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349A -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349A
KR20220157349A KR1020220152208A KR20220152208A KR20220157349A KR 20220157349 A KR20220157349 A KR 20220157349A KR 1020220152208 A KR1020220152208 A KR 1020220152208A KR 20220152208 A KR20220152208 A KR 20220152208A KR 20220157349 A KR20220157349 A KR 2022015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ometric information
screen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95B1 (ko
Inventor
김윤환
조민석
황준오
조광제
Original Assignee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AUTHENTICATION AND STORAGE}
본 개시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자 문서를 생체 정보를 통해 인증하고 분산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계약 방법은, 계약 당사자가 계약서를 작성하고 자필 입력을 통해 서명을 수행하여 계약을 체결한다. 나아가 보험 업계에 있어서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상이한 경우, 법적으로 계약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피보험자의 서명을 받아야한다. 계약 관련서류는 종이의 형태 혹은 전자적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3-0126559호는 단말 상 계약서를 작성하고 자필 입력을 통한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전자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서류를 통해 계약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말을 통해 전자적으로 계약이 이루어지더라도 전자서명 방식으로 인증이 이루어졌으며 별도의 전자 서명용 지류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련서류가 각각 존재하는 경우 관리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분실의 위험이 존재한다. 한편 메일을 통해 전자적 방법으로 계약 관련서류를 수령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전자적 방법이라 하더라도 편리성이 낮다.
이에 따라, 당업계에는 생체 정보를 통해 간편하게 계약 서류를 인증하고 이를 안전하게 분산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문서를 인증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손바닥 정맥 정보, 얼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또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획득되고, 그리고 상기 획득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 단말에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 하여금 생체 정보의 분산 저장에 관한 안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서버에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에 획득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외부 서버에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서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서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포함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의해 생체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을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문서를 인증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중 일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중 일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선택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선택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생체 정보 획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14는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이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 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는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임의적 형태의 컴퓨팅 장치에서 전자적 또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문서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는 예를 들어 전자 서명 동의서, 상품 설명서, 계약서, 알릴 의무 사항, 신용 정보 동의서, 비교 안내문, 타사 비교 안내, 타사 실손 중복 가입 안내, 체크리스트, 및 실제 소유자 확인서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문서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경우, 페이지 간 이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 출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지 간 이동은 상기 전자 문서가 구동되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전 결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자 문서의 내용에 관한 개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 문서는 예를 들어 보험, 금융, 증권 등을 포함하는 업계의 계약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에 그 신호 교환의 접점 또는 경계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적으로 표시되는 화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0), 네트워크(2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20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20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보험사 직원이 소지한 단말 및/또는 고객이 소지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또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은 전자적으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컨설턴트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단말(302)은 상기 전자계약의 대상이 되는 피보험자 또는 계약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에 관한 서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및 네트워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 서류에 관한 전자 문서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는 구체적 일 예시로서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복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계약을 위한 컨설턴트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서류 작성자, 계약자 또는 피보험자 등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고유 신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와 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계약 서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법적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동의를 받는 내용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사용자에게 생체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선택을 요청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 방법은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통한 획득 방법 및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한 획득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이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수신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의해 촬영되기 위한 QR 코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획득 완료 후 획득된 사실에 관한 안내 및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자 문서에 포함된 페이지의 종류에 관한 예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는 예를 들어, 사람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손바닥 정맥 정보, 얼굴 인식 정보, 유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정보는 지문에 대한 특징점 추출이 가능한 형태의 지문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설턴트는 전자 문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위해 서명이 아닌 지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추가적인 서류의 작성 부담이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 서류를 작성하는 경우 서류 분실의 위험이 있는데 반해 지문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 문서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물리적 분실의 위험이 없다. 