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71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713A
KR20220159713A KR1020210067670A KR20210067670A KR20220159713A KR 20220159713 A KR20220159713 A KR 20220159713A KR 1020210067670 A KR1020210067670 A KR 1020210067670A KR 20210067670 A KR20210067670 A KR 20210067670A KR 20220159713 A KR20220159713 A KR 2022015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pipe
water
ice mak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동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713A/ko
Priority to EP22175385.8A priority patent/EP4095466A1/en
Priority to US17/825,190 priority patent/US20220381507A1/en
Publication of KR2022015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이 취출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힌지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와 디스펜서를 연결하며, 상기 워터 탱크의 물을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연통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 상기 디스펜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은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정수된 물과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도 있고 도어를 열어 얼음을 꺼낼 수 있는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냉장실 내부에 워터 탱크가 구비된 냉장고의 경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냉각 저장 한 후에 공급하게 되므로,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물을 취출하는 사용자에게 항상 차가운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냉장실 내부의 워터 탱크와 도어에 구비된 디스펜서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이 배치되며, 상기 배관은 설치의 편의성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고외측으로 노출되는 배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고외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외측을 경유하는 배관으로 인하여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달라지게 되며,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다가 물을 취출하게 되면 처음 취출되는 물의 온도는 설정된 온도보다 높게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물론, 상기 배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단열재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냉장고의 조립 작업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배관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배관을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 배관이 작업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의 물 취출시 항상 설정 온도의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 배관이 고 외로 노출된 상태에서도 디스펜서를 통해 취출되는 물 온도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양문형 냉장고에서 워터 탱크와 복수의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배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비스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이 취출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힌지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와 디스펜서를 연결하며, 상기 워터 탱크의 물을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연통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 상기 디스펜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은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저장 공간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되며, 상기 워터 탱크와 제 1 디스펜서 배관은 상기 냉장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상기 워터 탱크로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이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통과되도록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개구 및 워터 탱크를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는 튜브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와 커넥터 및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일부는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을 연결하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는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의 입력측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을 포함하는 상기 급수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들이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열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채우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배관들이 관통되고,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냉장실 후벽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전방에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서랍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의 냉각을 위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 및 커넥터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은 상기 캐비닛의 후벽면을 통과한 후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냉장고.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캐비닛의 후면과 상면 및 상기 힌지 장치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3 디스펜서 배관이 연결되는 캐비닛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제 4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디스펜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좌우 양측에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단에 기계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제 1 아이스 메이커;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제 2 아이스 메이커;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고외의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과, 상기 워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취출되는 디스펜서;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아이스 메이커 밸브; 및 상기 급수원과, 급수 밸브, 필터, 워터 탱크, 밸브, 아이스 메이커 밸브, 제 1 아이스 메이커, 제 2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며, 물이 유동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연통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 상기 디스펜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은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원과 상기 급수 밸브를 연결하는 급수 배관;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필터를 연결하는 필터 입력 배관; 상기 필터와 워터 탱크를 연결하는 필터 출력 배관; 상기 밸브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하는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 및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하는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와 밸브, 커넥터 및 급수 유로의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필터 출력 배관과,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이 통과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워터 탱크와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배관 중 냉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캐비닛 외측으로 노출된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이 더 작도록 하고, 제 1 디스펜서 배관과 제 2 디스펜서 배관을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물 취출시 첫잔의 온도에 영향을 주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내의 물 용량을 최소화 하여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취출되는 첫잔의 물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여름철과 같이 실내 온도가 높거나 장기가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은 후 디스펜서를 조작하게 되더라고 첫잔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고 설정 온도를 만족하는 상태로 출수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은 냉장실 내부에서 제 1 디스펜서 배관과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제 2 디스펜서 배관이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는 개구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 배관과 상기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밸브와 배관의 연결 작업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작업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을 적정 내경으로 하여, 고외측에 노출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커버에 상기 워터 탱크와 밸브 및 급수 유로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립시 및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상기 커버의 탈착 만으로 이들 구성의 배치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양문형 냉장고에서 아이스 메이커가 두개 배치되고, 디스펜서까지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관 및 밸브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조립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를 후방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물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탱크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탱크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상기 탱크 커버 및 탱크 커버에 장착된 구성들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체 물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체 물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쌍의 도어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또는 양문형)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도 1 및 2에서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를 후방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물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후면은 백 