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938A -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938A
KR20220152938A KR1020220054124A KR20220054124A KR20220152938A KR 20220152938 A KR20220152938 A KR 20220152938A KR 1020220054124 A KR1020220054124 A KR 1020220054124A KR 20220054124 A KR20220054124 A KR 20220054124A KR 20220152938 A KR20220152938 A KR 2022015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muffler
exhaust gas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타카 후지모토
스스무 다케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2015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머플러 파이프의 확인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를 제공한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머플러 파이프와, 머플러 파이프 중 제1 부분을 덮도록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되는 제1 커버(80)와, 머플러 파이프 중 제2 부분과, 머플러 파이프 중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가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되는 제3 커버(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MUFFLER APPARATUS OF WORKING VEHICLE AND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의 기술은 공지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머플러 장치는, 제2 배기 가스 처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마련된 머플러 파이프와, 머플러 파이프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는 전후로 분할된 한 쌍의 대략 반원 형상의 부재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머플러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머플러 파이프의 일부분의 확인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머플러 장치에서는, 머플러 파이프의 일부분의 확인 등을 행하기 위해 커버 전체를 착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머플러 파이프의 확인 등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89184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머플러 파이프의 확인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으로 이 과제의 해결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머플러 파이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제1 부분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되는 제1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제2 부분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되는 제2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머플러 커버 및 상기 제2 머플러 커버가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되는 제3 머플러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 및 상기 제2 머플러 커버 중, 상기 제2 머플러 커버에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부분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중복부는, 상기 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파이프는, 상기 제3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파이프가 분리된 부분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가 분리된 부분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차는, 상기 머플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머플러 파이프의 확인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제1 머플러 커버와 제2 머플러 커버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머플러 커버 내에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이 머플러 커버 내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분리된 머플러 파이프끼리의 위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는, 머플러 파이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는, 머플러 파이프의 확인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머플러 장치 및 그 주변 부재를 도시한 우측 상방 사시도.
도 3은 마찬가지로, 우측 하방 사시도.
도 4는 머플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2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3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제3 커버 및 그 주변 부재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9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의 분리 부분을 도시한 확대 정면 단면도.
도 10은 제3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X-X 단면도.
도 12는 제2 파이프의 하측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를 도시한 정면도. (b)는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부분 P의 확대 정면 단면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의 분리 부분을 도시한 확대 정면 단면도.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의 우측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 U, 화살표 D, 화살표 F, 화살표 B, 화살표 L 및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을, 각각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을 한다.
먼저,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랙터(1)는 주로 기체 프레임(2), 엔진(3), 보닛(4), 트랜스미션 케이스(5), 전륜(6), 후륜(7), 펜더(8), 승강 장치(9), 캐빈(10), 좌석(11), 스티어링 휠(12) 및 머플러 장치(20) 등을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2)은 복수의 판재를 적절히 조합하여 형성되는 틀 형상의 부재이다. 기체 프레임(2)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체 프레임(2)은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하여 트랙터(1)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는 엔진(3)이 고정된다. 엔진(3)은 보닛(4)에 덮인다. 엔진(3)의 후방부에는, 트랜스미션 케이스(5)가 고정된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는 프런트 액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전륜(6)에 지지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5)의 후방부는 리어 액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후륜(7)에 지지된다. 좌우 한 쌍의 후륜(7)은 대략 상방으로부터 펜더(8)에 의해 덮인다.
트랜스미션 케이스(5)의 후방부에는, 승강 장치(9)가 마련된다. 승강 장치(9)에는, 각종 작업 장치(예를 들어, 경운기 등)를 장착할 수 있다. 승강 장치(9)는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장착된 작업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다. 당해 승강 장치(9)에는, 도시하지 않은 PTO축을 통해 엔진(3)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엔진(3)의 동력은,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수용된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변속된 후, 상기 프런트 액슬 기구를 거쳐서 전륜(6)으로 전달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리어 액슬 기구를 거쳐서 후륜(7)으로 전달 가능하게 된다. 엔진(3)의 동력에 의해 전륜(6) 및 후륜(7)이 회전 구동되어, 트랙터(1)는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3)의 동력에 의해, 승강 장치(9)에 장착된 작업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엔진(3)의 후방에는 캐빈(10)이 마련된다. 캐빈(10)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거주 공간이 형성된다. 캐빈(10)의 대략 중앙에는, 운전자가 착좌하기 위한 좌석(11)이 배치된다. 캐빈(10)의 전방부에는, 전륜(6)의 꺾임각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12)이 배치된다. 캐빈(10)은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대하여 방진 고무 등을 개재하여 탑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체로부터의 진동(엔진(3)의 진동이나, 주행 시의 진동 등)이 캐빈(10)으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엔진(3)에는, 후술하는 머플러 장치(20)의 DPF(30)가 접속된다. 엔진(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머플러 장치(20)로 도입된다. 캐빈(10) 및 머플러 장치(20)의 하방에는, 연료 탱크(13)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2를 사용하여 머플러 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머플러 장치(20)는 엔진(3)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플러 장치(20)는 DPF(30), 머플러 파이프(40) 및 머플러 커버(70)를 구비한다.
