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87A -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87A
KR20220153487A KR1020220046137A KR20220046137A KR20220153487A KR 20220153487 A KR20220153487 A KR 20220153487A KR 1020220046137 A KR1020220046137 A KR 1020220046137A KR 20220046137 A KR20220046137 A KR 20220046137A KR 20220153487 A KR20220153487 A KR 2022015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vehicle
zon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라우제 막자우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6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in or below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60J9/04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내의 공기 위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차량에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시스템은 차량 점유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일부로부터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격리하는 에어 커튼을 포함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통풍구 및 에어 필터를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AIR SANITATION SYSTEM FOR VEHICLE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공기 위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탑승자 간에 공유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공기 위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여러 탑승자를 태울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는 다른 탑승자에게 전염될 수 있는 공기 중 질병을 보유할 수 있다. 일부 탑승자는 차량의 공기 중에 순환하는 박테리아나 먼지에 민감할 수 있다. 다른 탑승자는 탑승자 또는 동물이 운반하는 냄새나 향수에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를 건강하고 편안하게 유지하기 위해 차량 내 공기 위생이 필요할 수 있다.
개발된 차량은 차량 내부의 순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오염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에서 위생 처리가 이루어지기 전에 차량 내부를 순환해야 하며 잠재적으로 차량 내부의 탑승자를 오염시킬 수 있다. 더 우려되는 점은 탑승자 수가 단일 차량 이동 중에 변경되어 잠재적으로 미래 차량 탑승자와 과거 차량 탑승자를 교차 오염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서 개선된 공기 위생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 간의 공유 공기량을 최소화하는 차량용 위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차량에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시스템은 차량 점유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일부로부터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격리하는 에어 커튼을 포함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통풍구 및 에어 필터를 또한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하기 특징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실행 가능한 조합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되고, 에어 커튼은 공기를 하향으로 송풍하고 에어 커튼의 베이스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층류 에어 커튼이다. 상기 에어 커튼 구역은 추가 에어 커튼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상이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변형에서,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과 상관되는 통풍구에 위치되고,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고 공기를 탈이온화한다. 일부 변형에서, 통풍구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격리하도록 에어 커튼을 작동하는 단계와,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는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살균된다. 일부 변형에서,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에 통합하기 위해 에어 커튼을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변형에서,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 통합하기 전에 살균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채널 및 에어 포집 통풍구를 더 포함하고, 에어 포집 통풍구 및 채널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나머지 부분 내의 공기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에서, 상기 차량 점유의 변화는 도어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새로운 탑승 알림, 내비게이션 경로 종료, 및 도어 잠금 해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변형에서, 차량 점유는 차량 좌석의 압력 센서, 도어 센서, 카메라, 또는 승차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 주제의 구현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과 일치하는 방법 및 하나 이상의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 등)가 하나 이상의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동작을 초래하도록 유형으로 구현된 기계 판독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또한 설명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 인코딩, 저장 등을 할 수 있다. 현재 주제의 하나 이상의 구현과 일치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은 단일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중 컴퓨팅 시스템에 상주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변형의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주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현재 개시된 주제의 특정 특징이 예시 목적으로 설명되지만, 그러한 특징이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을 따르는 청구 범위는 보호 대상의 범위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차량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하게 생성된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에너지 수요 균형을 유지하면서 모든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이 에어 커튼 및 개인용 공기 소용돌이를 포함하는 다중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2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2명의 탑승자가 있는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3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3명의 탑승자가 있는 차량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차량이 탑승자를 추가함에 따른 에어 커튼 구역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차량에서 탑승자가 감소함에 따른 에어 커튼 구역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에어 커튼 구역의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차량 내 탑승자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차량의 천장에서 차량의 바닥으로의 소용돌이 형성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통풍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차량의 