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941A -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941A
KR20220158941A KR1020210066594A KR20210066594A KR20220158941A KR 20220158941 A KR20220158941 A KR 20220158941A KR 1020210066594 A KR1020210066594 A KR 1020210066594A KR 20210066594 A KR20210066594 A KR 20210066594A KR 20220158941 A KR20220158941 A KR 2022015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storage space
closing cover
handle
auxilia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충호
양수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6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941A/en
Publication of KR2022015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7Retractable or conceal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9Lighting device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dapted for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store a flashlight in a handle body, allowing the flashlight to be taken out of the handle body and used easily and conveniently whenever a flashlight is needed inside the vehicle parked in a dark place or at night. In particular, in the auxiliary handle, a guide is formed at an entrance of a storage space where the flashlight is stored and a closing cover guided thereby is provided to close the storage space. Therefore, even if an occupant tries to use the auxiliary handle folded in a headliner by bending the auxiliary handle, the auxiliary handle can be used as a handle conveniently and allows the flashlight to be easily taken out to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closing cov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closing cover is not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when using the flashlight, so that the closing cover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losing or losing the closing cover.

Description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Auxiliary handle for vehicles equipped with a flashlight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본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 손전등을 수납하게 한 다음, 수납공간의 입구를 마감 덮개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손전등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수납공간에서 손전등을 꺼내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torage space inside the handle body, to store a flashlight therein, and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with a closing cover. By doing so, whenever you need a flashlight, you can take it out of the storage space and use it easily and conveniently.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에 실내등(Room Lamps or Room Lights)이 장착된다. 이러한 실내등은 켜지는 방향이나 조사 방향 그리고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밝기나 조사 방향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내등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조명으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부수적인 기능이 더 추가되게 제작된다.In general, room lamps or room lights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so as to be used at night or in a dark place. Such interior lights are configured to be turned on or irradiated, and brightness can be adjusted, so that a driver or occupant can conveniently use the light by selecting the brightness or irradiation direction as needed. In addition, these interior lights are manufactured so that various auxiliary functions are further added in addition to the function as lighting,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below.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57369호(Patent Document 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57369

차량에 장착되고 차량 배터리 측과 연결되고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교체 가능 블록 타입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룸램프 장치로서, 상기 블록 타입 램프 유닛은: 차량 배터리 측과 접속되는 램프 전원 모듈과, 상기 램프 전원 모듈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램프 전원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램프 보디 모듈과, 상기 램프 보디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램프에서의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램프 렌즈 보디를 구비하는 램프 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장치를 제공한다.A room lamp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replaceable block-type lamp unit mounted in a vehicle, connected to a vehicle battery side, and disposed inside the vehicle, wherein the block-type lamp unit includes: a lamp power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battery side, and the lamp A lamp lens having a lamp body module that receives power from a power module and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lamp power module, and a lamp lens body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lamp body module and emits light from the lamp to the outside. Provided is a room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dule.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2025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2025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닛으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에 탑재되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출력를 실행하는 램프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감지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과,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의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를 통하여 빛을 출사하여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도록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와, 탑승자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에 송출 및 전달되는 적외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을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는 비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닛을 제공한다.A non-contact vehicle interior lamp unit comprising: a lamp housing mounted on a vehicle; a sensing unit including a gest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lamp housing and detecting an occupant's proximity motion;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lamp output unit for outputting light according to an output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gesture sensing unit includes: a gesture sensing unit housing disposed in the lamp housing; and detecting the gesture. An infrared transmitter that emits light through the open gesture sensor housing opening of the sub-housing and transmits infrared rays to detect an occupant's proximity motion; an infrared receiver that receives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ccupant's proximity motion;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an infrared light guide interposed between the gesture sensing unit housing opening,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the infrared receiver to guide infrared rays transmitted and transmitted to the infrared receiver, wherein the infrared light guide is a non-rectangular parallelepiped. Provided is a non-contact vehicle interior lamp unit.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6928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6928

차량용 룸램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 천장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 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차량의 실내 및 공기 청정 모듈에서 하우징의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램프 모듈과, 램프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닛은 램프 모듈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살균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살균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살균을 위한 별도의 팬이나 필터 등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줄 수 있다.A room lamp unit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on an interior ceiling of a vehicle and includes a housing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discharged from an air cleaning module that purifies the interior air of the vehicl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lamp module having an ultraviolet lamp installed in the housing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air flowing from the air cleaning module to the outlet of the housing, and a switch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an input signal to operate the lamp module includes According to this, the vehicle room lamp unit performs a sterilization function for the air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the lamp module, so that a sterilization effect can be obtain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terilization means, and a separate fan or filter for sterilization is configur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룸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om lamp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기존 룸램프는 헤드 라이너에 고정되게 해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이용하는 것이므로, 룸램프에서 조사하는 조사 각도에 한계가 있다. (1) Since the existing room lamp is fixed to the head liner and used by the driver or occupant, there is a limit to the irradiation angle irradiated by the room lamp.

