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158A -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158A
KR20220157158A KR1020210064891A KR20210064891A KR20220157158A KR 20220157158 A KR20220157158 A KR 20220157158A KR 1020210064891 A KR1020210064891 A KR 1020210064891A KR 20210064891 A KR20210064891 A KR 20210064891A KR 20220157158 A KR20220157158 A KR 2022015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waste gas
gas
reaction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042B1 (ko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정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성 filed Critical 정우성
Priority to KR102021006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42B1/ko
Priority to KR1020220146866A priority patent/KR1025911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0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rovoking a turbulent flow of the reactants, such as in cyclones, or having a high Reynolds-nu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6Plasma tor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난분해성 폐가스의 처리를 위한 연소장치이며, 탈취와 집진. 탈질을 하나의 장치에서 통합 처리할 수 있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복합처리장치는 함체 내에서 탈취 및 여과, 탈질을 일체로 처리하고 에너지 재활용을 위한 열교를 동시에 처리한다. 상기 함체 내에 플라스마 가스와 가연가스가 점화되는 토치(200)를 설치하고 반응관체(110)의 내부공간(112)으로 유입되는 폐가스가 선회할 수 있게 입구부를 편심설치, 제1안내익(120)을 통하여 제1영역(311)으로 선회시키면서 유입되게 하고 유도관(130)의 제2안내익(210) 및 하부 가이드(312)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선회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반응이 가능하며 압력손실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유도관(130)으로 부터 배출된 이후에도 상호 반응을 유지하여 폐가스 정화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처리장치이며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축열을 할 수 있는 축열 및 여과모듈(400)을 설치하여 자체 열효율을 높이고 필요에 따라 탈질용 촉매 등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관체(500)를 장착시켜 반응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진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WASTE GASES REACTOR USING PLASMA AND COMPLEX TREATMENT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악취를 유발하는 난분해성 가스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 및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난분해성 폐가스를 플라스마를 이용해 탈취하고 정화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초기에 개발된 플라스마 방식은 펄스 코로나 형태의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가스상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10kV 내지 25kV의 고전압을 이용하여 핀과 평판 형태의 전극에서 플라스마를 생성하며 비활성가스를 넣어 플라스마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켜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플라스마 방식은 플라스마의 형태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악취 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운영비용 및 처리용량에 한계가 있어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플라스마 탈취 장비는 유전체 장벽 방전 형태의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이 장치는 평판 형태의 전극 사이에 유전체 장벽을 두어 7kV 내지 15kV의 원하는 고전압에서의 균일한 플라스마를 형성시켜 악취 성분과 반응하게 된다. 그러나 이 장치는 압력강하 및 전극 위에 카본 등의 불순물 증착으로 효율이 떨어지며, 대용량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고, 일부 상용화되어 외국에서는 축사, 사료공장악취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밖에 상기와 같은 플라스마를 이용한 종래의 탈취장비는 플라스마 반응장치 전단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수단을 설치하여 플라스마 반응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오염가스를 오존에 의해 산화 분해하고, 오존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잔류 유해가스와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잔류 오존을 플라스마 아크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분해 처리되도록 구성한 방식도 있었다(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691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오염가스를 이용하여 발생된 아크를 이동시키므로, 유량 및 유관의 크기 한정에 의해 방전관 내에 아크 유속으로는 제거에 한계가 있었고, 아크 이동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악취 및 오염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켜도 반응시간이 오히려 짧아지므로 유해가스가 충분히 처리되지 못했다. 또한, 반응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 유속을 감소시키면 아크의 이동 영역이 좁아져서 플라스마에 의한 물질 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오염물질이 아크 발생부에 직접 접하게 됨으로써 먼지 등으로 인한 효율 저하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각종 악취를 유발하는 난분해성 폐가스를 효과적으로 탈취하기 위해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폐가스 처리장치는 플라스마와의 반응시간을 충분히 연장하기 위한 폐가스의 반응공간 확보와, 반응공간 내에 무정체 기류 형성을 위한 수단 구성의 난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폐가스에 대한 플라스마 반응시간이 줄어 탈취 성능이 떨어지고, 폐가스가 반응공간에 체류하면서 폐가스의 입자상 각종 오염물질이 반응공간에 적체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요망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69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74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9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마와 폐가스 간의 반응시간을 연장하도록 함과 동시에 폐가스의 입자상 오염물질이 장치에 적체되지 않도록 폐가스의 정체를 제한하는 구조의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및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