바닥에서 차량의 천장으로의 소용돌이 형성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통풍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대응하는 송풍기 및 공기 포집 통풍구가 있는 에어 커튼 구역 지도의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탑승자가 에어 커튼 구역 중 하나에 팔다리를 넣은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에어 커튼 구역이 불량인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탑승자 수 및 상황에 따른 차량의 공조 부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의 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탑승자 수 및 상황에 따른 차량의 공조 부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과 일치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차량" 또는 "차량의"라는 용어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차를 포함하는 승용차, 다양한 보트 및 배를 포함하는 선박, 항공기 등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수소 동력 차량 및 기타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 이외의 자원에서 얻어지는 연료)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은 2개 이상의 동력원, 예를 들어 가솔린 동력 차량 및 전기 동력 차량 모두를 갖는 차량이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시적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예시적인 절차는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제어기/제어 유닛이라는 용어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메모리는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어 로직은 프로세서, 제어기/제어 유닛 등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롬(ROM), 램(RAM), 콤팩트 디스크(CD) 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스마트 카드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들에 결합된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분산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텔레매틱스 서버나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등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더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되고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이라는 용어는 관련 기술에서 통상적인 공차 범위 내, 예를 들어 평균의 2 표준 편차 내로 이해된다. "약"은 언급된 값의 10%, 9%, 8%, 7%, 6%, 5%, 4%, 3%, 2%, 1%, 0.5%, 0.1%, 0.05% 또는 0.01% 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문맥으로부터 달리 명백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모든 수치 값들은 용어 "약"에 의해 수정된다.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 점유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점유의 변경은 에어 커튼 구역의 생성 또는 제거를 시작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에어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 커튼 구역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지 않는다. 에어 커튼 구역은 또한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통풍구 및 에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튼은 공기를 아래쪽으로 송풍하는 층류 에어 커튼일 수 있다. 에어 커튼의 바닥에서 공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공기 격리를 유지하기 위해 흡입될 수 있다. 에어 커튼의 바닥은 차량의 좌석, 차량의 바닥, 또는 차량의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 커튼은 차량의 좌석들을 에어 커튼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뒷좌석 사이의 에어 커튼은 차량을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운전석과 뒷좌석 사이의 에어 커튼은 차량을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운전석 뒤의 에어 커튼과 운전석 오른쪽의 에어 커튼은 차량을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통풍구의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에어 필터는 미생물, 먼지 입자를 제거하고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탈이온화할 수 있다. 통풍구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에서 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에어 포집 통풍구 및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포집 통풍구와 채널은 다른 공기 포집 통풍구 및 채널과 격리되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의 공기와 분리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 커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다른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에어 커튼이 작동되면,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공기는 에어 커튼 구역에서 살균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의 생성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은 다른 에어 커튼 구역과 통합될 수 있다.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통합하기 전에,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공기가 살균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 시스템, 장치 및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차량 점유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한다. 다양한 실시 예는 또한 탑승자가 에어 커튼 구역을 가로지를 때 에어 커튼 구역을 살균하거나 에어 커튼 구역이 기능 장애인 경우 탑승자에게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한다.
도 1은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이 에어 커튼 및 개인용 공기 소용돌이를 포함하는 다중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차량은 프로세서, 메모리, 공조 시스템, 중앙 공기 청정기, 에어 커튼, 송풍기, 공기 통풍구 및 공기 포획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공조 시스템, 중앙 공기 청정기, 에어 커튼, 송풍기, 공기 통풍구, 및 공기 포획 통풍구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어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또는 차량 좌석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새로운 승차 요청, 새로운 탑승자 픽업, 또는 내비게이션 경로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판독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새로운 승차 요청, 새로운 탑승자 픽업, 또는 내비게이션 경로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승차 공유 앱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어 센서, 차량 좌석, 압력 센서, 카메라, 새로운 승차 알림, 내비게이션 경로 종료, 또는 도어 잠금 해제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에 의해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차량 좌석의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차량 좌석, 도어 센서, 카메라, 또는 승차 알림을 기반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수 및 그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두 명의 탑승자가 다음 정류장에서 내려야 함을 나타내는 승차 공유 앱에 기초하여 차량의 탑승자 수를 추적할 수 있다.
