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801A -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801A
KR20220156801A KR1020227023625A KR20227023625A KR20220156801A KR 20220156801 A KR20220156801 A KR 20220156801A KR 1020227023625 A KR1020227023625 A KR 1020227023625A KR 20227023625 A KR20227023625 A KR 20227023625A KR 20220156801 A KR20220156801 A KR 20220156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elastic
layer
adhesive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켈리 제이. 리프먼
제스퍼 잭슨
존 에이. 제페다
필립 제이. 워들로
류벤 이. 라스라도
Original Assignee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만성적인 주사 부위에서 또는 유치 카테터 또는 캐뉼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개구 및 선택적인 표시를 갖는 책 모양 패키징,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가 대상에 드레싱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카테터 또는 캐뉼라와 개구가 정렬된다. 패키징,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는 탄성 드레싱에서 변형력을 적용 및/또는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10일자 제출된 미국 가출원 No. 62/946,345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미국특허 No. 8,592,640, 미국특허 No. 9,248,048, 미국특허 No. 9,844,470, 및 미국출원 No. 15/842,794와 관련되며, 이들은 그 전체가 여기 참고로 포함된다.
피부 손상으로 인한 흉터 형성은 자연스런 상처 치유 과정의 일부이다. 상처 치유는 길고 긴 연속 과정이지만, 통상은 단계별로 일어난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 과정은 손상 직후 시작되며 염증 단계를 동반한다. (상처에 따라서) 2일에서 1주까지 지속되는 이 단계 동안 손상된 조직과 외부 물질이 상처로부터 제거된다. 염증 단계 후 증식 단계로 진행하는데, 이것은 섬유아세포 증식과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 생성을 특징으로 한다. 증식 단계 동안 세포외 바탕질이 합성되어 상처가 구조적으로 완전해진다. 증식 단계는 상처의 성질에 따라서 통상 약 4일에서 수 주간 지속되며, 이 단계 동안 일반적으로 비대성 흉터가 형성된다. 마지막 단계는 재형성(remodeling) 단계라고 부른다. 재형성 단계 동안 앞서 구축되고 무작위로 조직된 바탕질이 고도로 가교되고 정렬된 기계적 강도가 증가한 조직화된 구조로 재형성된다.
비대성 흉터를 특징짓는 조직학적 특징들은 잘 정리되어 있지만, 근본적 병리생리학은 아직 잘 모르고 있다. 비대성 흉터는 과도한 상처 치유의 부작용이며, 일반적으로 세포,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과도한 생성을 초래한다. 전형적으로 이런 흉터는 융기되며, 조직 다발들의 무작위적인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 흉터의 외형(즉, 크기, 모양 및 색)은 이들이 형성된 신체 부분 및 상처입은 사람이 해당하는 민족에 따라서 다양하다. 비대성 흉터는 매우 흔하며, 피부에 충분한 두께의 손상이 있은 후에 일어날 수 있다. 최근 본원에 전체가 참고자료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6/0037091호(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1/135,992호, "Method for Producing Hypertrophic Scarring Animal Model for Identification of Agen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Hypertrophic Scarring," 2005년 5월 24일 제출)에서 기계적 응력이 뮤린 모델에서 비대성 흉터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켈로이드는 전형적으로 민감한 개체에서 진피와 인접 피하 조직에서 발생하는 매우 과형성된 덩어리들로 구성된 종양으로 특정되며, 가장 흔하게는 외상 후에 생긴다. 켈로이드는 대체로 비대성 흉터보다 더 심각한데, 비대성 흉터는 원래 흉터 경계 안에 국한되어 유지되지만 켈로이드는 정상 인접 조직을 침범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흉터 조직은 제한은 아니지만 성장 호르몬 주사,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및 당뇨병을 포함하는 만성적인 건강 문제의 치료를 위해 채혈이나 치료제의 주사 또는 주입을 위해 반복된 바늘 삽입이 필요한 환자 등에서 반복적인 조직 손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또 유치 카테터 또는 바늘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치료 또는 진단 과정 또는 장치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제한은 아니지만 상처 치료 또는 흉터 및/또는 켈로이드의 치료, 완화 또는 방지를 포함하여 피부 부위에서 피험자의 치료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것은 피부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 특성을 조작하거나, 또는 피부를 응력(stress)으로부터 차폐하고 및/또는 피부 부위나 근처에서, 즉 피험자의 피부의 상처 또는 치료 부위나 인접한 곳에서 표피 및 진피 조직의 층들을 제어 가능하게 압박하거나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흉터 조직 형성의 영향은 미용 효과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는 만성적인 주사 부위에서 흉터 조직 및/또는 지방비대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지방비대증은 증가된 지방조직 형성이며, 이것은 만성적인 국소 인슐린 주사로 인한 지방세포에 대한 비대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비대증은 인슐린의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직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인슐린 주사 또는 주입 속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슐린 펌프를 사용한 전형적인 주입은 며칠마다 송달 부위(예를 들어, 복부, 팔, 엉덩이, 허벅지)에 캐뉼라 또는 바늘을 배치하는 것을 수반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피부와 피하 구조에 지방이영양증성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것은 예측할 수 없거나 불규칙한 인슐린 흡수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환자는 지방비대증으로 인해 신체에서 이용가능한 주입 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지방비대증 및 지방이영양증의 효과는 인슐린 자체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주입 위치의 긴장 완화가 또한 이러한 인슐린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주입 부위의 변동성 및/또는 전체적인 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다. 이것은 섬유증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혈관신생을 개선하고, 및/또는 삽입 부위 밑이나 주변에서 조직을 관류하는 것에 대한 혈관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피부 긴장의 변화 및/또는 인장된 드레싱 또는 드레싱 구성요소의 증가된 접착 특성은 주입 세트 또는 센서의 사용가능한 지속기간을 2-3일에서 4-7일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다. 또한, 이것은 주사/주입 부위(들)에서 염증의 크기, 표면적, 깊이, 및/또는 중증도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당뇨병 치료법에서 주사 및/또는 주입 부위의 치료는 흉터 조직 또는 지방비대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별개로 다른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주사 부위의 치료 및/또는 피부 장력(tensioning) 장치를 사용하여 이미 치료된 부위에 주사하는 것은 기계적 환경을 변경함으로써 주사 부위에서 인슐린의 분산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서 인슐린 누출은 피부 표면에서 증가된 기계적 압력 때문에 감소될 수 있고, 이것은 장력 장치에 의해 조직에 발생된 압력 구배 때문에 조직으로 더 깊이 주사된 치료제를 전달할 수 있다. 피부 긴장 치료의 이러한 또는 다른 기계적 효과는 단위 주사당 인슐린 볼루스 부피 및/또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계적 조절 효과는 개선된 인슐린 흡수, 일, 주 및/또는 월 기준의 감소된 평균 총 인슐린 투약량, 및/또는 개선된 일, 주 및/또는 월 기준의 혈당 타임인레인지(time-in-range, TIR), 감소된 고혈당증 빈도 또는 정도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장력 장치는 통각수용기의 기계적 조절 결과로서 주사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조직의 기계적 안정화의 결과로서 감염 위험 및/또는 폐색으로 인한 펌프 알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기계적 또는 물리적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응력은 정상 피부 및 조직이 경험하는 것 이하의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응력은 정상 피부 및 조직이 경험하는 것 이상의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응력 또는 변형력(strain)은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에서 주변 조직에 적용되며, 이로써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에서 해당 피부 부위에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응력을 조작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피부 및/또는 상처 및 주변 조직이 경험하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조작함으로써 피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처 열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에 따라서, 피험자의 피부 또는 조직의 하나 이상의 층에 적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는 피부 치료 장치, 피부 장치, 상처 치료 장치, 흉터 또는 켈로이드 치료 장치, 흉터 또는 켈로이드 완화 또는 방지 장치, 붕대 또는 드레싱이 제공될 수 있다(이후 "드레싱", "피부 장치" 또는 "피부 치료 장치"라고 한다).
흉터 형성의 완화에 더하여, 이러한 피부 치료 장치의 다른 용도는,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여드름, 결점, 주사비, 사마귀, 발진(제한은 아니지만 홍반, 반점, 구진 및/또는 수포 상태를 포함한다), 건선, 피부 자극/민감성, 이통, 말초혈관확장증, 검붉은 모반 및 다른 동정맥기형, 및 이소성 피부염의 치료; 기존 흉터, 주름, 임신선, 늘어지거나 처진 피부 또는 다른 피부 불균형의 치료 또는 개선; 다양한 목적의 스킨 리프팅, 피닝, 홀딩, 무빙, 예를 들어 수술 전 준비 동안, 수술 과정 동안 예를 들어 견인기로서, 바늘이나 카테터 삽입 동안 혈관 안정화를 위해, 수술 후,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피부의 예비 치료나 예비 컨디셔닝을 위해, 예를 들어 흉터 교정, 상처 절개, 전신 체형성형 전에, 유방절제술 피부 확장, 미용상의 피부 치료 또는 재생, 이 경우 국소 또는 진피하, 에너지 사용 또는 미사용,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고주파 삭마, 고강도 집중 초음파, 레이저, 적외선, 비간섭광 사용 가능, 체중감량 동안, 또는 미용 목적을 위한 것; 모발 제거 또는 모발 손실; 피부 손상, 예를 들어 절개, 상처, 만성 상처, 욕창, 궤양(정맥성 궤양)의 치료 및/또는 봉합, 상처 열개, 당뇨성 피부 또는 상처 발생의 예방 또는 감소, 화상 치유 및/또는 완화; 폐색성 또는 음압식 상처 드레싱으로 작용; 절개부 또는 상처 보호, 예를 들어 갈라지거나 열리는 것 방지, 탯줄 절단 후 새로 생긴 배꼽 보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이러한 장치와 함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약물 또는 다른 치료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제한은 아니지만 항생제, 항진균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조정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면역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제한은 아니지만 분말, 젤, 로션, 크림, 페이스트, 현탁액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형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피부에 또는 피부를 통해 약물을 송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피부를 신장(stretch)시키고 거기에 약물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의 상이한 형태들은 상이한 신체 영역의 크기 또는 기하구조에 잘 따를 수 있다. 치료는 어떤 모양(예를 들어, 직선, 곡선, 성상형), 크기 또는 깊이의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고, 제한은 아니지만 두피, 이마, 안면(예를 들어, 코, 눈꺼풀, 뺨, 입술, 턱), 귀, 목, 어깨, 상완, 하완, 손바닥, 손등, 손가락, 조상, 겨드랑이, 가슴, 유두, 유륜, 등, 배, 서혜부, 엉덩이, 회음부, 음순, 음경, 음낭, 허벅지, 하퇴, 발바닥, 발등 및/또는 발가락을 포함하는 신체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본원에서 "드레싱", "피부 장치" 또는 "피부 치료 장치"라고 언급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드레싱의 즉각적인, 빠른 또는 간단한 적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또는 방법은 드레싱의 준비 및/또는 피부에 적용 및 피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또는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의 분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또는 방법은 패키지,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각각 드레싱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함유, 거치, 보유 또는 지지할 수 있고; 적용을 위해 드레싱을 준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드레싱을 송달, 배향 또는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압박된 또는 변형된 형태로 드레싱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드레싱을 압박하거나 변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패키지,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로부터 드레싱을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치료 위치에 추가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드레싱을 적용하는 동안이나 이후에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치료 위치에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접착 라이너가 릴리즈되는 동안이나 이후에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상기 조립체는 드레싱의 접착제가 자신에 달라붙는 정도까지 드레싱이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이 캔틸레버 형태로서 드레싱의 한 지점에 또는 한쪽 엣지를 따라 거치되거나 지지될 때, 해당 드레싱은 자신의 질량이나 형태 하에서 반 접히거나, 횡측으로 변형하거나, 또는 평면을 벗어나 변형하지 않을 것이다.
본원의 장치 및 방법의 일부 다른 변형에서, 장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지지 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장치 및 지지 구조의 두 대향하는 엣지가 축 압축 또는 횡측 변형을 일으키는 압축 하중 하에 위치될 때, 예를 들어 손 파악력과 유사한 힘이 장치의 엣지에 적용될 때 장치가 찌그러지거나 접히기 전에 구부러지는 것이나 칼럼 강도에 대해 특정 저항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굽힘에 대한 저항성은 장치 및 지지 구조가 그것의 원 치수의 25%까지 압축되지 않고 압축될 때 달성되는 피크 힘(peak force)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이 칼럼 강도 또는 강성은 측정중인 장치 및 지지 구조를 따른 방향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피크 힘은 적어도 약 0.02 뉴턴/밀리미터(N/mm), 약 0.03 N/mm, 약 0.05 N/mm, 약 0.1 N/mm, 약 0.15 N/mm, 약 0.2 N/mm, 약 0.3 N/mm, 약 0.4 N/mm 또는 약 0.5 N/mm이다. 두께가 있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인 장치 및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의 일부 변형에서, 피크 힘은 장치/지지 구조의 두께를 횡단하는 장치/지지 구조의 최단 치수를 따라 압축력을 적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서, 장치는 예를 들어 1:1, 2:1 또는 3:1을 넘는 길이 대 너비의 애스팩트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드레싱 변형력의 방향에서 굽힘에 대한 저항성이 세 지점 굽힘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주어진 거리만큼 이격되거나 벌어져 지지된 두 곳의 외부 지점에서 단순히 지지된 어플리케이터의 중심점에 횡단력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샘플의 두 지점 간의 거리는 대략 0.75 인치일 수 있고, 약 1 내지 1.25 파운드 범위의 힘이 대략 0.35 인치 너비의 샘플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약 0.05 인치의 휨이 발생한다. 또한, 굽힘에 대한 저항성은 단순히 지지된 빔에 찌그러짐이 발생하는 힘을 특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0.45 파운드의 힘이 단순히 지지된 대략 0.35 인치 너비의 샘플에 적용될 수 있고, 그 결과 약 0.004 인치의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굽힘에 대한 저항성은 파괴 또는 영구 변형 전에 외부 표면의 변형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시험 과정 동안 지지 구조 및 편향의 측정값을 선택해서 하중 휨 곡선을 작성할 수 있고, 또한 지지 구조의 굽힘 탄성률(flexural modulus)이 계산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지지 구조는 적어도 약 0.9 GPa의 굽힘 탄성률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굽힘 탄성률이 적어도 약 1 GPa, 적어도 약 1.1 GPa, 적어도 약 1.2 GPa, 적어도 약 1.3 GPa, 또는 적어도 약 1.4 GPa이다.
다른 예에서, 7cm 너비 19cm 길이의 장치는 판지, 지지 시트 또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약 0.008" 내지 약 0.028"의 범위 또는 그 이상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특정 변형에서, 지지 구조는 약 0.012", 약 0.016", 약 0.018", 약 0.024", 약 0.28", 약 0.032", 약 0.036", 약 0.04", 약 0.05"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19cm 길이의 길이 방향 엣지를 따라, 즉 장치의 7cm 너비를 가로질러 힘을 적용했을 경우 지지 구조는 약 3 파운드 이상, 4 파운드 이상, 또는 약 10 파운드 이상의 피크 힘을 달성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 또는 칼럼 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 7cm 너비를 따라 25%까지 압축, 붕괴, 반 접힘, 찌그러짐 또는 다르게 변형된다. 일부 변형에서, 지지 구조는 적어도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에서 그것을 일부 굽힐 수 있도록 새김금 또는 두께가 감소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장치는 길이의 한 엣지로부터 길이의 반대편 엣지까지(또는 너비의 한 엣지로부터 너비의 반대편 엣지까지) 연장된 복수의 지지 십자형 요소 또는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3개 이상의 십자형 요소가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 대향하는 엣지를 따라 연장되고, 너비(또는 길이)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십자형 요소와 너비(또는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두 대향하는 엣지를 따라 있는 십자형 요소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십자형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십자형 요소들은,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재료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십자형 요소들은 대향하는 엣지의 길이에 대해 약 20% 이상, 약 25% 이상,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의 총 합계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반대편의 길이에 대해 총 합계 너비가 약 20% 내지 100%인 하나 이상의 십자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십자형 요소들은 세그먼트화될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는 가용성을, 다른 방향에서는 상기 가요성에 대해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는 피험자의 피부에 배향되고 및/또는 적용될 때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 또는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및 패키지는 상처 장치가 적용 준비되기 전후에, 예를 들어 접착 라이너가 제거되기 전후에 상처와 마주한 위치에 미리 배향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장치를 피험자의 피부에 배향하고 및/또는 적용하는데 한 손을 사용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상황들에서, 특히 더 길거나 큰 드레싱이 사용되는 경우,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가 준비된 드레싱을 한 손을 사용해서 효과적으로 손 위에 놓고 조작하고 및/또는 적용할 수 있도록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조립체는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드레싱 지지 구조는 본원에서 피험자에게 적용될 드레싱의 뒷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지지 구조는 피험자에게 적용될 드레싱보다 더 강성인 재료나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단일 기판, 라미네이트 또는 함께 결합되고/되거나 드레싱에 결합된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길이 또는 너비의 적어도 20%, 25%, 30%, 35% 또는 40%가 드레싱의 길이 또는 너비를 따라 제1 대향 측면부터 반대편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지지 구조(들)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 또는 너비의 퍼센트는 장치의 전체 길이 또는 전체 너비를 가로지른 최소 평균 지지이며, 예를 들어 장치 전체 치수, 예를 들어 길이 또는 너비를 가로질러 적어도 20%, 25%, 30%, 35% 또는 40%가 평균 지지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전체 면적이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베이스, 캐리어 또는 지지체는 드레싱의 대향하는 측면들 사이에 횡단 연장된 적어도 3개의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지지 구조는 상호 연결된 부재들 또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베이스, 캐리어 또는 지지체는 그것이 적용되었을 때 드레싱에 결합되어 유지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에는 제1 방향에서 더 큰 구조적 지지가 제공되고, 제2 방향에서 더 큰 가요성이 제공되며, 제1 방향에서 더 적은 가요성이 제공되고, 제2 방향에서 더 적은 구조적 지지가 제공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는 제1 대향 측면의 엣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대향 측면의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대편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지지 구조는 드레싱 엣지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적어도 3mm 연장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피험자의 상처에 드레싱의 멸균 전달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충분히 더 넓거나 길 수 있고, 또는 드레싱보다 충분히 더 큰 면적을 가져서 지지체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조작하거나 조종하는 능력을 제공하며, 이로써 드레싱을 만질 필요 없이 멸균 적용 및/또는 한 손 적용을 제공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의 바깥쪽 엣지에서 베이스에 지지된 드레싱이나 드레싱 위의 접착제까지 간격 여유분이 제공된다. 이러한 여유분은 사용자가 엣지를 잡고서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어플리케이터 또는 베이스를 조작할 때 드레싱이나 드레싱 접착제가 손에 닿는 것을 방지하거나 막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흉터 및/또는 켈로이드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것은 탄성 피부 치료 장치에 미리 정해진 변형력을 생성하고 및/또는 유지한 다음, 피부 접착제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에 고정해서 일반적으로 평면 힘(예를 들어, 압축력)을 붕대에서 피부 표면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상부면, 하부면, 제1 엣지 및 제1 엣지 반대편의 제2 엣지를 포함하는 탄성 시트 구조(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재료를 포함하는), 및 하나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는 드레싱이 제공된다. 상기 드레싱은 접착제 영역 또는 영역들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릴리즈 라이너를 포함한다. 접착제 영역(들)은 압력 감응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은 점감형일 수 있거나, 또는 엣지에서 피부 장력을 감소시키는 모양일 수 있다. 드레싱은 엣지에서 피부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엣지 근처에서 변형되거나, 축소되거나, 또는 접착제가 없을 수 있다. 드레싱의 일부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이 적용되는 피부의 특정 영역에서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특정 예에서, 미변형 영역 또는 영역들은 드레싱의 엣지와 변형된 영역(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일부 추가 예들에서, 미변형 영역들은 이 영역에 국한되며, 적용 또는 사용 도중에는 단일 드레싱의 변형된 영역들 사이에서 사용시 발견되지 않는다. 또 다른 추가 예들에서, 미변형 영역들은 변형된 영역(들)의 변형 축과 교차하는 드레싱의 엣지를 따라 있는 영역들에 국한되며, 변형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는 드레싱의 엣지를 따라 있는 영역은 아니다.
패키지 장치, 드레싱 캐리어, 드레싱 지지체, 드레싱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드레싱 캐리어, 드레싱 지지체, 드레싱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는 피험자에 적용하기 전에 드레싱을 압박하고 및/또는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드레싱을 변형하고 및/또는 드레싱에 대한 변형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변형에서, 제2 장치 부착 구조, 구역 또는 영역, 제2 장치 부착 구조, 구역 또는 영역, 및 제1 및 제2 장치 부착 구조, 구역 또는 영역들 사이에 분리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구조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드레싱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부재 또는 메커니즘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해제 가능한 잠금 메커니즘, 부착 메커니즘 또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상처에 압축력의 적용은 출혈을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패키지,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는, 예를 들어 드레싱이 적용되는 동안이나 이후에 장치를 사용하여 압축력을 적용함으로써 출혈이 줄어들도록 돕기 위해서 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응고촉진 첨가제가 드레싱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양태에 따라서, 패키지,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는 적어도 한 방향에서 충분히 강성이거나 지지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의 형태를 조작하기 쉽게 유지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는 또한 적어도 한 방향에서 드레싱의 곡선이나 모양이 드레싱이 적용되는 신체 또는 피부 상의 장소의 곡률 또는 형상에 합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요성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부위에 드레싱을 합치시키는데 사용되는 패키지의 가요성은 드레싱의 적용 동안 치료 부위가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은 피부 위에 비교적 매끄럽거나 균일하게 적용되고, 및/또는 피부의 영역에 균일한, 미리 정해진, 또는 비교적 예측 가능한 변형력 또는 힘을 제공한다.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제1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다른 방향으로는 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인접 요소 또는 세그먼트에 대해서 가요성을 허락하는 요소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는 또한 적어도 한 방향에서 드레싱의 곡선이나 모양이 드레싱이 적용되는 신체 또는 피부 상의 장소의 곡률 또는 형상에 합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요성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부위에 드레싱을 합치시키는데 사용되는 패키지의 가요성은 드레싱의 적용 동안 치료 부위가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이로써 드레싱은 피부 위에 비교적 매끄럽거나 균일하게 적용되고, 및/또는 피부의 영역에 균일한, 미리 정해진, 또는 비교적 예측 가능한 변형력 또는 힘을 제공한다.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제1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제2 방향으로는 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은 변형 방향을 횡단할 수 있거나, 또는 변형 방향을 횡단하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은 변형 방향일 수 있거나, 또는 변형 방향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대해 횡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인접 요소 또는 세그먼트에 대해서 가요성을 허락하는 요소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소정의 가요성, 예를 들어 변형 방향을 횡단하는 적어도 한 성분을 갖는 것은 변형된 캔틸레버형 빔 굽힘 모델에 의해 특정될 수 있으며, 즉 나머지 단부로부터 단순히 지지된, 빔의 자유 단부에 힘을 적용한 상태에서 기지의 곡률 반경 또는 곡률 반경의 역수로서 정의되는 곡률을 가진 원통형 물체의 둘레를 감싼다. 한 변형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진 물체의 둘레를 따라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굽히는 힘은 약 3 파운드 이하일 수 있다. 한 변형에 따라서, 상기 힘은 약 0.3 파운드 이하일 수 있다. 한 변형에 따라, 약 2.5 인치 반경의 미리 정해진 곡률의 둘레를 따라 굽히는 힘은 약 3 파운드 이하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라, 약 2.5 인치 반경의 미리 정해진 곡률의 둘레를 따라 굽히는 힘은 약 0.3 파운드 이하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내면을 가진 베이스, 및 초기의 닫힌 형태일 때 베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내면을 가진 커버 또는 뚜껑을 포함하는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베이스 및 커버는 이들의 상응하는 길이를 따라 상응하는 엣지에서 결합되며, 이로써 책 모양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커버가 베이스에 대해 회전되어 장치를 열 수 있다. 또는 달리, 커버는 베이스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라이너가 커버에 부착되고, 커버가 들어 올려지거나 열렸을 때는 드레싱의 접착면이 노출될 것이다.
일부 변형에서, 책 모양 구조는 닫힌 형태일 때 커버/뚜껑, 치료 장치 및 베이스를 이 상대적 순서로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포함하고, 개방 형태일 때는 층상 구조의 상대적 순서가 커버/뚜껑, 베이스 및 치료 장치로 바뀐다. 치료 장치는 또한 하나 이상의 릴리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변형에서, 닫힌 형태일 때 커버/뚜껑의 제1 면은 치료 장치의 제1 면과 접촉하고, 베이스의 제1 면은 치료 장치의 제1 면 반대편의 제2 표면과 접촉하는 한편, 개방 형태일 때는 커버/뚜껑의 제2 면(커버/뚜껑의 제1 면의 반대편)이 베이스의 제2 면(베이스의 제1 면의 반대편)과 접촉하고, 치료 장치의 제1 면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일부 변형에서, 커버/뚜껑은 치료 장치의 인장 동안이나 이후에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치료 장치는 책 모양 구조의 굽힘 영역에 대해서 책 모양 구조에 비대칭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대칭 부착은 드레싱을 인장할 때 사용자에게 기계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드레싱에 사용되는 탄성 재료의 양을 최적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 또는 피부 치료 장치는 책 모양 구조의 굽힘 영역에 대해서 책 모양 구조에 비대칭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표면에 드레싱을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내면 및 조작부를 가진 베이스 구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피험자의 피부 또는 상처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드레싱; 및 드레싱의 제1 표면을 제거 가능하게 커버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드레싱 패키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싱의 뒷면은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되고, 제1 표면은 베이스 구조의 내면과 이격되어 마주한다. 방법은 커버를 제거하여 드레싱의 제1 표면을 노출하는 단계; 및 베이스 구조의 조작부를 사용하여 드레싱의 제1 표면을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상처 치료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1 미변형 영역과 제2 미변형 영역 사이에서 탄성 붕대의 내부 영역을 변형하는 단계, 및 드레싱의 적어도 변형된 내부 영역을 피부 부위에 부착하거나, 또는 변형된 영역과 미변형 영역을 모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패키지 조립체는 내면을 갖는 베이스 구조; 베이스 구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대향면을 갖는 커버 구조; 및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며, 상기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 구조는 대향면이 드레싱의 제1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하는 제1 위치에서 대향면이 드레싱의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드레싱 위의 접착제 영역과 접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의 대향면은 커버 구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접착제 영역을 커버하고, 커버 구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접착제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결합된 제1 부착 영역 및 커버 구조의 대향면에 결합된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베이스는 커버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드레싱을 변형하는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장력 구조가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장력 구조는 드레싱이 제1 부착 영역에서 베이스 구조의 내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 및 드레싱이 제2 부착 영역에서 커버의 대향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구조는 커버 구조가 베이스 구조에 대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부착 영역과 제2 부착 영역 사이에서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너비 및 커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2 너비는 상기 제1 너비보다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20%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40% 크다. 변형에 따라서, 베이스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는 변형력이 제1 방향에서 적용될 때 드레싱을 지지할 만큼 충분히 견고하고,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요소는 베이스 구조가 제2 방향으로 휘는 것을 허락한다. 변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는 복수의 가요성 결합된,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요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릴리즈 장치는 드레싱이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된 후 베이스 구조로부터 드레싱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베이스 구조는 커버 구조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패키지 조립체는 내면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 및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며, 상기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강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와 함께 서로 결합된 복수의 강성 요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는 드레싱의 제1 표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구조는 베이스 구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향면이 드레싱의 제1 표면과 접하는 제1 위치에서 커버가 드레싱의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는 베이스 구조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및 커버 구조의 형상화를 허락할 만큼 충분히 가요성인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드레싱 위의 접착제 영역과 접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의 대향면은 제1 위치에서 접착제 영역을 커버하고, 제2 위치에서 접착제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결합된 제1 부착 영역 및 커버 구조의 대향면에 결합된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베이스는 커버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드레싱을 변형하는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상기 조립체는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장력 구조를 더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장력 구조는 드레싱이 제1 부착 영역에서 베이스 구조의 내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 및 드레싱이 제2 부착 영역에서 커버의 대향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구조는 커버 구조가 베이스 구조에 대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부착 영역과 제2 부착 영역 사이에서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제1 및 제2 부착 영역 사이에서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너비 및 커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2 너비는 상기 제1 너비보다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4%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20%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40% 크다.
변형에 따라서,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드레싱을 적용하는 방법은 드레싱 패키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베이스 구조에 대해 커버 구조를 제2 위치까지 선회시켜 드레싱의 제1 표면으로부터 대향면을 분리하고, 접착제 영역으로부터 접착제 뒷받침을 분리하는 단계; 드레싱의 제1 표면을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하고, 이어서 베이스 구조로부터 드레싱을 릴리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싱 패키지 조립체는 내면을 갖는 베이스 구조; 베이스 구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대향면을 갖는 커버 구조; 및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 구조의 대향면은 커버 구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접착제 영역을 커버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구조에 결합되고, 베이스 구조에 대해 커버 구조를 선회시켜 드레싱을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어플리케이터는 제1 드레싱 부착 영역과 제2 드레싱 부착 영역 사이의 가변 이격 거리를 포함하는 제1 드레싱 부착 영역 및 제2 드레싱 부착 영역, 및 상기 가변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제1 드레싱 부착 영역과 제2 드레싱 부착 영역 사이의 굽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굽힘 영역의 중심에서 제1 드레싱 부착 영역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굽힘 영역의 중심에서 제2 드레싱 부착 영역까지의 제2 거리와 상이하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장력 장치는 그 사이에서 캐리어 너비가 한정되는는 제1 캐리어 엣지 및 제2 대향 캐리어 엣지를 포함하는 드레싱 캐리어; 드레싱 캐리어에 대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드레싱 장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장력 요소; 및 제1 캐리어 엣지에 인접해서 캐리어와 결합된 제1 드레싱 엣지, 및 장력 요소에 결합된 부착 요소에 결합된 제2 드레싱 엣지를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를 포함하며, 장력 요소의 제1 위치에서 제2 드레싱 엣지는 캐리어의 너비 안에서 제2 캐리어 엣지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장력 요소의 제2 위치에서 제2 드레싱 엣지는 캐리어의 너비 안에서 제2 캐리어 엣지로부터 제2 거리에 있으며,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1 드레싱 엣지는 장력 요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제2 드레싱 엣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패키지 조립체는 내면을 갖는 베이스 구조; 베이스 구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대향면을 갖는 커버 구조; 및 피험자의 상처 또는 피부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며, 상기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 구조는 대향면이 제1 표면과 접하는 제1 위치에서 대향면이 드레싱의 제1 표면과 분리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 대해 적어도 약 180도 회전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제1 표면은 드레싱 위의 접착제 영역과 접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커버 구조의 대향면은 커버 구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접착제 영역을 커버하고, 커버 구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접착제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접착제 뒷받침을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베이스 구조의 내면에 결합된 제1 부착 영역 및 커버 구조의 대향면에 결합된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베이스는 커버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드레싱을 변형하는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상기 조립체는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장력 구조를 더 포함한다. 변형에 따라서, 장력 구조는 드레싱이 제1 부착 영역에서 베이스 구조의 내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 및 드레싱이 제2 부착 영역에서 커버의 대향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구조는 커버 구조가 베이스 구조에 대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부착 영역과 제2 부착 영역 사이에서 드레싱에 변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너비 및 커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2 너비는 상기 제1 너비보다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20% 크다. 변형에 따라서, 제2 너비는 제1 너비보다 적어도 40% 크다. 변형에 따라서, 베이스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적으로 강성인 요소는 변형력이 제1 방향에서 적용될 때 드레싱을 지지할 만큼 충분히 견고하고,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요소는 베이스 구조가 제2 방향으로 휘는 것을 허락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패키지는 제1 캐리어 엣지, 제1 캐리어 엣지와 대향하는 제2 캐리어 엣지, 및 제1 엣지와 제2 엣지 사이에서 연장되어 피험자에게 드레싱을 적용하는 동안 드레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드레싱 캐리어; 및 제1 드레싱 엣지, 제1 드레싱 엣지와 대향하는 제2 드레싱 엣지, 뒷면 및 대향하는 피부 접합면을 포함하는 드레싱을 포함하며, 상기 뒷면의 적어도 일부는 드레싱 캐리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드레싱 엣지와 제2 드레싱 엣지는 제1 캐리어 엣지와 제2 캐리어 엣지 사이에 위치되며, 제1 드레싱 엣지가 제1 드레싱 엣지와 제1 캐리어 엣지 사이의 제1 여유분을 한정하고, 제2 드레싱 엣지가 제2 드레싱 엣지와 제2 캐리어 엣지 사이의 제2 여유분을 한정하며, 제1 및 제2 여유분은 각각 적어도 3mm의 너비를 가진다.
