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870A -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 Google Patents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870A
KR20220159870A KR1020210171190A KR20210171190A KR20220159870A KR 20220159870 A KR20220159870 A KR 20220159870A KR 1020210171190 A KR1020210171190 A KR 1020210171190A KR 20210171190 A KR20210171190 A KR 20210171190A KR 20220159870 A KR20220159870 A KR 2022015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isposed
rail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국
장승근
Original Assignee
하민메탈주식회사
주식회사 서호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민메탈주식회사, 주식회사 서호엠아이 filed Critical 하민메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870A/en
Publication of KR2022015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roof automatic door including a sliding door. The fireproof automatic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oor (100); a second door (200); and a driving device (500).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ireproof automatic door that can be easily opened in case of fire.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방화 자동문{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본 발명은 방화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 개방이 용이한 방화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that can be easily opened in case of fire.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병원, 사무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건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비용 절감을 위한 무인 경비시스템이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는 자동 도어 시스템의 설치가 증대되는 실정이다.In general, unmanned security systems for maximizing user convenience and cost reduction are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used for residential purposes, hospitals, offices, etc., and installation of automatic door systems that are selectively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s increasing.

상기 자동 도어 시스템으로서 설치되는 대부분의 자동도어는 미닫이식 자동도어이며, 상기 미닫이식 자동도어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도어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도어로 형성된다.Most of the automatic doors installed as the automatic door system are sliding automatic doors, and the automatic sliding doors are formed of an opening/closing door that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xed door that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구체적으로는, 동일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고정도어가 평행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고정도어 쪽으로 이동하여 겹쳐지는 방식으로 작동된다.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fixed door are install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direction, when a person enters or exit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utomatically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oves toward the fixed door and overlaps them. It works in a losing way.

한편, 통상 상기 자동도어는 센서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하여 개폐동작을 제어하며, 개폐동작은 전력과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automatic door usually controls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detecting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door through a sens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lectric power and a motor operated thereby.

그런데 건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공기 연소로 인해 자동도어 내부 공간으로 도어 프레임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도어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에는 도어가 슬라이딩 될 수 없어 제대로 개방될 수 없어서 인명 피해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fire breaks out inside a building, the door frame is ben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utomatic door due to air combustion, and when the door frame is bent, the door cannot be slid and opened properly, resulting in increased human casualties. There is a problem being

또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고온의 연기는 산소 함유량이 낮고 일산화탄소 함유량이 높은 유독가스로서, 인체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침과 동시에 대피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고 심리적 불안을 야기시키는데, 일반적인 자동도어의 경우, 도어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기가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igh-temperature smoke generated by a fire is a toxic gas with low oxygen content and high carbon monoxide content, which directly damages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blurs the evacuee's vision and causes psychological anxiety. In the case of a general automatic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smoke spreads throughout the build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door fram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1806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1806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408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09408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3229Korean registered patent 10-102322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300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93000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5620Korean Registered Office 20-042562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9291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2010-0009291

본 발명은 화재 시 개방이 용이한 방화 자동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ire door that can be easily opened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건축물에 고정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출입구(305)가 형성된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도어(100);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도어(200);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00) 또는 제 2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100)는, 제 1 아우터도어(110);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이너도어(120);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 및 제 1 이너도어(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40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배치된 방화 자동문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oor (100) fixed to a building, disposed inside an outer structure (300) having an entrance (305) formed therein so that people can pass through, and assemb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second door 200 disposed inside the outer structure 300 and assemble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driv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outer structure 300 and sliding and moving the first door 100 or the second door 200, wherein the first door 100 includes a first outer door 110; a first inner door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outer door 110; A rail assembly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inner door 120, wherein the rail assembly includes the The first inner door 120 provides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rranged to be drawn forward.

상기 아우터도어(110)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2 아우터프레임(112)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3 아우터프레임(113) 및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 및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door 110 includes the 1-1st outer frame 111 and the 1-2nd outer frame 112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1-3rd outer frame 11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n outer frame 113 and a 1-4 outer frame 114, and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2 outer frame 112 are extended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1-3 outer frame 113 and the 1-4 outer frame 114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inner door 120 includes the 1-1 inner frame 121 and the 1-2 inner frame 12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inner frame 12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1-3 inner frame 123 and the 1-4 inner frame 124 are included, and the 1-1 inner frame 121 and the 1-2 inner frame 122 ar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1-3 inner frames 123 and 1-4 inner frames 124 may be extended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레일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제 1 레일(410);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 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레일(420); 상기 제 2 레일(420) 및 제 1 이너도어(120)를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회전축(4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ail assembly 400 may include a first rail 410 coupled to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rail 42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inner door 120, extends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first rail 410; The second rail 42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430 that is hinged.