나아가, 위조 및 모방이 가능한 서명보다 위조의 위험이 현저히 낮은 지문을 통해 계약 서류를 인증하므로 피보험자 서명을 계약자가 대필한 경우 추후 발생할 관련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가 불가능하여 보안성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생체 정보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또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획득은 예를 들어, 침습적, 비 침습적 방법 등에 의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접촉식으로 생체 정보 중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별도의 접촉식 수집을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손가락의 일면이 센서 위에 올려진 경우 지문 내에 존재하는 융선 부분과 융선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한 전기적 신호 차이를 측정하여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써,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비접촉식으로 생체 정보 중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지문에 대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촬영된 이미지에서 지문의 융선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해상도를 갖는 촬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촬영된 지문에서 융선을 구별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지문에 대한 재촬영을 요구하는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비접촉식 방법으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접촉으로 인한 전염성이 있는 질병의 사용자 상호 감염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이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전송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 페이지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일련의 순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또는 페이지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형태의 보안 페이지는 암호화된 QR 코드 형태의 2차원 이미지, 암호화된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전송된 후 제 1 사용자(예를 들어, 컨설턴트)의 본인 인증 또는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해독될 수 있다. 또는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는 사전 결정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단말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암호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안 페이지는 QR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QR 코드는 특정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로만 열람 가능하도록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안 페이지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의 맨 앞 페이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안 페이지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포함된 복수의 페이지 중 실제 촬영을 위한 페이지 직전에 위치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포함된 페이지 전체가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보안 페이지는 RSA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RSA 알고리즘은 서로 소수인 두 수에 기초하여 공개키와 비밀키를 만드는 암호화/복호화 기법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공개키와 비밀키를 생성하고 공개키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공개키를 사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포함된 보안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자신의 비밀키로 복호화하여 해독할 수 있다. 전술한 암호화 또는 복호화 방식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본 개시는 데이터 송, 수신 시 악의적으로 데이터를 가로채 해당 전자 문서의 내용에 기초하여 서버에 접속한 뒤, 다른 사람의 생체 정보로 계약자의 생체 정보를 대체하거나 조작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는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암호화 방법은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2)에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2)은 보험 계약의 대상이 되는 계약자 또는 보험계약에 있어서 계약상 피보험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2)은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소지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요청은 서버(100)가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한 후 또는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전송한 후를 포함하는 임의의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요청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게 된 경위에 대한 안내, 생체 정보 수집 기간, 생체 정보 동의 여부에 대한 응답 요천, 생체 정보와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문서 또는 계약 서류에 대한 접근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302)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서버(100)가 네트워크부(150)를 통해 제 2 사용자 단말(302)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정보 획득에 대한 동의 신호는 생체 정보 획득에 대한 동의 신호 또는 생체 정보 획득에 대한 거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비활성화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버 접속 차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엔티티의 메모리(130) 접근을 차단하거나 네트워크부(150)를 통한 신호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서버는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생체 정보 획득에 대한 동의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는 인터페이스 관련 데이터의 일부만 제 2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하고, 상기 동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 나머지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온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서도 추가적으로 제 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이중으로 동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계약에 있어서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서로 다른 계피상이 건의 경우, 컨설턴트와 보험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자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통해 동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 때 실제 피보험자의 동의가 있었는지 여부 또는 획득되는 생체 정보가 피보험자의 것인지에 관한 진위 여부는 별도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 1 사용자 외에 추가적으로 제 2 사용자의 단말로 동의 요청을 전송하고 동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전자 문서를 비활성화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개시하여 계약의 무결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우드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은 컨설턴트의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 1 사용자 단말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직접 생체 정보에 접근하지 않으면서 그 획득 여부만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서버(100)는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서버(100)가 직접 생체 정보 데이터에 접근하지 않는 본 개시에 따르면 수집 주체에 의해 생체 정보가 변조될 위험이 감소한다. 또한 서버(100)를 통한 생체 정보 데이터 송, 수신 과정에서 해킹의 위험의 감소하여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한 생체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획득 완료 신호와 함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신된 획득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가 획득되었음을 파악하고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의 분산 저장을 위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서버와 상이한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인증 정보를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인증 정보를 계약 서류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인증 정보가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 또는 계약 서류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와 별도로 관리된다면 계약을 관리하는 주체는 획득된 생체 정보를 다시 전자 문서 정보와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업무의 효율을 저해하고 별도로 관리됨에 따른 정보의 분실 및 소실의 위험이 존재한다. 반면 본원 발명은 인증 정보를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관리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획득된 생체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분실할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생체 정보는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관리되기 위해 둘 이상의 부분 생체 정보로 분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 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의 1/2, 제 2 부분 생체 정보는 나머지 생체 정보의 1/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비율에 관한 예시는 일 예시일 뿐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생체 정보를 둘 이상의 부분 생체 정보로 분리하는 방법은 생체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 분할 또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최소 단위 데이터의 무작위 선택에 의한 분할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서버로부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서버는 생체 정보의 일부를 저장하고 외부 서버는 나머지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에 대한 분산 저장이 이루어질 경우, 상이한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 또는 외부 서버 둘 중 하나의 주체에 의해 의도적으로 생체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상호 대조를 통해 원본이 변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분산 저장 방법은 생체 정보의 저장 방식에 대한 신뢰성 및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인증 정보는,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암호화된 생체 정보는 서버(100)에서 해독될 수 없는 형태일 수 있다. 