한 변형에서, 제1 지지체, 제2 지지체, 및 이들 사이의 주 굽힘 영역을 포함하는 드레싱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주 굽힘 영역은 주 굽힘 축을 포함하고, 치료 장치는 제1 지지체에 부착된 제1 부착 영역 및 제2 지지체에 부착된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부착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1 분리 영역 및 제2 부착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2 분리 영역이 있다. 제1 및 제2 분리 영역은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싱 시스템은 구멍들을 따라 위치된 견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주 굽힘 영역에 대해서 제1 및 제2 지지체에 비대칭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체와 주 굽힘 축 사이의 제1 거리는 제2 지지체와 주 굽힘 축 사이의 제2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드레싱 시스템은 치료 장치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 사이에 놓인 닫힌 형태, 및 제2 지지체가 제1 지지체와 치료 장치 사이에 놓인 닫힌 형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체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 굽힘 축은 주 굽힘 축에 직교할 수 있다. 제1 지지체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체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은 제2 지지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과 정렬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치료 장치의 접착면과 결합된 릴리즈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구멍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시스템은 구멍 영역에 인접 부착된 기다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다란 요소는 치료 장치의 구멍 영역을 지나 돌출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기다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접힐 수 있고, 접힘은 치료 장치의 실질적인 길이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치료 장치의 중앙 영역을 표시하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는 홈형 엣지, 잉크 마크, 엠보싱 또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주 굽힘 영역이 또한 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체는 제2 지지체 및 치료 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치료 장치를 변형된 형태로 유지한 상태로 그렇게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제2 지지체는 드레싱 시스템이 닫힌 형태가 아니라 개방 형태일 때 치료 장치에 접착되도록 구성된 접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체는 부착된 릴리즈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는 제1 지지체의 바깥쪽 엣지와 부착된 치료 장치 사이에서 제1 지지체에 부착될 수 있다. 치료 장치와 마주한 제1 및/또는 제2 지지체의 내면은 접착제, 예를 들어 접착 코팅 또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치료 장치가 신장되어 접착제와 접촉했을 때 치료 장치를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고, 및/또는 제1 및/또는 제2 지지체에 대해 치료 장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변형에서, 제1 장력 부재, 제2 장력 부재, 및 이들 사이의 주 굽힘 영역을 포함하는 드레싱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주 굽힘 영역은 주 굽힘 축을 포함하고, 치료 장치가 주 굽힘 영역에 대해서 제1 및 제2 장력 부재에 비대칭 부착된다. 치료 장치는 제1 장력 부재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제2 장력 부재에 부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장력 부재와 주 굽힘 축 사이의 제1 거리는 제2 장력 부재와 주 굽힘 축 사이의 제2 거리와 상이하다. 상기 드레싱 시스템은 치료 장치가 제1 장력 부재와 제2 장력 부재 사이에 놓인 닫힌 형태, 및 제2 장력 부재가 제1 장력 부재와 치료 장치 사이에 놓인 개방 형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력 부재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 굽힘 축은 주 굽힘 축에 직교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은 제2 장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과 정렬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치료 장치의 접착면과 결합된 릴리즈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구멍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시스템은 구멍 영역에 인접 부착된 기다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다란 요소는 치료 장치의 구멍 영역을 지나 돌출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기다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접힐 수 있고, 접힘은 치료 장치의 실질적인 길이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장력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치료 장치의 중앙 영역을 표시하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는 홈형 엣지, 잉크 마크, 엠보싱 또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주 굽힘 영역이 천공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는 제2 장력 부재 및 치료 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는 치료 장치를 변형된 형태로 유지한 상태로 제2 장력 부재 및 치료 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장력 부재는 드레싱 시스템이 닫힌 형태가 아니라 개방 형태일 때 치료 장치에 접착되도록 구성된 접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는 부착된 릴리즈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는 제1 장력 부재의 바깥쪽 엣지와 부착된 치료 장치 사이에서 제1 장력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이들 사이의 주 굽힘 영역을 포함하는 드레싱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주 굽힘 영역은 주 굽힘 축을 포함하고, 치료 장치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드레싱 시스템은 치료 장치가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와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 사이에 놓인 닫힌 형태, 및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가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와 치료 장치 사이에 놓인 닫힌 형태를 포함한다.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 굽힘 축은 주 굽힘 축에 직교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주 굽힘 축에 평행하지 않은 부 굽힘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은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굽힘 영역과 정렬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치료 장치의 접착면과 결합된 릴리즈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구멍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시스템은 구멍 영역에 인접 부착된 기다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다란 요소는 치료 장치의 구멍 영역을 지나 돌출할 수 있다. 기다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접힐 수 있고, 접힘은 치료 장치의 실질적인 길이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치료 장치의 중앙 영역을 표시하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는 홈형 엣지, 잉크 마크, 엠보싱 또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주 굽힘 영역이 천공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치료 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치료 장치를 변형된 형태로 유지한 상태로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치료 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드레싱 시스템이 닫힌 형태가 아닌 개방 형태일 때 치료 장치에 접착되도록 구성된 접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부착된 릴리즈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는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의 바깥쪽 엣지와 부착된 치료 장치 사이에서 제1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본원의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변형 후 및 대상의 피부에 적용 전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사전-변형 드레싱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체, 패키징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장치 및 방법은 이러한 사전-변형된 드레싱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변형에 따라서, 사전-변형되고 변형 차단된 드레싱 조립체는 변형 후 및 사용 전 일정 시간 기간 동언 보관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초기 변형 후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예측 가능한 및/또는 원하는 양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하나 이상의 시간 기간 동안 정해진 최대 및/또는 최소량의 인장력(드레싱의 인장 변형 방향으로 측정된)을 상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상에 드레싱을 적용하는 원하는 시간은 사전-변형되고 변형 차단된 형태의 드레싱이 원하는 인장력 특성 또는 범위를 가졌을 때일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범위는 피부에 대한 파괴적 자극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면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해 피부에 충분한 힘의 조정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여기 주지된 대로, 주어진 드레싱의 경우, 상이한 수준의 응력 또는 변형력이 상이한 위치 및/또는 상이한 대상의 피부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개체 또는 대상의 피부의 상이한 위치에 맞는 상이한 수준의 힘 완화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피부 치료 용도에 맞는 상이한 범위의 드레싱 힘 특성이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힘 범위는 특정 대상, 피부 부분 및/또는 특정한 피부 치료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원하는 힘 특성 결정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힘은 유의한 피부 자극을 방지할만큼 충분히 낮으면서 피부의 치료를 위한 기계적 조정을 제공할만큼 충분히 높을 수 있다.
사전-변형된 드레싱의 힘 특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초기 변형력이 드레싱에 적용될 수 있고, 이때 드레싱의 탄성 재료 또는 다른 구조는 초기 인장력 특성을 가진다. 드레싱은 초기 시간 기간 동안 사전-변형된 후 특정 변형 수준의 변형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초기 시간 기간 동안, 탄성 재료의 힘 특성은 감소되거나, 감쇠되거나, 또는 힘의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정해진 초기 시간 기간 후, 탄성 재료의 힘 특성은 원하는 힘 수준 및/또는 힘 수준 범위에 도달하거나, 감소하거나 또는 감쇠할 수 있다. 드레싱 탄성 재료 힘 특성은 적어도 후속 시간 기간 동안 원하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 재료는 약 1 MPa 내지 약 15 MPa, 때로 약 1.5 MPa 내지 약 6 MPa, 및 때로 약 2 MPa 내지 약 5 MPa, 약 3 MPa 내지 약 4 MPa, 또는 약 3.5 MPa 내지 5 MPa 범위의 탄성률을 가질 수 있고, 최대 0.6 변형력까지 너비당 피크 하중은 3 N/mm 미만, 때로 약 2.5 N/mm 미만, 때로 2 N/mm 미만, 때로 1 N/mm 미만, 때로 약 0.75 N/mm 미만 및 때로 약 0.6 N/mm 미만 또는 약 0.5 N/mm 미만이다. 최대 0.6 변형력까지 너비당 피크 하중은 적어도 약 0.35 N/mm, 때로 적어도 약 0.5 N/mm, 및 때로 적어도 약 0.6 N/mm, 0.7 N/mm, 0.8 N/mm, 0.9 N/mm 또는 1 N/mm일 수 있다. 20%의 일정한 기계적 변형에서 적어도 약 200 kPa, 250 kPa, 300kPa, 400 kPa, 또는 500 kPa, 1000 kPa, 1500 kPa, 2000 kPa, 2500 kPa, 3000 kPa 또는 그 이상의 기계적 응력을 적어도 8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기계적 응력의 감소 또는 변동은 10% 또는 5% 미만이다.
한 변형에 따라서, 예를 들어 드레싱의 초기 힘 또는 변형 특성은 힘 손실 퍼센트가 감소되는 시간 시간 동안 원하는 범위의 힘 값이 발생하고 더 긴 시간 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드레싱의 초기 변형 및/또는 힘 수준은 사용 시간이 시간 경과에 따른 드레싱의 힘 손실 퍼센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시간 프레임 또는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피부 적용 시점에서의 원하는 범위보다 큰 단위 너비당 초기 힘을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 변형되거나 과응력을 받을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초기 변형 및 결과의 너비당 초기 힘은 드레싱의 사용을 위한 원하는 최종적인 결과의 힘 특성 및/또는 원하는 시간 프레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변형 수준은, 예를 들어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초기 힘은 원하는 힘 범위보다 크다. 이러한 초기 힘 수준은, 예를 들어 드레싱의 적용 시점에서의 원하는 힘보다 약 또는 최대 25%, 약 또는 최대 35%, 약 또는 최대 50%, 약 또는 최대 7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힘 수준은,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5 Lbf/inch, 1.54 내지 3.85 Lbf/inch, 1.33 내지 3.33 Lbf/inch 또는 0.85 내지 2.20 Lbf/inch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원하는 변형 또는 힘 수준까지 초기에 변형되거나 인장 응력을 받고 초기 시간 프레임 동안 변형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은 적용 전까지, 예를 들어 1시간 이상, 1일 이상, 1주 이상, 또는 최대 1개월 이상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은 최종 조립 또는 제조 전 재료 프리-컨디셔닝 상태에서 1시간 이상, 1일 이상, 1주 이상, 또는 최대 1개월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리-컨디셔닝 상태는 일정한 변형력으로 재료를 변형하는 것 또는 다양한 수준의 변형력으로 재료를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에, 일부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 후 미리 정해진 후속 시간 프레임의 지속기간 동안, 드레싱은 원하는 최소 최종 힘 또는 힘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속 시간 프레임 동안, 장치는 치료를 위해 대상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힘 범위는 약 0.5 내지 1.0 Lbf/inch, 1.0 내지 2.5 Lbf/inch 또는 약 1.6 내지 2.1 Lbf/inch일 수 있다. 후속 시간 기간 동안 힘 손실은 최대 3%, 최대 5%, 최대 8%, 최대 10%, 최대 15%, 최대 20%, 최대 25%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후속 시간 기간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2개월 이상, 3개월 이상, 6개월 이상, 12개월 이상, 36개월 이상, 또는 48개월 이상일 수 있다.
다음에, 사전-변형 드레싱은 초기 시간 기간 동안 변형 유지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변형 유지 요소는 사용될 때까지 후속 시간 기간 중 한동안 드레싱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제조시 사전 변형된 드레싱의 평균 초기 힘 또는 변형 특성(평균은 예를 들어 제조 로트당 평균, 또는 주어진 허용 수준 내에서 특정된 평균을 포함할 수 있다)은 평균 힘 손실 퍼센트가 감소되는 시간 기간 동안 원하는 평균 힘 범위가 발생하고 더 긴 시간 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사전 변형은 사용 시점에 개시된다. 또 다른 변형에서, 사전 변형의 일부는 제조 시점에 수행되고, 추가의 변형 또는 변형력 완화는 사용 시점에 수행된다. 사전 변형 후, 드레싱은 추후 사용을 위해 포장, 밀봉 및 멸균될 수 있다.
드레싱의 초기 평균 변형 및/또는 힘 수준은 사용 시간이 시간 경과에 따른 드레싱의 평균 힘 손실 퍼센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시간 프레임 또는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피부에 적용시 원하는 범위보다 단위 너비당 더 큰 평균 초기 힘을 제공하도록 초기에 변형되거나 과응력을 받을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너비당 평균 초기 변형 및 결과의 초기 힘은 드레싱의 사용을 위한 원하는 최종 및 결과의 힘 특성 및/또는 원하는 시간 프레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초기 변형 수준은, 예를 들어 20% 미만,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평균 초기 힘은 원하는 힘 범위보다 크다. 이러한 평균 초기 힘 수준은, 예를 들어 드레싱의 적용시 원하는 힘보다 약 또는 최대 25%, 약 또는 최대 35%, 약 또는 최대 50%, 약 또는 최대 7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초기 힘 수준은,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5 Lbf/inch, 1.54 내지 3.85 Lbf/inch, 1.33 내지 3.33 Lbf/inch. 또는 0.85 내지 2.20 Lbf/inch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원하는 평균 변형 또는 힘 수준으로 초기에 변형되거나 인장 응력을 받고, 초기 시간 프레임 동안 변형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은 적용 전 1시간 이상, 1일 이상, 1주 이상, 또는 최대 1개월 이상일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은 최종 조립 또는 제조 전 재료 프리-컨디셔닝 상태에서 1시간 이상, 1일 이상, 1주 이상 또는 최대 1개월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리-컨디셔닝 상태는 일정한 평균 변형력으로 재료를 변형하는 것 또는 다양한 수준의 평균 변형력으로 재료를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에, 일부 변형에 따라서, 초기 시간 프레임 후 미리 정해진 후속 시간 프레임의 지속기간 동안, 드레싱은 원하는 최소 평균 최종 힘 또는 평균 힘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속 시간 프레임 동안, 장치는 치료를 위해 대상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평균 힘 범위는 약 0.5 내지 1.0 Lbf/inch, 1.31 Lbf/inch 내지 1.41 Lbf/inch일 수 있다. 후속 시간 기간 동안 평균 힘 손실은 최대 3%, 최대 5%, 최대 8%, 최대 10%, 최대 15%, 최대 20%, 최대 25%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후속 시간 기간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2개월 이상, 3개월 이상, 6개월 이상, 12개월 이상, 36개월 이상, 또는 48개월 이상일 수 있다.
사전-변형 드레싱은 하나 이상의 제조 단계 동안 초기 시간 기간 동안 변형 유지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 유지 요소는 제조 중 후속 시간 기간의 일부 동안 또는 수송 또는 사용시까지 보관할 때 드레싱에 유지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I은 시험 조건하에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일정한 변형력이 유지된 선택된 사전-변형 드레싱에서 단위 너비당 힘의 변화 퍼센트를 예시한다.
실시예 I:
이 실시예에서, 5개의 드레싱은 40% 변형되었고, 5개의 드레싱은 60% 변형되었다. 드레싱은 NUSIL TECHNOLOGY LLC(Carpenteria, CA)의 MED 82-5010-10로 구성되었다. 0.020" 이하의 시트당 최대 5개의 미립자 및 0.020" 이하 크기의 시트당 최대 5개의 표면 겔 및/또는 버블이 샘플에 존재했다. 샘플은 처음에 8"(±0.02") x 1"(±1")에 두께 0.010"였다. 샘플은 약 50의 듀로미터 값(Shore A), 약 1,450 psi의 인장 강도, 약 1000%의 신율 및 약 1.16의 비중을 가졌다. 6인치(6") 중심 게이지 마크를 추가했다. 40% 변형 샘플의 게이지 길이는 변형되었을 때 8.4"로 증가했다. 60% 변형 샘플의 게이지 길이는 변형되었을 때 9.6"로 증가했다. 샘플을 변형된 형태로 샘플 고정장치 또는 클램프에 부착하고 샘플 고정장치 사이에 잠금 막대를 사용했다. 샘플 고정장치는 아크릴(PMMA)로 구성되었고 미끄럼 방지 테이프로 코팅되었다. 시험시, 샘플 고정장치의 단부를 Tensile Tester Chatillon Model TCD225, 50 LBF load cell의 손잡이에 부착시켰다. 다음에, 잠금 막대를 해제한 후 측정을 실시했다. 샘플은 시험 기간 동안 주변 랩 온도에서 시험 랩에 보관했다. 드레싱의 인장력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도 6은 각 드레싱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를 예시한다. 60% 변형에서 1시간 후 초기 평균 변형 후 손실은 약 30%였고, 40% 변형일 때는 1시간 후 약 25%였다. 초기 변형 후 손실에 이어서, 놀랍게도 초기 손실 후 추가 손실은 느린 속도로 감소했고, 2년의 기간 동안 평균 약 15%였다(평균 총 45% 손실).
다른 예에서, 시트당 미립자의 최대 수는 1, 5, 10, 20 또는 25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이때 최대 크기는 0.01", 0.02", 0.040", 0.050" 또는 0.07", 또는 0.1"이며, 표면 겔 및/또는 버블의 최대 수는 1, 5, 10, 20 또는 25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이때 최대 크기는 0.01", 0.02", 0.040", 0.050" 또는 0.07", 또는 0.1"이다.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 재료는 약 Shore A 15 내지 약 90, 때로 약 약 Shore A 35 내지 75 및 때로 약 Shore A 50 내지 60, 또는 Shore A 50 내지 75의 듀로미터 값을 가질 수 있다.
하기 실시예 II는 시험 조건하에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일정한 변형력이 유지된 선택된 사전-변형 드레싱에서 단위 너비당 힘의 변화 퍼센트를 예시한다.
실시예 II:
이 실시예에서, 10개의 드레싱 막이 45% 변형되었다. 드레싱 막은 3M(St. Paul, MN)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었다. 샘플은 처음에 8"(±0.02") x 1"(±1")에 두께 0.002"였다. 샘플은 약 2.2 lbs/in의 인장 강도, 및 약 300%의 신율을 가졌다. 6인치(6") 중심 게이지 마크를 추가했다. 45% 변형 샘플의 게이지 길이는 변형되었을 때 8.7"로 증가했다. 샘플을 변형된 형태로 샘플 고정장치 또는 클램프에 부착하고 샘플 고정장치 사이에 잠금 막대를 사용했다. 샘플 고정장치는 아크릴(PMMA)로 구성되었고 미끄럼 방지 테이프로 코팅되었다. 시험시, 샘플 고정장치의 단부를 Tensile Tester Chatillon Model TCD225, 50 LBF load cell의 손잡이에 부착시켰다. 다음에, 잠금 막대를 해제한 후 측정을 실시했다. 샘플은 시험 기간 동안 주변 랩 온도에서 시험 랩에 보관했다. 드레싱의 인장력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도 9는 각 드레싱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를 예시한다. 45% 변형에서 1일 후 초기 평균 변형 후 손실은 약 33%였다. 초기 변형 후 손실에 이어서, 놀랍게도 초기 손실 후 추가 손실은 느린 속도로 감소했고, 13일의 기간 동안 평균 약 12%였다(평균 총 45% 손실).
도 7은 정해진 양이 변형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변형된 형태로 고정된 드레싱의 탄성 재료의 한 변형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따라서, 드레싱 및/또는 드레싱 재료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일정한 변형력으로 고정된다. 초기 변형은 특정 시간들에서 상이한 힘 손실 퍼센트 값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힘 손실 퍼센트 값 및 힘 값은 상이한 초기 변형 수준 및 상이한 재료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정한 드레싱 재료에 대한 곡선 플롯은, 예를 들어 실시예 I에 대해 설명된 대로 결정될 수 있다. 힘 손실 퍼센트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한 재료 또는 드레싱에 대한 힘 값,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사전 변형된 많은 제조된 재료 또는 드레싱에 대한 평균 힘 손실 값이 감소한다. 시간 T0에서 재료가 변형된다. T0에서 T1까지 초기 시간 프레임 동안, 재료의 힘 손실 퍼센트는 후속 시간 기간 또는 시간 프레임, 예를 들어 T1에서 T3, T1에서 T2, 및/또는 T2에서 T3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발생한다. 시간 프레임 T1에서 T3, T1에서 T2, 및/또는 T2에서 T3은 드레싱에 대해 원하는 힘 특성, 원하는 사용 시간, 및/또는 원하는 힘 손실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는 예시적인 시간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드레싱은 제조시 사전 변형된 다음, 특정된 시간 프레임, 예를 들어 T1에서 T2, T2에서 T3, 및/또는 T1에서 T3까지 동안 추후 사용을 위해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
도 8은 정해진 양이 변형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변형된 형태로 고정된 드레싱의 탄성 재료의 한 변형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따라서, 드레싱 및/또는 드레싱 재료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일정한 변형력으로 고정된다. 초기 변형은 특정 시간들에서 상이한 힘 값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힘 값 및 힘 손실 퍼센트 값은 상이한 초기 변형 수준 및 상이한 재료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정한 드레싱 재료에 대한 곡선 플롯은, 예를 들어 실시예 I에 대해 설명된 대로 결정될 수 있다. 힘 손실 퍼센트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한 재료 또는 드레싱에 대한 힘 값,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사전 변형된 많은 제조된 재료 또는 드레싱에 대한 평균 힘 손실 값이 감소한다. 시간 T0에서 재료가 변형된다. T0에서 TA까지 초기 시간 프레임 동안, 재료는 후속 시간 기간 또는 시간 프레임, 예를 들어 TA에서 TC, TA에서 TB, 및/또는 TB에서 TC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힘을 상실한다. 시간 프레임 TA에서 TC, TA에서 TB, 및/또는 TB에서 TC은 드레싱에 대해 원하는 힘 특성, 원하는 사용 시간, 및/또는 원하는 힘 손실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는 예시적인 시간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드레싱은 제조시 사전 변형된 다음, 특정된 시간 프레임, 예를 들어 TA에서 TC, TB에서 TC, 및/또는 TA에서 TC까지 동안 추후 사용을 위해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적 부위에서 조직 반응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접근 개구 및 지지 구조를 갖는 변형된 탄성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변형된 탄성 구조를 표적 부위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단계, 및 접근 구조를 표적 부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근 구조는 접근 개구에 위치된다. 변형된 탄성 구조는 접착층을 갖는 탄성 시트일 수 있다. 표적 부위에 변형된 탄성 구조의 부착은 변형된 탄성 구조를 피부 위치에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할 수 있고,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것은 당김 탭을 가동시켜서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 구조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구조는 송달 튜브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송달 튜브를 사용하여 센서 또는 주입 캐뉼라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구조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하우징을 피부 표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스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접착제가 지지층의 하부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우징을 탄성 구조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표적 부위에 접근 구조의 삽입 후 송달 장치로부터 접근 구조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변형된 탄성 구조 상에 위치된 표시 또는 정렬 구조와 송달 장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접착층과 릴리즈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보호층,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 및 변형 지지체에 위치되고 변형 지지체의 중앙 개구를 둘러싼 적어도 하나의 정렬 구조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 장치가 제공되며,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층의 치료 개구를 둘러싼 중앙 개구를 갖는 층 구조를 포함하고,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층을 변형된 구조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 변형 지지체는 중앙 개구에서 변형 지지체의 엣지까지 천공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 구조는 변형 지지체의 천공 영역과 정렬된 이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지지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이들 사이의 변형 지지체의 중앙 개구를 한정하는 아치형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변형된 탄성층과 변형 지지체 사이의 변형 지지체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변형 지지체 접착층은 피부 접착층보다 적은 T 박리력을 가진다. 변형된 탄성층은 변형 지지체에 열 부착될 수 있다.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층으로부터 변형 지지체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피부 접착층과 릴리즈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보호층, 적어도 하나의 변형된 탄성 중간층,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 상부층, 및 변형된 탄성 상부층, 변형된 탄성 하부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를 포함하는 다층 조직 치료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각 탄성 중간층은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치료 개구와 정렬된 치료 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중 하나의 하부층은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고, 여기서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치료 개구는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치료 개구와 정렬되고,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탄성층 중 하나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며, 여기서 변형 지지체는 탄성 베이스 층,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및 탄성 상부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상부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베이스 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탄성 상부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될 수 있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베이스 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될 수 있다. 청구항 8의 장치는,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이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상부 표면보다 작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하부 표면이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보다 작다.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상부 표면보다 클 수 있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될 수 있는 탄성 중간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보다 크다. 청구항 8의 장치는, 변형된 탄성 상부층, 변형된 탄성 베이스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각각이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탄성 상부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전부보다 작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전부 탄성 베이스 층보다 작을 수 있다. 탄성 상부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전부보다 클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전부 탄성 베이스 층보다 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2개의 탄성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2개의 탄성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탄성 상부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각각 당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과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당김 탭은 각각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모든 당김 탭보다 작을 수 있다.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모든 당김 탭보다 클 수 있다.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상부 표면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부층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부착은 이방성 접착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방성 접착 패턴은 변형된 층의 변형력 방향에 비해 박리 방향을 따라 감소된 양의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상부 탄성층 및 적어도 베이스 탄성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베이스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베이스 탄성층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를 포함하는 다층 조직 치료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은 상부 표면, 하부 표면, 크기,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은 적층된 형태로 함께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되며, 변형 지지체는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탄성층에서 너비 수준당 힘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임의의 나머지의 너비 수준당 힘보다 높을 수 있다. 베이스 탄성층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너비당 전체 힘의 적어도 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탄성층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너비당 전체 힘의 적어도 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탄성층은 나머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보다 더 높은 듀로미터 재료 또는 더 큰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은 상부 탄성층과 베이스 탄성층 사이에 적층된 형태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탄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외향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작을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클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작을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클 수 있다. 청구항 35의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적어도 하나가 당김 탭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적어도 하나의 각 당김 탭은 상이한 당김 탭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이방성 접착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그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변형된 층의 변형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접착제의 양이 감소한다. 직교 방향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박리 방향이다.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변형된 베이스 층의 피부 접착층보다 더 얇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이들 사이의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의 피부 접착제, 변형된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위치된 주입 허브, 변형된 탄성층의 개구를 통해 연장된 카테터 또는 바늘, 카테터 또는 바늘과 유체 연통하여 주입 허브에 부착된 유체 튜브,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지지체, 및 변형된 탄성층과 변형 지지체를 함께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하는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치료 장치는 주입 허브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변형된 탄성층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 2개의 당김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당김 탭의 각각은 인열하도록 구성된 천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변형된 탄성층과 주입 허브가 변형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이들 사이의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의 피부 접착제, 변형된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위치된 주입 허브, 변형된 탄성층의 개구를 통해 연장된 카테터 또는 바늘, 카테터 또는 바늘과 유체 연통하여 주입 허브에 부착된 유체 튜브,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지지체, 및 변형된 탄성층과 변형 지지체를 함께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하는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치료 장치는 주입 허브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변형된 탄성층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 2개의 당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당김 탭의 각각은 인열하도록 구성된 천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변형된 탄성층과 주입 허브가 변형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적 부위에서 조직 반응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접근 개구 및 지지 구조를 갖는 변형된 탄성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변형된 탄성 구조를 표적 부위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단계, 및 접근 구조를 표적 부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근 구조는 접근 개구에 위치된다. 변형된 탄성 구조는 접착층을 갖는 탄성 시트일 수 있다. 표적 부위에 변형된 탄성 구조의 부착은 변형된 탄성 구조를 피부 위치에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할 수 있고,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것은 당김 탭을 가동시켜서 변형된 탄성 구조를 지지 구조로부터 릴리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 구조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구조는 송달 튜브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송달 튜브를 사용하여 센서 또는 주입 캐뉼라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접근 구조는 하우징에 부착된다. 하우징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접착제가 지지층의 하부 표면에 위치된다. 상기 방법은 하우징을 탄성 구조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표적 부위에 접근 구조의 삽입 후 송달 장치로부터 접근 구조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변형된 탄성 구조 상에 위치된 표시 또는 정렬 구조와 송달 장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표적 부위 옆의 제1 위치에 제1 장력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표적 부위 옆의 제2 위치에 제2 장력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표적 부위에 치료제를 주사 또는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장력 부재는 제1 장력 축을 따라서 사전 인장되고, 제2 장력 부재는 제2 장력 축을 따라서 사전 인장되며, 제2 위치는 20mm 이하의 틈만큼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되고, 표적 부위는 틈에 위치된다. 제1 장력 축과 제2 장력 축은 평행할 수 있다. 제1 장력 부재 및 제2 장력 부재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장력 부재는 정해진 길이방향 틈을 사이에 두고 일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 틈은 길이방향 틈 축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틈 축은 제1 및 제2 장력 축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 틈, 제1 장력 축 및 제2 장력 축은 각각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정해진 길이방향 틈은 20mm 미만, 10mm 미만, 또는 5mm 미만의 평균 너비를 가진다. 상기 방법은 주입 세트를 사용하여 치료제를 주입하기 전에 제1 및 제2 장력 부재에 주입 세트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방이영양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지방이영양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사 또는 주입 부위는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주사 또는 주입 부위일 수 있다. 환자는 당뇨병을 가질 수 있고, 지방이영양증은 지방비대증일 수 있다. 환자는 지방비대증의 과거 병력이 없을 수 있거나, 또는 지방비대증의 과거 병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슐린 저항성을 위험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일정 시간 기간에 걸쳐서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투약량의 증가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시간 경과에 따른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투약량의 증가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를 개선하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는 일, 주 또는 월 기준의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당뇨병 집단에서 당뇨병 치료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혈당 변동성 또는 중증의 부작용에 대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치료법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치료 부위에 변형된 다층 드레싱을 접착시키는 단계, 변형된 다층 드레싱의 변형력을 해제하여 변형력을 드레싱으로부터 치료 부위로 전달함으로써 치료 부위에서 조직 긴장을 감소시키는 단계, 다층 드레싱에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부착하는 단계,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통해 치료제를 치료 부위로 송달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1 층을 제거함으로써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제거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에 제2 허브 및 제2 카테터를 부착하는 단계, 제2 허브 및 제2 카테터를 통해 치료제를 치료 부위로 송달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2 층을 제거함으로써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2 허브 및 제2 카테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주입 세트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치료 위치에 변형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를 접착시키는 단계, 정렬 구조를 사용하여 치료 개구 위에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배치하는 단계,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가동시켜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주입 세트 허브를 분리하고 치료 개구를 통해 주입 세트 허브의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및 변형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로부터 변형 지지체 및 돌출형 정렬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변형된 탄성층에서 변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는 치료 개구를 갖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력 지지체 및 치료 개구를 둘러싼 돌출형 정렬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상이한 돌출형 정렬 구조로부터 돌출형 정렬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돌출형 정렬 구조를 변형 지지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형 정렬 구조는 변형 지지체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탄성 장치는 프리-컨디셔닝 동안 상이한 변형력 값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닫힌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닫힌 위치에서 약 90도 위치까지 커버가 열린 도 1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닫힌 위치에서 약 360도 구조까지 커버가 열린 도 1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닫힌 위치에서 약 360도 구조까지 커버가 열린 도 1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하부도이다.
도 5b는 라인 C-C를 따른 도 5a의 단면이다.
도 5c는 라인 D-D를 따른 도 5a의 단면이다.
도 6은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7은 닫힌 위치에서 약 90도 위치까지 커버가 열린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닫힌 위치에서 약 360도 구조까지 커버가 열린 변형된 구조의 도 7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도 8a는 도 8의 단면 A의 확대도이다.
도 8b는 도 8의 단면 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릴리즈 후 도 7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0은 닫힌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다른 예의 투시도이다.
도 11은 닫힌 구조에서 커버가 약 90도 구조로 있는 도 10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2a는 닫힌 구조에서 커버가 약 360도 구조로 있는 도 10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2b는 닫힌 구조에서 커버가 약 360도 구조로 있는 도 10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13은 개방 구조의 패키징 장치의 상부도이다.
도 14는 개방 구조의 패키징 장치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5a는 비변형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15b는 변형된 구조의 도 15a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하부 15F 투시도이다.
도 15c는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의 커버 제거 후에 도 15a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15d는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의 커버 제거 후에 도 15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5e는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 제거 후에 도 15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5f는 부착 시트로부터 분리된 후에 변형된 드레싱의 투시도이다.
도 15g는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5h는 부착 시트가 다시 벗겨진 도 15g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5i는 부착 시트가 제거된 도 15g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5j는 도 15g의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단면이다.
도 16a는 제거가능한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16b는 제거가능한 부착 시트가 벗겨진 도 16a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6c는 부착 시트가 제거된 도 16a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단면이다.
도 17a는 제거가능한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17b는 제거가능한 부착 시트가 벗겨진 도 17a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7c는 부착 시트가 제거된 도 16a의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7d는 도 17a의 부착 시트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의 단면이다.