(2) 이는, 룸램프에서 조사하는 빛을 통해 볼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 이에, 어두운 곳에 주차되거나 야간에 자동차 안에 떨어진 물건을 찾을 때 룸램프를 켜더로 사각지대가 많아 떨어진 물건을 찾을 때 불편함이 있다.(2) There is a limit to the range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room lamp. Accordingly, when searching for a fallen object in a car parked in a dark place or at night, there are many blind spots by turning on the room lamp to find the fallen object, which is inconvenient.

(3) 즉, 바닥에 떨어진 물건이 시트 밑이나 시트와 문틈 사이처럼 룸램프의 조사광이 미치기 어려운 곳에 떨어졌을 때는 물건이 떨어진 주변이 어두워 운전자나 탑승자가 떨어진 물건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3) In other words, when an object that has fallen on the floor falls in a place where the irradiation light of a room lamp is difficult to reach, such as under a seat or between a seat and a door gap, the driver or occupant has a limit in finding the dropped object because the area where the object fell is dark.

(4) 또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이처럼 떨어진 물건을 찾으려고 신경을 쓰다가 주행에 불편을 주거나 사고를 유발할 우려도 있다.(4)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a driver or passenger may cause inconvenience to driving or cause an accident while trying to find the fallen object.

(5) 특히, 이러한 문제는 앞좌석보다 뒷좌석에 앉은 탑승자에게 더 큰 불편을 준다.(5) In particular, these problems cause greater inconvenience to passengers sitting in the rear seat than in the front seat.

한국등록특허 제10-1857369호 (등록일: 2018.05.0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7369 (registration date: 2018.05.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2025호 (공개일: 2018.04.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2025 (published date: 2018.04.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6928호 (공개일: 2018.05.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6928 (published date: 2018.05.3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손잡이 본체에 손전등을 수납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곳에 주차한 자동차 안이나 야간에 손전등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손잡이 본체서 손전등을 꺼내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aken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flashlight can be stored in the handle body and taken out when necessary, so that when a flashlight is needed in a car parked in a dark place or at night, the flashligh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taken out of the handle body at any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that enables it.

특히, 본 발명은 손전등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입구 부분에 가이드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 안내를 받는 마감 덮개가 수납공간을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사용할 때 헤드 라이너에 접힌 상태로 있는 보조 손잡이를 젖혀서 사용하더라도 손잡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 손전등을 꺼내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at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flashlight is stored, and configures the closing cover receiving the guide guide to close the storage space, thereby assisting the passenger in the folded state of the headliner when used by the occupan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handle even when the handle is tilted and used, an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by taking out a flashlight at times.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마감 덮개가 수납공간의 입구 부분에 회전식으로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손전등을 사용할 때 손잡이 본체에서 마감 덮개가 분리되지 않게 하여 마감 덮개를 잃어버리거나 분실하지 않게 하면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such a closing cover to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closing cover is not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when using a flashlight, so that the closing cover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losing or losing i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는, 탑승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본체(100)가 포함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에서, 손잡이 본체(100)에는, 한쪽 면이 외부에 개방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손전등(200)이 수납되고, 개방된 입구에는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는 마감 덮개(120)로 마감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including a handle body 100 held by a passenger by hand, and one side of the handle body 100 is external. An open storage space 110 is formed, the flashlight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the open entrance is made by closing the storage space 110 with a closing cover 120. to be characterized

특히,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개방된 입구의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여 가이드(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11)는 상기 마감 덮개(120)의 양쪽 가장자리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in the storage space 110, guides 111 are protrudingly formed facing each other at both edges of the open entrance, and the guides 111 are configured to guide both edges of the closing cover 120.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마감 덮개(120)는,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수납공간(11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탄성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110) 안으로 강제로 끼워져서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dge of the closing cover 12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so that it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0 to accommodate the storage space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lose the space 110.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보조 손잡이 안에 손전등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손전등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보조 손잡이에서 쉽게 손전등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손전등을 이용할 수 있다.(1) Since a flashlight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handle, when a situation arises in which a flashlight is required, the flashlight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auxiliary handle and used, so that anyone can use the flashlight easily and conveniently.

