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57A -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57A
KR20220157057A KR1020210064630A KR20210064630A KR20220157057A KR 20220157057 A KR20220157057 A KR 20220157057A KR 1020210064630 A KR1020210064630 A KR 1020210064630A KR 20210064630 A KR20210064630 A KR 20210064630A KR 20220157057 A KR20220157057 A KR 2022015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ra
inner liner
venting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4843B1 (en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843B1/en
Publication of KR2022015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5Constructional or chemical features of the flex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9Details or accessories for the flexible co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An extrusion pre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a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body part and discharging tread cushion rubber; and a discharge width control part arranged below the discharge part and adjusting a width of the tread cushion rubber discharg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bladder for tire curing that can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a curing process by using the bladder, a tire bladd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Bladder for tire curing, t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다 외측면의 흡음 패턴 적용을 통한 공기입 타이어의 이상 소음 저감을 위한 타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 for curing tires, a ti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bra for curing tires for reducing abnormal noise of a pneumatic tire by applying a sound-absorbing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 a bra for curing tires, and It's about how to make it.

승용차에 주로 사용되는 레이디얼 타이어(radial tire)는 이너 라이너(inner liner), 카카스 코드(carcass cord), 사이드 월(side wall)이 조립된 상태에서 벨트(belt), 캡 플라이(cap fly), 트레드(tread)가 부착되어 반제품이 된다. 그리고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bladder)를 반제품의 이너 라이너에 밀착시킨 뒤 이를 팽창시켜 그린 케이스(green case)로 성형한다. 이후 그린 케이스를 소정의 규격과 형상을 갖는 타이어 금형틀에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curing) 공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레이디얼 타이어를 완성한다.Radial tires, which are mainly used for passenger cars, are assembled with an inner liner, carcass cord, and side wall, and a belt and cap fly , the tread is attached to become a semi-finished product. Then, a bladder for curing the tir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of the semi-finished product, and then inflated to form a green case. Thereafter, the green case is inserted into a tire mol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finally complete a radial tire.

이때 타이어 반제품을 금형에 넣고 가류 공정을 수행할 시,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는 타이어 반제품의 외면이 금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타이어 반제품을 압착시키며, 동시에 타이어 가류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과 압력을 타이어 반제품에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mi-finished tire is put into the mold and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the brada for tire curing compresses the semi-finished tir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emi-finished ti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and at the same time,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semi-finished tire so that the tire c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ll be conveyed

