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814A - 핀치 밸브 - Google Patents

핀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814A
KR20220156814A KR1020227030215A KR20227030215A KR20220156814A KR 20220156814 A KR20220156814 A KR 20220156814A KR 1020227030215 A KR1020227030215 A KR 1020227030215A KR 20227030215 A KR20227030215 A KR 20227030215A KR 20220156814 A KR20220156814 A KR 2022015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ember
tube body
pinch valve
tubular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노부 사토
켄지 쿠로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22Hoses provided with integrated fixing means, e.g.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핀치 밸브(1)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관체(3), 가압부(4), 가압부(4)의 선단에 장착된 막대부재(6), 및 관체(3)의 외면에 형성되고 관체(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막대부재(6)를 관체(3)에 연결하는 연결부(35)를 구비하며, 막대부재(6)를 사이에 둔 가압부(4)에 의한 관체(3)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하여 관체(3)를 변형시키고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핀치 밸브
본 발명은 핀치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밸브부에 수용되는 관체, 관체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관체를 변형시키고 유로를 개폐시키는 가압부, 및 가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핀치 밸브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의 핀치 밸브에 있어서, 관체는 밸브부에서의 유지부재 내에 수용된다. 관체의 양단의 각각에는 환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관체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9-211081호 공보
관체는 오랜 기간을 통하여 가압부에 의한 가압 및 가압 해제가 반복됨으로써, 관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열화된다. 재료가 열화되면 가압부의 가압에 의한 전폐 후에 가압을 해제하여도 전폐 시에 접촉한 관체의 내면끼리 고착하거나, 관체의 형상이 충분히 복원하지 않거나, 관체가 소성변형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핀치 밸브의 불충분한 개폐 및 응답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개폐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핀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관체,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 장착된 막대부재, 및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막대부재를 상기 관체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막대부재를 사이에 둔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관체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하여 상기 관체를 변형시키고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막대부재가 원주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는 상기 막대부재를 스냅식으로 끼움 결합 가능한 끼움 결합 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 결합 요부에는 상기 막대부재와 걸림 가능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부재가 해당 핀치 밸브의 전폐 시의 변형 후의 상기 관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개폐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핀치 밸브를 제공한다는 공통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치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관체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관체 및 가압부의 조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관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가압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가압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관체의 유로의 개폐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도면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치 밸브(1)의 종단면도이다. 핀치 밸브(1)는, 밸브부(2),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밸브부(2)에 수용되는 관체(3)(튜브), 관체(3)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관체(3)를 변형시키고 유로를 개폐시키는 가압부(4), 가압부(4)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 및 가압부(4)의 선단에 장착된 원주 형상의 막대부재(6)를 갖는다.
구동부(5)는, 실린더(10), 실린더(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11), 피스톤(11)에 대향하여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2), 표시기(13), 및 캡(14)을 갖는다. 구동부(5)는, 에어 액추에이터이며, 도시되지 않은 공기 구멍에서 압축 공기를 실린더(10) 내로 공급하거나 실린더(10) 내에서 배기함으로써, 실린더(10) 내에서 피스톤(11) 및 가압부(4)를 승강시킬 수 있다. 구동부(5)는, 전동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고, 수동에 의한 핸들 또는 레버의 조작으로 가압부(4)를 승강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피스톤(11)의 선단에는 가압부(4)가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11) 상에 올린 표시기(13)가 피스톤(11)의 승강에 따라 실린더(10)에서 출몰한다. 따라서, 캡(14)을 통하여 표시기(13)의 출몰 상태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피스톤(11)의 위치, 나아가서 가압부(4)의 위치, 즉 핀치 밸브(1)의 개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핀치 밸브(1)는 각 부재 간을 실링하기 위하여 복수의 O링(예를 들어, O링(15))을 갖는다.
밸브부(2)는, 일체로 형성되고 관체(3)를 수용 가능한 원통형의 유지부재(20), 유지부재(20)의 양단에 배치되는 접속부재(21), 및 접속부재(21)와 함께 유지부재(20)의 양단에 나사 결합되는 캡너트(22)를 갖는다. 구동부(5)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하여 밸브부(2), 구체적으로는 유지부재(20)에 장착된다. 관체(3)는, 원통형의 관 본체(31), 및 관 본체(31)의 양단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32)를 가지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재(21)가 플랜지부(32)의 단면 및 유지부재(20)의 단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캡너트(22)가 유지부재(20)에 나사 결합된다.