DPF(Diesel Particulate Filter)(30)는, 배기 가스 중의 PM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DPF(30)는 대략 통 형상의 케이스(하우징) 내에 PM을 포집하는 필터 등을 마련하여 구성된다. DPF(30)는, 엔진(3)과 접속되고, 당해 엔진(3)으로부터 배기 가스가 도입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머플러 파이프(40)는 DPF(30)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머플러 파이프(40)는 DPF(30)와 접속된다. 머플러 파이프(40)는 DPF(30)로부터 우측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보닛(4)의 외부로 연장 설치된다. 또한, 머플러 파이프(40)는 캐빈(10)의 필러(10a) 및 스텝(10b)과 정면으로 보아 중복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머플러 파이프(40)는 캐빈(10) 내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기 어려워지도록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플러 파이프(40)는 제1 파이프(50) 및 제2 파이프(60)를 구비한다.
제1 파이프(50)는 DPF(30)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후술하는 제2 파이프(60)로 안내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50)는 본체부(51), 체결부(52), 공급부(53) 및 고정부(54)를 구비한다.
본체부(51)는 배기 가스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본체부(5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51)는 제1 직선부(51a), 제1 굴곡부(51b), 제2 직선부(51c), 제2 굴곡부(51d) 및 설치부(51e)를 구비한다.
제1 직선부(51a)는 제1 파이프(50) 중, 가장 DPF(30)에 가까운 측(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단부)에 형성된 대략 직선상의 부분이다. 제1 직선부(51a)의 일단부(좌측 상단부)는 소정의 배관을 통해 DPF(30)에 접속된다.
제1 굴곡부(51b)는 소정의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1 굴곡부(51b)는 제1 직선부(51a)와 연속되고, 대략 우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선부(51c)는 제1 굴곡부(51b)로부터 좌우 외측방(우측)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이다.
제2 굴곡부(51d)는 소정의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2 굴곡부(51d)는 제2 직선부(51c)와 연속되고, 대략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설치부(51e)는 후술하는 공급부(53)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설치부(51e)는 제1 파이프(50) 중, 가장 DPF(30)로부터 먼 측(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설치부(51e)는 제2 굴곡부(51d)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설치부(51e)는 제2 굴곡부(51d)를 통해 제2 직선부(51c)와 접속된다.
체결부(52)는 후술하는 제1 커버(80)를 제1 파이프(50)에 고정하는 볼트(이하, 「제1 볼트 B1」이라고 칭함)를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52)는 개구부를 본체부(51)를 향하게 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부(52)의 선단부(개구되어 있는 측의 단부)는 본체부(51)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당해 선단부는 본체부(51)에 고정된다. 체결부(52)의 저부는 본체부(51)에 대하여 전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도 5에 도시하는 간극 C 참조). 체결부(52)는 본체부(51)의 전방부 및 후방부(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체결부(52)는 본체부(51)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공급부(53)는 제1 파이프(50)로부터 제2 파이프(60)로 배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통 형상의 부분이다. 공급부(53)는 본체부(51)의 설치부(51e)에 외부 끼움되어, 본체부(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53)는 공급구(53a) 및 좁힘부(53b)를 구비한다.
공급구(53a)는 배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다. 공급구(53a)는 공급부(53)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공급구(53a)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공급구(53a)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1 참조).
좁힘부(53b)는 공급부(53)를 상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축소시킨 부분이다. 좁힘부(53b)는 공급부(53)의 상하 중도부로부터 상단부에 걸쳐서 형성된다. 좁힘부(53b)는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좁힘부(53b)는 공급구(53a)를 향하여 내주면(배기 가스의 유로)을 서서히 좁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좁힘부(53b)는 상방을 향하여 외경도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고정부(54)는 본체부(51)를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3,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54)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된다. 고정부(54)의 전방부는 본체부(51)의 제2 직선부(51c)에 고정된다. 고정부(54)의 후방부는 트랜스미션 케이스(5)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60)는 본체부(61), 체결부(62), 도입부(63), 하측 고정부(64) 및 상측 고정부(65)를 구비한다.
본체부(61)는 배기 가스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본체부(61)는 축선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61)는 내관(61a)의 중도부에 외관(61b)이 적절히 외부 끼움된 구조(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내관(61a)의 상단부에는, 보스부(61c)가 마련된다. 본체부(61)는 제1 파이프(50)의 공급부(53)의 상방에 배치된다.
