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848A -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 Google Patents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848A
KR20220153848A KR1020210061339A KR20210061339A KR20220153848A KR 20220153848 A KR20220153848 A KR 20220153848A KR 1020210061339 A KR1020210061339 A KR 1020210061339A KR 20210061339 A KR20210061339 A KR 20210061339A KR 20220153848 A KR20220153848 A KR 2022015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vacuum
storage unit
stor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주
Original Assignee
오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진주 filed Critical 오진주
Priority to KR102021006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848A/ko
Publication of KR2022015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진공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곡물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진공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배출부와 연통된 곡물배출구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곡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고, 제1진공수단, 제2진공수단 등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는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의 내부 압력이 독립적으로 조절되므로 곡물의 보관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Automatic feeding machine that maintains a vacuum inside the tank when discharging feed}
본 발명은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각각에 진공상태를 유지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고 곡물 저장 효과가 뛰어난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등의 곡물은 건조된 상태로 유통되어 장기간 보관하면서 섭취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족 구성원 수가 점차 감소되어 소량의 곡물을 구매하더라도 오랜 기간 보관을 하게 되고 곡물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이 유통됨에 따라 곡물의 보관 기간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곡물의 보관은 곡물의 품질, 신선도, 조직이나 영양분의 측면에서 최대한 손실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쌀의 경우 실온보관의 경우 쌀의 지방이 산화되어 냄새가 나고 수분이 감소하여 푸석해지며 쌀벌레 등이 번식할 수 있고, 냉장보관의 경우 쌀이 얼거나 녹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슬과 결빙이 발생되고 쌀의 영양분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곡물 보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776호에는 진공 상태에서 쌀을 보관하는 진공쌀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쌀저장실을 구성하는 저장통, 인출부, 인출부를 개폐시키는 도어, 쌀저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 도어의 개방 시 쌀저장실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수단 등을 포함하며, 쌀저장실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쌀을 저장하고, 진공해제수단을 통해 진공상태를 해제한 후 도어를 통해 쌀을 외부로 꺼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쌀저장실의 진공상태가 쌀을 외부로 꺼낼 때마다 해제되어 에너지 손실이 크고 내부에 저장된 쌀이 산소와 접촉되어 쌀의 품질과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776호(등록일:2009.02.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0867호(등록일:2012.06.01.)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상태에서 저장된 곡물의 일부를 외부로 반출시키더라도 곡물의 품질과 맛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곡물 저장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독립적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전체 곡물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곡물의 일부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곡물 저장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저장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진공수단,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저장부와 연통된 곡물유입구,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저장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부, 배출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배출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진공수단,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배출부와 연통된 곡물배출구 및 저장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곡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송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제1진공수단 및 제2진공수단과 각각 연결되며 저장부 및 배출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저장부로 유입시켜 저장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1개폐구 및 하우징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배출부로 유입시켜 배출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2개폐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연결되며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열전소자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열전소자와 연결되며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제1곡물저장소, 제2곡물저장소 및 진공조절부를 포함하고, 진공조절부는 제1진공수단과 연결되고, 제1곡물저장소 및 제2곡물저장소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독립적으로 진공 상태를 유지 가능한 저장부와 배출부를 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곡물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부로 이동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전체 곡물의 풍미와 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중진공기능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 에너지 손실이 절감된다.