핀치 밸브(1), 특히 밸브부(2)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0) 및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유리 충전 폴리프로필렌(PPG)으로 형성되고, 가압부(4) 및 피스톤(11)은 폴리아세탈(POM)로 형성되고, 유지부재(20), 접속부재(21) 및 캡너트(22)는 폴리염화비닐(U-PVC)로 형성되고, 표시기(13)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으로 형성되고, 캡(14)은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된다. 관체(3)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 또는 불소 고무(FKM)로 형성된다. 막대부재(6)는, 금속재료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가압부(4)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관체(3)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며, 도 2의 (b)는 도 1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관체(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부(32), 즉 본 실시예에서 도 1 중 좌측의 플랜지부(32)는, 관 본체(31)의 단부에서 만곡부(33)를 사이에 두고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의 축선 방향 바깥쪽을 향한 단면에는 접속부재(21)와 밀착하여 실링 효과를 발휘하는 환상의 실링 돌기(32a)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3)에서, 관체(3)의 외측, 즉 유로의 외측에 제1 곡면부(33a)가 형성되어 있고, 관체(3)의 내측, 즉 유로의 내측에 제2 곡면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같은 종단면도, 즉 관체(3)의 중심축선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제1 곡면부(33a)의 곡률 반경(R1)은 제2 곡면부(33b)의 곡률 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곡면부(33a) 및 제2 곡면부(33b)가 복수의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곡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최대 곡률 반경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제1 곡면부(33a)의 최대 곡률 반경이 제2 곡면부(33b)의 최대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33) 부근에서, 관 본체(31)의 두께(t1)가 플랜지부(32)의 두께(t2)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곡부(33)의 지름 방향 두께(t)가 관 본체(31) 측에서 플랜지부(32) 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만곡부(33)의 지름 방향 두께(t)는 관 본체(31)의 두께(t1)보다 작고, 플랜지부(32)의 두께(t2)보다 크다. 여기서, 만곡부(33)의 지름 방향 두께(t)란, 제1 곡면부(33a) 또는 제2 곡면부(33b)의 소정 위치에서의 접선에 대한 수직 방향의 두께로 정의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32)는, 관 본체(31)의 단부에서 모퉁이부(34)를 사이에 두고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퉁이부(34)에 있어서, 관체(3)의 외측에, 만곡부(33)와 마찬가지로, 제1 곡면부(33a)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R1)을 갖는 곡면부(34a)가 형성된다. 한편, 관체(3)의 내측에는 제2 곡면부(33b)에 대응하는 곡면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엄밀하게 말하면, 관체(3)의 내측에는 매우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부분을 가지며, 그 곡률 반경은 곡면부(34a)의 곡률 반경(R1)에 비하여 매우 작다. 또한, 곡면부(34a)의 소정 위치에서의 접선에 대한 수직 방향의 최대 두께(t3)는 관 본체(31)의 두께(t1) 및 플랜지부(32)의 두께(t2)와 비교하여 매우 크다.
도 2의 (a)에 도시된 만곡부(33)와 도 2의 (b)에 도시된 모퉁이부(34)를 비교하면, 형상 및 구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만곡부(33)는 모퉁이부(34)보다 강성이 낮으므로, 만곡부(33)를 지점으로 하여 플랜지부(32)를, 예를 들어 축선 방향으로 휘게 하기 쉽다. 따라서, 만곡부(33)가 형성된 관체(3)의 일단부는 모퉁이부(34)가 형성된 관체(3)의 타단부와 비교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쉽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2)의 두께(t2)를 관 본체(31)의 두께(t1)보다 작게 함으로써, 플랜지부(32)를 더 탄성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치 밸브(1)와 같이 유지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관체(3)를 유지부재(20)에 수용하기 위하여 관체(3)의 일단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유지부재(20) 내에 삽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립 시에 만곡부(33)가 형성된 관체(3)의 단부를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압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관체(3)를 유지부재(20)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랜지부(32)를 구비한 관체(3)를 유지부재(2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곡부(33)에서 제1 곡면부(33a) 및 제2 곡면부(3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변형 시의 응력이 분산되고, 응력의 집중에 의한 만곡부(33) 및 만곡부(33) 부근의 손상 등이 방지된다.