상기 제 1 회전축(430)은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 및 제 2 레일(420)을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상기 제 1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hinge-couples the 1-2 inner frame 122 and the second rail 42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moves forward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can be rotated to

첫째,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도어에 실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회전될 수 있는 제 1 이너도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화재 시 제 1 이너도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inner door that can be slid and rotated in the outdoor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first door disposed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evacuate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inner door in case of fir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둘째, 본 발명은 제 1 이너도어를 실외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제 1 이너도어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 1 이너도어를 회전축을 실외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이너도어의 회전 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inner door is rotated after moving the first inner door by pushing it to the outdoor side,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inner door can be moved to the outdoor side, and through this, when the first inner door rotates, the surrounding area Interference with structures can be minimized.

셋째, 본 발명은 상기 제 1 이너도어가 전방으로 충분히 인출된 후에야 상기 제 1 회전축의 반대측 단이 제 1 아우터도어의 제 1-1 아우터프레임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너도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shaft does not engage with the 1-1 outer frame of the first outer door only after the first inner door is sufficiently drawn forward, so that the first inner doo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unintentional opening.

넷째, 본 발명은 제 1 이너도어에 푸시바가 더 배치되기 때문에, 화재 시 사용자가 도어의 미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푸시바에 전달된 힘이 제 1 이너도어의 양측에 균일하게 전달됨으로써 제 1 이너도어의 양측은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sh bar is further disposed on the first inner door,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pushing position of the door in case of fire, and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push bar is uniformly transm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door.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door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uniformly.

다섯째, 본 발명은 제 1 이너도어의 회전반경 전방에 도어스토퍼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이너도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stopp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inner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inner door from being opened unintentional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레일어셈블리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동 예시 1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작동 예시 2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이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oor of Figure 1 is opened.
Figure 3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rail assembly of FIG. 3 .
FIG. 5 is a first view of an operation example of FIG. 4 .
6 is a second view of an operation example of FIG. 4 .
7 is a plan view showing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7 .
9 is an exemplary operation diagram of FIG. 8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예시1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동예시2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1st working example of FIG. 1, FIG. 3 is a 2nd working example of FIG. 1, and FIG. 4 is a plan view of FIG. 1 ,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건축물에 고정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출입구(305)가 형성된 아우터구조물(300)과,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도어(100)와,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도어(200)와,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00) 또는 제 2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한다. The fireproof automatic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a building, has an outer structure 300 having an entrance 305 formed therein so that people can pass therethrough, disposed inside the outer structure 300, and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door 100 assembled to be movable, disposed inside the outer structure 300, and a second door 200 assemb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sposed on the outer structure 300 and a driving device 500 for sliding and moving the first door 100 or the second door 200.

상기 구동장치(50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device 500 is comm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 1 도어(100) 또는 제 2 도어(200)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할 경우, 전후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The first door 100 or the second door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slid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impossible.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는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고,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가 서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planes, and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ma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도어(100)가 실외측(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어(200)가 실내측(후방)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oor 100 is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front), and the second door 200 is disposed on the indoor side (rea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도어(200)를 통해 출입구(305)를 개방하고, 상기 제 1 도어(1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과 같은 대피시에만 상기 제 1 도어(100)를 사용하여 외부로 긴급대피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ntrance 305 can be opened through the second door 200, the first door 10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nd only in case of evacuation, such as a fire, the first door (100) can be used to make emergency evacuation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도어(100)를 통해 일상적인 출입 및 긴급 대피시를 모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okay to perform both daily access and emergency evacuation through the first door 100 .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은, 건물의 바닥(1)에 고정되는 로어프레임(31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건물의 천장측에 고정되는 어프레임(32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33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제 4 사이드프레임(340)을 포함한다. The outer structure 300 includes a lower frame 310 fixed to the floor 1 of the building, and an upper frame 32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310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fixed to the ceiling side of the building and a first side frame 330 connecting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and a fourth side frame 340 connecting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do.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은 전후 방향으로 출입가능한 출입구(305)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어(100) 또는 제 2 도어(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출입구(305)를 개폐할 수 있다. The outer structure 300 has an entrance 305 that can enter and exi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formed on the insid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can open and close the entrance 305. have.

상기 출입구(305)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는 상기 아우터구조물(300) 내측에 배치된다. The entrance 305 is ope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are disposed inside the outer structure 300 .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는 상기 로어프레임(310), 어프레임(320),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4 사이드프레임(340)에 둘러싸이게 배치된다.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are disposed surrounded by the lower frame 310 , the upper frame 320 , the first side frame 330 and the fourth side frame 340 .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되는 복수개의 레일이 배치된다. 상기 구분을 위해 상기 제 1 도어(100)가 이동되는 레일을 제 1 레일(301)이라 하고, 상기 제 2 도어(200)가 이동되는 레일을 제 2 레일(302)이라 한다. The lower frame 310 has a plurality of rails on which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slide, respectively. For the division, the rail on which the first door 100 is moved is referred to as a first rail 301, and the rail on which the second door 200 is moved is referred to as a second rail 30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레일(301)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00)는 상기 제 1 레일(30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레일(302)이 제 1 레일(30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어(200)는 제 2 레일(30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ail 301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first door 100 can slide along the first rail 30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cond rail 302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rail 301, and the second door 200 can slide along the second rail 30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 중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출입구(305)의 절반이 개방된다. At least some of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overlap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entirety of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may be overlapp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n this case, half of the entrance 305 is open.