제어기는 차량 점유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의 수는 차량 탑승자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기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여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에어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튼은 공기를 아래쪽으로 송풍하는 층류 에어 커튼일 수 있다.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공기 격리를 유지하기 위해 에어 커튼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의 하단 부분은 에어 커튼의 상단 부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커튼의 상단 부분은 차량 천장에 있고 에어 커튼의 하단 부분은 차량 좌석, 차량 바닥 또는 차량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송풍기 및 공기 포획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공조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송풍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는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에어 통풍구를 통해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공기 통풍구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차량 내 송풍기 및 공기 통풍구의 수는 차량 내의 잠재적인 에어 커튼 구역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는 공기 포집 통풍구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에어 포집 통풍구는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에어 포집 통풍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차량의 공기 포집 통풍구의 수는 차량의 에어 커튼 구역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차량은 중앙 공기 청정기 및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모듈형 공기 청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공기 통풍구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 필터는 미생물, 먼지 입자를 제거하고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탈이온화할 수 있다. 차량은 또한 개별화된 채널을 통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포획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포획 통풍구와 채널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의 공기와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격리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면,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통풍구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과 통합하기 위해 에어 커튼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통합하기 전에,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의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통풍구를 활성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커튼은 조수석에서 운전석을, 뒷줄 좌측 좌석에서 운전석을, 뒷줄 우측 좌석에서 조수석을, 뒷줄 우측 좌석에서 뒷줄 좌측 좌석을 분할할 수 있다. 에어 커튼은 차량의 각 도어 개구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5도어 차량의 경우, 에어 커튼은 뒷줄 좌측 좌석과 뒷줄 우측 좌석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차량 내의 각 좌석은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성된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소용돌이 기류는 특정 승객에게 국소 공기를 집중시키고 구역 전체에서 공기 혼합을 줄인다.
도 2a는 2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2명의 탑승자가 있는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에어 커튼 구역의 수는 차량 탑승자 수와 일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에어 커튼 구역은 운전석에 대응하는 공기 공간일 수 있고 다른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운전석 공간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은 운전석 뒤의 에어 커튼과 운전석 측면의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석 공간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은 운전석 뒤의 에어 커튼과 조수석 뒤의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두 에어 커튼 구역의 공기는 서로 격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b는 3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갖는 3명의 탑승자가 있는 차량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에어 커튼 구역의 수는 차량 탑승자 수와 일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에어 커튼 구역은 운전석 주위의 공간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에어 커튼 구역은 뒷줄 좌측 좌석 주위의 공간에 대응할 수 있고, 다른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운전석 공간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은 운전석 뒤의 에어 커튼과 운전석 측면의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뒷줄 좌측 좌석의 공간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은 뒷줄 좌측 좌석 측면으로 에어 커튼을 더 활성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도 3a는 차량이 탑승자를 추가함에 따른 에어 커튼 구역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탑승자가 차량에 있을 수 있고, 하나는 운전석에, 다른 하나는 뒷줄 좌측 좌석에 있다. 제3탑승자는 후방 우측 도어를 통해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탑승자가 승차하는 상황에서, 제어기는 제3탑승자를 수용하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다른 에어 커튼 구역 사이의 공기를 격리하도록 뒷좌석을 분할하는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을 활성화한 후로 제3탑승자가 도착하기 전에, 새로 생성된 에어 커튼 구역의 공기는 오염된 공기를 공기 청정기로 밀어내기 위해 고속 공기 소용돌이를 사용하여 살균될 수 있다. 제3탑승자가 살균을 거쳐 입장함에 따라, 도어가 열려 있는 동안 탑승자가 출입하는 도어의 에어 커튼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b는 차량에서 탑승자가 감소함에 따른 에어 커튼 구역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명의 탑승자가 차량에 존재할 수 있고, 하나는 운전석, 하나는 뒷줄 우측 좌석, 그리고 하나는 뒷줄 좌측 좌석에 있다. 탑승자는 후방 좌측 도어를 통해 차량에서 내릴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상황에서, 제어기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의 수를 최소화하도록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에 통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탑승자가 차량을 떠나면 공기 청정기로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도록 고속 소용돌이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를 살균한 후, 제어기는 뒷좌석을 분할하는 에어 커튼을 비활성화하여 두 개의 에어 커튼 구역을 함께 통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살균이 완료된 후 소용돌이 기류는 정상 속도일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탑승자가 나갈 때 탑승자가 나가는 도어에서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에어 커튼 구역의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차량 내 탑승자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탑승자가 차량에 있을 수 있고, 하나는 운전석에, 하나는 뒷줄 좌측 좌석에 있다. 