또한, 모퉁이부(34)는 강성이 높으므로, 모퉁이부(34)를 지점으로 하여 플랜지부(32)를, 예를 들어 축선 방향으로 휘게 하기 어렵고, 따라서 모퉁이부(34)가 형성된 관체(3)의 단부는 탄성변형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모퉁이부(34)가 형성된 관체(3)의 단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관체(3)를 유지부재(20) 내에 삽입하기가 어렵다. 무리하게 변형시키려고 하면, 관체가 손상되고 실링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관체(3)의 어느 하나의 단부를 유지부재(20) 내에 삽입하고 조립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관체(3)의 양쪽의 플랜지부(32)에 만곡부(33)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시에 단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관체(3)의 일단부에만 만곡부(33)를 형성함으로써, 관체(3)의 양쪽의 단부에 만곡부(33)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관체(3)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 관체(3)의 유로 측의 코어는, 유로의 중앙에 있어서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면에서 분할된 2개의 코어 반체로 구성된다. 이때, 제2 곡면부(33b)의 표면, 관 본체(31)의 표면, 및 플랜지부(32)의 표면은 연속적인 면이므로, 기능상의 문제는 없지만, 인서트 파팅 라인이 형성되면 눈에 띈다. 그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만곡부(33)가 형성되는 측의 코어 반체는 큰 금형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한편, 모퉁이부(34)는 대략 직각의 모퉁이이므로, 그 선단에 맞추어 인서트 파팅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면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만곡부(33)가 형성되지 않는 측의 코어 반체는 모퉁이부(34)에 상당하는 부분에 인서트 파팅 라인이 배치되도록 분할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부(33)가 형성되지 않는 측의 코어 반체는 만곡부(33)가 형성되는 측의 코어 반체보다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플랜지부(32)에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33)를 형성한 관체(3)의 구성은, 핀치 밸브 외의 유사한 구성을 갖는 밸브,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다른 밸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관체(3)의 사시도이며, 도 4는 관체(3) 및 가압부(4)의 조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관체(3)는, 관체(3)의 외면, 즉 관 본체(31)의 외면에 형성되고, 관체(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막대부재(6)를 관체(3)에 연결하는 연결부(35)를 더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부(35)에는 막대부재(6)를 삽입 가능하고 관체(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5)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36)이 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연결부(35)는 관 본체(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부(2)에 있어서, 관체(3) 및 가압부(4)를 조립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관체(3)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유지부재(20) 내에 수용한다. 다음으로, 연결부(35)의 관통공(36) 내에 막대부재(6)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가압부(4)의 선단에 막대부재(6)를 장착함으로써 관체(3) 및 가압부(4)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5는 관체(3)의 횡단면도이다. 연결부(35)의 관통공(36)의 내면은 원주 형상의 막대부재(6)에 대응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6)의 내면에 있어서, 관 본체(31) 측의 면에는 관통공(3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탄면(37)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37)이 형성됨으로써, 관통공(36)의 입구부(36a)와 관 본체(31)의 외면과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조립 시에 막대부재(6)를 관통공(36) 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가압부(4)의 정면도이며, 도 7은 가압부(4)의 횡단면도이다. 가압부(4)의 선단에는 막대부재(6)를 스냅식으로 끼움 결합 가능한 끼움 결합 요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 결합 요부(41)는, 연결부(35)를 수용하도록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1 요부(42), 및 제1 요부(42)를 사이에 두고 동일선상에 연장되어 막대부재(6)를 수용하도록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2 요부(43)로 이루어진다. 제2 요부(43)의 양단부에서만 막대부재(6)와 걸림 가능한 한 쌍의 걸림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돌기(44)는 제2 요부(43)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돌기(44) 간의 간격은 원주 형상의 막대부재(6)의 지름보다 작다. 한편, 제2 요부(43)에 있어서, 걸림 돌기(4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가장자리의 간격은 원주 형상의 막대부재(6)의 지름보다 크다. 