상기 제 1 도어(100)는 제 1 아우터도어(110)과,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이너도어(120)과,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 및 제 1 이너도어(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The first door 100 includes a first outer door 110, a first inner door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outer door 110,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the first A rail assembly 400 disposed between the inner doors 120 and guid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inner door 120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제 1 아우터도어(1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ner door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er door 110 .

*또한,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후, 일측의 제 1 회전축(4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 Also, after the first inner door 120 is drawn forward from the first outer door 110,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rota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on one side. The first outer door 110 provides a frame on which the first inner door 120 can slide and rotate.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는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에 지지된다.The first outer door 110 is disposed toward the outer structure 300 and supported by the outer structure 300 .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outer door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도어(110)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를 지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door 110 supports the first inner door 120 .

상기 아우터도어(11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제 1-3 아우터프레임(113) 및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을 포함한다. The outer door 110 includes the 1-1 outer frame 111, the 1-2 outer frame 112, the 1-3 outer frame 113 and the 1-4 outer frame ( 114).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 1-3 아우터프레임(113) 및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2 outer frame 112 are extended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1-3 outer frame 113 and the 1-4 outer frame 114 are It is extended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은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을 향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1-1 outer frame 11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1-1 side frame 330, and the 1-2 outer frame 112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outer frame 111 and is disposed toward the second side frame 340 .

상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이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의 하측을 연결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The 1-3 outer frame 113 connects the lower sides of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2 outer frame 112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310 .

상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에 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의 롤러는 제 1 레일(30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Rollers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1-3 outer frame 113 , and the rollers of the 1-3 outer frame 113 may move along the first rail 301 .

상기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은 상기 어퍼프레임(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프레임(320)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1-4 outer frames 114 are disposed below the upper frame 320 and are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frame 320 .

상기 제 1-4 아우터프레임(114)이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의 상측을 연결하고, 상기 어퍼프레임(320)의 하측에 배치된다. The 1-4 outer frame 114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2 outer frame 112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320 .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가 상기 제 1 레일(30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하중을 지지한다. In a state where the first inner door 120 is installed, the first outer door 110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first rail 301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first inner door 120. do.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 제 1-2 이너프레임(122),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을 포함한다. The first inner door 120 includes the 1-1st inner frame 121, the 1-2nd inner frame 122, the 1-3rd inner frame 123 and the 1-4th inner frame 121 disposed facing each other. frame 124.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The 1-1st inner frame 121 and the 1-2nd inner frame 122 are extended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1-3rd inner frame 123 and the 1-4th inner frame 124 are It is extended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 1-1 이너프레임(121)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The 1-1 inner frame 12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1-1 outer frame 111, and can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the 1-1 outer frame 111.

제 1-2 이너프레임(122)은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The 1-2 inner frame 12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1-2 outer frame 112, and can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the 1-2 outer frame 112.

제 1-3 이너프레임(123)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 1-3 아우터프레임(113)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 1-3 이너프레임(123)은 제 1-1 이너프레임(121)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하측을 연결한다. The 1-3 inner frame 123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1-3 outer frame 113, and can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1-3 outer frame 113. The 1-3 inner frame 123 connects the lower sides of the 1-1 inner frame 121 and the 1-2 inner frame 122 .

제 1-4 이너프레임(124)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4 아우터프레임(114)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 1-4 아우터프레임(114)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 1-4 이너프레임(124)은 제 1-1 이너프레임(121)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상측을 연결한다. The 1-4 inner frame 12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1-4 outer frame 114, and can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1-4 outer frame 114. The 1-4th inner frame 124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1-1st inner frame 121 and the 1-2nd inner frame 122 .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 제 1-2 이너프레임(122),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에 둘러싸인 유리(10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에 유리가 배치되지 않은 형태여도 무방하다. The glass 101 surrounded by the 1-1st inner frame 121, the 1-2nd inner frame 122, the 1-3rd inner frame 123 and the 1-4th inner frame 124 is further disposed. ca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ner door 120 may be in a form in which glass is not disposed.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도어(100)의 유리를 제 1 유리(101)라 하고, 제 2 도어(200)의 유리를 제 2 유리(201)라 한다. When a distinction is required, the glass of the first door 10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glass 101, and the glass of the second door 200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glass 201.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1 이너프레임(121)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및 제 1-1 이너프레임(121)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1 inner frame 121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1-1 outer frame 111 and the 1-1 inner frame 121 rotat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can slide.

특히, 상기 제 1-1 이너프레임(121)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ile the 1-1st inner frame 121 is drawn forward,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1-1st outer frame 111 .