또한, 저장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다양한 곡물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저장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진공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라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저장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00), 상기 저장부(2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200)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진공수단(201),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저장부(200)와 연통된 곡물유입구(11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2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부(300), 상기 배출부(3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300)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진공수단(301),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배출부(300)와 연통된 곡물배출구(120) 및 상기 저장부(200)와 상기 배출부(3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곡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송라인(4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저장부(200), 배출부(300) 등이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곡물 등을 수용시킨다. 상기 저장부(200)는 원통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곡물을 수용시키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의 하부는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상부보다 하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저장부(200)는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었을 때 상기 곡물을 특정 위치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제1진공수단(20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진공수단(201)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진공수단(201)은 상기 저장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저장부(20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진공조절부(2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00)에는 칸막이(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2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240)에 의해 상기 저장부(200)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칸막이(24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저장부(200)는 제1곡물저장소(210), 제2곡물저장소(220) 및 제1진공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칸막이(24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 제2곡물저장소(220) 이외에도 제3곡물저장소, 제4곡물저장소 등 다수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와 제2곡물저장소(220)의 사이에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는 상기 제1진공수단(201)과 연결되며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 및 제2곡물저장소(220)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진공수단(201)에 의해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에 상대적으로 저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와 제2곡물저장소(220)도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와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 및 상기 제2곡물저장소(220)와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를 구획하는 칸막이(2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메쉬(mesh)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칸막이(240)의 일부 또는 전부에 메쉬형상의 망(2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 형상은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 및 제2곡물저장소(220)에 수용되는 곡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2곡물저장소(220)는 3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3개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240)는 각각 메쉬 형상을 갖거나 메쉬망(2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획되는 제1곡물저장소(210) 및 제2곡물저장소(220)에는 각각 백미, 잡곡, 콩 등의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이 수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 및 제2곡물저장소(220)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제1진공수단(20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진공수단(201)은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부터 곡물 저장 기구의 소형화가 용이하며 컴팩트한 구조로 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부(200)로 유입시켜 상기 저장부(200)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1개폐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구(25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개폐구(250)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저장부(200)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 공기를 상기 저장부(200)로 유입시켜 상기 저장부(200)의 진공을 해제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개폐구(25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동축(251), 상기 구동축(251)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스프링(252), 상기 구동축(251)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51)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구동캡(253), 상기 구동축(251)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동버튼(2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구동축(251)이 관통되는 관통홀(255)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00)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접하는 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55)은 상기 구동축(251)에 감긴 스프링(252)의 탄성으로 상기 구동캡(253)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축(251)이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캡(253)이 상기 관통홀(255)과 이격되고, 상기 관통홀(255)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부(200)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제1개폐구(25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개폐구(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별도의 모터와 기어 등이 연결되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개폐구(250)는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 또는 저장부(200)에는 상기 제1개폐구(2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화필터는 헤파(HEPA)필터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곡물이 수용되는 제1곡물저장소(210)나 제2곡물저장소(220)가 직접적으로 외부 공기와 맞닿지 않고, 본 발명인 곡물 저장 기구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물유입구(110)는 상기 하우징(100)과 저장부(200)의 일측을 개폐시키며, 상기 곡물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저장부(200)의 내부로 곡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곡물유입구(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힌지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곡물유입구(110)는 상기 하우징(100) 및 저장부(200)를 폐쇄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전은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별도의 모터와 기어, 유압 시스템 등을 구성하여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상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00)에 연결되며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열전소자(260)(thermoel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소자(260)는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60)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전류량에 따라 흡열 및 발열량이 조절된다.
상기 열전소자(260)는 저장부(200)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의 보관 온도는 곡물마다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소자(260)를 이용하여 곡물의 최적 저장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저장부(20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상기 열전소자(260)는 상기 저장부(200)의 방향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에 각각 설치된 2종류의 금속 또는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00)에서 흡열 작용을 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발열 작용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상기 열전소자(260)의 발열을 보조하기 위하여 별도의 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펜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벽에 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공조절부(230)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60)는 상기 저장부(200)의 제1곡물저장소(210) 및 제2곡물저장소(2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수용되는 곡물에 따라 설정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상기 저장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배출부(300)는 내부에 곡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300)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출부(300)에는 제2진공수단(30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300)의 내부는 상기 제2진공수단(301)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진공수단(301)은 상술한 제1진공수단(201)에 대응되는 구조, 구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300)에는 칸막이(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2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240)에 의해 상기 배출부(300)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저장부(200)의 공간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00)가 제1곡물저장소(210), 제2곡물저장소(220) 및 제1진공조절부(230)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와 대응되는 제1곡물배출소(310), 상기 제2곡물저장소(220)와 대응되는 제2곡물배출소(320) 및 상기 제2진공수단(301)과 연결되는 제2진공조절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곡물배출소(310)는 상기 제1곡물저장소(2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곡물배출소(320)는 상기 제2곡물저장소(22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진공조절부(330)와 제1 및 제2곡물배출소(320)는 각각 메쉬 형상을 갖도록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진공조절부(33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곡물배출소(320)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진공조절부(33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제2진공수단(301)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부(300)로 유입시켜 상기 배출부(300)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2개폐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구(350)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배출부(300)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배출부(300)로 유입시켜 상기 배출부(300)의 진공을 해제시킨다.