다만 이와 같이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통해 타이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라다를 통해 가류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noise is generated from the semi-finished tire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tire through the bra for curing the tire. In addition, a structure may be required to easily discharge ai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uring process through the brada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다를 이용한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 for tire curing, a ti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the curing process using the bra.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다를 이용한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 for tire curing, a ti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ing a structure for easily discharging air generated during the curing process using the bra.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브라다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부에는 벤팅부가 형성된다.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 for curing a tire that penetrates vertically, the surface of the bra includes an embossed portion formed in an embossed shape, and the embossed portion is It includes a ridge formed convexly outwardly and a valley formed concavely, and a venting part is formed in the t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bra for cur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ng part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trough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 및 상기 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ra for tire c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venting part disposed at an end of the trough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venting part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ough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제2 벤팅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벤팅부의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In the bra for vulcaniz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second venting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vent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마루부는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될 수 있다.In the bra for cur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of the t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brada for cur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embo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ine wave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골부 및 마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bra for vulcaniz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ough and crest of the embossing portion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은 엠보싱부로 형성된다.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nd an inner line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ead,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is formed as an emboss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엠보싱부는 마루부 및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 및 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ssing portion includes a ridge portion and a trough portion, and the ridge portion and the trough portion may be disposed altern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embo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ine wave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나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a brada having an embossed surface to an inner line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a tire; and forming an embossed shape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through the br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전, 표면부가 엠보싱부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골부에 벤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ti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bra to the inner lin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manufacturing a bra that has a surface portion formed as an embossed portion; and forming a venting part at the valley of the embossing part of the brada.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clear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은, 브라다의 표면이 사인 파동형으로 형성된 엠보싱 구조로 형성되어 가류 공정시 브라다와 밀착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A bra for tire c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surface of the bra is formed in an embossed structure formed in a sine wave shape, and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emi-finished ti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 during the curing proces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은, 엠보싱부의 골부에 형성된 벤팅부를 통해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공기를 브라다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bra for tire c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n easily discharge air generated during the curing process to the outside of the bra through a venting part formed in the valley of the embossing pa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을 밀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엠보싱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ra for cur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ssed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part B of FIG. 1 and is a view showing a surface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venting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a ti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liner of the tire by adhe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to the bra for curing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7, showing an embossed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an inner l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shown in different embodiments,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When an embodiment is otherwise implement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ra for curing t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ssed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part B of FIG. 1 and is a view showing a surface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100)는, 브라다의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110)를 포함하고, 엠보싱부(110)는 타이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111)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112)를 포함하고, 골부(112)에는 벤팅부(200)가 형성된다.1 to 3, the brada 100 for tire c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ossed portion 110 formed in an emboss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brada, and the embossed portion 110 includes a crest 111 convexly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re is located and a valley 112 formed concavely, and the venting part 200 is formed in the valley 112.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100)는 타이어를 금형에 넣고 가류하는 가류 공정에서, 타이어의 외면이 금형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타이어의 내측에서 타이어를 금형 방향으로 압착시키며, 동시에 타이어 가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열과 압력을 반제품 타이어로 전달할 수 있다.Brada 100 for tire curing compresses the tire from the inside of the tire in the direction of the mol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in the curing process of putting the tire in the mold and cu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ire curing process proceeds heat and pressure can be transferred to the semi-finished tire to

브라다 표면에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다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에 대응되도록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형성되는 무늬에 따라 완제품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형성되는 무늬가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증폭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증폭되어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형성되는 무늬가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어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brada surface. At this time, 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to correspond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rada. Depending on the pattern formed on the inner liner of the tire, the level of noise generated from the tire during driving of the finished tire may vary. If the pattern formed on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is formed in a shape that amplifies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tire,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tire is amplified during driving and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tire becomes larger. can Conversely, when the pattern formed on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is formed in a shape that offsets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tire,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tire is reduced while the tire is running, thereb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tir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엠보싱부는 마루부 및 골부로 형성되며, 마루부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되고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를 압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를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제품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에서 소음이 발생할 경우,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타이어의 내측면 이너라이너 구조로 인해 타이어의 소음이 저감되어 타이어의 주행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brace for tire c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ossing portion formed in an embossed shape, the embossing portion is formed of a peak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and the peak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may be formed into an embossed shape by compressing the inner liner 350 . Through this, when noise is generated from the tire during driving of the finished tire, the noise of the tire is reduced due to the inner liner struc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so that driving convenience of the tire can be improved.

이러한 엠보싱 구조의 경우 평면 구조에 비해 소리를 받아들이는 면적이 넓어져서 흡음력이 증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an embossed structure, compared to a flat structure, a sound receiving area may be widened, and sound absorption may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다(100)의 골부(112)에는 벤팅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벤팅부(200)는 가류 공정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가류되면서 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벤팅부(200)는 골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가류 공정시, 브라다(100)의 마루부(111)가 타이어 이너라이너(350)에 먼저 밀착되므로,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의 표면부와 상대적으로 나중에 밀착되는 골부(112)에 벤팅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the valley portion 112 of the brada 100. The venting unit 200 can discharge air, which is cured from the semi-finished tire during the curing process,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venting part 200 may be formed in the valley part 112 . During the vulcanization process, since the crest 111 of the brada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re inner liner 350 first, the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and the venting portion 112 in close contact relatively later By forming the 200, air generated from the semi-finished tire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왜냐하면 엠보싱부(110)를 통해 이너라이너(350)에 엠보싱부(350)가 형성되면서, 브라다(100)의 골부(112)와 이너라이너(350) 사이의 공간이 차츰 감소하게 되므로, 감소되는 공간으로 밀려들어온 공기는 골부(112) 내부 공간을 차지하며 들어오는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압력을 받아 골부(112)에 배치된 벤팅부(200)를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공기 배출 내용은 도 5 및 도 6을 추가로 참조할 수 있다.Because the embossing portion 350 is formed on the inner liner 350 through the embossing portion 110, the space between the valley portion 112 of the brada 100 and the inner liner 350 gradually decreases, so that This is because the air pushed into the space occupies the inner space of the valley 112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ng part 200 disposed in the valley 112 under pressure by the incoming inner liner 350 . For the above-described air discharge, additional reference may be made to FIGS. 5 and 6 .

