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03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032A
KR20220160032A KR1020227036496A KR20227036496A KR20220160032A KR 20220160032 A KR20220160032 A KR 20220160032A KR 1020227036496 A KR1020227036496 A KR 1020227036496A KR 20227036496 A KR20227036496 A KR 20227036496A KR 20220160032 A KR20220160032 A KR 2022016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display
unit
display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6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복수개의 천공들을 포함하는 회전 기어,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기어에 구비된 천공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센서 및 회전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방식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세로로 두고 시청하는 등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세로로 두고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의 회전은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모터와 회전 기어 등 회전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회전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회전 모듈의 제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전 모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손상 또한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시, 회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수행하는 회전 모듈을 단순한 구조로 구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복수개의 천공들을 포함하는 회전 기어,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기어에 구비된 천공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센서 및 회전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센서는 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기어에 구비된 복수개의 천공들은 회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천공; 및 회전 기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 복수개의 제1 천공 이후에 위치하며, 제1 거리와 상이한 제2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센서는 천공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프로세서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와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회전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해 여부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방해받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회전을 멈추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디스플레이의 배치 모드를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동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배치 모드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 정확성을 높이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회전 동작 감지와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로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회전 기어에 형성된 천공부와 천공부에 의해 회전 센서가 출력하는 출력 신호 및 구동부의 속도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센싱부(145),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 구동부(16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 구동 기어(165)와 회전 기어(168)의 기어 비와 크기 등에 따라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메모리(140)로 명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센싱부(14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5)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센서(145), 또는 광 센서(145)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구동부(160)는 제어부(170)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 기어(165, 도 8 참고)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프로세서(170)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디스플레이(180)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가로에서 세로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배치 모드는 가로 모드, 세로 모드 및 회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로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80)의 가로 모드는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장변이 가로 방향에 있고, 단변이 세로 방향에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세로 모드는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의 단변이 가로 방향에 있고, 장변이 세로 방향에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80)의 배치 모드가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사이에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화면 모드는 가로 모드 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가로 화면 모드, 세로 모드 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세로 화면 모드 및 회전 모드 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회전 화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와 디스플레이부(180)가 부착된 하우징(181), 바닥면 상에 놓이는 베이스(185), 하우징(181)과 베이스(185)를 연결하는 스탠드(1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와 디스플레이부(180)가 부착된 하우징(181)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80)와 하우징(181)을 합쳐서 디스플레이부(180)로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하우징(181)의 회전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스탠드(183)와 스탠드(183)의 일단과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185)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스탠드(183)와 베이스(185)는 합쳐져서 하나의 스탠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통해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가 회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스탠드(183)의 일단은 베이스(185)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81)과 회전 축(187)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183)의 일단에는 회전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부(182)는 하우징(181)과 연결되어 하우징(181)을 회전시키는 회전 축(187), 구동부(16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165) 및 구동 기어(165)와 맞물리며 회전 축(18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기어(16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어(168)의 일정 영역에는 구동 기어(165)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톱니부(168-1)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회전 센서(145)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천공(hole, apertures)부(168-2)가 형성될 수 있다.
