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081A -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 Google Patents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081A
KR20220159081A KR1020210066954A KR20210066954A KR20220159081A KR 20220159081 A KR20220159081 A KR 20220159081A KR 1020210066954 A KR1020210066954 A KR 1020210066954A KR 20210066954 A KR20210066954 A KR 20210066954A KR 20220159081 A KR20220159081 A KR 2022015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evice
sensor
body parts
sensor modu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058B1 (ko
Inventor
조용준
서갑호
오장석
윤해룡
홍형길
박희창
강민수
박관형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6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2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m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콩, 딸기, 가지 및 토마토 등과 같이 밭 작업 작물을 수확하는데 필요한 수확용 전동장치에 설치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몸체부,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에 결합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양단부의 몸체부는 전동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장치용 센서모듈{SENSOR MODULE FOR POWERTRAIN}
본 발명은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추, 콩, 딸기, 가지 및 토마토 등과 같이 밭 작업 작물을 수확하는데 필요한 수확용 전동장치에 설치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콩, 딸기, 가지 및 토마토 등과 같이 높이가 대체로 낮은 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작업은,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확물을 수집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와 함께 고랑 사이를 이동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자가 장시간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허리와 하반신의 피로감이 가중되고, 특히 척추나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어 허리통증이나 무릎관절염 등과 같은 신체이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동장치를 이용해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밭의 이랑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4031호에는 종래의 작물 수확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작물 수확 장치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핸들을 조정하여 밭고랑 등을 따라 주행해야 하는데 곧게 형성되지 않고 길이 고르지 않은 밭고랑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밭고랑의 중심을 따라 작물 수확 장치를 자유주행 하기 위해선 RTK-GPS, 라이다, 카메라 등을 구성하여 밭 환경에서 두둑 혹은 고랑의 중심점을 인지하여 주행해야 하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가형 다중센서를 조합하여 전동장치에 설치하고, 밭고랑의 경사면을 인지하여 밭고랑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몸체부,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에 결합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양단부의 몸체부는 전동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는 일측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거리 센서, 온도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하나인 한 쌍의 양단 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인 연결 몸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천공된 센서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홀은 한 쌍이고, 상기 연결 몸체부의 양측 테두리 각각의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는 서로 포개진 상태로 상기 전동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천공된 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가 상기 연결 몸체부와 연결되는 단부측의 반대측 단부에 라운드되게 천공된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의 중앙부에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밭고랑을 인식하는 센서를 바탕으로 자율 조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확작업 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조작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다양한 전동장치에 장착 및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저 비용으로 밭고랑 인식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여러 넓이의 밭고랑을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센서부를 제거하고 몸체부와 힌지부를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을 전동장치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을 변형하여 센서부의 센싱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센서부를 제거하고 몸체부와 힌지부를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1을 전동장치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을 변형하여 센서부의 센싱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은 몸체부(100), 힌지부(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의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판체이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은 몸체부(100)를 4개의 몸체부(100)로 설명하였으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a)은 몸체부(100)를 6개로 형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 몸체부(100)를 3개, 5개 또는 6개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몸체부(100) 중 하나인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와 복수 개의 몸체부(100) 중 다른 하나인 연결 몸체부(100b)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개수가 늘어나면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의 개수는 고정되고, 연결 몸체부(100b)의 개수가 늘어날 수 있다.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는 전동장치(L)에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는 복수 개의 몸체부(10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는 서로 포개진 상태로 전동장치(L)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로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천공된 체결홀(120)과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가 연결 몸체부(100b)와 연결되는 단부측의 반대측 단부에 라운드되게 천공된 고정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120)은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의 중앙부에 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를 서로 포갠 상태에서 하나의 양단 몸체부(100a)의 고정홀(130)과 다른 하나의 양단 몸체부(100a)의 체결홀(120)과 전동장치(L)를 함께 관통하게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몸체부(100)를 전동장치(L)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00b)는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의 사이에서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00b)는 일단부를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 중 하나와 연결하고 타단부를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 중 다른 하나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00b)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센서 결합홀(110)을 천공할 수 있다.
센서 결합홀(110)은 센서부(300)를 연결 몸체부(100b)에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센서 결합홀(110)은 한 쌍이고, 연결 몸체부(100b)의 양측 테두리 각각의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부(100b)의 양측 테두리는 연결 몸체부(100b)가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 및 연결 몸체부(100b)끼리 연결되지 않은 측의 양측 테두리일 수 있다.
