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858A -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858A
KR20220155858A KR1020210063655A KR20210063655A KR20220155858A KR 20220155858 A KR20220155858 A KR 20220155858A KR 1020210063655 A KR1020210063655 A KR 1020210063655A KR 20210063655 A KR20210063655 A KR 20210063655A KR 20220155858 A KR20220155858 A KR 2022015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dermatitis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아
이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6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858A/ko
Publication of KR2022015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국(CHRYSANTHEMUM), 인동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뛰어난 사용감, 보습력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NATURAL EXTRACTS AS ACTIVATED COMPONENTS}
본 발명은 천연 유래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서구화된 식생활, 각종 환경오염 등이 원인으로 피부염을 앓는 현대인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염은 습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원인이 불확실하고 그 형태와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 그 예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화폐상 피부염 등이 있다.
피부염은 크게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나누는데 급성과 아급성 병변의 경우에는 홍반(빨간 반점), 구진(좁쌀이나 쌀알 크기로 튀어나오는 것)을 거쳐 수포(작은 물집)가 나타난다. 만성 습진의 경우 축축하기보다 마르고 건조하여 피부가 두꺼워지며 각질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급성 피부염은 심한 부종, 홍반과 진물 등을 특징으로 하고, 아급성 피부염은 금성과 만성의 중간 정도로 두 가지 특성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염은 그 종류에 따라 치료방법이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 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장벽이 얇아져 피부가 더 약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피부에도 자극적이지 않은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보습제의 사용은 피부의 과도한 수분 손실 및 외부 환경에서 유해한 물질이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부 장벽을 유지하고, 염증 완화 및 보습 유지에 효과가 있다. 이때 보습제의 경우 피부염을 앓는 민감성 피부에 사용 가능한 저자극 스킨케어 제품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안정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천연 재료들로부터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로부터 각각 추출한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르네올(Borne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e)를 상기 추출물 성분 외에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레이트 / VP 공중 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카보머(CARBOMER)를 상기 추출물 성분 외에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화폐상 피부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혼합 추출물일 수 있고, 또는 상기 각각의 재료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내 세포를 활성화하여 손상된 피부를 효과적으로 복구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염증성 피부염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사용 시 두꺼운 막을 형성함으로써 뛰어난 영양 및 보습 유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이 있는 환자의 얼굴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전/후 사진이다.
도 2는 지루성 피부염 질환이 있는 환자의 얼굴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전/후 사진이다.
도 3은 건선 피부염 질환이 있는 환자의 다리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전/후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접촉성 피부염 질환이 있는 환자의 발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전/후 사진이다.
도 6은 화폐상 피부염 질환이 있는 환자의 손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전/후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용어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extraction)"은 식물이나 광물 등, 여러 성분을 이루고 있는 물질(혼합물)에서 특수한 성분만을 녹여서 얻는 방법을 의미한다. 추출에 의해 분리된 물질을 "추출물"이라고 하며, 농축액 또는 엑스트렉트(extract)라고 호칭하기도 한다. 추출에는 크게 식물 등의 고체로부터 특정한 성분을 용해하는 용매를 사용해 추출하는 방법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개의 용매를 이용해서 각각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의 차이를 이용해서 추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여과”는 유체를 여과 매체(filtering medium)에 통과시켜서 세공보다 큰 입자가 막 위에 퇴적되게 함으로써 유체로부터 고체 입자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는 액체나 기체일 수 있으며, 여과 대상은 유체나 고체 또는 둘 다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대상" 또는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하며, 또한, 임의의 질환의 개선의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에 참여한 실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대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추출물 구성성분”
본 발명은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로부터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감국(Chrysanthemum)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루테오린(luteolin), 아피제닌(apigenin), 그리고 큐멈브린(cumambrin)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yu et al., 1994). 감국의 꽃과 싹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면역관련 질환과 고혈압 예방, 그리고 한국의 민간 의학에서 폐렴, 대장염, 구내염, 그리고 발열 등 여러 가지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g et al., 201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감국으로부터 추출한 감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의 꽃으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국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국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1.0 % 내지 2.0%의 중량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의 인동덩굴(忍冬-, Lonicera japonica)은 한반도 각처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흔한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겨우살이덩굴", "금은화"(金銀花), "인동"(忍冬), "인동초"(忍冬草) 등으로도 불린다. 인동덩굴의 꽃은 루테올린과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진정과 산화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동덩굴꽃으로부터 추출한 인동덩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인동덩굴꽃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동덩굴꽃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 % 내지 0.3%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병풀(CENTELLA ASIATICA)은 병풀속(Centella) 식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주로 남아프리카에서 생산된다. 