우선, 회전 기어(168)의 톱니부(168-1)와 구동 기어(165)를 중심으로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180)를 회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기어(165)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16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165)는 구동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165)가 구동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65)와 톱니부(168-1)를 통해 맞물린 회전 기어(168)는 회전 축(187)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기어(168)는 회전 동력을 회전 축(187)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축(187)과 연결된 하우징(181)은 회전 축(187)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기어(165)가 구동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65)와 맞물린 회전 기어(168)는 회전 축(187)을 중심으로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축(187)과 연결된 하우징(181)은 회전 축(187)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81)은 구동부(160)의 회전에 의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로 하우징(181), 즉 디스플레이부(1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 모드로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도 6과 같이 세로 모드로 영상을 시청하고 싶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통해 세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 6과 같은 세로 모드에서 도 5와 같은 가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을 통해 회전 기어(168)의 천공부(168-2)를 중심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센서(145)가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기어(168)의 천공부(168-2)는 복수개의 천공(167)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167)은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구멍(hole)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천공(167)은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의 (a)와 도 10의 (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센서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 도면이고, 도 9의 (b)와 도 10의 (b)는 각각 도 9의 (a)와 도 10 의(b)에 따른 실시 예에서 회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센서는 광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145)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광 센서(145)는 투과형 광 센서, 반사형 광 센서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광 센서(145)가 투과형 광 센서인 경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광 센서(145)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145)의 발광부에서 방출한 빛(Light)이 광 센서(145)의 수광부에서 감지되면 광 센서(145)의 출력은 0(low)이 될 수 있다. 광 센서(145)의 발광부에서 방출한 빛이 광 센서(145)의 수광부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광 센서(145)의 출력은 1(high)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기어(168)의 일측에는 광 센서(145)의 발광부가 위치하고, 회전 기어(168)의 타측에는 광 센서(145)의 발광부에서 출사되어 천공(167)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는 광 센서(145)의 수광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와 같이 회전 기어(168)가 발광부에서 방출한 빛을 차단하는 경우, 광 센서(145)의 출력은 도 9의 (b)와 같이 high일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와 같이 발광부에서 방출한 빛이 회전 기어(168)에 존재하는 천공(167)을 통과하여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경우, 광 센서(145)의 출력은 도 10의 (b)와 같이 low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회전 기어(168)에 복수개의 천공(167)을 포함하는 천공부(168-2)를 형성하고, 광 센서(145)는 회전 기어(1680)에 구비된 천공(167)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 센서(145)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자세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동작 감지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시작될 때 구동부(160)의 속도를 천천히 가속하고, 회전 중에는 빠른 속도로 구동부(160)를 회전시키며, 회전이 거의 다 이루어진 때에는 구동부(160)의 속도를 다시 감속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회전 기어(168)에 구비된 천공(167)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회전 기어에 형성된 천공부와 천공부에 의해 회전 센서가 출력하는 출력 신호 및 구동부의 속도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160)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S101). 회전 시작 신호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의 배치 모드를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에 따라 구동부(160)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를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이면 구동부(16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를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이면 구동부(16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회전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160)의 속도를 제1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S102). 이는 도 12에서 (a)구간에 해당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a)구간은 디스플레이 회전을 시작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은 회전 기어(168)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거리(d1)만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167-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은 회전 기어(168)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제1 천공(167-1) 이후에 위치하며, 제1 거리(d1)와 상이한 제2 거리(d2)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천공(167-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속도는 회전을 시작하거나 정지하기 위해 느린 속도로 디스플레이부(180)를 회전시키는 기준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도는 6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가 제1 속도로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동안 회전 센서(145)에서 제1 천공(167-1)을 감지하고 제1 천공(167-1)과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제1 천공(167-1)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low에서 다시 low를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160ms일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구동부(160)를 제1 속도로 제어하는 중에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를 통해 신호 패턴 A를 인식하면(S103), 구동부(160)를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S105).
이는 도 12의 (a)구간에서 (b)구간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패턴 A는 도 12와 같이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 간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불균등하게 출력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패턴 A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1 시간(예를 들어, 160ms)보다 짧은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즉, 신호 패턴 A는 회전 센서(145)의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짧아지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A를 인식하면 구동부(160)의 속도를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2에서 (b)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속도는 회전 속도를 갑작스럽게 느린 속도에서 빠른 속도로 제어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가해질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보통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준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속도는 12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가 제2 속도로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동안 회전 센서(145)에서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low에서 다시 low를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2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간은 80ms일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A가 인식되지 않으면, 회전 방해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4). 회전 방해가 감지되었다는 것은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에서 신호 패턴 A가 감지 되어야하는 시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 패턴 A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방해되면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는 회전이 시작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high를 유지하거나, low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회전 방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회전 방해가 감지되면 구동부(160)를 정지시킨다(S118).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정지한 경우에도 구동부(160)를 구동하게 되면 구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70)는 회전 방해가 감지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구동부(160)를 제2 속도로 제어하는 중에 신호 패턴 B가 인식되면(S106), 구동부(160)를 제2 속도보다 빠른 제3 속도로 제어한다(S108).
이는 도 12의 (b)구간에서 (c)구간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패턴 B는 도 12와 같이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 간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불균등하게 출력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패턴 B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2 시간(예를 들어, 80ms)보다 짧은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신호 패턴 B는 회전 센서(145)가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제2 시간보다 짧은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신호 패턴 B는 회전 센서(145)의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짧아지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B를 인식하면 구동부(160)의 속도를 제2 속도보다 빠른 제3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2에서 (c)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속도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제일 빠르게 하는 기준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앞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의 가속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안정 상태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가장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속도는 24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가 제3 속도로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동안 회전 센서(145)에서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low에서 다시 low를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3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시간은 20ms일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B가 인식되지 않으면, 회전 방해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7). 이하, S107 단계, S110 단계, S113단계, S116단계는 S104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70)는 구동부(160)를 제3 속도로 제어하는 중에 신호 패턴 C가 인식되면(S109), 구동부(160)를 제3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제어한다(S111).
