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046A -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046A
KR20220155046A KR1020210062800A KR20210062800A KR20220155046A KR 20220155046 A KR20220155046 A KR 20220155046A KR 1020210062800 A KR1020210062800 A KR 1020210062800A KR 20210062800 A KR20210062800 A KR 20210062800A KR 20220155046 A KR20220155046 A KR 20220155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nd
tube
propulsion
l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혁
Original Assignee
정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혁 filed Critical 정인혁
Priority to KR102021006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046A/ko
Publication of KR2022015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42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having means for additional processing at the front e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02F3/386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the boom being laterally shiftable relative to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과 데크강의 용이한 굴진방법을 이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으로 선도관(101)의 후미부가 결합되어지고,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 회전관(103)을 결합하는 단계(S10)와,
회전관(103) 표면과 선단에 지반을 절삭시키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를 장착하는 단계(S20)와,
선도관(101) 후미 및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 시설한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선도관(101)을 지중에 압입 추진하는 단계(S30)와,
동시에 회전관(103)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에 의하여 회전관(103) 원주면과 선단면 지반을 절삭하는 단계(S40)와,
선도관(101) 내로 유입된 토사를 절취하여 반출하는 단계(S50)와,
선도관(101) 추진에 의해 벌어진 추진관(100) 선단과 선도관(101) 후미와의 이격거리(L)를 추진관(100) 후미 반력벽(111)에 설치된 유압잭의 구동으로 추진관(100)을 압입하여 추진관 (100)의 선단이 선도관(100)의 후미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60)와,
S30 단계와 S60단계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추진관과 선도관 및 회전관을 일체로 결합한 구조로 압입 추진을 하므로 관 주면 여굴량을 최소할 수 있고, 관 추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1의 효과와,
인력 및 스크류 오거에 의한 선굴을 하지않아 갱내 함몰 및 노면침하가 없는 제2의 효과와,
기계화 시공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그로인하여 경제적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제3의 효과와,
장거리 관 추진이 가능한 제4의 효과와,
암반을 제외한 모든 지반조건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제5의 효과와 같이 시공성과 안정성과 공기 및 경제성에 유리한 총5개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rizontal excavators that cut the ground by rotating the header to propel the pipe}
본 발명은 지반을 개방하지 않고 도로나 철도 등의 하부 지반을 교차하여 지나도록 강관을 압입하여 매설하는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 장치인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은 인력 및 스크류 오거에 의한 굴착의 방법으로 관 추진을 시행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안전과 저비용 및 정확한 목표를 향한 직선화 추진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요구 되어져 이에 부합되도록 고안된 기기이다.
인력 또는 스크류 오거에 의한 굴삭과 유압잭에 의한 추진력으로 관 압입을 시행하는 공사방법은 관 추진의 정확성을 떨어뜨려 많은 시공오차를 수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공오차를 저감하고, 원활한 관 추진을 위하여 선굴을 시행하게 되므로 노반이 침하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도관 선단부에 지반을 교란시킬 수 있는 교반익과 비트기를 부착한 회전관을 결합시키고, 회전관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선도관을 전방으로 추진시키므로 지반을 교란시키며 지반의 결속력이 깨진 느슨해진 상태로 만들어, 관과 지반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관 선단에 저항이 발생치 않도록 하고, 선도관 내부로 유입된 흙 입자만을 절취하는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와 같은 추진방식으로 관 추진을 진행할 경우 관 주면마찰과 선단저항이 최소화되므로 관 추진시에 발생되는 어려움이 대부분 해소되어져 관의 직진성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속시공 및 추진길이에 큰 어려움이 없어지므로 공사현장 조건인 관 추진길이, 지반조건, 노면과의 토피에 따른 제약이 대부분 해소하게 될 