(2) 특히, 상기 손전등은 보조 손잡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되게 하게 마감 덮개로 마감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전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보조 손잡이의 미관과 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손전등이 필요할 때는 쉽게 꺼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2) In particular, the flashlight is closed with a closing cover so that i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auxiliary handle so that the flashligh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so that when a flashlight is needed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the auxiliary handle It is easy to take out and use conveniently.

(3) 이때, 마감 덮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감 덮개의 양쪽 가장자리가 수납공간에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가이드 안내를 받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마감 덮개를 열어 수납공간 안에 수납된 손전등을 꺼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3) At this time, the closing cover is configured so that both edges of the closing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eceiving guides formed in the storage space facing each other in a sliding manner, so that anyone can easily open the closing cover and take out the flashligh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Conveniently available.

(4) 또한, 이러한 마감 덮개는 손잡이 본체에 회전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장착됨에 따라 마감 덮개가 손잡이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떨어져서 잃어버릴 염려 없이 쉽고 편리하게 손전등을 이용할 수 있다.(4) In addition, as the closing cove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andle body, the flashlight can be used easily and conveniently without fear of losing the closing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ndle body or falling off.

(5) 이러한 손전등은 자동차 실내뿐만 아니라 자동차를 주정차한 상태에서는 야외에서 손전등이 필요할 때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5) Such a flashlight can be conveniently used not only inside a car but also when a flashlight is needed outdoors when the car is parked and stopp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헤드 라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가 헤드 라이너에서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 보디에 손전등이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손전등이 수납공간에 수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손전등이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마감 덮개로 마감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bottom view of a head liner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in [Figure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rom the head lin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shlight is stored in the hand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lashligh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shligh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closed with a closing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보조 손잡이의 구성][Configuration of auxiliary handle]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헤드 라이너(H)에 탄성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밀착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는 손잡이 본체(10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adhered to the head liner (H) and used by the occupant holding it by hand. The main body 100 is included.

특히, 상기 손잡이 본체(100)에는 한쪽 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110)에는 손전등(200)이 수납되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에서 손전등이 필요할 때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주정차한 상황에서는 야외에서 손전등(200)이 필요할 때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a storage space 110 with one side open is formed in the handle body 100, and a flashlight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so that a flashlight is needed not only when a flashlight is needed inside the car but also in the car. In a parked situation, it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the flashlight 200 is needed outdoors.

이때,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마감 덮개(120)로 수납공간(110)이 마감되게 구성함으로써, 손전등(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손잡이 본체(100)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torage space 110 is configured to be closed with the closing cover 120 in the storage space 110, so that the flashlight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so that the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the handle body 100 that made it possible to improve

또한, 상기 마감 덮개(120)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회전 방식으로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마감 덮개(120)로 수납공간(110)을 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losing cover 120 is configured to close the storage space 110 in a sliding or rotating manner, so that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lose the storage space 110 with the closing cover 120.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자동차 실내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장착되는 실내 내장재인 헤드 라이너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reference numeral "H" denotes a head liner, which is an interior interior material mounted facing a roof panel in a vehicle interior.

가. 손잡이 본체go. handle body

손잡이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헤드 라이너(H)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어 때에 따라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본체(100)는 헤드 라이너(H)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것도 있고,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를 받아 항상 헤드 라이너(H)에 밀착된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사용할 때만 헤드 라이너(H)에서 강제로 펼쳐서 사용하게 구성된 것도 있다.The handle body 100, as shown in [FIGS. 1] and [FIG. 2], is mount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head liner H so that the occupant can hold it by hand and use it conveniently. At this time, the handle body 100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head liner H, and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liner H by receiving elastic support such as a spring, and only when the occupant uses the head liner H ), some are configured to be forcibly expanded and used.

이러한 손잡이 본체(1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에 후술할 손전등(20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10)이 형성된다.In the handle body 100, as shown in [Figs. 3] to [5], a storage space 110 is formed to accommodate a flashligh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in.