도 3을 참조하면, 벤팅부(200)는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류 공정시 골부(112)의 내부에 밀려들어온 공기가, 골부(112)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며 들어오는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된 벤팅부(200)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venting part 200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valley part 112 . Through this, the air pushed into the valley 112 during the curing process occupies the inner space of the valley 112 and the inner liner 350 enters the venting unit 200 disposed at the end of the valley 112 can come out natur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부(110)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embossing port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ine wave shape.

타이어의 소음 발생시, 소리의 흐름은 타이어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며,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소리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소리는 음파가 중첩될 때 증폭 또는 상쇄를 하게 되는데, 미세한 속도 변화, 이동 방향의 변화로부터 중첩이 발생할 수 있다. 3차원 패턴은 지금의 패턴 대비해서 더 많은 소리의 상쇄를 만들 수 있다. When tire noise is generated, the flow of sound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flow of sound may occu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ound is amplified or canceled when sound waves overlap, and overlap may occur due to minute speed changes or changes in moving directio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can create more sound cancellation compared to the current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브라다의 엠보싱부(110)의 측단면이 사인(sin)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 표면을 사인 파동형의 엠보싱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이너라이너(35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흠음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사인 파동형의 형태를 통해 음파를 상쇄시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부의 골부 및 마루부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주행시 타이어 소음을 보다 더 감경시킬 수 있다.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is manufactured in a sine wave type embossing structure by forming the side section of the embossing part 110 of Brada in a sine wave typ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liner 350 to increase sound absorp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tire by canceling sound waves through a sinusoidal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ire noise during driving by arranging the troughs and crests of the embossed portion to be crossed with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venting portion of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200', 210')는,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200') 및 골부(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venting parts 200' and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first venting part 200' disposed at the end of the valley part 112 and the valley part 112. A plurality of second venting parts 210'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may be included.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200')를 통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가, 골부(112)의 둘레 및 제1 벤팅부(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류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벤팅부(210')의 벤팅홀 크기는 제1 벤팅부(200')의 벤팅홀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Air that could not escape through the first venting part 200' disposed at the end of the valley part 112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alley part 112 and the first venting part 200'.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venting part 210'. Through this, the c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air can be discharged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venting hole of the second venting part 21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venting part 200'.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Details not shown in FIGS. 5 and 6 may refer to FIGS. 1 to 3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을 밀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엠보싱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 for cur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a ti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liner of the tire by adhe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to the bra for curing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100)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350)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브라다(100)를 통해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5 and 6, in the ti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da 100 having an embossed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35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and forming an embossed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through the bra 1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다(100)의 마루부(111)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될 수 있다. 마루부(111)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된 상태로 팽창하여 이너라이너(350)의 표면에 엠보싱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도 6에는 브라다(100)가 팽창하여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타이어의 구조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 5 , the floor portion 111 of the brada 100 may adhere to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The floor portion 111 may expan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350 of the tire to create an emboss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 6 discloses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by expanding the bra 100 . The structure of a tir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다(100)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350)에 밀착시키는 단계 전, 표면부가 엠보싱 형상을 가지는 엠보싱부(110)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및 브라다(100)의 엠보싱부(110)의 골부(112)에 벤팅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bra 100 to the inner liner 35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manufacturing a bra formed of an embossed portion 110 having an embossed surface portion and a bra A step of forming the venting portion 200 in the valley portion 112 of the embossing portion 110 of the multi (100)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상의 이너라이너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Hereinafter, a tire including an embossed inner l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Details not shown in FIGS. 7 and 8 may refer to FIGS. 1 to 3 , 5 and 6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7, showing the embossed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in 방향은 타이어(300)의 내측면 방향을 의미하고, out 방향은 타이어(300)의 외측면 방향을 의미한다.The in direction shown in FIG. 7 means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tire 300, and the out direction means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tire 30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공기압 타이어(pneumatic tire)로서 트레드(310), 트레드(310)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320), 사이드월(320)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tire 300 is a pneumatic tire, and is disposed on a tread 310, sidewalls 320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310, and ends of the sidewalls 320. It may include a bead 330 to be.