것이므로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판단되고, 이로 인하여 구조물 조성 또한 훨씬 용이한 선형과 구배를 이룰 수 있을 것이며, 공기 및 공사비 또한 훨씬 절감될 수 있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나 각종 전기시설들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개착식으로 파낸후 상하수도 관 등을 매설하고 있는데, 상하수도관등의 매설 작업중 도로나 철로 등을 만나게 될 때 개착식 공법으로 도로나 철로를 절개하여 공사하기 위해서는 교통을 통제시키거나 또는 도로나 철도를 공사 현장을 우회하도록 이설하여야 하므로써 교통 통제나 도로 이설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이 경우의 개착식 작업은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와같이 상하수도관 등의 매설 작업시 도로나 철도를 가로질러 공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개착식 공법 대신에 도로나 철도가 지나는 지반 밑을 강관을 사용하여 수평으로 굴착하면서 교차하여 통과토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로나 철로(50) 등이 지나는 해당 공사 지점 부근의 땅을 파서 추진기지(51)를 형성하고, 그 추진기지(51)내에 유압잭기구(52)를 설치하여 유압잭기구(52)의 강력한 추진력으로 강관(53)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강관(53)이 수평으로 땅을 파고들어 전진하게 되면서 지반(54) 밑에 강관(53)이 매설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강관(53)을 압입하기 위한 유압잭기구(52)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동력이 요구되므로 추진기지(51)내에는 유압펌프(56)와 그 유압펌프(56)를 가동하기 위한 동력원인 엔진(57)을 설치하여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유압펌프(56)를 작동한 후 그때 얻어지는 고압의 유압을 이용하여 일종의 피스톤 기구인 유압잭기구(52)를 작동하여 강관(53)을 전방으로 밀어 지반(54) 밑을 수평으로 굴착하게 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발명의 배경이되는 기술인 특허 10-2004-0019297; 출원일자 2004.05.25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강관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의 선단으로부터 땅을 굴착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굴착기와;
상기 스크류 굴착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스크류 구동용 유압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류 굴착기에 전달하는 회전 감속기와;
상기 회전 감속기와 유압 모터 등을 수용 및 지지하며 상기 스크류 굴착기의 후단에 접속되어 강관의 후단을 지지하는 본체인 장치 케이스와, 상기 스크류 굴착기로부터 이송되어온 흙을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 안내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한 오가유니트와;
상기 장치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케이스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작동하는 상기 유압잭기구와;
상기 유압잭 기구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유압펌프와, 그 유압펌프를 가동하는 전기모터로 구성되는 유압 유니트와; 상기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관 압입굴착 방식의 문제점은 직경이 크고 무거운 강관이 연속적으로 수평을 이루며 땅속을 파고들면서 굴착해야 하는 과정에서, 강관이 상하좌우의 변위가 없이 추진되기가 어렵다는 점과 토피가 적을경우 노반 함몰과 침하문제가 발생된다는 점, 또는 강관이 땅속을 파고들 때 압입 선단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압입 작업 속도가 낮거나 지반이 단단한 암반일 경우 추진 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간 관 추진에서 인력굴착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이 또한 스크류 굴착기와 같이 단단히 압밀되어진 지반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서 선굴의 방법을 사용한 것이 사실이고, 이로인하여 여굴과 노반 붕락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단히 압밀되어진 지반을 선굴과 여굴 및 노반 침하없이 관을 정교하게 추진되도록 함이 본 발명의 목적인 것이다.
우선, 상기한 문제점들을 상세히 서술하면,
보통 관 추진에 있어서는 선굴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선굴로 인하여 막장에 공동이 발생되게 되는데, 상부 차량하중 및 진동에 의해 공동의 함몰이 수반되면서 노면이 갑작스레 꺼지게 되어 지상 교통흐름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는 것과,
단단한 지반에 추력만으로 관 추진이 불가능하여 선도관 전면부에 선굴된 빈 공간으로 압입하므로 선단저항이 없어 관 추진은 용이하나 선굴과정에서 여굴이 증가하게되어 선굴로 인한 공동발생과 더불어 노면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과,
인력이나 오거에 의한 굴착으로는 장거리 추진에서 굴착여건이 열악하고, 매우 불리하여 난관에 봉착되기 쉽다는 것과,
스크류 오거는 단단한 물체와 접촉시 이를 돌파하기 위하여 휘어지저나, 인력으로 굴착시 정교함을 잃어 직진성과 피로도에 의하여 시공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굴과 여굴을 시행치 않으면서도 관 표면과 지반과의 마찰저항 및 관 선단과 지반과의 선단저항이 없도록 하거나 최소화가 되도록 하면서 노반침하를 방지하고, 오거추진 방식과는 다르게 인력투입이 가능하며, 주면 토압의 작용으로 관의 직진성을 유지토록 하며, 기계화 시공에 의한 지반이 교란되어 추진이 용이하고, 장거리 관 추진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시공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성 측면에서도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으로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있어서,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으로 선도관(101)의 후미부가 결합되어지고,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 회전관(103)을 결합하는 단계(S10)와,