체결부(62)는 후술하는 제2 커버(90)의 직선 커버(91)를 제2 파이프(60)에 고정하는 볼트(이하, 「제2 볼트 B2」라고 칭함)를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체결부(62)는 제1 파이프(50)의 체결부(52)(도 5 참조)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체결부(62)는 본체부(61)의 우측부 및 좌측부(우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체결부(62)는 본체부(61)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도입부(63)는 제1 파이프(50)의 공급구(53a)로부터의 배기 가스 등이 도입되는 부분이다. 도입부(63)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부(63)는 본체부(61)의 하단부에 외부 끼움되어, 본체부(61)로부터 하방(공급부(53)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입부(63)는 도입구(63a)를 구비한다.
도입구(63a)는 배기 가스 등이 도입되는 것이다. 도입구(63a)는 도입부(63)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입구(63a)는 공급구(53a)의 상방에 배치되어, 당해 공급구(53a)와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63a)의 내경은 공급부(53)의 공급구(53a) 및 본체부(61)의 내관(61a)(제2 파이프(60)에서의 배기 가스의 유로)의 내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입구(63a)는 공급구(53a)와 동심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도입구(63a)는 평면으로 보아 공급구(53a) 전체와 중복됨과 함께 공급구(53a)보다도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입구(63a)의 내경은 외관(61b)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지만,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입구(63a)를 외관(61b)보다도 크게(외관(61b)과 중복되지 않도록) 기재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하측 고정부(64) 및 상측 고정부(65)는 제2 파이프(60)의 본체부(61)를 캐빈(1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고정부(64)는 파이프측 설치부(64a), 접속부(64b) 및 캐빈측 설치부(64c)를 구비한다.
파이프측 설치부(64a)는 제2 파이프(60)의 본체부(61)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파이프측 설치부(64a)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이프측 설치부(64a)는 제2 파이프(60)의 본체부(61)의 하부의 후방측면에 고정된다. 파이프측 설치부(64a)는 수평 방향(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는 면과,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갖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이프측 설치부(64a)에는, 판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의 관통 구멍(64aa)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64aa)은 하측 고정부(64)에 설치되는 볼트(이하, 「제3 볼트 B3」이라고 칭함)의 축부보다도 어느 정도 큰 내경을 갖는다.
접속부(64b)는 파이프측 설치부(64a) 및 캐빈측 설치부(64c)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접속부(64b)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속부(64b)는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는 면과 수평 방향(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갖는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부(64b)에는, 판면을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4ba)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64ba)은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빈측 설치부(64c)는 캐빈(1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캐빈측 설치부(64c)는 판면을 수평 방향(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하측 고정부(64)는 제3 볼트 B3이 체결됨으로써, 본체부(61)를 캐빈(1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64b)의 관통 구멍(64ba)에 삽입 관통된 제3 볼트 B3이 캐빈측 설치부(64c)에 체결됨으로써, 접속부(64b)가 캐빈측 설치부(64c)에 고정된다. 또한 파이프측 설치부(64a)의 관통 구멍(64aa)에 삽입 관통된 제3 볼트 B3이 접속부(64b)의 상면에 체결됨으로써, 파이프측 설치부(64a)가 접속부(64b)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본체부(61)는 접속부(64b)를 통해 캐빈(10)에 고정된다.
이때,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64ba)에 의해, 캐빈측 설치부(64c)에 대한 접속부(64b)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64aa)에 의해, 접속부(64b)에 대한 파이프측 설치부(64a)의 수평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접속부(64b)를 통함으로써, 캐빈(10)에 대한 본체부(61)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상측 고정부(65)는 캐빈(10)에 고정되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와, 제2 파이프(60)의 본체부(61)에 고정되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를 구비한다. 상측 고정부(65)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본체부(61)를 캐빈(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61)는 상측 고정부(65) 및 하측 고정부(64)에 의해 캐빈(10)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1)(제2 파이프(60))는 캐빈(10)에만 고정되고, 차체의 그 외의 부분,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케이스(5)(제1 파이프(50)가 고정되는 부재)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 파이프(6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50)와 분리된 상태(연결이 끊긴 상태)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와 연결되지 않고, 또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당해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상방(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 하류측)에 약간 간극(예를 들어, 수 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제1 파이프(50)와 제2 파이프(60) 사이의 간극을 「분리 부분 A」라고 칭한다. 제2 파이프(60)는 분리 부분 A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으로 보아(제2 파이프(6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파이프(50)와 중복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플러 커버(70)는 머플러 파이프(40)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것이다. 머플러 커버(70)는 제1 커버(80), 제2 커버(90) 및 제3 커버(10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80)는 머플러 파이프(40) 중,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 상류측을 덮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버(80)는 제1 파이프(50)의 제1 직선부(51a)로부터 제2 직선부(51c)까지를 덮는 것이다. 제1 커버(80)는 제1 직선 커버(81) 및 제2 직선 커버(82)를 구비한다.
