비접촉으로 하는 환상 지지부 (56) 와, 환상 지지부 (56) 의 외주에 배치 형성되고, 후술하는 프레임 (64) (도 5 참조) 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58) 를 구비한다. 환상 지지부 (56) 의 상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흡인공 (60) 이 형성되어 있고, 각 흡인공 (60) 은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웨이퍼 테이블 (12) 에 있어서의 환상 지지부 (56) 보다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은 하방으로 움패인 원형의 오목소 (62) 로 되어 있다.
핸드 (44) 가 180°반전하여 웨이퍼 (4) 의 표리를 반전시켜,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웨이퍼 테이블 (12) 에 웨이퍼 (4) 가 올려지면, 웨이퍼 (4)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이 환상 지지부 (56) 에 의해 지지되고, 웨이퍼 (4) 의 디바이스 영역 (18) 은 오목소 (62) 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 (14) 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 (4a) 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웨이퍼 테이블 (12) 에 웨이퍼 (4) 가 올려져도, 디바이스 (14) 와 웨이퍼 테이블 (12) 이 접촉하지 않으므로 디바이스 (14) 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웨이퍼 테이블 (12) 은, 환상 지지부 (56) 에 의해 외주 잉여 영역 (20) 을 지지한 후, 흡인원을 작동시켜 각 흡인공 (60) 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외주 잉여 영역 (20) 을 흡인 유지함으로써, 웨이퍼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공 장치 (2) 는, 추가로, 웨이퍼 (4) 를 수용하는 개구부 (64a) 가 형성된 링상의 프레임 (64) 을 복수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 기구 (66) 와, 프레임 수용 기구 (66) 로부터 프레임 (64) 을 반출하는 프레임 반출 기구 (68) 와,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 (64) 을 지지하는 프레임 테이블 (70) 을 구비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의 프레임 수용 기구 (66) 는, 하우징 (72) 과, 하우징 (72) 내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판 (74) 과, 승강판 (74) 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구비한다. 도 5 에 있어서 하우징 (72) 의 X 축 방향 안측의 측면에는,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Z 축 가이드 부재 (78) 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판 (74) 은, Z 축 가이드 부재 (78) 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승강판 (74) 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는, Z 축 가이드 부재 (78)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 기구는, 예를 들어, 승강판 (74)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도 5 에 있어서 하우징 (72) 의 X 축 방향 앞측의 측면에는, 손잡이 (76a) 가 부설된 문 (76) 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수용 기구 (66) 에 있어서는, 손잡이 (76a) 를 파지하여 문 (76) 을 여는 것에 의해, 하우징 (72) 의 내부에 프레임 (64) 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하우징 (72) 의 상단에는 개구부 (8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64) 은, 하우징 (72) 의 내부에 있어서 승강판 (74) 의 상면에 적층되어 수용된다. 적층된 복수장의 프레임 (64) 중 최상단의 프레임 (64) 이 하우징 (72) 의 개구부 (80) 로부터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된다. 또, 프레임 수용 기구 (66) 는, 개구부 (80) 로부터 프레임 (64) 이 반출되면,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판 (74) 을 적절히 상승시켜,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 가능한 위치에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위치시킨다.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프레임 반출 기구 (68)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X 축 가이드 부재 (82) 와, X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이드 부재 (82) 에 지지된 X 축 가동 부재 (84) 와, X 축 가동 부재 (84) 를 X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동 부재 (84)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86) 와, Z 축 가동 부재 (86)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X 축 이송 기구는, X 축 가동 부재 (84) 에 연결되고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Z 축 이송 기구는, Z 축 가동 부재 (86)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Z 축 가동 부재 (86) 는, 프레임 (64) 을 유지하는 유지부 (88) 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유지부 (88) 는, 직사각형상의 기판 (90) 과, 기판 (90) 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흡인 패드 (92) 를 갖고, 각 흡인 패드 (92) 는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 반출 기구 (68) 는, 프레임 수용 기구 (66) 에 수용되어 있는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유지부 (88) 의 흡인 패드 (92) 로 흡인 유지한 후, X 축 가동 부재 (84) 및 Z 축 가동 부재 (86) 를 이동시킴으로써, 흡인 유지한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프레임 수용 기구 (66) 로부터 반출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테이블 (70) 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강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Z 축 가이드 부재 (94) 에 지지되어 있다. Z 축 가이드 부재 (94) 에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 테이블 (70) 을 승강시키는 적절한 구동원 (예를 들어 에어 구동원 또는 전동 구동원) 이 부설되어 있다. 프레임 테이블 (70) 에 있어서는,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 (64) 을 하강 위치에 있어서 수취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장치 (2) 는, 프레임 테이블 (70) 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 (64) 에 테이프 (96) 를 첩착하는 테이프 첩착 기구 (98) (도 1 참조) 와, 테이프 (96) 가 첩착된 프레임 (64) (이하「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웨이퍼 테이블 (12) 까지 반송하고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프레임 (64) 의 개구부 (64a) 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에 재치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도 5 참조) 와,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를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 기구 (102) (도 1 참조) 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실시형태의 테이프 첩착 기구 (98) 는, 사용 전의 테이프 (96) 가 감겨진 롤 테이프 (96R) 를 지지하는 롤 테이프 지지부 (104) 와, 사용이 완료된 테이프 (96) 를 권취하는 테이프 권취부 (106) 와, 롤 테이프 (96R) 로부터 테이프 (96) 를 인출하는 테이프 인출부 (108) 와, 인출된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압착하는 압착부 (110) 와, 프레임 (64) 의 외주로 비어져 나온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부 (112) 를 구비한다.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테이프 지지부 (104) 는,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지지된 지지 롤러 (114) 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 (114) 에는, 테이프 (96) 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지 (116) 가 테이프 (96) 의 점착면에 부설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롤 테이프 (96R) 가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 권취부 (106) 는,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지지된 권취 롤러 (118) 와, 권취 롤러 (118) 를 회전시키는 모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권취부 (106) 는, 모터에 의해 권취 롤러 (118) 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 (64) 에 첩부한 부분에 해당되는 원형의 개구부 (120) 가 형성된 사용이 완료된 테이프 (96) 를 권취한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테이프 인출부 (108) 는, 롤 테이프 지지부 (104) 의 지지 롤러 (114) 의 하방에 배치된 인출 롤러 (122) 와, 인출 롤러 (122) 를 회전시키는 모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인출 롤러 (122)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종동 롤러 (124) 를 포함한다. 테이프 인출부 (108) 는, 모터에 의해 인출 롤러 (122) 와 함께 종동 롤러 (124) 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출 롤러 (122) 와 종동 롤러 (124) 로 끼워 넣은 테이프 (96) 를 롤 테이프 (96R) 로부터 인출한다.