병풀에는 주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트리테르펜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위 점막을 보호하고, 항바이러스, 소염, 항우울 및 항종양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으로부터 추출한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병풀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병풀 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어 트러블을 유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5% 이하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갈라로이스(Galla Rhois)는 옻나무과 식물인 붉나무 Rhus javanica L.의 잎에 생긴 벌레집을 말린 것이다. 붉나무는 각지의 산에서 자라고, 9~10월에 붉나무벌레집을 따서 증기에 쪄서 말린 다음 사용한다. 맛은 쓰고 시며, 주요 성분인 탄닌(tannin)의 수렴 작용에 의하여 지사(止瀉) 작용, 지혈 작용, 항균 작용, 선체(腺體) 분비 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갈라로이스로부터 추출한 갈라로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갈라로이스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갈라로이스 추출물은 피부점막 상처의 회복을 돕는 효과가 있으나, 고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점막의 부식을 야기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2% 이하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은 전국의 낮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쇠비름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양지 혹은 반그늘의 언덕이나 편평한 곳에서 자란다.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TNF-α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서 염증반응 억제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쇠비름으로부터 추출한 쇠비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특히 쇠비름의 작은 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쇠비름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쇠비름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 % 내지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는 야생 박하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10 ~ 60cm까지 자라는 초본 다년생 식물이며 드물게 높이가 100cm까지 성장한다. 주성분은 멘톨이며, 멘톨은 진통제나 흥분제, 건위제, 구충제 등에 사용하거나 치약, 사탕, 화장품, 담배 등의 청량제나 향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멘타아벤시스의 잎으로부터 추출한 멘타아벤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멘타아벤시스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타아벤시스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 % 내지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삼(SOPHORA ANGUSTIFOLIA)은 콩과 Leguminos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하초습열로 인한 이질, 대하, 음부소양증,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며, 약리효과로는 백혈구감소증 치료 및 항방사능작용, 관상동맥혈류량 증가, 심장근육 강화, 혈당 낮추는 작용, 항종양, 항균, 면역기능 억제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고삼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인 “마트린(matrine)”은 항염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고삼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고삼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삼(SALVIA MILTIORRHIZA)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으로 인삼의 형태를 닮고 빛깔이 붉어서 단삼이라고 한다. 주성분인 탄신논과 비타민 E가 포도상구균·대장균·티푸스균·결핵균에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단삼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단삼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백년초(prickly pear)는 선인장과(Cactaceae)의 여러 선인장의 한 품종(특히 Opuntia ficus-indica)으로 줄기 모양이 손바닥처럼 넓적한 형상을 하고 있어 손바닥선인장이라고 불리어지고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백년초로 부르고 있다. 백년초의 열매(Nopal)와 줄기(Nopalitos)는 모두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염 또는 해열용으로 한방에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백년초의 열매 및 줄기로부터 추출한 백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백년초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년초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2 % 내지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6%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벌사상자(CNIDIUM MONNIERI)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서 벌사상자 추출물은 피부의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벌사상자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벌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벌사상자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벌사상자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은 모자반속(Sargassum C. Agardh)에 속하는 해조류로 국(남해안, 제주도),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에 분포한다. 이는 ABAP로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항산화 효능과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큰잎알쏭이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큰잎알쏭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큰잎알쏭이모자반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큰잎알쏭이모자반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흰목이(TREMELLA FUCIFORMIS)는 은이버섯이라고도 불리며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과 베타글루칸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수분 보유력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큰 흰목이로부터 추출한 흰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목이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흰목이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의 낙엽교목으로 황경피나무라고도 하며, 향균 및 살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황벽나무의 건조된 껍질로부터 추출한 황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황벽나무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50%의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벽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 % 내지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3종 유래의 혼합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8.0% 내지 15.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2.0%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 태양으로, 상기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는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조성물 100% 대비 각각 1.5%, 0.2%, 0.15%, 0.2%, 0.5%, 0.5%, 1.2%, 1.5%, 0.6%, 1.2%, 1.5%, 1.5% 및 0.3%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이의 변형된 방법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례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일 수 있다.