을 포함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출구가 마련된 제1의 내부공간을 지닌 함체;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제2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함체에 배치되며, 구획된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개구하도록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제1의 내부공간에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및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의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
을 포함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에 있어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의 정화를 위해 반응가스의 선회 이동을 정체 없이 지속시켜서 폐가스가 플라스마 가스와 반응하는 플라스마 반응영역을 확장시키므로 플라스마에 의한 폐가스의 반응시간을 충분히 연장해서 폐가스 내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에 구성되는 폐가스 반응기의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2개의 입구부가 구성된 복합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플라스마가 분출되는 토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함체에 열교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는 폐가스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또는 입자상 물질을 플라스마를 이용해 제거하는 과정과, 폐기를 플라스마와 연소에 의해 산화시켜 정화하거나 탈질 등의 여과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체화하여 수행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폐가스 반응기'는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복합처리장치'는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를 이용한 복합처리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마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었으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폐가스', '반응가스', '반응관체', '안내익', '여과모듈', '열교관체'의 용어를 사용한다. 상기 '폐가스'는 각종 난분해성 이물질과 오염가스가 혼합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가스를 지칭한다. 상기 '반응가스'는 폐가스가 플라스마 가스와 혼합되어 상호 물리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가스를 지칭한다. 상기 '반응관체'는 외부에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혼합되어 반응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구성된 관 기능의 부재를 지칭한다. 상기 '안내익'은 선회 기류를 역학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날개를 지칭한다. 상기 '여과모듈'은 연소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폐가스의 먼지나 분진 기타 입자상 물질을 기계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또는, 난분해성 물질을 정화하거나 폐가스에 혼합된 질소 산화물을 물리화학적으로 탈질(여과)하는 탈질 촉매부재를 지칭한다. 상기 '여과모듈'은 고온의 연소가스가 바로 배출되는 열을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열손실을 줄여주는 축열재와 그 부재가 필요에 의해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관체'는 폐가스 처리 중의 발생 폐열을 외부에 전달하는 열매체가 흐르는 관체를 지칭한다. 상기 열교관체는 복합처리장치에서 이동하는 반응가스와 접하도록 복합처리장치에 배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폐가스 반응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폐가스 반응기는,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는, 폐가스가 유입되는 제1의 출로와, 플라스마 가스가 유입되는 제2의 출로와, 가연가스가 유입되는 제3의 출로와, 상기 제3의 출로로 배출되는 가연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다수 개가 관통로의 둘레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관에 유입된 반응가스가 선회류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제2의 안내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반응관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관통로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입구부가 편향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복합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는, 배출구가 마련된 제1의 내부공간을 지닌 함체;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제2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함체에 배치되며, 구획된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개구하도록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제1의 내부공간에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의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관체에 의해 구획된 제1의 내부공간 중 제1의 영역의 함체 내면에 유도관의 입구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관체에 의해 구획된 제1의 내부공간 중 제2의 영역의 관통로에서 유입된 반응가스를 여과하도록 여과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응관체에 의해 구획된 제1의 내부공간 중 제2의 영역의 관통로에서 유입된 반응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열매체가 이동하는 열교관체가 제2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관체는, 상기 제2의 영역을 구획하도록 함체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가스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는 내화벽돌 재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폐가스 반응기와 복합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에 구성되는 폐가스 반응기의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2개의 입구부가 구성된 복합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처리장치(PL)는, 함체(300)와 폐가스 반응기(100)로 구성된다. 함체(300)는 고온의 제1의 내부공간(311, 321)에서 반응가스의 반응 상태가 지속되도록 환경을 구축한다. 함체(300)는, 그 일 예로서 제1의 레이어유닛(310)과 제2의 레이어유닛(320)이 적층된 원형 탑 형상이며, 제1의 레이어유닛(310)과 제2의 레이어유닛(320)에 각각 마련된 제1의 영역(311)과 제2의 영역(321)이 제1의 내부공간(311, 321)을 이룬다. 일 예로서 제2의 레이어유닛(320)의 상부는 돔 형상의 루프(330)에 의해 폐구되며 루프(330)의 상단에 배치 구성된 배출구(331)는 제1의 내부공간(311, 321)을 개구한다. 함체(300)는 고열에 의한 변형과 파손을 줄이기 위해 내화벽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시에는 온도 범위에 따라 이중 자켓 등의 방법으로 함체(3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함체(300)는 제 자세를 유지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제1의 레이어유닛(310)을 받치는 베이스 프레임(34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40)은 복합처리장치(PL)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단열 처리된 강철 재질일 수 있다.