인출 롤러 (122) 와 종동 롤러 (124) 사이를 통과한 테이프 (96) 로부터는 박리지 (116) 가 박리되고, 박리된 박리지 (116) 는 박리지 권취부 (126) 에 의해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박리지 권취부 (126) 는, 종동 롤러 (124) 의 상방에 배치된 박리지 권취 롤러 (128) 와, 박리지 권취 롤러 (128) 를 회전시키는 모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갖는다. 또, 박리지 (116) 가 박리된 테이프 (96) 는, 인출 롤러 (122) 와 Y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이드 롤러 (130) 를 거쳐 권취 롤러 (118) 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압착부 (110) 는,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가압 롤러 (132) 와, 가압 롤러 (13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압착부 (110) 의 Y 축 이송 기구는, 적절한 구동원 (예를 들어 에어 구동원 또는 전동 구동원) 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부 (112)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Z 축 가이드 부재 (134)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Z 축 가이드 부재 (134)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136) 와, Z 축 가동 부재 (136)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절단부 (112) 의 Z 축 이송 기구는, Z 축 가동 부재 (136)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또, 절단부 (112) 는, Z 축 가동 부재 (136) 의 선단 하면에 고정된 모터 (138) 와,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모터 (138) 에 의해 회전되는 아암편 (140) 을 포함한다. 아암편 (140) 의 하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 1·제 2 수하편 (垂下片) (142a, 142b) 이 부설되어 있다. 제 1 수하편 (142a) 에는, Z 축 방향과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원형의 커터 (144) 가 지지되고, 제 2 수하편 (142b) 에는, Z 축 방향과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누름 롤러 (146) 가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반출 기구 (68) 로부터 프레임 (64) 을 수취한 프레임 테이블 (70) 이 하강 위치 (도 6(a) 에 나타내는 위치) 로부터 상승 위치 (도 6(b) 에 나타내는 위치) 에 위치되기 전에, 테이프 첩착 기구 (98) 는, 인출 롤러 (122) 와 종동 롤러 (124) 에 의해 미사용의 테이프 (96) 를 인출한다. 그리고, 압착부 (110) 의 가압 롤러 (132) 에 의해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프레임 테이블 (70) 을 상승 위치에 위치시키고, 가압 롤러 (132) 에 테이프 (96) 를 개재하여 프레임 (64) 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가압 롤러 (132) 로 테이프 (96) 의 점착면을 프레임 (64) 에 가압하면서 가압 롤러 (132) 를 Y 축 방향으로 굴린다. 이로써, 테이프 인출부 (108) 에 의해 롤 테이프 (96R) 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압착할 수 있다.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압착한 후, 테이프 첩착 기구 (98) 는, 절단부 (112) 의 Z 축 가동 부재 (136) 를 Z 축 이송 기구에 의해 하강시켜, 프레임 (64) 상의 테이프 (96) 에 커터 (144) 를 갖다 댐과 함께 누름 롤러 (146) 로 테이프 (96) 위에서부터 프레임 (64) 을 누른다. 이어서, 모터 (138) 에 의해 아암편 (140) 을 회전시켜, 커터 (144) 및 누름 롤러 (146) 를 프레임 (64) 을 따라 원을 그리듯이 이동시킨다. 이로써, 프레임 (64) 의 외주로 비어져 나온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또, 누름 롤러 (146) 로 테이프 (96) 위에서부터 프레임 (64) 을 누르고 있으므로, 테이프 (96) 를 절단하고 있을 때에 프레임 (64) 이나 테이프 (96) 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리고, 프레임 테이블 (70) 을 하강시킨 후, 프레임 (64) 에 첩부한 부분에 해당되는 원형의 개구부 (120) 가 형성된 사용이 완료된 테이프 (96) 는, 테이프 권취부 (106) 에 의해 권취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 축 가이드 부재 (148) 와,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이드 부재 (148) 에 지지된 Y 축 가동 부재 (150) 와, Y 축 가동 부재 (150)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동 부재 (150)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152) 와, Z 축 가동 부재 (152)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Y 축 이송 기구는, Y 축 가동 부재 (150) 에 연결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Z 축 이송 기구는, Z 축 가동 부재 (152)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Z 축 가동 부재 (152) 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유지하는 유지부 (154) 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유지부 (154) 는, 직사각형상의 기판 (156) 과, 기판 (156) 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흡인 패드 (158) 를 갖고, 각 흡인 패드 (158) 는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는, 테이프 (96) 의 점착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프레임 테이블 (70) 에 지지되어 있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상면을 유지부 (154) 의 각 흡인 패드 (158) 로 흡인 유지하고, Y 축 가동 부재 (150) 및 Z 축 가동 부재 (152) 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지부 (154) 로 흡인 유지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프레임 테이블 (70) 로부터 웨이퍼 테이블 (12) 까지 반송하고,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프레임 (64) 의 개구부 (64a) 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에 재치한다.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테이프 압착 기구 (102)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 기구 (102) 는, 웨이퍼 테이블 (12) 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상부 챔버 (160) 와, 웨이퍼 테이블 (12) 을 수용한 하부 챔버 (162) 와, 상부 챔버 (160) 를 승강시켜 하부 챔버 (162) 에 접촉시킨 폐색 상태와 하부 챔버 (162) 로부터 이반시킨 개방 상태를 생성하는 승강 기구 (164) 와, 폐색 상태에서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를 진공으로 하는 진공부 (166) 와,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를 대기에 개방하는 대기 개방부 (168) 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상부 챔버 (16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천판 (170) 과, 천판 (170)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하하는 원통상의 측벽 (172) 을 포함한다. 천판 (170) 의 상면에는, 에어 실린더 등의 적절한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는 승강 기구 (164) 가 장착되어 있다. 천판 (170) 의 하면과 측벽 (17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 공간에는,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롤러 (174) 와, 가압 롤러 (174)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편 (176) 과, 지지편 (176) 을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17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Y 축 이송 기구 (178) 는, 지지편 (176) 에 연결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 (180) 와, 볼 나사 (180) 를 회전시키는 모터 (182) 를 갖는다. 그리고, Y 축 이송 기구 (178) 는, 모터 (182) 의 회전 운동을 볼 나사 (180) 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지지편 (176) 에 전달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안내 레일 (184) 을 따라 지지편 (176) 을 이동시킨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챔버 (162) 는 원통상의 측벽 (186) 을 갖고, 측벽 (186) 의 상부는 개방되고, 측벽 (186) 의 하부는 폐색되어 있다. 측벽 (186) 에는 접속 개구 (188) 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개구 (188) 에는, 적절한 진공 펌프로 구성될 수 있는 진공부 (166) 가 유로 (190)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유로 (190) 에는, 유로 (190) 를 대기에 개방 가능한 적절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는 대기 개방부 (168) 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압착 기구 (102) 는,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가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 기구 (164) 에 의해 상부 챔버 (160) 를 하강시켜, 상부 챔버 (160) 의 측벽 (172) 의 하단을 하부 챔버 (162) 의 측벽 (186) 의 상단에 접촉시켜,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가압 롤러 (174) 를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테이프 압착 기구 (102) 는, 대기 개방부 (168) 를 구성하는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진공부 (166) 를 구성하는 진공 펌프를 작동시켜,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 후,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축 이송 기구 (178) 로 가압 롤러 (174) 를 Y 축 방향으로 굴림으로써,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테이프 (96) 를 압착하여 프레임 유닛 (U) 을 생성한다.
가압 롤러 (174) 에 의해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테이프 (96) 를 압착하면,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웨이퍼 (4) 와 테이프 (96)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는데,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 웨이퍼 (4) 와 테이프 (96) 를 압착하므로, 웨이퍼 (4) 와 테이프 (96) 사이의 미소한 간극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고, 테이프 (96) 를 압착한 후에 대기 개방부 (168) 를 개방하면, 대기압에 의해 테이프 (96) 가 웨이퍼 (4) 에 가압된다. 이로써,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웨이퍼 (4) 와 테이프 (96) 의 간극이 없어지고,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을 따라 테이프 (96) 가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밀착된다.
도 1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장치 (2) 는, 추가로, 테이프 압착 기구 (102) 에 의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와 웨이퍼 (4) 의 이면 (4b) 이 압착된 프레임 유닛 (U) 을 웨이퍼 테이블 (12) 로부터 반출하고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하는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와, 가거치 테이블 (204) 에 재치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와, 링상의 보강부 (24) 가 제거된 링이 없는 유닛을 보강부 제거 기구 (194) 로부터 반출하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도 1 참조) 와,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에 의해 반출된 링이 없는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 카세트 (198) 가 재치되는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도 1 참조) 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4) 를 유지하는 웨이퍼 유지부 (202a) 및 프레임 (64) 을 유지하는 프레임 유지부 (202b) 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와,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를 가거치 테이블 (204) 에 반송하는 반송부 (206) 를 구비한다.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의 웨이퍼 유지부 (202a) 는, 원형상의 기판 (208) 과, 기판 (208) 의 하면에 장착된 원형상의 흡착편 (210) 을 포함한다. 흡착편 (210) 의 하면에는 복수의 흡인공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 형성되고, 각 흡인공은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 유지부 (202b) 는,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기판 (208)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돌출편 (212) 과, 돌출편 (212) 의 하면에 부설된 흡인 패드 (214) 를 포함하고, 각 흡인 패드 (214) 는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반송부 (206)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X 축 가이드 부재 (216) 와, X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이드 부재 (216) 에 지지된 X 축 가동 부재 (218) 와, X 축 가동 부재 (218) 를 X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동 부재 (218)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220) 와, Z 축 가동 부재 (220)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Z 축 가동 부재 (220) 에 지지된 Y 축 가동 부재 (222) 와, Y 축 가동 부재 (22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Y 축 가동 부재 (222) 의 선단에는,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기판 (208) 이 연결되어 있다. 반송부 (206) 의 X 축·Y 축·Z 축 이송 기구의 각각은, 볼 나사와,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는,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를 수평 방향으로 이차원으로 이동시키는 이차원 이동 기구와,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에 유지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외주를 촬상하는 촬상부 (224)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부 (206) 의 X 축 이송 기구 및 Y 축 이송 기구에 의해 XY 평면에 있어서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가 수평 방향으로 이차원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반송부 (206) 에 의해 이차원 이동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실시형태의 촬상부 (224) 는, 웨이퍼 테이블 (12) 과 가거치 테이블 (20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에 유지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외주를, 웨이퍼 (4) 의 하방으로부터 촬상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는,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흡착편 (210) 으로 웨이퍼 (4) 를 이면 (4b) 측 (테이프 (96) 측) 으로부터 흡인 유지함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202b) 의 흡인 패드 (214) 로 프레임 (64) 을 흡인 유지한 상태에서, 반송부 (206) 를 작동시킴으로써,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로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웨이퍼 테이블 (12) 로부터 반출한다.