상기 제2개폐구(350)의 구성, 구조, 기능은 상기 제1개폐구(250)의 구성, 구조,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개폐구(350)는 구동축(251), 스프링(252), 구동캡(253), 구동버튼(25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개폐구(350)는 상기 제2진공조절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300) 또는 하우징(100)에는 정화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물배출구(120)는 상기 하우징(100)과 배출부(300)의 일측을 개폐시키며, 상기 곡물배출구(120)를 통해 상기 배출부(30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곡물배출구(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 및 배출부(300)를 폐쇄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 일측에 힌지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곡물배출구(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0)과 배출부(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부(30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곡물배출구(120)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00)과 배출부(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곡물배출구(1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과 배출부(30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 가능하다면 그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라인(40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송라인(400)은 상기 저장부(200)와 상기 배출부(300)를 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의 상기 배출부(300)로의 이동을 조절한다.
상기 이송라인(40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라인(400)은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00)나 배출부(300)에 칸막이(240)가 구비되어 각각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상기 이송라인(400)은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라인(400)은 상기 곡물의 이동을 조절 가능한 밸브(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410)는 상기 저장부(200)와 배출부(300)의 내부 진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410)는 게이트밸브(gate valve)일 수 있으며, 모터나 유압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라인(400)을 차단하는 차폐판을 통해 곡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밸브(410)는 유압에 따라 작동하는 로드락 실린더(load lock cyl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410)를 구동시키는 유압 시스템이나 모터 등은 상기 저장부(200)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1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압 시스템이나 모터 등의 작동은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500)는 상기 제1진공수단(201) 및 상기 제2진공수단(301)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200) 및 상기 배출부(3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가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진공수단(201) 및 제2진공수단(30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장부(200) 및 상기 배출부(300)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진공수단(201)과 제2진공수단(301)을 독립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저장부(200)와 상기 배출부(300)의 내부 압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진공수단(301)을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300)의 압력을 상기 저장부(200)와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200)에 곡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진공수단(201)과 제2진공수단(301)을 가동시켜 상기 저장부(200)와 배출부(3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데,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의 일부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제1진공수단(201)과 제2진공수단(301)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200)와 상기 배출부(300)의 압력을 동일하도록 조절한다. 이후, 상기 이송라인(400)을 따라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의 일부가 상기 배출부(300)로 이동한 경우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제2개 폐구(35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대기압 수준으로 압력이 높아지고, 사용자는 상기 배출부(300)에 수용된 곡물을 외부로 반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00)를 통해 압력이 제어되는 본 발명에서는 저장부(200)의 진공 상태의 해제 없이 곡물을 반출시키므로 산소와 곡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외부 물질이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방지되어 곡물의 보관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저장부(200)와 배출부(300)의 진공 상태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상기 저장부(200)의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배출부(300)는 곡물의 반출 시에만 진공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더욱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개폐구(250) 또는 제2개폐구(350)와 연결되며 상기 제1개 폐구(250) 또는 제2개폐구(3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이송라인(400)에 구비된 밸브(410)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410)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잇다. 이 경우 상기 곡물의 반출 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출부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저장부(200)의 내부 압력과 동일하게 조절하고, 상기 이송라인(400)에 구비된 밸브(410)를 개방시켜 설정된 양의 곡물을 상기 저장부(200)에서 상기 배출부(300)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라인(400)에 구비된 밸브(410)를 폐쇄시킨 후 상기 제2개폐구(3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배출부(300)의 압력을 대기압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저장부(200)로 곡물의 유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개폐구(2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저장부(20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 수준으로 높이고 상기 곡물유입구(110)를 통한 곡물의 유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진공수단(201)을 작동시켜 상기 저장부(200)의 내부를 다시 진공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메커니즘을 갖는 본 발명에서는 제1진공수단(201), 제1개폐구(250), 