폐가스 반응기(100)는 외부에서 입구부(111)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 간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2의 내부공간(112; 도 6 참조)이 마련된다. 또한, 폐가스 반응기(100)는 함체(300)의 제1의 내부공간(311, 321)을 구획하도록 일 예로서 제1의 레이어유닛(310)과 제2의 레이어유닛(320) 사이에 배치된다.
폐가스 반응기(100)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폐가스 반응기(100)는 반응관체(110)와 제1의 안내익(120)과 유도관(130)을 포함한다. 반응관체(110)는 입구부(111)와 배기부에 의해 개구된 제2의 내부공간(112)이 마련되고, 반응관체(110)에 의해 구획된 제1의 영역(311)과 제2의 영역(321)이 연통하도록 관통로(1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의 영역(311)과 제2의 영역(321) 간에는 관통로(113)를 통해 기류가 형성된다. 일 예로서 관통로(113)는 반응관체(11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배기구는 다수 개가 관통로(113)의 둘레에 배치된다. 또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제2의 내부공간(112)에서 원활히 혼합하여 반응하도록 반응가스를 제2의 내부공간(112)에서 선회시킨다. 이를 위해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반응관체(110)의 제2의 내부공간(112)에서 관통로(113)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입구부(111)가 편향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입구부(111, 111')는 2개가 구성될 수 있고,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의 선회류가 일정하도록 입구부(111, 111')는 관통로(113)를 중심으로 상호 점 대칭하게 배치된다. 일 예로서 입구부(111, 111')가 하나 또는 2개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의 안내익(120)은 반응관체(110)에서 제1의 내부공간(311, 321)에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기부에 배치된다. 제1의 안내익(120)은 반응가스가 제2의 내부공간(112)에서의 선회 방향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배기부별로 판 형상의 날개가 열을 이루며 배치된다. 하지만 제1의 안내익(120)은 본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반응관체(110)로부터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하도록 유도한다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유도관(130)은 제1의 내부공간(311, 321)의 반응가스가 관통로(113)를 통해 반응관체(110)를 관통하도록 관통로(113)와 연통하게 결합된다. 유도관(130)은 반응관체(110)에서 지정거리에 위치한 반응가스가 관통로(113)를 통과하도록 상기 지정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폐가스 반응기(100)와 복합처리장치(PL)는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의 혼합과 반응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이동거리를 연장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폐가스 반응기(100)의 제2 내부공간(112)은 물론 함체(300)의 제1 내부공간(311, 321) 역시 반응가스의 이동거리가 연장된 구조를 이루고, 반응가스의 기류 또한 선회류가 유지되도록 해서 반응가스의 실질적 이동거리를 연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폐가스 반응기(100)는 유도관(130)으로 유입되는 반응가스가 유도관(130)을 따라 선회하며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제2의 안내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의 안내익(140)은 유도관(130)의 입구에 배치되며 유도관(130)의 내면을 따라 스크류 형상을 이룬다. 이외에도 제2의 안내익(140)은 다수 개가 분리된 날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반응가스가 선회하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형태와 구조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반응관체(110)는 함체(300)와 같은 재질의 내화벽(150)이 보강될 수 있다. 