또, 도시된 실시형태의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는, 이차원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반송부 (206) 를 작동시켜,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로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외주의 적어도 3 개 지점을 촬상부 (224) 로 촬상함으로써 웨이퍼 (4) 의 외주에 있어서의 적어도 3 점의 좌표를 계측하고, 계측한 3 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웨이퍼 (4) 의 중심 좌표를 구한다. 그리고,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는, 웨이퍼 (4) 의 중심을 가거치 테이블 (204) 의 중심과 일치시켜, 프레임 유닛 (U) 을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거치 테이블 (204) 은, 웨이퍼 테이블 (12) 과 X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가거치 테이블 (204) 은,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지지하고 외주 잉여 영역 (20) 보다 내측의 부분을 비접촉으로 하는 환상 지지부 (226) 와, 환상 지지부 (226) 의 외주에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 (64) 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228) 를 구비한다.
환상 지지부 (226) 보다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은, 하방으로 움패인 원형의 오목소 (230) 로 되어 있다.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프레임 지지부 (228) 는 히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구비하고 있고,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 (U) 의 테이프 (96) 를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테이프 (96) 를 연화시켜,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테이프 (96) 를 대기압에 의해 한층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 (2) 는, 가거치 테이블 (204) 을 Y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가거치 테이블 반송부 (232) 를 포함한다. 가거치 테이블 반송부 (232) 는,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 축 가이드 부재 (234) 와,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이드 부재 (234) 에 지지된 Y 축 가동 부재 (236) 와, Y 축 가동 부재 (236)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238) 를 구비한다. Y 축 가동 부재 (236) 의 상부에는 가거치 테이블 (204) 이 고정되어 있다. Y 축 이송 기구 (238) 는, Y 축 가동 부재 (236) 에 연결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 (240) 와, 볼 나사 (240) 를 회전시키는 모터 (242) 를 갖는다. 그리고, 가거치 테이블 반송부 (232) 는, 모터 (242) 의 회전 운동을 볼 나사 (240) 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Y 축 가동 부재 (236) 에 전달하고, Y 축 가동 부재 (236) 와 함께 가거치 테이블 (204) 을 Y 축 방향으로 반송한다.
도 1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부 제거 기구 (194) 는, 웨이퍼 (4) 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과,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 (U) 을 유지하여 상승시킴과 함께 X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에 위치시키는 제 1 승강 테이블 (246) (도 1 참조) 과, 절단 홈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분리하는 분리부 (248) 를 구비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은, X 축 방향에 있어서 가거치 테이블 (204) 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우징 (250) 과, 하우징 (250) 에 수용되고 레이저 발진에 의해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발진기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레이저 발진기가 생성한 레이저 빔을 집광하여 웨이퍼 (4) 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조사하는 집광기 (252) 와, 웨이퍼 (4) 에 레이저 빔이 조사됐을 때에 생성되는 데브리를 흡인하는 흡인 노즐 (254) 과, 흡인 노즐 (254) 에 접속된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포함한다.
집광기 (252) 는, 하우징 (250)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흡인 노즐 (254) 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레이저 빔의 조사시에 생성된 데브리가 집광기 (252) 에 낙하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 흡인 노즐 (254) 은, 하우징 (250)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집광기 (252) 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승강 테이블 (246) 에 의해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회전시키면서, 웨이퍼 (4) 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을 향하여 레이저 빔 (LB) 을 조사하여, 어블레이션 가공에 의해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을 따라 링상의 절단 홈 (256) 을 형성한다. 또,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은, 어블레이션 가공에 의해 생성된 데브리를 흡인 노즐 (254) 에 의해 흡인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은, 가거치 테이블 (204) 의 상방에 있어서 X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또한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은,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X 축 가이드 부재 (258) 와, X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이드 부재 (258) 에 지지된 X 축 가동 부재 (260) 와, X 축 가동 부재 (260) 를 X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X 축 가동 부재 (260)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262) 와, Z 축 가동 부재 (262)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X 축·Z 축 이송 기구의 각각은, 볼 나사와,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Z 축 가동 부재 (262) 의 선단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264) 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Z 축 가동 부재 (262) 의 선단 상면에는,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축 (264) 을 회전시키는 모터 (266) 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축 (264) 의 하단에는 원형상의 흡착편 (268) 이 고정되어 있다. 흡착편 (268) 의 하면에는, 프레임 (64) 의 크기에 대응하는 원주 상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흡인공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 형성되어 있고, 각 흡인공은 흡인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은,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프레임 지지부 (228) 의 히터에 의해 테이프 (96) 가 가열되어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테이프 (96) 가 밀착된 프레임 유닛 (U) 의 프레임 (64) 부분을 흡착편 (268) 으로 흡인 유지한 후, Z 축 가동 부재 (262) 및 X 축 가동 부재 (260) 를 이동시켜, 흡착편 (268) 으로 흡인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상승시킴과 함께 X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에 위치시킨다. 또한, 프레임 (64) 이 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착편 (268) 의 하면에 전자석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 부설되고, 흡착편 (268) 이 자력에 의해 프레임 (64) 을 흡착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은,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에 의해 웨이퍼 (4) 에 레이저 빔 (LB) 을 조사할 때에, 모터 (266) 를 작동시켜, 흡착편 (268) 으로 흡인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은,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절단 홈 (256) 이 형성된 프레임 유닛 (U) 을 X 축 방향, Z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 (248) 는, 가거치 테이블 (204) 의 Y 축 방향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과 Y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리부 (248) 는, 절단 홈 (256) 에 대응하는 테이프 (96) 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테이프 (96) 의 점착력을 저감시키는 자외선 조사부 (270) (도 13(a) 참조) 와, 링상의 보강부 (24) 를 외주에 노출시켜 웨이퍼 (4) 의 내측을 흡인 유지하는 제 2 승강 테이블 (272) (도 13(a) 참조) 과, 쐐기를 갖는 피스 (402) 를 링상의 보강부 (24) 의 외주에 작용시켜 링상의 보강부 (24) 를 분리하는 분리기 (274) (도 13(a) 참조) 와, 분리된 링상의 보강부 (24) 가 폐기되는 폐기부 (276) (도 14 참조) 를 구비한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의 분리부 (248)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고정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Z 축 가이드 부재 (278)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Z 축 가이드 부재 (278) 에 지지된 Z 축 가동 부재 (280) 와, Z 축 가동 부재 (280) 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승강 기구는, Z 축 가동 부재 (280)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Z 축 가동 부재 (280) 의 선단 하면에는 지지편 (282) 이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Z 축 가동 부재 (280) 의 선단 상면에는,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을 회전시키는 모터 (284) 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지지편 (282) 에는, Y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 쌍의 상기 자외선 조사부 (270) 가 부설되어 있다.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은, Z 축 가동 부재 (280) 의 선단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286) 과, 지지축 (286) 의 하단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된 원형의 테이블 헤드 (287) 를 갖는다. 테이블 헤드 (287) 의 하면에는 복수의 흡인공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 형성되어 있고, 각 흡인공은 흡인원에 접속되어 있다.