제1 직선 커버(81)는 제1 파이프(50)의 제1 직선부(51a)로부터 제1 굴곡부(51b)의 중도부까지를 덮는 것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직선 커버(81)는 개구부를 제1 직선부(51a)측을 향하게 한 대략 U자 형상의 부재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제1 직선 커버(81)는 제1 직선부(51a)를 따르는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제1 직선 커버(81)는 제1 볼트 B1에 의해 제1 파이프(50)의 체결부(52)에 고정된다. 또한, 도 5에서는, 후방측의 체결부(52)에 체결되는 제1 볼트 B1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제2 직선 커버(82)는 제1 파이프(50)의 제1 굴곡부(51b)의 중도부로부터 제2 직선부(51c)까지를 덮는 것이다. 제2 직선 커버(82)는 개구부를 하방을 향하게 한 대략 U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직선 커버(82)는 제2 직선부(51c)를 따르는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제2 직선 커버(82)는 제1 볼트 B1에 의해 제1 파이프(50)의 체결부(52)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제2 커버(90)는 머플러 파이프(40) 중,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 하류측을 덮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커버(90)는 제2 파이프(60)를 덮는 것이다. 제2 커버(90)는 제1 커버(80)에 대하여 머플러 파이프(4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커버(90)는 직선 커버(91) 및 선단 커버(92)를 구비한다.
직선 커버(91)는 제2 파이프(60)의 상하 중도부(상단부 및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를 덮는 부분이다. 직선 커버(91)는 개구부를 제2 파이프(60)측을 향하게 한 대략 반원 형상의 부재를 볼트(이하, 「제4 볼트 B4」라고 칭함)로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직선 커버(91)는 제2 파이프(60)를 따르는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직선 커버(91)는 제2 볼트 B2에 의해 제2 파이프(60)의 체결부(62)에 고정된다. 이때, 제2 볼트 B2의 축부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60)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도록(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선단 커버(92)는 제2 파이프(60)의 상단부를 덮는 부분이다. 선단 커버(92)는 제2 파이프(60)의 선단부보다도 한층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단 커버(92)는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내관(61a)의 보스부(61c)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커버(100)는 머플러 파이프(40) 중,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서의 중도부를 덮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커버(100)는 제1 파이프(50)의 제2 굴곡부(51d) 및 설치부(51e)(공급부(53))와, 분리 부분 A(도 9 참조)와, 제2 파이프(60)의 하단부를 덮는 것이다.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로부터 제2 커버(90)까지 걸치도록 마련된다. 제3 커버(100)는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를 볼트(이하, 「제5 볼트 B5」라고 칭함)로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후방측 커버(100b)는 상단부의 위치가 전방측 커버(100a)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제3 커버(100)는 제1 직선부(101), 제2 직선부(102), 중복부(103), 제1 관통 구멍(104), 제2 관통 구멍(105) 및 도입부(106)를 구비한다.
제1 직선부(101)는 대략 상하 방향(제2 파이프(6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상의 부분이다. 제1 직선부(101)는 제3 커버(100)의 우측부에 형성되고, 제2 파이프(60)의 하단부나 분리 부분 A 등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1 직선부(101)의 하단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제2 직선부(102)는 대략 좌우 방향(제1 파이프(50)의 제2 직선부(51c)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선상의 부분이다. 제2 직선부(102)는 제1 파이프(50)의 제2 굴곡부(51d) 등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2 직선부(102)는 제1 커버(80)의 제2 직선 커버(82)보다도 한층 큰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직선부(102)의 하단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중복부(103)는 제1 커버(80)의 제2 직선 커버(82)와 중복되는 부분이다. 중복부(103)는 제2 직선부(102)의 좌측 단부(제1 커버(80)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중복부(103)는 제2 직선 커버(82)의 우측 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보아(정면으로 보아 및 평면으로 보아) 제2 직선 커버(82)와 중복되도록 형성된다. 중복부(103)는 제2 직선 커버(82)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2 직선 커버(82)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관통 구멍(104)은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를 고정하는 제5 볼트 B5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1 관통 구멍(104)은 제3 커버(100)(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를 대략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관통 구멍(104)은 제1 직선부(10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좌측면 및 우측면), 그리고 제2 직선부(102)의 상단부(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2 관통 구멍(105)은 제3 커버(100)를 제2 커버(90)에 고정하는 볼트(이하, 「제6 볼트 B6」이라고 칭함)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2 관통 구멍(105)은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 중, 후방측 커버(100b)에만(전방측 커버(100a)보다도 높은 부분에) 형성된다. 제2 관통 구멍(105)은 후방측 커버(100b)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도입부(106)는 외기(외부의 공기)를 제3 커버(100)의 내부로 도입하는 부분이다. 도입부(106)는 제1 직선부(101) 및 제2 직선부(102)의 하단부(개구 부분)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커버(100)는 제2 커버(9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커버(90)에 대하여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가 전후 방향 외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진다. 당해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는 제5 볼트 B5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후방측 커버(100b)는 제6 볼트 B6에 의해 제2 커버(90)에 고정된다. 이렇게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 중, 제2 커버(90)에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트랙터(1)에 있어서, 엔진(3)으로부터의 진동은, 엔진(3)에 접속된 제1 파이프(50)로 전달된다. 이에 반해, 캐빈(10)측(하류측)의 제2 파이프(6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3)의 진동이 제1 파이프(50)를 통해 제2 파이프(60)로 전달될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제2 파이프(6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제2 파이프(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60)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당해 제2 파이프(60)가 고정되는 캐빈(10)의 진동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캐빈(10) 내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머플러 파이프(40)를 분리하여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방진 고무 등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부재의 설치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파이프(40)에는, 예를 들어 트랙터(1)의 주행 시 등에 엔진(3)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DPF(30)(도 2 참조)를 통해 도입된다. 