내화벽(150)은 제1의 레이어유닛(310)과 제2의 레이어유닛(320) 사이에 적층되어서 반응관체(110)를 지지함은 물론 함체(300)와의 결합도를 높인다. 입구부(111)는 내화벽(150)을 관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폐가스의 이송로인 덕트(10)와 연결된다. 따라서 폐가스가 덕트(10)를 통해 입구부(111)까지 이송되어서 반응관체(110)의 제2의 내부공간(112)으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플라스마가 분출되는 토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폐가스가 유입되는 제1의 출로인 입구부(111)는 플라스마 가스가 유입되는 제3의 출로(220)가 마련된 토치(200)가 배치된다. 토치(200)는 입구부(111)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플라스마 가스를 배출해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일정한 기류를 유지하며 서로 혼합 및 반응하도록 한다. 따라서 분사구(242)로부터 방출되는 플라스마 가스는 폐가스와의 혼합도가 증가된다. 한편 토치(200)는, 가연가스가 유입되는 제2의 출로(210)와, 제2의 출로(210)로 배출되는 가연가스와 제3의 출로(220)로 배출되는 플라스마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제2의 출로(210)를 따라 이송된 가연가스가 방출되는 토치(200)의 단부에는 분사구(242)가 마련된 헤드유닛(240)이 구성된다. 분사구(242)는 제2의 출로(210)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므로 가연가스가 플라스마 가스를 중심으로 폐가스에 확산된 방출 형태를 이룬다. 입구부(111)에서 혼합되는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가연가스를 이용해 가열하며, 점화장치(230)는 가연가스의 점화를 위해 전기 스파크를 순간적으로 일으킨다. 점화장치(230)의 전기 스파크는 가연가스가 방출되는 헤드유닛(240)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연가스는 메탄, 프로판, 수소, 일산화 탄소 등의 가연성을 갖는 가스이다. 토치(200)는 일 예로서 제3의 출로(220)가 중심에 위치하고, 제2의 출로(210)는 제3의 출로(220)의 둘레에 배치된다. 따라서 토치(200)의 헤드유닛(240)에서 방출되는 가연가스는 플라스마 가스를 중심으로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한편, 헤드유닛(240)은 플라스마 가스의 방출속이 증가되도록 제3의 출로(220)의 단부에 노즐(241)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3의 출로(220)에서 방출된 플라스마 가스는 노즐(241)을 통과하며 가속되고, 제2의 내부공간(112) 안쪽까지 방출된다. 결국 점화장치(230)에 의해 점화된 불꽃은 제2의 내부공간(112) 안쪽까지 도달해서 제2의 내부공간(112)을 가열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덕트(10)를 통해 입구부(111)로 유입된 폐가스는 토치(200)로부터 배출되는 플라스마 가스와 혼합되어서 폐가스 반응기(100)의 반응관체(110)에 반응가스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치(200)는 가연가스를 연소시켜서 불꽃을 방출하고, 상기 반응가스는 고온으로 가열 또는 산화되며 물리화학적으로 정화된다. 플라스마 가스에 의한 폐가스의 정화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응관체(110)의 제2의 내부공간(112)으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관통로(113)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상호 반응을 지속하고, 입구부(111)로 지속해 유입되는 반응가스의 기압에 의해 배기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기부에는 제1의 안내익(120)이 배치되므로 배기부에서 제1의 영역(311)으로 배출되는 반응가스는 제1의 안내익(120)에 의해 선회류를 유지하며 유도관(130)의 둘레를 선회한다. 제1의 영역(311)에서 선회하는 반응가스는 상기 배기부에서 지속해 배출되는 반응가스의 기압에 의해 유도관(130)의 입구까지 이동해서 유도관(130)으로 유입된다. 제1의 레이어유닛(310)의 내면에 유도관(130)의 입구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가이드(3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관(130)의 둘레를 선회하며 유도관(130)의 입구까지 이동한 반응가스는 가이드(312)에 의해 보울 형태를 이룬 제1의 영역(311)의 바닥면을 타고 이동해서 유도관(130)의 출로 집중된다.