i)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ii) 단계 i)의 추출물을 물리적으로 여과하여 균질한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i)단계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증류추출, 유기용매(에탄올)추출법, 초음파(에탄올)추출법, 초음파(물)추출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열수추출법 또는 에탄올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50% 에탄올을 이용한 에탄올추출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온도는 2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출시간은 1 내지 1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6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ii)단계의 여과방법으로는 여과 압력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하면, 막 여과(membrane filter), 중력 여과(gravity filter), 진공 여과(vacuum filter), 가압 여과(pressure filter), 압착 여과(compression filter) 및 원심 여과(centrifugal filter)와 같은 방법이 종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 여과법을 이용하여 크기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여 균질한 액상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또는 상기 식물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각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믈을 수득하는 방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수득한 혼합 추출물의 발효 공정을 추가로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i) 및 ii) 단계 수행 후, 다음의 iii) 발효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iii) 상기 단계 ii)에서 수득한 여과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본 명세서의 용어 “발효”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통상적인 발효에 사용 가능한 미생물로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의 미생물에 의한 발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유산균으로는 분리 균주 또는 시판 중인 다양한 유산균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효물"은 상기 발효 과정을 통해 생성된 유용한 물질 자체뿐만 아니라, 발효 균주 및 발효물이 공존하는 발효 균주 배양 배지,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한 발효물,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멸균 처리하고 이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발효물을 희석시킨 희석액, 상기 발효물을 건조시킨 건조물 등, 상기 발효 균주로부터 발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온도는 2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발효시간은 1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에 따라 수득된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물질 유래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즉,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기타 구성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개시된 “추출물 구성성분” 외에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 강화 및 제형화를 위한 “기타 구성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보습 기능 강화를 위한 기타 구성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스쿠알란, 쉐어버터, 알라토인, 징크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ZINC HYDROLYZED COLLAGEN) 등 피부 보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보르네올(borme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e)일 수 있다.
상기 보르네올은 모노테르펜알코올 중 하나로, 기분 좋은 냄새가 나는 승화성의 무색 판모양 결정이다. 향장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통증 경감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보르네올은 야로(Achillea millefolium), 창포(Acorus calamus), 기니아 생강(Aframomum melegueta) 바추잎(Agathosma betulina) 등 여러가지 천연물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보르네올은 피부의 체온을 낮추고 피부의 결을 정돈함으로써 피부의 수분이 쉽게 증발되지 않고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상기 보르네올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1 % 내지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할로스는 두 분자의 α-포도당 사이에 α(1→1)α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형성된 이당류로서, 세포 활성을 촉진하고 세포 표면에 유리막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보습 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트레할로스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대비 0.5 % 내지 2.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의 중량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화장품 제형을 위한 기타 구성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3) 겔 제형화를 위한 기타 구성성분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겔 제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형의 질감을 두껍게 하여 피부에 오래 머무르도록 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피부에 충분히 침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특히 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겔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증점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는 쟁탄검(Xanthan Gum), 젤라틴(Gelatin), 하이셀, 메칠셀룰로오즈(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 펙틴(pectin) 등 점도를 높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 레이트/Vp 공중 합체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및/또는 카보머(carbomer)이다.
상기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 레이트/Vp 공중 합체는 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파일롤리돈 단일체의 중합체이다.