도 18a는 비변형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18b는 변형되고 접힌 구조의 도 18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8c는 도 18b의 변형되고 접힌 구조의 장치의 하부측의 투시도이다.
도 18d는 부착 시트를 탈착한 변형되고 접힌 구조의 도 18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8e는 캐리어 및 커버가 탈착된 드레싱 조립제의 제1 측이 제거된 도 18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8f는 캐리어가 탈착된 드레싱 조립체의 도 18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8b는 캐리어가 탈착되고 제거된 도 18a의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8h는 드레싱이 부착 시트에서 분리된 도 18a의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18i는 드레싱이 부착 시트에서 분리된 도 18a의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18j는 도 18i의 장치의 측면입면도이다.
도 19a는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 장치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드레싱 조립체의 비변형 구조의 상부도이다.
도 19c는 도 19b의 드레싱 조립체의 변형되고 부착된 구조의 상부도이다.
도 19d는 도 19b의 드레싱 조립체의 변형되고 탈착된 구조의 상부도이다.
도 19e는 도 19b의 드레싱의 상부도이다.
도 20a는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변형의 상부도이다.
도 20b는 제1 구조의 도 20a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0c 제2 구조의 도 20a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1a는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상부도이다.
도 21c는 도 21a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1d는 신축된 구조의 도 21a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상부도이다.
도 21e는 라인 A-A를 따른 도 21d의 단면이다.
도 22a는 비변형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22b는 변형된 구조의 드레싱 및 패키징 조립체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23a는 상대적으로 미변형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 지지 구조, 및 장력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23b는 사전 변형된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 지지 구조, 및 장력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23c는 도 23b의 드레싱 조립체, 지지 구조 및 장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3d는 도 23c의 드레싱 조립체, 지지 구조 및 장력 장치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3e는 도 23d의 드레싱 및 지지 구조의 일부의 확대된 상세 측면도이다.
도 23f는 사전 변형된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 및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3g는 도 23f의 단면 A의 드레싱 조립체 및 지지 구조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3h는 도 23f의 단면 B의 드레싱 조립체 및 지지 구조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3i는 드레싱 조립체 및 지지 구조의 나머지 요소를 포함하는 사전-변형 조립체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24는 지지 요소 상에 놓인 복수의 사전-변형 드레싱의 투시도이다.
도 25는 사전-변형 드레싱 및 지지 구조의 예시이다.
도 26은 실시예 I에 설명된 것과 같은 탄성 드레싱 재료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를 예시한다.
도 27은 드레싱의 사전-변형 탄성 재료 구성요소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8은 드레싱의 사전-변형 탄성 재료 구성요소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인장력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II에 설명된 것과 같은 탄성 드레싱 재료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힘 손실 퍼센트를 예시한다.
도 30a 내지 30c는 예시적인 주입 세트를 갖는 변형된 드레싱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30d는 도 30c의 변형된 드레싱 및 주입 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31a 내지 31c는 주입 세트 송달 장치를 갖는 변형된 드레싱의 사용 방법을 묘사한다. 도 31d 및 31e는 사용 방법의 단면도이다.
도 32a 내지 32e는 드레싱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인 구멍 형태를 도시한다.
도 33은 주사 위치 위에 3개 구멍이 있는 드레싱의 배치를 묘사한다.
도 34는 구멍 및 다양한 정렬 표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드레싱을 묘사한다.
도 35는 송달 주사기를 갖는 도 34의 예시적인 드레싱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36은 송달 주사기를 갖는 드레싱 및 시각적 안내 도구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37a는 원위 개구 및 하나 이상의 내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각적 안내 도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7b는 드레싱 위에 놓인 도 37a의 시각적 안내 도구를 도시한다.
도 38a 및 38b는 주입 세트 송달 도구를 갖는 도 37a 및 37b의 시각적 안내 도구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39a는 사전 부착된 사전-변형 드레싱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주입 세트 송달 시스템의 투시도이다. 도 39b 내지 39d는 도 39a의 상부도, 측면도 및 하부도이다. 도 39e는 접착제 보호 라이너가 제거된 시스템의 하부도이다.
도 40a는 치료 부위 위에 도 39e의 송달 시스템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40b는 당김 탭이 제거된 도 40a의 주입 세트 및 사전 부착된 드레싱을 도시한다. 도 40c는 드레싱 지지체가 드레싱으로부터 분리되고 주입 세트 튜브 위로 당겨져 나온 도 40b의 주입 세트를 도시한다. 도 40d는 주입 세트 및 사전 부착된 드레싱을 도시한다. 도 40e는 인열가능한 천공을 포함하는 드레싱 지지체를 갖는 주입 세트를 도시한다.
도 41a는 다수의 분리가능한 장력층을 갖는 조합된 주입 세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1b는 도 41a의 실시형태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42a 내지 42c는 도 41a 및 41b에 도시된 조합된 주입 세트 및 다수의 장력층을 사용하는 방법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43a 내지 43c는 도 42a 내지 42c에 도시된 방법의 측면입면도이다.
도 44a는 도 42a의 방법의 상세한 측면입면도이고, 도 44b는 도 44a의 다수의 장력층의 엣지의 상세도이다.
도 45a는 다수의 분리가능한 장력층을 갖는 조합된 주입 세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5b는 도 45a의 실시형태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46a 내지 46c는 도 41a 및 41b에 도시된 조합된 주입 세트 및 다수의 장력층을 사용하는 방법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47a 및 47b는 도 46a 내지 46c에 도시된 방법의 상부 및 측면 입면도이다. 도 47c는 도 47b의 다수의 장력층의 엣지의 상세도이다.
도 48a 및 48b는 사전 부착된 방사상으로 사전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주입 세트 송달 시스템의 상부 평면도 및 하부 투시도이다. 도 48c 내지 48e는 사전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의 배치 및 릴리즈를 도시한다.
도 49a 내지 49e는 주입 세트 송달 시스템의 배치를 촉진하기 위한 사전 부착된 정렬 구조를 갖는 피부 장력 장치의 정면 투시도, 상부 평면도, 후면 투시도, 측면 입면도 및 하부 평면도이다.
도 50a 내지 50d는 주입 세트 송달 시스템을 갖는 도 49a 내지 49e의 피부 장력 장치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51은 도 49a 내지 49e에 도시된 피부 장력 장치에 대한 대안의 지지 구조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52는 주사 또는 주입 부위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 2개의 분리된 피부 변형 장치를 포함하는 피부 장력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53은 길이방향 틈 또는 슬롯에 의해 분리된 상호연결된 로브를 포함하는 피부 장력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54a 및 54b는 사전 부착된 피부 장력 장치를 갖는 예시적인 주입 허브 및 카테터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 입면도이다.
도 55a 및 55b는 수동 주사에 사용된 방사상으로 인장된 피부 치료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6a는 주사기와 함께 사용되는 직조된 바늘 주사 구멍을 갖는 피부 장력 장치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56b는 도 56a의 피부 장력 장치의 하부 투시도이다.
흉터 및 켈로이드를 치료하기 위한 앞선 시도들은 수술, 실리콘 드레싱, 스테로이드, 엑스선 조사 및 냉동요법을 포함했다. 이들 기술들은 각각 단점을 가진다. 아마도 최대의 단점은 이들 모두 흉터나 켈로이드의 형성을 먼저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완화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이들 기술들은 주로 흉터가 이미 확실히 형성된 후에 흉터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처 근처에서 외인성 및/또는 내인성 응력을 없앰으로써 흉터, 비대성 흉터 또는 켈로이드의 형성을 완화할 수 있다. 손상의 기계적 환경이 해당 손상에 대한 조직 반응에서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 기계적 환경은 외인성 응력(즉, 근육 작용 또는 신체 움직임을 통해 상처로 전달되는 응력을 포함하는 생리학적 응력) 및 내인성 응력(즉, 피부의 팽창이나 수축으로 인해 상처 부위에서 유발된 응력을 포함해서 피부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서 기원하는 진피 응력)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드레싱, 키트 및 방법은, 제한은 아니지만 상처의 기계적 환경을 포함해서 피부의 기계적 환경을 제어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장치, 드레싱, 키트 및 방법은 기계적 환경을 제어하거나 조절하여 흉터 및/또는 켈로이드 형성을 완화할 수 있다. 피부의 기계적 환경은 압박, 변형, 또는 압박과 변형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처의 기계적 환경의 제어는 능동적 또는 수동적, 역동적(예를 들어, 진동 응력을 적용함으로써) 또는 정적일 수 있다. 상처에 작용하는 압박 및 변형은 외부 각질층, 표피 및 진피와 같은 피부층들은 물론 피하지방과 같은 하부 연결조직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피부를 기계적 환경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용어 "차폐"는 상처가 경험하는 응력을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접촉, 오염물질 등에 대한 물리적 장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처와 주변 조직에서 내인성 응력 및/또는 외인성 응력을 없앰으로써 상처를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처와 주변 조직이 경험하는 응력을 정상적인 피부와 조직이 경험하는 것보다 더 낮은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상처 근처에서 외인성 및/또는 내인성 응력을 없앰으로써 흉터, 비대성 흉터 또는 켈로이드의 형성을 완화할 수 있다.
세포의 외부의 기계적 환경은 내포 내부에서 생리학적 반응을 촉발하여 세포 거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세포는 세포의 원형질막의 통합 막 단백질인 인테그린과 세포내 경로를 사용해서 기계적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반응할 수 있다. 세포내 경로는 세포막에 부착된 수용체에 의해 개시되며, 세포막은 기계적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힘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성장인자, 및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거나 촉발할 수 있는 다른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들의 분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분비물들은 이들을 분비하는 세포 내에서(인트라크린), 이들을 분비하는 세포 상에서(오토크린), 이들을 분비하는 세포의 주변 세포 상에서(파라크린)에서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분비 지점으로부터 떨어져서 작용할 수 있다(엔도크린). 인트라크린 간섭은 세포 신호화를 변경할 수 있고, 이것은 이어서 상처에 세포 모집, 상처에서 세포 증식 및 상처에서 세포 사멸을 포함하는 생물학 및 세포 거동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세포외 바탕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주지된바 대로, 상처 치유 과정은 초기 염증기, 증식기 및 재형성의 세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염증기는 손상 직후 일어나며, 통상 약 2일 내지 1주 지속된다. 혈액이 응고되어 혈액 손실이 중단되고, 상처로부터 파편, 세균 및 손상된 조직을 제거할 수 있는 세포를 끌어들이는 인자들이 방출된다. 또한, 상처 치유의 증식기를 개시하는 인자들이 방출된다. 약 4일 내지 몇 주 지속되는 증식기에서는 섬유아세포가 성장하여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리칸을 분비함으로써 새로운 세포외 바탕질을 구축한다. 증식기가 끝날 때 섬유아세포는 상처를 더욱 수축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재형성기에서는 무작위로 배향된 콜라겐이 피부 인장 라인을 따라 조직화되고 가교된다. 더 이상 필요없는 세포는 세포자멸을 거칠 수 있다. 재형성기는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또는 손상 후 무한정 계속될 수 있다. 흉터는 통상 손상 후 약 6-8주에 정상 피부 파단 강도의 약 75-80%에 도달한다. 일반적으로 흉터는 통상 삼각형 단면을 가진다. 즉, 흉터는 보통 피부 표면(즉, 각질층과 표피) 근처에서 부피가 가장 작고, 진피의 심층들로 가면서 부피가 증가한다.
상처 치유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가능한 결과가 있다. 먼저, 정상적인 흉터가 생길 수 있다. 둘째, 비대성 흉터나 켈로이드의 형성과 같이 흉터 형성이 병리학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아서 만성적인 상처나 궤양이 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모든 타입의 흉터의 형성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다양한 상처 크기, 및 상이한 상처 두께에 맞춰 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신체의 상이한 영역들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모든 타입의 피부, 예를 들어 신체 위치, 연령, 인종, 또는 상태에서 흉터 형성을 완화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이론과 결부시키고 싶지는 않지만 우리는 상처 치유 과정의 증식기에서 초기에 상처나 절개부에 작용하는 기계적 변형이 세포의 세포자멸을 억제하여 세포와 바탕질을 상당히 축적시키고, 이로써 흉터 형성이나 비대성 흉터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도한 바탕질 형성과 관련해서 비대성 흉터와 켈로이드가 근본적으로 유사하므로 우리는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또한 상처나 절개부에 작용할 수 있는 변형의 적어도 일부를 없애거나 중화시킴으로써 켈로이드의 예방 및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인장 변형은 외인성 및/또는 내인성 변형일 수 있으며, 제한은 아니지만 정상적인 비손상 피부 조직에서 발견되는 고유한 인장력으로 인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상처 드레싱이 뒤판, 접착 라이너 및/또는 패키지를 가지며, 이들은 상처 드레싱을 적용하기 전에 제거된다. 많은 기존 드레싱은 배향해서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접히고 겹쳐져 붙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제한은 아니지만 피부 부위나 근처에서, 즉 피험자의 피부의 상처 또는 치료 부위나 근처에서 표피와 진피 조직의 심층들에 제어 가능하게 압박하거나 변형하여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처 부위에서 흉터 형성을 완화하는 것을 포함해서, 피부 부위에서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피부 치료 장치").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응력은 정상 피부와 조직이 경험하는 것 이하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압박 또는 변형은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주변 조직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해당 피부 부위에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응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피부 및/또는 상처와 주변 조직이 경험하는 응력을 감소시켜 피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처 열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드레싱의 패키지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의 신속 또는 용이한 준비 및/또는 적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일부 예들은 구체적으로 드레싱을 미리 변형하기 위한 인장 장치로서 작용하기도 하는 패키지를 언급하지만, 미리 변형되지 않는 및/또는 적용 전 변형되는 다른 드레싱도 하나 이상의 변형이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패키지는 어플리케이터로서 작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키지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사용해서 피험자의 피부에 드레싱을 배치 및/또는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키트 및 방법은 드레싱의 준비 및/또는 적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준비는,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접착 라이너의 제거, 드레싱의 변형 또는 인장, 적용을 위한 드레싱의 배향 및/또는 적용 전 드레싱의 일부에 의약이나 다른 물질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뒤판, 접착 라이너 또는 릴리즈층, 및/또는 다른 패키지는 가요성 상처 드레싱에 구조적 안정성을 일부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제거되면 가요성 상처 드레싱은 접히거나 겹쳐져 붙거나 사용자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다소 사용하기 힘들 수 있고, 또는 상처 위에 배치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라이너를 잡아당기거나 제거하고 환자에게 드레싱을 재배향하는 행동은 접히거나 펄럭이는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싱이 접히거나 펄럭이므로 접착부 제거와 그 후의 재배향 동안 사용자가 상처 부위에 적용될 장치 일부의 멸균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
다른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이 준비된 후 드레싱을 피험자에 적용하는 동안 드레싱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접착 라이너가 릴리즈된 때 및/또는 릴리즈된 후에는 뒤판이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 또는 안정성을 제공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 및 패키지는 상처 장치가 적용을 위해 준비된 때와 그 후에 즉시 적용을 위해서 상처에 마주 대는 위치에 미리 배향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패키지 어플리케이터는 피험자의 피부에 장치를 배향하고 및/또는 적용할 때 한 손을 사용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드레싱 케리어,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 인장 장치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이 피부에 적용된 후에 패키지 및/또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적용된 드레싱을 분리할 수 있는 릴리즈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 변형에 따라서, 예를 들어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자료로 포함되는 2011년 7월 17일 제출된 미국 가 출원 일련번호 제61/512,340호에 제시된 대로, 드레싱은 미리 변형되어 드레싱 케리어,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에 결합된다.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드레싱 릴리즈부는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 또는 드레싱의 하나 이상의 접착 영역은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열어서 라이너로부터 릴리즈, 즉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책 모양의 패키지는 커버, 및 드레싱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한다. 커버가 열렸을 때 또는 커버가 열림에 따라 라이너는 드레싱의 접착부로부터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릴리즈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라이너는 커버에 부착되고, 커버가 들어 올려지거나 열렸을 때 드레싱의 접착면이 노출될 것이다. 베이스는 라이너가 제거되는 동안 및/또는 드레싱이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되는 동안 드레싱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인장 장치,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개구, 창 또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드레싱이 피부에 적용되는 동안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장소를 볼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창은 드레싱의 적용을 안내하며, 이로써 상처와 드레싱 엣지의 거리를 최적화하거나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고, 및/또는 드레싱을 피부 응력을 없앨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놓을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인장 장치, 패키지 또는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는 다양한 신체 장소 또는 윤곽에 적용될 때 드레싱이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또는 가변적인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이 지지되어야 하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는 더 견고하거나 충분한 칼럼 강도를 제공하고, 피험자의 곡선이나 모양이 있는 피부 표면에 더 합치하는 적용을 제공하거나 또는 드레싱이 적용될 때 드레싱이 구부러지거나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제2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덜 가요성이며 덜 견고하다. 제1 및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인장 장치 또는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또는 베이스는 드레싱이 모양을 취하도록 하면서 드레싱에 충분한 견고성이나 지지력을 제공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베이스 및/또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는 캐리어 또는 지지체는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접 세그먼트들과 가요성 결합된 비교적 더 강성인 재료로 된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적용 동안 드레싱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패키지/어플리케이터 및/또는 드레싱이 모양을 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세그먼트들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재료, 또는 접착제와 얇은 더 가요성인 기판의 복합체와 같은 가요성 재료에 의해서 인접 세그먼트들과 결합된다. 또는 달리,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위치에서 기판의 두께에 컷아웃, 슬롯, 홈, 금 또는 다른 개구 또는 변형들을 가진 기판을 제조함으로써 구조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인장 장치 또는 드레싱 캐리어는 지지체의 평면에 직교하는 일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제한하면서 지지체의 평면에 직교하는 다른 방향에서는 가요성을 제공하는 특징부 또는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가요성 요소는 장치가 변형되는 때는 가요성을 제한하고, 장치가 피부에 적용되는 때는 가요성을 허용할 수 있다. 각각의 요소는 나머지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비해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가요성 요소는 직선이거나, 또는 소정의 적용 또는 배치 위치에 따라 모양을 취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사용자가 드레싱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 요소와 조합하여 가요성 요소가 제공된다. 변형에 따라서, 변형된 드레싱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레싱이 피험자에 적용되고,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릴리즈될 때까지 고정 요소가 드레싱을 변형된 형태로 고정한다. 예를 들어, 드레싱을 변형한 후, 드레싱은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 또는 조립체로부터 릴리즈될 때까지 드레싱, 지지체, 베이스 인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 또는 드레싱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접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가 적용되는 동안이나 그 후에 지지 구조를 사용해서 압박력을 적용함으로써 출혈 감소를 돕고자 더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이상의 지혈제 또는 응고제가 드레싱에 적용되거나 통합되어 출혈 감소를 도울 수 있다. 가능한 제제들은 키토산, 칼슘-로딩 제올라이트, 미세섬유성 콜라겐, 셀룰로오스, 무수 황산알루미늄, 질산은, 칼륨 명반, 산화티탄, 피브리노겐, 에피네프린, 알긴산칼슘, 폴리-N-아세틸 글루코사민, 트롬빈, 응고인자(들)(예를 들어, II, VII, VII, X, XIII, 폰빌레브란트 인자), 전구응고제(예를 들어, 프로필 갈레이트), 항섬유소용해제(예를 들어, 엡실론 아미노카프로익산) 등을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제제들은 동결 건조되어 드레싱에 통합되고, 혈액이나 다른 유체와 접촉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이 피험자에게 사용되기 전에 활성화제가 드레싱 또는 치료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드레싱 적용 전, 또는 카테터나 튜브를 통해서 드레싱에 적용 후, 상처에 따로 직접 지혈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처 치유 과정의 일부 양태에서 보조로서 유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제는 제약 화합물, 단백질(예를 들어, 성장인자), 비타민(예를 들어, 비타민 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의약의 추가의 예는, 제한은 아니지만 다양한 항생제(제한은 아니지만 세팔로스포린, 박티트라신, 폴리시신 B 술페이트, 네오마이신, 폴리스포린을 포함하는), 방부제(요오드 용액, 은 술파디아진, 클로르헥시딘 등), 항진균제(니스타틴 등), 항증식제(시롤리무스, 타클로리무스, 조타롤리무스, 비올리무스, 파클리탁셀), 성장인자(VEGF 등) 및 다른 치료제들(예를 들어, 보툴리넘 독소)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치는 한 가지를 넘는 의약이나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한 가지 이상의 의약이나 제제를 송달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패키지는 드레싱의 형태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지지력이 있거나 견고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이 용이하다. 일 변형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보다 충분히 넓고/넓거나 길 수 있고, 또는 드레싱보다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멸균 적용 및/또는 한 손 적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지지 구조가 드레싱에 제공된다. 일 변형에 따라서, 여유부가 드레싱 또는 드레싱 접착부와 지지 구조의 하나 이상의 엣지부 사이에 지지 구조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여유부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접착부와 접촉할 확률을 높이지 않으면서 드레싱이나 그것의 캐리어, 베이스 또는 지지체를 잡거나 조작할 수 있는 지지된 엣지 또는 영역을 제공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흉터 또는 켈로이드 형성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용 전에 드레싱을 변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는 피부 또는 상처 부위에서 흉터 및/또는 켈로이드의 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흉터는 모든 타입의 흉터, 예를 들어 정상적인 흉터, 비대성 흉터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처 근처의 피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내인성 응력 및/또는 외인성 응력로부터 피부 또는 상처를 차폐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장치는 피부 또는 상처에 대한 외인성 응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내인성 응력로부터 피부 또는 상처를 차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장치는 피부의 탄력성 등을 변형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장치는 상처에 대한 내인성 응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외인성 응력로부터 피부 또는 상처를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근육계와 주변 피부 또는 상처 조직이, 예를 들어 보툴리넘 독소 등을 통해 마비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상기 장치는 내인성과 외인성 응력 모두로부터 피부 또는 상처를 차폐한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또는 드레싱은, 제한은 아니지만 피부 부위나 근처에서 표피와 진피 조직의 심층들에 제어 가능하게 압박하거나 변형하여 피부 부위 자체에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처 부위에서 흉터 형성을 완화하는 것을 포함해서, 피부 부위에서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 해당 피부 부위에서 응력은 정상 피부와 조직이 경험하는 것 이하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압박 또는 변형은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주변 조직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해당 피부 부위에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응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드레싱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드레싱을 적용하는 방법은 절개 부위에 변형의 적용으로 인한 피부 벗겨짐 또는 인장 부풀어오름에 내성을 갖거나 이를 감소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표면에 적용되었을 때 접착 영역의 신축은 접착 영역 아래의 조직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접착 영역의 이완으로 인한, 해당 접착 영역에 직접 부착되는 피부 조직의 일반적으로 평면, 접선, 또는 평행 압박의 결과일 수 있다. 일부 예로서, 이런 조직 압박은 붕대의 한 끝을 피부에 붙인 다음 상처를 가로질러 늘이거나 잡아당긴 후 다른 끝을 상처 반대편의 피부에 부착하는 붕대 "감기"와는 달리 접착 영역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의 조직 벗겨짐 및/또는 부풀어오름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붕대 "감기"는 적용하는 동안 붕대에 인장력이 생성되면서 동시에 최초 부착 부위에 비교적 높은 조직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런 높은 조직 변형은 붕대가 두 번째 부착 부위에서 피부에 부착될 때 높은 피크 응력이 붕대 아래의 피부를 따라 재분포되면서 감소한다. 반면에, 미리 변형된 붕대가 피부에 적용될 때는 접착 영역이 원하는 장소에 적용되기 때문에 있긴 해도 매우 적은 변형이 피부에 전달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변형된 붕대가 이완될 때는 피부에서 변형(또는 피크 변형)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변형된 붕대를 사용하면 적용 과정 동안에 일시적인 높은 조직 변형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은 또한 감는 것에 의해, 또는 미리 변형하는 것과 감는 것의 조합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드레싱은 탄성 재료의 시트와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의 탄성 재료는 재료의 단일층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고형체, 폼, 격자 또는 직조 형태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생체적합성 폴리머,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재료일 수 있다. 폴리머 시트의 두께는 원하는 회복 가능한 변형을 달성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드레싱의 바람직하지 않은 크리프 변형량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하중 보유 능력을 드레싱에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을 가로지른 두께는 균일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드레싱을 가로지른 두께를 다르게 하여 강성, 하중 보유 능력 또는 선택된 배향 및/또는 장소에서 회복 변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드레싱의 탄성 재료는 약 50 미크론 내지 1mm 이상, 약 100 미크론 내지 약 500 미크론, 약 120 미크론 내지 약 300 미크론, 또는 일부 변형에서는 약 200 미크론 내지 약 260 미크론의 범위에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드레싱은 약 500 미크론 이하, 400 미크론 이하, 또는 약 300 미크론 이하의 엣지 두께를 가지며, 옷이나 물체에 의해 의도치 않게 쓸렸을 때 의도치 않은 들어올림으로 인한 피부 분리의 위험이 적게 나타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엣지 근처에서 점감되어 두께가 감소한다. 점감형 엣지는 또한 드레싱의 접착제 엣지에 인접한 피부 조직에 작용하는 피크 인장력을 완화할 수 있다. 이것은 피부 수포화 또는 다른 장력-관련 피부 외상의 위험을 줄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의 엣지는 드레싱의 중앙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더 두꺼운 드레싱 엣지는 균일한 두께의 드레싱과 비교해서 드레싱 엣지 근처에서 작용하는 피크 인장력의 장소를 비교적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탄성 재료는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적어도 0.35 뉴턴/mm의 너비당 하중 또는 45%의 기계적 변형에서 적어도 0.25 뉴턴/mm의 너비당 하중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약 45%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2 뉴턴/mm 이하, 약 45%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1 뉴턴/mm, 약 45%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0.7 뉴턴/mm, 또는 약 45%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0.5 뉴턴/mm 이하의 너비당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 탄성 재료는 0%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감소하지 않는 너비당 하중, 0%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선형 증가하는 너비당 하중 곡선, 또는 0% 내지 60%의 기계적 변형에서 볼록 형태가 아닌 너비당 하중 곡선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약 20% 내지 30%의 기계적 변형까지 변형되어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적어도 8시간 동안 200kPa 내지 약 500kPa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응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약 20% 내지 30%의 기계적 변형까지 변형되어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적어도 8시간 동안 200kPa 내지 약 400kPa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응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응력은 적어도 8시간에 걸쳐 10% 미만까지, 또는 적어도 8시간에 걸쳐 5% 미만까지 변화할 수 있다.
묘사된 드레싱은 약 160mm 내지 약 60mm의 길이 및/또는 너비를 가진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은 다양한 길이와 너비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드레싱의 코너는, 예를 들어 각질 수도 둥글 수도 있다. 예시적인 드레싱의 길이 및/또는 너비는 약 5mm 내지 약 1 미터 이상, 일부 변형에서는 약 20mm 내지 약 500mm, 다른 변형에서는 약 30mm 내지 약 50mm, 또 다른 변형에서는 약 50mm 내지 약 100mm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의 최대 치수(예를 들어, 길이) 대 드레싱의 최소 치수(예를 들어, 두께)를 제외한 최대 치수에 대한 직교 치수(예를 들어, 너비)의 비는 약 1:3, 약 1:2, 약 1:1, 약 2:1, 약 3:1, 약 4:1 약 5:1, 약 6:1, 약 7:1, 약 8:1, 약 9:1 또는 약 10:1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사용중에 드레싱의 변형 축은 최대 치수 또는 최대 치수에 대한 직교 치수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탄성 재료에 의해 피부에 부여되는 최종 압축 응력 및 변형력은 피부에서의 인장 응력과 드레싱의 탄성 재료 사이에 동적 평형이 이루어진 결과일 수 있다. 피부 부위에서 피부는 조직이 피부 부위로부터 절제되든 아니든 전형적으로 절개 부위를 신장시키는 고유한 장력을 포함한다. 탄성 재료 및 접착제 영역은 피부 장소에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이 특정 장력으로 신장된 다음 절개 부위에 부착되었을 때 드레싱의 인장 응력이 절개 부위로 전달되어 피부 표면에 대한 접선 축을 따라 드레싱 밑의 조직을 직접 압축하며, 피부 장소 위에 부여된 응력 및 변형력은 일반적으로 탄성 재료 및/또는 피부 장소의 외부면에도 접선이거나 평면인 순 또는 결과의 배향 또는 축을 갖고, 드레싱의 인장 응력의 배향 또는 축과 유사한 축이다. 드레싱의 장력은 드레싱에 인접한 피부의 증가된 장력과의 평형을 유지하는 장력 수준으로 이완될 것이다. 해당 피부 장소에 드레싱의 적용은 드레싱 자체가 중첩되거나 포개지지 않고 드레싱을 배치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레싱의 인접 영역만이 상호 연결되고, 드레싱의 인접하지 않은 영역은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피부에 부여되는 응력 및 변형력의 실제 양은, 예를 들어 특정한 사람, 피부 장소, 피부 층(예를 들어, 표피, 진피 또는 하부 결합조직)의 두께 또는 다양한 기계적 특성, 및/또는 기존 흉터화 정도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상처 치료 드레싱은 두피, 이마, 뺨, 목, 상부등, 하부등, 복부 영역, 상체(제한은 아니지만 가슴골을 포함한다), 어깨, 상완, 하완, 손바닥 영역, 손등, 손가락, 대퇴부, 하퇴, 발등 또는 발바닥, 및/또는 발가락과 같은 특정 신체 장소에서 사용하도록 선택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경우, 일부 신체 영역은 앞쪽, 뒤쪽, 중앙, 외측, 근위 및/또는 원위 영역, 예를 들어 팔과 다리로 더 기술될 수 있다.
드레싱은 약 10% 내지 약 60% 이상, 다른 형태에서는 약 15% 내지 약 50%, 또 다른 형태에서는 약 20% 내지 약 30% 또는 약 40%의 범위에서 피부 변형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정도의 피부 변형을 달성하기 위해서 드레싱은 약 20% 내지 약 80% 이상, 때로는 약 30% 내지 약 60%, 다른 경우 약 40% 내지 약 50% 또는 약 60%의 범위에서 탄성 인장 변형을 겪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싱은 여러 가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아니지만 실리콘,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천연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드레싱의 재료는 약 20 내지 약 90, 약 30 내지 약 80,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쇼어 에이(Shore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드레싱은 NUSIL TECHNOLOGY LLC(Carpinteria, CA)의 MED 82-5010-05로 구성되었다. 적합한 재료의 다른 예들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자료로 포함된 미국 특허출원 제11/888,978호에 설명된다.