당해 배기 가스는, 제1 파이프(50)를 유통하고, 도 9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구(53a)로부터 제2 파이프(60)의 도입구(63a)로 도입되어, 제2 파이프(6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기 가스는, 제2 파이프(60)를 상방으로 유통하여 제2 파이프(60)의 상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머플러 파이프(40)는 엔진(3)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파이프(60)는 도입구(63a)로부터 배기 가스뿐만 아니라 외기도 도입할 수 있다(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 하류측(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의 도입이 제1 파이프(50)에서 저해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2 파이프(60)에 공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50)는 좁힘부(53b)를 형성하여, 배기 가스가 공급구(53a)로부터 내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급구(53a)와 동심 상에 배치된 도입구(63a)로 배기 가스가 유입되기 쉬워져, 배기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도입구(63a)로 유입되지 않고 제2 파이프(6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좁힘부(53b)에 의해 공급부(53)의 외경을 좁힘으로써, 외기를 도입구(63a)로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파이프(50)는 제2 파이프(60)에 삽입되어 있지 않기(직경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제2 파이프(60)의 내경 및 외경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파이프(60)의 직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이나 머플러 장치(2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머플러 장치(20)에서는, 공급구(53a)의 상방에 제2 파이프(60)를 배치함으로써, 제1 파이프(50) 내로의 이물의 혼입을 제2 파이프(60)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63a)의 내경을 공급구(53a)의 내경보다도 크게 하여, 평면으로 보아 공급구(53a)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도입구(63a)를 형성하고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공급구(53a)를 도입구(63a)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함으로써, 공급구(53a)로부터 제1 파이프(50) 내로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를 안내하는 머플러 파이프(40)는 소정의 부분의 메인터넌스나 점검(확인) 등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파이프(60)가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분리되어 있는 경우, 트랙터(1)의 제조 시나 메인터넌스 시 등에, 분리 부분 A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공급구(53a) 및 도입구(63a)의 위치를 맞출(중심 맞추기할) 필요가 있다. 공급구(53a) 등을 덮는 머플러 커버(70)는 이러한 분리 부분 A의 확인 등을 행하기 쉬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리 부분 A의 확인 등을 행하는 경우, 분리 부분 A를 덮는 제3 커버(100)를 착탈할 필요가 있다. 당해 제3 커버(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를 고정하기 위한 제5 볼트 B5와, 후방측 커버(100b)를 제2 커버(90)에 고정하기 위한 제6 볼트 B6에 의해 제2 커버(9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부분 A의 확인 등을 행하는 작업자는, 제5 볼트 B5 및 제6 볼트 B6을 착탈하면,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를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한 상태에서(제1 볼트 B1 내지 제4 볼트 B4를 착탈하지 않고도) 제3 커버(100)를 착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랙터(1)의 제조 시 등에,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를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한 상태에서, 분리 부분 A의 확인을 행하고 나서 제3 커버(1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시 등에, 머플러 커버(70) 중, 제3 커버(100)만을 착탈하여 분리 부분 A의 확인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머플러 장치(20)에서는, 제조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를 고정하기 위한 제5 볼트 B5 및 제6 볼트 B6은, 캐빈(1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제3 커버(100)의 좌우 방향 외측면이나 상면)으로부터 제3 커버(100)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5 볼트 B5 및 제6 볼트 B6의 착탈 시에 캐빈(10)이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커버(100)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5 볼트 B5를 착탈함으로써,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 중, 전방측 커버(100a)만을 착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 커버(100b)를 착탈하지 않고 분리 부분 A의 확인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53a) 및 도입구(63a)의 중심 맞추기를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하는 하측 고정부(64)에 설치되는 제3 볼트 B3을 풀어서 제2 파이프(60)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정하고, 당해 제3 볼트 B3을 다시 조인다. 이와 같이, 머플러 장치(20)에서는, 제2 파이프(60)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의 조정을, 1개소(하측 고정부(64))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급구(53a) 및 도입구(63a)의 중심 맞추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커버(70)는 상술한 제2 파이프(6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 중, 제2 커버(90)에만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랙터(1)의 주행 시 등에, 제1 파이프(50)에 고정된 제1 커버(80)로부터 제3 커버(10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커버(100) 및 제2 커버(90)를 통해 제2 파이프(6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 파이프(6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버(80)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의 하단부(분리 부분 A보다도 유통 방향 상류측(하방))에 도입부(10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부(106)로부터 제3 커버(100) 내로 외기를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커버(100) 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를 저하시킨 제3 커버(100) 내의 공기를 제2 파이프(60)로 도입하여(도 9 참조),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도입부(106)는 제3 커버(100)의 하단부의 전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3 커버(100) 내로 외기를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 가스의 영향으로 머플러 커버(70) 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3 커버(100) 및 제2 커버(90) 내를 상향으로 유통하는 공기의 흐름(상승 기류)이 발생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3 커버(100)는 외기를 하방(도입부(106))으로부터 제3 커버(100) 내로 도입하여, 제2 파이프(60)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커버(100)는 온도 상승에 수반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내부로 공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 내로 도입된 공기는, 제2 파이프(60) 내뿐만 아니라, 제2 파이프(60)와 제2 커버(90) 사이의 공간으로도 유입된다. 당해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결부(62)나 제2 볼트 B2를 통과하여, 제2 커버(90)의 상단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볼트 B2의 축부는, 제2 파이프(60)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볼트 B2를 제2 파이프(60)의 본체부(61)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배기 가스에 의해 고온이 된 본체부(61)로부터 제2 볼트 B2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 볼트 B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90) 내를 이동하는 공기는 체결부(62)의 간극을 유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이 저해되기 어려워, 효과적으로 제2 커버(90)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작업차)의 머플러 장치(20)는 엔진(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안내하는 제1 파이프(50)(제1 머플러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50)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파이프(5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제2 파이프(60)(제2 머플러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진동이 제1 파이프(50)로부터 제2 파이프(6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파이프(60)의 선단측이나 제2 파이프(60)와 접속된 부재(캐빈(1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50)는 상기 엔진(3) 또는 상기 엔진(3)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된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고정되는 고정부(54)(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파이프(60)는 트랙터(1)의 캐빈(10)에 고정되는 하측 고정부(64) 및 상측 고정부(65)(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진동이 