두 번째 탑승자는 후방 좌측 도어를 통해 차량에서 내릴 수 있고, 세 번째 탑승자는 후방 좌측 도어를 통해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탑승자는 변경되었지만 총 탑승 인원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프로세서는 두 번째 탑승자가 차량을 떠나면 고속 소용돌이를 활성화하여 공기 청정기로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염된 공기에 들어오는 제3탑승자를 노출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살균 프로세스 동안 차량 도어를 잠그도록 작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공기를 살균한 후, 제어기는 차량이 깨끗하다는 것을 들어오는 제3탑승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조명, 가청 소리, 문자 메시지, 또는 기타 알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3탑승자가 들어가는 도어에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차량의 천장에서 차량의 바닥으로의 소용돌이 형성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통풍구의 예를 도시한다. 공조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온도에 비례하여 따뜻한 공기 또는 찬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은 공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은 차량 바닥에서 차량 천장으로 따뜻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시스템은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따뜻한 공기를 위쪽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면 오염된 공기를 공기 포집 통풍구로 포집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b는 차량의 바닥에서 차량의 천장으로 소용돌이 형성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통풍구의 예를 도시한다. 공조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온도에 비례하여 따뜻한 공기 또는 찬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은 공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용돌이 기류는 차량 천장에서 차량 바닥으로 찬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은 찬 공기가 아래로 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찬 공기를 아래로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면 공기 포집 통풍구로 오염된 공기의 유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대응하는 송풍기 및 공기 포집 통풍구가 있는 에어 커튼 구역 지도의 도면의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갖는 제어기는 상이한 에어 커튼 구역을 매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에어 커튼 구역의 매핑은 에어 커튼 구역 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 지도는 차량의 좌석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인승 차량은 에어 커튼 구역 지도에 4개의 에어 커튼 구역이 있을 것이다. 다른 예에서 5인승 차량은 에어 커튼 구역 지도에 5개의 에어 커튼 구역이 있을 것이다.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은 송풍기 및 공기 포집 통풍구에 해당할 수 있다. 각 송풍기와 공기 포집 통풍구는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기는 들어오는 탑승자에 기초하여 지도 상의 에어 커튼 구역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자가 탑승함에 따라 제어기는 탑승한 탑승자가 앉는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송풍기 및 공기 포획 통풍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기는 하차하는 탑승자를 기반으로 지도 상의 에어 커튼 구역을 통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림에 따라, 제어기는 탑승자가 떠난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송풍기 및 공기 포획 통풍구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수와 탑승에 사용할 수 있는 에어 커튼 구역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탑승자가 도착할 때 활성화할 에어 커튼 구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탑승자가 떠날 때 빈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에 통합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탑승자가 에어 커튼 구역 중 하나에 팔다리를 넣은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탑승자가 팔다리를 다른 에어 커튼 구역에 삽입하면 공기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 오염은 팔다리를 감지하고 탑승자에게 알리고 공기를 살균하여 해결할 수 있다.
센서는 탑승자가 에어 커튼 구역을 넘었는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카메라, 적외선, 에어 커튼 플로우 센서, 또는 모션 센서일 수 있다. 센서는 제어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어기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판독값을 분석하여 에어 커튼 구역 횡단의 길이 및 심각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팔꿈치가 2초 미만 동안 일시적으로 에어 커튼 구역을 가로지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판독값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오염의 강도가 낮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카메라는 탑승자의 머리가 10초 이상 동안 에어 커튼 구역을 가로지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판독값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오염의 강도가 높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염의 강도에 기초하여 공조 시스템 설정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염된 에어 커튼 구역에서 공기 포집 흡입 시스템의 증가된 강도로 공조 시스템 설정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염된 공기를 빠르게 청소하기 위해 증가된 공기 정화 시스템으로 공조 시스템 설정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공조 시스템 설정을 정상으로 복원하기 전에 공기 품질이 미리 설정된 공기 품질 임계값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기 품질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에어 커튼 구역이 불량인 차량의 예를 도시한다. 제어기는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에서 공기 품질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에어 커튼 구역의 공기 품질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기는 오작동하는 에어 커튼 구역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공조 시스템 설정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시스템 설정을 조정하여도 임계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이 오작동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커튼 구역의 오작동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모든 탑승자가 상기 에어 커튼 구역에서 나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는 조명, 문자 메시지, 가청 음성 또는 대시보드 상의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기는 탑승자가 재배치할 수 있는 기능적 에어 커튼 구역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기능적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좌석을 탑승자 또는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오작동하는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좌석에 인접한 도어를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a는 탑승자 수 및 상황에 따른 차량의 공조 부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의 예를 도시한다.