플레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는 베리어(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1)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여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나란히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하단에는 기계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은 후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14)의 개구된 후면은 기계실 커버(1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의 내부에는 외부의 급수원(2)과 연결되는 급수 밸브(14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142a)는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유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 연장된 급수 배관(4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원(2)은 수도와 같은 상기 냉장고(1)의 외부 시설일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배관(41)에 의해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급수 밸브(142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142a)는 고내측이 아닌 상기 기계실(14)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내 공간의 확보 및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142a)의 일측에는 유량 센서(142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 센서(142b)에 의해 상기 냉장고(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밸브(142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유량의 감지가 가능하다. 상기 급수 밸브(142a)와 유량 센서(142b)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급수 밸브 조립체(142)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14)의 내부에는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워터 탱크(32)와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에서 연장되는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은, 상기 워터 탱크(32)로부터 연장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력 배관(441)과,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부터 연장되는 아이스 메이커 출력 배관(4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력 배관(441)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출력 배관(442)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는 상기 워터 탱크(32)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 또한 상기 기계실(14)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내 공간의 확보 및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142a)로 향하는 급수 배관(41),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142a)에서 필터(15)로 향하는 필터 입력 배관(42),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로 향하는 아이스 메이커 입력 배관(441) 및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향하는 아이스 메이커 출력 배관(442)은 모두 상기 기계실 커버(141)에 형성되는 기계실 커버 배관 출입부(141a)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후방으로 노출 및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상기 급수 밸브(142a)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는 상기 워터 탱크(32)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15)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15)의 배치로 인해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15)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1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5)의 후단 또는 상기 필터(15)의 후단과 연결된 배관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와 연결되는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 및 필터 출력 배관(43)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을 통해 상기 필터(1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과 필터 출력 배관(43)은 상기 백 플레이트(103)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필터측 연결부(103c)를 통해 상기 필터(1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15)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는 상기 디스펜서(24)와 제 1 아이스 메이커(261) 및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4)에서 물 취출시 사용자는 설정된 온로도 냉각된 물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32)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와 디스펜서(24)로 유동되도록 조절하는 밸브(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33)의 구동에 따라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디스펜서(24)와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33)의 일측에는 디스펜서 배관(47)이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은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상기 디스펜서(24)를 향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을 연결하는 커넥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배관(47) 및 커넥터(35)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33)의 다른 일측은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에서 배출되는 물은 분지부재(33)에 의해 분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재(33)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은 상기 분지부재(33)와 연결된 아이스 메이커 입력 배관(441)과,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와 연결된 아이스 메이커 출력 배관(442)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력 배관(441)과 아이스 메이커 출력 배관(442)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구비되는 워터 탱크(32)와 밸브(33), 분지부재(33),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40)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12)에 장착되는 커버(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후면에 상기 워터 탱크(32)와 밸브(33), 분지부재(33),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40)들이 장착된 상태를 커버 어셈블리(30)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커버(31) 및 상기 커버 어셈블리(30)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12) 및 냉동실(13)로 공급되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에는 제 2 아이스 메이커(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는 상기 냉동실(13)의 가장 상방에 위치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는 자동으로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들고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는 구형의 얼음을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의 전방에는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를 차폐하는 아이스 메이커 커버(16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의 하방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동되어 저장되는 아이스 빈(1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는 냉동실(13)의 내측에 장착되므로 고내측 아이스 메이커 또는 캐비닛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 커버(162)를 포함하여 고내측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16)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201)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회전에 의해 좌우 양측의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1)와,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에는 도어 후면의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21)에는 제 1 아이스 메이커(2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는 상기 냉동실 도어(21) 배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급수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고 만들어진 얼음을 아이스 뱅크(263)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와 다른 종류의 얼음을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161)의 상방에는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를 차폐하는 상부 커버(2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262)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냉기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므로 도어측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와 상기 상부 커버(262) 및 아이스 뱅크(263)를 포함하여 도어측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26)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1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를 지나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까지 공급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와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냉기가 각각 공급되는 유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21)의 전면에는 디스펜서(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4)는 상기 냉동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4)는 상기 아이스 뱅크(263)와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4)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263)에 저장된 얼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탱크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탱크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측면은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 및 선반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서랍 후방에는 상기 커버(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냉장실(12)에 서랍(121)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1) 및 상기 커버 어셈블리(30)가 상기 서랍(1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커버(31)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 중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1)는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을 관통하는 개구(102a)와, 상기 냉장실(12) 후벽면의 커넥터부(102b)를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잇다.