서버(100)는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암호화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독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가 외부 서버로부터 해독될 수 없는 상태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계약의 주체에 해당하는 서버(100)는 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생체 정보에 접근할 수 없게 되고, 생체 정보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계약 주체에 의한 정보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 하여금 생체 정보의 분산 저장에 관한 안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와 같이 분산 저장 이후 분산 저장의 주체 중 하나인 외부 서버에 대해 안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이한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서버가 제대로 생체 정보의 일부를 저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단계들 중 일부의 단계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되는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추가적인 단계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수신(S301)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계약 서류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함께 수신한 경우 새로운 계약이 생성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의 신호와 함께 수신된 계약 서류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전송(S302)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계약 관련 서류와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서명에 갈음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2)에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한 동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고, 전송된 동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를 수신(S303)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에 관한 획득 완료 신호는 추가적으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하여금 획득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S304)할 수 있다.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S305)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와 매칭하여 저장(S306)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생체 정보의 일부만을 포함하고 외부 서버에는 나머지 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서버(100)의 메모리(130)에는 생체 정보의 일부만 저장하고 나머지는 외부 서버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어느 일 주체에 의해 데이터 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보안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여러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단계들 중 일부의 단계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되는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추가적인 단계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전송(S401)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에는 예를 들어 컨설턴트가 계약자와 보험에 관한 계약 내용을 기재한 전자 문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S402)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언어, 명령어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S403)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4). 생체 정보를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획득 완료 신호를 전송(S405)할 수 있다. 상기 획득 완료 신호는 생체 정보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획득한 생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외부 서버에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전송(S406)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생체 정보를 그 획득 주체인 서버(100)가 아닌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분산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은 전술한 서버에서 수행되는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과 상호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은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을 위해 서버에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에 획득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외부 서버에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영역에는 생체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영역(510)이 표시될 수 있다. 생체 정보 획득 방법에는 예를 들어, 지문 촬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일영역에는 생체 정보 획득에 관한 동의를 얻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영역(52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영역(510)에서 생체 정보 획득 방법을 선택한 후 제 2 영역(520)에 포함된 체크박스를 클릭함으로써 생체 정보 획득에 동의한다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확인 버튼(530)을 클릭하여 서버로 생체 정보 획득 동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중 일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600)의 일 영역에는 생체 정보 획득의 근거가 되는 정보(610)가 표현될 수 있다. 생체 정보 획득의 근거가 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계약 관련 내용 또는 청약 관련 내용, 고객 인적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영역(620)이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필수적인 동의 사항(621)에 관하여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다음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음 동작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의 다음 페이지 또는 지문 촬영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600)의 일 영역에는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63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630)은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영역(620)에 포함된 필수적인 동의 사항(621)에 관하여 동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630)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또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의한 촬영 방법에 관한 설명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630) 부분은 QR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 중 일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화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생체 정보 획득 수단 입력 요청 화면(7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수단 입력 요청 화면(700)은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그 획득 수단으로 입력받는 제 1 버튼(710) 또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그 획득 수단으로 입력받는 제 2 버튼(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는,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영역(620)에 대해 모든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필수적인 동의 사항(621)에 대해서 동의 입력이 이뤄진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동의 입력은 예를 들어 태블릿 단말 화면의 체크 박스에 대한 클릭 또는 태블릿 화면에 대한 사용자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서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를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일부분에 제공한 후,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서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 표시된 생체 정보 획득 수단 입력 요청 화면(700)에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그 획득 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제 1 버튼(710)을 클릭할 수 있다. 상기 클릭을 통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카메라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서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 표시된 생체 정보 획득 수단 입력 요청 화면(700)에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그 획득 수단으로 하는 제 2 버튼(720)을 클릭할 수 있다. 