드레싱이 피부 장소에 적용되고, 그것의 기본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되도록 허용되었을 때, 드레싱에서 변형의 회복 수준 또는 평형 수준은 약 4% 내지 약 60% 이상, 다른 형태에서는 약 15% 내지 약 50%, 또 다른 형태에서는 약 20% 내지 약 30% 또는 약 40%의 범위일 수 있다. 회복 전 드레싱에 놓인 초기 기계적 인장 변형력과 피부에서 결과의 기계적 압축 변형력 사이의 비는 피부 타입 및 장소에 따라서 변할 수 있지만, 일부 예에서는 약 2:1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비는 약 4:1 내지 약 5:4, 약 3:1 내지 약 5:3, 또는 약 5:2 내지 약 2:1의 범위일 수 있다. 이들 피부 변형 특성은 신체 또는 신체 일부의 기준 위치, 예를 들어 해부학적 위치에 대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재현 가능한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특정한 변형도는 기계적 변형 또는 실제 변형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다른 타입의 변형에 기초하여 계산되거나 그로부터 전환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변형은 실제 변형으로 전환되는 45% 기계적 변형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탄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해당 재료의 응력/변형력 곡선상의 다양한 특징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싱의 한 특정 예에 대해 기계적 및 실제 응력/변형력 곡선은 약 60% 기계적 변형에서 약 1.2 MPa의 기계적 응력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 기계적 응력은 약 900 KPa 내지 약 3.5 MPa, 약 1 MPa 내지 약 2.2 MPa, 약 1 MPa 내지 약 2 MPa, 약 1.1 MPa 내지 약 1.8 MPa, 약 1.1 MPa 내지 약 1.5 MPa, 약 1.2 MPa 내지 약 1.4 MPa의 범위일 수 있다. 드레싱으로부터 응력을 해제하거나 완화할 때, 상기 재료는 약 40% 기계적 변형에서 약 380 KPa의 기계적 응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약 40% 변형까지 재료의 하중을 해제하는 동안 기계적 응력은 약 300 KPa 내지 약 700 KPa, 약 325 KPa 내지 약 600 KPa, 약 350 KPa 내지 약 500KPa, 또는 약 375 KPa 내지 약 425 KPa의 범위일 수 있다. 약 30%의 기계적 변형까지 재료의 하중을 해제할 때, 상기 재료는 약 300 KPa의 기계적 응력을 나타내며, 다른 예에서 재료의 하중을 약 30% 변형까지 해제할 때 기계적 응력은 약 250 KPa 내지 약 500 KPa, 약 275 KPa 내지 약 450 KPa, 약 300 KPa 내지 약 400 KPa, 또는 약 325 KPa 내지 약 375 KPa의 범위일 수 있다. 약 20%의 기계적 변형까지 하중을 해제할 때, 재료는 약 100 KPa의 기계적 응력을 나타내며, 다른 예에서 약 20%에서 하중이 해제된 기계적 응력은 약 50 KPa 내지 약 200 KPa, 약 75 KPa 내지 약 150 KPa, 또는 100 KPa 내지 약 125 KPa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재료는 상기 설명된 특정된 기계적 변형 수준 각각에서 특정 범위 또는 수준의 기계적 응력을 적어도 달성하도록 구성되지만, 다른 예에서 상기 재료는 더 낮은 수준의 최대 기계적 변형, 예를 들어 최대 약 30% 또는 약 40%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응력/변형력 곡선의 특정 부분은 특정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수준의 최대 변형력에서, 하중 곡선은 상응하는 실제 응력/변형력 곡선에서 일반적으로 선형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드레싱을 사용한 예에서, 약 45%의 실제 변형까지 하중 곡선은 일반적으로 선형 형태를 가졌다. 다른 예에서, 상기 형태는 하중 곡선의 일부를 따라서만 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전체 하중 곡선에서 곡선일 수 있다. 하중 곡선이 비선형인 경우, 하중 곡선은 볼록형, 오목형,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하중 곡선의 접선 라인(즉, 두 삼각형 사이의 라인)도 일반적으로 같이 선형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탄성 재료는 적어도 약 1 MPa, 약 1.5 MPa, 약 2 MPa, 약 2.5 MPa, 약 3 MPa, 약 3.5 MPa, 약 4 MPa, 약 5 MPa, 약 6 MPa, 약 7 MPa, 약 8 MPa, 약 9 MPa 또는 적어도 약 10 MPa 또는 그 이상의 탄성률 E를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재료의 탄성률 E는 약 10 MPa 이하, 약 9 MPa, 약 8 MPA, 약 7 MPa, 약 6 MPa, 약 5 MPa, 또는 약 4 MPa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정 변형 수준에서의 절대 응력 수준에 더하여, 상기 재료는 또한 a) 하중 동안 특정한 변형을 달성하기 위한 응력과 b) 하중 해제 동안 동일한 변형에서의 응력 사이의 비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는 20%, 30% 및 40% 변형 수준 각각에서 적어도 4:1 내지 약 3:2의 비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상기 재료는 20%, 30%, 또는 40% 변형 수준에서, 또는 40%를 제외한 20% 및 30%의 변형 수준에서, 또는 20%를 제외한 30% 및 40% 변형 수준에서만 이들 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비는 변형 수준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약 약 3:1 내지 약 2:1, 또는 약 5:2 내지 약 2:1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드레싱의 탄성 재료는 시험 조건 하에서 일정한 변형력에서 안정한 수준의 응력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재료는 특정한 시간 기간에 걸쳐 특정한 수준의 변형에서 제한된 양의 응력 이완을 나타낸다. 시간 기간은 적어도 약 8 시간, 약 12 시간, 약 18 시간, 약 24 시간, 약 36 시간, 약 48 시간, 약 72 시간, 약 4 일, 약 5 일, 약 6 일, 또는 약 1주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변형 수준은 약 10%,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시간 곡선에서 예시적인 드레싱의 응력은 약 1 시간, 약 2 시간, 약 3 시간, 약 4 시간, 약 5 시간, 약 6 시간, 약 7 시간, 또는 약 8 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인지 가능한 편차 없이 약 3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300 KPa의 기계적 응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변형, 20% 변형, 및 40% 변형에서 응력은 더 낮거나 높을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탄성 재료 또는 드레싱은 시험 조건 하에서 특정한 시간 기간에 걸쳐 일정한 변형력에서 유지되었을 때 특정한 최소 수준의 응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에 걸쳐 피부에 응력 및 변형력을 유지하는 뒷받침 재료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예에서, 기계적 변형은 초당 100 미크론의 속도로 각 뒷받침 재료가 60%까지 인장 변형된 상태를 10분간 유지하고, 이후 초당 100 미크론의 속도로 변형을 30%까지 떨어뜨려 9시간 유지하여 측정되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드레싱은 30%의 기계적 변형에서 약 350 KPa의 기계적 응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응력의 최소 수준은 약 100 KPa, 약 120 KPa, 약 140 KPa, 약 160 KPa, 약 180 KPa, 약 200 KPa, 약 220 KPa, 약 240 KPa, 약 260 KPa, 약 280 KPa, 약 300 KPa, 약 320 KPa, 약 340 KPa, 약 360 KPa, 약 380 KPa, 약 400 KPa, 약 420 KPa, 약 440 KPa, 약 460 KPa, 약 480 KPa, 약 500 KPa, 약 600 KPa, 약 700 KPa, 약 800 KPa, 약 900 KPa 또는 약 1000 KPa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정한 변형력 수준은 다른 형태에서는 상이할 수 있으며,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또는 약 80%의 수준이다. 드레싱이 응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기간은 적어도 약 2000 초, 약 3000 초, 약 4000 초, 약 5000 초, 약 6000 초, 약 7000 초, 약 8000 초, 약 9000 초, 약 10000 초, 약 20000 초, 약 30000 초, 약 40000 초, 약 50000 초, 약 60000 초, 약 70000 초, 약 24 시간, 약 36 시간, 약 48 시간, 약 72 시간, 약 4 일, 약 5 일, 약 6 일, 약 7 일, 약 10 일, 약 2 주, 약 1 개월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 탄성 재료 및/또는 접착 재료는 피부 표면 또는 시험 표면에 적용되었을 때 특정한 기간에 걸쳐 응력 또는 변형력 수준에 약 15% 미만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변화도는 약 12%, 약 10%, 약 8%, 약 6%, 약 5%, 약 4%, 약 3%, 또는 약 2% 이하일 수 있다. 응력 또는 변형력은 기계적 응력 또는 변형력일 수 있고, 및/또는 실제 응력 또는 변형력일 수 있다.
사용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아크릴,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비닐에테르, 니트릴 또는 다른 PSA와 같은 압력 활성화 접착제(PSA)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비-압력 감응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한은 아니지만 열 또는 광 경화 접착제를 포함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클릴레이트계, 폴리이소부틸렌계, 실리콘계 압력 감응성 접착제, 합성 고무, 아크릴, 및 폴리이소부틸렌(PIB), 히드로콜로이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접착제의 T-박리 이형력 및 블런트 프로브 점착력은 ASTM D1876 및 ASTM D2979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과 같은 표준 시험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접착제의 T-박리 이형력 및 블런트 프로브 점착 시험값은 적어도 약 24 시간, 약 48 시간, 약 72 시간, 약 1 주, 약 2 주, 약 3 주, 약 4 주 또는 그 이상 동안 적어도 약 50 mPa/mm의 하중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변형에서, 상기 하중은 특정한 시간 기간에 걸쳐 적어도 약 75 mPa/mm, 약 100 mPa/mm, 약 125 mPa/mm, 또는 적어도 약 150 mPa/mm일 수 있다. 접착도(예를 들어, T-박리 이형력 또는 블런트 프로브 점착 시험값에 의해 측정된)는 피부 또는 절개 부위에 놓인 변형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일부 변형에서 이들 시간 기간은 약 10%, 약 20%, 약 30%, 약 40%, 또는 약 50% 또는 그 이상의 평균 피부 변형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접착제는 적어도 약 150 kg/m, 약 160 kg/m, 약 170 kg/m, 약 180 kg/m, 약 190 kg/m, 약 200 kg/m, 약 210 kg/m, 약 220 kg/m, 약 230 kg/m, 약 240 kg/m, 약 250 kg/m, 약 260 kg/m, 약 270 kg/m, 약 280 kg/m, 약 290 kg/m, 약 300 kg/m, 약 310 kg/m, 약 320 kg/m, 약 330 kg/m, 약 340 kg/m, 약 350 kg/m, 약 400 kg/m, 약 450 kg/m, 또는 적어도 약 500 kg/m 또는 그 이상의 T-박리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T-박리 이형력은 약 1000 kg/m 이하, 약 900 kg/m, 약 800 kg/m, 약 700 kg/m, 약 600 kg/m, 약 500 kg/m, 약 400 kg/m 또는 약 300 kg/m일 수 있다. 접착제의 블런트 프로브 점착 시험값은 적어도 약 0.50 kg, 약 0.55 kg, 약 0.60 kg, 약 0.65 kg, 약 0.70 kg 또는 약 0.75 kg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약 1 kg 이하, 약 0.9 kg, 약 0.8 kg, 약 0.7 kg, 또는 약 0.6 kg일 수 있다. T-박리 이형력 및 블런트 프로브 점착력은 ASTM D1876 및 ASTM D2979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과 같은 표준 시험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장치의 다른 특징 또는 변형들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는 2007년 8월 3일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제11/888,978호에 설명된다.
릴리즈 라이너는 불투명 및 투명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는 Mylar 또는 종이, 또는 장치의 접착 재료(들)에 대한 접착이 감소된 어떤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의 경우에는 플루오로폴리머-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 압력 감응성 접착제의 경우 실리콘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Mylar 필름 또는 실리콘 처리된 크라프트지가 사용될 수 있다. 장치가 다수의 분리된 접착제 영역을 갖는 변형에서는 분리된 릴리즈 라이너들이 각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영역은 동일한 릴리즈 라이너로 덮일 수 있다.
본원의 장치, 키트 또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드레싱,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의 예들은 본원에 명세서의 전체가 제한 없이 참고로 포함된 2010년 8월 11일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제12/854,859호에 제공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조립체,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는 장력 구조, 및 드레싱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1 부착부 및 드레싱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2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력 구조는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 사이에 분리 힘을 발휘하여 제1 및 제2 부착부에 부착된 드레싱에 변형을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드레싱은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의 제1 및 제2 부착부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부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부재의 부착 구조에 통합될 수 있다. 장력 구조는 또한 어플리케이터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피험자의 피부에 드레싱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드레싱 조립체, 드레싱 캐리어, 지지체, 베이스,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의 부착 구조는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를 드레싱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은 부착 특징부 또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부착 특징부는 부착 구조 또는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드레싱 및/또는 장력 장치의 부착 구조에 상응하는 구조와 통합되거나 그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조립체는 제한은 아니지만 본원에 설명된 분리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해서 패키지, 드레싱 조립체의 다른 부착 요소 또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드레싱의 분리, 릴리즈, 제거 또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요소 또는 릴리즈 가능한 부착 구조는,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포켓 및 탭, 후크-루프 메커니즘, 후크, 앵글드 바, 부착 구조와 결합된 선회, 롤링, 잠금 또는 슬라이딩 특징부, 접착제, 제거 가능한 접착제, 접착 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 장치, 페그, 립 코드, 타월 바 형태, 슬라이딩 핀, 마찰 잠금부, 캠 잠금부, 진공 또는 흡인 장치, 스냅 접속장치, 카펫 택, 프레스 핏 접속부 또는 다른 접속부, 레버, 걸쇠, 잠금 부재, 스프링 부재,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 예를 들어 커터 또는 립 코드 또는 부착 구조 또는 천공된 요소 또는 다른 절단 가능한 구조의 인열, 절단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다른 구조 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어플리케이터 패키지, 드레싱 조립체의 다른 부분 및/또는 부착 구조, 특징부, 요소 또는 부분들로부터 드레싱의 제거를 허락한다. 이들은 자체 이형 걸쇠 또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이들은 어플리케이터를 제거하기 전에 압력 부재가 피부 치료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가동될 수 있다. 이들은 수동으로 가동될 수 있다.
주지된 대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및/또는 변형 장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 힘에 의해 피부 치료 장치에 변형력을 부여하고 및/또는 피부 치료 장치에 부여된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는 선회 또는 회전하여 드레싱을 인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변형 장치는 단일의 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설정된 변형력 또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설정된 변형력, 또는 미리 정해진 최대 또는 최소 변형량을 부여하고 및/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조립체,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드레싱을 변형하는데 사용되는 어떤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미변형 형태인 것으로 설명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는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에 부착되었을 때 드레싱이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덜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이다. 변형된 형태인 것으로 본원에 설명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는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장력 또는 변형 장치에 부착되었을 때 드레싱이 변형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변형될 수 있는 형태, 또는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미변형 형태에 대해 드레싱이 변형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이다.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및 상응하는 부착 특징부들은 드레싱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다중 방향 변형력 또는 추가 변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및/또는 부착 구조 프로파일은 직선, 곡선이거나, 또는 달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요소들의 모양은 피부 치료 장치가 부착되는 피험자의 신체 영역의 모양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장력 장치, 어플리케이터 또는 이들의 요소들은 피부 치료 장치가 피험자의 피부에 위치되는 특정한 신체 장소 또는 프로파일에 맞는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선택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또는 이들의 요소들은 피험자의 신체 프로파일의 일부와 밀접히 일치하도록 선택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 및/또는 이들의 요소 또는 세그먼트는 곡선, 휠 수 있는, 가요성, 구부러질 수 있는, 가단성, 변형 가능한, 형상화 가능한 또는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이로써 부착된 드레싱의 다른 모양 또는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은 적어도 한 방향에서는 상대적으로 곡선, 휠 수 있는, 가요성, 가단성, 구부러질 수 있는, 변형 가능한, 형상화 가능한 또는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고, 다른 방향에서는 더 강성일 수 있다.
여러 가지 잠금, 걸쇠, 고정, 부착, 또는 멈춤쇠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제한은 아니지만 미변형, 부분 변형, 변형된 형태를 포함한다. 여러 가지 잠금, 걸쇠 또는 멈춤쇠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드레싱을 미변형, 부분 변형,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또는 드레싱을 변형된 위치에 잠금으로써 주어진 드레싱의 미리 정해진 변형이 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변형량은 치료 부위의 모양 및/또는 크기에 독립적인 미리 결정된 절대적인 변형 퍼센트 또는 힘 수준일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이런 절대적인 변형 퍼센트 또는 힘 수준은 봉합 없이 상처를 봉합하기 위한 최소 변형 또는 힘에 독립적일 수 있다(예를 들어, 치료 부위의 절개부 엣지를 맞닿게 하기 위한 상대적 변형 또는 힘). 또한, 상처 봉합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힘은 미리 정해진 변형 또는 힘이 아니며, 최종적인 변형 또는 힘 수준은 절개부 엣지가 맞닿을 때까지 알 수 없다.
도 1 내지 5c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100)의 변형이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100)는 책 모양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120), 드레싱(1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110), 및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120)로부터 드레싱(130)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릴리즈(150)를 포함한다.
드레싱(130)은 제1 표면(135a) 위의 피부접착층(135)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가진 탄성 시트(131)를 포함한다. 사용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적합한 압력 활성화 접착제(PSA), 또는 비-압력 감응성 접착제일 수 있다.
패키지 조립체(100),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20) 및/또는 드레싱 조립체(110)는 드레싱(130)을 미리 변형하고 및/또는 미리 변형된 드레싱(130)의 피험자의 피부로의 전달을 허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120)는 피험자의 피부 및/또는 상처 부위에 드레싱(130)의 접착제 부분의 편리한, 신속한 또는 멸균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120)는 커버(121) 및 베이스(122)를 포함한다. 드레싱 조립체(110)는 드레싱 캐리어 또는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는 장치(1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된다. 커버(121)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길이를 따라 있는 상응하는 엣지(123a, 124a) 및 대향 단부들에 있는 엣지(121a)를 가진 측면(123, 12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캐리어 또는 베이스(122)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길이를 따라 있는 상응하는 엣지(125a, 126a) 및 대향 단부들에 있는 엣지(122a)를 가진 측면(125, 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 및/또는 베이스(121, 122) 또는 그것의 요소 또는 세그먼트는 본원에서 변형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대로 피험자에 적용될 때까지 부착된 드레싱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히 단단하거나 강성으로 또는 부착된 드레싱에 비해 덜 가요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TEFLON®), LDPE, 고 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염화폴리비닐(PVC) 또는 아크릴, 나일론 또는 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 또는 세그먼트들은 재료의 라미네이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지의 층들 사이에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LDPE 또는 고무 재료의 층이 있는 고체 표백 황산 판지일 수 있다. 재료는 또한 연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일 수 있다. 금속은 호일, 리본, 와이어 또는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측면(123, 125)에서 이동 가능하게, 힌지 방식으로 또는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저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료와 같은 재료의 층이 커버와 베이스에 각각 아교로 부착되어 이들이 측면(123, 125)에서 함께 부착된다. 다른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해서 커버(121)와 베이스(122)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복합 구조 또는 라미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일부 선택된 영역에는 가요성을 제공하고, 다른 영역에는 강성을 제공하거나, 제1 방향에서 상대적 또는 절대적 가요성을 제공하고, 제1 방향을 횡단할 수 있는 제2 방향에서는 상대적 또는 절대적 강성을 제공하는 단일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5c에 묘사된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지만, 다른 예에서는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모양일 수 있다. 커버(121) 및/또는 베이스(122)는 굽힐 수 있거나, 접힐 수 있거나, 휘어질 수 있거나, 가요성이거나, 가단성 있거나 또는 형상화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이나 곡률을 가진 장소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균일한 배치를 허락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커버 및 베이스(121, 122)는 각각 길이를 따라 세그먼트(127)들로 분할되며, 이들은 인접 세그먼트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이동 가능해서 길이를 따라 장치(120)에 가요성을 허락한다. 세그먼트(127)은 더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너비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만곡을 감소시킨다. 강성 및/또는 가요성의 방향을 바꾸는 다른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드레싱이 변형되는 방향으로 강성을 제공하는 형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것은 소정의 변형 수준을 생성하고 및/또는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세그먼트(127)은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재료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세그먼트들을 서로에 대해 함께 유연하게 고정시킨다. 세그먼트 또는 다른 요소들을 유연하게 결합시키는 다른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커버 및 베이스(121, 122)를 결합하거나 잇는 재료는 세그먼트(127)을 인접 세그먼트(127)과 결합시키는 재료와 연속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커버 및 베이스(121, 122)의 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부착된 구조,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및/또는 커버 및 베이스와 결합 요소들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드레싱 캐리어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조적 지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뒷받침의 적어도 일부와 드레싱 사이의 여유분은, 예를 들어 본원에 더 설명된 대로 엣지(121a, 123a, 124a, 122a, 125a 및/또는 126a)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추가 실시형태들에서, 커버(121)와 베이스(122)를 부착하는 재료는 반-강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개방 형태와 닫힌 형태, 또는 그 사이의 형태로 편향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여러 가지 관절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제한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핀-베이스 힌지 조인트, 커버(121) 및 베이스(122)에 있는 홀에 부착된 고리, 또는 볼-소켓 조인트를 포함한다.
도 5a-5c에 예시된 대로, 패키지의 구성의 변형이 도시된다.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상대적으로 단단하거나 강성인 요소, 예를 들어 널(121a, 121b) 및 널(122a, 122b)을 각각 포함하며, 이들은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저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료와 같은 재료의 시트(128)에 의해 부착되고, 또한 측면(123, 125)에서 커버와 베이스(121, 122)를 유연하게 결합한다. 세그먼트(127)은 세그먼트(127)를 함께 결합시키는 다른 모양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장치(120)는 다양한 정도로 또는 여러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특정한 해부학적 장소에서 또는 다양한 크기에 따라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상황 또는 개체에 맞는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창 부분(159)을 제공하는 투명 플라스틱, 반투명 또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며, 이것을 통해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장소를 볼 수 있어서 드레싱(130)이 정확히 배치된다.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탄성 시트(131) 및 접착층(135)도 또한 이들을 통해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투명할 수 있다. 더 불투명한 재료는 창(159)의 경계를 만들기 위한 재료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세그먼트(127)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어서 드레싱(130)에 대해 상처 장소 또는 피부의 위치를 보고, 배치하고 및/또는 중앙화하거나, 또는 드레싱의 최적 또는 가장 효과적인 변형 구역 안에 상처를 배치할 수 있다. 경계 또는 다른 마킹은 사용자가 드레싱(130)을 상처나 절개부 위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110)의 드레싱(130)은 길이를 가진 제1 측면 또는 엣지(133), 및 길이를 가진 제2 측면 또는 엣지(134)를 가진다. 드레싱(130)은 드레싱의 측면(133, 134)의 길이를 따라 패키지 조립체(100)와 결합된다. 장치(120)가 닫혔을 때, 접착층(135)은 베이스(122)와 이격되어 마주하고, 커버(121)의 내면(177)에 부착된 릴리즈 라이너(149)로 덮인다. 또한, 드레싱 조립체(110)는 제1 측면(143)과 제2 측면(144)을 가진 부착 시트(141)를 포함한다. 부착 시트(141)는 드레싱(130)을 장치(120)의 커버와 결합시키며, 열렸을 때 부착 시트(141)를 통해 드레싱(130)에 변형력을 발휘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부착 시트(141)는 가요성이지만, 드레싱(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탄성이며, 예를 들어 저 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부착 시트(141)는 드레싱(130) 및 부착 시트(141)의 측면(134 및 143)에서(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또는 근처에서 드레싱의 탄성 시트(131)에 접합된다. 부착 시트(141)는 그것의 측면(144)에서 커버(121)의 길이를 따라 부착 라인 또는 영역(137a)을 한정하는 부착 지점(137)에서 커버(121)와 결합된다. 드레싱(130)은 드레싱(130)의 제1 측면(133) 근처의 장소에서 베이스(122)의 제2 측면(124)에 결합된다. 이로써 탄성 시트(131)는 베이스(122)의 길이를 따라 부착 라인 또는 영역(138a)을 한정하는 부착 지점(138)에서 부착된다. 많은 접합 방법이나 접착제가 부착 시트(141)를 커버(121)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가 사용된다.
조립체(100)는 도 1에 예시된 닫힌 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대로 90도 개방 형태로 되면 탄성 시트(131)가 이완되거나 변형이 해제되고, 이때 탄성 시트(131)는 미변형 너비 w1을 가진다. 조립체(100)가 180도 또는 최대 약 360도까지 열렸을 때(예를 들어, 베이스(122)에 대해 커버(121)를 회전 또는 선회시킴으로써) 부착 라인 또는 영역(137a, 138a) 사이의 직교 거리가 증가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조립체는 약 180도(최소 각 변화) 미만으로 열려 조립체(100)의 방해 없이 드레싱이 적용된다. 장치(120)가 열렸을 때는 부착 라인 또는 영역(137a, 138a) 또는 상응하는 부착 영역에 의해 한정된 부착 영역 사이에 분리 힘을 발휘한다. 상기 힘은 탄성 시트를 인장하여 변형력을 생성한다. 드레싱(130)의 장력 및 변형력의 부여는 부착 라인 또는 영역(137a, 138a) 사이의 너비를 w2로 증가시킨다. 너비의 증가, 즉 w2와 w1의 차이는 본원에 설명된 대로 w1의 백분율 또는 변형 퍼센트일 수 있다. 변형은 베이스(122)로부터 커버(121)가 약 90도 열렸을 때 시작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드레싱(130)은 변형이 시작되는 커버 위치 또는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다수의 장소에서 또는 다수의 형태로 커버(121)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121)의 엣지(124a) 또는 측면(124)은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레버 암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커버(121)의 엣지(124a)에 커버 위 드레싱 조립체(110)의 부착 지점(138)의 거리 및 드레싱의 장력이 생기는 베이스(122)에 대한 커버(121)의 각도에 의존할 수 있다. 추가로, 커버(121)에 비탄성 부착 시트(141)의 부착 지점(138)은 드레싱에 적용되는 변형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특히 부착 시트(141)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베이스(122)에 드레싱 조립체(110)의 부착 지점(137)은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한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은 한 엣지(예를 들어, 베이스(122)의 측면(126)의 엣지(134))에는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반대편 엣지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베이스(122)의 엣지(125a)에 대해 변형되었을 때 엣지(133)가 움직인다). 커버(121)가 열리고 드레싱(130)이 변형되었을 때, 변형된 드레싱의 너비는 베이스(122) 및/또는 커버(121)의 너비 미만일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의 해당 영역이 베이스(122) 및/또는 커버(121)의 영역에 걸쳐 위치되는데, 즉 베이스(122) 및/또는 커버(121)는 드레싱의 해당 영역 바깥쪽에 여유분을 가진다. 다른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은 양쪽 엣지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장치(120)에 대해 충분히 크며, 이로써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장치(120)에 의한 방해가 비교적 적다. 한 예에 따라서, 드레싱의 변형된 부분의 너비는 약 10 mm, 약 20 mm, 약 30 mm, 약 40 mm, 또는 약 50 mm일 수 있다. 다른 변형된 치수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각 엣지(133, 134)와 베이스(122)의 엣지(125a, 126a)(및/또는 커버(121)의 엣지(123a, 124a) 사이의 거리는 각각 약 10mm, 15mm 또는 20mm 이하이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엣지(136a, 136b)와 베이스의 엣지(122a)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약 15mm 또는 약 20mm 이하이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엣지(133, 134, 136a, 136b)는 베이스(122)의 엣지(125a, 126a 및/또는 122a)의 적어도 일부의 안쪽으로 적어도 약 1.0mm이며, 이로써 드레싱(130) 또는 접착층(135)을 만질 가능성이 감소한 상태에서 베이스(122)의 엣지(125a, 126a 및/또는 122a)를 사용자가 쥘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단부(136a, 136b)는 베이스(122)의 단부(122a)의 안쪽으로 적어도 약 1.0mm의 여유분을 가진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측면(133, 134) 및 단부(136a, 136b)는 베이스의 측면(125, 126) 및 단부(122a)로부터 각각 약 10mm의 여유분을 가진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측면(133, 134) 및 단부(136a, 136b)는 베이스의 측면(125, 126) 및 단부(122a)로부터 각각 약 15mm의 여유분을 가진다. 드레싱(130)의 측면(133, 134) 또는 단부(136a, 136b)와 베이스(122)의 측면(125, 125) 및 단부(122a) 사이의 여유분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대로, 예를 들어 여유분 m1 및 m2는 3mm 이상이고, 여유분 m3는 약 15mm이다. 다른 방식으로 또는 추가로, 예를 들어 커버(121)의 엣지가 장치(12)를 쥐거나 드레싱(130)을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드레싱(130)과 커버(121)의 엣지(121a, 123a 및/또는 124a) 사이에 유사한 여유분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일단 커버(121)가 열리고 접착층(135)이 노출되면, 드레싱(130)의 접착 측면이 장치(120)를 사용하여 피부 또는 상처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대로, 커버(121) 및 베이스(122)는 서로에 대해 추가의 양으로, 예를 들어 드레싱(130)을 적용하기 전에 닫힌 형태로부터 최대 약 360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장치를 개방된 위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잠그거나 고정하기 위해서 잠금 메커니즘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자석, 후크-루크 부착 구조, 스냅, 걸쇠,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시트(131)의 접착층(135)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20)가 열리기 전에는 릴리즈 라이너(149)로 보호된다. 릴리즈 라이너(149)는 커버(121)의 내면(177)에 부착되거나 아교로 부착되며, 이로써 커버(121)가 도 2에 도시된 대로 열려서 베이스(122)로부터 분리되었을 때(탄성 시트(131)를 변형하기 전에) 릴리즈 라이너(149)를 탄성 시트(131)로부터 당겨서 접착층(135)을 노출할 수 있다. 또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대로, 릴리즈 라이너(149a)는 커버(121)에 부착되지 않은 접착층(135)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120)가 열렸을 때와 드레싱(130)을 변형하기 전에 릴리즈 라이너(149a)는 탄성 시트(131)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어 접착층(135)을 노출할 수 있다.
드레싱(130)이 변형되고 라이너(149 또는 149a)가 릴리즈된 후, 드레싱(130)은 피험자의 피부에 원하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창(159)을 사용해서 적절한 위치를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120)의 뒷면(129)에 압력을 적용해서 탄성 시트(131) 상의 접착제를 활성화하고 및/또는 상처에 압축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달리, 커버(121)가 360도 회전된다면 압력은 커버(121)의 내부(177)에 적용될 수 있다. 일단 피험자에게 적용된 후, 탄성 시트(131)는 릴리즈 구조 또는 메커니즘(150)을 사용해서 패키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2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150)은 커터(1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각각 탄성 시트(131)의 반대편 측면(133, 134)에 위치된다. 각 커터(151)는 한 단부(153)에 칼날(152)을 포함하고, 렉(154, 155)이 반대편 단부(157)에서 대향하는 당김 탭 또는 탭들(156)까지 연장된다. 칼날(152)은 일반적으로 v-형 또는 다른 모양일 수 있는 예리한 표면을 포함한다. 칼날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칼날(152) 및 당김 탭(156)은 각각 탄성 시트(131)의 단부(136a, 136b)와 베이스(122)의 단부(122a)로부터 연장된다.
커터(151)는 드레싱 조립체(110)를 절단해서 드레싱(130)을 릴리즈하게 칼날(152)이 탭(156)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따라 일반적인 절단 경로(162, 163)(도 5a에 가장 잘 묘사됨)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드레싱 조립체(110)에 부착된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새김금이 있거나, 천공되거나, 또는 릴리즈 메커니즘에 의한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b 및 5c에 가장 잘 도시된 대로, 커터(151)의 렉(154, 155)을 각각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튜브(164, 165)는 탄성 시트(131)의 측면(133)을 따라 위치된다. 튜브(164, 165)는 절단 경로(162)가 튜브(164)와 튜브(165) 사이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튜브(165)는, 예를 들어 절단 경로(162)보다 측면(133)에 가까운 장소에서 탄성 시트(131)의 접착면(135)에 아교로 부착되어 결합된다. 튜브(164)는 부착 시트(141)에 의해 탄성 시트(131)의 뒷면(139)에 결합되고, 이것은 또한 절단 경로(162)보다 측면(133)에 가까운 장소에서 탄성 시트(131)에 결합된다. 튜브(164)는 측면(133)에 대해 절단 경로(162)의 안쪽으로 연장된 부착 시트(141)의 자유 단부(145)에 결합된다. 이로써, 튜브(164)는 절단 경로(162)의 내부에서 탄성 시트(131)에 부착되지 않고 절단 경로(1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드레싱(130)이 튜브(164)와 부착 시트(141)를 구비한 커터(151)를 포함하는 패키지 조립체(100)의 나머지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도록 한다. 보호 부재(170)가, 예를 들어 튜브(165)의 상부에 아교로 부착된다. 보호 부재(170)는 절단 경로(162)를 지나 연장된 릿지(171)를 포함하며, 이로써 접착층(135)이 피험자의 피부에 위치되고 커터(151)가 가동될 때 피부가 칼날(152)로부터 보호된다.
렉(154, 155)을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튜브(174, 175)는 각각 탄성 시트(131)의 측면(134)을 따라 위치된다. 튜브(174, 175)는 절단 경로(163)가 튜브(174)와 튜브(175) 사이에 있도록 위치된다. 튜브(175)는, 예를 들어 절단 경로(163)보다는 탄성 시트(131)의 측면(134)에 가까운 장소에서 탄성 시트(131)의 접착면(135)에 아교로 부착되어 결합된다. 튜브(174)는 익스텐더 시트(146)에 의해 탄성 시트(131)의 뒷면(139)에 결합된다. 튜브(174)는 측면에 대해 절단 경로(163)의 안쪽으로 연장된 익스텐더 시트(146)의 자유 단부(147)에 결합된다. 또, 튜브(174)는 절단 경로(163)보다 측면(134)에 가까운 장소에서 탄성 시트(131)에 결합된다. 이로써, 튜브(174)는 절단 경로(163)의 내부에서 탄성 시트(131)에 부착되지 않고 절단 경로(16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드레싱(130)이 튜브(175)와 익스텐더 시트(146)를 구비한 커터(151)를 포함하는 패키지 조립체(100)의 나머지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도록 한다. 보호 부재(170)는 절단 경로(163)를 지나 연장된 릿지(171)를 포함하며, 이로써 접착층(135)이 피험자의 피부에 위치되고 커터(151)가 가동될 때 피부가 칼날(152)로부터 보호된다.