캐빈(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60)는 상기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50)와의 사이에 간극(분리 부분 A)이 형성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파이프(40) 내로 공기를 도입하기 쉬워져,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50)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제2 파이프(60)로 상기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구(53a)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파이프(60)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상기 공급구(53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급구(53a)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도입구(63a)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공급구(53a)로부터 제1 파이프(50) 내로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구(63a)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공급구(53a) 전체와 중복되고, 또한 상기 공급구(53a)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공급구(53a)로부터 제1 파이프(50) 내로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60)는 상기 도입구(63a)가 형성되는 도입부(63)와, 상기 배기 가스의 유로가 상기 도입구(63a)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입구(63a)로부터 도입된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본체부(6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입구(63a)의 직경을 크게 확보하면서, 그 외의 부분(본체부(61))의 직경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급구(53a)로부터 제1 파이프(50) 내로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제2 파이프(60)의 직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50)는 상기 공급구(53a)를 향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유로를 서서히 좁히도록 형성된 좁힘부(53b)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는 상기 머플러 장치(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파이프(60)의 선단측이나 제2 파이프(60)와 접속된 부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작업차)의 머플러 장치(20)는 엔진(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머플러 파이프(40)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40) 중 제1 부분(제1 파이프(50)의 제1 직선부(51a)로부터 제2 직선부(51c)까지)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되는 제1 커버(80)(제1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40) 중 제2 부분(제2 파이프(60)의 상하 중도부)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되는 제2 커버(90)(제2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40)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제1 파이프(50)의 제2 굴곡부(51d)로부터 제2 파이프(60)의 하단부까지)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버(80) 및 상기 제2 커버(90)가 상기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되는 제3 커버(100)(제3 머플러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를 고정한 채로 제3 커버(100)를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머플러 파이프(40)(특히, 제3 부분)의 확인이나 메인터넌스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상기 제1 커버(80) 및 상기 제2 커버(90) 중, 상기 제2 커버(90)에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커버(80)와 제2 커버(90)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상기 제1 커버(80)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커버(80)와 제2 커버(90)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상기 제1 커버(80)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부(103)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커버(70) 내로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부분(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102))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부분(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101))를 구비하고, 상기 중복부(103)는 상기 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부분에 중복부(103)를 형성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이 머플러 커버(70) 내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플러 파이프(40)는 상기 제3 부분에 있어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파이프(40)의 분리 부분 A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된 머플러 파이프(40)끼리의 위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106)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100)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106)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부(106)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40)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파이프(40)가 분리된 부분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106)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40)가 분리된 부분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는 상기 머플러 장치(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파이프(40)(제3 부분)의 확인이나 메인터넌스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1)는 작업차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50)는 제1 머플러 파이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파이프(60)는 제2 머플러 파이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정부(54)는 제1 고정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측 고정부(64) 및 상측 고정부(65)는 제2 고정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커버(80)는 제1 머플러 커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커버(90)는 제2 머플러 커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3 커버(100)는 제3 머플러 커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작업차는 트랙터(1)인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는, 그 외의 농업 차량, 건설 차량, 산업 차량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파이프(50)는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고정되었지만, 제1 파이프(50)가 고정되는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50)는 엔진(3)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파이프(50)는 엔진(3) 및 트랜스미션 케이스(5)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캐빈(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제1 파이프(50)는 캐빈(10)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어떠한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지만, 제1 파이프(50)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 분리되는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60)는 제1 파이프(50)에 삽입되어,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파이프(50)(공급구(53a))와 제2 파이프(60)(도입구(63a))는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좌우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입구(63a)는 공급구(53a)보다도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었지만, 공급구(53a)에 대한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입구(63a)는 공급구(53a)와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파이프(60)는 본체부(61)와 다른 부재로 구성된 도입부(63)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제2 파이프(60)(내관(61a))의 하단부가,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된다.