유도관(130)의 출로 유입되는 반응가스는 제2의 안내익(140)에 의해 선회류를 유지하며 유도관(130)을 따라 이동한다. 유도관(130)은 반응관체(110)의 관통로(113)와 연통하므로, 유도관(130)의 반응가스는 관통로(113)를 경유해서 제2의 영역(321)으로 유입된다. 이후 반응가스는 배출구(331)를 통해 함체(300)로부터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입구부(111)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반응관체(110)의 제2의 내부공간(112)을 수회 선회하며 상호 반응을 지속하고, 반응관체(110)로 배출된 후에도 유도관(130)을 중심으로 수회 선회하며 유도관(130)의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상호 반응을 지속한다. 또한 유도관(130)으로 유입된 이후에도 반응가스는 유도관(130) 내에서 선회를 유지하며 반응을 지속하고, 유도관(130)으로부터 배출된 이후에도 상호 반응을 유지하며 폐가스 정화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합처리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함체에 열교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처리장치(PL)는 반응관체(110)에 의해 구획된 제1의 내부공간(311, 321) 중 제2의 영역(321)의 관통로(113)에서 유입된 반응가스를 여과하도록 여과모듈(400)이 배치된다. 여과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폐가스의 먼지나 분진 기타 입자상 물질을 매쉬망을 이용해 기계적으로 여과하는 일반적인 필터는 물론, 세라믹촉매(Mechanical ceramic)를 이용해 폐기를 정화하거나 탈질 등의 여과 과정을 수행하는 탈질 촉매부재일 수 있다.
축열 및 여과모듈(400)이 세라믹 촉매인 경우,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는 규조토, 실리카 등 광물질을 고온으로 소성시킨 다공성의 무기물 재질이며, 본체의 기공은 수용성 세라믹 슬러리로 충전된다. 슬러리는 입자크기가 0.1~10㎛이며, 적당량의 계면활성제, 분산 안정제, 점도 조정제로 구성된다. 여과모듈(400)이 촉매담체인 경우, 공지된 바와 같이, 촉매가 담체와 함께 압출 성형되거나 또는 담체에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촉매는 알루미나 계열이나 TiO2 계열 또는 제올라이트 계열의 촉매일 수 있다.
축열 및 여과모듈(400)은 관통로(113)에서 제2의 영역(321)에 유입된 반응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결국, 제2의 영역(321)의 반응가스는 축열 및 여과모듈(400)을 통과하면서 입사상 물질이 걸러지거나 탈질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상태의 반응가스는 배출구(331)를 통해 함체(300)에서 배출된다. 또한 축열 및 여과모듈(400)은 유도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급격한 온도저하를 막아주어 자체 에너지 소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처리장치(PL)는 관통로(113)에서 제1의 내부공간(311, 321) 중 제2의 영역(321)에 유입된 반응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열매체가 이동하는 열교관체(500)가 제2의 영역(321)에 배치된다. 반응가스에 구성된 플라스마 가스와 폐가스 간의 상호 반응은 물론 여과모듈(400)에 의한 여과 반응은 고온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예로서 상기 반응가스는 토치(200)에 의해 1차 가열되고, 제1의 내부공간(311, 321)에서 반응가스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반응가스가 여과모듈(400)로 유입되기 이전에 화염을 방사하는 가열장치(600)를 이용해서 필요시 반응가스를 추가 가열한다. 일 예로서 가열장치(600)는 토치(200)와 같이 출로(미도시함)를 통해 제2의 영역(321)에 가연가스를 방출하고, 점화기구(미도시함)는 방출되는 가연가스를 점화시킨다. 결국, 함체(300)의 배출구(331)로 배출되는 상기 반응가스는 필요한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허비되는 폐열을 회수해 재활용하기 위해서, 열매체가 이동하는 열교관체(500)를 배출 직전의 반응가스와 접하도록 제2의 영역(321)에 배치하여 반응가스의 폐열이 열교관체(500)를 통해 열매체에 전달되도록 한다. 반응가스와 열매체 간의 열전도율은 반응가스와 열교관체(500) 간의 접촉면적과 열교관체(500)의 열전도도에 의거하므로, 열교관체(50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열교관체(500)는 제2의 영역(321)을 경유하는 구간의 면적을 넓힌다. 일 예로서, 열교관체(500)는, 제1의 내부공간(311, 321) 중 제2의 영역(321)을 구획하도록 함체(300)에 배치되는 열교구간 부재(510)와, 열교구간 부재(510)로의 열매체 주입로(520)와, 열교구간 부재(510)로부터의 열매체 배출로(530)로 구성된다.