상기 카보머는 폴리알케닐 폴리에터로 가교 결합된 아크릴릭애씨드의 폴리머로써 분자량이 크고, 비선형이며 합성물질로서,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에서 점도증가제, 분산제, 현탁화제 및 유화제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 레이트/Vp 공중 합체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및 카보머(CARBOMER)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각각 0.8% 및 1.0%의 중량 비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이 겔 제형인 경우, 폴리올 및 아민계 화합물을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겔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은 보습제로 화장료의 보습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나트륨, 베타인 및 메칠 글루세스-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pH를 조절을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에틸렌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각각 2.0% 및 1.0%의 중량 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구성성분” 및 “기타 구성성분” 이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용매, 착색제,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소포제, 항균제, 효소,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방향제,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당 유도체, 자외선차단제, 비타민, 안료, 왁스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감국, 인동덩굴꽃, 병풀, 갈라로이스, 쇠비름, 멘타아벤시스, 고삼, 단삼, 백년초, 벌사상자, 큰잎알쏭이모자반, 흰목이 및 황벽나무로부터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겔 제형화를 위해,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 레이트/Vp 공중 합체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카보머(CARBOMER),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기타 구성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징크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ZINC HYDROLYZED COLLAGEN) 및 알라토인(ALLANTOIN)을 기타 구성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및 효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독성이 낮고, 피부 안정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및 피부 재생 활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화폐상 피부염과 같은 피부 염증, 각질, 진물을 동반하는 피부염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특히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겔 제형인 경우, 이를 피부에 도포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씻어내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팩 제품이거나,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그대로 피부에 흡수시키는 겔 제품일 수 있다.
겔 제형은 주로 수성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다른 반고형 제형보다 끈적거림이나 불쾌감이 덜하고, 투명하기 때문에 크림처럼 하얗게 되지 않아 그 사용감이 우수하다.
주로, 피부 외벽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며, 피부의 타입 및 상태에 따라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감국 3g, 인동덩굴꽃 0.4g, 병풀 0.3g, 갈라로이스 0.4g, 쇠비름 1.0g, 멘타 아벤시스 1.0g, 고삼 2.4g, 단삼 3.0g, 백년초1.2g, 벌사상자2.4g, 큰잎알쏭이모자반3.0g, 흰목이3.0g, 보르네올 0.6g 및 황벽나무 0.6g을 혼합하여 분쇄한 분쇄물을 비커에 넣고, 시료가 충분히 잠기도록 에탄올 50% 용액으로 실온에 48h 침지시켜 여과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기(SB-1000,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하고, 상기 농축액을 20 ㎛ 필터로 2차 여과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함으로써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발효된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혼합 추출물의 중량 100%에 대하여 유산균을 0.05% 중량 비율만큼 첨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동안 37℃에서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1×108 CFU/g으로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발효를 통해 수득한 발효물을 고압멸균기(autoclave, Fisher750, USA)를 사용하여 살균하고, 살균된 상기 발효액을 감압농축기(800~850mm/Hg)로 농축하여 발효된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에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발효 추출물과 징크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ZINC HYDROLYZED COLLAGEN) 1.6g, 알라토인(ALLANTOIN) 3g,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 레이트 / Vp 공중 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1.6g, 카보머 U20(CARBOMER U20) 2g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g을 혼합한 후 70~75℃에서 호모믹서를 사용해 6000rpm의 속도로 10분간 충분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겔화반응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에 40~45℃에서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4g을 첨가한 후 6000rpm의 속도로 2분간 혼합하였다. 이후 30℃까지 자연냉각하여 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 테스트
피부염 질환을 가진 대상을 실험군으로 하여, 일정 기간 매일 1회씩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제조 방법대로 제조한 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팩 제품 형태로 사용하였다.