테이블 헤드 (287) 는, 웨이퍼 (4) 의 보강부 (24) 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헤드 (287) 의 직경은, 웨이퍼 (4) 의 디바이스 영역 (18) 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또, 테이블 헤드 (287) 는 지지축 (286)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고, 웨이퍼 (4) 의 직경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테이블 헤드 (287) 가 장착되어 있는 지지축 (286) 은, Z 축 가동 부재 (280) 를 개재하여 분리부 (248) 의 승강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은, 웨이퍼 (4) 의 보강부 (24) 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2 종류 이상의 테이블 헤드 (287) 를 포함하고, 테이블 헤드 (287) 는 분리부 (248) 의 승강 기구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편 (282) 에는 상기 분리기 (274) 가 장착되어 있다. 분리기 (274) 는, 지지편 (282) 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지지편 (282) 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1 쌍의 가동편 (288) 과, 1 쌍의 가동편 (288) 을 이동시키는 1 쌍의 이송 기구 (290) 와, 각 가동편 (288) 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된 1 쌍의 지지 기판 (400) 과, 1 쌍의 지지 기판 (400) 을 Z 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1 쌍의 Z 축 이송 기구 (294) 를 포함한다. 1 쌍의 이송 기구 (290) 및 Z 축 이송 기구 (294) 의 각각은, 에어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 등의 적절한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 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각 지지 기판 (400) 의 상면에는, 쐐기를 갖는 피스 (402) 와, 프레임 (64) 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404) 와, 프레임 유닛 (U) 으부터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 (406) 가 장착되어 있다.
피스 (402) 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역원뿔대 형상를 갖고, 피스 (402) 의 상면 (402a) 과 피스 (402) 의 측면 (402b) 에 의해 쐐기가 구성되어 있다. 피스 (402) 는, 각 지지 기판 (400) 의 상면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되고, 또한,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 기판 (400) 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지지부 (404) 는, 피스 (402) 에 인접하여 지지 기판 (400) 의 각각의 상면에 1 쌍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지지부 (404) 는, 지지 기판 (400) 에 고정된 하우징 (404a) 과, 하우징 (404a)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체 (404b) 를 갖는다. 프레임 지지부 (404) 에 있어서는, 각 구체 (404b) 로 프레임 (64) 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오나이저 (406) 는, 피스 (402) 에 인접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오나이저 (406) 에 있어서는, 프레임 유닛 (U) 을 향하여 이온화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프레임 유닛 (U) 으로부터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분리부 (248) 는, 가공 장치 (2) 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입력된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와, 현실에서 가공 장치 (2) 에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 와, 제어 프로그램 등을 격납하는 리드 온리 메모리 (ROM) 와, 연산 결과 등을 격납하는 읽고 쓰기 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를 갖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에는, 웨이퍼 (4) 의 직경이나 보강부 (24) 의 폭, 테이블 헤드 (287) 의 외경 등의 가공 조건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검출기는, 분리기 (274) 의 피스 (402) 와, 가동편 (288) 을 작동시킴으로써 피스 (402) 를 테이블 헤드 (287) 에 접근 및 이간시키는 이송 기구 (290) 를 포함한다. 그리고, 검출기에 있어서는, 웨이퍼 (4) 의 가공을 개시하기 전에, 이송 기구 (290) 에 의해 가동편 (288) 을 작동시켜,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기 (274) 의 피스 (402) 를 테이블 헤드 (287) 의 외주에 접촉시켜 얻어지는 테이블 헤드 (287) 의 외경과, 제어 유닛에 입력된 테이블 헤드 (287) 의 외경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는, 에러 알림 (예를 들어, 제어 패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표시) 이 이루어진다.
복수의 웨이퍼 (4) 의 직경이, 예를 들어 200 ㎜ 로 동일해도, 링상의 보강부 (24) 의 폭이 3 ㎜, 5 ㎜ 등으로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가공 장치 (2) 에 있어서는, 웨이퍼 (4) 의 디바이스 영역 (18) 에 대응하는 테이블 헤드 (287) 가 장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만약, 제어 유닛에 입력된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와, 현실에서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웨이퍼 (4) 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적정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점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 (2) 에 있어서는, 제어 유닛에 입력된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와, 현실에서 가공 장치 (2) 에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 헤드 (287) 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웨이퍼 (4) 의 가공을 개시하기 전에, 웨이퍼 (4) 에 대응하는 적정한 테이블 헤드 (287) 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웨이퍼 (4) 의 가공시에 웨이퍼 (4) 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적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폐기부 (276) 는, 분리된 링상의 보강부 (24) 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300) 와, 벨트 컨베이어 (300) 에 의해 반송된 링상의 보강부 (24) 가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302) 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 (300) 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수 위치 (도 14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와, 실질상 연직으로 연장되는 대기 위치 (도 14 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에 적절한 액추에이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의해 위치된다.
도 14 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 (302) 의 X 축 방향 앞측의 측면에는, 손잡이 (304a) 가 부설된 문 (304) 이 형성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 (302) 의 내부에는, 회수한 링상의 보강부 (24) 를 파쇄하는 파쇄기 (도시하고 있지 않다) 가 장착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 (302) 에 있어서는, 손잡이 (304a) 를 파지하여 문 (304) 을 여는 것에 의해, 더스트 박스 (302) 에 수용된 링상의 보강부 (24) 의 파쇄 부스러기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절단 홈 (256) 이 형성된 프레임 유닛 (U) 이 가거치되어 있는 가거치 테이블 (204) 이 가거치 테이블 반송부 (232) 에 의해 분리부 (248) 의 하방에 위치되면, 분리부 (248)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상의 보강부 (24) 를 외주에 노출시켜 웨이퍼 (4) 의 내측을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의해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이송 기구 (290) 에 의해 가동편 (288) 을 이동시킴과 함께, Z 축 이송 기구 (294) 에 의해 지지 기판 (400) 을 이동시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를 갖는 피스 (402) 를 링상의 보강부 (24) 의 외주에 작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96) 와 보강부 (24) 사이에 피스 (402) 의 쐐기를 위치시킨다. 또, 프레임 지지부 (404) 의 구체 (404b) 에 프레임 (64) 의 하면을 접촉시켜, 구체 (404b) 에 의해 프레임 (64) 을 지지한다.
이어서, 1 쌍의 자외선 조사부 (270) 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링상의 보강부 (24) 에 첩부되어 있는 테이프 (96) 의 점착력을 저감시킴과 함께, 분리기 (274) 에 대해 제 2 승강 테이블 (272) 과 함께 프레임 유닛 (U) 을 모터 (284) 에 의해 회전시킨다. 이로써, 점착력이 저감된 테이프 (96) 와 보강부 (24) 가 피스 (402) 의 쐐기에 의해 갈라 놓아지므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 (U) 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보강부 (24) 는 벨트 컨베이어 (300) 에 의해 더스트 박스 (302) 에 반송되어 회수된다. 또한, 보강부 (24) 를 분리할 때에, 프레임 유닛 (U) 에 대해 분리기 (274) 를 회전시켜도 된다.
또, 보강부 (24) 를 분리할 때에는, 이오나이저 (406) 로부터 프레임 유닛 (U) 을 향하여 이온화 에어를 분사한다. 이로써, 테이프 (96) 및 보강부 (24) 에 대해 피스 (402) 가 접촉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정전기가 발생해도, 이오나이저 (406) 로부터 분사되는 이온화 에어로 정전기가 제거된다. 이 때문에, 테이프 (96) 와 보강부 (24) 가 정전기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지 않고, 프레임 유닛 (U) 으로부터 보강부 (24) 가 확실하게 분리된다.