또한, 타이어(300)는 트레드(3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340)와 벨트층(3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37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3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트레드(310)와 한 쌍의 사이드월(32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3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3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re 300 may include a body ply 340 and a belt layer 370 located below the tread 310, and a cap ply 36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lt layer 370. have. In addition, the tire 300 may include an inner liner 350 positioned inside the tread 310 and the pair of sidewalls 320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tire 300 .

도 7를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ire 30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T around the central axis AX. In addition, a wheel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tire 300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central axis AX.

트레드(310)는 타이어(300)를 자동차에 장착 후 주행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310)는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3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구동록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tread 310 may include a region facing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after the tire 300 is mounted o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tread 310 may include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tread 310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and transmits driving lock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트레드(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3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310 may have one or more patterns, and a plurality of grooves 31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se patterns. The groove 315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t least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groove 315 may also include a region having a shap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315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driving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tire 300 .

그루브(315)는 트레드(3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315)는 트레드(3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3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Groove 31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pattern of tread 310 . For example, the groove 315 may form a boundary of one area of the tread 310 as a form in which one area of the tread 310 is removed.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를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315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driving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tire 300 . The groove 3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트레드(310)는 복수 개의 그루브(3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은 자동차의 주행 시에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300)의 반경 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와, 타이어(3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The tread 310 may have a tread block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315 . The tread block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may be partitioned by a first groove that runs around the tire 30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ire 300 .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배추를 위핸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3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read patterns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properties and blocks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s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tread block. The tread patter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 backbone and sipes for improving traction and braking power when driving on a road surface. The sipe is formed on the tread block and may be a groov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roove. Sipes can increase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tire 300 by absorbing moisture and breaking the water film when driving on a wet road.

사이드월(320)은 트레드(3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타이어(3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사이드월(320)은 트레드(3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비드(330) 및 바디 플라이(340) 등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320)은 일단이 트레드(3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타이어 림(Rim)과 접촉할 수 있다.Sidewalls 320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310 to form the sidewalls of the tire 300 . The sidewall 320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tread 310 and protects the bead 330 and the body ply 3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sidewall 32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read 310 and the other end may contact the tire rim.

비드(330)는 사이드월(320)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며,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300)와 타이어 림(Rim)의 결합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비드(330)는 바디 플라이(34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되어, 타이어(300)를 타이어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The bead 33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32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or hexagonal wire bundle in which rubber is coated on a steel wire, so that the tire 300 and the tire rim can help combine In one embodiment, the bead 330 is arranged to be wrapped by the body ply 340, so that the tire 300 can be seated and fixed to the tire rim.