센서 결합홀(110)은 연결 몸체부(100b)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볼트 등의 결합부재(B)로 센서 결합홀(110)을 관통하여 센서부(300)를 결합할 수 있다. 센서 결합홀(110)이 연결 몸체부(100b) 내에서 길게 형성되어 센서부(300)의 결합 위치를 센서 결합홀(110)이 형성된 위치 중에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다.
힌지부(200)는 복수 개의 몸체부(100)를 서로 힌지 결합할 수 있다.
힌지부(200)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와 연결 몸체부(100b)를 서로 힌지 결합하되, 힌지부(200)는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와 연결 몸체부(100b)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와 연결 몸체부(100b)는 일측 방향으로만 선회될 수 있다.
힌지부(200)는 경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바닥에 오목하게 파인 밭고랑을 인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센서부(300)는 초음파, 적외선, 자연광 등을 이용한 거리 센서와, 온도 센서와 기울기 센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밭고랑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기울기 센서는 센서부(300)가 결합된 연결 몸체부(100b)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B)에 의해 연결 몸체부(100b)에 형성된 센서 결합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거리 센서, 온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거리 센서는 최소 2개 이상일 수 있고,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센서 등일 수 있다. 거리 센서가 레이저 센서일 때 측정하는 타켓의 위치를 탑승자의 육안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온도 센서와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는 주변 환경온도 및 센서부(300)가 설치된 몸체부(100)의 움직임에 따른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밭고랑의 경사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 복수 개의 거리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센서의 개수에 대응하게 연결 몸체부(100b)를 복수 개로 형성하고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고하여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중앙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의 각도를 조절하여 거리 센서가 밭고랑의 바닥면을 인식하게 하고 양 옆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의 각도를 조절하여 거리 센서가 밭고랑의 경사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로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전동장치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을 전동장치(L)에 설치하는 방법은 전동장치(L)가 주행할 밭고랑의 크기에 맞추어 복수 개의 몸체부(100) 중 연결 몸체부(100b)의 적당한 위치에 센서부(300)를 결합할 수 있다.
센서부(300)를 결합한 복수 개의 몸체부(100)는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와 연결 몸체부(100b)를 일측으로 선회 이동하고,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를 서로 포갤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몸체부(100)는 서로 포갠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a)를 서로 포갠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연결 몸체부(100b)에 결합된 센서부(300)의 센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300)의 센싱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서로 포갠 한 쌍의 양단 몸체부(10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130)과 다른 하나의 체결홀(120)과 전동창치(L)의 전(前)측부을 체결부재로 함께 관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1)을 전동장치(L)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장치(L)가 주행할 밭고랑의 크기에 맞추어 센서부(300)의 센싱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전동장치(L)에 센서모듈(1)을 설치하면 전동장치(L)가 밭고랑을 주행할 시 센서부(300)의 센서가 밭고랑의 양쪽 경사면을 인식하여 전동장치(L)가 밭고랑의 중앙을 따라 주행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는 거리 센서가 2개 일 때 각각의 거리 센서가 밭고랑(F)의 경사면을 인식하도록 복수 개의 몸체부(100) 중 2개의 연결 몸체부(100b)에 각각 거리 센서를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연결 몸체부(100b)의 각도를 조절하여 거리 센서가 밭고랑(F)의 경사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에 설치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밭고랑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몸체부(100)는 센서부(300)의 거리 센서가 3개 및 4개 또는 그 이상 일 때 연결 몸체부(100b)를 거리 센서의 개수에 대응하게 3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중앙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된 거리 센서는 밭고랑(F)의 바닥면을 인식하고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양 옆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된 거리 센서는 밭고랑(F)의 경사면을 인식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밭고랑(F)의 경사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중앙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된 거리 센서는 밭고랑(F)의 바닥면을 인식하고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양 옆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된 거리 센서는 밭고랑(F)의 경사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300)가 밭고랑(F)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거리 센서를 사용하고 복수 개의 연결 몸체부(100b) 중 중앙측 및 양 옆측에 위치한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된 거리 센서의 각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거리 센서의 각도를 거리 센서의 설치 위치 및 밭고랑(F)의 넓이에 대응하게 하기 위해서 몸체부(100)를 전동장치에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거리 센서를 짝수 개로 형성할 시에 거리 센서가 밭고랑(F)의 양측 경사면을 각각 바라보게 밭고랑(F)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거리 센서를 3개 이상의 홀수 개로 형성할 시에 밭고랑(F)의 중심부에 거리 센서를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거리 센서를 기준으로 양 옆측으로 대칭되게 거리 센서를 더 위치하도록 연결 몸체부(100b)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1개의 밭고랑에서 전동장치가 주할 시에 전동장치의 전(前)측부에 1개의 센서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2개의 밭고랑을 전동장치가 동시에 주행할 시에 밭고랑 수에 대응되게 전동장치의 전(前)측부에 2개의 센서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모듈은 전동장치가 주행하는 밭고랑 수에 대응되게 전동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밭고랑을 인식하는 센서를 바탕으로 자율 조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확작업 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조작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다양한 전동장치에 장착 및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저 비용으로 밭고랑 인식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은 여러 넓이의 밭고랑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용 센서모듈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100: 몸체부