또한, 보강부 (24) 를 분리할 때에는, 프레임 유닛 (U) 과 분리기 (274) 의 상대 회전에 수반하여, 프레임 유닛 (U) 에 작용하고 있는 피스 (402) 가 회전함과 함께, 프레임 (64) 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는 구체 (404b) 가 회전하기 때문에, 프레임 유닛 (U) 과 분리기 (274) 의 상대 회전이 원활하게 실시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는,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실시형태의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는,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지지된 링이 없는 유닛에 대면하고 프레임 (64) 을 유지하는 프레임 유지부 (306) 를 구비하고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을 향하여 이동함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306) 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 (308) (도 19 참조) 와, 반전 기구 (308) 에 의해 반전하고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위를 향한 링이 없는 유닛을 지지하는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도 20 참조) 와,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에 지지된 링이 없는 유닛을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에 재치된 프레임 카세트 (198) 에 진입시켜 수용하는 압입부 (312) (도 20 참조) 를 구비한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 기구 (308) 는,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 축 가이드 부재 (314) 와,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이드 부재 (314) 에 지지된 Y 축 가동 부재 (316) 와, Y 축 가동 부재 (316)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동 부재 (316) 에 지지된 아암 (318) 과, 아암 (318) 을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반전 기구 (308) 의 Y 축·Z 축 이송 기구의 각각은, 볼 나사와,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아암 (318) 에는, 상기 프레임 유지부 (306) 가 자유롭게 상하 반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306) 를 상하 반전시키는 모터 (320) 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프레임 유지부 (306) 는, 1 쌍의 회전축 (322) 을 통하여 아암 (318)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기판 (324) 과, 기판 (324) 의 편면에 부설된 복수의 흡인 패드 (326) 를 포함하고, 각 흡인 패드 (326) 는 흡인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일방의 회전축 (322) 은 모터 (320) 에 연결되어 있다.
반전 기구 (308) 는, 흡인 패드 (326) 를 위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지지된 링이 없는 유닛 (U') 의 프레임 (64) 의 하면을 흡인 패드 (326) 로 흡인 유지하고, 제 2 승강 테이블 (272) 로부터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취한다. 또, 반전 기구 (308) 는, 모터 (320) 에 의해 프레임 유지부 (306) 를 반전시켜 웨이퍼 (4) 의 표면 (4a) 을 위를 향하게 한 후, Y 축 가동 부재 (316) 를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 유지부 (306) 로 유지한 링이 없는 유닛 (U') 을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의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는, 적절한 브래킷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통하여 X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1 쌍의 지지판 (328) 과, 1 쌍의 지지판 (328) 의 X 축 방향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간격 조정 기구는, 에어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 등의 적절한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링이 없는 유닛 (U') 을 지지하는 1 쌍의 지지판 (328) 에는, 히터 (도시하고 있지 않다) 가 장착되어 있다. 1 쌍의 지지판 (328) 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 있어서, 1 쌍의 지지판 (328) 은, 히터에 의해 링이 없는 유닛 (U') 의 테이프 (96) 를 가열함으로써, 보강부 (24) 가 제거된 것에 의해 발생한 테이프 (96) 의 늘어짐, 주름을 펴도록 되어 있다.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도시된 실시형태의 압입부 (312) 는,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 축 가이드 부재 (330) 와,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Y 축 가이드 부재 (330) 에 지지된 Y 축 가동 부재 (332) 와, Y 축 가동 부재 (33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이송 기구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포함한다. Y 축 가동 부재 (332) 는, Y 축 가이드 부재 (330) 에 지지된 기부 (334) 와, 기부 (334)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주 (支柱) (336) 와, 지주 (336) 의 상단에 부설된 가압편 (338) 을 갖는다. 압입부 (312) 의 Y 축 이송 기구는, Y 축 가동 부재 (332) 에 연결되고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는,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취하기 전에 1 쌍의 지지판 (328) 의 간격을 간격 조정 기구에 의해 넓힌 후, 흡인 패드 (326) 에 유지된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취한다. 그리고, 압입부 (312) 는,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가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취하면, Y 축 이송 기구에 의해 Y 축 가동 부재 (332) 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에 지지된 링이 없는 유닛 (U') 을 가압편 (338) 에 의해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에 재치된 프레임 카세트 (198) 에 진입시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1 에 나타내는 프레임 카세트 (198) 에는,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복수장의 링이 없는 유닛 (U') 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된다.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은, 프레임 카세트 (198) 가 재치되는 재치부 (340) 와, 재치부 (340) 를 승강시켜 임의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승강부 (342) 를 포함한다. 승강부 (342) 는, 재치부 (340) 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와, 이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구성이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공 장치 (2) 를 사용하여, 외주 잉여 영역 (20) 에 대응하는 이면 (4b) 에 링상의 보강부 (24) 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다이싱 테이프 (96) 를 첩착하여 프레임 (64) 과 일체로 함과 함께,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절단하여 웨이퍼 (4) 로부터 제거하는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웨이퍼 (4) 가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 (6) 를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에 재치하는 웨이퍼 카세트 재치 공정을 실시한다. 웨이퍼 카세트 (6) 에는, 표면 (4a) 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복수장의 웨이퍼 (4) 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4) 를 수용하는 개구부 (64a) 가 형성된 링상의 프레임 (64) 을 프레임 수용 기구 (66) 에 복수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 공정을 실시한다. 프레임 수용 공정은, 웨이퍼 카세트 재치 공정 전에 실시해도 되고, 웨이퍼 카세트 재치 공정 후에 실시해도 된다.
프레임 수용 공정에서는, 프레임 수용 기구 (66) 의 승강판 (74) 을 임의의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손잡이 (76a) 를 파지하여 문 (76) 을 열고, 승강판 (74) 의 상면에 복수의 프레임 (64) 을 적층하여 수용한다. 또, 승강판 (74) 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 가능한 위치에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위치시킨다.
웨이퍼 카세트 재치 공정 및 프레임 수용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에 재치된 웨이퍼 카세트 (6) 로부터 웨이퍼 (4) 를 반출하는 웨이퍼 반출 공정을 실시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웨이퍼 반출 공정에서는, 먼저, 웨이퍼 반출 기구 (10) 의 Y 축 이송 기구 (34) 를 작동시켜, Y 축 가동 부재 (32) 를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8) 의 근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반송 아암 (42) 을 구동시켜, 웨이퍼 카세트 (6) 내의 웨이퍼 (4) 의 이면 (4b) 측 (하측) 에, 에어 분출구 (46) 을 위를 향하게 한 핸드 (44) 를 위치시킨다. 웨이퍼 (4) 의 이면 (4b) 측에 핸드 (44) 를 위치시켰을 때에는, 웨이퍼 (4) 의 이면 (4b) 과 핸드 (4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또, 각 가이드 핀 (48) 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시켜 둔다.
이어서, 핸드 (44) 의 에어 분출구 (46) 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핸드 (44) 의 편면측에 부압을 생성하여, 핸드 (44) 에 의해 비접촉으로 웨이퍼 (4) 를 이면 (4b) 측으로부터 흡인 지지한다. 이어서, 각 가이드 핀 (48) 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의 수평 이동을 각 가이드 핀 (48) 에 의해 규제한다. 그리고, 웨이퍼 반출 기구 (10) 의 Y 축 가동 부재 (32) 및 반송 아암 (42) 을 이동시켜,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를 웨이퍼 카세트 (6) 로부터 반출한다.
웨이퍼 반출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4) 의 절결 (26) 의 위치를 검출하는 절결 검출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 검출 공정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의 외주를 절결 검출기 (50) 의 발광 소자 (52) 와 수광 소자 (5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구동원으로 가이드 핀 (48) 을 통하여 웨이퍼 (4) 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 (4) 의 절결 (26) 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로써, 웨이퍼 (4) 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절결 검출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반출 기구 (10) 에 의해 반출된 웨이퍼 (4) 의 표면 (4a) 측을 웨이퍼 테이블 (12) 로 지지하는 웨이퍼 지지 공정을 실시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웨이퍼 지지 공정에서는, 먼저, 웨이퍼 반출 기구 (10) 의 핸드 (44) 를 상하 반전시켜 웨이퍼 (4) 의 표면 (4a) 을 아래를 향하게 한다. 이어서, 웨이퍼 반출 기구 (10) 의 Y 축 가동 부재 (32) 및 반송 아암 (42) 을 이동시켜, 핸드 (44) 로 흡인 지지한 웨이퍼 (4) 의 표면 (4a)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웨이퍼 테이블 (12) 의 환상 지지부 (56) 에 접촉시킨다. 이 때, 웨이퍼 (4) 의 표면 (4a) 의 디바이스 영역 (18) 은 웨이퍼 테이블 (12) 의 오목소 (62) 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14) 와 웨이퍼 테이블 (12) 이 접촉하지 않아, 디바이스 (14) 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어서, 웨이퍼 테이블 (12) 의 흡인원을 작동시켜, 각 흡인공 (60) 에 흡인력을 생성함으로써, 웨이퍼 (4) 의 표면 (4a)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핸드 (44) 에 의한 웨이퍼 (4) 의 흡인 지지를 해제함과 함께, 웨이퍼 테이블 (12) 로부터 핸드 (44) 를 이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웨이퍼 반출 기구 (10) 로부터 웨이퍼 테이블 (12) 에 웨이퍼 (4) 를 수수한다. 웨이퍼 테이블 (12) 에 수수된 웨이퍼 (4) 는 각 흡인공 (60) 에 의해 흡인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퍼 (4) 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 웨이퍼 카세트 재치 공정 및 프레임 수용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반출 공정이나 웨이퍼 지지 공정과 병행하여, 프레임 수용 기구 (66) 로부터 프레임 (64) 을 반출하는 프레임 반출 공정을 실시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 반출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X 축 가동 부재 (84) 및 Z 축 가동 부재 (86) 를 이동시켜, 프레임 수용 기구 (66) 에 수용되어 있는 최상단의 프레임 (64) 의 상면에 유지부 (88) 의 흡인 패드 (92) 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흡인원을 작동시켜, 흡인 패드 (92) 에 흡인력을 생성함으로써,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흡인 패드 (92) 로 흡인 유지한다. 그리고,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X 축 가동 부재 (84) 및 Z 축 가동 부재 (86) 를 이동시켜, 유지부 (88) 의 흡인 패드 (92) 로 흡인 유지한 최상단의 프레임 (64) 을 프레임 수용 기구 (66) 로부터 반출한다.