또한,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1-2 outer frame 112 and the 1-2 inner frame 12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1-2 outer frame 112 and the 1-2 inner frame 122 are front and rear It can slide in either direction.

특히,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ile the 1-2nd inner frame 122 is drawn forward, it can be located in front of the 1-2nd outer frame 112, and in a state where it is drawn forward, the 1-2nd outer frame 112 can be rotated abou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 사이에 레일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ail assembly 400 is disposed between the 1-2 outer frame 112 and the 1-2 inner frame 122 .

상기 레일어셈블리(400)는 제 1 아우터도어(110) 및 제 1 이너도어(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아우터도어(110) 및 제 1 이너도어(120)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운동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The rail assembly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allows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to slide and rotate at the same time. can be implemented

상기 레일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제 1 레일(410)과,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 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레일(420)과, 상기 제 2 레일(420) 및 제 1 이너도어(120)를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회전축(430)을 포함한다. The rail assembly 400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rail 410 extending and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is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econd rail 420, which extends and is disposed along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re hinged.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

상기 제 1 레일(410)은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에 고정된다.The first rail 410 is fixed to the 1-2 outer frame 112 and is fixed to the 1-2 outer frame 112 .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은 상기 제 1 레일(410)이 고정되는 제 1 아우터월(112a)과, 상기 제 1 아우터월(112a)에 결합되고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아우터월(112b)과, 상기 제 1 아우터월(112a)에 결합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아우터월(112b)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3 아우터월(112c)을 포함한다.The 1-2 outer frame 112 includes a first outer wall 112a to which the first rail 410 is fixed, and a second outer wall coupled to the first outer wall 112a and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112b) and a third outer wall (112c) coupled to the first outer wall (112a), disposed indoors,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outer wall (112b).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은 상기 제 3 아우터월(112c)과 일렬로 배치되는 서포트월(112d)을 더 포함한다. The 1-2 outer frame 112 further includes a support wall 112d disposed in line with the third outer wall 112c.

상기 서포트월(112d)에 상기 제 1 레일(410) 및 제 2 레일(420)의 후단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레일(410) 및 제 2 레일(420)이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Rear ends of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12d, and the exposure of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to the inside is blocked. do.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레일(410)의 일측면(좌측면, 413)이 제 1 이너도어(120)를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우측면, 414)이 제 1 아우터월(112a)을 향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one side surface (left side surface, 413) of the first rail 410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the other side surface (right side surface, 414) faces the first outer wall 112a. are placed

또한, 상기 서포트월(112d)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실내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wall 112d blocks the separation of the first inner door 120 to the indoor side.

한편,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은 상기 제 2 레일(420)이 고정되는 제 1 이너월(122a)과, 상기 제 1 이너월(122a)에 결합되고 실외 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월(122b)과, 상기 제 1 이너월(122a)에 결합되고, 실내 측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ㅇ이너월(112b)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3 이너월(122c)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122 include a first inner wall 122a to which the second rail 420 is fixed, and a first inner wall 122a coupled to the first inner wall 122a and disposed facing the outdoor side. 2 includes an inner wall 122b and a third inner wall 122c coupled to the first inner wall 122a, disposed toward the indoor sid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ㅇ inner wall 112b .

실외 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 2 이너월(122b)은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개방 시, 실내 측을 향하게 회전된다. When the first inner door 120 is opened, the second inner wall 122b disposed toward the outdoor side is rotated toward the indoor side.

또한, 실내 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 3 이너월(122c)은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개방 시, 실외 측을 향하게 회전된다. In addition, the third inner wall 122c disposed toward the indoor side rotates toward the outdoor side when the first inner door 120 is open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레일(420)의 일측면(좌측면, 423)이 제 1 이너월(122a)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우측면, 424)이 제 1 레일(410)을 향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one side surface (left side surface, 423) of the second rail 420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inner wall 122a, and the other side surface (right side surface, 424)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rail 410. do.

상기 제 2 레일(420)은 상기 제 1 레일(4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레일(420)은 제 1 레일(4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다.The second rail 420 may slid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410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ail 420 slid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410 .

상기 제 2 레일(420)은 제 1 레일(410)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cond rail 4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ail 410 and the 1-2 inner frame 122 .

제 2 레일(420)의 후단(422)이 상기 제 1 레일(410)의 전단(411)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평면으로 볼 때, 제 1 레일(410)과 제 2 레일(420)의 적어도 일부가 항상 오버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rear end 422 of the second rail 420 interlocks with the front end 411 of the first rail 410, through which the first inner door 120 connects to the first outer door 110. prevent complete separation from That is, when viewed from a pla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always maintain an overlapping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서 상기 제 1 이너도어(120) 전체가 실외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고, 상기 제 1 레일(410) 및 제 2 레일(420)이 제 1 이너도어(4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first outer door 110, the entire first inner door 120 is pushed and moved in the outdoor direction, and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are the first inner door ( 410) guides the slide movement.