상기 클릭으로 인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대한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는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어 사전 인증된 특정 단말에서만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는 서버 푸시(server push) 또는 푸시(push) 기법에 의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푸시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스마트폰 단말이 별도의 신호 전송 요청을 보내지 않아도 태블릿 단말이 스마트폰 단말로 필요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고 스마트폰 단말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대한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QR코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이 카메라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전송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있어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 화면, QR 코드 형태의 2차원 이미지,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 서버(100)에 의해 시간 정보와 함께 인코딩된 데이터로서 사전 결정된 시간 동안만 유효한 가상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페이지의 일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R 코드 형태의 2차원 이미지,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가상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는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만 열람 가능하도록 암호화된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은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포함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의해 생체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선택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한 생체 정보 획득을 위해 QR 코드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800)은 그 촬영 대상인 전자 문서의 일영역(830)에 QR 코드(8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은 QR 코드 인식부 또는 촬영부를 통해 상기 QR 코드(831)를 인식하고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은 지문을 촬영하기 위한 동작을 상기 QR 코드(831) 촬영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선택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이 선택된 경우,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를 직접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획득 요청 신호는 예를 들어 상술한 푸시(push) 기법에 따른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생체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910)가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이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화면에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생체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메시지(920)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생체 정보 획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은 추가 계약서류, 고객 센터 연결 또는 계약 완료 관련 안내 메시지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100)은 지문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안내 화면(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화면(1110)은 정확한 지문 정보 획득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법을 하나 이상의 화상 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화면(1100)은 사용자 단말과 지문 사이의 거리를 안내하는 제 1 화상 정보(1111) 또는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지문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 화상 정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화상 정보(1111)와 제 2 화상 정보(1112)는 서로 번갈아가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100)에서 촬영하기 버튼(1120)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200)에는 손가락 형상을 표현하는 실선(12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선(1210) 안에 손가락이 위치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200)에는 현재 촬영되고 있는 지문 영역에 대한 표시선(1220)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200)에는 촬영 대상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123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1230)는 예를 들어 촬영 대상자의 이름, 과거 촬영된 지문 정보, 현재 촬영되는 지문 정보 또는 지문 촬영 대상 변경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200)은 일 영역에 안내 문구(124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문구(1241)는 “손가락을 그림선에 맞춰주세요” 또는 “촬영은 3회 진행됩니다.” 등과 같은 촬영을 위한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200)은 현재 촬영되는 지문의 순서를 표시하기 위해 순서대로 점등되는 지시등(1242)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화면의 예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둘 이상의 지문 정보를 생체 정보로서 획득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가 복수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경우, 향후 지문 대조를 통한 검증에 있어서 우연의 확률로 지문의 특성이 일치할 확률이 훨씬 낮아지므로 보안성이 향상되고, 지문 검증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특정 손가락 지문이 습기, 상처 등의 사유로 변형되었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지문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300)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손가락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13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체크 박스(1310)에 본인이 원하는 지문 획득 대상 손가락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 화면(1300)은 촬영 버튼(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 단말이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한 지문 정보 획득 이후,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은 최종 결과 화면으로 두 가지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촬영이 성공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은 촬영 성공에 관한 안내 화면(1410)을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촬영이 실패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은 촬영 실패에 관한 안내 화면(14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화면 구성에 관한 예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촬영 성공에 관한 안내 화면(1410)의 확인 버튼을 통해 계약과 관련한 생체 정보 획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실패에 관한 안내 화면(1420)을 통해 재촬영을 시도하거나, 다른 수단으로 생체 정보 획득을 시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이용한 보험 계약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 단말 상에서의 제 1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이 선택되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체크박스가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된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서버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 및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전자 문서의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은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과 연동됨 - ;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상이한 제 2 화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서 모든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필수적인 동의 사항에 대해서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과 상이한 제 3 화면에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1 버튼 및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2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을 위한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상기 서버와 상이한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면에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제 4 화면에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요청 신호를 전송했음을 알리는 제 1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 4 화면에 상기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로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을 요청하는 제 2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화면은,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지문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지문 정보의 획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사용법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과 지문 사이의 거리를 안내하는 제 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화면 상에 지문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 화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 2 화상 정보는 서로 번갈아가며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화면은,
    손가락 형상을 표현하는 실선;
    현재 촬영되고 있는 지문 영역에 대한 표시선;
    촬영 대상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
    촬영을 위한 안내 문구; 및
    현재 촬영되는 지문의 순서를 표시하기 위해 순서대로 점등되는 지시등;
    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의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손가락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방법.