100a: 양단 몸체부
100b: 연결 몸체부
110: 센서 결합홀
120: 체결홀
130: 고정홀
200: 힌지부
300: 센서부
B: 결합부재
L: 전동장치
F: 밭고랑

Claims (10)

  1.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몸체부;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에 결합된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양단부의 몸체부는 전동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는 일측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거리 센서, 온도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하나인 한 쌍의 양단 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인 연결 몸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천공된 센서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홀은 한 쌍이고, 상기 연결 몸체부의 양측 테두리 각각의 인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결합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는 서로 포개진 상태로 상기 전동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천공된 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가 상기 연결 몸체부와 연결되는 단부측의 반대측 단부에 라운드되게 천공된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한 쌍의 양단 몸체부의 중앙부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KR1020210066954A 2021-05-25 2021-05-25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KR10250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54A KR102509058B1 (ko) 2021-05-25 2021-05-25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54A KR102509058B1 (ko) 2021-05-25 2021-05-25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81A true KR20220159081A (ko) 2022-12-02
KR102509058B1 KR102509058B1 (ko) 2023-03-09

Family

ID=8441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954A KR102509058B1 (ko) 2021-05-25 2021-05-25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0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63B1 (ko) * 2011-11-16 2013-08-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철로상태 검사로봇
KR102141629B1 (ko) * 2020-05-21 2020-08-05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다중 포인트 센서를 활용한 초음파 두께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63B1 (ko) * 2011-11-16 2013-08-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철로상태 검사로봇
KR102141629B1 (ko) * 2020-05-21 2020-08-05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다중 포인트 센서를 활용한 초음파 두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058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A44819C2 (uk) Автоматично керована зернозбиральна машина
US8239038B2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near infrared reflectometry to reduce the effect of positional changes during spinal cord stimulation
TWI827549B (zh) 植物掃描載具
US8511051B2 (en) Berry harvesting machine, especially grape harvesting machine, equipped with a shaking system and mechatronic shaking control for this system
BR112014000839B1 (pt) Plataforma móvel e sistema para mover uma ferramenta ou um sensor sobre uma superfície não nivelada
US6397569B1 (en) Method of adjusting a sensor unit mounted on a field machine and an adjusting device therefor
WO2008012386A1 (es) Sistema robótico de asistencia a la cirugía mínimamente invasiva capaz de posicionar un instrumento quirúrgico en respuesta a las órdenes de un cirujano sin fijación a la mesa de operaciones ni calibración previa del punto de inserción
KR102509058B1 (ko) 전동장치용 센서모듈
WO2020198391A1 (en) Smart irrigation system
EP2887789A1 (en) An agricultural device
US20220410991A1 (en) Autonomous robot
US10574363B2 (en) Robot and optical transmission device
KR102663070B1 (ko) 예취부 자세 제어장치
Melvin et al. ROVI: a robot for visually impaired for collision-free navigation
KR102483202B1 (ko) 제초 로봇의 기계식 능동 리프팅 시스템
ES2207422B1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posicionado relativo entre maquinas agricolas y cultivos en sus lineas de plantacion.
JP6655253B2 (ja) 液剤散布高さ検出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ブームスプレーヤ並びに液剤散布高さ検出モジュール用プログラム
ES2967237T3 (es) Dispositivo de nivelación de taludes laterales para viticultura
SE2051562A1 (en) Implement carrier
KR20230063739A (ko) 과실 수확용 로봇
JP6098539B2 (ja) 多関節ロボットの原点調整システム及び原点調整方法
JP2013252087A (ja) 圃場走行装置
KR20240094191A (ko) 개량형 균평장치
KR20230114945A (ko) 농업 보조용 로봇
CN113805575B (zh) 载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