조립 시에 원주 형상의 막대부재(6)에 대하여 가압부(4)를 밀어넣으면, 막대부재(6)는 제2 요부(43)에서 한 쌍의 걸림 돌기(44)가 이격되도록 탄성변형시키므로, 막대부재(6)를 스냅식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부(4), 막대부재(6), 및 막대부재(6)가 연결하는 관체(3)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8은 관체(3)의 유로의 개폐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8의 (a)는 핀치 밸브(1)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의 (b)는 핀치 밸브(1)의 전폐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관체(3), 가압부(4) 및 막대부재(6) 외의 핀치 밸브(1)의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핀치 밸브(1)는 막대부재(6)를 사이에 둔 가압부(4)에 의한 관체(3)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하여 관체(3)를 변형시키고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4)는 막대부재(6)를 사이에 두고 관체(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압부(4)에 의한 관체(3)의 가압 시에는 막대부재(6)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관체(3)를 가압한다. 이때, 연결부(35)에 대하여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한편, 가압부(4)에 의한 관체(3)의 가압 해제 시, 예를 들어 피스톤(11)을 상승시키면, 가압부(4)가 상승하고 가압부(4)와 끼움 결합되는 막대부재(6)가 연결부(35)를 사이에 두고 관 본체(31)를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그 결과, 핀치 밸브(1)를 확실하게 전개 상태로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핀치 밸브(1)를 전개 상태로 하기 위하여 관 본체(31)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때, 막대부재(6)가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끼움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걸림 돌기(44)의 형상, 배치 및 사이즈가 적절히 설계된다. 걸림 돌기(44)의 설계 시에 핀치 밸브(1)의 사용 조건, 유체 압력, 관체(3)의 재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관체(3)를 구성하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가 경년으로 인하여 열화되어 관체(3)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의 저하, 관체(3)의 소성변형 및 전폐 시에 접촉한 관체(3)의 내면끼리의 고착 등이 발생하여도 핀치 밸브(1)의 개폐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5)에 대하여, 가압부(4)에 의한 관체(3)의 가압 시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가압 해제 시에만 관 본체(31)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때 인장 방향의 부하가 걸린다. 따라서, 연결부(35)의 열화 또는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치 밸브(1)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핀치 밸브와 비교하여 막대부재(6) 및 연결부(35)를 부가한 것과 같은 구성이지만, 핀치 밸브로서 전체 크기를 거의 변경시키지 않고 확실한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막대부재(6)는 전폐 상태에 있는 변형 후의 관체(3)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부재(6)가 전폐 상태에 있는 변형 후의 관체(3)의 폭보다 짧으면, 막대부재(6)의 양단부의 가장자리가 관 본체(31)의 표면과 접촉하여 관체(3)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막대부재(6)가 전폐 상태에 있는 변형 후의 관체(3)의 폭보다 길면, 유지부재(20)의 내면 또는 기타 부재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만일 관 본체(31)와 접촉한 경우에 막대부재(6)에 의한 관체(3)의 손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막대부재(6)의 단부의 가장자리를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막대부재(6)를 관체(3)에 연결하는 연결부(35)를 갖는 구성을, 일체로 형성된 유지부재(20) 외에, 예를 들어 2개의 반체로 이루어진 분할된 부재로 형성된 유지부재를 갖는 핀치 밸브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막대부재(6)는, 원주 형상이 아닐 수 있고, 다각주 형상일 수 있다. 막대부재(6)를 끼움 결합 외에 체결 등에 의하여 가압부(4)의 선단에 장착할 수 있다.
1 핀치 밸브
2 밸브부
3 관체
4 가압부
5 구동부
6 막대부재
10 실린더
11 피스톤
12 베이스 플레이트
13 표시기
14 캡
15 O링
20 유지부재
21 접속부재
22 캡너트
31 관 본체
32 플랜지부
33 만곡부
33a 제1 곡면부
33b 제2 곡면부
34 모퉁이부
35 연결부
36 관통공
41 끼움 결합 요부
42 제1 요부
43 제2 요부
44 걸림 돌기

Claims (4)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관체,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 장착된 막대부재, 및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막대부재를 상기 관체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막대부재를 사이에 둔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관체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하여 상기 관체를 변형시키고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가 원주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는 상기 막대부재를 스냅식으로 끼움 결합 가능한 끼움 결합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핀치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 요부에는 상기 막대부재와 걸림 가능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핀치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가 해당 핀치 밸브의 전폐 시의 변형 후의 상기 관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핀치 밸브.