또한, 공급부(53)는 내경을 좁히기 위한 좁힘부(53b)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공급부(5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좁힘부(53b)를 갖지 않고, 축선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일정한 내경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분리 부분 A 등을 덮는 것으로 했지만, 제3 커버(100)가 덮는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검 개소나 머플러 파이프(40)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가 머플러 파이프(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다면, 제3 커버(1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커버(100)는 제5 볼트 B5 및 제6 볼트 B6을 좌우 방향 외측 등으로부터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 등으로부터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전방측 커버(100a) 및 후방측 커버(100b) 중, 후방측 커버(100b)만 제2 커버(90)에 고정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방측 커버(100a)만이 제2 커버(90)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2 커버(90)에 고정되었지만, 제3 커버(100)가 고정되는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 및 제2 커버(90)와는 다른 부재(예를 들어, 머플러 파이프(40) 등)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제1 커버(80)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커버(80)와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반드시 제1 커버(80)와 중복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3 커버(100)의 제1 직선부(101)는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1 직선부(101)는 횡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45° 미만이 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직선부(102)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2 직선부(102)는 종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상 경사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커버(100)의 도입부(106)는 제3 커버(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었지만, 도입부(106)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커버(10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커버(100)는 반드시 도입부(106)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파이프(150)는 수용부(155) 등을 마련함으로써, 제2 파이프(60)로부터 떨어지는 액체(녹물 등)가, 당해 제2 파이프(60)의 하방에 배치된 부재(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13))에 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50)와 상이하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사용하여 제1 파이프(15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50)는 본체부(151), 체결부(52), 공급부(53), 고정부(54) 및 수용부(155)를 구비한다. 본체부(151)는 제1 직선부(51a), 제1 굴곡부(51b), 제2 직선부(51c), 제2 굴곡부(51d) 및 설치부(51e)에 더하여, 연통 구멍(151f) 및 배출 구멍(151g)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직선부(51c)는 도 13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좌측 하향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굴곡부(51d) 및 제2 파이프(60)의 하방에는, 연료를 저류하기 위한 연료 탱크(1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연통 구멍(151f)은 후술하는 수용부(155)와 본체부(151)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구멍이다. 연통 구멍(151f)은 설치부(51e)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공급부(53)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연통 구멍(151f)은 서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형성된다.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배출 구멍(151g)은 본체부(151) 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배출 구멍(151g)은 본체부(151)의 제2 직선부(51c) 중, 하방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평면으로 보아 다른 부재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배출 구멍(151g)은 제2 직선부(51c)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 구멍(151g)은 제2 직선부(51c)의 저부(하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수용부(155)는 제2 파이프(60)로부터 떨어지는(낙하하는) 액체를 받기 위한 바닥이 있는 대략 통 형상의 부분이다. 수용부(155)는 개구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수용부(155)는 저부(155a)가 본체부(151)의 설치부(51e)에 간극 없이 외부 끼움되어, 공급부(53)의 하방에 배치된다. 수용부(155)는 연통 구멍(151f)을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측면으로 보아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수용부(155)는 연통 구멍(151f)에 의해 본체부(15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수용부(155)의 내경은 제2 파이프(60)의 내관(61a)의 내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55)의 내경은 도입부(63)의 도입구(63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다. 수용부(155)는 내관(61a)(제2 파이프(60))과 동심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수용부(155)는 평면으로 보아 내관(61a)과 중복됨과 함께 내관(61a)보다도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 파이프(150)에 의해, 제2 파이프(60)로부터 떨어지는 액체가 연료 탱크(13)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이프(60)의 내관(61a)에서는, 배기 가스가 유통할 때 수증기가 결로하거나 하여 물이 발생하고, 당해 물이 내관(61a)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물의 영향으로 제2 파이프(60)가 부식되었을 경우, 당해 부식에 의해 생성된 녹물이 내관(61a)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당해 녹물 등은, 도 14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부(53)의 하방에 배치된 수용부(155)에 도달하여, 당해 수용부(155)에 저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녹물 등을 수용부(155)에서 받아내어, 당해 녹물 등이 제2 파이프(60)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13)(도 13 참조)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3)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55)에 저류된 녹물 등은, 연통 구멍(151f)을 통해 본체부(151) 내로 안내되어, 당해 본체부(151)의 설치부(51e) 내를 하방으로 유통한다. 