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135A -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 Google Patents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135A
KR20220159135A KR1020210067121A KR20210067121A KR20220159135A KR 20220159135 A KR20220159135 A KR 20220159135A KR 1020210067121 A KR1020210067121 A KR 1020210067121A KR 20210067121 A KR20210067121 A KR 20210067121A KR 20220159135 A KR20220159135 A KR 2022015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unit
horizontal rod
heating heate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057B1 (ko
Inventor
이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1006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는, 내부에 제1 가열히터부를 포함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부분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을 감싸면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음식물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업/다운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부가 이동 시 임시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는, 음식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열원 공급이 음식물에 충분히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UP-DOWN LIFTING STRUCTURE OF FISH OVEN APPARATUS}
본 발명은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음식물의 크기에 대응되어 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조리가 편리할 수 있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과 웰빙 열풍에 더불어, 전기로 동작되는 오븐레인지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오븐레인지는 상부, 하부 또는 상ㅇ하부에서 발생한 열기 및 열풍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로서, 조리실에 내장되어 있는 히터를 열원으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이다.
보통 오븐레인지는 보통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조리를 하게 되며, 주로 생선이나 닭고기, 돼지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요리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되며, 특히 생선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컴팩트한 사이즈의 오븐레인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조리되어야 할 음식물의 사이즈나 두께는 천차만별이다. 예컨대, 닭다리나 등심 스테이크 등의 경우 두께가 있을 수 있고, 얇게 저민 생선포나 반가공된 햄류 등 얇은 두께의 음식물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열기를 발생하는 가열수단이 상, 하벽에 고정 설치되는 기존의 오븐레인지의 경우, 음식물의 두께별로 열원 공급이 충분하고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없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지 못하고 조리 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식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열원 공급이 음식물에 충분히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절감될 수 있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는, 내부에 제1 가열히터부를 포함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부분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을 감싸면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음식물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업/다운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부가 이동 시 임시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 이동부는, 지지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를 중심으로 상대회동되는 수평로드; 상기 수평로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를 지지하는 수직로드; 및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로드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로드 및 수직로드를 업/다운 이동시키는 구동핸들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핸들러는, 일단에 절곡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핸들몸체; 상기 핸들몸체에서 상기 본체부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로드는 상기 수평로드의 중앙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핸들러는 상기 수평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로드가 상기 절곡부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평로드에는 내측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돌출부재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 전면에 마련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돌기에는 일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업/다운 이동부의 로킹 동작 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함몰홈에 안착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는, 음식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열원 공급이 음식물에 충분히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외부케이싱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에서 로킹부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외부케이싱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에서 로킹부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가열히터부(170)를 포함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조리실(130)과 부분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싱(120)과, 상기 내부케이싱(120)을 감싸면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싱(110)을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되, 음식물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17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업/다운 이동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부(200)가 이동 시 임시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주로 도 1을 참조하면,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2중벽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실(130)과 부분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싱(120)과, 상기 내부케이싱(120)을 감싸면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싱(120)은 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히터부(170) 및 제2 가열히터부(미도시)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내부에 조리실(130)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30)에는 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거치홈 및 거치대가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대 하부에는 기름받이판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30)의 하부에는 제1 가열히터부(170)가 마련되며, 상부에는 제2 가열히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열히터부(170) 및 제2 가열히터부(180)는 조리실(130)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외부케이싱(110)은 장치의 외부 케이스 부분이다. 이러한 외부케이싱(110)의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홀(150)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150)을 통해 조리실(130) 내부의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외부케이싱(110)의 전면에는 개방되며, 출입도어(141)가 마련될 수 있다. 출입도어(141)에는 출입도어(141)를 개폐하는 손잡이부(142)가 마련되며, 외부케이싱(110) 전면 하단에는 조작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열기를 발생하는 가열수단이 상, 하벽에 고정 설치되는 기존의 오븐레인지의 경우, 음식물의 두께별로 열원 공급이 충분하고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없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지 못하고 조리 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업/다운 이동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업/다운 이동부(200)는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샤프트(210)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상대회동되는 수평로드(220); 상기 수평로드(22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170)를 지지하는 수직로드(230); 및 절곡부(242)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로드(2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로드(220) 및 수직로드(230)를 업/다운 이동시키는 구동핸들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샤프트(210)는 내부케이싱(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평로드(220)는 지지샤프트(210)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상대회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로드(2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절곡부(242)와 연결되는 쪽에 내측단턱(221)이 마련될 수 있어 절곡부(242)와 수평로드(220) 간의 임의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수직로드(230)는 상기 수평로드(22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17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로드(230)는 상기 수평로드(220)의 중앙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수평로드(220) 및 수직로드(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싱(120)의 외부에 배치되어 조리실(130) 내부의 제1 가열히터부(170)를 업/다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로드(220) 및 수직로드(230)를 업/다운 구동하는 구동핸들러(240)가 장치 전면으로 부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핸들러(240)는 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절곡부(242)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핸들몸체(241); 상기 핸들몸체(241)에서 상기 본체부(100)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243); 및 상기 돌출부재(243)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몸체(241)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에 절곡부(24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몸체(241)는 상기 수평로드(220)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로드(220)가 상기 절곡부(242)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242)를 통해 수평로드(220)가 장치 전후로 미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어, 구동핸들러(240)의 상하 운동 시에도 구동핸들러(240)와 수평로드(220) 간의 간섭 현상이 저지될 수 있다.
돌출부재(243)는 슬롯(310)을 통해 장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돌출부재(243)에서 장치 측부쪽으로 손잡이부재(24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244)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구동핸들러(240), 수평로드(220), 수직로드(230) 및 이에 연결된 제1 가열히터부(170)를 업/다운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출입도어(1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장치 전면 일측에는 로킹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300)는 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재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전면에 마련되는 슬롯(310); 및 상기 슬롯(310)을 따라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310)은 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관통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슬롯(310)을 통해 돌출부재(243)가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돌기(320)에는 일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321)이 마련되며, 상기 업/다운 이동부(200)의 로킹 동작 시 상기 돌출부재(243)가 상기 함몰홈(321)에 안착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킹돌기(320)는 2개가 마련되어 있으나, 로킹돌기(320)의 위치 및 개수 등은 본 권리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로킹부(300)는 음식물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위치 이동된 제1 가열히터부(170)를 임시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어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음식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제1 가열히터부(170)의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열원 공급이 음식물에 충분히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절감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출입도어(141)를 통해, 음식물이 조리실(130) 내부로 투입되는데 예컨대, 두께가 상당한 등심, 스테이크 등의 고기류나 크기가 큰 생선 등이 오븐에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제1 가열히터부(170)는 조리실(130) 제일 저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리실(130) 내벽 상단에 배치되는 제2 가열히터부와 함께 음식물을 가열 및 조리할 수 있다.
다음, 얇게 저민 생선포나 반가공된 햄류 등 두께가 얇은 음식물이 가열될 필요가 있을 때, 출입도어(141)를 개방한 상태에서 구동핸들러(240)를 조작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제1 가열히터부(170)를 업 이동시킨다.
보다 상술하면, 손잡이부재(244)를 슬롯(310)을 따라 업 구동하고 로킹돌기(320)의 함몰홈(321)에 안착시켜 임시 로킹한다.
이 과정에서, 핸들몸체(241)는 업 이동되고 절곡부(242)에 연결된 수평로드(220)의 일단이 지지샤프트(210)를 중심으로 하여 미소 회동한다.
그러면, 수직로드(230)가 상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1 가열히터부(170)도 상부로 위치 이동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음식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제1 가열히터부(170)의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열원 공급이 음식물에 충분히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다양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외부케이싱
120 : 내부케이싱 130 : 조리실
141 : 출입도어
170, 180 : 제1 가열히터부
200 : 업/다운 이동부 210 : 지지샤프트
220 : 수평로드 221 : 내측단턱
230 : 수직로드
240 : 구동핸들러 241 : 핸들몸체
242 : 절곡부 243 : 돌출부재
244 : 손잡이부재 300 : 로킹부
310 : 슬롯 320 : 로킹돌기
321 : 함몰홈

