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945A -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945A
KR20220158945A KR1020210066602A KR20210066602A KR20220158945A KR 20220158945 A KR20220158945 A KR 20220158945A KR 1020210066602 A KR1020210066602 A KR 1020210066602A KR 20210066602 A KR20210066602 A KR 20210066602A KR 20220158945 A KR20220158945 A KR 2022015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upply
main pipe
cartrid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355B1 (ko
Inventor
박근식
Original Assignee
박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식 filed Critical 박근식
Priority to KR102021006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에 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의 연결부분에 카트리지삽입홈을 형성하고, 내부에 밸브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삽입홈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냉온수분배기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의하면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는 카트리지로 설치되므로, 쐐기홈과 돌출쐐기로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방향이 틀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누구나 카트리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매하여 직접교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SAMRT HYBRID COOL OR HEATING WATER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에 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의 연결부분에 카트리지삽입홈을 형성하고, 내부에 밸브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삽입홈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냉온수분배기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건물의 각 방이나 필요한 장소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각 위치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 및 환수하는 것을 컨트롤 하기 위해서 냉온수분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냉온수분배기는 냉,온수용과 난방용으로 사용용도가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배기에는 주방의 싱크대나 화장실의 세면대 및 변기에 냉,온수 공급과 실내의 각 방에 난방을 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의 냉온수분배기는 도 1과 같이, 공급부(10)와 환수부(20)가 지지판(30)에 의해서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공급부(10)는 공급주배관(11)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각 공급연결부(12)에는 공급밸브(13)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환수부(20)는 환수주배관(21)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환수연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환수연결부(22)에는 환수밸브(2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급밸브(13)는 수동식 밸브가 형성되고, 환수밸브(23)는 자동식 밸브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기가 형성되고,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11)과 환수주배관(21)의 상단일측에는 에어벤트(40)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압이 찰 경우에 이를 제거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은 주로 스텐레스, 황동, 청동 등의 금속재로 형성된다.
상기 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를 형성할 때에는 일정간격의 홀을 형성하고,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를 각각 용접하거나, 탭으로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에 각 공급밸브와 환수밸브를 결합하는데, 유니언을 결합하고, 상기 유니언과 함께 각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를 결합하고, 링을 삽입한 후에 소켓을 결합하며, 상기 소켓에 각 배관을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냉온수분배기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여전히 설치할 때 용접을 하는 등의 어려운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부위가 많아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냉온수분배기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제공되는데,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33297호에는 '배관의 결합을 위한 서포트링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난방 또는 냉,온수 분배기가 제공된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9794호에는 '플라스틱 난방온수 분배기'가 제공된 바 있다.
종래의 냉온수분배기는 모두 종래에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밸브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니언, 링 등으로 설치해야하고, 설치가 어렵고 복잡할 수 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 KR10-2012-0039794 A
(특허문헌 2) KR10-2018-0133297 A
(특허문헌 3) KR20-0286782 Y1
그러나, 종래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냉온수분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를 연결하여 만들기 위해서 별도의 공정(예를 들어 용접, 브레이징, T뽑기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진다.
(2) 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에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를 각각 설치할 때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각 공급밸브와 환수밸브의 손잡이를 정면에 위치시키기가 어렵고, 틀어진 방향을 다시 되돌리게 되는 등 누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어렵다.
(3) 위 (2)의 문제로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의 손잡이 방향이 틀어지면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 조이는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임의로 틀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 사용한 에폭시 접착제가 깨지면서 누수의 원인이 된다.
(4) 환수연결부, 유니온(자동밸브 등) 및 자동밸브의 바디가 각각 결합되어야 하므로, 단가의 상승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조립불량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5)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도 교체 또는 수리가 쉽지 않고, 별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수리를 할 수 밖에 없다.
(6) 냉온수분배기는 주로 싱크대 하부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데,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에서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고, 다시 배관이 연결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길고,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어 설치작업이 어렵고, 보수공사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급부와 환수부가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과 각 공급연결부 및 환수주배관과 각 환수연결부가 만나는 부분에 통공되어 카트리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되,
상기 각 카트리지삽입홈과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는 수직 또는 일직선으로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고,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에 각각 일정각도로 부착되어 통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2)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는 카트리지로 설치되고, 쐐기홈과 돌출쐐기로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방향이 틀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누구나 카트리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매하여 직접교체할 수 있다.
