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886A -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 Google Patents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886A
KR20220153886A KR1020210061452A KR20210061452A KR20220153886A KR 20220153886 A KR20220153886 A KR 20220153886A KR 1020210061452 A KR1020210061452 A KR 1020210061452A KR 20210061452 A KR20210061452 A KR 20210061452A KR 20220153886 A KR20220153886 A KR 2022015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saw
fixed
rotation
c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Priority to KR102021006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886A/ko
Publication of KR2022015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유도부재에 결합되어 상하이동은 물론 파형을 그리면서 360°회전하는 원반형상의 가동체의 상부에 “ㄱ”형상으로 절곡된 4개의 시소보를 이용하여 2개가 한쌍을 이루는 “+”형으로 조립하여 외측단부에 지면과 면접촉되는 바퀴를 부가한 시트와 손잡이를 설치하여 2명 또는 4명이 동시에 이용할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줄수있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연질의 패드가 수직선상으로 결합된 패드체결링을 연결편에 의해 고정판과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고정된 고정축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체와, 이 구체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보울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정합홈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회전유도부재와;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구체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및 360°회전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가동체에서 상부로 돌출고정된 고정지주의 상면에 “+”형태로 조립되는 시소보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고 전측에 손잡이가 부가된 시트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Seesaw capable of 360° rotation with up and down movements}
본 발명은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유도부재에 결합되어 상하이동은 물론 파형을 그리면서 360°회전하는 원반형상의 가동체의 상부에 “ㄱ”형상으로 절곡된 4개의 시소보를 이용하여 2개가 한쌍을 이루는 “+”형으로 조립하여 외측단부에 지면과 면접촉되는 바퀴를 부가한 시트와 손잡이를 설치하여 2명 또는 4명이 동시에 이용할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줄수있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주택가의 놀이터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시소는 대부분 상,하이동 기능만을 갖는 획일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개량하여 시트의 하부에 타이어와 같은 쿠션부재를 더 부가하여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시소보의 중앙에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이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시소보가 상,하로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변경으로도 기존의 시소가 가지고 있는 상하작동의 기능에서 벗어날 수 없는 극히 제한적인 기능을 변형한 것에 머물고 있어 어린이들이 흥미를 잃고 이의 사용을 피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인 것이다.
.참고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7377호 .참고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265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 즉 시소가 가지고 있는 상,하이동에 의한 단조로움에 더하여 상하이동은 몰론 파형을 그리며 360°회전 가능토록함과 아울러 2명 또는 4명이 동시에 이용이 가능한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연질의 패드가 수직선상으로 결합된 패드체결링을 연결편에 의해 고정판과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고정된 고정축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체와, 이 구체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보울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정합홈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회전유도부재와;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구체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및 360°회전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가동체에서 상부로 돌출고정된 고정지주의 상면에 “+”형태로 조립되는 시소보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고 전측에 손잡이가 부가된 시트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고정축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체와,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보울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정합홈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체의 상면을 감싸는 캡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캡의 내측하부는 고정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간부를 확보하여 가동부재의 상,하작동과 파형을 이루며 360°회전되도록 10°의 경사각을 유지토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는 원반형으로 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캡이 결합되는 정합홈과, 상면에는 시소보를 안치하기 위한 하부캡이 배설된 4개의 고정지주와; 상기 보울의 상부외주연에는 이용자가 앉을수 있도록 3개의 파이프링이 부설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구체와 캡의 재질은 신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명 또는 네명이 동시에 시소보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시트에 앉아 상,하이동과 상,하이동하면서 파형을 그리며 360°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흥미와 재미를 가일층 높일수 있는 신개념의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유도부재와 가동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 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동유도부재와 가동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구성은 지면에 고정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는 회전유도부재(15)와, 이 회전유도부재(15)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및 360°회전하는 가동부재(25)와, 상기 가동부재(25)에 일체로 조립되는 시소보(30)와, 저면에 바퀴(39)가 장착되어 상기 시소보(30)의 외측단부에는 저면에 바퀴(39)가 장착되고 전측에 손잡이(42)가 부가된 시트부재(4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0)는 시소를 지면에 요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공(8)에 볼트(8a)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과, 연결편(3)을 이용하여 고정판(1)과 일체로 설치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연질의 패드(6)를 결합하여 이용자의 발이나 손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패드체결링(2)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가동부재(25)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유도부재(20)는 베이스 부재(10)를 구성하는 고정판(1)의 상면중앙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12)이 설치되고, 이 고정축(12)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선부(12a)에는 구체(14)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암나선부(14a)와 나사결합하여 결합되는 구체(14)와, 보울(21)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정합홈(21b)에 결합되는 캡(18)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체(14)는 일종의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후술하는 캡(18)의 내측에 정합되어 가동부재(25)의 상,하이동 및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25)를 구성하는 보울(21)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결합되는 캡(18)은 내측에 삽입되는 구체(14)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으로서, 고정축(12)과 캡(18)과의 사이에 일정폭의 공간부(S)가 확보되어 있어, 이 공간부(S)에 의해 보울(21)이 10°정도 상,하로 이동과 좌,우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부재(20)를 구성하는 구체(14)의 외표면에는 결합되어 상,하이동 및 좌,우로 회전되는 가동부재(25)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저면의 중앙에 캡(18)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정합홈(21b)이 형성된 보울(21)과, 상기 보울(21)의 상부 외주연에 일체로 부가되어 이용자들이 앉을수 있도록 3개의 파이프링(22)이 지지대(22a)에 의해 보울(21)에 일체로 결합된 것이다.
상기 원반형상의 보울(21)은 상,하 및 좌,우로 회전되면서 저면이 지면에 닿아 스토퍼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상면의 중공부에는 커버(21a)를 쒸운 후에 외표면을 우레탄(23)을 일정두께로 도포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올(21)에는 상단부에 시소보(30)의 저면을 협지하는 하부캡(31)이 일체로 부가된 4개의 고정지주(32)가 고정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캡(31)에 “+”형태로 안착되는 시소보(3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중공부를 갖는 4개의 스테이레스 파이프를 “ㄱ”형상으로 절곡하여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상기 고정지주(32)의 상부에 부가된 하부캡(31)에 안착시킨 다음에 시소보(30)의 상면에 상부캡(35)을 결합한 다음에 하부캡(31)을 관통하여 상부캡(32)에 결합되는 볼트를 체결하여 요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소보(30)의 외측단부에 장착되는 시트부재(40)는 시트(36)와 손잡이(42)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시트(36)는 시소보(30)의 외측단부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부에 별도로 마련된 하부클립(36)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하부클립(37)을 관통하여 시트(36)에 체결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36)를 고정하는 하부클립(37)에는 내측에 횡방향으로 바퀴(39)가 장착된 고정편(38)을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바퀴(39)는 시소보(30)가 하강시에 지면과 면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할뿐만이 아니라 원주상으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36)의 전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42)가 설치된 동물모양의 조형물(45)이 더 부가하여 사용자가 시트(40)에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42)를 파지하므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2명은 물론 4명이 동시에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시트(36)에 앉은 상태에서는 시소보(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시트(36)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바퀴(39)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소보(30)가 어느 일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보울(21)의 일측은 지면을 향해 기울여지고 이와 대응하는 다른 쪽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교호로 반복하면서 시소의 고유기능인 상,하이동 행하게 되고 또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어느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시소보(30)가 파형을 그리면서 회전하므로서 흥미를 가일층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동시에 4명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팀이 상,하작용을 교호를 반복해서 행할수 있음은 물론 회전하면서 상,하작용과 파형을 그리면서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미를 극대화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가동부재(25)를 구성하는 보울(21)의 외측연부에 부가되어 있는 링형태의 파이프링(22)에는 또 다른 여러사람이 앉을수 있기 때문에 다수인이 동시에 시소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 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1 : 고정판 2 : 패드체결링 6 : 패드
10 : 베이스 부재 12 : 고정축 14 : 구체
18 : 캡 20 : 회전유도부재 21a : 정합홈
21 : 보울 22 : 파이프링 25 : 가동부재
30 : 시소보 32 : 고정지주 35 : 상부커버
39 : 바퀴 40 :시트부재