튜브(164, 165, 174, 175)의 내부는 윤활 재료, 예를 들어 Kapton 테이프로 코팅될 수 있다. 가이드 렉(154, 155)은 HDPE 또는 UHMWPE와 같은 저 마찰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렉(154, 155)은 튜브(164, 165, 174, 175) 안에서 쉽게 활주하여 패키지 조립체(100)의 나머지로부터 드레싱(130)의 매끄러운 절단을 허락할 수 있다.
드레싱(130)이 변형되고 접착제(135)가 노출되었을 때, 드레싱(130)은 피험자의 피부를 향해 접착 측면(135)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에, 탭(146)을 당겨 탄성 시트의 측면(133)을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릴리즈하여 칼날(152)이 절단 경로(162)를 가로지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탭(146)을 당겨서 탄성 시트의 측면(134)을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릴리즈하여 칼날(152)이 절단 경로(163)를 가로지르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시트(131)가 릴리즈를 포함하는 패키지(100)로부터 릴리즈된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200)의 다른 변형이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200)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220)와 드레싱(2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210)를 포함한다. 드레싱(230)은 피부접착층(235)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가진 탄성 시트(231)를 포함한다. 사용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적합한 압력 활성화 접착제(PSA), 또는 비-압력 감응성 접착제일 수 있다.
패키지 조립체(200),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220), 및/또는 드레싱 조립체(210)는 드레싱(230)을 미리 변형하고, 및/또는 피험자의 피부에 미리 변형된 드레싱(230)의 전달을 허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220)는 피험자의 피부 및/또는 상서 부위에 드레싱의 접착제 부분의 편리한 멸균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치(220)는 커버(221) 및 베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10)는 장치(2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드레싱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커버(221)는 일반적으로 평면이고,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223a 및 224a)와 대향 단부의 엣지(221a)를 가진 측면(223, 224)을 포함한다. 베이스(222)는 일반적으로 평면이고,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225a, 226a)와 대향 단부의 엣지(222a)를 가진 측면(225, 226)을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 및/또는 베이스(221, 222) 또는 이들의 요소 또는 세그먼트들은 본원에서 변형들과 관련해 설명된 대로 피험자에 적용될 때까지 부착된 드레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단단하거나 강성이거나 또는 부착 드레싱에 비해 덜 가요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PTFE, LDPE, HDPE, UHMWPE, PVC 또는 아크릴, 나일론 또는 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 또는 세그먼트는 재료의 라미네이트, 예를 들어 판지의 층들 사이에 가요성 재료의 층이 있는 고체 표백 황산 판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저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재료는, 예를 들어 연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재료는 호일, 리본, 와이어 또는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용 또는 장력 장치(100)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변형들은 장치(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버 및 베이스(221 및 222)는 본원에서 커버 및 베이스(121, 122)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측면(223, 225)에 이동 가능하게, 선회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또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 및 베이스(121, 122)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세그먼트(227)은 세그먼트(127)과 유사하며, 드레싱(230)은 장치(220)에 부착되어, 드레싱(130)이 장치(120)에 부착되었을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장치에 의해 변형된다.
다양한 부착된 구조,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및/또는 커버 및 베이스 및 결합 요소들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드레싱 캐리어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조적 지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뒷면의 적어도 일부와 변형된 또는 미변형 드레싱 사이의 여유분은 엣지(221a, 223a, 224a, 222a, 225a 및/또는 226a)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여유분 m1, m2, m3가 도 3에 도시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221) 및 베이스(222)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창 부분(259)을 제공하는 투명 플라스틱, 반투명 또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며, 이것을 통해서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장소를 볼 수 있어서 드레싱(230)을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 커버(221) 및 베이스(222)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탄성 시트(231) 및 접착층(235)은 이들을 통한 시각화를 허락할 만큼 충분히 투명할 수 있다. 더 반투명한 재료가 창의 경계를 만들기 위해 재료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세그먼트(227)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레싱(230)과 관련하여 피부의 상처 장소 또는 위치를 보고, 배치하고 및/또는 중앙화하기 위한, 또는 드레싱의 최적 또는 가장 효과적인 변형 구역 안에 상처를 배치하기 위한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마킹의 경계는 사용자가 드레싱을 상처 또는 절개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드레싱 조립체(210)는 부착 시트(241), 부착 시트(251), 및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된 당김 탭(246)을 포함하는 드레싱 릴리즈 구조 또는 메커니즘(250)을 포함한다. 드레싱 조립체(210)의 드레싱(230)은 길이를 가진 제1 측면(233), 및 길이를 가진 제2 측면(234)을 가진다. 장치(220)가 닫혔을 때 접착층(235)은 베이스(222)와 이격 마주하고, 커버(221)의 내면(277)에 부착된 릴리즈 라이너(249)로 덮인다.
또, 부착 시트(241)는 제1 측면(243) 및 제2 측면(244)을 가진다. 부착 시트(241)는 드레싱(230)의 제2 측면(234) 근처에서 드레싱(230)을 장치(220)의 커버(221)와 결합시킨다. 커버(221)는 열렸을 때 부착 시트(241)를 통해 드레싱(230)에 변형력을 발휘한다. 부착 시트(241)는 그것의 측면(244)에서 부착 지점(237)에서 커버(221)와 결합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부착 라인 또는 영역(237a)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부착 시트(241)는,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부착 시트(241)의 측면(243)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부착 시트(241)의 섹션(265)에서 드레싱(230)의 탄성 시트(231)에 접합된다. 부착 시트(251)는 제1 측면(253) 및 제2 측면(254)을 가진다. 부착 시트(251)는 드레싱(230)의 제1 측면(233)의 근처에서 장치(220)의 베이스(222)에 드레싱(230)을 결합시킨다. 부착 시트(251)는 그것의 측면(254)에서 부착 라인 또는 영역(238a)을 한정하는 부착 지점(238)에서 베이스(222)에 결합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립되었을 때 부착 시트(251)는,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부착 시트(251)의 측면(253)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부착 시트(251)의 섹션(265)에서 드레싱의 탄성 시트(231)에 접합된다.
드레싱(230)은 그것의 측면(233, 234)에 미부착 부분 또는 엣지(255)를 가지며, 여기서는 탄성 시트(231)가 부착 시트(241, 251)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싱(230)은 미부착 부분(255)에서는 변형되지 않는다. 당김 탭(246)은 각각 장치(220)의 단부(281, 282)에 결합된다. 각 당김 탭(246)은 상부 섹션(247) 및 하부 섹션(248)을 포함한다. 하부 섹션(248)은 예시된 대로 베이스(222) 또는 커버(221)에 부착되고, 상부 섹션(247)은 드레싱(230)에 인접해서 미부착된 상태로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부착 시트(241, 245)는 가요성이지만 드레싱(23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비탄성이고, 예를 들어 저 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 시트(241, 245)는 재료 길이를 따라 인열 가능하지만, 다른 방향, 특히 부착 시트(241)의 재료의 장력 방향(드레싱이 인장, 압박 또는 변형되는 방향)으로는 인장 강도를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방향성 있게 편향된 입자를 생성하는 압출 공정에 의해 생산된 LDPE 폴리머이며, 이로써 상기 재료는 입자의 방향으로 인열 가능하지만, 입자를 횡단하는 방향에서는 인열에 상대적인 저항성을 가진다. 당김 탭(246)은 부착 시트(241 또는 251)에 있는 새김금에서 인열하기 시작할 수 있고, 이것은 라인(262)을 따라 완료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 시트(241, 251)는 인열 라인(262)을 따라 구멍이 형성된 LDPE와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본원의 조립체(100)와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대로 조립체(200)가 닫힌 형태이고 90도 개방 형태일 때, 탄성 시트(231)는 이완되거나 미변형되며, 이때 탄성 시트(231)는 미변형 너비 w3를 가진다. 조립체(200)가 180도 또는 최대 360도까지 열렸을 때(예를 들어, 베이스(222)에 대해 커버(221)를 회전 또는 선회시킴으로써), 부착 라인 또는 영역(237a, 238a) 사이의 직교 거리가 증가한다. 장치(220)가 열렸을 때 그것은 부착 라인 또는 영역(237a, 238b) 또는 상응하는 부착 영역에 의해 한정된 부착 영역들 사이에 분리 힘을 발휘한다. 상기 힘은 탄성 시트(231)를 인장하여 변형력을 생성한다. 드레싱(230)을 인장하고 변형력을 부여하면 부착 라인 또는 영역(237a, 238a)들 사이의 너비가 너비 w4로 증가한다. 너비의 증가(즉, 너비 w4와 w3의 차)는 본원에 설명된 w3의 백분율 또는 변형 퍼센트일 수 있다. 변형은 커버(221)가 베이스(222)로부터 약 90도 열렸을 때 시작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드레싱(230)은 다수의 장소 또는 다수의 형태로 커버(2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커버가 변형을 시작할 수 있는 위치 또는 형태를 바꿀 수 있다.
도 8 내지 8b에 도시된 대로, 커버(221) 및 베이스(222)는 서로에 대해 추가의 양으로, 예를 들어 드레싱(230)을 적용하기 전에 닫힌 형태로부터 최대 약 360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조립체의 방해 없어 드레싱을 적용하기 위해서 조립체는 약 180도(최소 각 변화) 이상으로 개방된다.
다음에, 일단 커버(221)가 열리고 접착층(235)이 노출되면, 드레싱(230)의 접착면이 장치(220)를 사용하여 피부 또는 상처 부위에 놓일 수 있다. 커버(221) 및 베이스(222)는 서로에 대해 추가의 양으로, 예를 들어 드레싱(230)을 적용하기 전에 닫힌 형태로부터 최대 약 360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드레싱(230)이 변형하기 시작하는 커버(221)의 배향은, 예를 들어 커버(221)에 대한 드레싱 조립체(210)의 부착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바뀔 수 있다. 장치를 개방된 위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잠그거나 고정하기 위해서 잠금 메커니즘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자석, 후크-루프 부착 구조, 스탭, 걸쇠,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시트(231)의 접착층(235)은 어플리케이터 및 장력 장치(220)가 열리기 전에는 릴리즈 라이너(249)로 보호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249)는 커버(221)의 내면(277)에 부착되며, 이로써 커버(221)가 열리고 베이스(222)로부터 분리되었을 때(탄성 시트(231)를 변형하기 전에), 릴리즈 라이너(249)를 탄성 시트(231)로부터 멀리 당겨서 접착층(235)을 노출할 수 있다. 또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대로, 릴리즈 라이너(149a)는 커버(221)에 부착되지 않은 접착층(235)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220)가 열렸지만 변형하기 전에는, 릴리즈 라이너(149a)는 탄성 시트(231)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어 접착층(235)을 노출시킬 수 있다.
라이너(249 또는 149a)가 릴리즈되고 드레싱(231)이 변형된 후, 드레싱(230)이 피험자의 피부의 원하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창을 사용해서 적절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220)의 뒷면(229)에 압력을 적용해서 드레싱(231) 상의 접착제를 활성화하고, 및/또는 상처에 압축을 적용할 수 있다. 커버(221)가 360도 회전되면 압력이 커버(221)의 내부(277)에 적용될 수 있다. 일단 피험자에게 적용되면, 드레싱(230)은 릴리즈 메커니즘(250)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22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250)의 당김 탭(246)은 각각 탄성 시트(231)의 단부(236a)로부터 연장된다. 각 릴리즈 당김 탭(246)은 인열 경로(262)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드레싱 조립체(110)에 부착되며, 이것을 따라 탭(246)을 당겨서 드레싱(230)을 장치에서 분리한다. 경로(262)를 따른 인열을 용이하게 하는 새김금 또는 구멍이 부착 시트(241, 251)에 제작될 수 있다.
드레싱(230)은 피험자에게 적용된다. 다음에, 드레싱(230)은 탭(246)이 부착 시트(241, 251)의 경로(262)를 가로지르게 탭(246)을 당김으로써 장치(22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이로써, 당김 탭(246)에 접합된 부착 시트(241, 251)의 섹션(245)이 부착 시트로부터 분리되고, 커버(221) 및 베이스(222)에 부착된 부착 시트(241 및 251)의 나머지로부터 드레싱(230)에 부착된 부착 시트의 섹션(265)이 분리된다. 이로써, 드레싱(230)이 도 9에 도시된 대로 패키지(100)의 나머지로부터 릴리즈된다. 부착 시트(241, 251)의 섹션(265)은 도 9에 도시된 대로 실리콘 시트(231)의 뒷면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 드레싱(230)의 미부착 섹션(245)은 변형되지 않으며, 접착층(235)의 접착제를 갖지 않을 수 있다(또는 감소된 양의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섹션(245)에 의해 한정된 미부착 측면 또는 엣지에는 적은 응력이 발생한다.
도 10 내지 12b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300)가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300)는 패키지 장치 어플리케이터(320) 및 드레싱(3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310)를 포함한다.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는 피험자의 피부에 드레싱(330)의 전달을 허락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피험자의 피부 및/또는 상처 부위에 피부 치료 장치의 접착제 부분의 편리한, 신속한 또는 멸균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는 커버(321)와 하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베이스(322)를 포함하며, 여기에 드레싱 조립체(310)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된다. 커버(321)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서, 그것의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323a, 324a) 및 대향 단부의 엣지(321a)를 가진 측면(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22)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서, 그것의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325a, 326a) 및 대향 단부의 엣지(322a)를 가진 측면(325, 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321) 및 베이스(322)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부착된 드레싱(3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비가요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판지 또는 재료의 라미네이트, 또는 커버(121) 및 베이스(122)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또는 베이스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22b에 도시된 다양한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또는 드레싱 캐리어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321) 및 베이스(322)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커버(321) 및 베이스(322)는 측면(323, 325)에 이동 가능하게, 선회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또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르게는 커버(121) 및 베이스(122)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는 창 부분(359)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을 통해서 상처, 절개부 또는 다른 장소를 보면서 창(159, 259)의 사용과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드레싱(330)을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
피부 드레싱 장치(330)를 가진 드레싱 조립체(310)를 포함하는 조립체(300)가 구성된다. 드레싱 조립체(310)는 또한 드레싱 릴리즈 구조 또는 메커니즘(350)을 포함하며, 이것은 도 1 내지 22b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릴리즈 및 제거 구조와 같은 릴리즈 장치일 수 있다. 드레싱(330)은, 제한은 아니지만 탄성 붕대, 거즈형 붕대, 히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드레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및/또는 커버 및 베이스 및 결합 요소들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드레싱 캐리어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조적 지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뒷면의 적어도 일부와 드레싱 사이의 여유분은 여기 설명된 대로, 예를 들어 엣지(321a, 323a, 324a, 322a, 325a 및/또는 326a)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와 함께 조립되었을 때 드레싱(330)은 베이스에 결합된다. 제1 측면(333)에 인접한 드레싱(330)의 길이는 릴리즈(350)의 바깥쪽에서 그것의 측면(324)에 인접한 베이스(322)의 길이와 접합된다. 또한, 제2 측면(334)에 인접한 드레싱(330)의 길이는 릴리즈(350)의 바깥쪽에서 측면(325)에 인접한 베이스(322)의 길이와 접합된다. 시트(141, 146 또는 241, 251)와 유사한 부착 시트를 사용하여 드레싱(330)의 측면(333, 334)을 베이스(322)에 부착할 수 있다. 접착층(335)은 어플리케이터(320)가 열렸을 때 커버(321)와 베이스(322)로부터 이격 대면한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330)은 장치에 비해 충분히 넓어서,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장치(320)에 의한 방해가 상대적으로 적다. 한 예에 따라서, 드레싱의 변형된 부분의 너비는 약 20 mm, 약 30 mm, 약 40 mm, 또는 약 50 mm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330)의 각 엣지(333a, 334a)와 베이스(322)의 엣지(325a, 326a)(및/또는 커버(321)의 엣지(323a, 324a)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15mm 또는 20mm 이하이다.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의 엣지(336a, 336b)와 베이스의 엣지(322a)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약 15mm 또는 약 20mm 이하이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330)의 엣지(333, 334, 336a, 및 336b)는 베이스(322)의 엣지(325a, 326a 및/또는 322a)의 적어도 일부의 안쪽으로 적어도 약 3mm에 있고, 이로써 베이스(322)의 엣지(325a, 326a 및/또는 322a)를 드레싱(330) 또는 접착층(335)을 만질 가능성이 적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쥘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130)의 단부(336a, 336b)는 베이스(322)의 단부(322a)의 안쪽으로 적어도 약 3mm의 여유분을 가진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330)의 측면(333, 334)과 단부(336a, 336b)는 각각 베이스의 측면(325, 326) 및 단부 (322a)로부터 약 10mm의 여유분을 가진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드레싱(330)의 측면(333, 334) 및 단부(336a, 336b)는 각각 베이스의 측면(325, 326) 및 단부(322a)로부터 약 15mm의 여유분을 가진다. 드레싱(330)의 엣지(333, 334) 또는 단부(336a, 336b)와 베이스(322)의 측면(325, 325) 및 단부(322a) 사이의 여유분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대로, 예를 들어 여유분 m1 및 m2는 약 3mm 이상이고, 여유분 m3는 약 15mm이다. 유사한 여유분이 드레싱(330)과 베이스(322)의 엣지(322a, 325a 및/또는 326a)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드레싱(330)과 커버(321)의 엣지(321a, 323a 및/또는 324a) 사이에도 유사한 여유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경우 커버(321)의 엣지가 다른 방식으로 또는 추가로 장치(320)를 쥐거나 드레싱(330)을 조작하는데 사용된다.
드레싱(330) 상의 접착층(335)은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가 열리기 전에는 릴리즈 라이너(349)로 보호될 수 있다. 릴리즈 라이너(349)는 커버(321)의 내면(377)에 부착될 수 있고, 이로써 커버(321)가 열리거나 베이스(322)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릴리즈 라이너(349)를 드레싱(330)으로부터 멀리 당겨서 접착층(335)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릴리즈 라이너(349)는 적용 전에 드레싱을 보호하거나 커버하는 보호 라이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는 물질 또는 의약 또는 다른 제제가 적용되는 드레싱을 커버할 수 있다. 한 가지 이상의 지혈제 또는 응고제가 드레싱에 적용되거나 통합되어 출혈 감소를 도울 수 있다. 가능한 제제들은 키토산, 칼슘-로딩 제올라이트, 미세섬유성 콜라겐, 셀룰로오스, 무수 황산알루미늄, 질산은, 칼륨 명반, 산화티탄, 피브리노겐, 에피네프린, 알긴산칼슘, 폴리-N-아세틸 글루코사민, 트롬빈, 응고인자(들)(예를 들어, II, VII, VII, X, XIII, 폰빌레브란트 인자), 전구응고제(예를 들어, 프로필 갈레이트), 항섬유소용해제(예를 들어, 엡실론 아미노카프로익산) 등을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제제들은 동결 건조되어 드레싱에 통합되고, 혈액이나 다른 유체와 접촉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다른 변형에서, 드레싱이 피험자에게 사용되기 전에 활성화제가 드레싱 또는 치료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드레싱 적용 전, 또는 카테터나 튜브를 통해서 드레싱에 적용 후, 상처에 따로 직접 지혈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처 치유 과정의 일부 양태에서 보조로서 유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제는 제약 화합물, 단백질(예를 들어, 성장인자), 비타민(예를 들어, 비타민 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치는 한 가지를 넘는 의약 또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의약 또는 제제를 송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약의 예는, 제한은 아니지만 다양한 항생제(제한은 아니지만 세팔로스포린, 박티트라신, 폴리시신 B 술페이트, 네오마이신, 폴리스포린을 포함하는), 방부제(요오드 용액, 은 술파디아진, 클로르헥시딘 등), 항진균제(니스타틴 등), 항증식제(시롤리무스, 타클로리무스, 조타롤리무스, 비올리무스, 파클리탁셀), 성장인자(VEGF 등) 및 다른 치료제들(예를 들어, 보툴리넘 독소)일 수 있다. 커버(321)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당겨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커버(321)는 책의 커버와 같이 열릴 수 있다. 본원의 장치(120, 220, 420, 520, 620, 720, 820, 920, 1020)와 유사하게, 요소(321, 322)는 릴리즈 라이너(349)를 분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최대 약 360도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를 사용하여 피부 또는 상처 부위에 드레싱(330)의 노출된 접착면(335)이 놓일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조립체(300)는 약 180도(최소 각 변화) 이상 열리며, 이로써 조립체(300)의 방해 없이 드레싱이 적용된다. 또는 달리, 예를 들어 커버(321)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322)에 부착될 수 있으며, 드레싱(330) 또는 드레싱(330)이 결합된 베이스(322)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커버(321) 자체가 베이스(322)로부터 벗겨질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또는 분리 가능한 릴리즈 라이너일 수 있다. 또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대로, 릴리즈 라이너(149a)는 커버(321)에 부착되지 않은 접착층(335)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가 열렸을 때 릴리즈 라이너(149a)는 드레싱(330)으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어 접착층(335)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321)는 생략될 수 있다. 장치(300)가 도 11 또는 12a 및 12b에 도시된 위치까지 개방된 후 드레싱(330)은 피험자의 피부 상의 원하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창(359)을 사용해서 적절한 위치를 볼 수 있다. 장치를 개방된 위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잠그거나 고정하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자석, 후크-루크 부착 구조, 스냅, 걸쇠, 클립 등은 물론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약 360도 회전된 경우 베이스(322)의 뒷면(378) 또는 커버의 내부(377)에 압축력이 적용될 수 있다. 일단 피험자에게 적용되면, 드레싱(330)은 릴리즈 메커니즘(350)을 사용하여 패키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32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350)은, 예를 들어 본원에서 장치(150 및 250)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단 요소 또는 천공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은 도 1 내지 22b에 설명되고 도시된 하나 이상의 릴리즈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장치(120, 220, 320, 520, 620, 720, 820, 920, 1020, 1120, 1220)의 장치 요소 또는 특징 대신 치환될 수 있는 장치 요소 또는 특징을 포함하는 본원의 실시형태들 중 어느 것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420)를 예시한다. 도 13은 나일론 및/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금속과 같은 재료로 단일 기판으로 구성된 커버(421) 및 드레싱 캐리어 또는 베이스(422)를 예시한다. 장치(420)는 단일 몰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및/또는 기판으로부터 잘린 부분, 슬롯, 홈, 새김금 또는 다른 개구 또는 상이한 위치에 기판의 두께의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커버(421) 및 베이스(422)는 각각 세그먼트(427)과 같은 요소를 형성하는 슬롯(428)을 포함한다. 슬롯(428)은 장치(420)의 휨을 허락하며, 부착된 드레싱이 적용되었을 때 피험자의 신체 윤곽에 합치하도록 한다. 커버(421)와 베이스(422)는 기판에 형성된 연결 특징부(429)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커버(421) 및 베이스(422)는 연결 특징부(429)에 인접 형성된 슬롯(430)에 의해 서로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또는 선회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연결 특징부(429)와 커버(421) 및 베이스(422)의 서로에 대한 휨 또는 움직임을 허락한다. 장치(100)와 관련하여 언급된 대로, 다른 변형에서, 슬롯(430)은 커버(421) 및 베이스(422)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제공하는 홈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420)는 도 1a-22b와 관련하여 설명된 릴리즈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420)는 도 1a 내지 22b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a 내지 22b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드레싱을 부착할 수 있다.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및/또는 커버 및 베이스 및 결합 요소, 슬롯 및 홈들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드레싱 캐리어에 구조적 지지는 물론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조적 지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뒷면의 적어도 일부와 부착된 드레싱 사이의 여유분은 본원에 더 설명된 대로, 예를 들어 엣지(421a, 423a, 424a, 422a, 425a 및/또는 426a)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a 내지 22b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장치 중 어느 것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 장치(520)를 예시한다. 커버 부분(521)과 드레싱 캐리어 또는 베이스 부분(522)은 라미네이트 구조(530)로 구성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구조(530)의 제1 층(531)은 커버(521) 및 베이스(522) 각각을 가로질러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528)이 있는 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지지 재료들을 포함한다. 슬롯(528)은 장치(520)의 세그먼트(527)의 휨을 허락하는 세그먼트(527)을 형성하며, 부착된 드레싱이 적용되는 경우 피험자의 신체 윤곽에 합치될 수 있다. 제1 층(531)은 제1 층(531)에 형성된 커버(521)와 베이스(522) 사이에 있는 길이 방향 슬롯(529)을 더 포함한다. 제1 층(531)은 장치(520)의 조립에 사용되는 개구를 가진 탭(540)을 더 포함하며, 이것은 커버(521)와 베이스(522)가 슬롯(529)에 의해 분리되어 제1 층(531)에 의해 더 이상 연결되지 않도록 조립된 후 제거된다. 라미네이트의 제2 층(532)은 PSA 아크릴, 고무 또는 실리콘 접착제와 같은 접착 재료를 포함한다. 제2 층(532)은 약 0.001 내지 0.006 두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재료의 가요성 스트립(534)이 슬롯(529)에 걸쳐 장치(520)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며, 커버(521)와 베이스(522)를 연결한다. 커버(521) 및 베이스(522)는 슬롯(529)에 걸쳐 재료의 스트립(534)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유연하게 힌지 방식으로 또는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 가능하고, 이로써 커버(521) 및 베이스(522)는 서로에 대해 휘거나 움직일 수 있다. 가요성 스트립(534)은 제1 층(531)과 일반적으로 유사한 윤곽을 가질 수 있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얇은 재료를 포함하며, 세그먼트(527)을 포함하는 장치(520)의 구조를 함께 보유하는 제3 층(533)에 접착제(535)로 부착된다.
장치(520)는 릴리즈 메커니즘, 드레싱 부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a-22b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치 및 조립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들, 예를 들어 세그먼트, 접착 구조, 라미네이트 층 및/또는 커버 및 베이스 및 결합 요소, 슬롯 및 홈이 드레싱 캐리어에 구조적 지지는 물론 가요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구조적 지지 요소, 드레싱 캐리어 또는 뒷받침의 적어도 일부와 부착된 드레싱 사이에 여유분은, 예를 들어 본원에 더 설명된 대로 엣지(521a, 523a, 524a, 522a, 525a 및/또는 526a)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j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600)의 변형이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600)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620) 및 드레싱(6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610)를 포함한다. 드레싱(630)은 탄성 시트(631)를 포함하며,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피부접착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가진다.
도 15a 내지 15j의 도면은 도 1a 내지 22b에 도시된 장치 및 조립체의 장치 요소 또는 특징들을 치환할 수 있는 장치 요소 또는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원의 변형들 중 어느 것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패키지 조립체(600)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620) 및/또는 드레싱 조립체(610)는 드레싱(630)을 미리 변형하고, 피험자의 피부에 미리 변형된 드레싱(630)의 전달을 허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620)는 피험자의 피부 및/또는 상처 부위에 드레싱의 접착제 부분의 편리한 멸균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620)는 커버(621) 및 베이스(622)를 포함한다. 드레싱 조립체(610)는 드레싱 캐리어로 작용할 수 있는 장치(6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된다. 커버(621)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623a 및 624a)와 대향 단부의 엣지(621a)를 가진 측면(623, 624)을 포함한다. 베이스(622)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625a 및 626a)와 대향 단부의 엣지(622a)를 가진 측면(625, 626)을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커버(621) 및/또는 베이스(622) 또는 이들의 요소 또는 세그먼트들은 본원에서 변형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대로 피험자에 적용될 때까지 부착된 드레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착된 드레싱에 비해 충분히 단단하거나 강성이거나, 또는 덜 가요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620), 드레싱(630) 및 패키지(600)의 재료 및 구성은 본원에서 변형들에서 설명되고, 도 1a 내지 22b에 도시된 패키지 조립체 및/또는 드레싱과 유사할 수 있다.
커버(621) 및 베이스(622)는 측면(623, 624)에 이동 가능하게, 선회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또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우레탄, 저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료와 같은 재료(627)의 층이 커버 및 베이스 각각에 아교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측면(623, 625)에서 함께 유연하게 부착된다. 장치(620)는 본원에서 다른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 1a 내지 22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한은 아니지만 재료, 세그먼트화, 강도 및 가요성, 시각화, 변형 메커니즘 및 릴리즈 라이너와 관련한 것을 포함하여 본원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드레싱 조립체(610)는 부착 시트(641), 부착 시트(651)를 포함한다. 부착 시트(641)는 제1 측면(643)이 폴리이미드 필름이나 테이프(예를 들어, DuPont™의 KAPTON®)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제와 같은 접착 구조(670)에 의해서 드레싱의 제2 측면(634)에 부착된다. 여기서 접착 구조는, 제한은 아니지만 KAPTON® 테이프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반복된 피부 접착 후에 적은 피부 외상이나 부드러운 피부 접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실리콘 접착제, 실리콘 겔 또는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착 구조 또는 KAPTON® 테이프는 부착 시트에 접착하여 선택된 드레싱 재료로부터 박리 가능한 채로 부착 시트가 서로 분리되었을 때 드레싱에 변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도 15j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의 부착 시트(641)와 측면(634)은 부착 시트(641)가 중첩한 상태에서 접착 구조(670)의 동일한 측면(671)에 부착될 수 있지만, 드레싱(631)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부착 시트(641)는 제2 측면(644)이 장치(620)의 커버(621)에 결합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한 접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부착 시트(641)는 또한 접착 구조(670) 부착과 커버(621) 부착 사이에 새김금 또는 구멍(681)을 가질 수 있다. 드레싱 변형 후, 구멍(681)은 커버(621)와 베이스(622) 사이의 솔기, 또는 커버(621)의 내면에 걸쳐 위치된다.
부착 시트(651)는 그것의 측면(654)에서 베이스(622)의 뒷면(698)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한 접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부착 시트(651)의 측면(653)은 KAPTON® 테이프나 박리가능한 접착제와 같은 접착 구조(680)에 의해서, 드레싱(630)의 측면(654)을 부착 시트(641)에 부착하는 접착 구조(670)와 유사한 방식으로 드레싱의 측면(633)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시트(651)는 부착 시트(651)와 베이스(652)의 후방의 부착 구역(655)에 인접하여 내부에서 베이스의 뒷면(698)에 위치된 당김 탭(688)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21)는 열렸을 때 부착 시트(641)를 통해 드레싱(630)에 변형력을 발휘한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부착 시트(641, 651)는 가요성이면서 드레싱(63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비탄성이고, 예를 들어 저 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 시트(641, 651)는 재료 길이를 따라 인열 가능하면서 다른 방향, 특히 부착 시트(641)의 재료의 장력 방향(드레싱이 인장, 압박 또는 변형되는 방향)으로는 인장 강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이방성 또는 방향성 있게 편향된 입자가 생기는 압출 공정에 의해 생산된 LDPE 폴리머이며, 이로써 상기 재료는 입자의 방향으로 인열 가능하지만, 입자를 횡단하는 방향에서는 인열에 상대적으로 저항성을 가진다.
도 15a는 미변형 형태의 조립체(600)를 도시한다. 접착 테이프(683)는 베이스(622)의 내면(694) 위에 노출된다. 드레싱(630)의 탄성 시트(631) 위의 피부접착층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620)가 열리기 전에는 릴리즈 라이너(149a)와 유사한 릴리즈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5b는 개방된 변형된 형태의 조립체(600)를 도시한다. 도 15b에 도시된 대로, 변형되었을 때 부착 시트의 구멍(681)은 각각 커버(621) 및 베이스(622)의 엣지(623a, 625a)와 정렬된다. 부착 시트(641)의 부분(641a)은 접착 테이프(683)와 접하며, 이것은 부분(641a)을 베이스(622)에 부착하여 드레싱(630)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한다. 릴리즈 라이너(645)는 커버(621) 부착과 구멍(681) 사이에서 부착 시트(641)의 밑면에 부착된다. 라이너(645)는 커버(621)와 접하는 부착 시트(641)의 부분이 접착 테이프(683)에 접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621) 및 베이스(622)는, 예를 들어 커버(621)와 베이스(622)를 결합시키는 층(627)에 있는 구멍(682)에 의해, 또는 구멍(681)을 따라 시트(641)의 분리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c는 커버(621)가 베이스(622)로부터 분리된 조립체(600)를 도시한다. 변형된 드레싱(630)은 어플리케이터로서 베이스(622)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d는 피험자의 피부를 향해 드레싱(630)을 적용한 위치에서 베이스(622)의 뒷면(698)을 예시한다. 도시된 대로, 부착 시트(651)의 엣지(654)는 베이스(622)의 내부(694)에서 그것이 부착된 뒷면(698)까지 감쌀 수 있다. 인열 스트립이 부착된 엣지와 미부착 중앙 섹션 사이에서 부착 시트(651)에 부착될 수 있다. 당김 탭(688) 또는 인열 스트립을 당겨서 도 15e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 조립체의 나머지로부터 베이스(622)를 탈착할 수 있다. 탭(688)을 당긴 후, 부착 시트(651)의 미부착 부분(651a)은 베이스(622)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베이스가 제거된 후, 부착 시트(641, 651)의 나머지 부분은 드레싱(630)에서 KAPTON® 테이프를 벗겨냄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5f는 드레싱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이 제거된 후의 드레싱(630)을 도시한다.