한편, 상기 제 2 레일(420)은 제 1 회전축(430)을 통해 제 1-2 이너프레임(122)과 결합된다.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을 포함하는 제 1 이너도어(120)는 상기 제 1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rail 420 is coupled to the 1-2nd inner frame 122 thr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 The first inner door 120 including the 1-2 inner frames 122 may b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430 .

상기 제 1 회전축(430)은 제 1 이너도어(1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브래킷(440)도 제 1 이너도어(12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410) 및 제 2 레일(420)도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shaft 4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inner door 120, respectively, and in this case, the rotation bracket 440 is also disposed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inner door 120, respectively. do. In addition, the first rail 410 and the second rail 420 may also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측에 배치된 제 1 회전축(430)을 제 1 상부회전축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제 1 회전축(430)을 제 1 하부회전축이라 한다. 또한, 상측에 배치된 회전브래킷(440)을 제 1 상부회전브래킷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회전브래킷(440)을 제 1 하부회전브래킷이라 한다. When a distinction is required, the first rotational shaft 43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rotational shaft, and the first rotational shaft 43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lower rotational shaft. In addition, the rotation bracket 44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rotation bracket, and the rotation bracket 44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lower rotation bracket.

또한, 상측에 배치된 제 1 레일(410)을 제 1 상부레일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제 1 레일(410)을 제 1 하부레일이라 하며, 상측에 배치된 제 2 레일(420)을 제 2 상부레일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제 2 레일(420)을 제 2 하부레일이라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rail 4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rail, the first rail 4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lower rail, and the second rail 4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rail. 2 is referred to as an upper rail, and the second rail 4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referred to as a second lower rail.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에서 제 2 레일(420) 측으로 돌출된 회전브래킷(4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회전축(430)은 상기 회전브래킷(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A rotation bracket 440 protruding from the 1-2 inner frame 122 toward the second rail 420 may be further disposed,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is rotatable with the rotation bracket 440. are assembled

상기 제 1 회전축(430)은 상기 제 2 레일(420)의 전단(421)에 배치된다. The first rotation shaft 43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421 of the second rail 420 .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브래킷(440)은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전단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inner door 120 is disposed to rotate from indoor to outdoor, and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bracket 44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second inner frame 122 .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실외방향으로 열리도록 상기 제 1 회전축(430) 및 회전브래킷(440)이 설치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실외측으로 열리는 제 1 이너도어(120)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rotating shaft 430 and the rotating bracket 440 are installed so that the first inner door 120 opens toward the outdoors, in the event of a fire, people inside the building pass through the first inner door 120 that opens toward the outside. You can easily evacuate to the outside.

상기 회전브래킷(440)이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레일(4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rotation bracket 44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1-2 inner frame 122,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rail 420 can be minimized when the first inner door 120 rotates. .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레일(420)의 후단(422)이 상기 제 1 레일(410)의 전단(411)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경우,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반경방향 외측단(129, 본 실시예에서 좌측 후단)이 제 1-1 아우터프레임(111)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rear end 422 of the second rail 420 and the front end 411 of the first rail 410 are interlocked, the outer 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door 120 ( 129, the left rear end in this embodiment) does not form mutual engagement with the 1-1 outer frame 111.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충분히 인출되지 않을 경우, 제 1-1 이너프레임(121)의 외측단(129)이 제 1-1 아우터프레임(111)의 우측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이너도어(120)가 회전될 수 없다. When the first inner door 120 is not sufficiently drawn out, the outer end 129 of the 1-1 inner frame 121 interlocks with the right side of the 1-1 outer frame 111, The first inner door 120 cannot be rotated.

즉,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전방으로 충분히 인출된 후에야 상기 제 1 회전축(430)의 반대측 단이 제 1 아우터도어(110)의 제 1-1 아우터프레임(111)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only after the first inner door 120 is sufficiently drawn forward,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430 forms mutual engagement with the 1-1st outer frame 111 of the first outer door 110. I never do that. Throug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inner door 120 from being opened unintentional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는 제 1-1 아우터프레임(111)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홈(3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홈(3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insertion groove 331 into which the 1-1 outer frame 111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side frame 330,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331 extends vertically in a long direction. to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도어(10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전체가 상기 제 1 삽입홈(331)에 삽입되어 은닉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door 100 is closed, the entire 1-1 outer frame 1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331 and is concealed.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 전체가 상기 제 1 삽입홈(331)에 은닉됨으로써, 실내에서 탈출 시, 실내의 사람이 상기 제 1-1 아우터프레임(111)을 실외 방향으로 미는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entire 1-1 outer frame 111 is concealed in the 1st insertion groove 331, when escaping from the room, an act of pushing the 1-1 outer frame 111 toward the outdoors by a person inside the room is prevented. It can be completely blocked.