회전관(103) 표면과 선단에 지반을 절삭시키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를 장착하는 단계(S20)와,
선도관(101) 후미 및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 시설한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선도관(101)을 지중에 압입 추진하는 단계(S30)와,
동시에 회전관(103)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에 의하여 회전관(103) 원주면과 선단면 지반을 절삭하는 단계(S40)와,
선도관(101) 내로 유입된 토사를 절취하여 반출하는 단계(S50)와,
선도관(101) 추진에 의해 벌어진 추진관(100) 선단과 선도관(101) 후미와의 이격거리(L)를 추진관(100) 후미 반력벽(111)에 설치된 유압잭의 구동으로 추진관(100)을 압입하여 추진관 (100)의 선단이 선도관(100)의 후미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60)와,
S30 단계와 S60단계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진관과 선도관 및 회전관을 일체로 결합한 구조로 압입 추진을 하므로 관 주면 여굴량을 최소할 수 있고, 관 추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1의 효과와,
인력 및 스크류 오거에 의한 선굴을 하지않아 갱내 함몰 및 노면침하가 없는 제2의 효과와,
기계화 시공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그로인하여 경제적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제3의 효과와,
장거리 관 추진이 가능한 제4의 효과와,
암반을 제외한 모든 지반조건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제5의 효과와 같이 시공성과 안정성과 공기 및 경제성에 유리한 총5개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추진관, 선도관, 회전관의 공정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추진관, 선도관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관이 선도관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추진관과 선도관이 결합되고 있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회전관에 교반익과 비트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교반익과 비트기의 형상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인력이나 스크류 오거에 의한 관 추진 시공에서 탈피하여 〈도 2〉에서 보듯이 추진관(100) 선단에 선도관(101)을 끼우고, 선도관(101) 선단부에 회전관(103)을 결합하며, 회전관(103) 표면과 선단에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를 갖추도록 하고, 선도관(101)을 압입 추진하는 동시에 회전관(103)을 고속회전 시키므로 지중을 절삭하여 단단한 지반상태를 느슨한 구조의 흐트러진 지반상태로 변형시키므로 관 압입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시하는데,
상기의 수평굴삭기(1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 추진에서의 가장 애로사항인 선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안되어진 것으로, 2가지의 기계장치를 장착하고 있는데, 도 2에서 처럼 첫째는 추진관(100) 선단에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중에 압입토록 하는 선도관(101)이 그것이고, 둘째는 선도관(101) 선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지반을 절삭토록 하는 회전관(103)이 그것인데. 상기 2가지를 묶어 통칭하여 헤더라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헤더인 수평굴삭기(105)는 목표하고자 하는 위치에 관을 압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중에 비 개착의 방법으로 관을 압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종래의 인력굴착에서의 가장 큰 문제인 여굴 및 선굴로 인한 노면침하 및 막장붕락의 예방과 오거굴착에서의 장비 장애로 인한 인력투입 부재와 선굴로 인한 부작용 등 관 압입공법에서 발생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인력투입이 가능하면서, 여굴과 선굴을 시행치 않으면서도 관 표면과 지반과의 마찰저항및 관 선단과 지반과의 선단저항이 없도록 하거나, 최소화가 되도록 시공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기계화 시공에 의한 경제성 증진을 두루 갖추는 전천후 수평굴삭기(105)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굴삭기(105)의 구조를 살펴보면,
추진관(100) 선단에 선도관(101)을 결합하는데 있어서,〈도 3〉에서 보듯이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는 선도관(101) 후미부와 결합되어져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시설인 레일(106)을 시설하고, 선도관(101) 외측에는 상기 레일(106)과 결합되는 시설인 가이더(107)를 장착하여, 레일(106)과 가이더(107)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동력장치는 선도관(101) 후미 내측에 설치하고, 반력대(110)는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 설치토록 한다.