Claims (7)

  1. 내부에 제1 가열히터부를 포함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부분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을 감싸면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음식물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업/다운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부가 이동 시 임시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이동부는,
    지지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를 중심으로 상대회동되는 수평로드;
    상기 수평로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열히터부를 지지하는 수직로드; 및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로드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로드 및 수직로드를 업/다운 이동시키는 구동핸들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핸들러는,
    일단에 절곡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핸들몸체;
    상기 핸들몸체에서 상기 본체부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로드는 상기 수평로드의 중앙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핸들러는 상기 수평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로드가 상기 절곡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평로드에는 내측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돌출부재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 전면에 마련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돌기에는 일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업/다운 이동부의 로킹 동작 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함몰홈에 안착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KR1020210067121A 2021-05-25 2021-05-25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KR10248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21A KR102487057B1 (ko) 2021-05-25 2021-05-25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21A KR102487057B1 (ko) 2021-05-25 2021-05-25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35A true KR20220159135A (ko) 2022-12-02
KR102487057B1 KR102487057B1 (ko) 2023-01-10

Family

ID=8441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121A KR102487057B1 (ko) 2021-05-25 2021-05-25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37Y1 (ko) * 1988-07-26 1991-07-01 최중달 빨대를 내장한 음료수 캔
KR19990010890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전자렌지용 히터 높낮이조절장치
KR100562105B1 (ko) * 2003-07-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락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37Y1 (ko) * 1988-07-26 1991-07-01 최중달 빨대를 내장한 음료수 캔
KR19990010890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전자렌지용 히터 높낮이조절장치
KR100562105B1 (ko) * 2003-07-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락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057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86418C (zh) 加热烹饪装置
KR101207304B1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US6803551B2 (en) Cooking vessel used with microwave ovens
EP1674796A2 (en) Electric oven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CN1482398A (zh) 微波炉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KR101683085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US9857083B2 (en) Built-in oven with height adjuster
KR102487057B1 (ko) 피쉬오븐기의 가열히터부의 승하강 구조
KR102047305B1 (ko)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EP4066698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oven
JPH01184332A (ja) 調理器
US88133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built-in oven into a cabinet cut-out
KR200349862Y1 (ko) 전자레인지용 회전트레이
US20240049367A1 (en) Cooking appliance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0197563Y1 (ko) 전자렌지용 히터 높낮이조절장치
KR100697462B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KR200227312Y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구동장치
KR100562105B1 (ko) 전기오븐의 도어 락킹 시스템
KR960002688Y1 (ko) 상면열림방식 전자렌지
KR100578338B1 (ko)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 승강회전장치
KR0126949Y1 (ko) 조리기의 조리팬 지지장치
KR19980060305U (ko) 전자렌지의 음식물 교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