프레임 반출 공정을 실시한 후, 프레임 반출 기구 (68) 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 (64) 을 프레임 테이블 (70) 로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공정을 실시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프레임 지지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X 축 가동 부재 (84) 및 Z 축 가동 부재 (86) 를 이동시켜, 흡인 패드 (92) 로 흡인 유지한 프레임 (64) 을 프레임 테이블 (70) 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 프레임 테이블 (70) 을 하강 위치 (도 5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에 위치시켜 둔다. 이어서,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흡인 패드 (92) 의 흡인력을 해제하고, 프레임 (64) 을 프레임 테이블 (70) 에 올린다. 그리고, 프레임 반출 기구 (68) 의 X 축 가동 부재 (84) 및 Z 축 가동 부재 (86) 를 이동시켜, 유지부 (88) 를 프레임 테이블 (70) 의 상방으로부터 이간시킨다.
프레임 지지 공정을 실시한 후, 프레임 (64) 에 테이프 (96) 를 첩착하는 테이프 첩착 공정을 실시한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 첩착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테이블 (70) 을 하강 위치 (도 6(a) 에 나타내는 위치) 로부터, 프레임 (64) 에 테이프 (96) 를 첩착 가능한 상승 위치 (도 6(b) 에 나타내는 위치) 로 이동시키기 전에, 롤 테이프 (96R) 로부터 테이프 (96) 를 인출함과 함께 박리지 (116) 를 박리한 테이프 (96) 를 프레임 테이블 (70) 의 상방에 위치시켜 둔다. 또한, 프레임 테이블 (70) 의 상방에 위치하는 테이프 (96) 의 점착면은 아래를 향하고 있다.
이어서, 테이프 첩착 기구 (98) 의 압착부 (110) 의 가압 롤러 (132) 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프레임 테이블 (70) 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가압 롤러 (132) 로 테이프 (96) 의 점착면을 프레임 (64) 에 가압하면서 가압 롤러 (132) 를 Y 축 방향으로 굴린다. 이로써, 테이프 인출부 (108) 에 의해 롤 테이프 (96R) 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에 압착할 수 있다.
이어서, 테이프 첩착 기구 (98) 의 절단부 (112) 의 커터 (144) 및 누름 롤러 (146) 를 하강시켜, 프레임 (64) 상의 테이프 (96) 에 커터 (144) 를 갖다 댐과 함께, 누름 롤러 (146) 로 테이프 (96) 위에서부터 프레임 (64) 을 누른다. 이어서, 모터 (138) 에 의해 아암편 (140) 을 회전시켜, 커터 (144) 및 누름 롤러 (146) 를 프레임 (64) 을 따라 원을 그리듯이 이동시킨다. 이로써, 프레임 (64) 의 외주로 비어져 나온 테이프 (96) 를 프레임 (64) 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또, 누름 롤러 (146) 로 테이프 (96) 위에서부터 프레임 (64) 을 누르고 있으므로, 테이프 (96) 를 절단하고 있을 때에 프레임 (64) 이나 테이프 (96) 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원형의 개구부 (120) 가 형성된 사용이 완료된 테이프 (96) 는, 테이프 권취부 (106) 에 의해 권취된다.
테이프 첩착 공정을 실시한 후, 테이프 (96) 가 첩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까지 반송하고,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프레임 (64) 의 개구부 (64a) 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에 재치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공정을 실시한다.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테이블 (70) 을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도 5 참조) 의 Y 축 가동 부재 (150) 및 Z 축 가동 부재 (152) 를 이동시켜, 테이프 (96) 의 점착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프레임 테이블 (70) 에 지지되어 있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도 7 참조) 의 상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유지부 (154) 의 각 흡인 패드 (158) 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흡인원을 작동시켜, 흡인 패드 (158) 에 흡인력을 생성함으로써,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상면을 흡인 패드 (158) 로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Y 축 가동 부재 (150) 및 Z 축 가동 부재 (152) 를 이동시켜, 흡인 패드 (158) 로 흡인 유지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프레임 테이블 (70) 로부터 반출한다.
이어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흡인 패드 (158) 로 흡인 유지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까지 반송하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테이블 (12) 에 지지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프레임 (64) 의 개구부 (64a) 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의 프레임 지지부 (58) 에 접촉시킨다. 이 때에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의 점착면이 아래를 향하고 있고, 웨이퍼 (4) 의 이면 (4b) 이 위를 향하여 테이프 (96) 의 점착면에 대면하고 있다.
이어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흡인 패드 (158) 의 흡인력을 해제하고,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을 웨이퍼 테이블 (12) 의 프레임 지지부 (58) 에 올린다. 그리고,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0) 의 Y 축 가동 부재 (150) 및 Z 축 가동 부재 (152) 를 이동시켜, 유지부 (154) 를 웨이퍼 테이블 (12) 의 상방으로부터 이간시킨다.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공정을 실시한 후,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를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 공정을 실시한다.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 압착 공정에서는, 먼저, 테이프 압착 기구 (102) 의 승강 기구 (164) 에 의해 상부 챔버 (160) 를 하강시켜, 상부 챔버 (160) 의 측벽 (172) 의 하단을 하부 챔버 (162) 의 측벽 (186) 의 상단에 접촉시킨다. 이로써,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가압 롤러 (174) 를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에 접촉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상단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의 점착면에 첩부된다.
이어서, 테이프 압착 기구 (102) 의 대기 개방부 (168) 를 닫은 상태에서 진공부 (166) 를 작동시켜,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 기구 (102) 의 가압 롤러 (174) 를 Y 축 방향으로 굴림으로써,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테이프 (96) 를 압착한다. 이로써, 웨이퍼 (4) 의 이면 (4b) 과 테이프 (96) 가 압착된 프레임 유닛 (U) 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대기 개방부 (168) 를 개방하여, 대기압에 의해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을 따라 테이프 (96) 를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승강 기구 (164) 에 의해 상부 챔버 (160) 를 상승시킨다.
또한,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의 내부를 진공으로 함으로써, 웨이퍼 테이블 (12) 에 의한 웨이퍼 (4) 의 흡인력이 소실되어 버리지만, 상부 챔버 (160) 및 하부 챔버 (162) 를 폐색 상태로 했을 때에,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상단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의 점착면에 첩부되기 때문에, 테이프 압착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 (4) 의 위치가 어긋나지는 않는다.