도 15g 내지 15j는 KAPTON® 테이프 또는 접착 구조(670, 680) 및 부착 시트(641, 651)가 드레싱(630)에서 제거될 때 드레싱 조립체(610)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 15g 및 15j는 KAPTON® 테이프 또는 접착 구조(670, 680)가 드레싱(630)의 내부로부터 드레싱(630)의 측면(633, 634)을 향한 방향으로, 또는 드레싱 변형의 방향으로 벗겨질 때 이들의 배향을 도시한다. 도 15h는 드레싱의 측면(633)을 가로질러 드레싱의 내부로부터 벗겨진 제1 구조(670)를 도시한다. 도 15l은 드레싱(630)으로부터 제거된 제1 접착 구조(670)를 도시한다. 제2 접착 구조(680)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16d는 드레싱 조립체(710)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로부터 도 15a 내지 15j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분리된 형태의 대안적인 드레싱 조립체(710)를 예시한다. 도 16a는 제1 접착 구조(770) 및 제2 접착 구조(780)를 예시하며, 이들은 각각 부착 시트(741, 751)를 드레싱(730)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KAPTON® 테이프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 구조를 포함한다. 도 16a에 도시된 대로, 접착 구조(770, 780)의 미부착 단부는 드레싱(730)으로부터 이격 배향된다. 도 16b에 도시된 대로, 제2 접착 구조(780)는 안쪽으로 벗겨지고, 도 16c에서는 제거된다.
도 17a 내지 17d는 드레싱 조립체(810)가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로부터 도 15a 내지 15j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분리된 형태의 대안적인 드레싱 조립체(710)를 예시한다. 도 17d는 제1 접착 구조(870) 및 제2 접착 구조(880)를 예시하며, 이들은 각각 부착 시트(841, 851)를 드레싱(830)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KAPTON® 테이프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 구조를 포함한다. 도 17a 및 17d에 도시된 대로, 접착 구조(870, 880)는 접착된 길이(891)만큼 드레싱(830)에 부착된다. 추가의 길이(892)는 접착된 길이(891)를 중심으로 180도를 감싼다. 추가의 길이(892)는 용이한 접근 및 제거를 위해서 드레싱(830)으로부터 연장된 단부(893)를 가진다. 도 17b에 도시된 대로, 제1 접착 구조(870)는 변형 방향에 일부 수직인 방향으로 단부(893)를 이용하여 당겨질 수 있으며, 이로써 도 17c에 더 도시된 대로 부착 구조(841, 851)와 접착 구조(870)가 드레싱(830)에서 제거된다.
도 18a 내지 18l은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900)의 변형을 예시한다. 패키지 조립체(900)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920)와 드레싱(9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910)를 포함한다. 장치(920)는 커버(921) 및 베이스(922)를 포함한다. 드레싱 조립체(910)는 드레싱 캐리어로 작용할 수 있는 장치(9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된다. 커버(9210)는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그것의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923a 및 924a) 및 대향 단부의 엣지(921a)를 가진 측면(923, 92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22)는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그것의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925a 및 926a) 및 대향 단부의 엣지(922a)를 가진 측면(925, 926)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910)는 또한 부착 시트(941) 및 부착 시트(951)를 포함한다. 부착 시트(941)는 제1 측면(943)이 KAPTON® 테이프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제와 같은 접착 구조(970)에 의해 드레싱의 제2 측면(934)에 부착된다. 본원에서 접착 구조는, 제한은 아니지만 실리콘 접착제, 실리콘 겔, 또는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반복된 피부 접촉 또는 부드러운 피부 접착 후 적은 피부 외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KAPTON® 테이프 또는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 구조 또는 KAPTON® 테이프는 선택된 드레싱 재료로부터 박리가능한 상태에서 부착 시트들이 서로 분리되었을 때 부착 시트에 접착하여 드레싱에 변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도 18j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의 부착 시트(941) 및 측면(934)은 부착 시트(941)가 중첩한 상태에서 접착 구조(970)의 동일한 측면(971)에 부착되지만, 드레싱(931)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부착 시트(941)는 제2 측면(944)이,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한 접합에 의해서 장치(920)의 커버(921)에 결합된다. 또, 부착 시트(941)는 접착 구조(970) 부착과 커버(921) 부착 사이의 미부착 영역에 당김 탭(981)을 가질 수 있다. 드레싱 변형 후, 구멍 당김 탭(981)은 커버(921)의 내면(960)에, 또는 커버(921)와 베이스(922) 사이의 솔기에 위치된다.
부착 시트(951)는 그것의 측면(954)에서 베이스(922)의 뒷면(998)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에 의한 접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부착 시트(951)의 측면(953)은 KAPTON® 테이프나 박리가능한 접착제와 같은 접착 구조(980)에 의해서, 드레싱(930)의 측면(944)을 부착 시트(941)에 부착하는 접착 구조(970)와 유사한 방식으로 드레싱(930)의 측면(933)에 부착된다. 부착 시트(951)는 부착 시트(951)와 베이스(952)의 후방의 부착 구역(955)에 인접하여 내부에서 베이스의 뒷면(998)에 위치된 당김 탭(98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부착 시트(941, 951)는 가요성이면서 드레싱(93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비탄성이며, 예를 들어 LDPE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 시트(941, 951)는 재료 길이를 따라 인열 가능하면서 다른 방향, 특히 부착 시트(941)의 재료의 장력 방향(드레싱이 인장, 압박 또는 변형되는 방향)으로는 인장 강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이방성 또는 방향성 있게 편향된 입자가 생기는 압출 공정에 의해 생산된 LDPE 폴리머이며, 이로써 상기 재료는 입자의 방향으로 인열 가능하지만, 입자를 횡단하는 방향에서는 인열에 상대적으로 저항성을 가진다.
커버(921)는 열렸을 때 부착 시트(941)를 통해 드레싱(930)에 변형력을 발휘한다. 도 18a는 미변형 형태의 조립체(900)를 도시하고, 도 18b는 열려 있는 변형된 형태의 조립체(900)를 도시하며, 이것은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c에 도시된 대로, 변형되었을 때 부착 시트(941)의 탭(981)은 커버(921)의 내면에 걸쳐 위치되며(뒤로 접혀서 노출된다),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다. 드레싱(930)을 적용한 후, 커버(921)와 베이스(922)는 제거될 수 있다.
커버(921) 및 베이스(922)는 탭(988)을 당겼을 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8c는 커버가 드레싱과 아래로 마주하여 위치된 조립체를 도시하며, 예를 들어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된 경우이다. 도 18d에 도시된 대로, 탭(988)을 당겨서 나머지 드레싱 조립체(910)로부터 커버(921)를 릴리즈한다. 도 18e에 도시된 대로, 커버(921)는 제2 당김 탭(998)을 노출하면서 장치(92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된다. 도 18f에 도시된 대로, 제2 당김 탭(998)은 드레싱 조립체(910)로부터 베이스(922)를 릴리즈하며, 이때 부착 시트(941, 951)는 베이스(922)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 18g에 도시된 대로, 베이스(922)는 제거되고, 부착 시트(941, 951)와 접착 구조(970, 980)의 나머지가 도 18h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930)으로부터 벗겨질 수 있으며, 이때 피부에 남은 드레싱은 도 18i에 도시된 형태이다.
도 19a-19d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1000)의 변형이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1000)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1020)와 드레싱(10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1010)를 포함한다. 도 19a는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020)에 결합된 드레싱 조립체(1010)를 도시한다. 장력 부재 또는 어플리케이터(1020)는 도 1a 내지 22b에 도시되고 본원에 설명된 장력 장치 및 어플리케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20)는 커버(1021) 및 베이스(1022)를 포함한다. 드레싱 캐리어로 작용할 수 있는 드레싱 조립체(1010)가 장치(10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된다. 드레싱 조립체는 본원에 설명된 조립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장력 부재 또는 어플리케이터에 부착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1010)는 부착 시트(1041) 및 부착 시트(1051)를 포함한다. 부착 시트(1041)는 제1 측면(1043)이 접착 구조(970, 980)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접착 구조(1070)에 의해 드레싱(1030)의 제2 측면(1034)에 부착된다. 접착 시트(1041)는 제2 측면(1044)이,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로 접합시킴으로써 장치(1020)의 커버(1021)에 결합된다. 또, 부착 시트(1041)는 접착 구조(1070) 부착과 커버(1021) 부착 사이의 부착 시트(1041)의 미부착 부분에서 그것의 길이를 따라 바느질된 립코드(1088)를 가진다. 제한은 아니지만 체인스티치 또는 락스티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바느질이 사용될 수 있다. 드레싱 변형 후, 립코드(1088)는 커버(1021)의 노출된 내면(1090)에 또는 커버(1021)와 베이스(1022) 사이의 솔기에 위치된다.
부착 시트(1051)는 그것의 측면(1054)에서,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저 표면 에너지 PSA로 접합함으로써 베이스(1022)의 뒷면에 결합된다. 부착 시트 (1051)의 측면(1053)은 KAPTON® 테이프나 박리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드레싱(1030)의 측면(1034)을 부착 시트(1041)에 부착하는 접착 구조(1070)와 유사한 방식으로 드레싱의 측면(1033)에 부착된다. 부착 시트(1051)는 접착 구조(1090) 부착과 베이스의 뒷면 부착 사이에 위치된 립코드(1098)를 포함한다. 립코드(1088, 1098)의 단부는 용이한 접근성을 위해서 장력 부재(1020)로부터 연장된다.
도 19a 및 19b는 미변형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1010)를 예시한다. 열렸을 때 커버(1021)는 부착 시트(1041)를 통해 드레싱(1030)에 변형력을 발휘한다. 도 19c는 변형된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1010)를 예시한다.
드레싱이 변형되어 적용된 후, 립코드(1088, 1098)를 당기면 드레싱(1030)에 부착된 부착 시트(1041, 1051)의 일부로부터 장력 장치(1020)에 부착된 부착 시트 (1041, 1051)의 일부가 분리된다. 다음에,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020)다 도 19d에 도시된 대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9e에 도시된 대로 접착 구조(1080, 1090)를 벗겨서 드레싱으로부터 드레싱 조립체(1010)와 부착 시트(1041, 1051)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면, 드레싱 캐리어,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 (1120)의 변형이 도시된다. 장치(1120)는 평면 표면의 한 측면(1155)에 기판(1150)을 새겨 넣어서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1130)을 포함한다. 새김금(1170)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곡선이나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새김금은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장치의 볼록하고 오목한 모양을 모두 허락한다. 예시된 대로, 새김금(1170)은 장치 또는 부착된 드레싱의 형상화를 허락한다. 새김금(1170)은 제2 측면(1165)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장치의 평면 표면의 제1 측면(1155)에 형성된다. 제2 측면(1165)에 힘이 적용되면 기판이 구부러진다. 제1 측면(1155)에 힘이 적용되면 기판(1150)은 새김금(1170)에서 장치가 휘지 않는다. 새김금(1170)에서 나머지 기판은 휨 한계자로서 작용하고, 새김금(1170)은 휨 요소로서 작용한다.
볼록한 드레싱 모양이 오목한 표면을 위해 바람직한 경우, 드레싱은 제1 측면(1155)에 부착될 수 있고, 이로써 기판이 구부러졌을 때 드레싱은 볼록한 모양을 형성하여 장치가 적용될 오목한 윤곽과 일치하게 된다. 오목한 드레싱 모양이 볼록한 신체 윤곽을 위해 바람직한 경우, 드레싱은 기판(1150)의 제2 측면(1165)에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기판이 구부러졌을 때 드레싱은 오목한 모양을 형성하여 장치가 적용될 볼록한 윤곽과 일치하게 된다. 다양한 드레싱 뒷받침이 상이한 신체 장소 또는 윤곽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새김금은 캐리어,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장치의 세그먼트(1127)에 대해 직교하거나 직교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1127)은 도 1a 내지 22b에 도시된 세그먼트과 유사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21d를 참조하면, 드레싱 캐리어, 장력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터 (1220)의 변형이 도시된다. 장치(1220)는 접착제 뒷받침(1260)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폼 셀(1240)을 포함한다. 폼 셀(1240)은 여러 방향으로 휘는 것을 허락하는 복수의 세그먼트(1227)을 형성하며, 이로써 장치는 드레싱이 적용될 피험자의 윤곽, 프로필 또는 모양에 일치하게 된다. 폼은 일반적으로 드레싱의 변형에 대해 추가적인 칼럼 강도, 즉 굽힘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두꺼울 수 있다. 드레싱의 변형을 위해 뒷받침 또는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것은 탄성률 및 적절한 두께를 가진 재료로 구성되는데, 최소한 드레싱을 변형함으로써 생기는 힘을 상쇄할 것이다. 드레싱 변형은, 예를 들어 드레싱 조립체 또는 부착 시트의 일부의 뒤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드레싱이 고정된 후, 뒷받침 또는 지지체는 제거될 수 있고, 이것은 변형된 드레싱의 모양의 증가된 조작을 허락하여 드레싱이 적용될 환자의 신체 윤곽의 모양에 더 큰 정도로 일치하도록 한다.
예시된 대로, 폼 섹션 사이의 간격(1270)은 장치의 형상화를 허락한다. 예시된 대로 간격(1270)은 제2 측면(1265)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장치의 평면 표면의 제1 측면(1255)에 형성된다. 힘이 제1 측면(1255)에 적용되면 기판이 구부러진다. 힘이 제2 측면(1265)에 적용되면 장치의 기판(1250)은 간격에서 휘지 않는다. 간격에서 나머지 기판은 휨 제한자로 작용하고, 새김금은 휨 요소로 작용한다.
볼록한 드레싱 모양이 오목한 표면을 위해 바람직한 경우, 드레싱은 제1 측면(1255)에 부착될 수 있고, 이로써 기판이 구부러졌을 때 드레싱은 볼록한 모양을 형성하여 장치가 적용될 오목한 윤곽과 일치하게 된다. 오목한 드레싱 모양이 볼록한 신체 윤곽을 위해 바람직한 경우, 드레싱은 기판(1250)의 제2 측면(1265)에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기판이 구부러졌을 때 드레싱은 오목한 모양을 형성하여 장치가 적용될 볼록한 윤곽과 일치하게 된다. 다양한 드레싱 뒷받침이 상이한 신체 장소 또는 윤곽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2a 및 22b를 참조하면, 드레싱 및 패키지 조립체(1500)의 변형이 예시된다. 패키지 조립체(1500)는 어플리케이터 및/또는 장력 장치(1520)와 드레싱(1530)을 포함하는 드레싱 조립체(1510)를 포함한다. 패키지 조립체(1500), 어플리케이터 또는 장력 장치(1520), 및/또는 드레싱 조립체(1510)는 드레싱(1530)을 미리 변형하고, 및/또는 피험자의 피부에 미리 변형된 드레싱(1530)의 전달을 허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520)는 커버(1521) 및 베이스(15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1510)가 장치(15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이것은 드레싱 캐리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커버(1521) 및 베이스(1522)는 측면(1523, 1524)에 이동 가능하게, 선회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또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며, 도 1a 내지 22b에서 커버 및 베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1510)의 부착 영역(1541, 1551)은, 예를 들어 박리가능한 접착 구조 또는 제거가능한 접착 구조에 의해 각각 커버(1521, 1522)의 자유 측면(1525, 1526) 근처에 부착된다. 그러나, 도 1a 내지 22b와 관련하여 설명된 부착 시트 또는 부착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부착 영역(1541, 1551) 및/또는 장치(1520)에서 드레싱(1530)의 배치는 커버(1521) 및 베이스(1522)의 측면(1523, 1524)의 부착에 의해서 한정된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22b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1530)은 커버(1521)와 베이스(1522)가 개방된 상태에서 변형된다. 다음에, 드레싱(1530)은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고, 장치(1520)가 드레싱(1530)으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커버(1521) 및 베이스(1522)는 각각 장치(1520)의 기판에 형성된 구멍 또는 커버(1521) 및 베이스(1522)의 측면(1523 및 1524)을 부착하는 테이프 또는 재료의 층과 같은 부착 구조(1550)에 형성된 구멍(1551)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장치(1520)는 선택적으로 커버(1521) 및/또는 베이스(1522) 위에 접착 코팅 또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드레싱(1530)이 인장되어 커버(1521) 및 베이스(1522)와 더욱 접촉되었을 때 드레싱(1530)에 접착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접착제는 드레싱(1530)을 인장 상태로 및/또는 커버(1521) 및/또는 베이스(1522)에 대항해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접착 코팅 또는 접착 테이프는 커버(1521) 및/또는 베이스(1522)의 측면 영역(1523, 1524)을 따라 위치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부착 영역(1541, 1551)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치 (1520)의 활성화가 바람직할 때까지 접착제에 드레싱 또는 다른 구조의 의도치 않은 접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릴리즈 라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변형에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조립체 또는 장치는 상처가 봉합되기 전에 적용될 수 있는 임시 상처 드레싱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립체는 드레싱을 상처에 적용하고,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해서 상처에 압력을 적용한 후, 어플리케이터, 장력 장치 또는 드레싱 캐리어, 베이스 또는 지지체를 드레싱으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기 설명된 실시형태들 중 어느 것에 제공될 수 있는 이 변형에 따라서,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드레싱을 상처에 적용할 때 및/또는 이후에 패키지 또는 어플리케이터에 압력을 적용하여 비교적 균일하거나 확고한 힘을 상처에 분포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 변형에 따라서, 이러한 드레싱은,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응고제 또는 다른 제제 또는 의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는 장치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본원에 설명된 여유분이 드레싱과 엣지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조립체 또는 장치는 드레싱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싱 지지 구조는 베이스 구조의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이루질 수 있다. 드레싱 지지 구조는 적어도 드레싱의 제1 측면에서 드레싱의 제2 측면까지 연장된 적어도 3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지지 구조는 도 1a 내지 22b에 설명된 세그먼트들과 같은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결합되거나 함께 형성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커버의 복수의 세그먼트들은 커버가 상응하는 베이스 구조를 기준으로 360도 이상 접힐 때 드레싱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 시점이 아니라 제조 시점에서 변형된 사전-변형 드레싱으로서 변형된 드레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23i를 참조하면, 사전-변형 드레싱을 포함하는 사전-변형 조립체(2351)가 예시된다. 드레싱의 사전변형에 사용된 장력 장치(2341)는 도 23a 내지 23d에 사용중인 상태로 도시된다. 사전-변형 조립체(2351)의 다양한 특징 및 단계가 도 23e 내지 23i에 더 도시된다.
사전-변형 조립체(2351)는 드레싱 조립체(2308) 및 변형력 유지 구조 또는 지지 구조(23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3i 참조). 사전-변형 조립체(2351)는 사용 전까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보관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는 평면을 한정하는 상대적으로 평면인 탄성 시트(2360)를 포함하는 드레싱(231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시트(2360)는,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대로, 실리콘 시트 또는 다른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는 부착 시트(2304), 장력 시트(2307), 사전-변형 조립체 릴리즈(2352) 및 드레싱 릴리즈(2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시트(2304)는 맞물림 요소(2322)에 의해 지지 구조(2330)에 드레싱(2310)을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의 부착 시트(2304)는 드레싱(2310)의 평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내향 연장된 후크(2323)를 포함하는 제1 맞물림 벽 또는 요소(2322)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요소(2322)는, 예를 들어 접착제로 부착 시트(2304)에 부착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의 장력 시트(2307)는 드레싱(2310)의 평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내향 연장된 후크(2325)를 포함하는 제2 맞물림 요소(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시트(2307)는 맞물림 요소(2324)에 의해 지지 구조(2330)에 드레싱(2310)을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맞물림 요소(2324)는, 예를 들어 접착제로 장력 시트(2307)에 부착될 수 있다. 장력 시트(2307)는 또한 장력 장치(2341)로부터 드레싱(2310)으로 장력을 전달하여 드레싱(2310)을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전-변형 조립체 릴리즈(2352)는 장력 장치(2341)로부터 사전-변형 조립체(2351)(드레싱(2310) 및 지지 구조(2330))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3e 및 23i 참조). 드레싱 릴리즈 메커니즘(2319)은 맞물림 요소(2322, 2324)(후크(2323, 2325)를 포함하는) 및 지지 구조(2330)로부터 드레싱(2310)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싱 릴리즈 메커니즘(2319)은 드레싱(2310)이 대상에 적용된 후 드레싱(2310)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의 드레싱(2310)은 어떤 길이를 가진 제1 엣지 또는 사이드(2305), 및 어떤 길이를 가진 제2 엣지 또는 측면(2306)을 가질 수 있다. 드레싱(2310)은 가요성이며 드레싱(2310)보다 상대적으로 덜 탄성이거나 비슷한 탄성일 수 있는 부착 시트(2304)에 제1 엣지 또는 측면(2305)에서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시트(2304)는 제1 측면(2382) 및 제2 측면(2384)을 가질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부착 시트(2304)는 부착 시트(2304)의 측면(2382)에서 또는 근처에서 부착 시트(2304)의 섹션(2375)에서 드레싱(2310)의 탄성 시트(2360)에,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부착 시트(2304)는 그것의 측면(2384)에서 맞물림 요소(2322) 및 후크(2323)에, 예를 들어 접착 재료와의 접합에 의해,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시트(2304)는 맞물림 요소(2322)와 후크(2323)에 의해 드레싱(2310)의 제1 측면(2305) 근처에서 지지체(2330)에 드레싱(23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드레싱(2310)은 가요성이며 드레싱(2310)보다 덜 탄성이거나 비탄성일 수 있는 장력 시트(2307)에 그것의 제2 엣지 또는 측면(2306)에서 결합될 수 있다. 장력 시트(2307)는 제1 측면(2372), 중앙 위치(2373) 및 제2 측면(2374)을 가질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장력 시트(2307)는 장력 시트(2307)의 측면(2372)에서 또는 근처에서 장력 시트(2307)의 섹션(365)에서 드레싱(2310)의 탄성 시트(2360)에,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장력 시트(2307)는 중앙 위치(2373)에서 측벽(2324) 및 후크(2325)에, 예를 들어 접착 재료와의 접합에 의해, 예를 들어 실리콘 PSA/아크릴 PSA의 조합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사전-변형 조립체(2351)로 조립되었을 때, 장력 시트(2307)는 측벽(2324) 및 후크(2325)에 의해 드레싱(2310)의 제2 측면(2306) 근처에서 지지 구조(2330)에 드레싱(23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장력 시트(2307)는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된 대로 제2 측면(2374)에서 장력 장치(2341) 위에 로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라서, 부착 시트(2304) 또는 장력 시트(2307)는, 예를 들어 저 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2330) 위에 위치된 드레싱 조립체(2308)가 도 23a에 도시되며, 여기서 그것은 드레싱(2310)이 사전 변형되어 사전-변형 조립체(2351)를 형성했을 때 또는 형성한 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지지체(2330)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측면(2335, 2336) 및 그 길이를 한정하는 상응하는 엣지(2335a 및 2336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지지 요소, 지지 구조 및/또는 변형력 유지 요소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레싱(2310) 또는 드레싱 조립체(2308)의 측면은 클램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격 요소를 사용하여 클램프 사이에 원하는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의 드레싱(2310)은, 예를 들어 도 23a 내지 23d에 도시된 대로 장력 장치(2341)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에, 사전-변형 드레싱(2310)은 사용 전까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사전-변형된 구성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장력 장치(2341)는 제조 시점에, 중간에, 또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장력 장치(2341)는 평면 부분(2343) 및 회전 요소(2345)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원형 부분(234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요소(2345)는 드레싱 조립체(2308)의 장력 시트(2307)를 수용하고 그것과 맞물릴 수 있는 슬롯(2347)이 있는 중앙 섹션(2346)을 가질 수 있다.
도 23a에서 상대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장력 장치(2341) 상의 제1 형태의 드레싱 조립체(2308)가 도시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는 지지 구조(233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2330)는 지지 구조(2330)의 상부 표면(2333)이 드레싱(2310)의 뒷면(2311)과 마주하는 상태로 장력 장치(2341)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2330)의 제1 엣지(2335a)와 장력 장치(2341)의 평면 부분(2343)의 제1 측면 또는 엣지(2349)는 맞물림 벽(2322) 및 후크(2323)에 의해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2330)의 제2 단부(2336) 및 엣지(2336a)는 처음에는 맞물리지 않고 드레싱(2310)과 마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지지 구조(2330)의 방해 없이 드레싱이 원하는 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허락할 수 있다.
사용시 장력 시트(2307)의 단부(2374)는 장력 장치(2341)의 회전 요소(2345)의 중앙 섹션(2346)에서 슬롯(2347)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 장력 시트(2307)가 맞물릴 때까지 회전 요소(2345)가 회전될 수 있다. 처음에 장력 시트(2307) 및 드레싱(2310)은 미변형 형태일 수 있으며, 최소한 느슨하게 장력 장치(2341)에 부착된다. 회전 요소(2345)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 요소(2345)에 의해 드레싱(2310)에 대하여 인장 변형 방향으로 장력 시트(2307)가 당겨지지 때문에 드레싱(2310)이 변형될 수 있다.
드레싱(2310)은 도 23a-23d에 도시된 대로 회전 요소(2345)를 선회시킴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회전 요소(2345)가 선회됨에 따라 장력 시트가 로딩되면 장력 시트(2307)는 회전 요소(2345)의 주변을 감쌀 수 있고, 이로써 회전 요소(2345)와 드레싱(2310)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어 드레싱(2310)이 신축 또는 변형된다. 회전 요소(2345) 상의 래칫(2337) 및 원형 부분(2344) 상의 폴(2338)을 포함하는 잠금 메커니즘이 도 23b 내지 23d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2310)을 변형된 형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력 장치(2341)의 원형 부분(2344)을 향해 인장 변형 방향으로 장력 시트(2307)가 당겨졌을 때, 맞물림 요소(2324) 및 후크(2325)가 또한 인장 변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체의 엣지(2336a)는 후크(2325) 상의 램프(2326)와 맞물릴 수 있는 램프(2336b)를 포함하며, 이로써 후크(2325)가 장력 장치의 원형 부분(2344)을 향해 이동할 때 후크(2325)와 맞물려 지지체(2330)의 엣지(2336a)를 안내할 수 있다(도 23c 내지 23h 참조). 사전-변형 드레싱(2310)의 변형력은 회전 요소(2345) 상의 측정 요소 또는 마크(2342)를 사용하여 제어되거나 결정될 수 있고, 이들 각각 사이의 거리는 증가된 변형 또는 거리의 증분에 상응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가 장력 장치(2341) 상에 로딩되면 회전 요소(2345)가 회전하는 양에 의해 변형력이 결정될 수 있다. 각 마크(2342)는 변형 퍼센트 또는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드레싱 조립체(2308)가 느슨하지 않게 최소한의 변형력 또는 장력으로 장력 장치(2341) 위에 로딩된 위치가 0% 변형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대로, 마크(2342a)가 폴(2338)과 정렬된 0% 위치가 도시될 수 있다. 회전 요소(2345)가 회전됨에 따라, 확인된 0% 마크(2342a)는 변형 퍼센트에 해당하는 정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마크(2342b)는 드레싱이 마크(2342b)에 의해 나타낸 원하는 양(x)으로 변형되었을 때 폴(2338)과 정렬된다.
지지 구조(2330)는 맞물림 요소(2322, 2324)와 후크(2323, 2325)가 지지 구조(2330)와 맞물린 경우 보관되는 동안 드레싱(2310)을 도 23b 내지 23i에 도시된 대로 변형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고, 드레싱(2310)의 이동 또는 변형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피부 접착제(2340) 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 영역이 드레싱(2310)의 상부 표면(2312)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된 접착제(2340)는, 예를 들어 적합한 압력 활성화 접착제(PSA), 또는 비-압력 감응성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2340)는 미변형 형태의 드레싱(2310) 상에 도시된다. 그러나, 접착제는 드레싱(2310)의 변형 후 드레싱(2310)에 적용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이너(2350)가 접착제 층(234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라이너(2350)는 또한 드레싱(2310)에서 변형력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는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 예를 들어 릴리즈 코팅 또는 층을 가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예를 들어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확장된 PTFE(ePTFE)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경질 플라스틱 또는 수지는 멜라민, 파이버글라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또는 염화폴리비닐(PVC)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에서, 강성 라이너는,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경질 플라스틱/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 강성 프레임 또는 강성 스트럿을 가진 가요성 라이너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일 수 있다.