화재 발생 시, 대피자는 주변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아노미 상태이기 때문에, 제 1-1 아우터프레임(111)를 밀어서 제 1 이너도어(120)가 안열리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 fire, since the evacuee is in an anomie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ationally judge the surrounding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inner door 120 is not opened by pushing the 1-1 outer frame 111.

상기 제 2 도어(200)는 제 1 도어(10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200 may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door 100 .

상기 제 2 도어(200)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프레임(210)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200)는 사각프레임의 내측에 유리(20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2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second door 200, a glass 201 may be further disposed inside the square frame.

상기 사각프레임(21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제 2-1 도어프레임(211) 및 제 2-2 도어프레임(212)과,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제 2-3 도어프레임(213) 및 제 2-4 도어프레임(214)을 포함한다. The square frame 210 includes the 2-1st door frame 211 and the 2-2nd door frame 212 extending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2-3rd door frame extending and dispo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213 and the 2-4 door frame 214.

제 2-1 도어프레임(211)이 좌측에 배치되고, 제 2-2 도어프레임(212)이 우측에 배치되며, 제 2-3 도어프레임(213)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 2-4 도어프레임(214)이 하측에 배치된다. The 2-1 door frame 21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2-2 door frame 21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2-3 door frame 21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2-4 door frame 21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 frame 21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제 2-3 도어프레임(213)이 상기 제 2-1 도어프레임(211) 및 제 2-2 도어프레임(212)의 상측을 연결하고, 제 2-4 도어프레임(214)이 상기 제 2-1 도어프레임(211) 및 제 2-2 도어프레임(212)의 하측을 연결한다.The 2-3 door frame 213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2-1 door frame 211 and the 2-2 door frame 212, and the 2-4 door frame 214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2-1 door frame 211 and the 2-2 door frame 214. The lower sides of the 1 door frame 211 and the 2-2 door frame 212 are connected.

상기 제 2-1 도어프레임(211)의 폭(W1)이 제 1-2 아우터프레임(112)의 폭(W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폭(W3) 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width W1 of the 2-1st door frame 211 is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1-2nd outer frame 112 and the width W3 of the 1-2nd inner frame 122 .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가 출입구(305)를 완전히 폐쇄할 경우, 상기 제 2-1 도어프레임(211)이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의 후면을 완전히 커버한다.When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completely close the entrance 305, the 2-1st door frame 211 connects the 1-2nd outer frame 112 and the 1-2nd outer frame 112. 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frame 122 and completely covers the rear surfaces of the 1-2 outer frame 112 and the 1-2 inner frame 122 .

즉, 상기 제 1 도어(100) 및 제 2 도어(200)가 출입구(305)를 완전히 폐쇄할 경우, 제 2-1 도어프레임(211)에 의해 제 1-2 아우터프레임(112) 및 제 1-2 이너프레임(122)이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That is, when the first door 100 and the second door 200 completely close the entrance 305, the 1-2 outer frame 112 and the 1-2 outer frame 112 by the 2-1 door frame 211 -2 Blocks the inner frame 122 from being exposed to the indoor side.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실내의 사람이 제 1-2 이너프레임(122)에 직접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이너도어(120)가 의도치 않게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inside the room from directly applying force to the 1-2 inner frame 122 and to prevent the first inner door 120 from being unintentionally drawn forward.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배면에 푸시바(14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푸시바(140)에는 "화재 시 밀어주세요"라고 표시될 수 있다. A push bar 14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Push in case of fire” may be displayed on the push bar 140.

상기 푸시바(140)는 제 1 유리(101)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push bar 14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glass 101 .

상기 푸시바(140)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실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시바(140)는 상기 제 1-3 이너프레임(123) 및 제 1-4 이너프레임(124)의 중간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제 1-1 이너프레임(121)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제 1-2 이너프레임(122)에 결합된다.The push bar 140 is coupled to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inner door 120 . Specifically, the push bar 140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1-3 inner frame 123 and the 1-4 inner frame 124, and the left end is coupled to the 1-1 inner frame 121, , The right end is coupled to the 1-2 inner frame 122.

상기 제 1 유리(101)의 후방에 상기 푸시바(140)를 배치하여 탈출 시 사람이 제 1 유리(101)를 직접 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disposing the push bar 140 behind the first glass 10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from directly pushing the first glass 101 when escaping.

상기 푸시바(140)는 제 1 이너도어(120)에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여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를 실외측으로 용이하게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The push bar 140 transmits the user's force to the first inner door 120 so that the first inner door 120 can be easily pushed and withdrawn outdoors.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이 도시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작동 예시도이다. 7 is a plan view of an automatic fire prevention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7 , and FIG. 9 is an exemplary operation view of FIG. 8 .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제 1 이너도어(120)가 의도치않게 개방되는 것을 차단하는 도어스토퍼(600)를 더 포함하고, 화재 시에만 상기 도어스토퍼(600)가 해제되어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fireproof automatic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door stopper 600 to block the first inner door 120 from being opened unintentionally, and the door stopper 600 is released only in case of fire to prevent the first inner door 120 from opening unintentionally. The door 120 may be opened.