테이프 압착 공정을 실시한 후,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4') 의 테이프 (96) 와 웨이퍼 (4) 의 이면 (4b) 이 압착된 프레임 유닛 (U) 을 웨이퍼 테이블 (12) 로부터 반출하는 프레임 유닛 반출 공정을 실시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 유닛 반출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의 반송부 (206) 를 작동시켜,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의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흡착편 (210) 의 하면을 웨이퍼 (4) 의 이면 (4b) 측의 테이프 (96) 에 접촉시킴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202b) 의 흡인 패드 (214) 를 프레임 (64) 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흡착편 (210) 및 프레임 유지부 (202b) 의 흡인 패드 (214) 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웨이퍼 유지부 (202a) 의 흡착편 (210) 으로 웨이퍼 (4) 를 이면 (4b) 측 (테이프 (96) 측) 으로부터 흡인 유지함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202b) 의 흡인 패드 (214) 로 프레임 (64) 을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웨이퍼 테이블 (12) 에 의한 웨이퍼 (4) 의 흡인 유지를 해제한다. 그리고, 반송부 (206) 를 작동시켜,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로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웨이퍼 테이블 (12) 로부터 반출한다.
프레임 유닛 반출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4) 의 중심을 가거치 테이블 (204) 의 중심과 일치시켜, 프레임 유닛 (U) 을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하는 가거치 공정을 실시한다.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거치 공정에서는, 먼저,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로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촬상부 (224) 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의 이차원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반송부 (206) 를 작동시켜, 프레임 유닛 유지부 (202) 로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외주의 적어도 3 개 지점을 촬상부 (224) 로 촬상한다. 이로써, 웨이퍼 (4) 의 외주에 있어서의 적어도 3 점의 좌표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한 3 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웨이퍼 (4) 의 중심 좌표를 구한다.
이어서, 반송부 (206) 를 작동시켜, 웨이퍼 (4) 의 중심을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환상 지지부 (226) 의 중심에 위치시켜,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환상 지지부 (226) 의 상면에 웨이퍼 (4) 의 표면 (4a)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접촉시킴과 함께,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프레임 지지부 (228) 의 상면에 프레임 (64) 의 하면을 접촉시킨다. 이 때,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아래를 향하고 있지만, 디바이스 영역 (18) 은 가거치 테이블 (204) 의 오목소 (230) 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14) 와 가거치 테이블 (204) 이 접촉하지 않아, 디바이스 (14) 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어서, 웨이퍼 유지부 (202a) 에 의한 웨이퍼 (4) 의 흡인 유지를 해제함과 함께, 프레임 유지부 (202b) 에 의한 프레임 (64) 의 흡인 유지를 해제하고,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로부터 가거치 테이블 (204) 에 프레임 유닛 (U) 을 수수한다. 이어서, 프레임 지지부 (228) 의 히터를 작동시켜,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 (U) 의 테이프 (96) 를 히터에 의해 가열한다. 이로써, 테이프 (96) 가 연화되어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테이프 (96) 가 밀착된다.
가거치 공정을 실시한 후,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2) 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공정을 실시한다.
도 1, 도 10 및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강부 제거 공정에서는, 먼저,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의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X 축 가동 부재 (260) 및 Z 축 가동 부재 (262) 를 이동시켜, 가거치 테이블 (204) 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 (U) 의 프레임 (64) 의 상면에 흡착편 (268) 의 하면을 접촉시킨다. 이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흡착편 (268) 의 각 흡인공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프레임 유닛 (U) 의 프레임 (64) 부분을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X 축 가동 부재 (260) 및 Z 축 가동 부재 (262) 를 작동시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착편 (268) 으로 흡인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을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레이저 빔 (LB) 의 집광점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모터 (266) 에 의해 흡착편 (268) 및 프레임 유닛 (U) 을 회전시키면서,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레이저 빔 (LB) 을 조사한다. 이로써, 웨이퍼 (4) 의 링상의 보강부 (24) 의 경계 부분에 어블레이션 가공을 실시하여, 링상의 절단 홈 (256) 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웨이퍼 (4) 에 레이저 빔 (LB) 을 조사할 때에는,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4) 의 흡인원을 작동시켜 흡인 노즐 (254) 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어블레이션 가공에 의해 생성된 데브리를 흡인 노즐 (254) 에 의해 흡인한다.
이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X 축 가동 부재 (260) 및 Z 축 가동 부재 (262) 를 이동시켜, 흡착편 (268) 으로 흡인 유지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표면 (4a) 의 외주 잉여 영역 (20) 을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환상 지지부 (226) 의 상면에 접촉시킴과 함께, 가거치 테이블 (204) 의 프레임 지지부 (228) 의 상면에 프레임 (64) 의 하면을 접촉시킨다. 이어서,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흡착편 (268) 의 흡인력을 해제하고, 제 1 승강 테이블 (246) 로부터 가거치 테이블 (204) 에 프레임 유닛 (U) 을 수수한다.
이어서, 프레임 유닛 (U) 을 수취한 가거치 테이블 (204) 을 가거치 테이블 반송부 (232) 에 의해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의 분리부 (248) 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도 10 참조). 또한, 이 때에, 폐기부 (276) 의 벨트 컨베이어 (300) 를 대기 위치에 위치시켜 둔다. 이어서, 분리부 (248) 의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을 하강시켜, 웨이퍼 (4) 의 이면 (4b) 부분의 테이프 (96) 에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의 하면을 접촉시킨다. 이어서,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의 하면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상의 보강부 (24) 를 외주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의 내측을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의 테이블 헤드 (287) 로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프레임 유닛 (U) 의 웨이퍼 (4) 를 흡인 유지한 제 2 승강 테이블 (272) 을 상승시켜, 프레임 유닛 (U) 을 가거치 테이블 (204) 로부터 이간시킴과 함께, 가거치 테이블 (204) 을 제 1 승강 테이블 (246) 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이송 기구 (290) 에 의해 가동편 (288) 을 이동시킴과 함께, Z 축 이송 기구 (294) 에 의해 지지 기판 (400) 을 이동시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를 갖는 피스 (402) 를 링상의 보강부 (24) 의 외주에 작용시켜, 테이프 (96) 와 보강부 (24) 사이에 피스 (402) 의 쐐기를 위치시킴과 함께, 프레임 지지부 (404) 의 구체 (404b) 로 프레임 (64) 을 지지한다. 또, 폐기부 (276) 의 벨트 컨베이어 (300) 를 대기 위치로부터 회수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1 쌍의 자외선 조사부 (270) 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링상의 보강부 (24) 에 첩부되어 있는 테이프 (96) 의 점착력을 저감시킴과 함께, 분리기 (274) 에 대해 제 2 승강 테이블 (272) 과 함께 프레임 유닛 (U) 을 모터 (284) 에 의해 회전시킨다. 또, 이오나이저 (406) 로부터 프레임 유닛 (U) 을 향하여 이온화 에어를 분사한다. 이로써,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 (U) 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 (24) 를 분리할 수 있음과 함께, 보강부 (24) 를 분리할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가 프레임 유닛 (U) 에 잔존하지 않는다. 프레임 유닛 (U) 으로부터 낙하한 보강부 (24) 는, 벨트 컨베이어 (300) 에 의해 더스트 박스 (302) 에 반송되어 회수된다. 또한, 보강부 (24) 를 분리할 때에, 프레임 유닛 (U) 에 대해 분리기 (274) 를 회전시켜도 된다.
보강부 제거 공정을 실시한 후, 링상의 보강부 (24) 가 제거된 링이 없는 유닛 (U') 을 보강부 제거 기구 (194) 로부터 반출하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공정을 실시한다.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공정에서는, 먼저,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의 폐기부 (276) 의 벨트 컨베이어 (300) 를 회수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의 반전 기구 (308) (도 19 참조) 의 프레임 유지부 (306) 를,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흡인 유지되어 있는 링이 없는 유닛 (U') 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프레임 유지부 (306) 의 흡인 패드 (326) 를 위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아암 (318) 을 상승시켜,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지지되고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상태의 링이 없는 유닛 (U') 의 프레임 (64) 의 하면측에 프레임 유지부 (306) 의 흡인 패드 (326) 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프레임 유지부 (306) 의 흡인 패드 (326) 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링이 없는 유닛 (U') 의 프레임 (64) 을 흡인 패드 (326) 로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제 2 승강 테이블 (272) 에 의한 링이 없는 유닛 (U') 의 흡인 유지를 해제한다. 이로써, 보강부 제거 기구 (194) 의 제 2 승강 테이블 (272) 로부터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의 프레임 유지부 (306) 에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수한다.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공정을 실시한 후,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에 의해 반출된 링이 없는 유닛 (U') 을 수용하는 링이 없는 유닛 수용 공정을 실시한다.