그리고 녹물 등은,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본체부(151)의 제2 굴곡부(51d)로부터 제2 직선부(51c)로 유통하고, 당해 제2 직선부(51c)를 좌측으로 유통한다. 그 후 녹물 등은, 제2 직선부(51c)에 형성된 배출 구멍(151g)으로부터 본체부(15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구멍(151g)의 하방에는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출 구멍(151g)으로부터 녹물 등을 배출함으로써, 녹물 등이 다른 부재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파이프(150)(제1 머플러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60)로부터 낙하하는 액체를 받는 수용부(155)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파이프(60)의 하방에 배치된 부재(연료 탱크(13))에 액체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150)는 상기 수용부(155)의 액체를 상기 제1 파이프(150)의 내부 공간으로 도입하는 연통 구멍(151f)과, 하방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150) 내의 액체를 배출 가능한 배출 구멍(151g)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용부(155)에 고인 액체(녹물 등)를, 하방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배출 구멍(151g))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55)에 고인 액체를 적절하게(다른 부재에 튀지 않도록) 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용부(155)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2 파이프(60)로부터 떨어지는 액체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면, 수용부(15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파이프(150) 및 제2 파이프(60)가 다소 경사져 있다고 해도 제2 파이프(60)로부터 떨어지는 액체를 받을 수 있도록, 수용부(155)의 크기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통 구멍(151f)은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연통 구멍(151f)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개뿐이어도 된다.
또한, 배출 구멍(151g)은 제2 직선부(51c)의 좌측 단부에 1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배출 구멍(151g)의 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트랙터(작업차)
3: 엔진
20: 머플러 장치
40: 머플러 파이프
80: 제1 커버(제1 머플러 커버)
90: 제2 커버(제2 머플러 커버)
100: 제3 커버(제3 머플러 커버)

Claims (10)

  1.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머플러 파이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제1 부분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되는 제1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제2 부분을 덮도록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되는 제2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파이프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머플러 커버 및 상기 제2 머플러 커버가 상기 머플러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되는 제3 머플러 커버
    를 구비하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 및 상기 제2 머플러 커버 중, 상기 제2 머플러 커버에만 고정되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부를 구비하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부분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부분
    을 구비하고,
    상기 중복부는,
    상기 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파이프는,
    상기 제3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를 구비하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파이프가 분리된 부분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머플러 파이프가 분리된 부분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머플러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
KR1020220054124A 2021-05-10 2022-05-02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KR20220152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79766A JP7461911B2 (ja) 2021-05-10 2021-05-10 作業車のマフラ装置及び作業車
JPJP-P-2021-079766 2021-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938A true KR20220152938A (ko) 2022-11-17

Family

ID=8414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124A KR20220152938A (ko) 2021-05-10 2022-05-02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61911B2 (ko)
KR (1) KR202201529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184A (ja) 2013-03-27 2014-10-06 Iseki & Co Ltd 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2236B2 (ja) 2014-02-25 2017-12-2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JP6438341B2 (ja) 2014-10-15 2018-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7134134B2 (ja) 2018-06-22 2022-09-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189058B2 (ja) 2019-03-26 2022-12-13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排気ガス排出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184A (ja) 2013-03-27 2014-10-06 Iseki & Co Ltd 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73814A (ja) 2022-11-22
JP7461911B2 (ja)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448B2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WO2018180028A1 (ja) トラクタ
US7353899B2 (en) Snowmobile with improved air intake structure
JP4574414B2 (ja) 鞍乗型車両
US11505060B2 (en) Tractor reductant tank configuration
US20140237994A1 (en) Exhaust apparatus for four wheeled utility vehicle
KR20030031848A (ko)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KR20220152938A (ko)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KR20220152939A (ko)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US8910472B2 (en) Utility vehicle
US10738743B2 (en) Work vehicle
JP6596756B2 (ja) 鞍乗り型車両
JP7348937B2 (ja) トラクタ
JP7055854B2 (ja) トラクタ
EP3906989A1 (en) Filter-attaching member and work vehicle
KR20210132608A (ko) 작업차의 머플러 장치 및 작업차
JP2020059502A (ja) トラクタ
JP2020183196A (ja) 作業車両
JP2020104654A (ja) 排気管の制振部材