(3) 카트리지삽입홈에 카트리지를 설치하면 공급밸브와 환수밸브가 형성되므로, 설치로 인한 누수문제 또는 하자가 최소화된다.
(4) 공급주배관과 공급연결부, 환수주배관과 환수연결부 등이 일체로 생산되고,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는 각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삽입홈에 삽입하면 완성되기 때문에 생산원가와 설치시간이 줄어든다.
(6) 공급주배관과 공급밸브 및 공급연결부, 환수주배관과 환수밸브 및 환수연결부가 거의 붙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차지하는 공간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쉬울 뿐만아니라,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도 매우 편리하다.
(7) 유니언, 밸브, 링, 소켓 등 다양한 부품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단가가 현저히 낮아 가격 경쟁력이 높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분배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를 나타낸 개념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 및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 및 카트리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부 또는 환수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환수부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카트리지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부 또는 환수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부 또는 환수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부 또는 환수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공급부 또는 환수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을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시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원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원 명세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방향은 도면에서 용지의 상단방향을 상부 또는 상단으로 표현하고, 용지의 하단방향을 하부 또는 하단으로 표현한다.
단, 하우징은 공급연결부 및 환수연결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용지의 우측하단방향을 상단, 좌측상단방향을 하단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은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각 공급연결부(120) 및 환수주배관(210)과 각 환수연결부(220)가 만나는 부분에 통공되어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되되,
상기 각 카트리지삽입홈(180)과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는 수직 또는 일직선으로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고,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일정각도로 부착되어 통공된다.
즉, 본 발명은 양측에 고정판재(30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재(300)의 가운데에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일반적인 냉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와 환수부(200)의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이 각각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는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가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사출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각각의 공급연결부(120) 및 환수주배관(210)과 각각의 환수연결부(220)의 연결부분에는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각각 카트리지(190)가 삽입형성된다.
상기 공급주배관(110) 및 환수주배관(210)은 내부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면이 표현되도록 전면평면부(110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의 전방하단에는 센서연결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연결구(160)는 온도센서, 유량측정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삽입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냉온수분배기를 스마트하게 제어 및 상태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은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과 연통되도록 통공(112)이 형성되고, 끝단은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와 연통되도록 개방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115)은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과 연장되어 돌출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밸브고정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되는데, 상기 카트리지(190)는 케이스(197)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97)에는 케이스커버(198), 작동축(199), 작동디스크(195), 개폐디스크(193), 유량조절디스크(194)가 일체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190)는 필터, 게이지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97)은 전방이 개방되고, 전방내주연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케이스커버(198)의 외주연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97)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공급주배관(110)과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주배관(210)과 환수연결부(220)를 사출할 때 형성되는 카트리지삽입홈(18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케이스(197)의 일측에는 개방된 일측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통공(131)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결합곡면부(197a)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곡면부(197a)는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에 형성되는 통공(112)과 일측통공(131)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때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의 내부곡면을 따라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97)는 황동, 청동 또는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작동축(199)의 회전으로 작동디스크(195), 개폐디스크(193) 및 유량조절디스크(194)가 회전하더라도 튼튼하게 고정될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97)를 카트리지삽입홈(180)에 고정할 때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의 개방홀(115) 주연부에는 일단오링(190b)을 삽입하고, 케이스(197)의 전방에 케이스커버(198)를 고정할 때 커버오링(190a)을 삽입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작동축(199)의 전방끝단에는 조절손잡이(191)가 형성되거나, 구동기(150)가 형성되어 카트리지(19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의 하단끝단에는 연결구소켓(125)이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연결구소켓(125)은 사출할 때 인서트사출하거나, 사출 후 강제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소켓(125)은 황동, 청동 또는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관연결구(5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고정부(225)에는 손잡이 또는 구동기(1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커버(155)가 고정된다.
상기 카트리지(190)의 케이스(197)의 하단에는 쐐기형상으로 파진 쐐기홈(197b)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전방으로 뾰족하게 쐐기형상으로 돌출된 돌출쐐기(180a)가 형성된다.