열교구간 부재(510)는 제2의 영역(321)을 횡단하는 격벽 구조이므로, 제2의 영역(321)의 하부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열교구간 부재(510)에 다수 개가 형성된 관통홀(511)을 통해서만 상부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반응가스의 폐열은 열교구간 부재(510)를 통해 열매체와 열교한다. 관통홀(511)의 내면은 반응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요철이 형성된다.
열매체 주입로(520)는 제2의 레이어유닛(320)의 제1의 홀(322)을 관통해서 열교구간 부재(510)의 입구(512)와 연통하게 고정된다. 한편, 열매체 배출로(530)는 제2의 레이어유닛(320)의 제2의 홀(323)을 관통해서 열교간 부재(510)의 출구(미도시함)와 연통하게 고정된다. 결국, 열매체는 열매체 주입로(520)를 통해 열교구간 부재(510)에 주입되어 열교하고 열매체 배출로(530)를 통해 열교구간 부재(510)에서 배출되어 반복 순환하면서, 반응가스의 폐열을 수집해 활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합처리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 및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구조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처리장치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PL : 복합처리장치 10, 10' : 덕트
100 : 폐가스 반응기 110 : 반응관체
111 : 입구부 112 : 제2의 내부공간
113 : 관통로 120 : 제1의 안내익
130 : 유도관 140 : 제2의 안내익
150 : 내화벽 200 : 토치
210 : 제2의 출로 220 : 제3의 출로
230 : 점화장치 240 : 헤드유닛
300 : 함체 310 : 제1의 레이어유닛
311 : 제1의 영역 320 : 제2의 레이어유닛
321 : 제2의 영역 330 : 루프
331 : 배출구 340 : 베이스 프레임
400 : 여과모듈 500 : 열교관체
510 : 열교구간 부재 511 ; 관통홀
520 : 열매체 주입로 530 : 열매체 배출로

Claims (10)

  1.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및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된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폐가스가 유입되는 제1의 출로와, 가연가스가 유입되는 제2의 출로와, 플라스마 가스가 유입되는 제3의 출로와, 상기 제2와 제3의 출로로 배출되는 가연가스 및 플라스마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다수 개가 관통로의 둘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에 유입된 반응가스가 선회류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제2의 안내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상기 반응관체의 내부공간에서 관통로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입구부가 편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
  6. 배출구가 마련된 제1의 내부공간을 지닌 함체;
    입구부로 유입된 폐가스와 플라스마 가스가 서로 반응하며 선회하는 제2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함체에 배치되며, 구획된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개구하도록 선회 중심부에 관통로가 형성된 반응관체;
    상기 반응관체에서 제1의 내부공간에 배출되는 반응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반응관체의 배기부에 배치되는 제1의 안내익; 및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의 반응가스가 반응관체를 관통하도록 관통로와 연통하게 결합되는 유도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관체에 의해 구획된 제1의 내부공간 중 제1의 영역의 함체 내면에 유도관의 입구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에서 제1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반응가스를 여과하도록 여과모듈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에서 제1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반응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열매체가 이동하는 열교관체가 제2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관체는,
    상기 제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함체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가스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KR1020210064891A 2021-05-20 2021-05-20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KR10250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91A KR102509042B1 (ko) 2021-05-20 2021-05-20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KR1020220146866A KR102591103B1 (ko) 2021-05-20 2022-11-07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91A KR102509042B1 (ko) 2021-05-20 2021-05-20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866A Division KR102591103B1 (ko) 2021-05-20 2022-11-07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58A true KR20220157158A (ko) 2022-11-29
KR102509042B1 KR102509042B1 (ko) 2023-03-10

Family

ID=842352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891A KR102509042B1 (ko) 2021-05-20 2021-05-20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KR1020220146866A KR102591103B1 (ko) 2021-05-20 2022-11-07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866A KR102591103B1 (ko) 2021-05-20 2022-11-07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반응기와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90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740Y1 (ko) 2001-09-26 2001-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형 분사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20060071691A (ko) 2004-12-22 2006-06-27 플라즈마에너지자원 주식회사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KR20110000394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진 제거용 원심 여과 집진 장치