링이 없는 유닛 수용 공정에서는, 먼저,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6) 의 반전 기구 (308) 를 상하 반전시켜, 프레임 유지부 (306) 로 흡인 유지한 링이 없는 유닛 (U') 을 상하 반전시킨다. 이로써, 프레임 유지부 (306) 의 하방에 링이 없는 유닛 (U') 이 위치하고, 웨이퍼 (4) 의 표면 (4a) 이 위를 향하게 된다.
이어서, 반전 기구 (308) 의 Y 축 가동 부재 (316) 및 아암 (318) 을 이동시켜,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의 1 쌍의 지지판 (328) 의 상면에 링이 없는 유닛 (U') 을 접촉시킨다. 이 때, 간격 조정 기구에 의해 1 쌍의 지지판 (328) 의 간격은 좁아져 있고, 1 쌍의 지지판 (328) 은 서로 밀착되어 있다. 이어서, 프레임 유지부 (306) 에 의한 링이 없는 유닛 (U') 의 흡인 유지를 해제하고, 1 쌍의 지지판 (328) 에 링이 없는 유닛 (U') 을 올린다. 이어서, 각 지지판 (328) 에 장착된 히터를 작동시켜, 링이 없는 유닛 (U') 의 테이프 (96) 를 가열함으로써, 보강부 (24) 가 제거된 것에 의해 발생한 테이프 (96) 의 늘어짐, 주름을 편다. 그리고, 다시 링이 없는 유닛 (U') 을 프레임 유지부 (306) 로 흡인 유지하여 상승시킨다.
이어서, 간격 조정 기구에 의해 1 쌍의 지지판 (328) 의 간격을 넓힌 후, 링이 없는 유닛 (U') 을 지지판 (328) 의 상면에 재치한다. 그리고,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부 (312) 의 가압편 (338) 에 의해 링이 없는 유닛 지지부 (310) 에 지지된 링이 없는 유닛 (U') 을 눌러,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0) 에 재치된 프레임 카세트 (198) 에 진입시켜 수용한다.
이상과 같으며, 도시된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 (2) 에 있어서는, 외주 잉여 영역 (20) 에 대응하는 이면 (4b) 에 링상의 보강부 (24) 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 (4) 의 이면 (4b) 에 다이싱 테이프 (96) 를 첩착하여 프레임 (64) 과 일체로 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함께, 링상의 보강부 (24) 를 절단하여 웨이퍼 (4) 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양호해진다.
2 : 가공 장치
4 : 웨이퍼
4a : 웨이퍼의 표면
4b : 웨이퍼의 이면
6 : 웨이퍼 카세트
8 :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
10 : 웨이퍼 반출 기구
12 : 웨이퍼 테이블
20 : 외주 잉여 영역
24 : 보강부
64 : 프레임
64' :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66 : 프레임 수용 기구
68 : 프레임 반출 기구
70 : 프레임 테이블
98 : 테이프 첩착 기구
100 :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
102 : 테이프 압착 기구
192 :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
194 : 보강부 제거 기구
196 :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
198 : 프레임 카세트
200 :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
204 : 가거치 테이블
244 : 레이저 빔 조사 유닛
246 : 제 1 승강 테이블
248 : 분리부
256 : 절단 홈
270 : 자외선 조사부
272 : 제 2 승강 테이블
274 : 분리기
276 : 폐기부
287 : 테이블 헤드
400 : 지지 기판
402 : 피스
404 : 프레임 지지부
404b : 구체
406 : 이오나이저

Claims (5)

  1. 외주 잉여 영역에 대응하는 이면에 링상의 보강부가 볼록상으로 형성된 웨이퍼로부터 볼록상의 보강부를 제거하는 가공 장치로서,
    복수의 웨이퍼가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가 재치되는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과,
    그 웨이퍼 카세트 테이블에 재치된 웨이퍼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반출하는 웨이퍼 반출 기구와,
    그 웨이퍼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웨이퍼의 표면측을 지지하는 웨이퍼 테이블과,
    웨이퍼를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상의 프레임을 복수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 기구와,
    그 프레임 수용 기구로부터 프레임을 반출하는 프레임 반출 기구와,
    그 프레임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테이블과,
    그 프레임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에 테이프를 첩착하는 테이프 첩착 기구와,
    테이프가 첩착된 프레임을 그 웨이퍼 테이블까지 반송하고 그 웨이퍼 테이블에 지지된 웨이퍼의 이면에 프레임의 개구부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을 그 웨이퍼 테이블에 재치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 반송 기구와,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의 테이프를 웨이퍼의 이면에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 기구와,
    그 테이프 압착 기구에 의해 테이프가 부착된 프레임의 테이프와 웨이퍼의 이면이 압착된 프레임 유닛을 그 웨이퍼 테이블로부터 반출하고 가거치 테이블에 가거치하는 프레임 유닛 반출 기구와,
    그 가거치 테이블에 재치된 프레임 유닛의 웨이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기구와,
    링상의 보강부가 제거된 링이 없는 유닛을 그 보강부 제거 기구로부터 반출하는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와,
    그 링이 없는 유닛 반출 기구에 의해 반출된 링이 없는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 카세트가 재치되는 프레임 카세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그 보강부 제거 기구는, 웨이퍼의 외주에 형성된 링상의 보강부의 경계 부분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 조사 유닛과, 그 가거치 테이블에 가거치된 프레임 유닛을 유지하여 상승시킴과 함께 그 레이저 빔 조사 유닛에 위치시키는 제 1 승강 테이블과, 그 절단 홈으로부터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그 분리부는, 그 절단 홈에 대응하는 테이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테이프의 점착력을 저감시키는 자외선 조사부와, 링상의 보강부를 외주에 노출시켜 웨이퍼의 내측을 흡인 유지하는 제 2 승강 테이블과, 쐐기를 갖는 피스를 링상의 보강부의 외주에 작용시켜 링상의 보강부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링상의 보강부가 폐기되는 폐기부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제 2 승강 테이블은, 웨이퍼의 보강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2 종류 이상의 테이블 헤드를 포함하고, 그 테이블 헤드는 승강 기구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고,
    그 분리부는, 제어 유닛에 입력된 그 테이블 헤드의 종류와 현실에서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 헤드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그 검출기는, 그 분리기의 피스를 그 테이블 헤드의 외주에 접촉시켜 얻어지는 그 테이블 헤드의 외경과, 그 제어 유닛에 입력된 그 테이블 헤드의 외경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그 분리부의 피스에 인접하여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그 프레임 지지부는, 회전 가능한 구체를 갖는 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그 분리부의 피스에 인접하여 이오나이저가 배치 형성되고,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정전기를 제거하는 가공 장치.
KR1020220048824A 2021-05-27 2022-04-20 가공 장치 KR20220160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9208A JP2022181953A (ja) 2021-05-27 2021-05-27 加工装置
JPJP-P-2021-089208 2021-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75A true KR20220160475A (ko) 2022-12-06

Family

ID=8399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24A KR20220160475A (ko) 2021-05-27 2022-04-20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84237A1 (ko)
JP (2) JP2022181953A (ko)
KR (1) KR20220160475A (ko)
CN (1) CN115410952A (ko)
DE (1) DE102022204940A1 (ko)
TW (1) TW2022472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938A (ko) * 2020-10-13 2022-04-20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레이저 가공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375A (ja) 2008-09-04 2010-03-18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エーハの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375A (ja) 2008-09-04 2010-03-18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エーハ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4940A1 (de) 2022-12-01
CN115410952A (zh) 2022-11-29
US20220384237A1 (en) 2022-12-01
JP2022181953A (ja) 2022-12-08
TW202247266A (zh) 2022-12-01
JP2023038377A (ja)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4472B2 (ja) 加工装置
KR20220044662A (ko) 가공 장치
KR20220160475A (ko) 가공 장치
KR20230055955A (ko) 가공 장치
US20220270910A1 (en) Processing apparatus
KR20220120459A (ko) 가공 장치
KR20230023569A (ko) 가공 장치
JP2023023887A (ja) 加工装置
KR20220083599A (ko) 가공 장치
KR20220163278A (ko) 가공 방법 및 가공 장치
JP2022141004A (ja) 加工装置
JP2022064296A (ja) レーザー加工装置
KR20220048938A (ko) 레이저 가공 장치
JP2022077222A (ja) 加工装置
JP2022114113A (ja) 加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