상기 도어스토퍼(600)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전방 인출을 제한한다.The door stopper 600 limits forward withdrawal of the first inner door 120 .

상기 도어스토퍼(600)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된다. The door stopper 6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is dispos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inner door 12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스토퍼(600)는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의 전방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door stopper 6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side frame 330 .

상기 도어스토퍼(600)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 본 실시예에서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바디(610)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 본 실시예에서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 배치된 락커(620)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 배치된 감지장치(601)를 포함한다. The door stopper 600 includes a stopper body 610 rotatably disposed on the first outer door 110 (the first side frame 330 in this embodiment), and the first outer door 110, in this embodiment In an example, a locker 620 disposed on the first side frame 330 and a detection device 601 disposed on the first outer door 110 are included.

상기 감지장치(601)는 건물의 화재경보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The detection device 601 may be interlocked with a fire alarm system of a building.

건물의 각 층 중 한곳에서 화재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감지장치(60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락커(620)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one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e detection device 601 can detect it and operate the locker 620 .

상기 락커(620)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데드볼트(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ker 620 may further include a dead bolt 630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 상기 데드볼트(630)가 관통되는 제 1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311)과 대향되는 위치의 스토퍼바디(610)에 제 2 관통홀(611)이 형성된다. A first through hole 311 through which the dead bolt 630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side frame 330, and a second through hole 311 is formed in the stopper body 610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311. A through hole 611 is formed.

상기 데드볼트(630)는 제 1 관통홀(311) 및 제 2 관통홀(31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락커(6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dead bolt 6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 and may be sli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locker 620 .

평상 시, 상기 데드볼트(630)는 제 1 관통홀(311) 및 제 2 관통홀(311)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스토퍼바디(610)의 회전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전방 인출을 억제한다. In normal times, the dead bolt 630 is maintained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 to suppress rotation of the stopper body 610, and through this, the first inner The forward withdrawal of the door 120 is suppressed.

화재 시, 상기 락커(620)가 상기 데드볼트(630)를 후퇴시키고, 상기 데드볼트(630)는 제 2 관통홀(611)에서 분리되며, 상기 스토퍼바디(610)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case of fire, the locker 620 retracts the dead bolt 630, the dead bolt 63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611, and the stopper body 610 is changed to a rotatable state. can

상기 스토퍼바디(610)는 좌측 전단에 회전축(615)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615)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이너도어(120)가 전방으로 밀리는 힘에 의해 상기 스토퍼바디(610)가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topper body 610 may have a rotating shaft 615 disposed at the left front end and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615 . That is, the stopper body 610 may be rotated forward by the force of pushing the first inner door 120 forward.

상기 스토퍼바디(610)의 회전방향과 제 1 이너도어(12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스토퍼바디(610) 및 제 1 이너도어(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회전 시 상호 걸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opper body 61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door 1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Since the stopper body 61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interlocking during rot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상기 스토퍼바디(610) 및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의 경계(B)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 및 제 1 아우터도어(110)의 경계(B)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데드볼트(630)가 상기 경계(B)를 관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바디(61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B) of the stopper body 610 and the first side frame 330 is arranged in line with the boundary (B) of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the first outer door 110, the A dead bolt 63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boundary B to form mutual engagement with the stopper body 610 .

상기 데드볼트(620)의 단측 일부만 상기 스토퍼바디(610)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강한 힘이 작용될 경우, 상기 데드볼트(620)에 의한 상호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Since only a part of the short side of the dead bolt 620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body 610,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interlocking by the dead bolt 620 can be released.

이는 상기 화재경보시스템 또는 감지장치(601)의 오작동 또는 미작동 시에도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데드볼트(620)의 단측 일부만 상기 스토퍼바디(610)의 경계(B) 측 두께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This is to enable the first inner door 120 to be opened even when the fire alarm system or the detection device 601 malfunctions or does not operate. To this end, only a part of the short side of the dead bolt 620 is inserted into the thickness of the boundary (B) side of the stopper body 610 and positioned.

그래서 상기 락커(620)가 상기 데스볼트(630)를 해제시키지 않아도,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푸시바(140)를 밀면, 상기 스토퍼바디(610)가 변형 또는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볼트(630)와의 상호 걸림을 해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이너도어(1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So, even if the locker 620 does not release the death bolt 630,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ar 140 with strong force, the stopper body 610 is deformed or rotated, and mutual contact with the dead bolt 630 occurs. The jamming can be released, and through this, the first inner door 120 can be opene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 제 1 도어 110 : 제 1 아우터도어
120 : 제 1 이너도어 140 : 푸시바
200 : 제 2 도어 210 : 사각프레임
300 : 아우터구조물 400 : 레일어셈블리
410 : 제 1 레일 420 : 제 2 레일
430 : 제 1 회전축 440 : 회전브래킷
500 : 구동장치 600 : 도어스토퍼
610 : 스토퍼바디 620 : 락커
630 : 데드볼트
100: first door 110: first outer door
120: first inner door 140: push bar
200: second door 210: square frame
300: outer structure 400: rail assembly
410: first rail 420: second rail
430: first rotation shaft 440: rotation bracket
500: driving device 600: door stopper
610: stopper body 620: locker
630: dead bolt