또한, 선도관(101) 선단에 회전관(103)을 결합하는데 있어서,〈도 2〉에서 보듯이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에는 레일(106)을 시설하고, 회전관(103) 내측에는 상기 레일(106)과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시설인 가이더(107)를 장착하여, 레일(106)과 가이더(107)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기장치에 의하여 회전관(103)이 선도관(101) 선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도 2〉에서 보듯이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는 지반을 절삭시켜 흐트려지게 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회전관(103) 표면에는 다수개의 날개형 교반익(102)을 방사형으로 장착하며, 선단에는 같은 목적의 비트기(109)를 X자형의 톱니형상으로 장착하여, 전기장치로 회전관(103)이 자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한편,〈도 5〉에서 보듯이 교반익(102)은 양측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중앙이 사각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강판을 절단하고, 이를 상세 "ㄱ"에서와 같이 a-a라인과 b-b 라인에서 절곡시켜 "ㄷ"자형을 이루도록 하며, 회전관(103) 표면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용접하되 상호 중첩되지 않게 장착되도록 하고,
비트기(109)는 상세 "ㄴ"에서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과 사각형의 형상이 접하는 a-a라인 또는 b-b라인을 갖춘 각각의 강편(108)을 제작하고, a-a라인 또는 b-b라인에서 강편(108)을 절곡시켜 "L"자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회전관(103) 선단에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게 용접 장착하되, 한측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배치하고, 인접하는 다른 한측은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배치하므로 톱니형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도관(101)에 결합된 회전관(10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선도관(101)이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전방으로 추진될 때, X자형의 톱니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관(103) 선단에 장착된 비트기(109)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회전관(103) 표면에 장착된 교반익(102)에 의하여 회전관(103) 선단면과 원주면의 지반이 절삭되어 흐트러지도록 하는 링 커트방식으로 절삭하므로,
교반익(102)에 의하여 절삭된 회전관(103) 원주면의 지반은 흐트러진 상태의 느슨한 흙입자를 이루게 되므로 추진관(100) 및 선도관(101) 원주면의 마찰저항을 떨어뜨리게 되고, 비트기(109)에 의하여 절삭된 선단면 또한 원주면과 같은 상태로 지반이 변형되어 선단저항이 떨어지거나 발생되지 않아 관 추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시공할 때 선도관(101) 추진에 의하여 지중에 압입된 선도관(101) 내부로 유입된 토사는 절취되어 반출되고, 이에따라 발생된 추진관(100)과 선도관(101) 후미 사이에 벌어진 이격거리(L)는 추진관(100) 후미에 설치된 유압잭의 구동으로 추진관(100)을 압입하여 추진관(100)의 선단이 선도관(101)의 후미에 밀착되도록 하는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며,
이를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시행하므로 선굴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선도관(101) 추진을 이루며, 관 추진에 있어서 선굴의 악영향인 여굴과 지반함몰에 의한 공동 및 노면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격거리;L
추진관;100 선도관;101
교반익;102 회전관;103
중압잭;104 수평굴삭기;105
레일;106 가이더;107
강편;108 비트기;109
반력대;110 반력대;111

Claims (6)

  1. 선도관(101)을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압입하고 굴착을 반복하면서 연이어 추진관(100)이 추진되도록 고안된 헤더인 수평굴삭기(105)에 있어서,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으로 선도관(101)의 후미부가 결합되어지고,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 회전관(103)을 결합하며;
    회전관(103) 표면과 선단에 지반을 절삭시키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를 장착하고;
    선도관(101) 후미 및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 시설한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선도관(101)을 지중에 압입 추진하면서;
    동시에 회전관(103)을 고속회전 시키므로 구동되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에 의하여 회전관(103) 원주면과 선단면 지반을 절삭하고;
    선도관(101) 내로 유입된 토사를 절취하여 반출하고;
    선도관(101) 추진에 의해 벌어진 추진관(100) 선단과 선도관(101) 후미와의 이격거리(L)를 추진관(100) 후미 반력벽(111)에 설치된 유압잭의 구동으로 추진관(100)을 압입하여 추진관 (100)의 선단이 선도관(100)의 후미에 밀착되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하여 추진관(100)이 연속적으로 압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진관(100) 선단에 선도관(101)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에는 선도관(101) 후미부와 결합되어져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시설인 레일(106)을 시설하고, 선도관(101) 외측에는 상기 레일 (106)과 결합되는 시설인 가이더(107)를 장착하며, 레일(106)과 가이더(107)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 동력장치인 중압잭(104)과 전기장치 및 및 반력대(11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있는 것;과,