드레싱(2310)이 변형되고 드레싱 조립체(2308)가 지지 구조(2330)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면, 드레싱 조립체(2308) 및 지지 구조(2330)는 즉시 사용되거나 일정 시간 기간 동안 보관될 수 있는 사전-변형 조립체(2351)를 형성하기 위해 장력 장치(23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전-변형 조립체 릴리즈(2352)는 중앙 위치(2373)와 제2 측면(2374) 사이에서 장력 시트(2307)에 부착된 인열 스트립(2353)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2354, 2355)을 각각 가진다(도 23e 참조). 인열 스트립(2353)은 사전-변형 조립체(2351)와 장력 장치(2341) 사이에서 장력 시트(2307)를 가로질러 인열시킴으로써 장력 장치(2341)로부터 사전-변형 조립체(2351)가 분리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사용시, 라이너(2350)가 릴리즈된 후, 드레싱(2310)은 대상의 피부 위의 원하는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체(2330)의 뒷면(2333)에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드레싱(2310) 상의 접착제를 활성화하고 및/또는 상처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일단 대상에 적용된 후, 드레싱(2310)은 릴리즈 메커니즘(2319)을 사용하여 지지체(233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2319)은 인열 스트립(2309)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메커니즘(2319)의 인열 스트립(2309)은 각각 탄성 시트(2360)의 단부(2366)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인열 스트립(2309)은 각각 드레싱 조립체(2308)에 결합될 수 있다. 인열 스트립(2309)은 지지체(2330)로부터 드레싱(2310)을 분리시키기 위해 인열 스트립(2309)이 당겨지는 인열 경로(2362)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드레싱 조립체(2308)의 부착 시트(2304)에 결합될 수 있다. 인열 스트립(2309)은 지지체(2330)로부터 드레싱(2310)을 분리시키기 위해 인열 스트립(2309)이 당겨지는 인열 경로(2362)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드레싱 조립체(2308)의 장력 시트(2307)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인열 스트립(2309)은 상부 섹션(2347) 및 하부 섹션(234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섹션(2348)은 예시된 대로 지지체(2330)에 부착되지 않거나 그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각 인열 스트립(2309)의 상부 섹션(2347)은 인접하지만 드레싱(2310)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는 재료 길이를 따라 인열 가능하면서 다른 방향, 특히 장력 시트(2307)의 재료의 장력 방향(드레싱이 인장, 압박 또는 변형되는 방향)으로는 인장 강도를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이방성 편향된 입자가 생기는 압출 과정에 의해 생산된 LDPE 폴리머이며, 이로써 상기 재료는 입자의 방향으로는 인열 가능하지만, 입자를 횡단하는 방향에서는 인열에 상대적으로 저항성을 가진다. 경로(2362)를 따른 인열을 촉진하기 위해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에 노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천공이 인열 라인(2362)을 따라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인열 스트립(2309)을 당김으로써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의 경로(2362)를 가로질러 인열 스트립을 잡아당기면 드레싱(2310)이 지지체(2330)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의 각 섹션(2365 및 2375)은 탄성 시트(2360)의 뒷면(2311)에 남을 수 있다. 이로써 인열 스트립(2309)에 접합된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의 각 섹션(2385, 2395)은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드레싱(2310)에 부착된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의 각 섹션(2365 및 2375)은 그것의 단부(2305 및 2306)에서 지지 구조(2330)에 부착된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싱(2310)이 지지 구조(233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드레싱(2310)은 그것의 측면(2305, 2306)에 미부착 부분 또는 엣지(2315)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는 탄성 시트(2360)가 장력 시트(2307) 및 부착 시트(2304)로부터 자유롭다. 따라서, 드레싱(2310)은 미부착 부분(2315)에서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탄성 드레싱(2310)의 미부착 섹션(2315)은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접착제 층(340)의 접착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또는 감소된 양의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섹션(2315)에 의해 한정된 미부착 측면 또는 엣지에서 더 적은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시, 접착제 라이너(2350)가 제거될 수 있고, 드레싱(2310)이 대상의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드레싱이 대상의 피부 표면에 적용된 후, 인열 라인에서 드레싱 각 측면의 인열 스트립(2309)을 당겨 드레싱(2310)을 지지 구조(2330), 부착 시트(2304) 및 장력 시트(2307)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지 구조(2330), 부착 시트(2304) 및 장력 시트(2307)가 드레싱(2310)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드레싱(2310)의 응력 또는 변형력은 피부에(접선) 압박력을 가하여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복수의 변형된 드레싱(2410)은 드레싱(2310)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다음에 각각 단일 지지체(2430)의 제1 표면(246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도 24에 도시된 대로 디스펜싱을 위해 롤링된 형태로 롤링되어 보관된다. 변형된 드레싱(2410)은 드레싱(2410)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하는 접착제, 예를 들어 고점착성/저박리 PSA에 의해 단일 지지체(2430)의 제1 표면(2460)에 결합될 수 있다. 라이너(2450)는 지지체(2430)의 제2 반대 측면(2470)에 위치될 수 있고, 지지체(2430)가 롤링되었을 때 드레싱(2410) 상부에서 피부 접착제 위에 놓이도록 라이너가 배치된다. 접착제 라이너(2450)는 또 변형된 드레싱(2410)의 크리프 특성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지체(2430)는 드레싱(2410)을 보관하기 위해 롤링될 수 있다. 지지체(2430)의 롤링이 풀리면 제2 측면(2470) 상에 위치되고 드레싱(2410)과 대향하는 접착제 라이너(2450)가 드레싱(2410)으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다. 드레싱(2410)은 천공(2480)에 의해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은 제한은 아니지만 당뇨병, 암, 중증 복합 면역결핍 질환과 같은 면역 장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에 필요한 만성적 주사 부위 또는 카테터 부위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피부 주사/주입 부위의 치료는 빈번한 주사 또는 만성적 주입과 관련된 흉터 조직 또는 다른 과증식성 장애의 발생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조직에서 약물 분산을 개선하고, 약물 누출을 감소시키고, 효과의 깊이를 증가시키고, 주사/주입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부위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고, 주입 부위에서 라인/펌프 폐색 위험을 감소시키고, 분석물질 또는 약물 수준 변동성을 개선하고, 염증층 두께 또는 깊이를 감소시키고, 투약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동학에 대한 다른 기계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피부 치료는 감소된 혈당 이탈, 하루 여러 번의 핑거스틱 또는 연속 글루코오스 모니터링에 의해 측정된 TIR(time-in-range)의 개선, 피하 조직에서 인슐린 볼루스 부피 및/또는 면적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드레싱, 및 선택적으로 드레싱 지지 구조의 하나 이상의 구조는 조직에 삽입된 유치 카테터, 캐뉼러 또는 센서와 함께 변형된 드레싱의 사용을 촉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드레싱과 함께 사용되는 장치, 예를 들어 채혈용 바늘 또는 바늘 생검 도구는 드레싱을 통해서 일시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0a는 개구(3002)를 갖는 변형된 드레싱(3000)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이것은 표적 부위(3004)에 적용된 후 애플리케이터(미도시)로부터 릴리즈됨으로써 드레싱(3000)으로부터 응력이 전달되어 치료 부위(3004)의 긴장이 해소된다. 다음에, 인슐린 펌프 시스템 또는 유치 센서 시스템을 위한 주입 세트와 같은 유치 장치가 접근 구멍(3002)을 통해서 치료 부위의 피부 또는 피하 조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0b 내지 30d에 도시된 이 특정 예에서, 의료 펌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주입 세트(3006)는 하우징(3008), 커넥터 튜빙(3010), 접착제 층을 위한 지지층(3012), 및 바늘(3014)을 포함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바늘은 지지층(3012)의 평면에 대해 예각 배향을 갖지만, 다른 예에서 바늘은 하우징 또는 지지층의 평면과 직교 배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또는 평행할 수 있다. 바늘 길이는 하우징 또는 지지층의 주변 경계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주입 세트(3006)의 바늘 피복(미도시) 및/또는 접착제 보호층(미도시)이 제거된다. 다음에, 바늘(3014)이 표적 부위(3004)에 완전 삽입되고 지지층(3012)의 접착제가 드레싱(3000) 및/또는 표적 부위(3004)에 접착될 때까지 도 3에 도시된 대로 바늘(3014)이 개구(3002)와 정렬된다. 일부 추가 변형에서, 보호 드레싱은 변형된 드레싱 및 주입 세트 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적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드레싱에서 변형력의 방향은 표적 부위에 바늘을 삽입하는 방향에 평행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횡 방향일 수 있고, 또는 드레싱의 길이에 평행하거나 바람직하게 횡 방향일 수 있다.
드레싱의 구멍을 통해 주입 세트 또는 유치 장치의 바늘을 수동으로 삽입하는 것에 더하여, 일부 변형에서, 주입 세트 또는 유치 장치는 주입 세트 또는 유치 장치의 삽입 또는 배치를 촉진하기 위한 송달 도구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송달 도구는 소형 주입 세트보다 더 쉽게 파지되거나 손재주가 덜 필요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송달 바늘을 숨길 수 있고 및/또는 삽입 과정 동안 송달 바늘을 자동으로 삽입 및/또는 인출할 수 있어 순응도 또는 다른 측면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에 도시된 대로, 예를 들어 구멍(3002)을 갖는 드레싱(3000)은 표적 부위(300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입 세트(3020)가 노출된 직교 바늘(3022)을 포함하는 경우, 대형 송달 장치 또는 장치(3024)에 릴리즈 가능하게 결합된다. 송달 장치(3024)는 및/또는 바늘(3022)은 도 31a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3000) 및/또는 구멍(3002)과 정렬된 다음, 도 31b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3000)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다음에, 장치(3024) 상의 액츄에이터(3026)가 활성화됨으로써 포드(3024)를 주입 세트(3020)로부터 분리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주입 세트(3020)는 주입 세트 하우징(3021)의 주변 경계를 지나서 연장된 접착제 지지층을 갖지 않는다. 대신에, 접착제는 지지층이 그 사이에 존재하든 부재하든 하우징(3021)의 하부 표면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도 31d 및 31e는 송달 장치(3024)의 구동 메커니즘 및 주입 하우징(3021)으로부터 송달 장치(3024)의 분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주입 하우징(3021)은 마찰에 의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인터록(3030)에 의해 송달 장치(3024)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주입 장치(3020)를 릴리즈하기 위해, 액츄에이터(3026)를 누르면 플런저 팁(3032)이 캐치 레버(3034)와 맞물려 주입 하우징(3021)이 릴리즈된다. 액츄에이터(3026) 및 플런저 팁(3032)은 스프링(3036)에 의해 비-맞물림 위치에 유지된다. 다른 변형에서, 주입 하우징은 플런저 팁을 주입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 일시적으로 접착시키는 젤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적인 드레싱은 중앙에 위치된 단일 원형 구멍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구멍은 다른 모양, 크기 및/또는 편심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마킹 또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또는 표시는 상이한 개구들을 구별하고 및/또는 드레싱과 표적 위치 및/또는 삽입된 장치의 정렬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은 하나보다 많은 구멍,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드레싱은 구멍 없이 제공될 수 있고, 주입 세트, 주사기 또는 삽입 장치의 바늘을 사용하여 드레싱을 뚫은 다음 피부 또는 조직을 통해 삽입된다.
도 32a는 도 30a 내지 도 31c의 드레싱(300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드레싱(3000)은 라운드형 코너 및 중앙에 위치된 원형 개구(3002)를 갖는 장방형 모양을 포함한다. 개구(3002)는 약 0.10" 내지 0.30" 또는 0.05" 내지 0.2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드레싱(3000)은 길이방향 길이가 가로 너비보다 크지만, 다른 예에서 드레싱은 방사상 대칭일 수 있다. 드레싱의 길이 및/또는 너비는 4cm 내지 16cm, 또는 2.5cm 내지 5cm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9cm2 내지 19cm2, 또는 46cm2 내지 70cm2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32b는 다수의 개구(3202, 3204, 3206)를 포함하는 드레싱(32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개구(3202, 3204, 3206)는 서로 선형 정렬되고, 선택적으로 도 32b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3000)의 중심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선형 정렬된다. 드레싱(3200)의 1회 사용 동안 삽입 위치의 변경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인 표시(3208, 3210, 321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3은 피부 위치에 대해 배치된 드레싱(3200)을 도시한다.
도 32c는 다수의 개구(3222, 3224, 3226, 3228)를 포함하는 드레싱(322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하나의 개구(3222)는 중앙에 위치되고, 나머지 3개의 개구(3224, 3226, 3228)는 편심 방식으로 위치되며, 선형 정렬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모든 개구가 편심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표시(3230, 3232, 3234 및 3236)는,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나선형 라인(3238)과 같은 다른 선택적인 표시와 함께, 각 개구(3222, 3224, 3226, 3228)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드레싱은 원형이 아닌 하나 이상의 개구 모양을 갖는 드레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d는 타원형 개구(3242)를 갖는 드레싱(3240)을 도시하고, 도 32E는 다이아몬드 모양 또는 평행사변형 모양 개구(3252)를 갖는 드레싱(3250)을 도시한다.
도 34는 드레싱(3400)의 른 변형을 도시하며, 이것은 드레싱 개구(3402)의 식별 및/또는 정렬을 촉진하기 위한 표시(3404)를 포함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표시(3404)는 개구(3402)로부터 4개의 직교 방향에 제공된다. 이들 표시는 특히 드레싱(3400)이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고 하부 피부가 얼룩덜룩하거나 흉터 또는 피부 손상으로 인한 광범위한 마킹을 가져서 개구(3402)의 식별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는 상황에서 개구(3402)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표시는 드레싱 표면 위에 레이저 에칭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도 35는 피부 위치 위에 변형된 드레싱(3400)의 배치 후 어플리케이터(미도시)로부터 릴리즈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단 피부 위치에 부착되면, 표시(3404)는 주사기 바늘(3406) 또는 다른 접근 장치의 삽입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드레싱(3400)으로부터 전달된 변형력은 흉터 조직을 형성하거나 지방비대증을 유도할 수 있는 바늘 삽입으로 인한 조직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4 및 35의 표시(3404)는 개구(3402)와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근접해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드레싱의 주변을 따라 표시가 제공될 수 있거나, 드레싱의 개구와 엣지 사이의 드레싱 영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일단 드레싱 위에 배치되면 드레싱의 개구를 가릴 수 있는 대형 장치를 정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드레싱(3400)의 재료는 드레싱 및 드레싱 개구(3402)와의 대비를 제공하기 위해 불투명하고 및/또는 착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드레싱은 구멍 없이 제공될 수 있고, 주입 세트의 바늘, 주사기 또는 삽입 장치는 드레싱을 관통한 다음 피부나 조직을 통해 삽입된다.
도 36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시각적 안내 도구(3600)는 선택적으로 주사기 바늘(3406)과 드레싱 개구(3402)의 정렬을 촉진하기 위해 제공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시각적 안내 도구(3600)는 시각적 안내 도구(3600)와 드레싱(3400)의 주변 엣지의 정렬을 촉진할 수 있는 주변 인덴테이션(3602) 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드레싱(3400)에는 또한 가이드 도구 인덴테이션(3602)과의 정렬을 촉진하기 위한 선택적인 표시 또는 마킹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도구(3600)의 주변 엣지와 드레싱(3400)의 주변 엣지를 정렬함으로써 부수적으로 드레싱(3400)의 개구(3402)와 가이드 도구(3600)의 개구(3604)가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 도구(3600)의 개구(3604)는 바람직하게 드레싱(3400)의 개구(3402)보다 작을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더 크거나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시각적 안내 도구(3600)는 또 그것의 개구(3604) 주위에 표시(3606)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3604)의 시각화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각적 안내 도구의 밑면은 사용하는 동안 도구(3600)의 위치 유지를 촉진하기 위해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3600)는 원위 단부에 개구(3604)가 있는 기다란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근위 단부는 과정 동안 도구(3600)를 파지하고 조작하는데 사용된다.
한 예시적인 과정에서, 사용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와이프 또는 다른 멸균 제제로 피부 부위를 세정하고 준비할 것이다. 다음에, 사전-변형 드레싱이 아니라면 드레싱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변형된 다음, 원하는 부위 위에 위치된다. 다음에, 어플리케이터가 제거됨으로써 변형력이 피부에 전달된다. 시각적 안내가 필요하지 않다면, 환자는 바늘을 드레싱의 구멍에 삽입하고 주입물을 투여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가 필요하다면, 드레싱 위에 가이드를 위치시키고 시각적 표적을 통해 바늘을 삽입하고 주입물을 투여한다. 다수의 구멍을 가진 기존 드레싱의 경우, 후속 주사는 회전 순서를 따라 부위 #1, 부위 #2, 부위 #3 등에 차례로 주사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피부 상태에 따라 드레싱은 최대 10일 지속될 수 있고, 드레싱을 사용한 주사는 하루 3번의 빈도로 수행될 수 있다. 착용 기간(평균 7-10일) 종료시 드레싱이 제거되고 새 드레싱으로 교체된다.
도 37a 및 38b는 시각적 안내 도구(37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도구(3700)는 확장된 원위 단부(3704) 및 큰 원위 개구(3706)를 갖는 기다란 본체(3702)를 포함한다. 원위 개구(3706)는 방사상 내향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를 제외한 드레싱(3000)의 외부엣지의 시각화를 허락하는 경계 엣지(3708)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상 내향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는 도구 개구(3706)가 드레싱(3000)을 둘러싸도록 위치되었을 때 드레싱 개구(3002)의 위치를 가리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개의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가 도 37a 및 도 37b에 도시되지만, 다른 예에서는 상이한 수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개구(3706)의 경계 엣지(3708)를 따라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도 37a 및 37b의 4개의 직교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와 상이한 모양, 크기 및 길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출부는 화살촉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8a 및 38b에 도시된 대로, 일부 변형에서,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는 도 31a 및 도 31b의 송달 장치(3024)와 같은 송달 장치 또는 포드의 배치를 촉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의 길이는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의 각 단부(3718, 3720, 3722, 및 3724)가 포드(3024)가 도구(3700)의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와 적절히 정렬되었을 때 송달 장치(3024)의 주변 엣지(3028)와 접촉해 있거나 또는 똑같이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방사항 내향 돌출부(3710, 3712, 3714, 및 3716)의 형태는 사용하는 동안 포드(3024)의 정렬 및 배치를 촉진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도 39a 내지 도 39e에 도시된 대로, 변형가능한 또는 변형된 드레싱(3926)은 도 39a 내지 도 39e에 도시된 대로 제조 시점에서 주입 세트(3921) 또는 조립체로 사전 변형될 수 있다.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본체(3904), 하부 엣지(3906) 및 액츄에이터(3908)를 갖는 송달 장치(39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세트(3920)의 주입 하우징(3921)이 본체(3904)의 바닥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되며, 이것은 바늘(3922), 커넥터 튜브(3924) 및 송달 장치(3900)와 하우징(3921)의 하부 엣지(3906)를 지나서 연장된 인장 드레싱 층(3926)을 포함한다. 인장 드레싱 층(3926)은 그것의 하부 표면에 피부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이것은 하나 이상의 접착제 보호 라이너(3928)로 제거 가능하게 덮인다. 라이너(3928)는 인장 드레싱 층(3926)의 접착제로부터 라이너(3928)의 제거를 촉진하기 하기 위해 라이너(3928)로부터 더 연장된 라이너 탭(3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장 드레싱 층(3926)은 사용하는 동안 인장 지지 구조(3932)로부터 인장 드레싱 층(3926)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당김 탭(3934)을 포함하는 강성 어플리케이터 또는 인장 지지 구조(3932)에 의해 응력 적용된 형태로 유지된다. 당김 탭(3934)은 드레싱 층(3926)과 지지 구조(3932)를 함께 부착하지만, 당김 탭(3934)이 장치로부터 당겨졌을 때 드레싱 층(3926)과 지지 구조(3932)의 분리를 촉진하는 천공 또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인장 지지 구조(3932) 또는 어플리케이터는 구조(3932)를 커넥터 튜브(3924) 위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구조(3932)를 하우징(3921)으로부터 떨어트려 인열시킴으로써 주입 하우징(3921) 주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체형 주입 세트(3920)에 대한 한 예시적인 이식 과정에서, 피부 삽입 부위가 선택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 와이프 또는 다른 멸균 제제로 준비된다. 보호 바늘 피복(미도시)은 송달 시스템(3900)과 맞물릴 때 일체형 주입 세트(3920)의 바늘(3922)로부터 먼저 제거된다. 다음에, 접착제 보호 라이너(3928)가 제거됨으로써 사전-변형된 인장 드레싱 층(3926)의 하부 표면에 접착제가 노출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바늘 커버는 라이너와 통합될 수 있고, 이로써 바늘 피복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보호 라이너도 제거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송달 시스템(3900) 및 주입 세트(3920)가 원하는 삽입 부위에 위치되고, 바늘은 수동으로 또는 바늘 전진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로 들어간다. 일단 삽입되면, 시스템(3900)을 사용하여 피부에 대해 주입 세트(3920)를 누를 수 있거나, 또는 바늘(3922)을 둘러싼 피부 조직과 접착제 사이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 시스템(3900) 상의 액츄에이터(3908)가 구동되어 주입 세트 하우징(3920)이 릴리즈될 수 있고, 도 40a에 도시된 대로 송달 시스템(3900)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일체형 드레싱을 가진 주입 세트(3920)는 송달 시스템(3900)을 사용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 당김 탭(3934)이 주입 세트(3920)로부터 제거되고, 이것은 변형된 드레싱 층(3926)이 인장 지지 구조(39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도 40b에 도시된 대로, 변형된 드레싱 층(3926)이 그것의 인장 응력을 바늘(3922)을 둘러싼 조직에 작용하는 압박력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일부 변형에서, 인장 지지 구조(3932)는 당김 탭이 제거된 후 제자리에 남을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인장 지지 구조(3932)가 제거됨으로써 유치 주입 세트(3920)의 부피 및/또는 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인장 지지 구조(3932)는 도 40c에 도시된 대로 커넥터 튜브(3924) 위로 인장 지지 구조(3932)를 통과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며, 만일 커넥터 튜빙(3924)이 주입 펌프에 아직 결합되지 않았다면, 도 40d에 도시된 대로 드레싱 층(3926)이 주입 세트(3920)와 함께 남아서 하부 피부 조직에 압박력을 전달한다. 다른 변형에서, 도 40e에 도시된 대로, 인장 지지 구조(3932)는 슬릿 또는 천공(39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커넥터 튜브(3924)가 부착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인장 지지 구조(3932)가 주입 세트 하우징(3921) 또는 커넥터 튜브(3924)로부터 당겨지거나 인열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주입 세트(3920)는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거될 수 있고, 사용 기간이 종료되면 새 주입 세트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기간은 7 내지 10일의 범위일 수 있지만, 막히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더 일찍 교체될 수도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시각적 표식이나 마킹이 아닌 하나 이상의 물리적 정렬 구조가 정렬을 촉진하기 위해 드레싱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9a 내지 49e에서, 드레싱(4900)의 접근 개구(4926)와 주입 세트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사전-부착된 제거가능한 정렬 구조(4902)를 가진 사전-변형 탄성 부재 또는 드레싱(4900)이 제공된다. 정렬 구조(4902)는 MINIMED™ QUICK-SERTER™(Medtronic, Fridley, MN)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4904)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지만, 당업자는 임의의 다른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 또는 송달 장치의 모양 및 기능에 맞게 정렬 구조가 재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사전-변형 드레싱(4900)은 드레싱(490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고 정렬 구조(4902)를 둘러싼 반강성 또는 강성 변형 지지체(4906)에 의해 사전-변형된 형태로 유지된다. 변형 지지체는 조직 표면에 드레싱을 “G추기 위해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가요성의 방향은 드레싱의 변형력 방향에 직교할 수 있다. 변형 지지체와 변형된 탄성 부재 사이의 전단 접합 강도는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해 생성된 힘보다 크다. 드레싱(4900)에 지지체(4906)의 부착은 접착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드레싱(4900)을 위해 선택된 재료에 따라, 드레싱(4900)에 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이 드레싱(4900)에 사용된 경우, 지지체(4906)는 PETG를 포함할 수 있고, 드레싱(4900)에 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부착은 변형된 탄성 부재를 변형 지지체에 접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열 부착은, 예를 들어 약 1mm, 2mm 또는 5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접합은 변형력 방향으로 크리프 없이 충분한 전단력을 제공하면서 탄성 부재로부터 지지 구조가 제거되는 것을 또한 허용한다. 변형 지지체는 또한 변형 지지체의 분할 및 탄성 부재로부터의 분리 및 제거를 촉진하기 위한 천공, 및 선택적으로 파지 및 천공의 인열을 촉진하기 위한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또한 도 39a 내지 39e에서 드레싱(3926)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은 천공 및 당김 탭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 실시형태에 맞게 개조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정렬 구조(4902)는 베이스(4914) 및 베이스 개구(4916)를 따라 3개의 상호연결된 정렬 플랜지(4908, 4910, 4912)를 가진 단일체 구조를 포함한다. 개구(4916)는 어플리케이터(4904)와 기계적 인터핏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 및 모양이며, 타원형, 원형, 다각형 또는 어플리케이터(4904)의 주변에 상보하는 다른 주문된 모양일 수 있다. 베이스(4914)는 또한 드레싱(4900)에 대한 부착 영역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는 베이스(4914)를 따라 상호연결되지만, 다른 예에서는 플랜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플랜지(4908, 4910, 4912) 및/또는 베이스(4914)는 변형 지지체(4906)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정렬 구조(4902)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 시점에서 변형 지지체(4906)에 부착된다. 정렬 구조(4902)는 또한 복수의 상이한 정렬 구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각 정렬 구조는 상이한 이용가능한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선택된 정렬 구조는 사용 전에 변형 지지체에 부착된다.
정렬 구조(4902)의 부착은 구조(4902) 및 강성 지지체(4906)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렬 플랜지(4910 및 4912)는 주입 세트 튜브(4920)를 수납하는 홈(4918)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정렬 플랜지(4908) 중 하나 이상은 핑거 그립, 홈 또는 릿지(4922)와 같은 드레싱(4900)의 취급을 촉진하는 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플랜지(4910 및 4912)는 튜브(4920)로부터 정렬 구조(4902)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멀리 당겨지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정렬 구조(4902)의 제거 후 또는 제거와 동시에, 변형 지지체(4906)가 제거되어 드레싱(4900)이 변형된 형태에서 덜 변형된 형태로 수축할 수 있다. 정렬 구조(4902)의 이 특정한 형태에서, 플랜지(4908, 4910, 4912)의 높이는, 예를 들어 약 1-10mm, 2-8mm, 또는 3-6mm의 범위일 수 있다. 플랜지(4908, 4910, 4912)의 내부 표면은 직교 배향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약간 둔각, 예를 들어 91-95도, 91-100도 또는 91-105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어플리케이터(4904) 자체의 초기 배치는 정확한 정렬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추가 삽입으로 어플리케이터(4904)를 보다 정확한 위치로 안내한다. 플랜지(4908, 4910, 4912)의 간격은 튜브(4920)를 수용하는 것에 더하여 핑거 그립(4936)을 가질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4904)의 측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4904)의 액츄에이터(4924)는 어플리케이터(4904)를 배치하는데 사용되지 않게 된다.
드레싱(4900)의 모양은, 제한은 아니지만 타원형,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을 포함하는 여러 모양 중 하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근 개구(4926)는 또한 타원형,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을 포함할 수 있고, 주입 세트의 카테터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이다. 접근 개구(4926)는, 예를 들어 1-20mm, 2-10mm, 또는 3-5mm 범위의 직경 또는 가로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구조(4902)는 열 성형 또는 사출 성형, 3D 인쇄 또는 CNC 기계가공될 수 있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또는 조직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드레싱 상의 피부 접착제는 변형 지지체를 드레싱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접착제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피부 접착제는 지지체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보다 더 큰 T-박리력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체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는 더 높은 T-박리력을 가질 수 있다. 사전 변형 장치를 보관하는 동안 변형력 손실에 저항하기 위해 드레싱에 정해진 변형력이 필요한 경우 더 높은 T-박리력이 선택될 수 있다. 보관 또는 적용 동안 의도하지 않은 접착으로부터 피부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또는 접착성 릴리즈 시트가 피부 접착제에 적용될 수 있다. 릴리즈 시트 및 드레싱 상의 코팅이 또한 사용 동안 릴리즈 시트 및 변형 지지체의 박리 또는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0a를 참조하면. 드레싱(4900) 및 정렬 구조(4902)가 선택된 표적 부위에 적용되고 접착된다. 어플리케이터(4904)에 의해 고정된 주입 세트의 접착 라이너가 제거되고, 주입의 튜브(4920)와 핑거 그립(4922)이 홈에 정확히 배향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4904)가 정렬 구조(4902)와 정렬된다. 다음에, 어플리케이터(4904)는 도 50b에 도시된 대로 완전히 안착될 때까지 정렬 구조(4902)의 개구에 삽입된다. 일부 변형에서, 어플리케이터(4904)가 완전히 안착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렬 구조(4902) 상의 시각적 표시, 촉각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0c에서, 어플리케이터(4904)의 액츄에이터(4924)를 눌러서 드레싱(4900)의 개구를 통해 피부 내로 주입 세트의 바늘/캐뉼러를 삽입한다. 다음에, 액추에이터(4924)는 주입 세트 허브(4938)로부터 어플리케이터를 분리하기 위해 두 번째로 활성화된다. 이 특정한 예에서, 액츄에이터(4924)는 바늘/캐뉼러를 분리하여 전개시키고 어플리케이터(4904)를 결합 해제하지만 아직 분리하지는 않을 수 있는 외부 환형 버튼(4930) 및 내부 버튼(4932)을 포함한다.
다음에, 정렬 구조(4902)와 지지체(4906)는 정렬 구조(4902)와 지지체(4906)가 멀리 당겨짐에 따라 릴리즈된 어플리케이터(4904)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드레싱(4900)으로부터 제거된다.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지지체(4906)는 인열될 수 있는 천공(4934)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정렬 구조(4902) 및 지지체(4906)가 박리되거나 당겨질 수 있어, 드레싱(4900)이 변형된 형태로부터 수축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도 51에 도시된 대로, 정렬 구조(5102)의 지지체(5100)는 어플리케이터(5106) 및 튜브(5108)의 주변으로부터 지지체(5100) 및 정렬 구조(5102)를 당기기 위해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는 탭이 있는 단부(5104)를 갖는 아치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이것은 주입 허브(4938)를 어플리케이터(4904)로부터 분리하고, 강성 지지체(4906)를 드레싱(4902)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로써 드레싱(4902)은 사전 변형된 형태로부터 수축할 수 있게 된다.
도 48a 내지 도 48e는 사전 부착된 방사상으로 미리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4806)를 갖는 주입 허브(4804)를 릴리즈 가능하게 고정하는 송달 장치(4802)를 갖는 주입 시스템(4800)의 예를 도시한다. 송달 장치(4802)는 도 39a의 송달 시스템(3900)과 유사한 본체(4808) 및 액츄에이터(4810)를 포함한다. 사전 부착된 방사상으로 사전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4806)는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변형된 접착 탄성층(4812)을 포함하며, 이것은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접착된 반강성 또는 강성 카드 스톡 또는 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반강성 변형 지지체(4814a, 4814b)에 의해 사전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특정한 실시형태는 2개의 섹션(4814a 및 4814b)을 갖는 변형 지지체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는 단일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3, 4 또는 5개 부분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주입 시스템(4800)이 원하는 해부학적 위치에 적용되고 액추에이터(4810)가 활성화된 후, 주입 허브(4804)가 릴리즈되고, 송달 본체(4808)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도 48b에 도시된 대로, 주입 허브(4804)와 피부 장력 장치(4806)는 해부학적 위치에 부착된 채로 남는다. 주입 튜브(4816), 허브(4804) 및 카테터(4818)의 기능 및 개통성이 검사할 수 있다. 정확히 기능한다면, 변형 지지체(4814a, 4814b)는 탄성층(4812)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이것은 다음에 접착된 피부 또는 조직을 허브(4804) 및 카테터(4818) 주위의 탄성층(4812)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압박할 것이다. 주입 튜브(4816), 허브(4804) 및 카테터(4818)의 기능 및 개통성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다시 검사된다. 일부 변형에서, 방사상으로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는 단일 변형 축을 따른 피부 장력 장치 변형과 비교하여 카테터(4818)의 꼬임 또는 폐색의 위험 또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층(4812)의 모양은 도 48a 내지 48e에 도시된 대로 원형일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 탄성층은 타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별형 또는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카테터가 조직에 직각으로 삽입되지 않고 치료 부위에 예각을 따라 삽입될 때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테터 또는 주입 허브에 작용하는 힘은 방사상으로 대칭이 아닐 수 있다.
방사상으로 변형된 주입 시스템(4800)에 더하여, 방사상으로 사전 변형된 피부 장력 장치(5500)가 도 55a 및 55b에 도시된 대로 주사기(5502)를 사용하여 수동 주사하는 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피부 장력 장치(5500)는 접근 개구(5506)를 갖는 탄성 층(5504)을 포함한다. 피부 장력 장치(5500)는 표적 위치에 부착될 수 있고, 다음에 방사상 변형 지지체(5508a, 5508b)가 제거됨으로써 탄성층(5504)이 접근 개구(5506)를 향해 하부 피부를 방사상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접근 개구는, 예를 들어 1-20mm, 2-10mm 또는 3-5mm 범위의 직경 또는 가로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6a 및 56b를 참조하면, 피부 장력 장치(5600)의 일부 다른 변형에서, 방사상 변형되든 단일 축으로 변형되든, 장치의 접근 개구(5602)는 직물 패치(5604)를 포함할 수 있다. 패치(5604)는 주사기(5608)의 바늘(5606)이 접근 개구(5602)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주사 부위의 일부 물리적 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 직조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증가된 통기성은 장치(5600)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직물 패치(5604)는 피부 장력 장치(5600)를 가로질러 증가된 수증기 전달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주사 부위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과잉 인슐린을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직물 패치(5604)는 항생제 또는 은 가닥과 같은 항감염제 코팅, 주입 또는 함께 직조될 수 있다. 직물(5608)은, 예를 들어 나일론, 부직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탄성 중합체 블렌드, 또는 은 알기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피부 치료 시스템(5400)은 접근 개구 또는 직물 패치 대신 인장 완화 드레싱(5402)을 포함하고, 도 54a 및 54b에 도시된 대로 주사 포트(5404)가 드레싱(5402)에 제공된다. 드레싱(5402) 및 포트(5404)는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임의의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포트(5404)에 부착된 드레싱(5402)의 영역은 포트(5404) 주변의 드레싱(5402) 부분과 동일한 변형하에 있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주입 포트(5404)는 카테터(5406)를 포함하며, 포트(5402)에 부착된 주사기나 포트에 삽입된 주사기 바늘이 카테터(5406)를 통해 피부 또는 조직으로 치료제를 송달할 수 있다. 포트의 사용은 직접 바늘 주입에 비해 치료와 관련된 통증이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 41a 내지 43c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주입 세트(4100) 및 다층 인장 드레싱(4102)이 피하 주입 또는 혈관내 주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입 세트(4100)는 인슐린 펌프 또는 다른 치료 펌프와 같은 주입원 또는 펌프에 연결 가능하고, 주입 하우징(4104)의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며, 이것은 차례로 조직 또는 혈관계에 삽입되는 피하 바늘 또는 카테터(4106)와 유체 연통된다. 주입 하우징(4104)의 하부 표면은 다층 인장 드레싱(4102)의 상부층(4108a)에 접착되거나 부착된다. 선택적인 플랩(4112a 내지 4112c)을 제외하고, 층(4108a 내지 4108c)의 각각은 바로 아래에 있는 층(4108b 내지 4108d)의 주변(4110b 내지 4110d)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고 이들 내에 위치되며 이들로부터 오프셋된 주변(4110a 내지 4110c)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 층(4108d)은 다른 층들(4108a-c)과 비교하여 더 높은 경도(예를 들어, 60 Shore A 대 50 Shore A 대 30 Shore A)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더 두꺼운 재료(예를 들어, 10 mil 대 7 mil 대 5 mill 대 0.5 mi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비-베이스 층은 비-베이스 층의 총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멍 또는 천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비-베이스 층으로부터 기여된 변형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형태에서, 단위 너비당 압축력은 베이스 탄성층(4108d)의 기여로부터 주로 생기며, 약 50%, 60%, 75%, 90% 또는 이들 기여 퍼센트 중 임의의 두 값 사이의 임의의 범위 내이다. 이것에 기초하여, 층들 사이의 접착 강도의 양은 피부와 베이스 층(4108d)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또한, 층(4108a 내지 4108c)의 접착제는 변형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박리를 촉진하기 위해 층(4108a 내지 4108c) 위에 패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좁은 접착제 스트립이 박리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변형력 방향과 직교하는 접착제의 너비는 0.1", 0.165", 0.2", 0.3" 또는 0.5" 또는 이러한 너비 중 임의의 두 값 사이의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접착 패턴은 변형력 방향에 비해 박리 방향으로 접착제가 적게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이하, 40% 이하, 60% 이하, 80% 이하 또는 이러한 퍼센트 중 임의의 두 값 사이의 범위 내이며, 또는 다른 타입의 이방성 접착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층(4108a-d)을 함께 결합하는데 사용된 층간 접착제는 피부 접착제에 비해 더 적은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0.5 mil 대 0.25 mil 대 0.1 mil). 다른 변형에서, 높은 인장 강도를 갖지만 낮은 전단 강도를 갖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층 또는 접착제 층을 위쪽이 아닌 측면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다층 인장 드레싱의 상부층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된 형태는 도 44a 및 44b에 도시된 대로 계단식 드레싱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이것은 단일 층 피부 장력 장치의 엣지에 집중시키기보다는 피부 장력 장치의 엣지 응력을 더 큰 표면적에 걸쳐 재분배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인접한 층(4108a 내지 4108d)의 주변(4110a 내지 4110d) 사이의 간격은 전체 주변을 따라서 균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5mm, 2 내지 5mm, 또는 2 내지 4mm, 또는 2 내지 3mm 범위의 균일한 둘레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추가 예에서, 2개의 인접한 층(4108a 내지 4108d) 사이의 균일한 둘레 차이는 모든 2개의 인접한 층(4108a 내지 4108d)에 대해 동일하다. 다른 예에서, 균일한 둘레 차이는 2개의 인접한 층의 적어도 한 쌍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4110a 및 4110b)는 둘레(4110b 및 4110c)와 동일할 수 있지만, 층(4110c 및 4110d) 사이의 균일한 둘레 차이는 다른 쌍의 층(4108a 내지 4108c)의 균일한 둘레 차이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41a의 층(4108d)은 플랩이 없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플랩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플랩(4112a 내지 4112c)은 그것의 하부 표면에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것은 제거를 위해 나머지 층으로부터 플랩(4112a 내지 4112c)의 분리 및 파지를 촉진할 수 있다. 층(4108a 내지 4108d) 각각은 주입 세트(4100)의 바늘 또는 카테터(4106)가 삽입될 수 있는 중심 개구(미도시)를 또한 포함한다. 다층 드레싱(4102)의 이러한 중첩된 층 형태는 플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가요성 부착 시트(4108)는 다층 인장 드레싱(4102)의 둘레(4114)보다 작은 둘레(4112)를 갖는 크기로 구성된다.