이는 도 12의 (c)구간에서 (d)구간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신호 패턴 C는 도 12와 같이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 간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불균등하게 출력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패턴 C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3 시간(예를 들어, 20ms)보다 긴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신호 패턴 C는 회전 센서(145)가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제3 시간보다 긴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신호 패턴 C는 회전 센서(145)의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길어지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C를 인식하면 구동부(160)의 속도를 제3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2에서 (d)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속도는 회전 속도를 갑작스럽게 빠른 속도에서 느린 속도로 제어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가해질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보통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준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속도는 12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가 제2 속도로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동안 회전 센서(145)에서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low에서 다시 low를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2 시간일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구동부(160)를 제2 속도로 제어하는 중에 신호 패턴 D가 인식되면(S112), 구동부(160)를 제2 속도보다 느린 제1 속도로 제어한다(S114).
이는 도 12의 (d)구간에서 (e)구간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패턴 D는 도 12와 같이 회전 기어(168)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167)들 간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불균등하게 출력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패턴 D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2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신호 패턴 C는 회전 센서(145)가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제2 시간보다 긴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신호 패턴 D는 회전 센서(145)의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길어지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패턴 D를 인식하면 구동부(160)의 속도를 제2 속도보다 느린 제1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2에서 (e)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속도는 갑자기 회전을 정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가해질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느린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준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도는 6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가 제1 속도로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동안 회전 센서(145)에서 천공(167)에서 다음 천공(167)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low에서 다시 low를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구동부(160)를 제1 속도로 제어하는 중에 신호 패턴 E가 인식되면(S115), 구동부(160)를 정지시킨다(S117).
신호 패턴 E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1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거의 완료되어 회전 센서(145)가 더 이상 low 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회전 센서(145)의 출력 신호가 제1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high를 유지한 것으로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구동부(16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을 종료할 수 있다(S119).
정리하자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하고,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40)는 구동부(16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 구동 기어(165)와 회전 기어(168)의 기어 비와 기어의 크기 및 회전 속도 등에 따라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 광 센서(145)가 출력하는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에 대응하여 출력하기에 적절한 구동부(160)의 회전 속도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에 대응하여 구동부(160)의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 정확성을 높이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 예와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복수개의 천공들을 포함하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회전 기어에 구비된 천공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센서; 및
    상기 회전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센서는
    광 센서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에 구비된 복수개의 천공들은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천공; 및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제1 천공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거리와 상이한 제2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센서는 천공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신호의 출력 주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속도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해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방해받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치 모드를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지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치 모드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36496A 2020-05-28 2020-05-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0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879 WO2021241777A1 (ko) 2020-05-28 2020-05-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032A true KR20220160032A (ko) 2022-12-05

Family

ID=7874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96A KR20220160032A (ko) 2020-05-28 2020-05-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3963A1 (ko)
KR (1) KR20220160032A (ko)
WO (1) WO2021241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149A (ko) * 2021-12-28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325A (ko) * 1993-11-11 1995-06-16 배순훈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검출센서
KR19980022082U (ko) * 1996-10-25 1998-07-15 김영환 광센서를 이용한 모터속도 조절장치
US7122750B2 (en) * 2001-02-28 2006-10-17 Measurement Limited Dual display weight measuring apparatus
KR200250276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DE202005013037U1 (de) * 2005-08-18 2007-01-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rehsensor sowie Kraftfahrzeug-Verstellsystem
JP2007058031A (ja) * 2005-08-26 2007-03-08 Sony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26912B1 (ko) * 2007-10-05 2009-11-17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 기기
KR102156294B1 (ko) * 2016-08-30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38108B1 (ko) * 2017-11-10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1499A (ko) *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248936A (zh) * 2020-03-13 2023-06-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画面旋转适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777A1 (ko) 2021-12-02
US20230213963A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778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42679B2 (en) Display device
KR202201600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02269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900947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30026197A1 (en) Display device
KR1023013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6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157345A1 (en) Display device
KR20220005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3837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4336848A1 (en) Wireless display system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178209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423633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7813825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201608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6164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40076A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