나. 수납공간me. storage space

수납공간(11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손잡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한쪽이 외부에 노출되게 하여 노출된 입구 부분을 통해 수납공간(110) 안에 후술할 손전등(200)을 수납하거나 이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손전등(200)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형성된다.The storage space 110 is formed inside the handle body 100, as shown in [FIG. 4] and [FIG. 5], and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ed entrance portion into the storage spac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so that the flashlight 200 can be stored or the flashlight 200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can be taken out and used.

이에, 상기 수납공간(11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그 안에 손전등(220)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은 직사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Accordingly, the storage space 11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a flashlight 220 therein, as shown in [FIG. 4] and [FIG. 5]. In the drawing, the storage space 110 is shown as an exampl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illar.

이처럼 이루어진 수납공간(11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마감 덮개(120)가 구비되어 개방된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게 한다.In the storage space 110 form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s. 4] and [5], a closing cover 120 is provided to close the open storage space 110.

다. 마감 덮개All. finish cover

마감 덮개(1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수납공간(110)의 개방된 부분을 마감하여 손잡이 본체(100)의 미감과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한 덮개이다.The closing cover 120, as shown in [Fig. 4] and [Fig. 5], is a cover for not impairing the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the handle body 100 by closing the open part of the above-described storage space 110.

이에, 상기 마감 덮개(120)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개방된 부분을 마감했을 때, 손잡이 본체(100)의 형상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가 되게 제작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손전등(200)을 수납했을 때나 손전등(200)을 꺼내서 사용할 때도 항상 마감 덮개(120)가 수납공간(110)의 입구 부분을 마감하면서도 일체감을 느끼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open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0 is closed, the closing cover 120 is made t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handle body 100, so that the flashlight 200 is placed in the storage space 110. )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losing cover 120 always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10 while feeling a sense of unity even when storing the flashlight 200 and using 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 덮개(1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수납공간(110)의 입구 부분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탑승자가 손으로 마감 덮개(120)를 누른 상태에서 바깥으로 밀면 쉽게 마감 덮개(120)가 열리게 하면서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된 손전등(200)을 꺼내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cover 12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10 while opening and closing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desirable to do This is to enable the occupant to take out and use the flashlight 200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while easily opening the closing cover 120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closing cover 120 with his hand and pushes it outward.

이를 위해,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도 4]와 같이, 마감 덮개(12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가이드(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11)는 마감 덮개(120)의 양쪽 가장자리가 끼워지게 해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n the storage space 110, as shown in [Fig. 4], guides 111 are protrudingly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side by sid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sing cover 120 slid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guide 111 so that both edges of the closing cover 120 are inserted so that a sliding operation can be made.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 덮개(120)에는, [도 4]와 같이, 양쪽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가이드(1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턱(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턱(210)은 상기 가이드(111)에 마감 덮개(120)를 삽입하여 수납공간(110)을 마감했을 때, 손잡이 본체(100) 면과 마감 덮개(120) 면이 하나의 평면 또는 곡면 형태가 되게 제작함으로써, 손잡이 본체(100)와 마감 덮개(120)가 마치 하나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 cover 120,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jaw 210 is formed so that both edges can be sli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111, respectively. do. At this time, when the jaw 210 closes the storage space 110 by inserting the closing cover 120 into the guide 111, the surface of the handle body 100 and the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120 are one flat or curved surface. By making the shap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handle body 100 and the closing cover 120 to feel a sense of homogeneity as if they were made of on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 덮개(12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납공간(110)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감 덮개(120)는 수납공간(110)과 마감 덮개(120)에 각각 서로 맞물리게 너클을 형성하고 이들 너클을 핀으로 연결하거나, 경첩을 이용하거나, 접히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제작된 연약 부분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 덮개(120)에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어 마감 덮개(120)로 수납공간(110)을 마감했을 때 이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하면서 수납공간(110)에서 마감 덮개(120)가 열리지 않게 하고, 강제로 힘을 가했을 때만 탄성 돌기가 수납공간(110)에서 이탈하여 마감 덮개(120)가 열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cover 1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s preferably mounted rotatably on one edge of the storage space 110. At this time, the closing cover 120 forms knuckles to engage with each other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the closing cover 120, and connects these knuckles with pins, uses hinges, or has a folded portion thinner than other portions.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 manufactured soft part. At this time, elastic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losing cover 120 so that when the storage space 110 is closed with the closing cover 120, the elastic projections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losing cover 120 does not open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elastic protrusion to separate from the storage space 110 and open the closing cover 120 only when force is applied.