도 41a 및 41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4층 피부 장력 장치(4102)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피부 장력 장치는 2개, 3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세트(4100) 및 피부 장력 장치(4102)는 제조 시점에서 사전 조립되거나, 사용 시점에서 조립되거나, 또는 치료 부위에서 연속으로 조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피부 장력 장치(4102)가 먼저 배치되고, 이어서 주입 세트(4100)를 피부 장력 장치(4102)를 통해 피부 장력 장치(4102) 위로 배치한다. 피부 장력 장치(4102)를 위한 어플리케이터는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책 모양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주입 장치(4100)는 주입 세트 하우징(4104)보다 큰 접착 재료의 하나의 가요성 층에 사전 부착될 수 있고, 다층 피부 장력 장치의 층과 유사한 재료 및 접착제를 포함한다. 사용하는 동안 피부 장력 장치는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되지만, 주입 장치(4100) 및 그것의 사전 부착된 가요성 재료 층은 다층 피부 장력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변형되지 않는다.
도 42a 내지 43c에 도시된 대로, 주입 세트(4100)가, 예를 들어 폐색으로 인해 또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교체되어야 할 때, 상부층(4108a)의 플랩(4112a)을 잡은 다음 위로 들어 올려 상부층(4108a)의 접착제를 중간층(4108b)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상부층(4108a)을 중간층(4108b)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고, 이로써 또한 상부층(4108a)과 함께 주입 세트(4100)를 위로 들어올리고, 피부로부터 카테터(4106)를 잡아당겨 빼는 한편, 다층 피부 장력 장치의 나머지 층(4108b-d)은 피부에 남게 됨으로써 접착된 피부 장력 장치가 피부로부터 분리되는 빈도가 최소화된다. 이것은 접착된 장치를 반복적으로 제거는 것에 의한 하부 피부의 자극을 줄일 수 있다. 일단 주입 세트(4100)가 상부층(4108a)과 함께 제거되면, 새 주입 세트(4100)는 이 새 주입 세트(4100)의 카테터(4106)의 송달 위치를 중간층(4108b)의 개구(4114b)와 정렬시킴으로써 중간층(4108b)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제거 및 재적용 주기는 피부 장력 장치의 층 수와 동일한 횟수로 수행될 수 있고, 후속 주기는 세 주입 세트가 제거되고 다음 층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때 베이스 층(4108d)이 또한 사용되고, 나중에 최종 주입 세트(4100)와 함께 제거된다.
본원에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부 장력 장치의 하부층 상의 피부 접착제는 변형 지지체를 드레싱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접착제, 및/또는 피부 장력 장치의 다수의 층을 함께 부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피부 접착제는 지지체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보다 더 큰 T-박리력으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다른 예에서, 지지체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는 더 높은 T-박리력을 가질 수 있다. 사전-변형 장치를 보관하는 동안 변형력 손실에 저항하기 위해 드레싱에 정해진 변형력이 필요한 경우 더 높은 T-박리력이 선택될 수 있다. 보관 또는 적용 동안 의도하지 않은 접착으로부터 피부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또는 접착성 릴리즈 시트가 피부 접착제에 적용될 수 있다. 릴리즈 시트 및 드레싱 층 상의 코팅이 또한 사용 동안 릴리즈 시트, 층 및 변형 지지체의 박리 또는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 지지체는 적어도 층(4108d)와 함께 변형력을 릴리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39a의 드레싱(3926)에 대해 설명된 대로 천공 및 당김 탭 분리 메커니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지만, 나머지 층(4108a-c)에서도 변형력을 직접 릴리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5a 및 45b는 주입 허브(4504), 튜브(4506) 및 카테터(4508)에 사전 부착된 다층 드레싱(4502)을 갖는 주입 세트(4500)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변형에서 하부층(4510b-d)은 인접한 상부층(4510a-c)보다 작다. 이 형태는 또한 계단식 드레싱 프로파일이며, 이것은 단층 피부 장력 장치의 엣지에 집중하기보다는 피부 장력 장치의 엣지 응력을 더 큰 표면적에 걸쳐서 재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층(4510d)이 더 작은 접착 표면적을 가지고, 상부층(4510a-c)은 그들의 주변부 정도의 피부에만 접착된다. 도 41a 내지 44b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접한 층(4512a 내지 4512d)의 주변(4512a 내지 4512d) 사이의 간격은 전체 둘레를 따라 균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5mm, 2 내지 5mm, 또는 2 내지 4mm, 또는 2 내지 3mm 범위의 균일한 둘레 차이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층(4510a, 4510b) 사이의 균일한 둘레 차이는 2개의 인접한 층(4510a 내지 4510d) 각각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균일한 둘레 차이는 2개의 인접한 층의 적어도 한 쌍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층(4510a-d)은 또한 층(4510a-c)의 파지 및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인 플랩(4514a-c)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다른 특징들은, 열 부착 및 접착 형태 등 도 41a 및 41b의 4층 피부 장력 장치(4102)와 유사할 수 있다.
도 46a 내지 46c에 도시된 대로, 주입 세트(4500)가, 예를 들어 폐색으로 인해 또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교체되어야 할 때, 상부층(4510a)의 플랩(4514a)을 잡은 다음 위로 들어 올려 상부층(4510a)의 접착제를 중간층(4510b)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상부층(4510a)을 중간층(4510b)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고, 이로써 또한 상부층(4510a)과 함께 주입 허브(4504)를 위로 들어올리고, 피부로부터 카테터(4108)를 잡아당겨 빼는 한편, 다층 피부 장력 장치(4502)의 나머지 층(4510b-d)은 피부에 남게 된다. 이것은 접착된 피부 장력 장치(4502)가 피부로부터 당겨지는 빈도를 최소화한다. 이것은 접착된 장치(4502)를 반복적으로 제거는 것에 의한 하부 피부의 자극을 줄일 수 있다. 일단 주입 허브(4504)가 상부층(4510a)과 함께 제거되면, 새 주입 세트(4500)는 이 새 주입 세트(4500)의 카테터(4508)의 송달 위치를 중간층(4510b)의 개구(4516)와 정렬시킴으로써 중간층(4510b)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제거 및 재적용 주기는 피부 장력 장치의 층 수와 동일한 횟수로 수행될 수 있고, 후속 주기는 세 주입 세트가 제거되고 다음 층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때 베이스 층(4510d)이 또한 사용되고, 나중에 최종 주입 세트(4100)와 함께 제거된다. 이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 지지체는 적어도 층(4510d)와 함께 변형력을 릴리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39a의 드레싱(3926)에 대해 설명된 대로 천공 및 당김 탭 분리 메커니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지만, 나머지 층(4510a-c)에서도 변형력을 직접 릴리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법 주사 또는 주입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피부 장력 시스템은 도 52에 도시된 대로 한 쌍의 인장 드레싱(5200 및 520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5200, 5202)의 각각은 본원에 설명된 드레싱 인장 어플리케이터(미도시), 예를 들어 책 모양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드레싱(5200, 5202)은 별도의 어플리케이터를 가질 수 있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 어플리케이터에 구성된 대로, 드레싱(5200, 5202) 사이에 정해진 간격 또는 틈(5204)을 두고 동일한 어플리케이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하는 동안, 또는 어플리케이터에 공급된 채로, 틈(5204)은 예를 들어 약 1-20mm, 2-10mm, 3-8mm, 4-6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드레싱(5200, 5202)의 각각은 드레싱이 제조 시점에 사전 인장되지 않은 경우, 장력 축(5206, 5208)을 따라서 인장된다.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드레싱(5200, 5202) 사이의 임의의 미리 특정된 간격 또는 틈(5204)이 특정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필요에 따라 정렬되거나 배향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렬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5200, 5202)의 각각은 표적 부위(5210)의 대향하는 측면들에서 원하는 주사 또는 주입 부위(5210)에 인접 배치된다. 각 드레싱(5200, 5202)은 드레싱(5200, 5202) 사이의 틈(5204)을 한정하기 위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처리 엣지(5212, 5214)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틈(5204)은 길이방향 틈 축(5216)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응하는 드레싱(5200, 5202)의 인장 축(5206, 5208)에 평행할 수 있다. 각 드레싱(5200, 5202)이 표적 부위(5210) 주변에 위치된 후, 각각에 대한 어플리케이터 또는 변형 지지체가 릴리즈되고, 드레싱(5200, 5202)은 표적 부위(5210)를 둘러싼 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 및 압박할 수 있다. 결과의 피부 압박은 표적 부위(5210)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덮는 드레싱 없이 표적 부위(5210)에 생성되며, 장력 축(5206, 5208) 및 틈 축(5216)에 직교하는 피부 인장의 지지력은 2개의 드레싱(5206, 5208)이 그 방향을 따라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법 주사 또는 주입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피부 장력 드레싱(5300)은 도 53에 도시된 대로 한 쌍의 인장 로브 또는 섹션(5302 및 530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섹션(5302, 5304)은 인터커넥트 또는 브리지(5306)와 일체 형성되고 섹션 틈(5308)에 의해 분리된다. 틈(5308)은 예를 들어 약 1-20mm, 2-10mm, 3-8mm, 4-6mm의 범위일 수 있다. 드레싱(5300)에는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드레싱 섹션(5302, 5304)의 각각은 장력 축(5310, 5312)을 따라서 인장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틈(5308)이 특정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필요에 따라 정렬되거나 배향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렬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 섹션(5302, 5304)의 각각은 표적 부위가 틈(5308)에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드레싱(5300)이 원하는 표적 부위에 위치되고 접착된 후, 어플리케이터 또는 변형 지지체가 릴리즈되고, 드레싱 섹션(5302, 5304)은 표적 부위를 둘러싼 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 및 압박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56b에 상응하는 임의의 피부 긴장 완화 장치는 잠재적인 건강 경제적 이익을 포함하여 하기 설명된 대로 인슐린 약동학, 투약, 치료 효능 및/또는 지방비대증의 발생에 대한 피부 긴장 완화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연구 설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현재 인슐린으로 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는 치료군 또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될 것이며, 도 30a 내지 56b에 상응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의 사용을 포함하는 치료가 본원에 설명된 대로 4주 내지 5년 이상, 4주 내지 2년, 8주 내지 1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드레싱 또는 피부 긴장 완화 장치, 또는 층 및/또는 주입 세트는 선택된 연구 기간 동안 3일마다, 또는 2 내지 14일, 3 내지 10일, 10 내지 14일, 5 내지 7일, 3 내지 5일, 2 내지 3일마다 교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긴장 완화 장치의 효과를 평가하는 한 제안된 연구에서, 기존의 지방비대 덩어리가 있는 인슐린 의존성 환자에서 긴장 완화 장치가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를 기존의 지방비대가 있는 부위에 주사하거나 투여하는 환자에서 인슐린의 약동학 또는 송달 동력학을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가 평가될 것이다. 당뇨병 환자는 6-10cm 범위의 지방비대 덩어리에 대해 스크리닝된 다음, 무작위화되어 연구 동안 긴장 완화 장치가 적용된다. 각 환자는 검사 당일 무작위로 배정되며, 각 환자는 밤새 금식한 후 두 번의 포도당 흡수 검사를 받게 되고, 검사는 검사 전 최소 7일 및 하룻밤 금식으로 나눠진다. 유치 카테터가 검사 기간 동안 혈당 및 인슐린 수치에 대한 혈액 샘플을 제공하기 위해 각 환자에게 배치될 것이다. 베이스라인 수준이 측정된 다음, 각 환자는 치료군에서는 피부 긴장 완화 장치의 접근 구멍을 통해 또는 대조군에서는 피부 위치에 직접 10단위의 인슐린이 피하 주사될 것이다. 혈액 샘플은 처음 30분 동안 5분마다, 다음 60분 동안 10분마다, 다음 2.5시간 동안 30분마다 채혈된다. 각 기간의 최대 혈장 인슐린 농도 및 최대 인슐린 농도까지의 시간이 결정되고, 인슐린 농도 곡선 아래 면적이 분석되어 인슐린 흡수에 대한 피부 완화 장치의 직접적인 영향이 평가될 것이다.
다른 제안된 연구에서, 환자는 예를 들어 4주, 6주, 8주, 3개월, 4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의 치료 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해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주사 또는 주입과 함께 피부 완화 치료 키트를 받도록 무작위 배정된다. 긴장 완화 치료는 2일, 3일, 4일 또는 5일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장치 교체 또는 다층 장치의 층 변경에 대해 지시에 따라 사용될 것이다. 혈당은 하루에 최소 4번 측정될 것이며, 혈당 측정 및 긴장 완화 장치의 사용에 대한 순응성이 평가될 것이다. 분석은 치료 의도 분석이 될 것이며, 혈당 이탈의 평균 진폭이 치료 기간 동안 계산될 것이고, 곡선 아래 식후 면적은 치료 기간 동안 각 식사 시간에 대해 계산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피부 긴장 완화 장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헤모글로빈 A1C가 베이스라인 및 각 추적과정에서 측정될 것이다. 건강 경제 연구 및/또는 환자의 삶의 질 연구도 분석에 포함될 수 있다.
환자 포함 기준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지방비대증의 과거 병력이 있는 환자 또는 없는 환자
- 5-10cm 범위의 지방비대 덩어리를 가진 환자
- Kg 당 적어도 0.9 UI의 높은 하루 인슐린 용량 요구를 가진 환자
- 50 IU/일의 최소 인슐린 사용을 가진 환자
- 등록 전 적어도 1년 동안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로 치료
- 적어도 6개월 동안 속성형 인슐린 유사체를 사전 경험
- 제I형 또는 제II형 당뇨병 환자
- 자가 투여에 의한 치료 또는 간병인에 의한 투여
- 현재 치료가 하루 적어도 2회 내지 4회의 주사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인슐린 펌프 사용
- 20 내지 35 kg/m2 범위의 체질량 지수
- 등록 전 3개월 동안 안정적인 체중(체중 변화 ≤5%)
- 헤모글로빈 A1C ≤ 8.5%
- 스크리닝시 C-펩타이드 < 0.6 nmol/L
환자 배재 기준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기존의 지방이영양증 또는 지방비대증
- 5세 미만의 아동
- 현재 인슐린 또는 유사체로 치료 중이 아닌 않은 환자
- 임신성 당뇨병인 여성
- 저혈당 불감증 병력
- 스크리닝 6개월 이내에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병력
- 심혈관 질환 병력
- 부정맥 병력
1차 및 2차 종점(들)은 지방비대증의 발생 또는 존재 및/또는 혈당 또는 혈당 변동성 인자의 변화를 내원시마다 평가할 것이다. 초기 평가 및 각 추적조사는 하기의 평가를 포함할 것이다.
- B-모드 이미징을 사용한 선형 20 MHz 프로프에 의한 연속 초음파 스캔
o 분류:
§ 단순한 피하 이영양증
§ 확산성 고에코 피하 이영양증
§ 결절성 고에코 이영양증
§ 초점성 및 확산성 고에코 피하 이영양증
§ 결절성 고에코 피하 이영양증
§ 피하 위축
§ 복합 다층 이영양증
o 섬유증 수준
§ 이소하이퍼에코제닉
§ 이소에코제닉
§ 이소하이포에코제닉
- 어두운 배경에 대해 치료 부위의 직접적인 접선 광 검사 및 색 사진촬영
- 촉지 및 피부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모양 및 크기에 따른 치료 부위의 분류
o 작은 결절 - 검사시 보임, 탄성 컨시스턴시, 촉지 용이
o 큰 결절 - 검사시 분명히 보임, 단단한 내지는 탄성 컨시스턴시, 촉지 용이
o 평판 - 약간 융기되고 약간 보임, 피부 핀칭을 제외하면 촉지 어려움, 탄성 컨시스턴시
o 편평 결절 - 보이지 않지만 깊은 촉지 또는 피부 핀칭시 촉지 가능, 탄성 컨시스턴시
o < 4cm 및 > 4cm를 포함하는 크기
- 임상 등급, 0에서 3까지:
o 0 - 변화 없음
o 1 - 가시적 비대증, 촉지시 정상 컨시스턴시
o 2 - 실질적인 비후화 및 치밀한 컨시스턴시
o 3 - 지방위축의 증거
- 검증된 당뇨병 설문지(연구 시작 및 종료에만 해당)
o 당뇨병 설문지의 문제 영역
o 당뇨병 치료 만족도 설문지
연구 종료 시, 지속적인 혈당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식후 인슐린 및 총 일일 인슐린 투여량, 타임인레인지(70-140 mg/dl) 및 아웃오브레인지(< 70 mg/dl 및 > 180 mg/dl)의 변화 퍼센트, 헤모글로빈 A1C, 저혈당 이벤트 횟수, 당뇨병성 케톤산증 이벤트 횟수를 계산하고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한다. CGM 또는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캐뉼러/주입 세트 삽입 제거시 통증 평가, 캐뉼러/주입 세트 오작동(폐색, 바늘 변형)이 평가 및 비교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를 적용하면 인슐린 의존 환자의 지방비대증을 포함하는 지방이영양증의 위험, 진행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다. 지방비대증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제한함으로써, 지방비대증과 관련된 용량 진행 또는 치료 효과 변동성이 지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용량 진행 및 치료 효과 변동성에 대한 일부 효과는 지방비대증의 발생 또는 진행과 무관할 수 있으며, 조직 역학 및 약동학에 대한 피부 긴장 완화 장치의 직접적인 결과일 수 있다는 것도 가정된다. 정해진 수준의 변형력을 갖도록 구성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의 사용은 많은 무봉합 상처 봉합 장치와 마찬가지로 임시 방식의 수동으로 조정되는 다른 피부 장력 장치와 비교하여, 변형력 수준의 제어되고 일관된 송달이 가능하며, 상이한 일관된 수준의 변형력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초기 연구는 임상 효과를 보다 쉽게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지방비대증 및/또는 높은 일일 인슐린 투약 요구사항이 있는 환자가 포함될 수 있다. 장기 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과 순서도가 개발되고, 이벤트당 비용이 추정되며, 이로써 비용 효율성 및/또는 건강 경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환자의 삶의 질 측정과 함께 삶의 질 조정을 위한 평생 비용도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것의 실시형태예들을 참조하여 특별히 제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상세한 내용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실시형태들 모두에 대해 방법의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Claims (88)

  1.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접착층과 릴리즈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보호층;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로서, 변형된 탄성층의 치료 개구를 둘러싼 중심 개구를 갖는 층 구조를 포함하고, 변형된 탄성층을 변형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변형 지지체; 및
    변형 지지체 상에 위치되고 변형 지지체의 중심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구조
    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 지지체는 변형 지지체의 중심 개구에서 엣지까지 천공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정렬 구조는 변형 지지체의 천공 영역과 정렬된 이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변형 지지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이들 사이의 변형 지지체의 중심 개구를 한정하는 아치형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층과 변형 지지체 사이에 변형 지지체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변형 지지체 접착층은 피부 접착층보다 적은 T 박리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층은 변형 지지체에 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층으로부터 변형 지지체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피부 접착층과 릴리즈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보호층;
    적어도 하나의 변형된 탄성 중간층으로서, 각 탄성 중간층은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치료 개구와 정렬된 치료 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탄성층 중 하나의 하부층이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변형된 탄성 중간층;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 상부층으로서,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치료 개구는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의 치료 개구와 정렬되고,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탄성층 중 하나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변형된 탄성 상부층; 및
    변형된 탄성 상부층, 변형된 탄성 하부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로서, 탄성 베이스 층,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및 탄성 상부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지지체
    를 포함하는 다층 조직 치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되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베이스 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되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주변 엣지는 탄성 베이스 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상부 표면보다 작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상부층에 부착된 중간 탄성층의 상부 표면보다 크고, 탄성 베이스 층에 부착된 탄성 중간층의 하부 표면은 탄성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 상부층, 변형된 탄성 베이스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각각은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전부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전부 탄성 베이스 층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 전부보다 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전부 탄성 베이스 층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2개의 탄성 중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2개의 탄성 중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 상부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은 각각 당김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당김 탭은 각각 상이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당김 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탄성 상부층의 당김 탭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간층의 당김 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8 항에 있어서, 변형 지지체는 변형된 탄성 상부층의 상부 표면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8 항에 있어서, 상부층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의 부착은 이방성 접착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이방성 접착 패턴은 변형된 층의 변형력 방향에 비해서 박리 방향을 따라 감소된 양의 접착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적어도 상부 탄성층 및 적어도 베이스 탄성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으로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은 상부 표면, 하부 표면, 크기, 주변 엣지 및 치료 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이 적층된 형태로 함께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베이스 탄성층의 하부 표면에 접착된 피부 접착층; 및
    베이스 탄성층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변형 지지체로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지지체
    를 포함하는 다층 조직 치료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베이스 탄성층에서 단위 너비당 힘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임의의 다른 것의 단위 너비당 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베이스 탄성층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단위 너비당 합계 힘의 적어도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베이스 탄성층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단위 너비당 합계 힘의 적어도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베이스 탄성층은 나머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보다 높은 듀로미터 재료 또는 큰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은 상부 탄성층과 베이스 탄성층 사이에 적층된 형태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탄성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외향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주변 엣지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의 주변 엣지로부터 내향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임의의 인접한 더 높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형태의 인접한 더 낮은 변형된 탄성층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당김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 중 적어도 하나의 각 당김 탭은 상이한 당김 탭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이방성 접착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그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하며, 변형된 층의 변형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접착제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직교 방향은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박리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 28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변형된 탄성층의 부착은 변형된 베이스 층의 피부 접착층보다 얇은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그 사이의 개구를 포함하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된 탄성층의 하부 표면 상의 피부 접착제;
    카테터 또는 바늘이 변형된 탄성층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변형된 탄성층의 상부 표면에 위치된 주입 허브;
    카테터 또는 바늘과 유체 연통하여 주입 허부에 부착된 유체 튜브;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지지체; 및
    변형된 탄성층과 변형 지지체를 함께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
    을 포함하는 치료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주입 허브에 릴리즈 가능하게 부착된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48. 제 46 항에 있어서, 장치는 변형된 탄성층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 2개의 당김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2개의 당김 탭의 각각은 인열하도록 구성된 천공을 포함하며, 이로써 변형된 탄성층과 주입 허브가 변형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50. 접근 개구 및 지지 구조를 갖는 변형된 탄성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표적 부위에 대해 변형된 탄성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
    지지 구조로부터 변형된 탄성 구조를 릴리즈하는 단계; 및
    접근 개구에 위치된 접근 구조를 표적 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부위에서 조직 반응을 조정하는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 구조는 접착층을 갖는 탄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변형된 탄성 구조를 표적 부위에 부착하는 것은 변형된 탄성 구조를 피부 위치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 50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하고, 지지 구조로부터 변형된 탄성 구조를 릴리즈하는 것은 당김 탭을 가동시켜 지지 구조로부터 변형된 탄성 구조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 50 항에 있어서,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 구조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50 항에 있어서, 접근 구조는 송달 튜브이고, 상기 방법은 송달 튜브를 사용하여 센서 또는 주입 캐뉼라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0 항에 있어서, 접근 구조는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50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지지층을 더 포함하고, 접착제는 지지층의 하부 표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0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탄성 구조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50 항에 있어서, 접근 구조를 표적 부위에 삽입한 후 송달 장치로부터 접근 구조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송달 장치를 변형된 탄성 구조 상에 위치된 표시 또는 정렬 구조와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1 장력 축을 따라 사전 인장되어 있는 제1 장력 부재를 표적 부위 옆의 제1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제2 장력 축을 따라 사전 인장되어 있는 제2 장력 부재를 표적 부위 옆의 제2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표적 부위에 치료제를 주사 또는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료 부위의 치료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2 위치는 20mm 이하의 틈만큼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되고, 표적 부위는 상기 틈에 위치되는 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제1 장력 축과 제2 장력 축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 62 항에 있어서, 제1 장력 부재와 제2 장력 부재는 완전히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 6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장력 부재는 그 사이에 있는 정해진 길이방향 틈과 일체 형성되며, 길이방향 틈은 길이방향 틈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틈 축은 제1 장력 축과 제2 장력 축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틈, 제1 장력 축 및 제2 장력 축은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제 65 항에 있어서, 정해진 길이방향 틈은 20mm 미만의 평균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정해진 길이방향 틈은 10mm 미만의 평균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정해진 길이방향 틈은 5mm 미만의 평균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 63 항에 있어서, 주입 세트를 사용하여 치료제를 주입하기 전에 제1 및 제2 장력 부재에 주입 세트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지방이영양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이영양증 치료 방법.
  73. 제 72 항에 있어서, 주사 또는 주입 부위는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주사 또는 주입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 72 항에 있어서, 환자는 당뇨병 환자이고, 지방이영양증인 지방비대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제 74 항에 있어서, 환자는 지방비대증의 과거 병력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6. 제 74 항에 있어서, 환자는 지방비대증의 과거 병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7. 제 72 항에 있어서, 인슐린 저항성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8. 제 72 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기간에 걸친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투약량 증가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 78 항에 있어서, 시간 기간은 1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시간 경과에 따른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투약량 증가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방법.
  81.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를 개선하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방법.
  82. 제 80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는 일 기준의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 80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는 주 기준의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제 80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는 월 기준의 글루코오스 타임인레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혈당 변동성 또는 중증 부작용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주사 또는 주입 부위에 접착성 피부 장력 장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집단에서 당뇨병 치료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치료 부위에 변형된 다층 드레싱을 접착시키는 단계;
    변형된 다층 드레싱의 변형력을 해제하여 드레싱으로부터 치료 부위로 변형력을 전달함으로써 치료 부위에서 조직 긴장을 감소시키는 단계;
    다층 드레싱에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부착하는 단계;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통해 치료 부위에 치료제를 송달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1 층을 제거함으로써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1 허브 및 제1 카테터를 제거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에 제2 허브 및 제2 카테터를 부착하는 단계;
    제2 허브 및 제2 카테터를 통해 치료제를 치료 부위에 송달하는 단계;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2 층을 제거함으로써 다층 드레싱으로부터 제2 허브 및 제2 카테트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료법 부위의 치료 방법.
  86. 치료 개구를 갖는 변형된 탄성층, 변형 지지체 및 치료 개구를 둘러싼 돌출형 정렬 구조를 포함하는 변형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를 치료 위치에 접착시키는 단계;
    정렬 구조를 사용하여 치료 개구 위에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배치하는 단계;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가동시켜 주입 세트 허브와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분리시키고 주입 세트 허브의 카테터를 치료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
    주입 세트 어플리케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및
    변형된 피부 긴장 완화 장치로부터 변형 지지체 및 돌출형 정렬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변형된 탄성층의 변형력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입 세트를 배치하는 방법.
  87. 제 8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이한 돌출형 정렬 구조로부터 돌출형 정렬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돌출형 정렬 구조를 변형 지지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 86 항에 있어서, 돌출형 정렬 구조는 변형 지지체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23625A 2019-12-10 2020-12-10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220156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6345P 2019-12-10 2019-12-10
US62/946,345 2019-12-10
PCT/US2020/064378 WO2021119360A1 (en) 2019-12-10 2020-12-10 Injection and infusion sit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801A true KR20220156801A (ko) 2022-11-28

Family

ID=7632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625A KR20220156801A (ko) 2019-12-10 2020-12-10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040187A1 (ko)
EP (1) EP4072439A4 (ko)
JP (1) JP2023505999A (ko)
KR (1) KR20220156801A (ko)
CN (1) CN115103639A (ko)
AU (1) AU2020400049A1 (ko)
BR (1) BR112022011216A2 (ko)
CA (1) CA3164031A1 (ko)
CR (1) CR20220323A (ko)
IL (1) IL293761A (ko)
MX (1) MX2022007050A (ko)
WO (1) WO2021119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9018A1 (en) 2019-12-10 2022-12-01 Neodyne Biosciences, Inc. Tensioned infusion systems with removable hubs
CN117813069A (zh) * 2021-06-16 2024-04-02 尼欧迪纳生物科学公司 具有可移除的毂的张紧式输注系统
GB202205294D0 (en) 2022-04-11 2022-05-25 Convatec Ltd Infusion devices and components thereof
GB202205298D0 (en) 2022-04-11 2022-05-25 Convatec Ltd Plaster component, infus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254A (en) * 1995-01-03 1999-03-23 Matyas; Melanie E. Replaceable flexible protective cover for an infusion device
AU2002245588A1 (en) * 2001-03-04 2002-09-19 Sterling Medivations, Inc. Infusion hub assembly and fluid line disconnect system
FR2881657B1 (fr) * 2005-01-14 2007-05-18 Mokhtar Chawki Pansement de fixation et de protection d'aiguille
US9241835B2 (en) * 2007-08-03 2016-01-26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8257326B2 (en) * 2008-06-30 2012-09-04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for enhancing wound healing
BR112013017506B1 (pt) * 2011-01-07 2021-01-26 Neodyne Biosciences, Inc. montagem de curativo
CN104507428B (zh) * 2012-02-08 2017-09-12 尼欧迪纳生物科学公司 径向拉紧的伤口或皮肤处理装置和方法
CA2905832C (en) * 2013-03-15 2021-09-07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KR101812190B1 (ko) * 2016-04-12 2017-12-26 이상운 수액세트용 t자형 니들컨넥터를 고정하는 접착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00049A1 (en) 2022-07-14
CR20220323A (es) 2022-09-20
EP4072439A1 (en) 2022-10-19
IL293761A (en) 2022-08-01
EP4072439A4 (en) 2023-12-13
BR112022011216A2 (pt) 2022-08-23
CA3164031A1 (en) 2021-06-17
JP2023505999A (ja) 2023-02-14
US20230040187A1 (en) 2023-02-09
WO2021119360A1 (en) 2021-06-17
CN115103639A (zh) 2022-09-23
MX2022007050A (es)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909B2 (ja) 創傷または皮膚処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220156801A (ko) 주사 및 주입 부위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289767B1 (ko) 가변적 엣지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한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US9241835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9668922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11980738B1 (en) Injection and infusion sit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CN117813069A (zh) 具有可移除的毂的张紧式输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