Claims (4)

  1. 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연질의 패드가 수직선상으로 결합된 패드체결링을 연결편에 의해 고정판과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고정된 고정축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체와, 이 구체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보울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정합홈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회전유도부재와;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구체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및 360°회전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가동체에서 상부로 돌출고정된 고정지주의 상면에 “+”형태로 조립되는 시소보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고 전측에 손잡이가 부가된 시트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고정축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체와,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보울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정합홈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체의 상면을 감싸는 캡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캡의 내측하부는 고정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간부를 확보하여 가동부재의 상,하작동과 파형을 이루며 360°회전되도록 10°의 경사각을 유지토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원반형으로 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캡이 결합되는 정합홈과, 상면에는 시소보를 안치하기 위한 하부캡이 배설된 4개의 고정지주와; 상기 보울의 상부외주연에는 이용자가 앉을수 있도록 3개의 파이프링이 부설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구성하는 구체와 캡의 재질은 신주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KR1020210061452A 2021-05-12 2021-05-12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KR20220153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452A KR20220153886A (ko) 2021-05-12 2021-05-12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452A KR20220153886A (ko) 2021-05-12 2021-05-12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86A true KR20220153886A (ko) 2022-11-21

Family

ID=8423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52A KR20220153886A (ko) 2021-05-12 2021-05-12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8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77B1 (ko) 2010-02-02 2012-05-22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
KR101192655B1 (ko) 2010-02-19 2012-10-19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77B1 (ko) 2010-02-02 2012-05-22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
KR101192655B1 (ko) 2010-02-19 2012-10-19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12169A (ja) 運動娯楽用小児受入れ座席装置
US2878858A (en) Bowl shaped play thing
US4037833A (en) Riding toy for children
US4351521A (en) Riding toy for children with spring support base
KR101731796B1 (ko) 팔 다리 복합 운동이 가능한 놀이터 적용 안전 유희 구조물
KR20220153886A (ko) 상,하이동과 360°회전이 가능한 시소
US5366430A (en) Twist disc
US3179409A (en) Elastic amusement toy
US6533672B1 (en) Rotatable and pivotable amusement apparatus
US1769199A (en) Playground device
US6379256B1 (en) Rotatable and pivotable amusement apparatus
US3995852A (en) Teeter board device
US3439914A (en) Inclined carrousel propelled by weight-shifting of occupants to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KR101227704B1 (ko) 유산소근력강화기구
GB2144646A (en) Exercising apparatus
US3840226A (en) Wild double combination see-saw and merry-o-round apparatus
US4875672A (en) Swing board toy
KR20120038636A (ko) 신체재활기구
IL130096A (en) Training device assembly for group exercises, games and team contests
KR20200107570A (ko) 기능성이 개선된 유희용 시소
KR101109502B1 (ko) 시소장치
CN220237736U (zh) 一种可旋转跷跷板固定式游乐设备
KR200443232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KR20120038856A (ko) 유산소운동구
KR200273649Y1 (ko) 어린이용 승좌형 놀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