상기 쐐기홈(197b)은 카트리지(190)를 카트리지삽입홈(180)에 삽입할 때 정확한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쐐기(18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는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1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의 일측에 접하면서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의 하단에 각각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가 상하로 일직선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는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은 각각 타원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원관의 일측에 통공되도록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과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는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은 각각 사각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관의 상단일측에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과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로는 공급부(100)와 환수부(200)가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110) 또는 환수주배관(210)은 각각 사각형관 또는 다각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관 또는 다각형관의 모서리에 비스듬하게 사선으로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과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가 삽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의 생산방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공급연결부(120) 및 환수주배관(210)과 환수연결부(220)는 동일한 형태로 사출가능한데, 다수개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에 통공(112)을 형성하면서 카트리지삽입홈(180)을 형성하여 생산한다.
상기 공급주배관(110)과 환수주배관(210)을 사출한 후에는 에어벤트홀(111)을 각각 형성하고, 공급연결부(120)와 환수연결부(220)의 내벽에 나사를 형성한다.
또는, 공급연결부(120) 또는 환수연결부(220)의 하단에는 연결구소켓(125)을 인서트사출하거나, 강제로 삽입하여 형성한다.
상기 카트리지삽입홈(180)에는 카트리지(190)를 삽입하되, 작동축(199)에는 구동기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공급연결부(120)과 환수연결부(220)의 하단에는 각각 배관연결구(500)를 삽입하고, 배관연결구(500)에는 각각 배관(510)을 설치한다.
상기 환수연결부(220)의 센서연결구(160)에는 온도센서를 결합하고, 온도센서를 관리장치로 연결하여 구동기(150)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수분배기를 설치할 때 카트리지(190)를 삽입하여 나사고정하고, 배관연결구(500)를 조립한 후에 배관(510)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 카트리지(190)의 쐐기홈(197b)에 카트리지삽입홈(180)의 돌출쐐기(180a)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누구나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카트리지(190)는 사용자 누구나 쉽게 인터넷에서 구매하여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언텍트시대에 맞추어 자가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는 자동밸브바디제작비, 자동밸브 분배기 조립누수테스트비용, 볼밸브 제작 조립비, 현장설치공간 비용, 현장하자에 의한 비용을 각각 줄일 수 있어서 종래의 냉온수분배기에 비하여 40%이상의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90)가 삽입되는 카트리지삽입홈(180)이 항상 정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인부들이 쉽게 발생시킬 수 있는 많은 하자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매우 신뢰도 높은 설치가 이루어져 하자보수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공급주배관(110), 환수주배관(210)의 형태와, 이러한 형태의 다양함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삽입홈(180)과 공급연결구(120) 또는 환수연결부(220)의 설치방향을 다양화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냉온수분배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에 의하면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는 카트리지로 설치되므로, 쐐기홈과 돌출쐐기로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방향이 틀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누구나 카트리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매하여 직접교체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삽입홈에 카트리지를 설치하면 공급밸브와 환수밸브가 형성되므로, 설치로 인한 누수문제 또는 하자가 최소화되고, 공급주배관과 공급연결부, 환수주배관과 환수연결부 등이 일체로 생산되고, 공급밸브 또는 환수밸브는 각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삽입홈에 삽입하면 완성되기 때문에 생산원가와 설치시간이 줄어들며, 공급주배관과 공급밸브 및 공급연결부, 환수주배관과 환수밸브 및 환수연결부가 거의 붙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차지하는 공간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쉬울 뿐만아니라,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도 매우 편리하고, 유니언, 밸브, 링, 소켓 등 다양한 부품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단가가 현저히 낮아 가격 경쟁력이 높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공급부 110 : 공급주배관
111 : 에어벤트홀 112 : 통공
120 : 공급연결부 125 : 연결구소켓
150 : 구동기 155 : 연결커버
160 : 센서연결구 180 : 카트리지삽입홈
180a: 돌출쐐기
190 : 카트리지 190a: 커버오링
190b: 일단오링 191 : 조절손잡이
194 : 유량조절디스크 195 : 작동디스크
197 : 케이스 197a: 결합곡면부
197b: 쐐기홈 198 : 케이스커버
199 : 작동축 200 : 환수부
210 : 환수주배관 220 : 환수연결부
225 : 밸브고정부 230 : 지지링