상기 개구(102a)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급수 유로(40)들이 상기 캐비닛(10) 외측으로 통과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급수 유로(40) 중, 필터 입력 배관(42)과,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이 출입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102a)는 상기 커버(31)에 구비되는 상기 실링부재(36)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36)에 의해서 상기 개구(102a)가 완전히 차폐되어 냉기의 누설 또는 외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102a)와 대응하는 상기 백 플레이트(103)에는 탱크측 연결부(10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측 연결부(103b)를 통해서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과,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이 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102b)는 상기 커버(31)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밸브(33)에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35)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밸브(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102b)의 둘레에는 포밍부(102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밍부(102c)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부(102b)가 장착된 위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커버(31)의 장착시 상기 커버(31)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급수 유로(40)와, 상기 워터 탱크(32) 및 밸브(33) 등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102a)와 커넥터부(102b)가 모두 상기 커버(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1)의 일측에는 냉기 홀(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312)은 상기 워터 탱크(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홀(312)을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32)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커버(31)의 하단에는 순환 홀(3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 홀(311)은 상기 커버(31)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기 커버(3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홀(312)을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워터 탱크(32)를 냉각 후 상기 순환 홀(31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1) 후방의 공간의 공기는 정체되지 않고 냉기가 순환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3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31)의 일측에는 커버 고정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313)는 상기 커버(31)의 둘레 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고정부(313)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냉장실(12)의 후면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 일측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313)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2)의 벽면과 상기 커버(31)는 이격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벽면과 이격된 상기 커버(31)의 사이 공간에 상기 워터 탱크(32)와, 급수 유로(40) 및 밸브(33) 등이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31)의 구조 및 상기 커버(31)에 장착된 구성들의 배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탱크 커버 및 탱크 커버에 장착된 구성들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3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1)의 둘레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1)의 둘레 일측단에 상기 커버 고정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는 상기 커버(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탱크(32)는 튜브가 원 형상으로 여러 번 감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 탱크(32)는 상기 감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1)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32)의 고정 또는 장착을 위한 구조가 상기 커버(31)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의 입력측(321)은 상기 실링부재(36)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02a)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워터 탱크(32)의 입력측(321)은 상기 필터 출력 배관(4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출력 배관(43)의 단부가 상기 입력측(321)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워터 탱크(32)를 구성하는 튜브는 상기 필터 출력 배관(43)이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2)의 출력측(322)은 상기 분지부재(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지부재(33)는 상기 워터 탱크(32)의 출력측(322)과 상기 밸브(33)의 밸브 입력부(34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재(33)는 분지되어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32)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을 따라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은 상기 실링부재(36)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02a)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은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탱크(32)의 출력측(322)과 상기 분지부재(33) 및 상기 밸브 입력부(341)는 상기 커버(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31)의 후면에는 상기 밸브(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33)는 상기 워터 탱크(32)의 출력측(32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디스펜서(24)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삼방밸브(2way)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밸브(3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 또는 디스펜서(24)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밸브(33)의 동작을 위해 상기 상기 밸브(33)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커넥터(35)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부(102b)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34)에는 밸브 브라켓(344)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가 상기 커버(31)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33)는 상기 워터 탱크(32)의 출력측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밸브 입력부(341)와, 상기 디스펜서 배관(47)과 연결되는 디스펜서측 출력부(343),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과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측 출력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출력부(342)와 연결된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실링부재(36)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02a)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캐비닛(10) 후면 상단의 모서리 즉, 상기 백 플레이트(103)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도어측 연결부(103a)로 향하게 된다.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는 상기 필터측 연결부(103c)와 반대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1)가 장착되는 힌지 장치(20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을 형성하는 단열재 내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치(201)를 거쳐서 상기 냉동실 도어(2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상기 밸브(33)에서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까지 연장되는 배관(461)과,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에서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까지 연결되는 배관(462)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에서 별도의 커넥터(451)에 의해 연결되어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측 출력부(343)와 연결된 디스펜서 배관(47)은 상기 밸브(33)와 상기 디스펜서(24)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은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은 일단이 상기 디스펜서측 출력부(343)와 연결되며 타단에는 커넥터(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35)에는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33)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커넥터(35) 및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35)는 상기 커버(31)의 후방 즉,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33)와 상기 커넥터(35)를 연결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471) 또한 상기 커버(31)의 후방 즉,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5)와 연결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일부가 상기 커버(31)의 후방 즉,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상기 실링부재(36)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02a)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로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상당 부분이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의 물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장기간 상기 디스펜서(24)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24)의 조작을 통해 첫잔의 물을 취출하게 될 때 외부 노출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영향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4)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의 물에 의한 출수되는 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은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의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D1)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은 5.5mm의 내경(D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은 4.2mm의 내경(D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잇다.