비드(330)는 비드 코어와 비드 필러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는 비드 필러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복수 개의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가 꼬아져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로부터 사이드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는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비드(330)는 복수 개의 삽입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은 림(Rim)의 장착 돌기에 삽입되어, 타이어가 림에 장착될 수 있다.The bead 330 may include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The bead core is disposed below the bead filler and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bead cords (wires). The bead filler may be disposed extending from the bead core in the sidewall direction. The bead filler is a rubber fill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ead core and serves to reinforce the bead core.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ad fillers may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Bead 330 may hav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not shown).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rim, so that the tire can be mounted on the rim.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의 골격을 이루고 타이어(30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섬유 코드에 고무재가 토핑(Topp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 및 충격 등을 흡수하며, 타이어(300)의 공기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의 내측면에서 외곽을 향해 턴업(Turn-up)되어 비드(3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ply 340 forms the skeleton of the tire 300 and is a component for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tire 300, and may be formed by topping a rubber material on a fiber cord. The body ply 340 can absorb loads and shocks received by the tire 300 and maintain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300 at a certain level. In one embodiment, the body ply 340 may be turned up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300 toward the outer surface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ead 330 .

바디 플라이(3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플라이(3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The body ply 34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high-strength fibrous organic materials such as steel, polyester, or rayon, and then coating them with rubber and rolling them. Specifically, the body ply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rubb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and natural rubb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ire cord. Various natural fibers or rayon, nylon, polyester, and Kevlar may be used as the tire cord, and a steel cord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may also be used.

이너 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내측면(in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타이어(300)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3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350)는 밀도가 높은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liner 350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in direction) of the body ply 340 . The inner liner 350 may prevent leakage of air from the tire 300 and maintain air pressure in the tire 300 . The inner liner 350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350 may be made of high-density butyl rubber or the like.

이너 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3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330)와 접촉할 수 있다.The inner liner 3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340 and extend to the bead 330 . The inner liner 350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body ply 340, and both ends may contact the bead 330.

벨트층(370)은 트레드(310)와 바디 플라이(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타이어(300)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3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370)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벨트층은 이너라이너(3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Belt layer 370 may be disposed between tread 310 and body ply 340 . The belt layer 370 can improve grounding characteristics and driving stability by mitigating shocks received by the tire 300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a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300 and expanding the grounding surface of the tread 310 . The belt layer 370 may be formed by rolling by coat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made of steel or organic fibers with rubber. The belt layer 37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a plurality of belt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

벨트층(370)과 트레드(310)의 사이에는 캡 플라이(360)가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특수 코드지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벨트층(3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고속 주행시 벨트층(3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벨트층(370)과 바디 플라이(340)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시 벨트층(37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A cap ply 3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lt layer 370 and the tread 310 . The cap ply 360 is formed of special cord pap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belt layer 370 during vehicle driving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elt layer 370 during high-speed driving. The cap ply 360 may include a polyester synthetic fiber. The cap ply 360 is supported by the belt layer 370 and the body ply 340, thereby minimizing movement of the belt layer 370 during driving.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310), 트레드(31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350)를 포함하고,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은 엠보싱부(350)로 형성된다.The tir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read 310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nd an inner liner 350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ead 310, and the inner liner ( 350)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350).

이때, 엠보싱부(350)는 마루부(351) 및 골부(352)를 포함하고, 마루부(351) 및 골부(352)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부(350)의 측단면은, 브라다(100)의 측단면과 대응되도록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mbossing portion 350 includes a peak portion 351 and a valley portion 352, and the peak portion 351 and the valley portion 352 may be disposed alternately. In additi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embossing portion 350 may be formed in a sine wave shape to correspond to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brada 100.

이와 같이, 브라다(100)의 팽창에 의해 이너라이너(350)의 표면부에 엠보싱 형상을 가지는 엠보싱부(350)가 형성됨으로써,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이너라이너(350)를 통과하려 할 경우, 엠보싱 형상의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상기 소음이 상쇄되어 주행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embossed portion 350 having an embossed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liner 350 by the expansion of the bra 100, so that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tire tries to pass through the inner liner 350. In this case, the noise is offset by the embossed inner liner 350, so that noise generated from the tire during driving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Specific technical detail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In order to briefly and clearly describe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on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is an example of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 which can be replaced in an actual devic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bove” or similar designation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mbodiment, it includes an invention in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In addition, if there is no clear description or description of the order of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simply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00: 브라다
110: 엠보싱부
111: 마루부
112: 골부
200: 벤팅부
200': 제1 벤팅부
210': 제2 벤팅부
300: 타이어
350: 이너라이너(이너라이너 엠보싱부)
351: 이너라이너 마루부
352: 이너라이너 골부
100: Brada
110: embossing unit
111: floor
112: bones
200: venting part
200 ': first venting part
210 ': second venting part
300: tire
350: inner liner (inner liner embossing part)
351: inner liner floor
352: inner liner bone