라. 손전등la. flashlight

손전등(2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수납공간(110)에 수납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마감 덮개(120)를 개방하여 꺼내 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손전등(200)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flashlight 200, as shown in [Figs. 3] to [5], is housed in the above-described storage space 110 and can be taken out and used by opening the closing cover 120 when necessary. Such a flashlight 200 may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잡이 본체 안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 손전등을 수납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마감 덮개를 열고서 수납된 손전등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실내가 어둡더라도 그 안에서 물건을 찾을 때 손전등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 자동차 밖에서 손전등이 필요할 때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forms a storage space in the handle body, stores a flashlight therein, and opens the closing cover when necessary to take out and use the stored flashlight, so that even if the interior of the car is dark, things can be stored in it. Not only is it convenient to use a flashlight when looking for it, but it is also convenient and safe to use when you need a flashlight outside the car.

100: 손잡이 본체
110: 수납공간
111: 가이드
120: 마감 덮개
200; 손전등
210: 턱
100: handle body
110: storage space
111: guide
120: closing cover
200; flashlight
210: chin

Claims (3)

탑승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본체(100)가 포함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에서,
손잡이 본체(100)에는,
한쪽 면이 외부에 개방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손전등(200)이 수납되고, 개방된 입구에는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는 마감 덮개(120)로 마감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In the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handle body 100 that the occupant holds by hand,
In the handle body 100,
A storage space 110 with one side open to the outside is formed, and a flashlight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a closing cover 120 that closes the storage space 110 at the open entrance.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finishing.
제1항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개방된 입구의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여 가이드(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11)는 상기 마감 덮개(120)의 양쪽 가장자리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In paragraph 1,
In the storage space 110,
A guide 111 protrudes from both edges of the open entrance facing each other, and the guide 111 is configured to guide both edges of the closing cover 120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auxiliary handle.
제1항에서,
상기 마감 덮개(120)는,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수납공간(11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탄성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110) 안으로 강제로 끼워져서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In paragraph 1,
The finishing cover 120,
One edge is mounted to rotate in place in the storage space 110, and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to be forcib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0 to close the storage space 110. Auxiliary hand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66594A 2021-05-25 2021-05-25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KR202201589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4A KR20220158941A (en) 2021-05-25 2021-05-25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4A KR20220158941A (en) 2021-05-25 2021-05-25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41A true KR20220158941A (en) 2022-12-02

Family

ID=8441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94A KR20220158941A (en) 2021-05-25 2021-05-25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94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025A (en) 2016-10-17 2018-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Non contact typ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KR101857369B1 (en) 2016-12-02 2018-05-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room lamp unit
KR20180056928A (en) 2016-11-21 2018-05-3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Room lamp unit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025A (en) 2016-10-17 2018-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Non contact typ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KR20180056928A (en) 2016-11-21 2018-05-3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Room lamp unit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57369B1 (en) 2016-12-02 2018-05-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room lamp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1932A1 (en) Integral lighting for consoles
US20080068850A1 (en) Sliding vanity door with integral lens
JP2000344011A (en) Door trim for automobile
KR20220158941A (en) Assist handle having handy lights for vehicles
US20130033060A1 (en) Visor with pivoted side window panel
JP2007320422A (en) Lighting system
JP2006321359A (en) Storage container, luminaire in storage container and control method of light emitting element
JP2506142Y2 (en) Fuel inlet box
KR20010001742U (en) Vanity Mirror Structure of Sun Screen for Vehicles
KR101698430B1 (en) Proximity sensor type room lamp control device
CN114025992A (en) Lighting unit and vehicle
KR101646364B1 (en) Integrated room lamp for vehicle
JP2002002280A (en) Motor vehicle door structure
CN210743831U (en) Operation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WO2013121688A1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device
JP5192958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2011020596A (en) Sun visor device for vehicle
KR0137484Y1 (en) Automobile rear console box lighting device
KR19980054730U (en) Door inside handle with light fixture
JP4644626B2 (en) Automotive interior lighting system
JP2005238953A (en) Illumination device for cabin
KR20220122071A (en) Room lamp with flashlight function for vehicles
KR100209076B1 (en) A perceiving device for opening state of trunk in a vehicle
KR20230060358A (en) Storage structure for pillar
RU23837U1 (en) INTERIOR MIRR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