따라서,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배관이 단일 배관의 형태로 상기 디스펜서(24)까지 연결되는 구조에 비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줄여 출수되는 물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은 적정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취출되는 물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24)로 충분한 유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급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5)는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351)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52)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351)와 제 2 연결부(352) 사이의 중간부(3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351)는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52)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351)의 내경은 상기 제 2 연결부(352)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의 내경(D1)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출력부(342)와 디스펜서측 출력부(343)에 배관들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과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상기 디스펜서 배관(47)과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1)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배관(47)과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3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15)는 상기 밸브(33)의 하방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1)에는 배관 지지부(3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지지부(314)는 상기 개구(102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유로(40)가 상기 개구(102a)를 향하도록 안내하고,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 지지부(314)에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지지부(314)의 단부에 상기 실링부재(36)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1)의 장착시 상기 개구(102a)를 통과하는 급수 유로(40)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36)가 상기 개구(102a)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2) 또는 밸브(33)의 정비 또는 급수 유로(40)의 서비스 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31)를 분리하게 되면 쉽게 접근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작업 후 상기 커버(31)를 장착하여 상기 커버(31) 후면의 구성들을 동시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 물이 유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체 물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급수원(2)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 배관(41)을 통해서 상기 급수 밸브(142a)로 유동된다. 급수되는 물은 상기 급수 밸브(142a)의 개방시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을 통해 상기 필터(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필터 출력 배관(43)을 통해서 상기 워터 탱크(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에 저장된 물은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분지부재(33)와 연결된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을 통해서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의 제빙 신호 입력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밸브(143)가 개방되어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44)을 따라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밸브(33)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 또는 디스펜서(2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출력부(342)가 개방될 경우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을 따라서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의 제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33)가 동작되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을 통해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측 출력부(343)가 개방될 경우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을 따라 상기 디스펜서(24)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커넥터(35) 및 상기 커넥터(35)에 연결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 위치되며, 따라서 배관 내의 물은 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의 탱크측 연결부(103b)와 도어측 연결부(103a)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의 물은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은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D1)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게 되어 상기 외기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2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밸브(33)가 동작되고,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커넥터(35)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을 통과한 물이 상기 디스펜서(24)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에서 외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물의 양이 최소화 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24)에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 상승 또한 최소화 되고 취출되는 물의 온도는 설정 범위 내에서 만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은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은 상기 도어측 연결부에서 상기 캐비닛(10) 상면, 힌지 장치(201)를 지나 상기 냉동실 도어(2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은 상기 도어측 연결부(103a)에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과 커넥터(4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은 3.1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이 통과되는 캐비닛(10) 상면과 상기 냉동실 도어(21) 내부의 단열재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이 통과되는 상기 힌지 장치(201)의 내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의 단부에는 디스펜서 커넥터(35)가 연결되고, 상기 디스펜서 커넥터(35)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디스펜서(24)의 취출 노즐과 연결되는 제 4 디스펜서 배관(475)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은 상기 취출 노즐과 연결되는 제 4 디스펜서 배관(4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디스펜서 배관(475)은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4)에서 취출되는 물의 유속이 과도하게 빠르지 않고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4 디스펜서 배관(475)의 내경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지 않는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샐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체 물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 2 아이스 메이커(161) 및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161)와 연결된 배관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급수원(2)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 배관(41)을 통해서 상기 급수 밸브(142a)로 유동된다. 급수되는 물은 상기 급수 밸브(142a)의 개방시 상기 필터 입력 배관(42)을 통해 상기 필터(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필터 출력 배관(43)을 통해서 상기 워터 탱크(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에 저장된 물은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밸브(33)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4)와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출력부(342)가 개방될 경우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을 따라서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의 제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33)가 동작되고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46)을 통해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261)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측 출력부(343)가 개방될 경우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은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을 따라 상기 디스펜서(24)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33)와 연결된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커넥터(35) 및 상기 커넥터(35)에 연결된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위치되며, 따라서 배관 내의 물은 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의 탱크측 연결부(103b)와 도어측 연결부(103a)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의 물은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의 내경(D2)은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의 내경(D1)보다 작게 되어 상기 외기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2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밸브(33)가 동작되고,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471)과 커넥터(35)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472)을 통과한 물이 상기 디스펜서(24)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472) 내부에서 외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물의 양이 최소화 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24)에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 상승 또한 최소화 되고, 취출되는 물의 온도는 설정 범위 내에서 만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배관(47)은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473)과 제 4 디스펜서 배관(47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배관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32)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24)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이 취출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힌지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탱크와 디스펜서를 연결하며, 상기 워터 탱크의 물을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연통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
    상기 디스펜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은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장 공간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되며,
    상기 워터 탱크와 제 1 디스펜서 배관은 상기 냉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상기 워터 탱크로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 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이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통과되도록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개구 및 워터 탱크를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탱크는 튜브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와 커넥터 및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일부는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을 연결하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는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의 입력측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을 포함하는 상기 급수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들이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단열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채우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배관들이 관통되고,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냉장실 후벽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 고정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방에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서랍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탱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의 냉각을 위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 및 커넥터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은 상기 캐비닛의 후벽면을 통과한 후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캐비닛의 후면과 상면 및 상기 힌지 장치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3 디스펜서 배관이 연결되는 캐비닛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제 4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디스펜서 커넥터가 구비되는 냉장고.