제2진공수단(301), 제2개폐구(350), 이송라인(400)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수용되는 곡물의 품질을 유지하기 용이하며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열전소자(2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0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나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소자(260)의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저장부(200)의 온도나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00)에 쌀이 저장되는 경우 쌀은 섭씨 10 내지 14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품질 면에서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열전소자(260)의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저장부(200)의 온도를 섭씨 13도 정도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이중진공기능을 이용하여 곡물의 일부를 배출하는 경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곡물의 진공상태가 유지되므로 우수한 보관 상태를 유지하면서 곡물을 저장시킬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배출부(300)의 진공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부(200)나 배출부(300)가 칸막이(24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열전소자(260)를 이용하여 곡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면서 곡물을 보관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곡물유입구
120 : 곡물배출구
200 : 저장부 201 : 제1진공수단
210 : 제1곡물저장소 220 : 제2곡물저장소
230 : 제1진공조절부 240 : 칸막이
241 : 메쉬망 250 : 제1개폐구
251 : 구동축 252 : 스프링
253 : 구동캡 254 : 구동버튼
255 : 관통홀 256 : 미세홀
260 : 열전소자
300 : 배출부 301 : 제2진공수단
310 : 제1곡물배출소 320 : 제2곡물배출소
330 : 제2진공조절부 350 : 제2개폐구
400 : 이송라인 410 : 밸브
500 : 제어부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진공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곡물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진공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배출부와 연통된 곡물배출구;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곡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송라인;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켜 상기 저장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1개폐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유입시켜 상기 배출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제2개폐구;
    상기 제1진공수단 및 상기 제2진공수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배출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라인에 구비된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되,
    상기 곡물의 반출 시 상기 배출부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저장부의 내부 압력과 동일하게 조절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설정된 양의 곡물을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밸브를 폐쇄시켜 상기 저장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및 배출부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구 및 제2개폐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스프링;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구동캡; 및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상기 구동캡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구동축이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캡과 이격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열전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제1곡물저장소, 제2곡물저장소 및 진공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조절부는 상기 제1진공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곡물저장소 및 제2곡물저장소와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KR1020210061339A 2021-05-12 2021-05-12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KR20220153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39A KR20220153848A (ko) 2021-05-12 2021-05-12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39A KR20220153848A (ko) 2021-05-12 2021-05-12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48A true KR20220153848A (ko) 2022-11-21

Family

ID=8423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339A KR20220153848A (ko) 2021-05-12 2021-05-12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8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6B1 (ko)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KR200460867Y1 (ko) 2011-10-18 2012-06-13 이행우 진공 쌀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6B1 (ko)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KR200460867Y1 (ko) 2011-10-18 2012-06-13 이행우 진공 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973B1 (ko) 이중진공기능을 갖는 곡물 저장 기구
US5997617A (en) Pressure swing absorption system with multi-chamber canister
CN105486020B (zh) 用于冰箱的储物装置及冰箱
US20090165494A1 (e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in an appliance
KR830010362A (ko) 탄산 액체를 위한 장치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CN101460798B (zh) 冰箱
KR20220153848A (ko) 사료 배출시 탱크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는 자동급식기
KR20120021916A (ko) 진공기능이 구비된 식재료 저장장치
US9242195B2 (en) Water filter with features for reduced spilling
CN109220961B (zh) 一种底部过滤式落地鱼缸
CN108721917B (zh) 干冰烟雾机
US1059119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0279254Y1 (ko) 쌀통
CN106580150B (zh) 定量分配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20070028911A (ko) 냉장고
JP3159081B2 (ja) 低温貯蔵庫
KR200195601Y1 (ko) 정온 저장쌀통
TWM551824U (zh) 寵物自動餵食機
EP4067785B1 (en) Refrigerator appliance
KR20090006505U (ko) 냉장고
KR200217250Y1 (ko) 쌀통
JPH0524271Y2 (ko)
KR200181931Y1 (ko) 쌀통이 구비된 김치 냉장고
KR200313073Y1 (ko) 쌀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