    선도관(101) 선단에 회전관(103)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에는 레일(106)을 시설하고, 회전관(103) 내측에는 상기 레일(106)과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시설인 가이더(107)를 장착하며, 레일(106)과 가이더(107)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기장치에 의하여 회전관(103)이 선도관(101) 선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관(103)이 선도관(101) 선단부에서 회전하는데 있어서는,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는 지반을 절삭시켜 흐트러지게 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회전관(103)을 장착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날개형 교반익(102)을 방사형으로 장착하며, 선단에는 같은 목적의 비트기(109)를 X자형의 톱니형상으로 장착하여 전기장치에 의하여 회전관(103)이 고속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선도관(101) 선단부에 결합된 회전관(10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선도관 (101)이 전방으로 추진될 때, X자형의 톱니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관(103) 선단에 장착된 비트기(109)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회전관(103) 표면에 장착된 교반익(102) 에 의하여 회전관(103) 선단면과 원주면의 지반이 절삭되어 흐트러지도록 하는 링 커트 방식으로 절삭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교반익(102)은 양측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중앙이 사각형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도록 강판을 절단하고, 삼각형과 사각형이 접하는 양측 라인을 절곡시켜 "ㄷ"자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회전관(103) 표면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용접하되 상호 중첩되지 않게 장착되도록 하고,
    비트기(109)는 삼각형의 형상과 사각형의 형상이 접하도록 각각의 강편(108)을 제작하고, 삼각형과 사각형의 형상이 접하는 라인을 절곡시켜 "L"자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회전관(103) 선단에 X자형의 상호 교차되게 용접 장착하되, 한측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배치하고, 인접하는 다른 한측은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배치하므로 톱니형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6. 추진관(100) 선단부 내측으로 선도관(101)의 후미가 결합되어지고, 선도관(101) 선단부 외측으로 회전관(103)을 결합하며, 회전관(103) 표면과 선단에 지반을 절삭시키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를 장착하고 있는 수평굴삭기(105)에 의하여,
    (1)선도관(101)을 지중에 압입 추진하면서, 동시에 회전관(103)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교반익(102)과 비트기(109)로 회전관(103)의 원주면과 선단면 지반을 절삭하는 단계;
    (2)(1)단계 구동에 의하여 선도관(101) 내부로 유입된 토사를 절취하여 반출하는 단계:
    (3)추진관(100) 후미에 설치된 반력벽(111)에 시설된 유압잭에 의하여 추진관(100)을 압입하여 추진관 (100)의 선단을 선도관(100)에 밀착시키는 단계;
    (4)(1)~(3)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단계: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시공방법
















KR1020210062800A 2021-05-14 2021-05-14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220155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00A KR20220155046A (ko) 2021-05-14 2021-05-14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00A KR20220155046A (ko) 2021-05-14 2021-05-14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046A true KR20220155046A (ko) 2022-11-22

Family

ID=8423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800A KR20220155046A (ko) 2021-05-14 2021-05-14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50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188A (en) Method for replacing buried pipe
KR102020113B1 (ko) 비개착식 터널 굴착기
CN112145210A (zh) 一种侵入盾构或顶管隧道断面的锚索群清除方法
JP2015510974A (ja) 螺旋牽引及び推進複合型自走式掘進装置
US9039330B1 (en) Pipe boring shield
KR20220155046A (ko) 헤더 회전으로 지반을 절삭하여 관을 추진하는 수평굴삭기의 구조 및 시공방법
JP5284168B2 (ja) 土留部材建込用掘削部材および土留部材建込工法
JP4516494B2 (ja) 推進工法における障害物除去方法および掘進装置
JP6729902B1 (ja) ソイルセメント連続壁の施工法
KR101237749B1 (ko)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CN112252964A (zh) 全回转钻机清除地下盾构管片的施工设备
JPH04213694A (ja) 埋設管の無排土推進工法
KR200361243Y1 (ko)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장치
JP7398330B2 (ja) 曲線状トンネル・地中梁又は先行支保を構築するための推進装置の発進設備
JP4136902B2 (ja) 小口径管掘進装置
CN211922775U (zh) 建筑施工挖沟机
CN212077958U (zh) 一种基坑支护老旧锚索或锚杆回收装置
KR20010070900A (ko) 토목공사용 매설관 추진삽입장치
JP3568844B2 (ja) 掘削機及び埋設管
RU2338111C1 (ru)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й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JPH1163299A (ja) 多条管の施工方法および多条管
JP2005076357A (ja) 埋設管の取替え方法及び埋設管取替え用のカッター装置
KR20050094155A (ko)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장치
JP2969371B2 (ja) 函型トンネル掘削工法及び掘削装置
JPH0490000A (ja) 大断面トンネルの施工方法及び地盤固化柱造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