  8. 보험 계약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블릿 단말 상에서의 제 1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이 선택되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체크박스가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된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서버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 및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하고 - 상기 전자 문서의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은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과 연동됨 -,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상이한 제 2 화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서 모든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필수적인 동의 사항에 대해서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과 상이한 제 3 화면에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1 버튼 및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2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을 위한 QR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상기 서버와 상이한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
  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에서 보험 계약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태블릿 단말 상에서의 제 1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이 선택되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체크박스가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상이한 제 1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된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서버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에 관한 동의 신호 및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전자 문서의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은 상기 선택된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방식과 연동됨 - ;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상이한 제 2 화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사용자의 동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촬영 안내를 위한 설명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서 모든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역에 포함된 필수적인 동의 사항에 대해서 동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자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과 상이한 제 3 화면에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1 버튼 및 제 1 사용자의 태블릿 단말을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 수단으로 입력 받는 제 2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화면의 제 3 영역에 상기 제 1 생체 정보의 획득을 위한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을 통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생체 정보를 상기 서버와 상이한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52208A 2020-07-29 2022-11-15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KR10256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08A KR102564395B1 (ko) 2020-07-29 2022-11-15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44A KR20220014657A (ko) 2020-07-29 2020-07-29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KR1020220152208A KR102564395B1 (ko) 2020-07-29 2022-11-15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44A Division KR20220014657A (ko) 2020-07-29 2020-07-29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349A true KR20220157349A (ko) 2022-11-29
KR102564395B1 KR102564395B1 (ko) 2023-08-07

Family

ID=802534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44A KR20220014657A (ko) 2020-07-29 2020-07-29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KR1020220152208A KR102564395B1 (ko) 2020-07-29 2022-11-15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44A KR20220014657A (ko) 2020-07-29 2020-07-29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4657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46A (ko) * 2001-08-13 2003-02-20 구홍식 다수의 생체정보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 인증 방법
JP2007102278A (ja) * 2005-09-30 2007-04-1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20110029031A (ko) * 2009-09-14 2011-03-2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전자서명을 이용한 금융거래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30884A (ko) * 2013-09-13 2015-03-23 (주)휴노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45862B1 (ko) * 2015-03-16 2016-08-05 주식회사 시큐센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서명한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전자문서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131141A (ko) * 2017-05-31 2018-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문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945731B1 (ko) * 2017-01-20 2019-02-08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전자문서 제공 방법
KR20190116669A (ko) * 2018-04-05 2019-10-15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금융상품 계약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46A (ko) * 2001-08-13 2003-02-20 구홍식 다수의 생체정보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 인증 방법
JP2007102278A (ja) * 2005-09-30 2007-04-1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20110029031A (ko) * 2009-09-14 2011-03-2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전자서명을 이용한 금융거래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30884A (ko) * 2013-09-13 2015-03-23 (주)휴노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45862B1 (ko) * 2015-03-16 2016-08-05 주식회사 시큐센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서명한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전자문서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45731B1 (ko) * 2017-01-20 2019-02-08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전자문서 제공 방법
KR20180131141A (ko) * 2017-05-31 2018-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문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90116669A (ko) * 2018-04-05 2019-10-15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금융상품 계약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57A (ko) 2022-02-07
KR102564395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058B2 (en) Methods for digitally signing an electronic file and authentication method
CN110741369B (zh) 使用电子身份进行安全生物统计认证
CA2925325C (en) 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EP3497621B1 (en) Identifying one or more users based on typing pattern and/or behaviour
CN106576044B (zh) 泛在环境中的认证
KR101676215B1 (ko) 추가적 검증에 의해 아날로그 디지털 서명으로 전자문서에 사인하는 방법
US2015031763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ansaction Initiation
AU2007264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eless biometric identification
WO2020136763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5009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64395B1 (ko) 전자 문서 인증 및 저장 방법
JPWO2021131060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2692B2 (ja) 機密生体サーバー認証
WO2021131059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609987B (zh) 文件制作及处理系统
JP2019050014A (ja) 口座開設システム、口座開設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3449B1 (ko) Qr코드를 기반으로 한 비밀취급인가 인증체계 시스템
WO2017163227A1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