300 : 고정판재 310 : 에어벤트
500 : 배관연결구 510 : 배관

Claims (6)

  1. 공급부와 환수부는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과 공급연결부 및 환수주배관과 각 환수연결부가 만나는 부분에 통공되어 카트리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되,
    상기 각 카트리지삽입홈과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는 수직 또는 일직선으로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고,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에 각각 일정각도로 부착되어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2. 공급부와 환수부가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의 일측에 접하면서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의 하단에 각각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가 상하로 일직선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3. 공급부와 환수부가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은 각각 타원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원관의 일측에 통공되도록 카트리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과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4. 공급부와 환수부가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은 각각 사각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관의 상단일측에 카트리지삽입홈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과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5. 공급부와 환수부가 공급주배관과 환수주배관에 각각 다수개의 공급연결부와 환수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주배관 또는 환수주배관은 각각 사각형관 또는 다각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관 또는 다각형관의 모서리에 비스듬하게 사선으로 카트리지삽입홈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과 공급연결부 또는 환수연결부가 수직하게 서로 통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케이스의 하단에는 쐐기형상으로 파진 쐐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삽입홈에는 전방으로 뾰족하게 쐐기형상으로 돌출된 돌출쐐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KR1020210066602A 2021-05-25 2021-05-25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KR10266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02A KR102662355B1 (ko) 2021-05-25 2021-05-25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02A KR102662355B1 (ko) 2021-05-25 2021-05-25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45A true KR20220158945A (ko) 2022-12-02
KR102662355B1 KR102662355B1 (ko) 2024-05-02

Family

ID=8441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02A KR102662355B1 (ko) 2021-05-25 2021-05-25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353A (ja) * 1999-01-27 2000-08-02 Nippon Thermostat Co Ltd サ―モスタ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60094641A (ko) * 2005-02-25 2006-08-30 박종석 온수분배기용 전동식 디스크 밸브 조립체
KR20090042119A (ko) * 2007-10-24 2009-04-29 박강훈 유체 분배기
KR20100135621A (ko) * 2009-06-17 2010-12-27 김용영 일체형 온수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353A (ja) * 1999-01-27 2000-08-02 Nippon Thermostat Co Ltd サ―モスタ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60094641A (ko) * 2005-02-25 2006-08-30 박종석 온수분배기용 전동식 디스크 밸브 조립체
KR20090042119A (ko) * 2007-10-24 2009-04-29 박강훈 유체 분배기
KR20100135621A (ko) * 2009-06-17 2010-12-27 김용영 일체형 온수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55B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8949B2 (en) Sensor mount
US11293562B2 (en) Flow tube for hosting a flow meter and a shut-off valve
US20090095235A1 (en) Heat exchanger for a combined boiler, and combined boiler using said heat exchanger
CA3111411A1 (en) Angle ball valve having integrated sensor
KR20220158945A (ko)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AU2009100978A4 (en) Valve
JP2010506117A (ja) 加熱又は冷却システム内の取付ユニット
KR20220112167A (ko)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CN103003499B (zh) 盒式水分配器和使用所述盒式水分配器的供水系统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AU2017101338A4 (en) Rigid Thread Extender
JP2005314937A (ja) 混合水栓
KR200438031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CN220817470U (zh) 管道定位器和试压检漏工具
KR20140000140A (ko) 벽붙이 수전
JP7457451B2 (ja) 管部材
KR200267527Y1 (ko) 온수 분배기
AU2019101467A4 (en) Double water tap fitting
KR200447583Y1 (ko) 배관 일체형 수도계량기함
JP2007031993A (ja) 水栓
KR200286782Y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JP6885048B2 (ja) 埋め込みボックス
KR20220002467U (ko) 온도계와 압력계가 일체로 구비된 건축물 배관용 계측장치
JP2563929Y2 (ja) 埋込式水栓
KR200387070Y1 (ko) 일체형 배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