이 때, 피부염 질환을 가진 대상의 환부를 물로 씻고,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젤을 두껍게 도포한 후 15 ~ 20분 정도 문지른 후 미온수로 씻어내도록 하였다. 환부의 상태에 따라 기간을 다르게 하되, 매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제조방법대로 제조한 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군의 얼굴, 손, 발, 다리 등의 환부에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도 1)
아토피 피부염은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피부 질환 중 하나로서, 붉은색의 발진, 진물 또는 딱지가 생기는 증상을 나타낸다. 도 1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나타내는 만 7세 남아로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약 20일간 지속적으로 사용한 결과, 붉게 올라온 발진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2: 지루성 피부염 개선 효과(도 2)
지루성 피부염은 장기간 지속되는 습진의 일종으로, 과도한 피지 분비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서, 홍반, 인설 또는 딱지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도 2는 지루성 피부염 증상을 나타내는 만 19세 여성으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15일 동안 사용한 결과, 농으로 인해 붉게 부풀었던 피부와 상처가 눈에 띄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3: 건선 피부염 개선 효과(도 3)
건선 피부염은 피부에 경계가 뚜렷하며 다양한 크기의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는 홍반성 구진 및 판이 형성되는 질환이다. 도 3은 건선 피부염에 의해 반복적으로 긁고 문지름을 반복한 결과 피부가 두꺼워진 만 30세 여성으로, 다리에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1개월 동안 꾸준히 사용한 결과, 두꺼워진 피부벽이 얇아지고 상처 부위가 두드러지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4: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도 4-도 5)
접촉성 피부염은 피부를 자극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어나는 질환으로, 피부의 발적 두드러기가 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물집이 생기고 진물이 흐르며 껍질이 벗겨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접촉성 피부염으로 진물이 생긴 만 30세 남성, 만 25세의 여성의 발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7일 동안 사용한 결과, 진물이 멈추고 상처가 아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5: 화폐성 피부염 개선 효과(도 6)
화폐성 피부염은 동전처럼 동그랗고 가장자리가 뚜렷한 습진 병변으로 홍반, 구진 및 심한 가려움 증상이 나타난다. 도 6은 화폐성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동그란 판에 두껍게 딱지가 피부벽으로 형성된 만 17세 남자의 손으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3일 동안 사용한 결과, 두껍게 자리잡은 딱지가 벗겨지고 상처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각종 피부염으로 인한 진물, 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각질 또는 두꺼워진 피부를 재생시키는 항염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르네올(BORNEOLUM SYNTHETICUM) 및 트레할로스(trehalose)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레이트/Vp 공중 합체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및 카보머(CARBOMER)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100% 대비 각각 1.5%, 0.2%, 0.15%, 0.2%, 0.5%, 0.5%, 1.2%, 1.5%, 0.6%, 1.2%, 1.5%, 1.5% 및 0.3%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또는 50% 에탄올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보르네올(BORNEOLUM SYNTHETICUM) 및 트레할로스(trehalose)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100% 대비 각각 0.2% 및 1.0%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아크릴로 일 디메틸 타우레이트/Vp 공중 합체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 및 카보머(CARBOMER)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100% 대비 각각 0.8% 및 1.0%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화폐상 피부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국(CHRYSANTHEMUM), 인동덩굴꽃(FLOS LONICERAE), 병풀(CENTELLA ASIATICA), 갈라로이스(Galla Rho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멘타아벤시스(MENTHA ARVENSIS), 고삼(SOPHORA ANGUSTIFOLIA), 단삼(SALVIA MILTIORRHIZA), 백년초(PRICKLY PEAR), 벌사상자(CNIDIUM MONNIERI), 큰잎알쏭이모자반(SARGASSUM PALLIDUM),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및 황벽나무(PHILODENDRON AMURENSE)를 혼합한 혼합물으로부터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각각 추출한 다음,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063655A 2021-05-17 2021-05-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5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55A KR20220155858A (ko) 2021-05-17 2021-05-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55A KR20220155858A (ko) 2021-05-17 2021-05-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858A true KR20220155858A (ko) 2022-11-24

Family

ID=8423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55A KR20220155858A (ko) 2021-05-17 2021-05-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5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1B1 (ko) 산초, 백두옹, 이끼, 팔각회향, 에키나시아 및 프로폴리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7861B1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446B1 (ko)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429720A2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homme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0179B1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6304A (ko)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3168A (ko)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BRPI0914462B1 (pt) Composição tópica
KR20200064622A (ko) 박하, 오레가노, 생강 및 계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55858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1706B1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586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42480B1 (ko) 생물전환된 식물 소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3324B1 (ko)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