Claims (1)

건축물에 고정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출입구(305)가 형성된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도어(100);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도어(200);
상기 아우터구조물(3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00) 또는 제 2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100)는,
제 1 아우터도어(110);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이너도어(120);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 및 제 1 이너도어(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40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이너도어(120)는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레일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제 1 레일(410);
상기 제 1 이너도어(120)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 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레일(420);
상기 제 2 레일(420) 및 제 1 이너도어(120)를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회전축(430)을 포함하는 방화 자동문.
A first door 100 fixed to a building, disposed inside an outer structure 300 having an entrance 305 formed therein so that people can pass therethrough, and assemb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second door 200 disposed inside the outer structure 300 and assemble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driv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outer structure 300 and sliding and moving the first door 100 or the second door 200; includes,
The first door 100,
a first outer door 110;
a first inner door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outer door 110;
A rail assembly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and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inner door 120; includes,
The rail assembly is arranged so that the first inner door 120 is drawn forward,
The rail assembly 400,
a first rail 41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door 110 and extend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rail 420 coupled to the first inner door 120, extending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oving along the first rail 410;
A fireproof automatic door including a first rotary shaft 430 hinged to the second rail 420 and the first inner door 120.
KR1020210171190A 2021-05-26 2021-12-02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KR202201598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90A KR20220159870A (en) 2021-05-26 2021-12-02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55A KR102336573B1 (en) 2021-05-26 2021-05-26 Automatic door for fire evacuation
KR1020210171190A KR20220159870A (en) 2021-05-26 2021-12-02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55A Division KR102336573B1 (en) 2021-05-26 2021-05-26 Automatic door for fire evacu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70A true KR20220159870A (en) 2022-12-05

Family

ID=788680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55A KR102336573B1 (en) 2021-05-26 2021-05-26 Automatic door for fire evacuation
KR1020210171190A KR20220159870A (en) 2021-05-26 2021-12-02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KR1020210171185A KR20220159869A (en) 2021-05-26 2021-12-02 Easy-to-open automatic do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55A KR102336573B1 (en) 2021-05-26 2021-05-26 Automatic door for fire evacu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85A KR20220159869A (en) 2021-05-26 2021-12-02 Easy-to-open automatic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3657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20Y1 (en) 2006-06-28 2006-09-07 박종문 automatic equipment of protection against wind of door
KR20100094084A (en)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화이어오토도아이엔지 Fixing door of fire automatic door with opening and closing sysetm
KR20100009291U (en) 2009-03-13 2010-09-27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fire glass automatic door of sliding type
KR101023229B1 (en)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A stopping device of door in a building
KR101493000B1 (en) 2013-08-27 2015-02-13 한승석 Automatic fire door having anti-panic function
KR102218063B1 (en) 2020-03-10 2021-02-23 이용규 Automatic fire do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20Y1 (en) 2006-06-28 2006-09-07 박종문 automatic equipment of protection against wind of door
KR20100094084A (en)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화이어오토도아이엔지 Fixing door of fire automatic door with opening and closing sysetm
KR20100009291U (en) 2009-03-13 2010-09-27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fire glass automatic door of sliding type
KR101023229B1 (en)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A stopping device of door in a building
KR101493000B1 (en) 2013-08-27 2015-02-13 한승석 Automatic fire door having anti-panic function
KR102218063B1 (en) 2020-03-10 2021-02-23 이용규 Automatic fir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69A (en) 2022-12-05
KR102336573B1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AU721399B2 (en) Fire protection door
KR100944392B1 (en) Roller type fire-glass automatic door with sliding door for emergency escape
KR20220159870A (en) Fire protection automatic doors with sliding doors
KR100695878B1 (en) Fire screen apparatus
KR102497554B1 (en) Safety reinforced emergency exit using household partition
JP5294823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5473314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KR102238734B1 (en) Full open type emergency escape automatic door
KR100526151B1 (en) A cutout gear of smoke and heat to be installed at a fire door
KR100527035B1 (en) Door structure as emergency exit
JP5312188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4334257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CN213418915U (en) Fire fighting access with escape door
KR102551169B1 (en) Automatic door having a shading curtain
KR102480777B1 (en) Device for door closing force increase and decrease
KR102128019B1 (e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 fire emergency
KR102030504B1 (en) fire door interlocking shutter
CN219983911U (en) Building maze
KR102514611B1 (en) Panic automatic door
JP5294825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5294824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3144361U (en) Simultaneous shutter closing device for both sleeve doors for evacuation
JP2000054758A (en) Fireproof and smokeproof shutter
JP5312222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