KR20130092789A (ko) * 2012-02-13 2013-08-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유량 난분해성 폐가스 처리장치
KR20140008979A (ko) 2012-07-12 2014-01-22 (주)미리내 열화염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악취 처리장치
KR101774710B1 (ko) * 2016-10-27 2017-09-05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플라즈마와 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식 유해가스 처리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863026B1 (ko) * 2018-01-04 2018-05-30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2050262B1 (ko) * 2018-06-20 2020-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KR20220011930A (ko) * 2020-07-22 2022-02-03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대용량 플라즈마 열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56B1 (ko) * 2013-01-17 2015-06-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개의 유입관을 구비한 입자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740Y1 (ko) 2001-09-26 2001-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형 분사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20060071691A (ko) 2004-12-22 2006-06-27 플라즈마에너지자원 주식회사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KR20110000394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진 제거용 원심 여과 집진 장치
KR20130092789A (ko) * 2012-02-13 2013-08-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유량 난분해성 폐가스 처리장치
KR20140008979A (ko) 2012-07-12 2014-01-22 (주)미리내 열화염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악취 처리장치
KR101774710B1 (ko) * 2016-10-27 2017-09-05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플라즈마와 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식 유해가스 처리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863026B1 (ko) * 2018-01-04 2018-05-30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2050262B1 (ko) * 2018-06-20 2020-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KR20220011930A (ko) * 2020-07-22 2022-02-03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대용량 플라즈마 열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042B1 (ko) 2023-03-10
KR20220157331A (ko) 2022-11-29
KR102591103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563B1 (ko) 예열기능을 갖고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산화ㆍ분해하는장치
WO2003066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luding dioxin and fly ash using high temperature plasma
KR101774710B1 (ko) 플라즈마와 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식 유해가스 처리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US3806322A (en) Recuperative form of catalytic-thermal incinerator
JPH0733905B2 (ja) 汚染物質の燃焼または分解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86675B1 (ko) 복합 오염 물질 처리 장치
KR101493786B1 (ko)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소각처리를 위한 스크러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소각방법
KR101494623B1 (ko)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소각처리를 위한 연소 장치 및 그 연소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
KR20090077777A (ko) 브라운 가스 발생 시스템 및 그 사용
KR101860633B1 (ko) 플라즈마와 촉매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건식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511571B1 (ko) 난분해성 유해 가스의 농축장치를 구비한 스크러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소각방법
KR102509042B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폐가스 복합처리장치
KR20160146833A (ko)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에너지 절약형 연소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9990010029A (ko) 가스상 및 입자상 오염물질의 여과집진장치
KR101339919B1 (ko) 오존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0331034B1 (ko) 가스상 오염물질 제어용 알씨오 시스템 구성 및 운전방법
KR10162502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산화장치
KR101645171B1 (ko) 반도체 및 VOCs 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난분해성 유해폐가스 처리 시스템
KR20170067109A (ko) 가스 상태의 대기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농축하는 장치와 농축된 오염공기를 소각하는 열 회수형 연소 설비
KR102244442B1 (ko) 직화식 제연장치
KR101261439B1 (ko) Voc 처리시스템
KR20160136997A (ko) 사이클론형 촉매 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VOCs 제거 시스템
KR100921977B1 (ko) 화장로 연소 가스 정화장치
KR200280676Y1 (ko) 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다이옥신 및 분진 제거장치
KR20040001100A (ko) 반건식 반응탑과 백필터를 일체화한 연소배기가스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