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송풍기, 공기 포집 통풍구, 및 에어 커튼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탑승자의 수에 기초하여, 그리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지 여부에 따라 탑승자가 착석한 상기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송풍기, 공기 포집 통풍구, 및 에어 커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운전자가 차량 내의 유일한 탑승자일 때 제1송풍기 및 제1공기 포집 통풍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는 운전자와 다른 탑승자가 차량에 있을 때 2개의 송풍기, 2개의 공기 포획 통풍구, 및 적어도 하나의 에어 커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탑승자가 착석한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송풍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기는 탑승자가 착석한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공기 포획 통풍구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기는 탑승자가 착석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에어 커튼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b는 탑승자 수 및 상황에 따른 차량의 공조 부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어기는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송풍기, 공기 포집 통풍구, 및 에어 커튼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탑승자의 수에 기초하여, 그리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지 여부에 따라 탑승자가 착석한 상기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송풍기, 공기 포집 통풍구, 및 에어 커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한 명의 탑승자가 다른 탑승자로 대체될 3명의 탑승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송풍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어기는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공기 포집 통풍구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기는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에어 커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탑승하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의 송풍기 및 공기 포획 통풍구를 높은 설정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차량은 한 명의 탑승자가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 건너가는 세 명의 탑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송풍기, 상기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공기 포집 통풍구, 상기 탑승자의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에어 커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염된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의 송풍기 및 공기 포집 통풍구를 높은 설정으로 작동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의 오작동하는 에어 커튼 구역이 있는 차량에는 3명의 탑승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송풍기, 탑승자가 착석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공기 포집 통풍구, 탑승자가 착석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에어 커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오작동하는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에어 커튼 구역의 송풍기 및 공기 포착 통풍구를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과 일치하는 컴퓨팅 시스템(1000)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차량 점유의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0)은 사용자 장비,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시스템(1000)은 (제어기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저장 장치(1030), 및 입/출력 장치(10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저장 장치(1030), 및 입/출력 장치(1040)는 시스템 버스(105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컴퓨팅 시스템(1000)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행된 명령은, 예를 들어, 클라우드 간 코드 검출(cross-cloud code detection)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0)는 단일 스레드 프로세서(single-threaded processor)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010)는 다중 스레드 프로세서(multi-threaded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 및/또는 저장 장치(1030)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여 입/출력 장치(104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컴퓨팅 시스템(1000) 내에 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메모리(1020)는, 예를 들어 구성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장치(103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을 위한 영구 저장 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장치(1030)는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또는 테이프 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영구 저장 수단일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4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을 위한 입/출력 동작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입/출력 장치(1040)는 키보드 및/또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입/출력 장치(10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장치(1040)는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입/출력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1040)는 이더넷 포트 또는 다른 네트워킹 포트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터넷,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컴퓨팅 시스템(1000)은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의 구성, 분석 및/또는 저장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대화형 컴퓨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시스템(1000)은 임의의 유형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계획 기능(예를 들어, 스프레드시트 문서, 워드 프로세싱 문서, 및/또는 기타 개체의 생성, 관리, 편집 등), 컴퓨팅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추가 기능을 포함하거나 독립 실행형 컴퓨팅 항목 및/또는 기능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활성화되면, 기능을 사용하여 입/출력 장치(104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컴퓨팅 시스템(1000)(예를 들어, 컴퓨터 스크린 모니터 등)에 의하여 생성되고 제시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기술적 이점은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차량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초래할 수 있다. 차량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것은 다양한 공조 설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에너지 비용은 시간 경과에 차량 탑승자와 점유가 변경되기 때문에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공유 사업에 참여하는 차량에서는 차량 점유와 탑승자가 자주 변경될 수 있다. 적절하게 생성된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에너지 수요 균형을 유지하면서 모든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한다.