  18. 좌우 양측에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단에 기계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제 1 아이스 메이커;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제 2 아이스 메이커;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고외의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과, 상기 워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취출되는 디스펜서;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아이스 메이커 밸브; 및
    상기 급수원과, 급수 밸브, 필터, 워터 탱크, 밸브, 아이스 메이커 밸브, 제 1 아이스 메이커, 제 2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며, 물이 유동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출력측과 연통되는 제 1 디스펜서 배관;
    상기 디스펜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2 디스펜서 배관;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와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펜서 배관의 직경은 제 1 디스펜서 배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원과 상기 급수 밸브를 연결하는 급수 배관;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필터를 연결하는 필터 입력 배관;
    상기 필터와 워터 탱크를 연결하는 필터 출력 배관;
    상기 밸브와 상기 제 1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하는 제 1 아이스 메이커 배관; 및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제 2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하는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와 밸브, 커넥터 및 급수 유로의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의 후벽면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필터 출력 배관과,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 제 2 아이스 메이커 배관 및 제 2 디스펜서 배관이 통과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210067670A 2021-05-26 2021-05-26 냉장고 KR20220159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70A KR20220159713A (ko) 2021-05-26 2021-05-26 냉장고
EP22175385.8A EP4095466A1 (en) 2021-05-26 2022-05-25 Refrigerator
US17/825,190 US20220381507A1 (en) 2021-05-26 2022-05-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70A KR20220159713A (ko) 2021-05-26 2021-05-2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13A true KR20220159713A (ko) 2022-12-05

Family

ID=8185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70A KR20220159713A (ko) 2021-05-26 2021-05-26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81507A1 (ko)
EP (1) EP4095466A1 (ko)
KR (1) KR20220159713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620A (en) * 1976-06-04 1977-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Water chilling tank for refrigerator
KR100412951B1 (ko) * 2001-10-16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펜서 물공급장치
DE102006002445A1 (de) * 2006-01-18 2007-07-19 Re-Flex S.R.L., Tradate Kühlschrankflüssigkeitstank
KR20080055052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160055741A (ko) * 2016-04-29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907874B2 (en) * 2018-10-22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downsp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5466A1 (en) 2022-11-30
US20220381507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1212A1 (en) Refrigerator
US10168094B2 (en) Refrigerator
US7921668B2 (en)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d ice maker and dispenser
EP2407739B1 (en) Refrigerator having water feed system
US8656731B2 (en) Refrigerator
US20120011877A1 (en) Refrigerator
KR20180124454A (ko) 냉장고
KR20110138772A (ko) 냉장고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20220159713A (ko) 냉장고
US20220275988A1 (en) Refrigerator
KR20110072369A (ko) 냉장고
KR20090110154A (ko) 내부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10101097A (ko) 냉장고
AU2022203947B2 (en) Refrigerator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KR20210101100A (ko) 냉장고
KR20220122176A (ko) 냉장고
KR20220026371A (ko) 냉장고
KR20240051625A (ko) 냉장고
KR20230094441A (ko) 냉장고
KR20230094436A (ko) 냉장고
KR20210089543A (ko) 냉장고
KR20150094555A (ko) 냉장고
KR2011008510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