KR1020227030215A 2020-03-26 2021-03-09 핀치 밸브 KR20220156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6048 2020-03-26
JP2020056048A JP2021156339A (ja) 2020-03-26 2020-03-26 ピンチバルブ
PCT/JP2021/009245 WO2021193011A1 (ja) 2020-03-26 2021-03-09 ピンチバルブ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814A true KR20220156814A (ko) 2022-11-28

Family

ID=778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215A KR20220156814A (ko) 2020-03-26 2021-03-09 핀치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13125A1 (ko)
EP (1) EP4130528A4 (ko)
JP (1) JP2021156339A (ko)
KR (1) KR20220156814A (ko)
CN (1) CN115335621A (ko)
TW (1) TW202202763A (ko)
WO (1) WO2021193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6460A (zh) * 2023-02-21 2023-05-02 临沂市兴华医用器材有限公司 一种医用导管输注用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081A (ja) 2018-05-31 2019-12-12 旭有機材株式会社 ピンチ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9931A (en) * 1959-02-05 1961-04-18 Philco Corp Washing machine with washing-aid dispenser
US3197173A (en) * 1960-07-12 1965-07-27 John H Van Dyke Pinch valve
CH420760A (fr) * 1964-02-03 1966-09-15 Gomez Teodosio Diaz Vanne
US3744524A (en) * 1970-09-08 1973-07-10 R Blau Flexible pinch valve for conveying dry materials and slurries
JPS54119928U (ko) * 1978-02-13 1979-08-22
JPS57194U (ko) * 1980-05-30 1982-01-05
US4326695A (en) * 1981-01-15 1982-04-27 Lincoln Edgar B Positive opening device for pinch valve sleeves
US6394411B1 (en) * 2000-12-08 2002-05-28 Acornvac, Inc. Extractor valve assembly
WO2005052419A1 (en) * 2003-11-04 2005-06-09 Crane Process Flow Technologies Limited Diaphragm valve
US8567751B2 (en) * 2010-08-06 2013-10-29 Asepco Inline aseptic valve
FI123977B (fi) * 2011-10-21 2014-01-15 Auto Nikkinen Letkuventtiili
EP3444508A1 (de) * 2017-08-17 2019-02-2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Quetschventil
EP3805619A4 (en) * 2018-05-31 2022-03-02 Asahi Yukizai Corporation PINCH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081A (ja) 2018-05-31 2019-12-12 旭有機材株式会社 ピンチ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528A1 (en) 2023-02-08
US20230213125A1 (en) 2023-07-06
EP4130528A4 (en) 2024-03-27
CN115335621A (zh) 2022-11-11
JP2021156339A (ja) 2021-10-07
WO2021193011A1 (ja) 2021-09-30
TW202202763A (zh) 202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75B1 (en) Cartridge valve and manifold assembly
WO2009126020A1 (en) Electromagnet valve with groove, provided with a projecting seat edge, for locking of a sealing element
WO2008029699A1 (fr) Structure de scellement étanche pour un dispositif hydraulique
US10670053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JP7377009B2 (ja) ピンチバルブ
CN113646562A (zh) 隔膜及隔膜阀
KR20220156814A (ko) 핀치 밸브
JPS63270984A (ja) ボール弁
US9803767B2 (en) Fluid device unit
KR20210015764A (ko) 핀치 밸브
EP1996848A1 (en) Dual seal valve
KR970703491A (ko) 피스톤 펌프(Piston pump)
KR20220156530A (ko) 핀치 밸브
US4800920A (en) Pinch valve
JPH11280927A (ja) 逆止弁
KR102357776B1 (ko) 밸브
CN220505895U (zh) 一种单向阀
CN219529838U (zh) 一种控制阀
EP3308032B1 (en) Fluid pressure cylinder
CN212745175U (zh) 一种气体阀
KR102490021B1 (ko) 부식방지 밸브
TW202319671A (zh) 控制閥
JP2019210964A (ja) ピンチバルブ
EP0156886A1 (en) Spring loaded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