본 개시의 많은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본 개시의 이러한 모든 특징 및 이점을 포함하는 것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의도된다. 또한,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개시를 예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성 및 작동으로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모든 적합한 수정 및 균등물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20)

  1.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차량에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 점유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를 포함하며,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일부로부터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격리하는 에어 커튼을 포함하고,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통풍구 및 에어 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되고, 에어 커튼은 공기를 하향으로 송풍하고 에어 커튼의 베이스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층류 에어 커튼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구역은 추가 에어 커튼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상이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과 상관되는 통풍구에 위치되고,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고 공기를 탈이온화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통풍구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격리하도록 에어 커튼을 작동하는 단계와,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는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살균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존의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 통합하기 위해 이전에 활성화된 에어 커튼을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 커튼 구역에 대응하는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이 새로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기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는 기존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 통합하기 전에 살균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채널 및 에어 포집 통풍구를 더 포함하고,
    에어 포집 통풍구 및 채널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차량의 나머지 부분 내의 공기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점유의 변화는 도어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새로운 탑승 알림, 내비게이션 경로 종료, 및 도어 잠금 해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점유는 차량 좌석의 압력 센서, 도어 센서, 카메라, 또는 승차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
  13.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에 배치된 통풍구;
    차량 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필터;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에어 커튼; 그리고
    차량에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하고, 차량 점유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커튼은 각각의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격리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에어 커튼은 공기를 하향으로 송풍하고 에어 커튼의 베이스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층류 에어 커튼인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구역은 추가 에어 커튼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에어 커튼은 차량 내의 상이한 세트의 좌석 사이에 위치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는 상기 에어 커튼 구역과 상관되는 통풍구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 필터는 에어 커튼 구역 내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고 공기를 탈이온화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통풍구가 소용돌이 팬을 수용하고 소용돌이 형성으로 차량 좌석에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에어 커튼 구역을 다른 에어 커튼 구역으로부터 격리하도록 에어 커튼을 작동하는 단계와, 에어 커튼 구역에 해당하는 통풍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 에어 필터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각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는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살균되는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2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차량에서 차량 점유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 점유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 에어 커튼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에어 커튼 구역은 차량의 일부로부터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격리하는 에어 커튼을 포함하고, 에어 커튼 구역은 에어 커튼 구역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통풍구 및 에어 필터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0046137A 2021-05-11 2022-04-14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KR20220153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17,030 US20220363107A1 (en) 2021-05-11 2021-05-11 Air sanitation system for vehicles
US17/317,030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87A true KR20220153487A (ko) 2022-11-18

Family

ID=8380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137A KR20220153487A (ko) 2021-05-11 2022-04-14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63107A1 (ko)
KR (1) KR20220153487A (ko)
CN (1) CN115320338A (ko)
DE (1) DE102021131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1604A1 (en) * 2021-05-18 2022-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to protect health of occupants of a vehicle
US20230089131A1 (en) * 2021-09-17 2023-03-23 Airthinx, Inc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9231B (zh) * 2006-08-09 2012-10-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车载用离子发生系统
US8836491B2 (en) * 2010-04-29 2014-09-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detection
CN106907753A (zh) * 2017-04-25 2017-06-30 闫观清 新风式节能型厨房结构
JP2019059260A (ja) * 2017-09-25 2019-04-18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GB2575784B (en) * 2018-07-19 2022-04-27 Bentley Motors Ltd Zone separation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31604A1 (de) 2022-11-17
CN115320338A (zh) 2022-11-11
US20220363107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3487A (ko) 차량용 공기 위생 시스템
CN113226932B (zh) 感染抑制装置
US20200180387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8083575B2 (en) Car interior odor air ventilation system
US11642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lodor detection and remediation
CN1330383C (zh) 用于处理空气的装置
KR102176420B1 (ko) 차량 내부 스마트 살균램프 시스템
CN107379913A (zh) 一种车内空气质量智能控制系统
DE102008005365A1 (de) Klimatisierungssystem und -verfahren für ein Fahrzeug
US20220031880A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2022037160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tect health of occupants of a vehicle
CN114619850A (zh) 运载工具、用于运载工具的方法和存储介质
CN108473025A (zh) 车辆座舱的净化方法
Sanquinetti et al. Practitioner Guide: An Inventory of Vehicle Design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COVID-19 Transmission in Public and Private Pooled and Shared Transportation
US20080293349A1 (en) Automotiv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xhaust odor abatement
CN114905916A (zh) 车辆及感染症预防方法
EP3851306A1 (de) Verunreinigungserkennung in einem fahrzeug
CN115989154A (zh) 交通工具乘员保护
JP2003326953A (ja) 家畜を収容できるコンパートメントの空調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CN112918223A (zh) 车辆、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Sanguinetti et al. Vehicle Design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COVID-19 Transmission in Shared and Pooled Travel: Inventory, Typology, and Consider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CN205739932U (zh) 电梯操纵箱及电梯轿厢
US11821845B2 (en) 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cleanliness of interior of the same
JP2023542185A (ja) 車両の乗員を保護する方法
CN117048282A (zh) 用于在车内分区控制污染物的方法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