Claims (12)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브라다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부에는 벤팅부가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Including a bra for curing tire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The surface of the brada includes an embossed portion formed in an embossed shape,
The embossing part,
Including a ridge formed convexly and a valley formed concavely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brada,
A bra for vulcanizing a tire in which a ve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valley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ing portion is a bra for vulcanizing a tire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trough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 및 상기 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ing unit is a tire curing bra including a first venting unit disposed at an end of the trough and a plurality of second venting units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rough.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팅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벤팅부의 크기보다 더 작은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3,
The size of the second venting par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vent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는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 portion is a bra for curing a tir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iner of the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end surface of the embossing portion is a tire curing bra formed in a sine wave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골부 및 마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According to claim 1,
Bras for vulcanizing tires in which the valleys and crests of the embossing part are alternately disposed.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은 엠보싱부로 형성되는 타이어.
a trea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nd
Including an inner lin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is formed as an embossed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마루부 및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 및 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8,
The embossing portion includes a peak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A tire in which the peaks and trough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8,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embossing portion is formed in a sine wave shape.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나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
Adhering the brada, the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to the inner lin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and
and forming an embossed shape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through the brad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전,
표면부가 엠보싱부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골부에 벤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bra to the inner lin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Manufacturing a brada in which the surface portion is formed as an embossed por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ir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venting part at the valley of the embossing part of the brada.
KR1020210064630A 2021-05-20 2021-05-20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504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en) 2021-05-20 2021-05-20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en) 2021-05-20 2021-05-20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57A true KR20220157057A (en) 2022-11-29
KR102504843B1 KR102504843B1 (en) 2023-03-02

Family

ID=8423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en) 2021-05-20 2021-05-20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84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288A (en) * 1992-11-04 1994-05-24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vulcanizing bladder
JP2000317940A (en) * 1999-05-10 2000-1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Bladder for vulcanization
JP4736546B2 (en) * 2005-06-07 2011-07-27 横浜ゴム株式会社 Tire vulcanization bladder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tire vulcanization bladder
KR101366713B1 (en) * 2011-12-26 2014-02-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ire Curing Bladder
JP2018065299A (en) * 2016-10-20 2018-04-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288A (en) * 1992-11-04 1994-05-24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vulcanizing bladder
JP2000317940A (en) * 1999-05-10 2000-1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Bladder for vulcanization
JP4736546B2 (en) * 2005-06-07 2011-07-27 横浜ゴム株式会社 Tire vulcanization bladder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tire vulcanization bladder
KR101366713B1 (en) * 2011-12-26 2014-02-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ire Curing Bladder
JP2018065299A (en) * 2016-10-20 2018-04-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843B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2383B (en) Pneumatic tire
US20140283965A1 (en) Pneumatic tire
JP7298622B2 (en) pneumatic tire
JP2018002008A (en) Pneumatic tire
CN106994865B (en) Pneumatic tire
US20140311640A1 (en) Pneumatic tire
WO2008050545A1 (en) Pneumatic tire
CN1572545A (en) Radial passenger tire with improved tread contour
CN1750945A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passenger car
CN102896979B (en) Pneumatic tyre
JP2014240171A (en) Pneumatic bias t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04843B1 (en)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8340738B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07929B2 (en) Pneumatic tire
KR101890371B1 (en) pneumatic tire
CN105073445A (en) Pneumatic ti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23018528A (en) tire
JP2018114781A (en) Retreaded tire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JP6518136B2 (en) Pneumatic tire
KR102425078B1 (en) Tire
US20230001742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501301B1 (en)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ing line of tire
US11752801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